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5120A - 필발로부터 얻은 지방산 생합성 효소 저해용 활성분획조성물 - Google Patents

필발로부터 얻은 지방산 생합성 효소 저해용 활성분획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5120A
KR20020065120A KR1020010005469A KR20010005469A KR20020065120A KR 20020065120 A KR20020065120 A KR 20020065120A KR 1020010005469 A KR1020010005469 A KR 1020010005469A KR 20010005469 A KR20010005469 A KR 20010005469A KR 20020065120 A KR20020065120 A KR 20020065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atty acid
active
lepr
active f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0766B1 (ko
Inventor
오원근
안종석
김보연
민태익
안순철
강대욱
이명선
이철호
현병화
김명수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05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0766B1/ko
Publication of KR20020065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7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7Piperaceae (Pepper family), e.g. Jamaican pepper or kav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발로부터 얻은 지방산 생합성 효소 저해용 활성분획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추과 식물인 필발(Piper longum)로부터 지방산 생합성 효소(fatty acid synthase, FAS)를 저해하여 비만의 원인이 되는 지방의 축적을 저해할 수 있는 활성분획 조성물과 이를 효율적으로 추출, 정제하는 방법 그리고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예방과 치료, 혈당강하 및 지방간 억제용 생약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필발로부터 얻은 지방산 생합성 효소 저해용 활성분획 조성물 {Active fraction having inhibitory effects on fatty acid synthase isolated from piper longum}
본 발명은 필발로부터 얻은 지방산 생합성 효소 저해용 활성분획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추과 식물인 필발(Piper longum)로부터 지방산 생합성 효소(fatty acid synthase, FAS)를 저해하여 비만의 원인이 되는 지방의 축적을 저해할 수 있는 활성분획 조성물과 이를 효율적으로 추출, 정제하는 방법 그리고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예방과 치료, 혈당강하 및 지방간 억제용 생약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발전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위생환경이 개선되고 식생활의 향상으로 섭취열량 또한 급속한 증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음식으로 섭취열량이 증가하는 반면 운동부족 등으로 소비되는 열량이 적어 비만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비만은 젊은이들에게 있어서 마른 체형을 좋아하는 미용적인 모습을 해칠 뿐만 아니라 비만이 지속됨으로써 여러 가지 질환, 즉,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관상동맥질환 등과 같은 성인병을 비롯하여 유방암, 자궁암 및 대장암 등을 야기하는 것으로 보고되면서 이제는 치명적인 질병으로 취급되고 있다 [J. Biol. Chem., 273, 32487 ∼ 32490 (1998); Nature, 404, 652 ∼ 660 (2000)].
현재 비만을 치료하는 치료제로는 크게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여 식욕에 영향을 주는 약제와 위장관에 작용하여 흡수를 저해하는 약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로는 각각의 기전에 따라 세로토닌(5HT) 신경계를 저해하는 펜플루라민, 덱스펜플루라민 등의 약물, 노르아드레날린 신경계를 통한 에페드린 및 카페인 등의 약물 및 최근에는 세로토닌 및 노르아드레날린 신경계에 동시 작용하여 비만을 저해하는 시부트라민 등의 약물들이 시판되고 있다. 이외에도, 위장관에 작용하여 비만을 저해하는 약물로 췌장 리파제를 저해하여 지방의 흡수를 줄여줌으로써 비만 치료제로 허가된 오를리스타트 등이 대표적인 약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사용되어온 약물 중 펜플루라민 등의 약물은 부작용으로 원발성 폐고혈압이나 심장 판막병변을 일으켜 최근에 사용이 금지되었으며, 다른 약물들도 혈압감소나 유산산혈증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심부전, 신질환 등의 환자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비만 치료를 위한 보다 개선된 방법을 찾기 위하여 지방 생합성 과정에 밀접한 관련이 있고 신경계에 작용하지 않는 새로운 약물인 지방산 생합성 효소 저해제를 탐색하게 되었다.
