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055B1 -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 및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를 이용한 양말 제조시의 파일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 및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를 이용한 양말 제조시의 파일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055B1
KR102564055B1 KR1020230002615A KR20230002615A KR102564055B1 KR 102564055 B1 KR102564055 B1 KR 102564055B1 KR 1020230002615 A KR1020230002615 A KR 1020230002615A KR 20230002615 A KR20230002615 A KR 20230002615A KR 102564055 B1 KR102564055 B1 KR 102564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sinker
socks
adjacen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2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평규
Original Assignee
이평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평규 filed Critical 이평규
Priority to KR1020230002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0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0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말의 특정 영역들에 파일을 형성하여 쿠션성과 보온성을 부여하되 형성되는 양말의 특정 영역들의 각 영역별로 파일의 길이를 변경하여 힘을 받는 영역에 따라 쿠션성과 보온성을 조절할 수 있으면서 파일 형성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 및 상기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를 이용한 양말 제조시의 파일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 및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를 이용한 양말 제조시의 파일 형성방법{A KNITTING MACHINE FOR MANUFACTURING PILE TEXTILES SOCKS AND A PILE FORMING METHOD IN MANUFACTURING SOCKS UTILIZING THE SAME}
본 발명은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 및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를 이용한 양말 제조시의 파일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양말의 특정 영역들에 파일을 형성하여 쿠션성과 보온성을 부여하되 형성되는 양말의 특정 영역들의 각 영역별로 파일의 길이를 변경하여 힘을 받는 영역에 따라 쿠션성과 보온성을 조절할 수 있으면서 파일 형성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 및 상기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를 이용한 양말 제조시의 파일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온과 쿠션 등을 위해 파일(pile)직의 양말이 제공되고 있다. 파일은 테리(terry)라고 명칭되기도 하는 것으로 타올과 같은 보풀이 형성된 직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파일은 양말의 외면 또는 내면에, 전면 또는 일부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양말을 이하에서는 파일직 양말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10은 종래의 일반적인 편직기의 편직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1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싱커(8c)와 편침(6) 및 편침캠(44)의 상호 작동관계를 도시하는 구성 사시도이다.
편직기(2)는 양말을 자동적으로 편직하기 위한 기계로서, 그의 작동이 컴퓨터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다양한 무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사항은 편직기 상부의 캡을 들어낸 상태에서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후술된다. 여기서는 단지 기본적인 사항만을 설명한다.
편직은 통상 회전하는 실린더(4) 내에 그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된 편침(6, needle)이 회전중 상하방향으로 운동하여 싱커(8, sinker)에 걸려있는 실을 잡아내림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편침(6)은 실린더의 내경을 따라 200개 정도가 상하로 기동 가능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그 각각의 편침(6) 사이에는 그와 직각 방향으로 유사한 갯수의 싱커(8)가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싱커(8)는 실린더의 직각 방향으로 전후 운동된다. 싱커 및 편침 위에 설치되는 사도판(10, yarn finger)을 통과한 실은 싱커(8) 위에 걸려 있게 된다.
