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9224A - 누액층의 안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누액층의 안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9224A
KR20020069224A KR1020027008298A KR20027008298A KR20020069224A KR 20020069224 A KR20020069224 A KR 20020069224A KR 1020027008298 A KR1020027008298 A KR 1020027008298A KR 20027008298 A KR20027008298 A KR 20027008298A KR 20020069224 A KR20020069224 A KR 20020069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polyvinylpyrrolidone
weight
ionic contact
ophthalm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마노다카시
모리시마겐지
하타노노리히사
Original Assignee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9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22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61K31/717Cellul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4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 A61K31/785Polymer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4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 A61K31/785Polymers containing nitrogen
    • A61K31/787Polymers containing nitrogen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79Polymers of 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안구 표면의 누액층(淚液層)을 안정화함으로써,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안부 건조감이나 불쾌감을 제거하고, 양호한 촉촉감 및 착용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함유하는 안과용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이온성 콘택트 렌즈에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흡착시켜 이온성 콘택트 렌즈 주위에 존재하는 누액층을 안정화할 수 있다. 이 안과용 조성물에 증점제를 첨가하면, 누액층을 장시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누액층의 안정화 시스템{SYSTEM FOR STABILIZING LACRIMAL FLUID LAYER}
최근, 콘택트 렌즈의 보급은 현저하고, 하드 콘택트 렌즈나 소프트 콘택트 렌즈뿐만 아니라 일회용 콘택트 렌즈도 범용되고 있다. 이들 콘택트 렌즈에는 이온성인 것과 비이온성인 것이 있지만, 이온성 콘택트 렌즈의 재질로서는,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등을 중합(또는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또는 공중합체)가 이용되고 있다.
콘택트 렌즈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렌즈 표면에 존재하는 누액층 및 렌즈 이면과 안구 표면 사이에 존재하는 누액층은 매우 얇아 불안정하기 때문에,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안구 표면의 누액은 콘택트 렌즈를 착용하지 않은 사람의 안구 표면 누액보다도 빨리 없어지는 현상이 생긴다. 그 때문에, 때때로 콘택트 렌즈 착용자가 눈을 깜빡일 때까지의 단시간 동안에 안구 표면의 누액이 부족하여 콘택트 렌즈의 착용감이 악화(안부 건조감이나 불쾌감)되거나, 또한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안구 표면의 누액이 만성적으로 부족하면, 결막이나 각막 등의 외안부에 심각한 장해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콘택트 렌즈 착용 중의 렌즈 표면 및 렌즈 이면에는 매우 얇은 누액층이 존재하지만, 이들 누액층이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안구 및 안검에 대하여 완충적인 역활을 하고 있다. 따라서, 콘택트 렌즈의 착용감을 개선하고, 또한 결막이나 각막 등의 외안부에 장해가 생기는 것을 미연에 예방하기 위해서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안구 표면의 누액층을 안정하게 유지시키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 착용시에 렌즈 주위(렌즈 표면 및 렌즈 이면)에 존재하는 누액층(淚液層)을 안정화함으로써,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안부 건조감이나 불쾌감을 제거하고, 양호한 촉촉감 및 착용감을 얻는 누액층의 안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널리 보급되어 있는 이온성 콘택트 렌즈에 착안하여 여러 가지 고분자 화합물의 이온성 콘택트 렌즈에 대한 흡착성과 이온성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안부 촉촉감 및 착용감과의 관계를 예의 연구한 결과, 폴리비닐피롤리돈이 이온성 콘택트 렌즈에 특이적으로 흡착되어,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안부 건조감 및 불쾌감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고, 점안액으로서 적용하는 경우에는 주입감도 우수한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증점제를 배합한 안과용 조성물을 이용하면, 이온성 콘택트 렌즈의 보수성(保水性)이 향상되는 결과, 이온성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안부의 