지방산 생합성 효소는 지방세포(adipocytes)의 분화에 있어 초기에 발현되는효소 중의 하나로서[J. Biol. Chem., 255, 4745 ∼ 4750 (1980)] 아세틸 코에이(acetyl-CoA)와 말로닐 코에이(malonyl-CoA)로부터 팔미테이트(palmitate)를 생산한다. 과도한 음식의 섭취로 인하여 소비되지 않는 열량들은 지방산 생합성 효소의 작용에 의하여 저장 지질인 중성지방의 형태로 세포 내에 저장되어 비만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한편, 비만이 진행되어 당뇨로 진행되는 제 2 형 당뇨병의 경우에 있어서 중성지방인 팔미테이트들이 점진적으로 췌장의β세포를 파괴하여 당뇨로 진행된다는 결과들이 알려지고 있으며[Proc. Natl. Acad. Sci. 95, 2498 ∼ 2502 (1998)], 지방간의 진행에도 중성지방의 축적이 관여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J. Clin. Invest., 98, 1575 ∼ 1584 (1996)].
최근에 선택적인 지방산 생합성 효소 저해제로 알려진 세렐루닌(cerulenin) 유도체인 C75 등이Lepr ob /Lepr ob 마우스에서 특이적인 체중감소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부작용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면서[Science, 288, 2379 ∼ 2381 (2000)] 이와 같은 새로운 저해제를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New Engl. J. Med., 343, 1888 ∼ 1889, (2000)] .
일반적으로 새로운 성분의 약제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 기존 약제의 실험적 변형에 의한 노력보다는 전통 의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천연물 약제들로부터 새로운 활성 성분을 발견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개발된 약물들에 의한 독성 염려가 적은 장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동의보감을 비롯한 우리 나라의 전통 의학에서 사용되어온 약제들을 대상으로 지방산 생합성 효소 저해작용을 탐색하고 렙틴 수용체 (leptin receptor) 이상으로 비만을 일으키는 모델동물인Lepr db /Lepr db 마우스에서 비만예방과 치료, 혈당강하 및 지방간 억제 효과 등을 관찰한 결과, 특이적인 저해활성을 보이는 활성분획 조성물을 후추과 식물인 필발(Piper longum)로부터 획득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방산 생합성 효소 저해, 비만예방과 치료, 혈당강하 및 지방간 억제 등에 뚜렷한 효과가 있는 약물인 필발(Piper longum) 추출물을 활성이 가장 우수한 조성으로 추출하는 방법과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생약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필발로부터 추출 분리된 활성분획을 비만 모델동물인Lepr db /Lepr db 마우스에 4주간 투여하여 체중이 감소된 실험군과 활성물질을 투여하지 않은 비만상태의 대조군과의 외관상의 차이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2는 필발로부터 추출 분리된 활성분획을 비만 모델동물인 4주령된 미성숙Lepr db /Lepr db 마우스에 4주간 투여한 후 체중증가를 저해(비만 예방)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를 비교한 막대그래프이다.
도 3은 필발로부터 추출 분리된 활성분획을 비만 모델동물인 3개월령된 성숙한Lepr db /Lepr db 마우스에 4주간 투여한 후 체중이 감소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를 비교한 막대그래프이다.
도 4는 필발로부터 추출 분리된 활성분획을 비만 모델동물인 3개월령된 성숙한Lepr db /Lepr db 마우스에 4주간 투여한 후 혈당이 강하된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를 비교한 막대그래프이다.
도 5는 필발로부터 추출 분리된 활성분획을 비만 모델동물인 3개월령된 성숙한Lepr db /Lepr db 마우스에 4주간 투여한 후 지방간이 억제되어 거의 정상적으로 회복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간조직을 비교한 현미경 사진이다.
