KR20020069863A - 단백질 및 다당류를 이용한 이중코팅 유산균 원말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단백질 및 다당류를 이용한 이중코팅 유산균 원말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9863A
KR20020069863A KR1020010010397A KR20010010397A KR20020069863A KR 20020069863 A KR20020069863 A KR 20020069863A KR 1020010010397 A KR1020010010397 A KR 1020010010397A KR 20010010397 A KR20010010397 A KR 20010010397A KR 20020069863 A KR20020069863 A KR 20020069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lactic acid
acid bacteria
polysaccharide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9495B1 (ko
Inventor
정명준
Original Assignee
정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70636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6986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정명준 filed Critical 정명준
Priority to KR10-2001-0010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9495B1/ko
Priority to JP2002054821A priority patent/JP3720780B2/ja
Publication of KR20020069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4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백질 및 다당류를 이용한 이중코팅 유산균 원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이중코팅 유산균 원말의 제조방법은 1%-10%농도의 대두분리단백과 탈지분유를 소정의 혼합비로 혼합하여 1%-10%수용액으로 만든 후 유산균주에 따라서 대단백질 중량비 0.01%-1%범위의 단백분해 효소용액을 가하여 효소처리하는 단백질효소분해단계와, 상기 효소처리액에 중량비 1%-5%범위의 포도당, 0.1%-1.5%범위의 효모추출물, 0.1%-1.5%범위의 육엑기스, 0.01%-0.1%범위의 이온성분을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발효관에서 스팀살균 후 유산균을 배양하는 유산균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된 발효액을 고속원심분리기에 의해 분리 농축하여 균체를 분리하고 코팅하는 1차 단백질코팅단계와, 상기 회수된 균체에 대비하여 중량비 1%-10%의 동결보호제 성분을 35%-45% 수용액으로 제조하고, 회수균체에 대비하여 1%-10%의 다당류 성분을 1%-10%수용액으로 제조하여 균체, 동결보호제 수용액, 다당류 수용액을 혼합균질화 하여 코팅하고 동결건조하는 2차코팅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용액상에서의 균질화 및 동결건조공정만으로 이중코팅된 유산균체를 획득할 수 있어 별도의 설비없이 제조공정이 유지되므로 공정의 융통성 및 호환성이 큰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단백질 및 다당류를 이용한 이중코팅 유산균 원말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Dual-coated Lactic acid bacteria powder using protein and polysaccharlde}
본 발명은 단백질 및 다당류를 이용한 이중코팅 유산균 원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유산균에 단백질과 다당류를 이중코팅하는 단백질 및 다당류를 이용한 이중코팅 유산균 원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산균은 장에 정착하여 장관운동 활성화, 유해균 억제, 비타민 및 면역증강 물질 촉진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발휘하는데, 인체의 구조상 사람이 유산균 섭취시 장까지 도달하기 까지에는 위를 거치게 되어있어 위에서 분비되는 위산으로 인해 유산균이 사멸하여 유산균 본래의 생리활성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종래의 비코팅 유산균 원말의 제조공정은 도 1에서와 같이 유산균 발효, 균체 회수, 동결건조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비코팅 유산균 분말은 공기, 수분, 온도조건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저장 및 유통안정성과 2차 제품 제조시의 가공안정성을 확보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사람 및 동물의 섭취시에는 위산 및 담즙산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급격히 사멸하므로 장내정착성 및 유산균 고유의 효능, 효과를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산균에 코팅을 하여 사용하게 되었는데, 유산균 코팅 기술로는 캡슐제를 이용한 장용코팅제와 젤라틴, 당류, 껌류 등을 이용한 마이크로캡슐화(Microencapsulation)공정 등이 있는데 유산균체의 회수공정 이후에 코팅제를 투입하는 별도의 코팅공정에 의해 실시되어 진다.
