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4464A - 파일직 양말 및 그의 제조를 위한 양말편직기 - Google Patents

파일직 양말 및 그의 제조를 위한 양말편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4464A
KR20020064464A KR1020010004928A KR20010004928A KR20020064464A KR 20020064464 A KR20020064464 A KR 20020064464A KR 1020010004928 A KR1020010004928 A KR 1020010004928A KR 20010004928 A KR20010004928 A KR 20010004928A KR 20020064464 A KR20020064464 A KR 20020064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socks
finger
pile
kn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4905B1 (ko
Inventor
우병노
Original Assignee
우병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병노 filed Critical 우병노
Priority to KR10-2001-0004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4905B1/ko
Publication of KR20020064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4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9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colour pattern, e.g. intarsia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4Needle cylind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24Sinker heads; Sinke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겉실과 속실의 재질이 다른 파일직 양말 및 그의 제조를 위한 양말편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파일직 양말에서 상기 파일을 형성하는 겉실과 속실은 서로 색상 및/또는 재질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일직 양말의 제조하기 위한 편직기의 싱커(8c)는 최상부에 일정길이로 연장 형성된 제 1핑거; 상기 제 1핑거와의 사이에 양말에 신축성을 제공하기 위한 스판사(span 絲)와 같은 제 2실이 걸리게 되는 원호 형상의 스판사 끼움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1핑거보다 전방을 향해 0.2mm 내지 0.4mm 정도 더 길게 연장되며, 그의 끝단이 상방향으로 5°내지 15°정도 굴곡 형성되는 제 2핑거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 2핑거의 아래로는 면사(綿絲)과 같은 제 3실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특징에 의해 상기 파일직 양말은 미관이 깨끗하며 불량이 최저화된다.

Description

파일직 양말 및 그의 제조를 위한 양말편직기{Terry socks and knitting machane for manufacturing the socks}
본 발명은 파일직 양말 및 그의 제조를 위한 양말편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적으로는 겉실과 속실의 재질 및/또는 색상이 다른 파일직 양말 및 그의 제조를 위한 양말편직기에 관한 것이다.
보온과 쿠션 등을 위해 파일(pile)직의 양말이 제공되고 있다. 파일은 테리(terry)라고 명칭되기도 하는 것으로 타올과 같은 보풀이 형성된 직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파일은 양말의 외면 또는 내면에, 전면 또는 일부에 걸쳐 형성되지만, 기본적으로는 발바닥에 해당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양말을 이하에서는 파일직양말이라 칭하기로 한다.
파일직양말은 보통 겉실과 속실의 2가지 실로 편직되며, 종래의 파일직양말은 동일한 재질로, 예를 들면 면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양말은 쿠션이나 보온에 대한 요구는 만족시킬 수 있지만, 발에서 생기는 땀을 외부로 방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는 않았다. 이러한 기능은 발에 땀이 많이 나는 체질의 사람 또는 운동선수 등에게는 유용한 기능이다. 즉, 양말이 땀을 흡수하지 않거나 또는 적게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면, 발에 생길 수 있는 질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양말의 착용감을 좋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편직기의 편직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편직기(2)는 양말을 자동적으로 편직하기 위한 기계로서, 그의 작동이 컴퓨터에 의해제어됨으로써 다양한 무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사항은 편직기 상부의 캡을 들어낸 상태에서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후술된다. 여기서는 단지 기본적인 사항만을 설명한다.
편직은 통상 회전하는 실린더(4) 내에 그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된 편침(6, needle)이 회전중 상하방향으로 운동하여 싱커(8, sinker)에 걸려있는 실을 잡아내림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편침(6)은 실린더의 내경을 따라 200개 정도가 상하로 기동 가능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그 각각의 편침(6) 사이에는 그와 직각 방향으로 유사한 갯수의 싱커(8)가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싱커(8)는 실린더의 직각 방향으로 전후 운동된다. 싱커 및 편침 위에 설치되는 사도판(10, yarn finger)을 통과한 실은 싱커(8) 위에 걸려 있게 된다.