본 발명은 필발로부터 얻은 지방산 생합성 효소 저해용 활성분획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필발로부터 알코올성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생약제를 제조함에 있어서,
(1) 필발(Piper longum)을 분쇄한 후 알콜 수용액을 필발 함량대비 3 ∼ 10배를 넣어 3회 용매 추출하는 단계;
(2) 상기 추출단계에서 얻어진 여액을 증발 농축한 후, 농축액을 50 ∼ 100배 부피의 증류수에 현탁하고 디아이온(Diaion) HP-20 레진에 통과시켜 흡착시킨 다음 비 활성분획을 30% 메탄올을 사용하여 용출 제거하는 단계;
(3) 상기 흡착된 활성분획을 10 ∼ 20 배량의 아세톤을 사용하여 용출시킨 후, 농축하여 엑기스를 얻는 단계;
(4) 상기 엑기스를 엑기스 총량의 10 ∼ 100 배의 증류수로 현탁시킨 후 클로로포름 및 에틸 아세테이트 등의 유기용매로 활성물질을 추출, 농축하여 엑기스를 얻는 단계 및;
(5) 상기 엑기스를 엑기스 총량의 1 ∼ 2 배의 증류수를 가하여 균질하게 현탁시킨 후 동결 건조시켜 활성분획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발로부터 지방산 생합성 효소 저해용 활성분획 조성물을 분리 정제하는 방법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 정제방법에 따라 분리된 필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제와 치료제, 혈당강하제 및 지방간 억제제 등으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지방산 생합성 효소 저해 및 렙틴 수용체(leptin receptor) 이상으로 비만을 일으키는 모델동물인Lepr db /Lepr db 마우스에서 비만예방과 치료, 혈당강하 및 지방간 억제효과를 보이는 필발의 활성 분획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즉, 필발(Piper longum)로부터 분획하여 얻은 활성분획 조성물이 지방산 생합성 효소를 저해하고, 렙틴 수용체(leptin receptor) 이상으로 비만을 일으키는 모델동물인Lepr db /Lepr db 마우스에서 비만 예방과 치료, 혈당강하 및 지방간 억제효과를 갖고 있는 것을 처음으로 관찰하여,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과 치료, 혈당강하 및 지방간 억제 효과 등을 지닌 활성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조성물 이외에도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정제, 산제, 과립, 캅셀제, 현탁액, 유화액 또는 비경구 투여용의 단위투여형 또는 수회 투여형 제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활성 분획물로 표시되는 유효성분의 유효투입량은 환자의 나이, 신체적 조건, 몸무게 등에 의해 다양화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1 내지 100 ㎎/㎏(몸무게)/1일 범위 내에서 투여된다. 그리고, 1일 유효투입량 범위 내에서 하루에 한번 또는 하루에 여러 번 나누어 투입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필발로부터 활성 분획물의 제조
분쇄한 필발(Piper longum)을 함량대비 10 배량의 알코올성 용매를 사용하여활성물질이 용출할 수 있도록 5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상기 알코올성 용매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그런 다음, 활성 농축액을 50 배량의 증류수에 현탁하고 디아이온 HP-20 레진에 통과시켜 활성물질을 레진상에 흡착시킨 후 30% 메탄올을 전개용매로 사용하여 비활성 분획을 용출하여 제거하였다. 활성물질을 용출하기 위하여 10 배량의 아세톤을 전개용매로 디아이온 HP-20을 통과시켜 용출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이후, 농축된 활성분획을 50 배량의 증류수에 현탁하고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나 클로로포름 등의 유기용매로 3 회에 걸쳐 용매 분획하여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조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조 추출물 공정시 사용한 용매 중 제거되지 않은 미량의 용매를 제거하기 위하여 조 추출물 총량의 1 배의 증류수를 가하여 균질하게 현탁시킨 뒤 동결건조시켜 분말상태의 활성분획을 분리, 정제하였다.
