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81Y1 - 곡선슬라이드타입원고수납장치 - Google Patents

곡선슬라이드타입원고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81Y1
KR200200681Y1 KR2019970038177U KR19970038177U KR200200681Y1 KR 200200681 Y1 KR200200681 Y1 KR 200200681Y1 KR 2019970038177 U KR2019970038177 U KR 2019970038177U KR 19970038177 U KR19970038177 U KR 19970038177U KR 200200681 Y1 KR200200681 Y1 KR 2002006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r
guide rail
storage device
document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8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5654U (ko
Inventor
황형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38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81Y1/ko
Publication of KR199900256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6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06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팩시밀리에 의해 원고를 원거리로 송신하기 위하여 독취, 복사된 원고를 수납하는 원고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팩시밀리의 송신 모듈과 수신 모듈 사이의 빈 공간의 형상에 따라서 가이드 레일을 곡선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가이드 레일에 가이더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여 팩시밀리의 전체 크기를 콤팩트화한 원고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곡선 슬라이드 타입 원고수납장치{apparatus taken paper with sliding and curved type}
본 고안은 곡선 슬라이드 타입 원고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팩시밀리 또는 복합기와 같은 사무용 기기에서 스캐닝된 원고를 수납하는 원고 수납장치를 직선 슬라이드 방식에서 곡선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량하여 원고 수납장치에 의해 점유되는 사무용 기기의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사무용 기기의 전체 크기를 콤팩트화한 곡선 슬라이드방식을 갖는 원고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 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만들어 주는 사무용 기기들은 기록매체로 종이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대부분의 사무용 기기들은 이 종이에 문자,그림등을 인쇄하거나 인쇄된 문자, 그림등 포함하는 원고를 원거리로 송신하거나 이들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무용 기기에는 인쇄 및 원거리 데이터 송신이 종료된 인쇄물과 원고를 수납하기 위한 원고 수납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원고 수납장치는 크게 보아 두가지 타입이 선보인 바 있다.
그중 하나는 일정 면적을 갖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이를 사무용 기기 본체에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는 착탈가능한 타입이고, 또다른 하나는 평평한 판 형상의 가이드 플레이트에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플레이트를 사무용 기기의 본체 내부에 내장함으로써 필요할 때 선택적으로 가이더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타입이다.
도 1은 종래 슬라이드 타입 원고수납장치를 갖는 종래 팩시밀리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종래 팩시밀리(10)는 원거리로 원고를 송신하기 위한 독취모듈(2a)을 갖는 송신부(2)와, 복사 및 원거리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인쇄부(4)와, 송신부(2)에서 송신이 종료된 원고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장치(6)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중 송신부(2)는 수평에 대하여 약 20∼40°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송신부(2)에 독취될 원고가 삽입된 후, 독취가 시작되면 원고가 원고의 자중에 의하여 별도의 급지 구동장치없이 자연스럽게 독취모듈(2a)측으로 이송되도록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소정 기울기를 갖는 송신부(2)의 저면에는 앞서 언급한 인쇄부(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인쇄부(4)의 위치는 기울어진 송신부(2)에 의하여 형성된 삼각형 형상의 빈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빈 공간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야만이 팩시밀리의 콤팩트화가 가능하다.
한편, 송신부(2)와 인쇄부(4)에는 각각 수납장치(6)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수납장치(6)가 송신부(2)측에 설치되면, 원고 수납장치(6b)가 되고, 인쇄부(4)에 수납장치(6)가 설치되면 인쇄물 수납장치(6a)가 되는 것이다.