도 2a,b는 종래의 싱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의 싱커(8a)는 3종류의 실을 사용할 수 없는 형식으로서, 파일 가공을 하게 되면, 파일사(pile 絲)가 반대면으로 불규칙하게 돌출하게 되어 색상이 다른 2가지 실로 파일직 양말을 제작할 시에는 미관이 좋지 않게 된다. 파일사는 싱커의 상단에 얹혀지고, 스판사(span 絲)는 중간홀(9)에 걸려진다. 이 형식의 싱커(8a)는 더 이상의 실을 끼울 수 없어 내면과 외면을 각기 다른 종류의 실로 가공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도 2b의 싱커(8b)는 파일형성을 위한 싱커로서, 두 종류의 실로 파일직을 가공할 수는 있지만, 파일을 양말의 외면에 형성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이는 파일형성면의 배면이 깨끗하게 처리되지 않기 때문이다. 역시 이러한 싱커로도 겉실과 속실을 다른 재질 또는 색상을 사용할 때는 미관상 또는 촉감상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위와 같은 필요에 의해, 본원 발명은 땀을 흡수하지 않거나 또는 적게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파일직양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가진다. 또한, 그의 제작을 위한 양말편직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겉실과 속실을 각기 다른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기술된 바와 같은 필요조건을 만족시키는 양말을 제공하기 위한 재질의 선택에 있어 하나의 특징을 가진다. 또한, 그러한 양말을 제작하기 위해 종래의 편직기의 부분품을 개선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파일을 형성할 수 있는 편직기의 싱커 및 그 주변부품을 개선함으로써 보다 미려하고 실용적인 파일직 양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가진다.
도 1은 일반적인 편직기의 편직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 일부 사시도이다.
도 2a,b는 종래의 싱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파일직 양말의 내면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편직기의 일부품인 싱커(sinker)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싱커(8c)와 편침(6) 및 편침캠(44)의 상호 작동관계를 도시하는 구성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편직기 4 ; 실린더
6 ; 편침 8(8a,8b,8c) ; 싱커
10 ; 사도판 12 ; 양말
14 ; 파일부 16a,16b ; 핑거
26 ; 싱커베드 30 ; 싱커베드캡
32 ; 사도판 조립체 44 ; 편침캠
상기의 목적은, 양말의 내면 또는 외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파일(pile)이 형성되는 양말에 있어서, 상기 양말을 구성하는 속실과 겉실이 서로 다른 색상 및/또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 양말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의 파일직 양말을 가공하기 위한 편직기는, 장치 상부에 설치되는 1개 이상의 실타래로부터 실을 공급하는 실공급부,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좌우로 회전되는 실린더, 상하로 기동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의 원주방향을 따라 촘촘하게 직립 설치되는 다수의 편침,
상기 편침에 2종류 이상의 실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서, 하부에는 실린더 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일정한 행정으로 전후이동되도록 하는 다리부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공급실이 걸리는 곳으로서 상기 실린더의 중심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특정 형상의 핑거가 형성되는 판형상을 가지며,상기 실린더의 가로방향으로 전후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편침의 사이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싱커,
상기 실린더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싱커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싱커캠, 상기 실린더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편침을 상하방향으로 기동시키는 편침캠을 포함하는 편직기에 있어서;
상기 판형상의 싱커는, 파일사(pile 絲)와 같은 제 1실이 걸리게 되는 곳으로서, 최상부에 일정길이로 연장 형성된 제 1핑거, 상기 제 1핑거와의 사이에 양말에 신축성을 제공하기 위한 스판사(span 絲)와 같은 제 2실이 걸리게 되는 원호 형상의 스판사 끼움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1핑거보다 미세하게 긴 길이로 연장되며, 그의 끝단이 상방향으로 5°내지 15°정도 굴곡 형성되는 제 2핑거로 구성됨에 의해, 상기 제 2핑거의 아래로는 면사(綿絲)과 같은 제 3실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 양말의 제조를 위한 편직기에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파일직 양말(12)의 내면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파일부(14)은 발가락부에서 발바닥을 거쳐 뒤꿈치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적 사항은 파일이 이러한 특정부위에 형성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파일은 어느 부위, 심지어 양말의 외면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특징은 파일직 양말의 제조에 사용되는 속실과 겉실이 그의 색상 및/또는 재질에 있어서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겉실의 재질은 범용되는 면(綿)일 수 있으며, 속실의 재질은 테비론(Teviron)이라는 기능성 원사일 수 있다. 참고적으로 테비론(Teviron)은 스포츠웨어(예를 들면, 헬스복, 수영복, 체조복) 등에 사용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으로서, 땀을 배출하는 능력이 탁월한 기능성 소재이다.