종래 유산균 코팅공정은 건조 완료된 유산균 분말에 코팅제를 첨가하여 실시되는 경우가 많으며, 일반적인 공정은 도 1과 같다. 유산균 배양(M1,M2)은 일반적으로 펩톤류, 육엑기스, 효모추출물, 포도당 및 무기이온이 조합된 발효배지를 이용하여 혐기적 발효장치 내에서 이루어진다. 이들 배지 성분은 주로 유산균이 증식하는 데에 이용되는 수용성 성분만으로 구성되어 진다. 유산균체의 회수(M3)는 원심분리 또는 한외여과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균체와 배양 여액과의 분리 및 균체의 농축만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급속동결 및 동결건조 과정(M4)에서 유산균의 급격한 사멸이 발생하므로 당류, 아미노산등을 조합한 유산균 동결보호제(M5)를 첨가하여 건조분말화(M6) 시킨다. 이후 유산균 분말에 수용액상의 코팅제 조성물이 가해지고 교반 및 혼합 후 동결 건조되어 진다. 또는 매우 미세한 구형의 비드(Bead) 형성능이 있는 코팅제 조성물이 가해지고 노즐분사에 의해 마이크로캡슐화 공정이 이루어 진다.
이러한, 종래 유산균 코팅공정은 유산균체의 회수 및 건조분말화 공정 이후에 코팅제의 혼합교반 또는 마이크로캡슐화 공정이 이루어지므로 고가의 코팅제 및 공정추가에 따르는 비용부담이 발생하며 기타 미생물의 혼입이 우려되므로 무균조작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액상코팅 후 동결건조과정에서는 우수한 생존률 및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동결보호제 및 안정제의 사용이 필요하므로 재료 또는 공정의 충돌이나 중복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공기, 수분과의 직접적인 반응이 억제되며 내열성, 내산성, 내담즙성이 강화되어 생균 안정성 및 가공 안정성이 증강된 유산균 원말의 제조 및 이와 관련된 유산균 코팅공정을 단백질 소재를 이용하여 저렴하고 신속한 제조방법에 의해 실시하는 단백질코팅 유산균에 추가적으로 잔탐검(Xantan gum), 셀룰로즈(Cellulose), 리벤(Levan)과 같은 다당류를 균주에 따라서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여 2중으로 코팅하는 단백질 및 다당류를 이용한 이중코팅 유산균 원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코팅 유산균의 제조방법에 따른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단백질 및 다당류를 이용한 이중코팅 유산균 원말의 제조방법에 따른 공정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단백질 및 다당류를 이용한 이중코팅 유산균 원말의 제조방법에 따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1%-10%농도의 대두분리단백과 탈지분유를 소정의 혼합비로 혼합하여 1%-10%수용액으로 만든 유산균주에 따라서 대단백질 중량비 0.01%-1%범위의 단백분해 효소용액을 가하여 효소처리하는 단백질효소분해단계와, 상기 효소처리액에 중량비 1%-5%범위의 포도당, 0.1%-1.5%범위의 효모추출물, 0.1%-1.5%범위의 육엑기스, 0.01%-0.1%범위의 이온성분을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발효관에서 스팀살균 후 유산균을 배양하는 유산균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된 발효액을 고속원심분리기에 의해 분리 농축하여 균체를 분리하고 동시에 발효액에 존재하는 단백질 침적물 내에 균체를 코팅하는 1차 단백질코팅단계와, 상기 회수된 균체에 대비하여 중량비 1%-10%의 동결보호제 성분을 35%-45% 수용액으로 제조하고, 회수균체에 대비하여 중량비 1%-10%의 다당류 성분을 1%-10% 수용액으로 제조하여 균체, 동결보호제 수용액, 다당류 수용액으로 혼합 균질화하여 코팅하고 동결건조하는 2차코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및 다당류를 이용한 이중코팅 유산균 원말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온성분으로 암모니움 시트레이트, 소디움 아세테이트, 디포타시움 포스테이트, 마그네슘 설페이트, 망간 설페이트, 소디움 클로라이드의 이온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당류 수용액으로 잔탐검(Xantan gum), 셀룰로즈(Cellulose), 리벤(Levan)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1차 단백질코팅단계 이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인 도 2와 도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인 단백질 및 다당류를이용한 이중코팅 유산균 원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균체회수 후 단백질 및 다당류를 사용하여 이중코팅 후 동결건조하여 제조하는 이중코팅 원말의 제조공정도이고, 도 3은 단백질 코팅하여 제조된 유산균 원말에 대하여 다당류 수용액을 사용하여 2차 코팅한 후 동결건조하여 제조하는 이중코팅유산균 원말의 제조공정도이다.