도 12는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싱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의 싱커(8a)의 경우 복수의 파일사 중 싱커의 파일 니브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고파일 니브의 상단에 해당하는 높이에 위치하는 파일사가 얹혀지므로 싱커의 저면으로부터 싱커 상단까지의 높이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파일이 양말에 형성되게 되며, 위와 같은 싱커(8a)는 크기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파일 니브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고파일 니브의 상단의 높이도 가변적인 것이 아니라 고정되어 있는 것이므로 형성되는 파일의 길이가 고정되게 형성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의 등록특허 제10-1967847호(2019.04.04.)는, 그 청구항 1에서, "파일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편직기로서, 실린더의 축에 평행인 수직 방향으로 편직 니들들이 연장하기 위하여 상기 편직 니들들을 보유하도록 배치된 상기 실린더; 상기 실린더 축에 수직으로 배치된 디스크-형 수평면을 포함하는 싱커-베드; 저-파일 싱커와 고-파일 싱커가 서로 대향하며, 저-파일 싱커는 저-파일 스티치가 형성될 때 파일사을 보유하기 위한 저-파일 니브를 포함하며, 고-파일 싱커는 저-파일 스티치에서의 파일사의 싱커-루프 길이보다 더 긴 고-파일 스티치가 형성될 때 파일사을 보유하기 위한 고-파일 니브를 포함하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실린더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싱커-베드 위에 배치된 상기 저-파일 싱커와 고-파일 싱커를 포함하는 복수의 싱커들;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거기에 대응하는 상기 저-파일 싱커와 상기 고-파일 싱커에 작용하도록 반경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한 저-파일 셀렉터 잭과 고-파일 셀렉터 잭을 포함하며, 각각 거기에 대응하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상기 싱커들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상기 싱커 베드 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셀렉터 잭들; 상기 편직 니들들 중 하나가 상기 파일사과 그라운드 얀을 인입할 때, 액튜에이터가 상기 저-파일 셀렉터 잭에 작용하는 제1 제어와, 상기 액튜에이터가 상기 고-파일 셀렉터 잭에 작용하는 제2 제어와, 상기 저-파일 셀렉터 잭과 상기 고-파일 셀렉터 잭의 어느 것도 상기 액튜에이터의 작용을 받지 않는 제3 제어가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상기 셀렉터 잭들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도록 배치된 상기 액튜에이터; 및 상기 싱커 베드를 덮기 위하여 상기 싱커 베드 위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셀렉터 잭을 대응하는 싱커와 접촉시켜, 대응하는 싱커를 편직 니들들의 사이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액튜에이터의 작용을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받는 상기 셀렉터 잭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도록 배치되는 캠으로, 상기 싱커들과 상기 셀렉터 잭들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도록 배치된 캠을 포함하는 싱커 캡을 구비하며, 상기 저-파일 싱커와 상기 고-파일 싱커 중 적어도 하나는, 스티치 형성 동안 상기 그라운드 얀을 보유하기 위한 작은 니브를 포함하며, 상기 고-파일 니브와 상기 작은 니브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저-파일 니브와 상기 작은 니브 사이의 수직 방향으로의 거리보다 더 크며; 상기 저-파일 니브와 상기 고-파일 니브 사이의 수직 방향으로의 거리는 0.5mm 내지 2.5mm이며; 상기 저-파일 싱커가 상기 제1 제어에 의해 밀어내어질 때, 상기 파일사이 상기 저-파일 니브에 의해 보유되고 상기 그라운드 얀은 상기 작은 니브에 의해 보유되면서, 상기 파일사과 상기 그라운드 얀은 상기 편직 니들들 중 하나에 의해 인입되며; 상기 고-파일 싱커가 상기 제2 제어에 의해 밀어내어질 때, 상기 파일사이 상기 고-파일 니브에 의해 보유되고 상기 그라운드 얀이 상기 작은 니브에 의해 보유되면서, 상기 파일사과 상기 그라운드 얀은 상기 편직 니들들 중 하나에 의해 인입되며; 상기 저-파일 니브와 상기 고-파일 니브의 어느 것도 상기 제3 제어에 의해 밀어내지지 않을 때, 상기 파일사과 상기 그라운드 얀이 상기 작은 니브에 의해 보유되면서 상기 파일사과 상기 그라운드 얀이 편직 니들들 중 하나에 의해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를 제안하고 있으며,
상기 종래의 등록특허 제10-1967847호의 발명의 설명의 문단번호 〔0042〕에서는, "싱커(20)들의 각 쌍은 저-파일 싱커(21)와 고-파일 싱커(25)를 포함한다. 각 쌍의 셀렉터 잭(30)은 각각 저-파일 싱커(21)와 고-파일 싱커(25)에 대응하는 저-파일 셀렉터 잭(31)과 고-파일 셀렉터 잭(35)을 포함한다. 셀렉터 잭(30)들은 선택적으로 대응하는 싱커(20)들을 전방으로(즉,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치된다. 분리기(40)는 고-파일 싱커(25)와 고-파일 셀렉터 잭(35)에 저-파일 싱커(21)와 저-파일 셀렉터 잭(31)이 고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치된다. 액튜에이터(50)는 각각의 셀렉터 잭(30)들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도록 작동가능하다. 싱커 캡(60)에는 편직 니들(11)들 사이 영역으로 액튜에이터(50)의 작용을 받는 셀렉터 잭(30)들 중 하나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의 캠(62)을 포함하는 캠들의 그룹이 제공된다."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고,
상기 종래의 등록특허 제10-1967847호의 도면 8에서는 액튜에이터(50)가 캠(62)의 내면 중앙에 접하여 캡(60)의 내면에서 상측 정점의 아래에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내용 참조시, 상기 종래의 등록특허 제10-1967847호의 편직기에 있어서는 싱커(20)들의 각쌍의 저-파일 싱커(21)와 고-파일 싱커(25)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파일 셀렉터 잭(31)과 고-파일 셀렉터 잭(35)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들 저-파일 셀렉터 잭(31)과 고-파일 셀렉터 잭(35)에는 다시 액튜에이터(50)가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것이므로, 싱커(20)들의 각쌍의 저-파일 싱커(21)와 고-파일 싱커(25)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한꺼번에 이루어지지 못하고 선택적으로, 즉 선택된 하나의 싱커만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양말의 특정 영역에 파일 형성시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374905호(2003.02.21.) 등록특허 제10-1967847호(2019.04.04.)