상기 개선 효과를 장시간 지속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함유하는 안과용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평균 분자량이 500,000 이하인 폴리비닐피롤리돈 0.05∼3.0 중량%를 함유하는 안과용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또한 이온성 콘택트 렌즈에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흡착시켜 이온성 콘택트 렌즈 주위(렌즈 표면 및 렌즈 이면)에 존재하는 누액층을 안정화하는 시스템으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함유하는 안과용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이온성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안부 촉촉감 및 착용감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결막이나 각막 등의 외안부에 장해가 생기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증점제를 함유하는 안과용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콘택트 렌즈면에 있어서의 폴리비닐피롤리돈의 흡착이 장시간 지속되고, 콘택트 렌즈의 보수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예컨대 상기 안과용 조성물을 점안액으로서 적용하는 경우에는 점안 횟수를 줄이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음전하를 띠고 있는 콘택트 렌즈에 양전하를 띠고 있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함유하는 안과용 조성물을 작용시킴으로써 콘택트 렌즈의 표면 및 이면에 흡착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의 양전하로 콘택트 렌즈의 음전하를 중화함으로써, 콘택트 렌즈 주위에 존재하는 누액층을 안정화하는 시스템으로서, 이러한 안정화된 누액층이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안부 건조감 및 불쾌감을 제거하고, 점안액으로서 적용한 경우에는 우수한 주입감을 발휘할 것으로 추론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안과용 조성물에 그 필수 성분인 폴리비닐피롤리돈 이외에 증점제를 첨가하면, 콘택트 렌즈 주위에 존재하는 누액층이 장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양호한 촉촉감 및 착용감을 지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비닐피롤리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그 평균 분자량이 50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의 평균 분자량이 500,000을 초과하면 콘택트 렌즈에 흡착되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의 양이 감소되기 때문이다. 또한, 폴리비닐피롤리돈의 배합량은 0.05∼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그 이유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의 배합량이 3.0 중량%를 초과하면 안과용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증가하는 경우가 있고, 또한 0.05 중량% 미만에서는 누액을 렌즈에 충분히 흡착시킬 수 없어 만족스런 촉촉감 및 착용감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폴리비닐피롤리돈의 보다 바람직한 배합량은 0.5∼2.0 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8∼1.2 중량%이다.
본 발명의 증점제로서는, 메틸셀룰로즈,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폴리비닐알코올, 소르비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나트륨, 히드록시에틸셀룰로즈,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을 들 수 있지만, 증점 작용을 갖는 첨가물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증점제로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HPMC)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0.01∼1.0 중량%의 범위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의 배합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면 안과용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의 배합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0.5 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1∼0.3 중량%이다.
본 발명의 안과용 조성물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이외에 상기 증점제;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등장화제; 붕산, 붕사, 시트르산, 인산수소이나트륨, ε-아미노카프론산 등의 완충제; 염화벤질알코늄, 글루콘산클로로헥시딘, 염화벤즈에토늄, 소르빈산, 소르빈산칼륨,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 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 등의 방부제; 에데트산(edetic acid)이나트륨 등의 안정화제 등 제제적으로 허용되는 첨가물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안과용 조성물로는, 예컨대 폴리비닐피롤리돈 0.8∼1.2 중량%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0.1∼0.3 중량%를 배합한 점안액 및 