본 발명인 단백질 및 다당류를 이용한 이중코팅 유산균 원말의 제조방법은 발효배지 안에 포함된 단백질 코팅제에 의해 1차 코팅하고 다당류수용액을 사용하여 다시 코팅하는 이중코팅방법으로 단백질효소분해단계와 유산균발효단계와 1차 단백질코팅단계와 2차 코팅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백질효소분해단계(S1)에서는 발효배지로 사용되는 탈지분유와 대두분리단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1%-10%수용액으로 만든 후 유산균주에 따라서 대단백질 중량비 0.01%-1%범위의 단백분해 효소용액을 가하여 효소처리하게 된다. 여기서, 탈지분유(Skim Milk)와 대두분리단백(Isolated Soy Protein)의 효소처리 가수분해물은 유산균 증식에 이용되는 수용성 또는 저분자량의 펩타이드 성분과 유산균체의 포집 및 코팅에 사용되어지는 반수용성 또는 고분자량의 펩타이드 성분으로 구별된다.
상기 유산균발효단계(S2)에서는 효소처리액에 중량비 1%-5%범위의 포도당, 0.1%-1.5%범위의 효모추출물, 0.1%-1.5%범위의 육엑기스, 0.01%-0.1%범위의 암모니움 시트레이트, 소디움 아세테이트, 디포타시움 포스테이트, 마그네슘 설페이트, 망간 설페이트, 소디움 클로라이드 등의 이온성분을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혐기적발효관에서 스팀 살균 후 유산균을 배양한다.
상기 1차 단백질코팅단계(S3)에서는 발효된 발효액을 15,000RPM이상의 고속원심분리기에 의해 분리 및 농축한다. 이때 발효액 중의 잔존 단백질 성분이 균체와 함께 침적되면서 균체를 포집 및 포괄하는 코팅기작이 발생한다. 여기서, 가수분해물 조성은 유산균종의 생리특성에 따라 단백질의 농도 및 효소처리율을 가감함으로써 고농도의 유산균 증식효과를 얻을 수 있고, 급속동결시에는 균체를 포괄하여 아이스크리스탈의 형성으로부터 균체를 방어하므로 동결보호제로서의 효과도 동시에 지니게 된다.
상기 2차 코팅단계(S4)에서는 회수된 균체에 대비하여 동결보호제로써 중량비 1%-10%의 트리할로즈, 말토덱스트린, 만니톨, 탈지분유 성분을 35%-45% 수용액으로 조성하고, 회수균체 대비 1%-10%의 잔탐검(Xantan gum), 셀룰로즈(Cellulose), 리벤(Levan)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으로 사용하여 1%-10% 수용액으로 제조하여 가압살균한 후에 회수균체, 동결보호제 수용액과 혼합하고 교반기에서 교반하여 균질화시킨 후 동결건조한다. 또는 단백질코팅 후 동결건조된 단백질 코팅 유산균 원말에 대비하여 중량비 1%-10%의 트리할로즈, 말토덱스트린, 만니톨, 탈지분유 수용액을 35%-45%의 중량비의 농도로 조성하고 유산균 원말에 대비하여 1%-10%의 잔탐검(Xantan gum), 셀룰로즈(Cellulose), 리벤(Levan)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1%-10% 수용액으로 제조하여, 가압살균 후에 단백질코팅된 유산균 원말과 혼합하여 교반기에서 교반하여 균질화시킨 후 동결건조(S3-1)하여 2차 코팅(S4)한다. 다당류 수용액에 균질화된 단백질코팅 유산균은 동결건조 후 다당류가 보유한 강력한 접착력에 의해 균체사이의 결합이 발생하며 매우 치밀한 구조를 지닌 균괴를 형성하고 원말의 분쇄공정을 거쳐 40-120의 일정한 입도를 갖게 된다.
그림 1. 이중 코팅 유산균 원말의 형상도
여기서, 상기 2차 코팅제로 사용되는 다당류의 특성을 살펴보면 특유의 점착성에 의해 각 균체를 결합하여 균괴를 형성시키며 친수성을 지니므로 1차 코팅제인 단백질과의 결합은 물론 기타 수용성의 당류, 아미노산 성분인 동결보호제 및 유산균 안정제와의 병용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다당류재료는 수용액 상태일 때 산성의 조건에서는 용해도가 극히 낮고 중성 이상의 pH에서는 쉽게 해리, 용출되므로 산성조건에서의 유산균의 안정성 및 장내정착성이 매우 우수해질 수 있다.