본 발명은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말의 특정 영역들에 파일을 형성하여 쿠션성과 보온성을 부여하되 형성되는 양말의 특정 영역들의 각 영역별로 파일의 길이를 변경하여 힘을 받는 영역에 따라 쿠션성과 보온성을 조절할 수 있으면서 파일 형성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말의 특정 영역들에 파일을 형성하여 쿠션성과 보온성을 부여하되 형성되는 양말의 특정 영역들의 각 영역별로 파일의 길이를 변경하여 힘을 받는 영역에 따라 쿠션성과 보온성을 조절할 수 있으면서 파일 형성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복수의 특정 영역 사이에 띠 모양의 파일 미형성 영역을 형성하여 파일이 형성된 양말의 특정 영역들 사이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양말이 파일 미형성 영역을 중심으로 접힐 수 있게 하여 양말의 착탈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를 이용한 양말 제조시의 파일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수평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 홈들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편직 니들(51)들이 배치되어 있는 싱커 베드(50); 전방 상측에는, 싱커 베드(50)로부터 가장 높은 위치인 제1 위치에 접해 있는 파일사(y1), 제1 위치보다 더 낮은 제2 위치에 접해 있는 파일사(y2), 및 제2 위치보다 더 낮은 제3 위치에 접해 있는 파일사(y3)를 각각 지지하기 위해 저면으로부터 상측 단부까지의 높이를 차례대로 낮아지도록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3 높이(h4, h5, h6)로 하고 있는 제1 내지 제3 고파일 니브(b, b', b")들을 각각 가지며, 후방 단부에서는 저면으로부터 상측 단부까지의 높이가 차례대로 낮아지도록 상이한 높이(h1, h2, h3)로 형성된 제1 내지 제3 버트(a, a', a")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서로 인접한 일군의 고파일 싱커(41), 서로 인접한 일군의 중파일 싱커(41'), 및 서로 인접한 일군의 저파일 싱커(41")를 포함하되, 상기 싱커 베드(50)의 수평 홈들에 적어도 일부분이 배치되어 수평 홈들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파일 싱커;와 상기 싱커 베드(50)와 파일 싱커를 덮기 위하여 내부 중앙에 개방부를 가지는 상태로 상기 싱커 베드(50)와 파일 싱커 위에 배치되는 도넛 형상의 본체(21)와, 상기 개방부에 인접하여 내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개방부 인접 캠(22)과, 상기 본체(21)의 외측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방부 인접 캠(22)과의 사이에 요입부(20g)를 형성하도록 형성된 외측벽(23)을 포함하는 캡(20);과 서로 인접한 일군의 고파일 싱커(41)의 제1 버트(a)의 상단부 인접 부위를 일측 단부가 밀어 상기 개방부의 중심을 향해 전진 이동시키도록 상기 외측벽(23) 중 일측에 형성된 제1 힌지(H1)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제1 힌지(H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고 캡(20)의 외측에 위치하는 타측 단부에 제1 헤드(31h)를 구비한 고파일 싱커용 싱커 캠(31)과, 서로 인접한 일군의 중파일 싱커(41')의 제2 버트(a')의 상단부 인접 부위를 일측 단부가 밀어 상기 개방부의 중심축을 향해 전진 이동시키도록 상기 외측벽(23) 중 타측에 형성된 제2 힌지(H2)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제2 힌지(H2)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고 캡(20)의 외측에 위치하는 타측 단부에 제2 헤드(32h)를 구비한 중파일 싱커용 싱커 캠(32)과, 서로 인접한 일군의 저파일 싱커(41")의 제3 버트(a")의 상단부 인접 부위를 일측 단부가 밀어 전진 이동시키도록 상기 외측벽(23) 중 타측에 형성된 제2 힌지(H2)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제2 힌지(H2)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고 캡(20)의 외측에 위치하는 타측 단부에 제3 헤드(33h)를 구비한 저파일 싱커용 싱커 캠(33)을 포함하는 싱커 캠;과 상기 제1 헤드(31h)를 전진 이동시키도록 신장하고 다시 후퇴 가능한 제1 로드(34c1r)를 가지는 제1 실린더(34c1)와, 상기 제2 헤드(32h)를 전진 