실시예 2 : 지방산 생합성 효소 저해활성 측정
중량 250 g인 수컷 SD(Sprague-Dewley) 쥐에서 지방산 생합성 효소의 발현을 최대로 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간으로부터 지방산 생합성 효소를 분리하였다.
1. 분광학적으로 지방산 생합성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
3 mM 아세틸 코에이(acetyl-CoA), 0.2 M DTT, 2.8 mM NADPH 및 검정시료를 포함하는 75 mM의 포스페이트 완충용액 1 ㎖에 50 ㎕의 지방산 생합성 효소 분획물을 첨가한 뒤 상온에서 30 분간 방치하였다. 그런 다음, 3 mM의 말로닐코에이(malonyl-CoA)를 반응용액에 넣고 가볍게 흔들어 준 후, 30분간을 방치하고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효소 저해율은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계산하였으며, IC50값은 효소활성의 저해율이 50%에 달하는 저해제의 농도로 결정하였다.
B - A
저해율(%)=--------〜 ×100
C - A
A : 저해제를 넣지 않은 것의 반응 후 흡광도
B : 시료를 넣은 것의 반응 후 흡광도
C : 저해제를 넣은 것의 반응 후 흡광도
얻어진 활성 분획물은 지방산 생합성 효소의 활성을 50% 저해하는 농도 (IC50)를 측정한 결과 5 ㎍/㎖로 나타났다. 반면, 선택적인 지방산 생합성 효소 저해제로 알려진 세렐루닌은 본 실험에서 5μM로 나타났다.
2. 방사성 동위원소로 지방산 생합성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
분광학적으로 지방산 생합성 효소 저해 활성 물질을 탐색할 경우 검사된 시료의 일부는 340 nm에서 흡광도를 갖게 되어 잘못된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따라서, 보다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동위원소를 이용한 방법을 실시하였다. 3 mM 아세틸 코에이(acetyl-CoA), 0.2 M DTT, 2.8 mM NADPH 및 검정시료를 포함하는 75 mM의 포스페이트 완충용액 1 ㎖에 50 ㎕의 지방산 생합성 효소 분획물을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30 분간 방치하였다. 다시 2번 위치의 탄소가 방사능 동위원소로 표식된 3 mM의 말로닐 코에이([malonyl-2-14C]-CoA)를 반응용액에 넣은 후 가볍게 흔들어 준 뒤 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키기 위하여 0.5 N NaOH 0.5 ㎖을 넣은 후 끓는물에서 15분 동안 비누화 반응을 시켰다. 그런 다음, 1N HCl 수용액 0.5 ㎖을 넣어 반응액을 중화한 뒤 동량의 핵산을 넣어 2 회 추출하고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등액인 핵산층을 취하고 방사능도 (radioactivity)를 측정하였다. 효소 저해율은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계산하였으며, IC50값은 효소활성의 저해율이 50%에 달하는 저해제의 농도로 결정하였다.
A - C
저해율(%)=--------〜 ×100
A - B
A : 저해제를 넣지 않은 것의 반응 후 방사능도
B : 효소액을 넣지 않은 것의 반응 후 방사능도
C : 저해제를 넣은 것의 반응 후 방사능도
얻어진 활성 분획물은 지방산 생합성 효소의 활성을 50% 저해하는 농도(IC50)를 측정한 결과 7 ㎍/㎖로 나타났다. 반면, 선택적인 지방산 생합성 효소 저해제로 알려진 세렐루닌은 본 실험에서 5μM로 나타났다.