장착액을 들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점안액 또는 장착액으로서 적용하는 경우에는 안정화제로서 예컨대 0.05∼0.3 중량%의 에데트산이나트륨을, 또한 방부제로서는 0.05∼0.3 중량%의 소르빈산 또는 그 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안과용 조성물을 콘택트 렌즈용 점안액으로서 적용하는 경우는, 붕산, 붕사 등의 범용 완충제를 사용하여 pH를 7.0 부근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염화칼륨, 염화칼슘 등의 범용 등장화제를 사용하여 침투압비를 1.0 부근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안과용 조성물을 콘택트 렌즈용 점안액으로서 적용하는 경우는, 그 동점도(動粘度)는 1 mm2/s∼8 mm2/s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콘택트 렌즈용 장착액으로서 적용하는 경우에는 1 mm2/s∼50 mm2/s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안과용 조성물을 점안액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1일 2∼5회, 1회에 1∼3 방울을 점안하면 좋고, 또한 콘택트 렌즈의 착용에 있어서 1∼2 방울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콘택트 렌즈에 적하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안과용 조성물을 장착액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콘택트 렌즈를 착용하기 전에 이것을 장착액에 침지하여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과용 조성물은 콘택트 렌즈의 보존액이나 세정액으로서도 적용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이온성 콘택트 렌즈에 대한 흡착 시험
pH 7.0의 인산 완충액 내에 K 값이 각각 15, 30, 90인 폴리비닐피롤리돈(PVP), 메틸셀룰로즈(MC) 및 폴리비닐알콜(PVA)을 용해한 각각의 용액에 이온성 콘택트 렌즈(이온성 고함수율 렌즈: 원데이 아큐브, 재질: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를 침지하여, 40℃에서 3시간 동안 용액 내에서 보존한 후, 용액 내의 각 고분자 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흡착량을 산출하였다. 각 고분자 화합물의 콘택트 렌즈(CL)로의 흡착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시험예 1 시험예 2 시험예 3 참고예 1 참고예 2
고분자 화합물 PVPK 값: 15 PVPK 값: 30 PVPK 값: 90 MC PVA
흡착량(㎍/CL) 258.9 329.4 61.3 7.2 8.4
2. 점안액의 성분 및 주입감 시험
실시예 1∼5 및 비교예 1에 나타낸 배합 성분의 점안액을 하기 표 2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조제하였다. 또한, 안정화제로서 에데트산이나트륨 0.1 g을, 방부제로서 소르빈산 0.1 g을 첨가하고, pH를 7.0으로, 침투압비를 1.0으로 조정하였다. 이어서, 이온성 콘택트 렌즈를 착용하고 있는 피험자에 대해서, 실시예 1∼5및 비교예 1의 각 처방의 점안액을 각각 1회, 2∼3 방울 점안하여 촉촉감의 개선 효과, 촉촉감의 지속 효과 및 콘택트 렌즈(CL) 착용감의 개선 효과를 이하에 나타내는 평가 기준에 따라 수치화하였다(결과치는 6회 예의 평균치를 나타낸다). 각 점안액의 성분 및 주입감 시험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평가 기준:5점(개선 효과·지속 효과가 매우 향상됨)
4점(개선 효과·지속 효과가 향상됨)
3점(개선 효과·지속 효과가 약간 향상됨)
2점(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음)
1점(개선 효과·지속 효과가 오히려 악화됨)
주성분(g/100 ml)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PVP[K 값: 30] 1.0 1.0 1.0 1.0 0.8 ---
HPMC2910[50] 0.3 --- 0.1 --- 0.3 ---
HPMC2910[4000] --- 0.3 --- --- --- ---
30℃에서의 동점도(mm/s2) 2.0 6.4 1.3 1.0 2.0 0.9
촉촉감의 개선 효과 4.0 4.0 4.3 4.0 3.8 2.2
촉촉감의 지속 효과 4.2 4.0 4.3 3.7 3.5 2.0
CL 착용감의 개선 효과 4.2 3.8 4.0 3.7 3.7 1.8
표 중의 HPMC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를 나타낸다.
3. 이온성 콘택트 렌즈의 보수성 시험
이온성 콘택트 렌즈를 이용하여 실시예 3의 점안액 및 생리식염액에 대한 렌즈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보수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즉, 이온성 콘택트 렌즈(상품명: 원데이 아큐브) 표면의 수분을 닦아내고, 이것을 샤알레에 넣어, 뚜껑을 덮어 렌즈의 중량을 측정한 후, 40℃의 건조기로 30분간 건조시켰다. 건조시킨 후, 렌즈의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산출한 렌즈의 함수율은 렌즈 메이커 표시의 함수율과 거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3의 점안액 및 생리식염액을 각각 3 ml씩 계측하여 6 ml 유리병에 넣고, 각 액에 상기 건조시킨 이온성 콘택트 렌즈를 온도 35℃에서 1일 침지하였다. 렌즈 표면의 수분을 닦아내고, 이것을 샤알레에 넣은 다음, 뚜껑을 덮어 렌즈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온도 25℃, 상대 습도 60%의 항온 항습기에서 샤알레를 개방 하에 보존하고, 시간 경과에 따라 렌즈를 추출하여 (10분 간격으로 6회), 렌즈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하기 수학식에 따라 이온성 콘택트 렌즈의 보수율(수분 잔존율)을 산출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표 중의 수치는 3회 예의 평균치를 나타낸다.