이러한 2중 코팅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제품에 따른 몇 가지 실시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첫째, 단백질 코팅된 Lactobacillus acidophilus CBT-LH원말의 생산은 탈지분유 4Kg, 대두분리단백 2kg을 물 100Kg에 현탁시킨 후 저속 교반기, 온도조절장치, pH조절장치가 장착된 효소처리조에서 55℃ 온도, 초기 pH7.0의 조건에서 단백분해효소제(Amano사 제품, Protease-N) 1.02g을 100ml의 물에 용해시켜서 첨가하고 pH가 6.0으로 감소할 때까지 가수분해하였다. 이 가수분해 용액에 포도당 5Kg, 육엑기스 1Kg, 효모추출물 0.5Kg, 디포타슘 포스페이트 50g, 암모니움 시트레이트 50g, 소디움 아세테이트 50g, 마그네슘 설페이트 10g, 망간 설페이트 10g을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200L 용량의 혐기적 발효관에 이송하여 121℃에서 15분간 살균하고 종균 2L를 접종하여 암모니아로 pH를 6.0으로 유지하면서 12시간 발효하였다. 발효액을 60L/Hr의 유속으로 연속식 원심분리기로 이송시키면서 균체와 잔존 단백성분을 침적시키고 회수하였다. 트리할로즈 1Kg, 만니톨 1Kg, 말토덱스트린 1Kg으로 조성된 동결보호제 수용액 10L를 가압살균하여 제조하고, 10g 잔탐검(Xantan gum), 10g 셀룰로즈(Cellulose), 10g 리벤(Levan)을 용해시킨 다당류 수용액 3L를 가압살균하여 회수균체, 동결보호제 수용액, 다당류 수용액을 혼합한 후 교반기에서 5,000RPM으로 교반하여 균질화시키고 -55℃의 냉동고에서 급속동결한 후 0℃에서 40℃사이의 조작조건에서 동결건조 하였다. 원심분리 침적과정에서 반 수용성의 잔존 단백성분은 균체를 포괄하고 수용성 펩타이드 성분은 균체의 세포벽에 침착하여 단백질코팅을 형성하였으며 다당류 성분은 균체 사이의 결합에 의해 매우 치밀한 구조를 지닌 균괴를 형성하였다. 잔탐검(Xantan gum), 셀룰로즈(Cellulose), 리벤(Levan)의 혼합 조성물에 의한 이중코팅 유산균은 비코팅 유산균에 비하여 우수한 가속시험 안정성, 내산성, 내담즙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른 시험결과는 아래(표1)와 같다.
표1. 단백질 코팅된 Lactobacillus acidophilus CBT-LH의 내산성, 내담즙성, 가속시험 결과.
내산성 시험(pH2.1의 인공위액 중) 내담즙성 시험(0.5% Oxgall 용액 중) 가속시험(40℃, 70% 상대습도)
노출시간(분) 시험구(cfu/g) 대조구(cfu/g) 노출시간(분) 시험구(cfu/g) 대조구(cfu/g) 경과시간(일) 시험구(cfu/g) 대조구(cfu/g)
0 3.4x1011 3.3x1011 0 3.5x1011 3.4x1011 0 3.1x1011 3.2x1011
30 3.2x1011 2.3x1011 30 3.3x1011 2.1x1011 10 2.9x1011 1.1x1011
60 3.1x1011 1.5x109 60 3.2x1011 1.4x1011 20 2.6x1011 8.9x1010
90 3.1x1011 1.2x1011 90 3.0x1011 1.1x1011 30 2.5x1011 1.0x1010
120 2.9x1011 9.3x1011 120 2.9x1011 9.9x1010 40 2.0x1011 9.8x109
120분경과시의 생존율(%) 85.3 28.2 120분경과시의 생존율(%) 82.9 29.1 40일경과시의생존율(%) 64.5 3.1
둘째, 단백질 코팅된 Streptococcus thermophilus CBT-ST 원말의 생산은 탈지분유 6Kg을 물 100Kg에 현탁시킨 후 저속 교반기, 온도조절장치, pH조절장치가 장착된 효소처리조에서 55℃ 온도, 초기 pH7.0의 조건에서 단백분해효소제(Amano사 제품, Protease-N) 6g을 100ml의 물에 용해시켜서 첨가하고 pH가 6.2로 감소할 때까지 가수분해하였다. 이 가수분해 용액에 포도당 4Kg, 육엑기스 0.5Kg, 효모추출물 0.5Kg, 디포타슘 포스페이트 50g, 암모니움 시트레이트 50g, 소디움 아세테이트 50g, 마그네슘 설페이트 20g, 망간 설페이트 5g을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200L 용량의 혐기적 발효관에 이송하여 121℃에서 15분간 살균하고 종균 2L를 접종하여 암모니아로 pH를 6.0으로 유지하면서 12시간 발효하였다. 