실시예 3 : 비만 모델동물인 Lepr db /Lepr db 마우스에서 비만 예방 효과 검정
Lepr db /Lepr db 마우스는 렙틴 수용체의 결핍으로 식욕이 조절되지 않아 지속적으로 음식을 과도하게 섭취하게 된다. 그 결과, 지방이 체내에 과도하게 축적되며 이로 인하여 출생 후 약 3개월 정도가 되면 일반적인 마우스 체중의 2배에 달하는 50g 내외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비만 예방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체중이 급속하게 증가하기 시작하는 4주령(체중: 22 ∼ 24 g)의Lepr db /Lepr db 마우스 16 마리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 8 마리에는 필발로부터 추출된 활성분획을 DMSO(dimethyl sulfoxide)에 희석하여 10 ㎎/㎏ 농도로 1일 1회씩 4주 동안 일정한 시간(오전 11:00)에 경구 및 복강으로 투여하였으며, 대조군 8마리의 경우에는 동일량의 DMSO만을 투여하였다. 투여시작 4주 후에 실험군과 대조군의 체중을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대조군의 체중(34.2 ± 2.7 g)과 비교하여 필발로부터 추출된 활성분획을 투여한 실험군의 체중이 약 28% 정도 유의하게(p < 0.01) 낮은 수준(24.7 ± 2.2 g)을 보여 비만이 예방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2].
실시예 4 : 비만 모델동물인 Lepr db /Lepr db 마우스에서 비만 치료 효과 검정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Lepr db /Lepr db 마우스는 출생 후 약 3개월 정도가 되면 일반적인 마우스 체중의 2배에 달하는 50 g 내외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비만 치료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체중이 거의 증가된 3개월령(체중: 47 ∼ 50 g)의Lepr db /Lepr db 마우스를 16 마리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실험군 8마리에는 필발로부터 추출된 활성분획을 DMSO(dimethyl sulfoxide)에 희석하여 10 ㎎/㎏ 농도로 1일 1회씩 4주 동안 일정한 시간(오전 11:00)에 경구 및 복강으로 투여하였으며, 대조군 8마리의 경우에는 동일량의 DMSO만을 투여하였다. 투여 4주 후에 체중을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대조군의 체중(49.8 ± 3.9 g)과 비교하여 필발로부터 추출된 활성분획을 투여한 실험군의 체중(39.3 ± 3.3 g)이 20% 정도 유의하게(p < 0.01) 감소되어 비만이 치료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1 및 도 3].
실시예 5 : 비만 모델동물인 Lepr db /Lepr db 마우스에서 혈당강하 효과 측정
Lepr db /Lepr db 마우스는 비만과 더불어 매우 높은 고혈당과 이에 따른 당뇨증상을 동반한다. 따라서, 필발로부터 추출된 활성분획의 혈당강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3개월령의 성숙한Lepr db /Lepr db 마우스 16마리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군 8마리에는 필발로부터 추출된 활성분획을 DMSO(dimethyl sulfoxide)에 희석하여 10 ㎎/㎏ 농도로 1일 1회씩 경구 및 복강으로 투여하였으며, 대조군 8마리의 경우에는 동일량의 DMSO만을 투여하였다. 투여 4주 후에 헤파린으로 처리한 모세유리관(carpillary tube)을 이용하여 후안와정맥총(retro-orbital sinus)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원심분리 후 혈장(plasma)을 분리한 다음 혈액화학분석기[CIBA Corning 550 Express, USA]로 혈당(blood glucose)을 측정하여 대조군과 실험군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의 혈당치(611 ± 106 mg/㎗)와 비교하여 약 35% 정도 낮은 수준(397 ± 112 mg/㎗)을 나타내어 혈당이 강하되는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도 4].