이 인쇄물 수납장치(6a)와 원고 수납장치(6b)는 상호 소정 간격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인쇄물 수납장치(6a)와 원고 수납장지(6b)는 팩시밀리가 안착되는 안착면(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 인쇄물 수납장치(6a)와 원고 수납장치(6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타입 또는 착탈식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슬라이드 타입의 경우를 살펴보면 팩시밀리 내부 공간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해서는 원고 수납장치(6b)를 송신부(2)와 동일한 기울기로 장착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원고수납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팩시밀리의 전체 사이즈를 콤팩트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원고 수납장치(6b)를 송신부(2)와 동일한 기울기로 장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원고 수납장치(6b)를 송신부(2)와 동일한 기울기로 장착할 경우 기울어지게 설치된 원고 수납장치(6b)와, 원고수납장치(6b)의 저부에 위치하고 있는 인쇄물 수납장치(6a)와 원고 수납장치(6b)가 상호 간섭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인쇄물 수납장치(6a)와 원고 수납장치(6b)를 평행하게 설치할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팩시밀리의 내부 공간 활용도가 낮아지는 문제에 다시 봉착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수평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설치 및 슬라이드 방식을 갖는 수납장치가 최대로 인출되었을 때에도 기타 부분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점유 면적도 감소시켜 사무용 기기의 전체 크기를 콤팩트화한 곡선슬라이드 방식을 갖는 원고 수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팩시밀리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곡선 슬라이드 타입 원고수납장치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가이드 레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가이드 레일에 장착되는 가이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Y-Y' 단면도.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곡선슬라이드 방식을 갖는 원고 수납장치는 원고의 독취를 수행하도록 수평에 대하여 소정 기울기를 갖는 독취부의 저면에 상기 독취부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된 곡선 가이드 레일과, 상기 곡선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운동하는 가이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가이더에는 상기 곡선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드 가능토록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가이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익스텐드 가이더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가이드 돌기와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강성보강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 곡선슬라이드 방식을 갖는 원고 수납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곡선 슬라이드 방식을 갖는 원고수납장치가 적용된 팩시밀리를 일부분만 도시한 단면도이다.
팩시밀리(100)는 전체적으로 보아 송신부(20)와, 인쇄부(40), 본 고안에 의한 수납장치(300)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각각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송신부(20)는 투입되는 원고를 가이드하는 원고 가이드(22)와, 원고 가이드(22)에 의하여 원고가 투입되는 원고 투입부(24)와, 원고를 독취모듈(26)로 이송 및 배출하는 다수개의 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송신부(20)는 원고가 초기 급지될 때 원고의 자중에 의하여 원고가 자연스럽게 급지되도록 수평에 대하여 소정 기울기를 갖고 있다. 이 기울기는 약 25°∼ 40°의 기울기를 갖고 있는 것이 무방하다.
이와 같이 송신부(20)가 수평에 대하여 소정 기울기를 갖고 있는 이유로는 원고의 자중에 의하여 원고가 독취부(26) 측으로 자연스럽게 급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일, 송신부(20)가 수평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면 별도의 원고 급지장치(미도시)를 필요로하게 된다.
한편, 외부로부터 팩시밀리 수신신호가 입력되거나, 복사 신호가 입력되면 잉크젯 방식 또는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와 같은 인쇄부(40)에 의하여 입력된 수신신호 또는 복사 신호는 급지된 인쇄용지에 인쇄된 후, 본 고안에 의한 수납장치(300)에 수납된다.
수납장치(300)는 다시 인쇄물이 수납되는 인쇄물 수납장치(310)와, 독취가 종료된 원고가 수납되는 원고 수납장치(35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원고 수납장치(350)는 팩시밀리의 내부 면적을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팩시밀리 전체 크기를 콤팩트화하기 위하여 송신부(20)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원고 수납장치(350)는 송신부(20)의 기울기와 동일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원고 수납장치(350)의 가이더가 최대로 인출되었을 경우, 가이더가 원고 수납장치(350)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인쇄물 수납장치(31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곡선 타입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곡선 타입으로 형성된 원고 수납장치(350)를 첨부된 도 3,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고 수납장치(350)는 전체적으로 보아 팩시밀리의 기울어진 송신부(20) 저면에 설치된 곡선 가이드 레일(320)과, 가이드 레일(320)을 따라서 움직이는 가이더(330)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더(330)는 전체적으로 보아 원고를 지지할 수 있는 면적을 갖는 직사각형 판체 형상을 갖는 가이더 몸체(332)와, 가이더 몸체(332)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돌기(333) 및 익스텐드 가이더(334)와, 강성보강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이더 몸체(332)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돌기(333)는 가이더 몸체(332)의 두 장변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가이드 레일(320)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가이드 돌기(333)의 형상은 타원 형상 또는 유선형으로, 이와 같은 가이드 돌기(333)의 형상에 의하여 가이드 돌기(333)는 가이드 레일(320)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 가이드 돌기(333)의 위치에 가이더 몸체(332)로부터 평행하게 돌출된 축(미도시)을 형성하고, 이 축에 구름 운동하는 롤러(미도시)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가이더 몸체(332)중 가이드 돌기(333)와 인접하고 있는 가이더 몸체(332)의 단변 중앙 부분에는 제 1 강성보강부재(33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 1 강성보강부재(335)는 상기 단변으로부터 사각형 형상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형상으로, 제 1 강성보강부재(335)는 도시된 바와 같이 3 면이 절개되어 있다.