발효액을 60L/Hr의 유속으로 연속식 원심분리기에 이송시키면서 균체와 잔존 단백성분을 침적시키고 회수하였다. 트리할로즈 0.5Kg, 만니톨 0.5Kg, 말토텍스트린 0.5Kg, 탈지분유 1.5Kg으로 조성하고 가압살균하여 제조한 동결보호제 수용액 10L와 잔탐검(Xantan gum)15g, 셀룰로즈(Cellulose) 15g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가압살균하여 제조한 다당류 수용액 3L를 균체침적물과 혼합하여 교반기에서 5,000RPM으로 교반하여 균질화시키고 -55℃의 냉동고에서 급속동결한 후 0℃에서 40℃사이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였다. 탈지분유에 의한 단백질 코팅 및 잔탐검(Xantan gum), 셀룰로즈(Cellulose)혼합조성에 의한 이중코팅 유산균은 비코팅 유산균에 비하여 우수한 가속시험 안정성, 내산성, 내담즙성을 나타내었다.
표2. 단백질 코팅된 Streptococcus thermophilus CBT-ST의 내산성, 내담즙성, 가속시험 결과.
내산성 시험(pH2.1의 인공위액 중) 내담즙성 시험(0.5% Oxgall 용액 중) 가속시험(40℃, 70% 상대습도)
노출시간(분) 시험구(cfu/g) 대조구(cfu/g) 노출시간(분) 시험구(cfu/g) 대조구(cfu/g) 경과시간(일) 시험구(cfu/g) 대조구(cfu/g)
0 2.0x1011 2.2x1011 0 2.7x1011 2.9x1011 0 2.6x1011 2.7x1011
30 1.9x1011 1.7x1011 30 2.7x1011 2.3x1011 10 2.5x101 1.3x1011
60 1.8x1011 1.2x1011 60 2.5x1011 1.9x1011 20 2.5x1011 9.7x1010
90 1.8x1011 9.5x1010 90 2.4x1011 1.5x1010 30 2.4x1011 8.6x1010
120 1.8x1011 8.4x1010 120 2.4x111 9.2x1010 40 2.2x1011 5.1x1010
120분경과시의 생존율(%) 90.0 38.2 120분경과시의 생존율(%) 88.9 31.7 40일경과시의생존율(%) 84.6 18.9
세째, 단백질 코팅된 Bifidobacterium longum CBT-BG원말의 생산은 대두분리단백 2Kg을 물 100Kg에 현탁시킨 후 저속 교반기, 온도조절장치, pH조절장치가 장착된 효소처리조에서 55℃온도, 초기 pH7.0의 조건에서 단백분해효소제(Amano사 제품, protease-N) 5.4g을 100ml의 물에 용해시켜서 첨가하고 pH가 6.2로 감소할 때까지 가수분해하였다. 이 가수분해 용액에 포도당 4Kg, 육엑기스 0.5Kg, 효모추출물 0.5Kg, 카제인 펩톤 1Kg, 디포타슘 포스페이트 50g, 포타슘 포스페이트 50g, 마그네슘 설페이트 10g, 소디움 클로라이드 1g, 망간 설페이트 10g을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200L용량의 혐기적 발효관에 이송하여 121℃에서 15분간 살균하고 종균 2L를 접종하여 암모니아로 pH를 6.0으로 유지하면서 15시간 발효하였다. 발효액을 60L/Hr의 유속으로 연속식 원심분리기에 이송시키면서 균체와 잔존 단백성분을 침적시키고 회수하여 미리 살균한 트리할로즈 0.5Kg, 만니톨 0.5Kg, 말토덱스트린 0.5Kg, 탈지분유 1.5Kg으로 조성된 동결보호제 수용액 10L를 가하여 교반기에서 5,000RPM으로 교반하여 균질화시키고 -55℃의 냉동고에서 급속동결한 후 0℃에서 40℃사이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였다. 유산균 동결건조 분말 100g과 물 3L에 15g의 잔탐검(Xantan gum)과 15g의 셀룰로즈(Cellulose)를 가하여 용해시키고 가압살균한 다당류 코팅 조성물을 혼합한 후 교반기에서 5,000RPM으로 교반하여 균질화시키고 -55℃의 냉동고에서 급속동결한 후 0℃에서 40℃사이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였다. 대두분리단백에 의한 단백질 코팅 및 잔탐검(Xantan gum), 셀룰로즈(Cellulose)의 혼합조성에 의한 이중코팅 유산균은 비코팅 유산균에 비하여 우수한 가속시험 안정성, 내산성, 내담즙성을 나타내었다.