실시예 6 : 비만 모델동물인 Lepr db /Lepr db 마우스에서 지방간 억제효과 측정
Lepr db /Lepr db 마우스는 지속적인 음식물 섭취에 따른 과도한 영양분의 유입으로 인하여 간세포 내에 지방침착이 일어나 지방간을 야기한다. 따라서, 필발로부터 추출한 활성분획이 지방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성숙한Lepr db /Lepr db 마우스 14마리를 대상으로 4주 동안 필발로부터 추출한 활성물질을 투여한 다음, 실험군 8 마리와 대조군 6 마리의 동물을 희생하여 간을 절취하여 10% 중성 포르말린에 넣어 24시간 고정(fixation)하였다. 그런 다음, 흐르는 물로 충분히 수세하고 70%, 80%, 90% 및 100% 알콜을 이용하여 탈수시킨 후 파라핀으로 포매하여 조직절편기[LEICA, RM2045, Germany]로 약 4 ㎛의 두께로 조직절편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헤마토실린 및 에오신(hematoxylin & eosin) 염색을 시행하여 간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의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간조직의 세포질 내에 비정상적으로 과도한 지방과립을 함유하고 있는 간세포들과 다양한 크기의 공포형태로 관찰되는 지방변성 소견을 흔히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실험군은 이와 같은 지방변성 소견을 거의 관찰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이 정상적인 형태로 회복되어 지방간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도 5].
실시예 7 : 정제의 제조
유효성분 10 g
락토스 70 g
결정성 셀룰로오스 15 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5 g
총 량 100 g
상기에서 나열된 성분들을 잘게 부숴 혼합한 후 직타법(direct tableting method)에 의해 정제를 제조하였다. 각 정제의 총량은 100 ㎎이고, 그 중 유효성분의 함량은 10 ㎎이다.
실시예 8 : 분말제의 제조
유효성분 10 g
옥수수 전분 50 g
카르복시 셀룰로오스 40 g
총 량 100 g
상기에서 나열된 성분들을 잘게 부숴 혼합하여 분말을 제조하였다. 6 번 경질 캡슐에 분말 100 ㎎을 넣어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 독성실험
1. 급성독성
필발로부터 추출된 활성분획을 단기간에 과량을 섭취하였을 시 급성적(24시간 이내)으로 동물체내에 미치는 독성을 조사하고, 치사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인 마우스인 ICR 마우스 계통 50 마리를 대조군은 10 마리, 실험군은 20 마리씩 배정하였다. 대조군에는 DMSO만을 투여하고, 실험군은 필발로부터 추출된 활성분획을 상기한 실시예에서 이용된 투여농도인 10 mg/kg의 2,000배(20 g/kg) 및 5,000배(100 g/kg)의 농도로 각각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 24시간 후에 각각의 치사율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과 20 g/kg 농도의 필발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모두 생존하였으나, 100 g/kg 농도의 필발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12 마리의 치사율을 보였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로부터 필발 추출물은 1회 동물 치사량이 100 g/kg(100,000 mg/kg) 정도로서 일반적인 효능을 보이는 농도(10 mg / kg)의 약 10,000배 정도로서 독성이 거의 없는 매우 안전한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2. 장기 및 조직독성
필발로부터 추출된 활성분획을 10 mg/kg의 농도로 4주 동안 투여하여 비만예방과 치료, 혈당강하 및 지방간 억제 효과 등의 관찰시험에 이용된Lepr db /Lepr db 마우스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동물의 각 장기(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필발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과 DMSO만을 투여한 대조군의 동물들로부터 4주 후 혈액을 채취하여 GOT(glutamate-oxalate-transferase), GPT(glutamate -pyruvate-transferase), 크레아틴 카이네이즈(creatin kinase) 및 크레아티닌(creatinine)등의 혈액 내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간독성과 관계있는 것으로 알려진 GOT 및 GPT의 경우를 보면 대조군(GOT: 233 ± 47 IU/L, GPT: 116 ± 31 IU/L)와 비교하여 실험군은 낮은 값(GOT: 157 ± 15 IU/L, GPT: 78 ± 21 IU/L)을 나타내어 간보호 작용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그 외 신장독성의 지표인 크레아티닌과 근육독성의 지표인 크레아틴 카이네이즈 등의 경우에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각 동물로부터 심장, 폐, 췌장, 부신, 간, 신장 및 근육 등을 절취하여 통상적인 조직절편 제작과정을 거쳐 광학현미경으로 조직학적 관찰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간조직의 경우 대조군은 심한 지방변성을 나타낸 반면, 실험군은 거의 정상적인 상태를 보여 혈액내 낮은 농도의 GOT 및 GPT 수준과 더불어 간에 대한 보호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외 장기에 대한 조직학적 관찰에서는 특이한 이상은 관찰되지 않아 필발 추출물의 동물장기에 대한 독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발로부터 얻은 활성분획 조성물은 지방산 생합성 효소 저해, 비만예방과 치료, 혈당강하 및 지방간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생약제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1. 필발(Piper longum)로부터 얻은 지방산 생합성 효소 저해용 활성분획 조성물.