물론, 절개되지 않은 나머지 1 면은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가이더 몸체(332)로부터 소정 각도를 갖도록 부드러운 곡선으로 절곡한다. 이 절곡된 부분의 부재 명칭을 강성 보강판(335a)이라 칭하기로 한다.
이 보강판(335a)는 그 자체로는 강성이 매우 떨어짐으로 이를 다시 보강하기 위하여 절단된 면은 판부재(335b)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가이더 몸체(332)에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원고 수납 길이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다단으로 접철되는 익스텐드 가이더(33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바, 본 고안에서는 3 단 익스텐드 가이더가 사용된다.
지금까지는 원고를 수납하는 역할을 하는 가이더(330)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였다.
이어서, 이와 같이 다양한 구성요소를 갖는 가이더(330)를 슬라이드 운동 가능케하는 가이드 레일(32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가이드 레일(320)은 전체적으로 보아, 가이드 레일 몸체(321)와, 레일부(322), 레일부(322)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부(322a)와, 가이더(330)의 제 1 강성보강부재(335)와 결합되는 제 2 강성보강부재(323)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 몸체(321)는 소정 곡률을 갖는 직사각형 곡선판 형상이다.
직사각형 곡선판의 두 장변에는 두 장변을 상호 반대 방향으로 두 번 절곡함으로써 레일부(322)가 형성된다. 이 레일부(322)는 직사각형 곡선판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레일부(322)에는 가이더(330)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돌기(333)가 끼워짐으로써, 가이드 돌기(333)는 레일부(322)를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레일부(322)에 끼워져 슬라이딩 운동하는 가이드 돌기(333)는 사용자가 무리한 힘을 가하여 가이더(330)를 인출하거나 넣게 되면 레일부(322)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됨으로 레일부(322)에는 이탈방지 돌기(322a)가 형성된다.
이탈방지 돌기(322a)는 레일부(322)의 양단부 부분에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탈방지 돌기(322a)는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2 개가 한 쌍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이더(330)에 다수매의 원고가 적재될 경우 원고의 하중에 의하여 가이더(330)에는 원고의 하중 방향과 동일하고 소정 크기를 갖는 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이 모멘트의 크기에 대응하여 레일부(322)에 넣어져 있는 가이드 돌기(333)에는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어 가이드 돌기(333)의 파손 및 조기 마모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가이드 돌기(333)에 걸리는 무리한 힘을 분산 지지하기 위하여 가이더(330)가 가이드 레일 몸체(321)로부터 최대로 인출되었을 때, 제 1 강성 보강부재(335)의 보강판(335a)와 결합되도록 가이드 레일(320)에는 제 2 강성보강부재(32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강성보강부재(323)에는 제 1 강성보강부재(335)와 결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 레일 몸체(321)에는 제 1 강성보강부재(335)가 이동 가능하도록 긴 개구부(32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 곡선 슬라이드 타입 원고 수납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고를 송신하기 위하여 원고를 원고 가이드(22)에 적재한 다음 원고의 송신을 시작할 때, 사용자는 가이더(330)를 곡선 가이드 레일(320)로부터 인출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인하여 가이더(330)는 가이드 레일(320)의 레일부(322)를 따라서 인출되기 시작하고, 최종적으로 가이더(330)의 가이드 돌기(330)는 레일부(322)에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돌기(322a)와 결합된다.