또한, 상기 테비론을 대신하여 아쿠아 토르 또는 폴리에스터 등의 기타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재질의 상이 뿐만 아니라 색상의 차이를 부여할 수도 있다. 즉, 다른 색상을 가지는 동일한 재질의 속실과 겉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속실과 겉실 이외에 양말의 신축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스판사가 부가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물론, 무늬 또는 그림 등을 넣기 위한 색상실의 부가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양말은 후술되는 편직기에 의해 면사와 파일사의 색상을 다르게 하여도 그의 외관이 전혀 손상되지 않고 고품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파일직 양말에서는 달성될 수 없는 사항이다. 즉, 종래의 편직기를 사용하여 이러한 특징의 양말을 양호한 형태로 제작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편직기의 일부품인 싱커(8c, sinker)의 정면도이다. 참조적으로 싱커는 현장에서 "싱가"라고 불리우기도 한다.
싱커는 기술한 바와 같이, 편직기 내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실린더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보통 그의 두께는 1mm 이하(본 실시예에서는 0.5mm)이며, 그의 전장은 35mm정도이며, 그의 높이는 15mm 정도이다. 기술한 바와 같이 싱커는 기능상 상하 2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상부는 실의 걸림부를 형성하는 핑거(16a,b)가 돌출 형성되며, 하부는 실린더측과 연결되는 다리부(18)이다.
다리부의 좌측면(20)은 싱커캠(도시되지 않음)과 맞닿음으로써 싱커캠의 형상에 따라 싱커 자체를 실린더 내에서 전후이동(도시된 바에 따르면 좌우이동에 해당된다. 이하 같다)하게 한다. 다리부 끝단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22)은 싱커(8c)로 하여금 이동 행정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싱커의 용도에 따라 그 높이가 상호 다를 수 있다. 다리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패여진 기다란 홈(24)은 싱커의 이동을 안내하고 그 위치를 고정시키기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다리부의 기능은 본 발명의 특징이라 할 수 없다.
싱커가 설치되는 부위의 구성 및 작용을 다시 도 1의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내용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이라 할 수 없다.
싱커(8c)는 환형상의 싱커베드(26, sinker bed)의 원주를 따라 싱커의 갯수만큼 방사형으로 패여진 슬릿(28)에 각각 끼워지게 된다. 싱커베드는 실린더(4) 상단에 스크류로 고정됨으로써 그와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싱커베드(26)의 상면에는 싱커베드캡 (30, sinker bed cap)이 덮여진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싱커베드캡의 저면에는 싱커의 전후이동의 형태를 조정하기 위한 일단의 싱커캠이 설치된다. 또한, 싱커베드캡(30) 상부에는 사도판(yarn finger)조립체(32, 절개된 상태로 일부분만 도시됨)가 설치된다. 사도판(10)의 끝단에는 터널 형상의 사도(10a)가 형성되는데 이 터널을 통해 실이 공급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도판은 파일사, 스판사 및 면사를 위하여 최소한 3개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도 4에 도시된 싱커의 상부 형상에 있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제 1실(41), 제 2실(42) 및 3실(43)의 단면이 함께 도시된다.
즉, 본 발명의 싱커는 파일사(pile 絲)와 같은 제 1실(41)이 걸리게 되는 곳으로서, 최상부에 일정길이로 연장 형성된 제 1핑거(16a), 상기 제 1핑거와의 사이에 양말에 신축성을 제공하기 위한 스판사(span 絲)와 같은 제 2실(42)이 걸리게 되는 원호 형상의 스판사 끼움부(36)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1핑거(16a)보다 미세하게 긴 길이로 연장되며, 그의 끝단이 상방향으로 5°내지 15°정도 굴곡 형성되는 제 2핑거(16b)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제 2핑거(16b)의 저부와 다리부 사이의 홈(40)으로는 면사(綿絲)와 같은 제 3실(43)이 끼워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2핑거(16b)는 제 1핑거(16a)보다 3mm 내지 4mm, 보다 정확하게는 3.3mm가 더 길게 연장된다. 또한, 제 2핑거(16b)의 저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향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데 그 각은 수평선에 대해 23°가 된다. 또한, 제 2핑거(16b) 자체는 상방향을 향해 수평선에 대해 10.7°로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은 핑거(16a,b)의 구체적인 형상은 제품의 불량을 최저화할 수 있는 척도가 되며 편직기의 핵심이 된다. 그러므로 이 부분의 형상은 실무자의 상당한 경험과 노하우에 의한 설계가 뒷받침되어야 하였다.