표3. 단백질 코팅된 Bifidobacterium longum CBT-BG의 내산성, 내담즙성, 가속시험 결과.
내산성 시험(pH2.1의 인공위액 중) 내담즙성 시험(0.5% Oxgall 용액 중) 가속시험(40℃, 70% 상대습도)
노출시간(분) 시험구(cfu/g) 대조구(cfu/g) 노출시간(분) 시험구(cfu/g) 대조구(cfu/g) 경과시간(일) 시험구(cfu/g) 대조구(cfu/g)
0 4.0x1011 3.8x1011 0 3.7x1011 3.6x1011 0 3.6x1011 4.0x1011
30 3.9x1011 2.3x1011 30 3.5x1011 2.6x1011 10 3.3x1011 1.1x1011
60 3.8x1011 2.1x1011 60 3.4x1011 2.3x1011 20 2.9x1011 9.3x1010
90 3.8x1011 1.3x1010 90 3.2x1011 1.9x1011 30 2.7x1011 3.7x1010
120 3.5x1011 9.9x1010 120 3.0x1011 9.8x1010 40 2.3x1011 1.4x1010
120분경과시의 생존율(%) 87.5 26.1 120분경과시의 생존율(%) 81.3 27.2 40일경과시의생존율(%) 63.9 3.5
이와 같이 본 발명으로 제조된 이중코팅 유산균 원말은 비코팅 유산균 및 1차 코팅 유산균에 비교하여 매우 우수한 저장 안정성과 내산성, 내담즙성, 내열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균주에 따라서 여러 종류의 동결보호제 및 안정제 등과 혼합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수용액상에서의 균질화 및 동결건조공정만으로 이중코팅된 유산균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설비사용이 없이 제조공정이 유지될 수 있으며 건조 전의 회수 균체 또는 건조 균체에 모두 적용 할 수 있어 공정의 융통성 및 호환성이 크며, 균체의 생존율은 50%-90%로 유산균 원말의 회수율이 특히 개선되어질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이 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이중코팅 유산균 원말은 내열성, 내산성, 내담즙성, 저장안정성이 크게 개선되고, 인체에 투여시에는 장내정착성이 매우 우수하여 유산균 고유의 생리활성 기능의 발휘가 탁월하므로 사용자의 사용상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Claims (4)

  1. 대두분리단백과 탈지분유를 소정의 혼합비로 혼합하여 1%-10%수용액으로 만든 단백질 수용액을 유산균주에 따라서 대단백질 중량비 0.01%-1%범위의 단백분해 효소용액을 가하여 효소처리하는 단백질효소분해단계와;
    상기 효소처리액에 중량비 1%-5%범위의 포도당, 0.1%-1.5%범위의 효모추출물, 0.1%-1.5%범위의 육엑기스, 0.01%-0.1%범위의 이온성분을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발효관에서 스팀살균 후 유산균을 배양하는 유산균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된 발효액을 고속원심분리기에 의해 분리 농축하여 균체를 분리하고 코팅하는 1차 단백질코팅단계와;
    상기 회수된 균체에 대비하여 중량비 1%-10%의 동결보호제 성분으로 조성한 35%-45% 동결보호제 수용액과, 회수균체 대비 1%-10%의 다당류 성분으로 조성한 1%-10% 다당류 수용액을 혼합 사용하여 코팅하고 동결건조하는 2차코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및 다당류를 이용한 이중코팅 유산균 원말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분으로 암모니움 시트레이트, 소디움 아세테이트, 디포타시움 포스테이트, 마그네슘 설페이트, 망간 설페이트, 소디움 클로라이드의 이온성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및 다당류를 이용한 이중코팅 유산균 원말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 수용액으로 잔탐검(Xantan gum), 셀룰로즈(Cellulose), 리벤(Levan)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및 다당류를 이용한 이중코팅 유산균 원말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단백질코팅단계에 의하여 제조된 유산균 원말에 대하여 2차 다당류 코팅을 실시하고, 동결건조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및 다당류를 이용한 이중코팅 유산균 원말의 제조방법.
