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6793A - 쓸개즙의 캡슐화 제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쓸개즙의 캡슐화 제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6793A
KR20020066793A KR1020010007153A KR20010007153A KR20020066793A KR 20020066793 A KR20020066793 A KR 20020066793A KR 1020010007153 A KR1020010007153 A KR 1020010007153A KR 20010007153 A KR20010007153 A KR 20010007153A KR 20020066793 A KR20020066793 A KR 20020066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llbladder
gall
bile
juice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만
Original Assignee
김중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만 filed Critical 김중만
Priority to KR1020010007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6793A/ko
Publication of KR20020066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79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7Digestive system
    • A61K35/413Gall bladder; Bi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16Wall or shell material
    • A61K9/4825Proteins, e.g. gelat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Zo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웅담(곰쓸개) 대치품을 개발하기 위해서 건전하게 사육된 소, 돼지, 닭, 오리의 도체에서 적출된 쓸개주머니로부터 얻은 소쓸개즙, 돼지쓸개즙, 닭쓸개즙, 오리쓸개즙을 각각 또는 이들 쓸개즙을 2가지나 3가지 또는 4가지를 1:1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30∼-40℃로 급속동결하고 1.0∼0.1mmHg 진공 조건에서 동결건조 하거나 또는 50∼80℃에서 열풍 건조하여 수분함량 7∼10%이하로 건조하고 70∼100mesh로 제분한 것을 젤라틴캡슐(gelatin capsule)에 충진 포장하여 제품화한 것으로 외화절약, 복용편리, 웅담 대용 효과 등이 있는 쓸개즙의 캡슐화 제품 제조방법이다.

Description

쓸개즙의 캡슐화 제품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capsulated bile}
본 발명은 웅담 대용품으로 소쓸개, 돼지쓸개, 닭쓸개, 오리쓸개를 제품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더 자세하게 말하면 소, 돼지, 닭, 오리의 도체로부터 적출된 쓸개주머니로부터 얻은 쓸개즙을 동결 건조나 열풍 건조시킨 것을 분상으로 만든 다음 젤라틴캡슐에 충진 포장해서 쓸개 제품을 만드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쓸개는 쓸개즙(일명 답즙)이 들어 있는 주머니(일명 담낭)이다. 쓸개는 쓸개즙을 일시적으로 저장 농축하는 얇은 막의 주머니로 간장(간)에 달려있다.
쓸개즙은 수분, 점액, 담즙색소(bilirubin diglucuronide), 답즙산(chenodeoxycholic acid, 3α - hydroxy - 6 - oxo - 5α - cholanic acid, lithocholic acid 등) , 담지질, 기타 유기물, 무기질 등으로 구성되었다.
인체에서 쓸개즙의 중요한 기능은 지방 소화 흡수와 지용성비타민 A, D, E의 흡수를 도우며 대변이 잘 나오게 하는 하제 기능 및 장내 발효를 억제시키는 기능이 있다.
한편 웅담의 한방적 기능에 대하여는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는데 그 효능을요약하면 심장병이나 간장병으로 열이 있을 때 해열제로 그리고 눈을 맑게 하는 데와 구충제로 또는 소아경기, 간질 발작을 진정시키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효능에 과장된 효능까지도 알려져 쓸개에 대한 수요는 매우 높은 편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웅담이 가짜가 많다는 것이다. 한 조사에 의하면 약 90%정도가 웅담이 아닌 돼지나 소의 쓸개가 웅담으로 둔갑되어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다.
가짜 웅담이 유통되고 있는 이유로는 웅담이 매우 고가인 한약제인 점, 단방으로 부작용 없이 효능이 뛰어나며 응급시 효과가 있기 때문이며 그리고 웅담을 정확하게 감별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현재 웅담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는데 반하여 동물보호 분위기가 고조되면서 진짜 웅담을 구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웅담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은 웅담 대용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또는 도축장에서 얻을 수 있는 가축의 쓸개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일반 가축의 쓸개를 위생적으로 가공해서 웅담 대용품을 개발하는 것은 외화절약과 가짜웅담의 유통 근절 및 바람직한 쓸개즙 소비 정착에 바람직한 일이다.