  2. 필발로부터 알코올성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생약제를 제조함에 있어서,
    (1) 필발(Piper longum)을 분쇄한 후 알콜 수용액을 필발 함량 대비 3 ∼ 10배를 넣어 3회 용매 추출하는 단계;
    (2) 상기 추출단계에서 얻어진 여액을 증발 농축한 후, 농축액을 50 ∼ 100배 부피의 증류수에 현탁하고 디아이온 HP-20 레진에 통과시켜 흡착시킨 다음, 비 활성분획을 30% 메탄올을 사용하여 용출 제거하는 단계;
    (3) 상기 흡착된 활성분획을 10 ∼ 20 배량의 아세톤을 사용하여 용출시킨 후, 농축하여 엑기스를 얻는 단계;
    (4) 상기 엑기스를 엑기스 총량의 10 ∼ 100배의 증류수로 현탁시킨 후 클로로포름 및 에틸 아세테이트 등의 유기용매로 활성물질을 추출, 농축하여 엑기스를 얻는 단계; 및
    (5) 상기 엑기스를 엑기스 총량의 1 ∼ 2 배의 증류수를 가하여 균질하게 현탁시킨 후 동결 건조시켜 활성물질을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발로부터 얻은 지방산 생합성 효소 저해용 활성분획 조성물을 분리 정제하는 방법.
  3. 필발로부터 얻은 활성분획 조성물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산 생합성 효소 저해 약제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조성물이 비만예방과 치료, 혈당강하 및 지방간 억제에 유효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산 생합성 효소 저해 약제 조성물.
KR10-2001-0005469A 2001-02-05 2001-02-05 필발로부터 얻은 지방산 생합성 효소 저해용 활성분획조성물 KR100390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469A KR100390766B1 (ko) 2001-02-05 2001-02-05 필발로부터 얻은 지방산 생합성 효소 저해용 활성분획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469A KR100390766B1 (ko) 2001-02-05 2001-02-05 필발로부터 얻은 지방산 생합성 효소 저해용 활성분획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120A true KR20020065120A (ko) 2002-08-13
KR100390766B1 KR100390766B1 (ko) 2003-07-10

Family

ID=27693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469A KR100390766B1 (ko) 2001-02-05 2001-02-05 필발로부터 얻은 지방산 생합성 효소 저해용 활성분획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07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628B1 (ko) * 2005-01-17 2007-01-10 (주)내츄럴엔도텍 Dpp-ⅳ 활성 억제 및 혈당 강하용 조성물
KR100805745B1 (ko) * 2006-10-27 2008-02-2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비만 또는 제2형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141018A1 (ja) * 2011-04-15 2012-10-18 ライオン株式会社 組成物、及び糖代謝改善剤、並びに糖代謝改善方法
KR20130103882A (ko) 2012-03-12 2013-09-25 (주)아모레퍼시픽 필발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제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376B1 (ko) * 2009-02-02 2011-10-3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피페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95299B1 (ko) * 2010-10-11 2017-01-11 (주)아모레퍼시픽 필발 추출물,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용 또는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8517A (ja) * 1986-02-03 1987-08-05 Mitsubishi Chem Ind Ltd 冠血管拡張薬
EP0358683A1 (de) * 1987-05-14 1990-03-21 BADMAJEW, Vladimir Pharmazeutikum
DE3724341A1 (de) * 1987-07-23 1989-02-02 Badmajew Vladimir Pharmazeutikum aus pflanzlichen bestandteilen
KR101142958B1 (ko) * 2005-06-13 2012-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기록기기 및 그 기록파워 탐색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628B1 (ko) * 2005-01-17 2007-01-10 (주)내츄럴엔도텍 Dpp-ⅳ 활성 억제 및 혈당 강하용 조성물