도 5는 싱커(8c)와 편침(6) 및 편침캠(44)의 상호 작동관계를 도시하는 구성 사시도이다. 편침 및 싱커는 기술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각각 기동될 수 있으며, 편침캠(44)은 실린더(4, 도 1 참조)의 상부 외부에서 고정되어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싱커 및 편침의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은 실린더의 회전 운동과 동일하므로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편침(6)은 싱커베드캡(30)의 측부 및 실린더의 측부에 설치되는 편침캠(44)에 의해 상하로 기동되며, 이러한 편침캠의 일부가 도 5에 도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편침캠(44)의 형상에 있다.
특히 도시된 편침캠(44)은 편침이 하방으로 향하도록 리드하는 것으로서, V자와 유사한 형상의 안내홈(46)이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편침캠의 우측 경사면에 턱(48)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형상적 특징은 그 면(47)을 따라 지나가는 편침으로 하여금 하강중에 일시간 멈출 수 있게 한다. 즉, 이러한 형상적 특징에 의해 제품의 불량률이 더욱 낮아지게 되며, 속실(파일사)이 양말 겉으로 비치거나 빠져 나오거나 하는 일이 없게 된다. 턱(48)의 높이 또는 위치 등은 상황에 따라서 또는 기계의 특징에 따라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시되어 도시된 싱커(8c) 및 편침캠(44)의 형상은 기술된 취지에 종속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개선된 제 2핑거(16b)를 가지는 싱커(8c) 및 턱(48)이 형성된 편침캠(44)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일직 양말에 의하면, 발에서 나는 땀이 양말 외부로 용이하게 빠져나가게 되어 발건강에 유익하게 되며, 추운 겨울에 생길 수 있는 동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군용, 작업용 또는 운동용으로 손색이 없는 양말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파일직양말 이상의 충격흡수능력 및 보온능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편직기에 의하면, 파일직 양말을 제작함에 있어서, 겉실(면사)과 속실(파일사)을 다른 색으로 하여도 겉에서 파일의 형성 여부를 알 수 없을 정도로 미려하고 깨끗한 양말이 제공된다.

Claims (4)

  1. 양말의 내면 또는 외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파일(pile)이 형성되는 양말에 있어서, 상기 양말을 구성하는 속실과 겉실은 재질 및/또는 색상이 상호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 양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말의 외면을 형성하는 겉실은 면사(綿絲)이며, 내면을 형성하는 속실은 땀을 잘 방출할 수 있는 테비론(Teviron), 아쿠아토르 또는 폴리에스터와 같은 기능성 원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 양말.
  3. 장치 상부에 설치되는 1개 이상의 실타래로부터 실을 공급하는 실공급부와;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좌우로 회전되는 실린더(4); 상하로 기동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의 원주방향을 따라 촘촘하게 직립 설치되는 다수의 편침(6)과;
    상기 편침에 2종류 이상의 실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서, 하부에는 실린더 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일정한 행정으로 전후이동되도록 하는 다리부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공급실이 걸리는 곳으로서 상기 실린더의 중심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핑거가 형성된 판형상이며, 상기 실린더의 가로방향으로 전후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편침의 사이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싱커(8c)와;
    상기 실린더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싱커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싱커캠과; 상기 실린더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편침을 상하방향으로 기동시키는 편침캠(44)을 포함하는 편직기에 있어서;
    상기 싱커(8c)는, 파일사(pile 絲)와 같은 제 1실(41)이 걸리게 되는 곳으로서, 최상부에 일정길이로 연장 형성된 제 1핑거(16a); 상기 제 1핑거와의 사이에 양말에 신축성을 제공하기 위한 스판사(span 絲)와 같은 제 2실(42)이 걸리게 되는 원호 형상의 스판사 끼움부(36)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1핑거보다 전방을 향해 0.2mm 내지 0.4mm 정도 더 길게 연장되며, 그의 끝단이 상방향으로 5°내지 15°정도 굴곡 형성되는 제 2핑거(16b)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 2핑거(16b)의 아래로는 면사(綿絲)과 같은 제 3실(43)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 양말의 제조를 위한 편직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편침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V자 유사한 형상의 안내홈(46)이 마련되어 편침캠(44)에 있어서, 상기 편침캠의 일측 경사면에 턱(48)이 형성되어 있어 그 면을 따라 지나가는 편침으로 하여금 하강 중에 일시간 멈출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 양말의 제조를 위한 편직기.