쓸개의 크기는 도체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서 달라서 소는 약 440g 돼지는 약 35g 닭은 약 2-4g 오리는 약 3-4g 정도로 전국에서 도축되는 가축으로부터 쓸개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다. 그래서 이들 쓸개를 위생적으로 가공해서 제품화할 수 있다면 비위생적이고 가짜가 많이 유통되는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있다.
이들 쓸개즙의 성분은 서로 비슷하다고 한다. 그리고 이들 쓸개즙들은 도축장에서 용이하게 대량으로 입수할 수 있어서 목적에 맞게 가공 처리할 수 있다. 특히 쓸개즙 성분은 서로 비슷하지만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기능성도 예측되는바 이들 쓸개즙들을 1:1의 비율로 섞어 제품화하면 복합효과를 낼 수도 있고 원료 서로 간의 보충을 위해서 좋은 시도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서는 단방적으로 사용되어 온 웅담과 성분이 비슷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원료 확보가 용이한 소쓸개즙, 돼지쓸개즙, 닭쓸개즙, 오리쓸개즙을 웅담대용으로 쓸 수 있게 저장성과 먹기에 편리하게 하는 방법을 확립하는 것이 목적이다.
웅담은 사실상 불법으로 포획된 곰으로부터 적출되어 유통되고 있고 한 장소에서 소량씩 얻어지고 있어서 위생적인 처리시설이 있을 수도 없고 또 쓸개주머니 자체를 천일 건조해서 유통시키다보니 쓸개에 대한 가공연구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2001년 1월 기준 Kipris(특허기술정보센터 제공 등록정보검색 S/W)에서 확인할 수 있는 쓸개에 관한 공개된 출원은 겨우 2건이 있을 뿐이다.
공개번호 10-1999-0504050에서 "본 발명은 한약재, 돼지쓸개, 청둥오리 쓸개 및 간을 함유한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백출 16-20wt%를 건조하고, 청둥오리 간 13-17wt%를 익힌 후 건조시키고, 청둥오리 쓸개 4-6wt%를 건조하며, 돼지쓸개 13-17wt%를 건조하고, 상기 백출 16-20wt%과, 황정 5-9wt%, 인삼 8-12wt%, 구기자 3-7wt%와, 상기 청둥오리 간 13-17wt%, 청둥오리 쓸개 4-6wt% 및 돼지쓸개 13-17wt%를 각각 분쇄하여 분말화 하여 혼합한 후 토종꿀 8-12wt%으로 반죽하여 환으로 만들어 건조하는 시킴으로서 특유의 비린내를 제거함은 물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공개번호 10-1998-0685010에서는 "본 발명은 건강보조식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쓸개액(주로 곰, 소, 돼지, 염소, 개, 사슴 등 포유류 동물)과 달팽이, 누에 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에 관한 것인 바 포유류 동물의 담낭에서 채취한 쓸개 액과, 탈피된 달팽이 및 5령 3일된 누에를 각각 여과, 세척하고 -40℃이하의 동결진공건조기에서 수분함량이 5%이하가 되게 급동결 건조하고 미세분말화한 다음 살균하고 쓸개액 분말과 달팽이 분말, 누에분말을 조성하며, 상기와 같이 조성된 분말조성물은 쓸개액 분말 90%, 달팽이분말 5%, 누에 분말5%의 조성비로 혼합하고 캡슐(capsule)에 충진 내입하여 상품화할 수 있도록 한 것임" 이상의 공개 내용은 쓸개만을 쓰는 단방적인 목적과는 달리 쓸개즙에 다른 약제를 섞어 병용 효과를 기대하는 건강식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일 뿐 단방적인 용도에 부합할 수 있는 쓸개 제품화에 관한 연구는 아직 없다.