KR10-2001-0010397A 2001-02-28 2001-02-28 단백질 및 다당류를 이용한 이중코팅 유산균 원말의제조방법 KR100429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397A KR100429495B1 (ko) 2001-02-28 2001-02-28 단백질 및 다당류를 이용한 이중코팅 유산균 원말의제조방법
JP2002054821A JP3720780B2 (ja) 2001-02-28 2002-02-28 蛋白質及び多糖類を利用した二重コーティング乳酸菌原末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397A KR100429495B1 (ko) 2001-02-28 2001-02-28 단백질 및 다당류를 이용한 이중코팅 유산균 원말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863A true KR20020069863A (ko) 2002-09-05
KR100429495B1 KR100429495B1 (ko) 2004-05-03

Family

ID=19706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397A KR100429495B1 (ko) 2001-02-28 2001-02-28 단백질 및 다당류를 이용한 이중코팅 유산균 원말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720780B2 (ko)
KR (1) KR10042949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354B1 (ko) * 2002-08-26 2005-06-0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레반 및 알기네이트 비드로 코팅되어 생존율이 향상된유산균 분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82984B1 (ko) * 2006-04-21 2007-12-07 (주)케비젠 유산균 다중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이 방법에 의해제조된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WO2009093785A1 (en) * 2008-01-25 2009-07-30 Cell Biotech Co., Ltd. Method of preparing triple-coating lactic acid bacteria and nano particle coating method, triple-coating lactic acid bacteria prepared thereby an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US9296987B2 (en) 2010-11-02 2016-03-29 Cell Biotech Co., Ltd. Multi-coated lactic acid bacteria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KR102009731B1 (ko) * 2019-04-15 2019-08-12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단백질-다당류 이중코팅 유산균의 제조방법
KR102009732B1 (ko) * 2019-04-15 2019-08-12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세포 농축 방법에 의한 이중코팅 유산균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7580A1 (en) 2003-06-06 2004-12-09 Myung-Jun Chung Process for preparing double-coated lactic acid bacteria powder using protein and polysaccharide and product by the same
JP5576606B2 (ja) 2005-05-18 2014-08-20 ディーエスエム アイピー アセッツ ビー.ブイ. 微生物の腸内投与用組成物
JP2009540861A (ja) * 2006-06-26 2009-11-26 ヒュン チュン,ヤン 粉末キムチ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って生成されるキムチ組成物
KR101000364B1 (ko) 2010-04-26 2010-12-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존율 증강용 이중 코팅 방법
CN102586124B (zh) * 2011-01-10 2013-10-02 安琪酵母股份有限公司 一种酿酒酵母菌营养剂及其使用方法
CN104611256B (zh) * 2014-12-17 2017-09-15 光明乳业股份有限公司 一种微生物冻干制剂及其制备方法
WO2017105140A1 (ko) * 2015-12-17 2017-06-22 씨제이제일제당(주) 장내 생존율이 증대된 유산균의 코팅 방법
EP3486311B1 (en) * 2016-07-15 2023-11-15 Cj Cheiljedang Corporation Leuconostoc mesenteroides cjlm181 strain producing reduced amount of gas, and kimchi production method using same
CA3030832C (en) * 2016-07-15 2021-08-24 Cj Cheiljedang Corporation Leuconostoc mesenteroides cjlm119 strain producing reduced amount of gas, and kimchi production method using same
JP6875041B2 (ja) * 2016-07-15 2021-05-19 シージェイ チェイルジェダン コーポレーションCj Cheiljedang Corporation ガス発生量の低いリゥコノストック・メゼンテロイデスcjlm627菌株およびこれを用いたキムチの製造方法
US20230292778A1 (en) * 2020-06-16 2023-09-21 Godo Shusei Co., Ltd. Method for producing plant-based milk fermentation product
JP6945888B1 (ja) * 2020-09-30 2021-10-06 株式会社東洋新薬 免疫機能向上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8089B2 (ja) * 1991-04-25 1999-10-25 鐘紡株式会社 被覆用素材及びそれを用いた腸溶性造粒物
JP3202053B2 (ja) * 1992-01-09 2001-08-27 カネボウ株式会社 腸溶性造粒物
KR970025405A (ko) * 1997-03-18 1997-06-24 조광현 유산균 미세 캡슐의 제조방법