이동시키도록 신장하고 다시 후퇴 가능한 제2 로드(34c2r)를 가지는 제2 실린더(34c2)와, 상기 제3 헤드(33h)를 전진 이동시키도록 신장하고 다시 후퇴 가능한 제3 로드(34c3r)를 가지는 제3 실린더(34c3)를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 실린더 하우징(34);과 제1 내지 제3 로드(34c1r, 34c2r, 34c3r)가 신축에 의해 출몰하는 측면과 제1 내지 제3 헤드(31h, 32h, 33h)의 각각의 사이에 설치된 제1 내지 제3 스프링(61, 62, 63)을 포함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를 이용한 양말 제조시의 파일 형성방법은, 상기의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를 이용하여, 양말의 편직 중에, 상기 양말의 편직과는 별도로 서로 다른 길이의 복수의 제1 내지 제3 파일을 양말의 서로 다른 영역에 차례대로 더 형성하기 위한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를 이용한 양말 제조시의 파일 형성방법으로서, 편직 니들(51)이 상승하기 전에 제1 실린더(34c1)의 동작으로 제1 로드(34c1r)가 전진하도록 동작하여 제1 헤드(31h)를 전진 이동시키고 제1 헤드(31h)의 전진 이동에 따라 고파일 싱커용 싱커 캠(31)이 제1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 버트(a)를 전진 이동시켜 복수 위치의 파일사 중 가장 높은 위치인 제1 위치에 접해 있는 파일사(y1)를 제1 고파일 니브(b)가 안착시켜, 양말의 발 뒤꿈치 부분의 설정 크기의 영역에 가장 길이가 긴 파일인 복수의 제1 파일이 형성된 제1 파일 형성 영역(61)을 형성하는 제1 파일 형성 영역 형성단계(S1);와 제1 실린더(34c1)의 동작으로 제1 로드(34c1r)가 후진하도록 동작하여 스프링(61)의 복원력으로 제1 헤드(31h)를 후퇴 이동시키고 제1 헤드(31h)의 후퇴 이동에 따라 고파일 싱커용 싱커 캠(31)이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며 전진 이동되었던 고파일 싱커(41)가 원심력으로 후퇴 이동하여 제1 버트(a)를 후퇴 이동시켜 복수 위치의 파일사(y1, y2, y3) 중 어느 파일사도 제1 고파일 니브(b), 제2 고파일 니브(b'), 또는 제3 고파일 니브(b")에 의해 지지되지 않아 파일들이 미형성된 제1 파일 미형성 영역(66c)을 제1 파일 형성 영역(61)의 발가락을 향하는 전방 단부에 인접하여 띠 모양으로 형성하는 제1 파일 미형성 영역 형성단계(S2);와 편직 니들(51)이 상승하기 전에 제2 실린더(34c2)의 동작으로 제2 로드(34c2r)가 전진하도록 동작하여 제2 헤드(32h)를 전진 이동시키고 제2 헤드(32h)의 전진 이동에 따라 중간 파일 싱커용 싱커 캠(32)이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2 버트(a')를 전진 이동시켜 복수 위치의 파일사 중 상기 제2 위치에 접해 있는 파일사(y2)를 제2 고파일 니브(b')가 안착시켜, 상기 제1 파일보다 길이가 짧은 복수의 제2 파일이 형성된 제2 파일 형성 영역(64)을 제1 파일 미형성 영역(66c)의 발가락을 향하는 전방 단부에 인접하여 설정 크기로 형성하는 제2 파일 형성 영역 형성단계(S3);와 제2 실린더(34c2)의 동작으로 제2 로드(34c2r)가 후진하도록 동작하여 스프링(62)의 복원력으로 제2 헤드(32h)를 후퇴 이동시키고 제2 헤드(32h)의 후퇴 이동에 따라 중간 파일 싱커용 싱커 캠(32)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며 전진 이동되었던 중간 파일 싱커(41')가 원심력으로 후퇴 이동하여 제2 버트(a')를 후퇴 이동시켜 복수 위치의 파일사(y1, y2, y3) 중 어느 파일사도 제1 고파일 니브(b), 제2 고파일 니브(b'), 또는 제3 고파일 니브(b")에 의해 지지되지 않아 파일들이 미형성된 제2 파일 미형성 영역(66d)을 제2 파일 형성 영역(64)의 발가락을 향하는 전방 단부에 인접하여 띠 모양으로 형성하는 제2 파일 미형성 영역 형성단계(S4);와 편직 니들(51)이 상승하기 전에 제3 실린더(34c3)의 동작으로 제3 로드(34c3r)가 전진하도록 동작하여 제3 헤드(33h)를 전진 이동시키고 제3 헤드(33h)의 전진 이동에 따라 저파일 싱커용 싱커 캠(33)이 제2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3 버트(a")를 전진 이동시켜 복수 위치의 파일사 중 상기 제3 위치에 접해 있는 파일사(y3)를 제3 고파일 니브(b")가 안착시켜, 상기 제2 파일보다 길이가 짧은 복수의 제3 파일이 형성된 제3 파일 형성 영역(65)을 제2 파일 미형성 영역(66d)의 발가락을 향하는 전방 단부에 인접하여 설정 크기로 형성하는 제3 파일 형성 영역 형성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다음의 효과를 가진다.