쓸개는 단방적으로 오래 동안 쓰여왔다. 단방(單方)이라 함은 다른 약재를 섞지 않고 단일 약제만을 사용함을 말한다. 웅담은 가격이 고가이고 즙 상태로는 가짜인지 진짜인지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소비자가 확인이 가능한 형태인 마른 쓸개로 유통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다 보니 때로는 고리하게 썩은 냄새가 나는 제품도 있다. 실제로 쓸개는 생체로 실온에 보관될 때 부패되기 쉬워 도체로부터 적출된 후 잘 보관하지 않으면 부패되기 쉽다. 만일 부패된 것이라도 본래 맛이 쓰기 때문에 부패취가 감추어져 부패된 쓸개를 식별하기도 어렵다. 또 한가지 생쓸개의 문제는 생체로 먹기에는 비린내와 쓴맛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먹기에 불편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적당한 방법으로 쓸개즙을 건조해서 저장성을 부여하고 쓴맛과 비린내를 매스킹(masking)할 수 있는 방법과 소화관 내에서 분산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 일정한 입도로 분쇄하는 가공 방법을 확립하는 것이다. 또한 쓸개들 사이의 성분 차이는 크지 않지만 이들 쓸개즙을 2가지나 3가지 또는 4가지를 섞어 제품화하는 것도 새로운 시도이다.
소, 돼지, 닭, 오리의 도체로부터 적출된 쓸개는 다음 공정에 의해서 제품화된다.
캡슐화 쓸개즙 제품공정
쓸개 → 세척 → 절개 → 쓸개즙 또는 쓸개즙혼합 → 건조 → 분쇄 → 캡슐에 충진 → 제품
이상의 공정에서 볼 수 있듯이 쓸개를 절개해서 쓸개주머니와 쓸개즙을 분리해서 모은 쓸개즙을 2가지 방법으로 건조한다. 첫째는 동결 건조방법으로 소, 돼지, 닭, 오리의 도체로부터 적출된 쓸개주머니(담낭)를 절개해서 얻은 쓸개즙을 각각 또는 이들 쓸개즙을 2가지나 3가지 또는 4가지를 섞은 혼합물을 -30∼-40℃로 급속동결 후 1.0∼0.1mmHg 진공조건에서 수분함량 7∼10%하로 동결건조 한 것을 70∼100mesh로 제분하여 젤라틴캡슐에 충진 포장하여 제품화한다. 동결건조 방법은 비용이 많이 들긴 하지만 고온에 변질되기 쉬운 물질의 보호와 다공성구조를 가지는 건물체가 얻어져 제분하기 쉽고 최종제품의 수분함량이 낮게 얻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건조 방법은 쓸개즙을 50∼80℃에서 열풍 건조한 것을 50∼80mesh로 제분하여 젤라틴캡슐에 충진 포장하여 제품화한다.
생쓸개를 30℃와 상대습도(RH) 80% 에서 저장하면서 곰팡이와 악취발생 정도를 조사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표1. 생 쓸개 보간 중 고린내 발생정도와 곰팡이 발생정도 비교
표 1에서 볼 수 있는바와 같이 여름날 정도의 조건에서 보관할 경우 2일에 악취가 나기 시작해서 보관일수가 길수록 냄새는 극심해졌다. 곰팡이는 쓸개주머니 표면에 4일부터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쓸개의 건전한 유통과 위생면에서 해결해야할 문제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쓸개를 위생적으로 건전하게 처리 가공하는 시설이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생 쓸개는 도체로부터 적출 된 후 곧바로 변질이나 부패를 막을 수 있게 가공처리해서 보관해야 쓸개 본래의 성분을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쓸개 제품의 처리 조건의 규격화가 요망된다.