이때, 가이더(330)의 제 1 강성보강부재(335)는 가이드 레일(320)의 개구부(324) 및 레일부(322)를 따라서 이동하다가 제 2 강성보강부재(323)와 결합되어 일시적으로 고정된다.
이 가이더(330)의 이동 경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이드 레일(320)은 앞서 언급한 송신부(20)와 마찬가지로 수평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기를 갖고 있음으로 인하여 가이드 레일(320)의 상단부에 가이더(330)가 위치하였을 때 가이더(330)는 수평에 대한 기울기가 크게 형성된다.
그러나, 가이드 레일(320) 자체가 소정 곡률로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더(330)가 가이드 레일(320)을 따라서 인출되면 가이드 레일(320)의 곡률에 따라서 점차 가이더(330)의 기울기는 낮아지게 된다.
최종적으로 가이더(330)가 가이드 레일(320)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어 가이드 레일(320)의 이탈방지돌기(322a)에 가이더(330)의 가이드 돌기(333)가 결합될 때 가이더(330)과 수평이 이루는 기울기는 가장 작게 된다.
이와 같이 가이더(330)가 가이드 레일(320)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후, 익스텐드 가이더(334)들을 전개하여, 독취가 종료된 원고를 수납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원고가 수납되는 원고 수납장치를 독취부와 인쇄부 사이에 설치하되 곡선 슬라이드방식을 갖는 원고 수납장치를 수평에 대하여 약 20∼50°정도 기울어지게 설치함으로써 팩시밀리의 공간 손실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원고의 독취를 수행하도록 수평에 대하여 소정 기울기를 갖는 독취부의 저면에 상기 독취부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된 곡선 가이드 레일과;
    상기 곡선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운동하는 가이더를 구비한 곡선 슬라이드 타입의 원고 수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에는 상기 곡선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드 가능토록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돌기가 형성된 곡선 슬라이드 타입의 원고 수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익스텐드 가이더를 포함하고 있는 곡선 슬라이드 타입의 원고 수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와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강성보강부재가 설치된 곡선 슬라이드 타입의 원고 수납장치.
KR2019970038177U 1997-12-17 1997-12-17 곡선슬라이드타입원고수납장치 KR2002006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177U KR200200681Y1 (ko) 1997-12-17 1997-12-17 곡선슬라이드타입원고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177U KR200200681Y1 (ko) 1997-12-17 1997-12-17 곡선슬라이드타입원고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654U KR19990025654U (ko) 1999-07-05
KR200200681Y1 true KR200200681Y1 (ko) 2000-11-01

Family

ID=1951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8177U KR200200681Y1 (ko) 1997-12-17 1997-12-17 곡선슬라이드타입원고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8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654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91632B1 (en) Sheet feeding device for facsimile apparatus
JP3684168B2 (ja) 画像形成装置
US674182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EP1035726A2 (en) Image recording system, recording material post-processing device, and intermediate unit
US20050135855A1 (en) Printing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scanner
CN112180706B (zh) 成像装置
KR200200681Y1 (ko) 곡선슬라이드타입원고수납장치
US6208828B1 (en) Compact image forming apparatus
JP4503026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およびその給排紙機構
US7233754B2 (en) Image forming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being configured for easy removal of jammed recording material and for reducing installation space
JP3627950B2 (ja) 給紙装置
JP2009292581A (ja) 給紙トレイ、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559831B2 (ja) 画像形成装置
JP3327365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160535Y1 (ko) 복합기기에 있어서 원고 및 매체 이송장치의 구조
KR100553908B1 (ko) 스캐너 기능을 갖는 프린팅기기
KR100219939B1 (ko) 팩시밀리의 원고 적재장치
JP423532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1180418A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350079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160161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용지 스태커 장치
JP3456769B2 (ja) 複写装置
JP4044786B2 (ja) 画像形成装置
KR19980065861A (ko) 잉크-젯 프린터와 셔틀 스캐너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복합장치
JPH1141390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