KR100263822B1 (ko) * 1997-10-14 2000-11-01 신종훈 유산균 캡슐제 요구르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387245B1 (ko) * 1997-10-17 2003-08-19 일양약품주식회사 유산균의안정화를위한미세장용성코팅과립
KR20000011247A (ko) * 1998-07-23 2000-02-25 김윤 다당류를이용한대장선택성약물전달조성물및약학제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354B1 (ko) * 2002-08-26 2005-06-0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레반 및 알기네이트 비드로 코팅되어 생존율이 향상된유산균 분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82984B1 (ko) * 2006-04-21 2007-12-07 (주)케비젠 유산균 다중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이 방법에 의해제조된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WO2009093785A1 (en) * 2008-01-25 2009-07-30 Cell Biotech Co., Ltd. Method of preparing triple-coating lactic acid bacteria and nano particle coating method, triple-coating lactic acid bacteria prepared thereby an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US9296987B2 (en) 2010-11-02 2016-03-29 Cell Biotech Co., Ltd. Multi-coated lactic acid bacteria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KR102009731B1 (ko) * 2019-04-15 2019-08-12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단백질-다당류 이중코팅 유산균의 제조방법
KR102009732B1 (ko) * 2019-04-15 2019-08-12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세포 농축 방법에 의한 이중코팅 유산균의 제조방법
US11920124B2 (en) 2019-04-15 2024-03-05 Cell Biotech Co., Ltd. Method of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dual-coated with protein and polysaccharide by using protein hydrolys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320473A (ja) 2002-11-05
JP3720780B2 (ja) 2005-11-30
KR100429495B1 (ko) 2004-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3210B2 (en) Method of double-coating lactic acid bacteria
KR100429495B1 (ko) 단백질 및 다당류를 이용한 이중코팅 유산균 원말의제조방법
DK2235158T3 (en) A method for producing the triple-coated lactic acid bacteria and nano-particle coating process, the triple-coated lactic acid bacteria produced thereby and comprising the same object
Islam et al. Microencapsulation of live probiotic bacteria
KR101355003B1 (ko) 다중 코팅층을 갖는 유산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9731B1 (ko)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단백질-다당류 이중코팅 유산균의 제조방법
CN112544978B (zh) 一种可在肠道定点释放的微胶囊包埋的益生菌及其制备方法
CN108853021A (zh) 一种基于双乳液结构的益生菌液态制剂及其制备方法
EP1514553B1 (en) Lactic acid bacteria powder double-coated using protein and polysaccharide and method preparing the same and a dosage form thereof
CN113208115B (zh) 一种益生菌微胶囊及其制备方法
KR100429494B1 (ko) 단백질 코팅 유산균의 제조방법
CN110272934A (zh) 鸡内金小分子肽的提取方法及其应用
KR101707551B1 (ko) 유산균 생균 제제를 함유한 초콜릿의 제조 방법
US4645667A (en) Antitumor agent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id agent
CN108902982B (zh) 一种益生菌微胶囊冻干粉及其制备方法
JP3587536B2 (ja) カルシウム補強剤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747769A (zh) 一种益生菌制品及其制备方法
CN114668152A (zh) 一种稳定性高、在小肠定向释放的ace抑制肽脂质体及其制备方法
JPH0416145B2 (ko)
RU2262530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ухого препарата на основе бифидо- и/или лактобактерий и препарат, изготовленный этим способом
CN114027506B (zh) 一种高活性益生菌粉及其制备方法
CN115381101B (zh) 一种基于复合凝聚法制备益生菌微胶囊的方法与应用
CN114774309A (zh) 一种植物乳杆菌微胶囊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7919194A (zh) 一种稳定的益生菌胶囊及其制备方法
JPH07265066A (ja) 微生物培養培地用ペプト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1119

Effective date: 2012052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621

Effective date: 2013012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