KR10-2001-0004928A 2001-02-01 2001-02-01 파일직 양말 및 그의 제조를 위한 양말편직기 KR100374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928A KR100374905B1 (ko) 2001-02-01 2001-02-01 파일직 양말 및 그의 제조를 위한 양말편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928A KR100374905B1 (ko) 2001-02-01 2001-02-01 파일직 양말 및 그의 제조를 위한 양말편직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384U Division KR200229484Y1 (ko) 2001-02-01 2001-02-01 파일직 양말 및 그의 제조를 위한 양말편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464A true KR20020064464A (ko) 2002-08-09
KR100374905B1 KR100374905B1 (ko) 2003-03-15

Family

ID=27693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928A KR100374905B1 (ko) 2001-02-01 2001-02-01 파일직 양말 및 그의 제조를 위한 양말편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49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351B1 (ko) * 2007-07-27 2008-06-25 이원유 면양말 및 그 제조방법
KR101282148B1 (ko) * 2011-10-12 2013-07-04 박영식 발가락 양말 및 그 제조방법
KR101430718B1 (ko) * 2014-04-10 2014-08-14 남종규 기능성 양말 및 이의 제작을 위한 편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334B1 (ko) 2005-10-25 2007-01-24 송유철 파일 편환 크기를 줄여주는 싱가핀을 갖는 이면 벨로워원단 편직기
KR100746502B1 (ko) 2006-08-18 2007-08-06 주식회사 태호기계 일회전에 두개의 파일을 형성하는 양말편직기
KR101357614B1 (ko) 2012-02-29 2014-02-03 우병노 발가락양말 및 그 편직방법
KR102564055B1 (ko) 2023-01-09 2023-08-09 이평규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 및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를 이용한 양말 제조시의 파일 형성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351B1 (ko) * 2007-07-27 2008-06-25 이원유 면양말 및 그 제조방법
KR101282148B1 (ko) * 2011-10-12 2013-07-04 박영식 발가락 양말 및 그 제조방법
KR101430718B1 (ko) * 2014-04-10 2014-08-14 남종규 기능성 양말 및 이의 제작을 위한 편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4905B1 (ko) 200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782B1 (ko) 양말 및 그 제조 방법
CA2593200C (en) Method for assigning states to stitches of a fabric
US3828585A (en) Denim sock and method of knitting same
JP2017517645A (ja) バンド部がカバーリング糸から形成された靴下
KR200463522Y1 (ko) 덧버선
CA2810476C (en) Socks, and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ocks
KR100374905B1 (ko) 파일직 양말 및 그의 제조를 위한 양말편직기
JP6793123B2 (ja) 円形メリヤス製品編み機によってグリップ領域を備える管状物品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その方法で得られた管状物品
ITMI20010518A1 (it)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un tessuto a maglia con una macchina per maglieria con cilindro e piatto particolarmente per la realizzazi
KR200229484Y1 (ko) 파일직 양말 및 그의 제조를 위한 양말편직기
JP2931589B1 (ja) 靴下用横編機
CA3100194C (en) Compression garment and method
KR101190077B1 (ko) 양말 편직기의 사도를 이용한 양말 편직 방법
US3605446A (en) Rib and terry knitting machine and method
ES444831A1 (es) Metodo para la fabricacion de medias y articulos similares.
CA2524698C (en) Therapeutic hosiery i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ith a circular hosiery knitting machine
US2661612A (en) Machine for knitting shaggy fabrics
ITMI20011539A1 (it)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calze da uomo o da donna con effetto autoreggente particolarmente con macchine circolari per calzetteria e
JPH05247803A (ja) タオル編み目の模様を作製するための装置を備えたソックス、ストッキング等を製造する丸編み機及び同丸編み機用シンカ
ES2076304T3 (es) Procedimiento para construir tejido de punto afelpado doble utilizando una maquina circular de punto.
GB2371563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pattern control
KR101108570B1 (ko) 환편기의 미사용실 홀딩장치
KR100530776B1 (ko) 스탠다드-테리니트 및 샌드위치-테리니트를 형성하는 원형편물기계용 하강 싱커 구동 캠세트
KR200469357Y1 (ko) 발가락 양말
KR100593697B1 (ko) 자동 양말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0502

Effective date: 2007090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