첫째, 양말의 특정 영역들에 파일을 형성하여 쿠션성과 보온성을 부여하되 형성되는 양말의 특정 영역들의 각 영역별로 파일의 길이를 변경하여 힘을 받는 영역에 따라 쿠션성과 보온성을 조절할 수 있으면서 파일 형성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양말의 특정 영역들에 파일을 형성하여 쿠션성과 보온성을 부여하되 형성되는 양말의 특정 영역들의 각 영역별로 파일의 길이를 변경하여 힘을 받는 영역에 따라 쿠션성과 보온성을 조절할 수 있으면서 파일 형성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복수의 특정 영역 사이에 띠 모양의 파일 미형성 영역을 형성하여 파일이 형성된 양말의 특정 영역들 사이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양말이 파일 미형성 영역을 중심으로 접힐 수 있게 하여 양말의 착탈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를 이용한 양말 제조시의 파일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의 싱커 베드와 캡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캡이 결합 또는 조립된 상태의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싱커 베드의 수평홈들 사이에서 전후 이동하는 고파일 싱커, 중파일 싱커, 및 저파일 싱커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고파일 싱커, 캡, 고파일 싱커용 싱커 캠, 실린더 하우징, 및 탄성수단의 결합 및 배치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중파일 싱커, 캡, 중파일 싱커용 싱커 캠, 실린더 하우징, 및 탄성수단의 결합 및 배치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저파일 싱커, 캡, 저파일 싱커용 싱커 캠, 실린더 하우징, 및 탄성수단의 결합 및 배치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에 의해 제조된 양말의 특정 영역들에 파일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를 이용한 양말 제조시의 파일 형성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제3 파일 미형성 영역 형성단계, 다른 제2 파일 형성 영역 형성단계, 다른 제2 파일 미형성 영역 형성단계, 및 다른 제3 파일 형성 영역 형성단계가 추가된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일반적인 편직기의 편직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싱커(8c)와 편침(6) 및 편침캠(44)의 상호 작동관계를 도시하는 구성 사시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싱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살펴보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고려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의 싱커 베드와 캡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캡이 결합 또는 조립된 상태의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싱커 베드의 수평홈들 사이에서 전후 이동하는 고파일 싱커, 중파일 싱커, 및 저파일 싱커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고파일 싱커, 캡, 고파일 싱커용 싱커 캠, 실린더 하우징, 및 탄성수단의 결합 및 배치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5는 중파일 싱커, 캡, 중파일 싱커용 싱커 캠, 실린더 하우징, 및 탄성수단의 결합 및 배치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저파일 싱커, 캡, 저파일 싱커용 싱커 캠, 실린더 하우징, 및 탄성수단의 결합 및 배치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에 의해 제조된 양말의 특정 영역들에 파일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를 이용한 양말 제조시의 파일 형성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제3 파일 미형성 영역 형성단계, 다른 제2 파일 형성 영역 형성단계, 다른 제2 파일 미형성 영역 형성단계, 및 다른 제3 파일 형성 영역 형성단계가 추가된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는, 싱커 베드(50)와, 파일 싱커와, 캡(20)과, 싱커 캠과, 실린더 하우징(34)과, 탄성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싱커 베드(50)는 수평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 홈들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편직 니들(51)들이 배치되어 실린더 상단에 스크류로 고정됨으로써 그와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파일 싱커는, 전방 상측에는, 싱커 베드(50)로부터 가장 높은 위치인 제1 위치에 접해 있는 파일사(y1), 제1 위치보다 더 낮은 제2 위치에 접해 있는 파일사(y2), 및 제2 위치보다 더 낮은 제3 위치에 접해 있는 파일사(y3)를 각각 지지하기 위해 저면으로부터 상측 단부까지의 높이를 차례대로 낮아지도록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3 높이(h4, h5, h6)로 하고 있는 제1 내지 제3 고파일 니브(b, b', b")들을 각각 가지며, 후방 단부에서는 저면으로부터 상측 단부까지의 높이가 차례대로 낮아지도록 상이한 높이(h1, h2, h3)로 형성된 제1 내지 제3 버트(a, a', a")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서로 인접한 일군의 고파일 싱커(41), 서로 인접한 일군의 중파일 싱커(41'), 및 서로 인접한 일군의 저파일 싱커(41")를 포함하되, 상기 싱커 베드(50)의 수평 홈들에 적어도 일부분이 배치되어 수평 홈들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서로 인접한 일군의 고파일 싱커(41)는 싱커 베드(50)로부터 가장 높은 위치인 제1 위치에 접해 있는 파일사(y1)를 지지하기 위해 저면으로부터 상측 단부까지의 높이를 제1 위치에 상당하는 높이(h4)로 하고 있는 제1 고파일 니브(b)를 가지며, 후방 단부에서는 저면으로부터 상측 단부까지의 높이가 가장 높은 높이(h1)로 형성된 제1 버트(a)를 구비하고 있어 파일사(y1)로 양말의 특정 영역에 가장 긴 길이의 파일을 형성할 수 있고, 서로 인접한 일군의 중파일 싱커(41')는 제1 위치보다 낮은 위치인 제2 위치에 접해 있는 파일사(y2)를 지지하기 위해 저면으로부터 상측 단부까지의 높이를 상기 제2 높이에 상당하는 높이(h5)로 하고 있는 제2 고파일 니브(b')를 가지며, 후방 단부에서는 저면으로부터 상측 단부까지의 높이가 높이(h1)보다 낮은 높이(h2)로 형성된 제2 버트(a')를 구비하고 있어 파일사(y2)로 양말의 다른 특정 영역에 중간 길이의 파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한 일군의 저파일 싱커(41")는 제2 위치보다 낮은 위치인 제3 위치에 접해 있는 파일사(y3)를 지지하기 위해 저면으로부터 상측 단부까지의 높이를 제3 위치에 상당하는 높이(h6)로 하고 있는 제3 고파일 니브(b")를 가지며, 후방 단부에서는 저면으로부터 상측 단부까지의 높이가 높이(h2)보다 낮은 높이(h3)로 형성된 제3 버트(a")를 구비하고 있어 파일사(y3)로 양말의 또 다른 특정 영역에 가장 짧은 길이의 파일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양말의 특정 영역들에 파일을 형성하여 쿠션성과 보온성을 부여하되 형성되는 양말의 특정 영역들의 각 영역별로 파일의 길이를 변경하여 힘을 받는 영역에 따라 쿠션성과 보온성을 조절할 수 있으면서 서로 인접한 일군의 고파일 싱커(41)와 서로 인접한 일군의 중파일 싱커(41') 및 서로 인접한 일군의 저파일 싱커(41")는, 각각 단일 싱커가 아니라 서로 인접한 일군의 싱커로 되어 있는 것이어서 이들 서로 인접한 일군의 고파일 싱커(41)와 서로 인접한 일군의 중파일 싱커(41') 및 서로 인접한 일군의 저파일 싱커(41")에 의해 파일이 한꺼번에 동시에 형성되므로 파일 형성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캡(20)은, 상기 싱커 베드(50)와 파일 싱커를 덮기 위하여 내부 중앙에 개방부를 가지는 상태로 상기 싱커 베드(50)와 파일 싱커 위에 배치되는 도넛 형상의 본체(21)와, 상기 개방부에 인접하여 내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개방부 인접 캠(22)과, 상기 본체(21)의 외측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방부 인접 캠(22)과의 사이에 요입부(20g)를 형성하도록 형성된 외측벽(23)을 포함한다.