KR100805745B1 (ko) * 2006-10-27 2008-02-2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비만 또는 제2형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141018A1 (ja) * 2011-04-15 2012-10-18 ライオン株式会社 組成物、及び糖代謝改善剤、並びに糖代謝改善方法
KR20130103882A (ko) 2012-03-12 2013-09-25 (주)아모레퍼시픽 필발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0766B1 (ko) 200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0506B2 (ja) 低分子有効サポニン含有量を増大させかつベンゾピレン含有量を低減させるアマチャヅル葉抽出物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たアマチャヅル葉抽出物
Ouassou et al. Inhibition of α‐Glucosidase, Intestinal Glucose Absorption, and Antidiabetic Properties by Caralluma europaea
KR100545723B1 (ko) 솔라눔속 식물의 수용성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수용성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AbouZid Silymarin, natural flavonolignans from milk thistle
WO2007119837A1 (ja) リパーゼ阻害剤
EP3050561A2 (en) Compositions of chlorogenic acid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in obesity management
CN104220084A (zh) 包含土茯苓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肥胖、高脂血症或脂肪肝的预防或治疗用药剂学组合物
KR100711028B1 (ko) 향나무 추출물 또는 세드롤을 포함하는 비만 및 제2형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1512404A (ja) 運動能力、疲労回復および抗酸化活性の改善のための、Panax(トチバニンジン属)の種の植物の葉の抽出物または処理されたPanax種植物葉抽出物または双方の混合物を含む組成物
CA2868921C (en) Methods and materials related to nutritional supplement compositions containing a potato polysaccharide preparation
KR100390766B1 (ko) 필발로부터 얻은 지방산 생합성 효소 저해용 활성분획조성물
EP2120924B1 (en) An anti-diabetic extract of honeybush
Ng et al. Acute vascular and metabolic actions of the green tea polyphenol epigallocatechin 3-gallate in rat skeletal muscle
KR100523440B1 (ko) 자생 식물로부터 얻은 비만 및 당뇨병 치료 추출물
KR20040016579A (ko) 비만 및 당뇨병 예방 및 치료효과를 보이는 자생식물 추출물
KR100697235B1 (ko) 관동화 추출물 또는 투실라곤을 포함하는 비만 및 제2형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443264B1 (ko) 구아바로부터 얻은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 효소 1b 저해용 활성분획 추출물
KR100454097B1 (ko) 희첨으로부터 얻은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 효소 1b저해용 활성분획물
KR100529991B1 (ko) 간염 치료제 및 예방제 또는 간보호제로 유용한 섬오갈피추출물
KR20060106065A (ko) 신선초 뿌리 추출물, 하이드록시데리신(4-hydroxyderricin)및 잔소안제롤(xanthoangelol)의 간보호 효과
KR20040016578A (ko) 항비만 및 항당뇨효과를 보이는 자생식물 추출물
CN110123827A (zh) 一种治疗由代谢异常所致疾病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Elshibani et al. In-vitro and in-vivo anti-hyperglycemic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 of Arbutus pavarii Pampan and Sarcopoterium spinosum L. growing in Libya
KR20030083348A (ko) 지방세포 분화 저해 활성을 가지는 프로토베르베린알칼로이드 화합물인 베르베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비만예방 및 치료
WO2023164752A1 (en) Pharmaceutical product for the treament of obesity and associated metabolic syndrome diseases, uses and methods of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