웅담 대용품을 개발하기 위해서 일반 가축인 소, 돼지, 닭, 오리 등의 도체에서 적출된 쓸개주머니를 절개해서 분리하여 얻은 소쓸개즙, 돼지쓸개즙, 돼지쓸개즙, 오리쓸개즙을 건조한 것을 분해하여 젤라틴캡슐에 충진 포장해서 제품화한 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제품화된 쓸개 제품은 웅담의 대용품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그결과 외화절약, 유사품 유통 근절, 1회 복용량 인지가 쉬워 정량 복용 가능하며, 비린내와 쓴맛이 매스킹되어 복용이 편리하고, 건조되어 방습 포장되어 저장성이 좋다. 또한 이들 4가지 쓸개즙을 2가지나 3가지 또는 4가지를 혼합해서 제품화함으로써 쓸개의 기능성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축시 버려지는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제품화함으로서 도축업자의 수입증대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Claims (2)

  1. 본 발명은 건강하게 사육된 소, 돼지, 닭, 오리의 도체로부터 적출된 쓸개를 절단하고 분리해서 얻은 쓸개즙을 각각 또는 이들 4가지 쓸개즙을 2가지나 3가지 또는 4가지를 1:1의 비율로 섞은 혼합물을 -30∼-40℃로 급속동결하고 1.0∼0.1mmHg 진공 조건에서 수분함량 7-10%이하로 동결건조하고 70∼100mesh로 제분한 것을 젤라틴캡슐에 충진 포장하여 쓸개즙을 제품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쓸개즙의 캡슐화 제품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서 50-80℃에서 열풍 건조하여 제품화함을 특징으로 쓸개즙의 캡슐화 제품 제조방법.
KR1020010007153A 2001-02-13 2001-02-13 쓸개즙의 캡슐화 제품 제조방법 KR20020066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153A KR20020066793A (ko) 2001-02-13 2001-02-13 쓸개즙의 캡슐화 제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153A KR20020066793A (ko) 2001-02-13 2001-02-13 쓸개즙의 캡슐화 제품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793A true KR20020066793A (ko) 2002-08-21

Family

ID=27694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153A KR20020066793A (ko) 2001-02-13 2001-02-13 쓸개즙의 캡슐화 제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67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0967A3 (de) * 2003-05-14 2005-01-27 Josef Kreis Präparat mit tierischer gallenflüssigkeit
KR20050049632A (ko) * 2003-11-22 2005-05-27 주식회사 씨메드 저담즙 가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0967A3 (de) * 2003-05-14 2005-01-27 Josef Kreis Präparat mit tierischer gallenflüssigkeit
KR20050049632A (ko) * 2003-11-22 2005-05-27 주식회사 씨메드 저담즙 가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213B1 (ko) 저분자 콜라겐 펩티드 및 이를 이용한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949105B1 (ko)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23206B1 (ko)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용 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80323B1 (ko) 식용곤충을 이용한 고단백질 식품의 제조방법
CN103989165B (zh) 一种刺梨复合维生素c片及其制备方法
KR102432654B1 (ko) 반려동물 관절질환 개선을 위한 사료첨가용 조성물
KR101956516B1 (ko)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04702B1 (ko) 면역 증강용 기능성 건강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4543B1 (ko) 닭사료 조성물
JP2002209553A (ja) 制癌性健康食品及び健康食品添加剤
JP2002335888A (ja) 健康緑米加工と健康加工食品及び飲料及び飼料と複合制癌剤
RU2538393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ухого гидрализата из голотурий и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добавка к пище, полученная таким способом
KR20020066793A (ko) 쓸개즙의 캡슐화 제품 제조방법
US20200253261A1 (en) Oral/enteral vegetarian food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742060B2 (ja) ネギ属由来の成分を含む免疫賦活剤及び免疫賦活剤の製造方法
CN107625788A (zh) 一种鸡胸软骨粉及其制备方法与应用
WO2021074807A1 (en) Nutritional supplement
KR101412836B1 (ko) 고칼슘 돈족 곰탕 및 그 제조방법
US6099867A (en) Nutraceutical antler powder and a method of producing same
RU2522831C9 (ru) Приро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х веществ из панцирных отходов ракообразных определенного цикла развития. получение. использование (варианты)
RU2497411C2 (ru) Приро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х веществ из панцирных отходов креветки определенного цикла развития, получение, использование
JP2018009038A (ja) 経口用組成物
KR20200018885A (ko) 생누에를 이용한 식품원료의 가공방법
KR102447268B1 (ko) 갈색거저리 유충분말의 제조방법
JPH01304861A (ja) ミミズ乾燥粉末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