상기 싱커 캠은, 서로 인접한 일군의 고파일 싱커(41)의 제1 버트(a)의 상단부 인접 부위를 일측 단부가 밀어 상기 개방부의 중심을 향해 전진 이동시키도록 상기 외측벽(23) 중 일측에 형성된 제1 힌지(H1)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제1 힌지(H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고 캡(20)의 외측에 위치하는 타측 단부에 제1 헤드(31h)를 구비한 고파일 싱커용 싱커 캠(31)과, 서로 인접한 일군의 중파일 싱커(41')의 제2 버트(a')의 상단부 인접 부위를 일측 단부가 밀어 상기 개방부의 중심축을 향해 전진 이동시키도록 상기 외측벽(23) 중 타측에 형성된 제2 힌지(H2)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제2 힌지(H2)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고 캡(20)의 외측에 위치하는 타측 단부에 제2 헤드(32h)를 구비한 중파일 싱커용 싱커 캠(32)과, 서로 인접한 일군의 저파일 싱커(41")의 제3 버트(a")의 상단부 인접 부위를 일측 단부가 밀어 전진 이동시키도록 상기 외측벽(23) 중 타측에 형성된 제2 힌지(H2)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제2 힌지(H2)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고 캡(20)의 외측에 위치하는 타측 단부에 제3 헤드(33h)를 구비한 저파일 싱커용 싱커 캠(33)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고파일 싱커용 싱커 캠(31)은 제1 헤드(31h)에 외력(예컨대, 후술하는 제1 실린더(34c1)의 제1 로드(34c1r)의 신장에 의한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외측벽(23) 중 일측에 형성된 제1 힌지(H1)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제1 힌지(H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서로 인접한 일군의 고파일 싱커(41)의 제1 버트(a)의 상단부 인접 부위를 일측 단부가 밀어 상기 개방부의 중심을 향해 전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중파일 싱커용 싱커 캠(32)은 제2 헤드(32h)에 외력(예컨대, 후술하는 제2 실린더(34c2)의 제2 로드(34c2r)의 신장에 의한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외측벽(23) 중 일측에 형성된 제2 힌지(H2)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제2 힌지(H2)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서로 인접한 일군의 중파일 싱커(41')의 제2 버트(a')의 상단부 인접 부위를 일측 단부가 밀어 상기 개방부의 중심을 향해 전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저파일 싱커용 싱커 캠(33)은 제3 헤드(33h)에 외력(예컨대, 후술하는 제3 실린더(34c3)의 제3 로드(34c3r)의 신장에 의한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외측벽(23) 중 일측에 형성된 제2 힌지(H2)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제2 힌지(H2)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서로 인접한 일군의 저파일 싱커(41")의 제3 버트(a")의 상단부 인접 부위를 일측 단부가 밀어 상기 개방부의 중심을 향해 전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린더 하우징(34)은, 상기 제1 헤드(31h)를 전진 이동시키도록 신장하고 다시 후퇴 가능한 제1 로드(34c1r)를 가지는 제1 실린더(34c1)와, 상기 제2 헤드(32h)를 전진 이동시키도록 신장하고 다시 후퇴 가능한 제2 로드(34c2r)를 가지는 제2 실린더(34c2)와, 상기 제3 헤드(33h)를 전진 이동시키도록 신장하고 다시 후퇴 가능한 제3 로드(34c3r)를 가지는 제3 실린더(34c3)를 내부에 수용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실린더(34c1)의 제1 로드(34c1r)의 신장으로 제1 헤드(31h)를 전진 이동시키고 다시 후퇴 가능하며, 제2 실린더(34c2)의 제2 로드(34c2r)의 신장으로 제2 헤드(32h)를 전진 이동시키고 다시 후퇴 가능하고, 제3 실린더(34c3)의 제3 로드(34c3r)의 신장으로 제3 헤드(33h)를 전진 이동시키고 다시 후퇴 가능하다.