수분 잔존율(%) = 100-[(Wi-Wc)-(Ws-Wc)/(Wi-Wc) ×100]
Wi: 침지 종료시의 콘택트 렌즈의 중량
Ws: 렌즈 추출시의 콘택트 렌즈의 중량
Wc: 건조시의 콘택트 렌즈의 중량
보존 시간 실시예 3의 점안액 생리 식염액
10 분 후 88% 39%
20 분 후 56% 21%
30 분 후 41% 15%
40 분 후 34% 12%
50 분 후 26% 5%
60 분 후 16% 1%
표 1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폴리비닐피롤리돈(PVP)은 이온성 콘택트 렌즈에 특이적으로 흡착된다. 특히, K 값이 15 및 30인 PVP가 양호하게 흡착된다. 또한, 표 2에 나타낸 각 점안액의 주입 시험의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PVP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안과용 조성물은 이온성 콘택트 렌즈 주위에 존재하는 누액층을 안정화하고, 주입감(촉촉감 및 착용감)을 개선한다. 또한, PVP를 함유하는 안과용 조성물에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HPMC)를 병용하여 첨가하면, 주입감이 한층 더 향상·지속되기 때문에, 점안 횟수를 줄이는 것도 가능해진다. 표 3의 보수성 시험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과용 조성물은 생리식염액을 이용한 경우에 비하여 이온성 콘택트 렌즈의 보수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과용 조성물은, PVP가 콘택트 렌즈에 흡착되어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렌즈의 안구 표면의 누액층을 안정화하고, 장시간 동안 누액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이온성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안부 촉촉감 및 착용감을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결막이나 각막 등의 외안부에 장해가 생기는 것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 착용시에 렌즈 주위(렌즈 표면 및 렌즈 이면)에 존재하는 누액층을 안정화함으로써,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안부 건조감이나 불쾌감을 제거하고, 양호한 촉촉감 및 착용감을 얻는 누액층의 안정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Claims (10)

  1. 이온성 콘택트 렌즈에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흡착시켜 이온성 콘택트 렌즈 주위에 존재하는 누액층을 안정화하는 시스템.
  2. 평균 분자량이 500,000 이하인 폴리비닐피롤리돈 0.05∼3.0 중량%를 함유하는 안과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이온성 콘택트 렌즈에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흡착시켜 이온성 콘택트 렌즈 주위에 존재하는 누액층을 안정화하는 시스템.
  3.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증점제를 함유하는 안과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이온성 콘택트 렌즈에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지속적으로 흡착시켜 이온성 콘택트 렌즈 주위에 존재하는 누액층을 장시간 안정하게 유지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인 것인 누액층을 장시간 안정하게 유지하는 시스템.
  5. 평균 분자량이 500,000 이하인 폴리비닐피롤리돈 0.05∼3.0 중량%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0.01∼1.0 중량%를 함유하는 안과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온성 콘택트 렌즈에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지속적으로 흡착시켜 이온성 콘택트 렌즈 주위에 존재하는 누액층을 장시간 안정하게 유지하는 시스템.
  6. 평균 분자량이 500,000 이하인 폴리비닐피롤리돈 0.5∼2.0 중량%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0.05∼0.5 중량%를 함유하는 안과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온성 콘택트 렌즈에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지속적으로 흡착시켜 이온성 콘택트 렌즈 주위에 존재하는 누액층을 장시간 안정하게 유지하는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이온성 콘택트 렌즈의 재질이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를 단독 중합 또는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시스템.
  8.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안과용 조성물의 동점도가 1 mm2/s∼50 mm2/s인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한 시스템을 적용한 콘택트 렌즈용 점안액 및 장착액.
  10. 폴리비닐피롤리돈 0.5∼2.0 중량%,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0.05∼0.5 중량%, 소르빈산(또는 그의 염) 0.05∼0.3 중량% 및 에데트산이나트륨 0.05∼0.3 중량%를 함유하는 콘택트 렌즈용 점안액 및 장착액.