상기 탄성수단은, 제1 내지 제3 로드(34c1r, 34c2r, 34c3r)가 신축에 의해 출몰하는 측면과 제1 내지 제3 헤드(31h, 32h, 33h)의 각각의 사이에 설치된 제1 내지 제3 스프링(61, 62, 63)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1 내지 제3 스프링(61, 62, 63)의 복원력에 의해, 제1 내지 제3 로드(34c1r, 34c2r, 34c3r)의 신장에 의해 회동한 제1 내지 제3 헤드(31h, 32h, 33h)를 잡아 당겨 상기 회동한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동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도 1의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를 이용한 양말 제조시의 파일 형성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제3 파일 미형성 영역 형성단계, 다른 제2 파일 형성 영역 형성단계, 다른 제2 파일 미형성 영역 형성단계, 및 다른 제3 파일 형성 영역 형성단계가 추가된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를 이용한 양말 제조시의 파일 형성방법은, 상기의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를 이용하여, 양말의 편직 중에, 상기 양말의 편직과는 별도로 서로 다른 길이의 복수의 제1 내지 제3 파일을 양말의 서로 다른 영역에 차례대로 더 형성하기 위한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를 이용한 양말 제조시의 파일 형성방법으로서, 편직 니들(51)이 상승하기 전에 제1 실린더(34c1)의 동작으로 제1 로드(34c1r)가 전진하도록 동작하여 제1 헤드(31h)를 전진 이동시키고 제1 헤드(31h)의 전진 이동에 따라 고파일 싱커용 싱커 캠(31)이 제1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 버트(a)를 전진 이동시켜 복수 위치의 파일사 중 가장 높은 위치인 제1 위치에 접해 있는 파일사(y1)를 제1 고파일 니브(b)가 안착시켜, 양말의 발 뒤꿈치 부분의 설정 크기의 영역에 가장 길이가 긴 파일인 복수의 제1 파일이 형성된 제1 파일 형성 영역(61)을 형성하는 제1 파일 형성 영역 형성단계(S1);와 제1 실린더(34c1)의 동작으로 제1 로드(34c1r)가 후진하도록 동작하여 스프링(61)의 복원력으로 제1 헤드(31h)를 후퇴 이동시키고 제1 헤드(31h)의 후퇴 이동에 따라 고파일 싱커용 싱커 캠(31)이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며 전진 이동되었던 고파일 싱커(41)가 원심력으로 후퇴 이동하여 제1 버트(a)를 후퇴 이동시켜 복수 위치의 파일사(y1, y2, y3) 중 어느 파일사도 제1 고파일 니브(b), 제2 고파일 니브(b'), 또는 제3 고파일 니브(b")에 의해 지지되지 않아 파일들이 미형성된 제1 파일 미형성 영역(66c)을 제1 파일 형성 영역(61)의 발가락을 향하는 전방 단부에 인접하여 띠 모양으로 형성하는 제1 파일 미형성 영역 형성단계(S2);와 편직 니들(51)이 상승하기 전에 제2 실린더(34c2)의 동작으로 제2 로드(34c2r)가 전진하도록 동작하여 제2 헤드(32h)를 전진 이동시키고 제2 헤드(32h)의 전진 이동에 따라 중간 파일 싱커용 싱커 캠(32)이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2 버트(a')를 전진 이동시켜 복수 위치의 파일사 중 상기 제2 위치에 접해 있는 파일사(y2)를 제2 고파일 니브(b')가 안착시켜, 상기 제1 파일보다 길이가 짧은 복수의 제2 파일이 형성된 제2 파일 형성 영역(64)을 제1 파일 미형성 영역(66c)의 발가락을 향하는 전방 단부에 인접하여 설정 크기로 형성하는 제2 파일 형성 영역 형성단계(S3);와 제2 실린더(34c2)의 동작으로 제2 로드(34c2r)가 후진하도록 동작하여 스프링(62)의 복원력으로 제2 헤드(32h)를 후퇴 이동시키고 제2 헤드(32h)의 후퇴 이동에 따라 중간 파일 싱커용 싱커 캠(32)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며 전진 이동되었던 중간 파일 싱커(41')가 원심력으로 후퇴 이동하여 제2 버트(a')를 후퇴 이동시켜 복수 위치의 파일사(y1, y2, y3) 중 어느 파일사도 제1 고파일 니브(b), 제2 고파일 니브(b'), 또는 제3 고파일 니브(b")에 의해 지지되지 않아 파일들이 미형성된 제2 파일 미형성 영역(66d)을 제2 파일 형성 영역(64)의 발가락을 향하는 전방 단부에 인접하여 띠 모양으로 형성하는 제2 파일 미형성 영역 형성단계(S4);와 편직 니들(51)이 상승하기 전에 제3 실린더(34c3)의 동작으로 제3 로드(34c3r)가 전진하도록 동작하여 제3 헤드(33h)를 전진 이동시키고 제3 헤드(33h)의 전진 이동에 따라 저파일 싱커용 싱커 캠(33)이 제2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3 