KR1020027008298A 1999-12-27 2000-12-26 누액층의 안정화 시스템 KR200200692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369747 1999-12-27
JP36974799 1999-12-27
PCT/JP2000/009239 WO2001047532A1 (fr) 1999-12-27 2000-12-26 Système permettant de stabiliser la couche de fluide lacrym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224A true KR20020069224A (ko) 2002-08-29

Family

ID=18495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298A KR20020069224A (ko) 1999-12-27 2000-12-26 누액층의 안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47844B2 (ko)
EP (1) EP1245233A4 (ko)
KR (1) KR20020069224A (ko)
CN (1) CN1413114A (ko)
AU (1) AU2225701A (ko)
CA (1) CA2396524C (ko)
WO (1) WO20010475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89317A1 (en) * 2002-12-11 2004-06-30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Preservative for ophthalmology
JP5154231B2 (ja) 2005-02-14 2013-02-27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ビジョン・ケ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快適な眼科用具およびその製造法
US9052529B2 (en) 2006-02-10 2015-06-09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omfortable ophthalmic device and methods of its production
US20080197324A1 (en) * 2007-02-20 2008-08-21 Fang Zhao Ophthalmic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ol-acid copolymer
US20090142292A1 (en) * 2007-12-03 2009-06-04 Blackwell Richard I Method For The Mitigation of Symptoms of Dry Eye
KR20100133980A (ko) * 2008-03-07 2010-12-22 썬 파마 어드밴스트 리서치 컴패니 리미티드 안약 조성물
WO2012098653A1 (ja) * 2011-01-19 2012-07-26 株式会社メニコン コンタクトレンズ用液剤
TWI544922B (zh) 2011-05-19 2016-08-11 愛爾康研究有限公司 高濃度歐羅派特錠(olopatadine)眼用組成物
MX345216B (es) * 2011-06-23 2017-01-18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Solucion oftalmica que contiene acido hialuronico o sal del mismo y propilenglicol.
US8865888B2 (en) 2012-07-27 2014-10-21 Shiu-Nan Chen Composite gluca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9181517B1 (en) * 2013-08-20 2015-11-10 TTE international Inc. Composition for treating contact lenses with an aqueous solution resulting in visible protein removal
US20200260828A1 (en) * 2017-11-22 2020-08-20 Chin-Hung Lin Contact lens storing device
US20220054520A1 (en) * 2019-02-27 2022-02-24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Ophthalmic composition containing diquafosol or salt thereof, vinyl-based polymer and cellulose-based polymer
CN117771172A (zh) * 2019-08-27 2024-03-29 参天制药株式会社 含有地夸磷索或其盐、及聚乙烯吡咯烷酮的水性眼科用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9102A (en) * 1973-08-06 1976-05-25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S.A.) Method for preparing a crosslinked graft copolymer of silicone and polyvinylpyrrolidone for use as a contact lens, and a contact lens produced thereby
CA2125060C (en) * 1993-07-02 1999-03-30 Henry P. Dabrowski Ophthalmic solution for artificial tears
EP0929292B1 (en) * 1996-09-20 2001-05-30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and composition for rewetting contact lenses and relieving eye dryness
US5800807A (en) * 1997-01-29 1998-09-01 Bausch & Lomb Incorporated Ophthalmic compositions including glycerin and propylene glyc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96524C (en) 2010-08-03
US20030021829A1 (en) 2003-01-30
CN1413114A (zh) 2003-04-23
EP1245233A1 (en) 2002-10-02
AU2225701A (en) 2001-07-09
US7147844B2 (en) 2006-12-12
EP1245233A4 (en) 2006-03-15
CA2396524A1 (en) 2001-07-05
WO2001047532A1 (fr) 200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32654B2 (ja) 人工涙液、コンタクトレンズ及び薬剤担体組成物並びにその使用方法
US4409205A (en) Ophthalmic solution
CA1071104A (en) Ophthalmic solution
US6528465B1 (en) Viscosity enhanced ophthalmic solution, having a detergent action on contact lenses
KR20020069224A (ko) 누액층의 안정화 시스템
US20060052340A1 (en) Ophthalmic solution
JP5133882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用液剤及びこれを用いたコンタクトレンズの親水化処理方法
US20200009044A1 (en) Artificial tear, contact lens and drug vehicl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4850513B2 (ja) 点眼用組成物
Lemp Management of the dry-eye patient
EP1845405A1 (en) Liquid agent composition for contact lens
JP2001247466A (ja) 涙液層の安定化システム
JP2022511335A (ja) 人工涙液組成物、コンタクトレンズ組成物及び薬剤ビヒクル組成物、並びにこれらの使用の方法
JP4618443B2 (ja) 涙液層の安定化システム
JP2006089460A (ja) 眼科用粘稠化剤
US20190021990A1 (en) Artificial tea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230235247A1 (en) Contact len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190225917A1 (en) Contact len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A2567418C (en) Viscous agent for ophthalmic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