버트(a")를 전진 이동시켜 복수 위치의 파일사 중 상기 제3 위치에 접해 있는 파일사(y3)를 제3 고파일 니브(b")가 안착시켜, 상기 제2 파일보다 길이가 짧은 복수의 제3 파일이 형성된 제3 파일 형성 영역(65)을 제2 파일 미형성 영역(66d)의 발가락을 향하는 전방 단부에 인접하여 설정 크기로 형성하는 제3 파일 형성 영역 형성단계(S5);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1 파일 형성 영역 형성단계(S1)에 의해 양말의 발 뒤꿈치 부분의 설정 크기의 영역에 가장 길이가 긴 파일인 복수의 제1 파일이 형성된 제1 파일 형성 영역(61)을 형성하고, 제1 파일 미형성 영역 형성단계(S2)에 의해 파일들이 미형성된 제1 파일 미형성 영역(66c)을 제1 파일 형성 영역(61)의 발가락을 향하는 전방 단부에 인접하여 띠 모양으로 형성하며, 제2 파일 형성 영역 형성단계(S3)에 의해 상기 제1 파일보다 길이가 짧은 복수의 제2 파일이 형성된 제2 파일 형성 영역(64)을 제1 파일 미형성 영역(66c)의 발가락을 향하는 전방 단부에 인접하여 설정 크기로 형성하고, 제2 파일 미형성 영역 형성단계(S4)에 의해 파일들이 미형성된 제2 파일 미형성 영역(66d)을 제2 파일 형성 영역(64)의 발가락을 향하는 전방 단부에 인접하여 띠 모양으로 형성하며, 제3 파일 형성 영역 형성단계(S5)에 의해 상기 제2 파일보다 길이가 짧은 복수의 제3 파일이 형성된 제3 파일 형성 영역(65)을 제2 파일 미형성 영역(66d)의 발가락을 향하는 전방 단부에 인접하여 설정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양말의 특정 영역들인 제1 내지 제3 파일 형성 영역(61, 64, 65)에 파일을 형성하여 쿠션성과 보온성을 부여하되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파일 형성 영역(61, 64, 65)의 각 영역별로 파일의 길이를 변경하여 힘을 받는 영역에 따라 쿠션성과 보온성을 조절할 수 있으면서 제1 내지 제3 버트(a, a', a")를 각각 가지는 서로 인접한 일군의 고파일 싱커(41)와 서로 인접한 일군의 중파일 싱커(41') 및 서로 인접한 일군의 저파일 싱커(41")는, 각각 단일 싱커가 아니라 서로 인접한 일군의 싱커로 되어 있는 것이어서 이들 서로 인접한 일군의 고파일 싱커(41)와 서로 인접한 일군의 중파일 싱커(41') 및 서로 인접한 일군의 저파일 싱커(41")에 의해 파일이 한꺼번에 동시에 형성되므로 파일 형성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1 내지 제3 파일 형성 영역(61, 64, 65) 사이에 띠 모양의 파일 미형성 영역인 제1, 2 파일 미형성 영역(66c, 66d)을 형성하여 파일이 형성된 제1 내지 제3 파일 형성 영역(61, 64, 65) 사이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양말이 제1, 2 파일 미형성 영역(66c, 66d)을 중심으로 접힐 수 있게 하여 양말의 착탈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캡 21. 본체
22. 개방부 인접 캠 23. 외측벽
31. 고파일 싱커용 싱커 캠 32. 중파일 싱커용 싱커 캠
33. 저파일 싱커용 싱커 캠 31h. 제1 헤드
32h. 제2 헤드 33h. 제3 헤드
34. 실린더 하우징 34c1. 제1 실린더
34c1r. 제1 로드 34c2. 제2 실린더
34c2r. 제2 로드 34c3. 제3 실린더
34c3r. 제3 로드 41. 고파일 싱커
41'. 중파일 싱커 41". 저파일 싱커
50. 싱커 베드 61. 제1 스프링
62. 제2 스프링 63. 제3 스프링
a. 제1 버트 a'. 제2 버트
a". 제3 버트 b. 제1 고파일 니브
b'. 제2 고파일 니브 b". 제3 고파일 니브
h1, h2, h3. 높이 h4. 제1 높이
h5. 제2 높이 h6. 제 높이
H1. 제1 힌지 H2. 제2 힌지
y1, y2, y3. 파일사 S1. 제1 파일 형성 영역 형성단계
S2. 제1 파일 미형성 영역 형성단계 S3. 제2 파일 형성 영역 형성단계
S4. 제2 파일 미형성 영역 형성단계 S5. 제3 파일 형성 영역 형성단계
S6. 제3 파일 미형성 영역 형성단계
S7. 다른 제2 파일 형성 영역 형성단계
S8. 다른 제2 파일 미형성 영역 형성단계
S9. 다른 제3 파일 형성 영역 형성단계

Claims (3)

  1. 수평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 홈들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편직 니들(51)들이 배치되어 있는 싱커 베드(50);
    전방 상측에는, 싱커 베드(50)로부터 가장 높은 위치인 제1 위치에 접해 있는 파일사(y1), 제1 위치보다 더 낮은 제2 위치에 접해 있는 파일사(y2), 및 제2 위치보다 더 낮은 제3 위치에 접해 있는 파일사(y3)를 각각 지지하기 위해 저면으로부터 상측 단부까지의 높이를 차례대로 낮아지도록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3 높이(h4, h5, h6)로 하고 있는 제1 내지 제3 고파일 니브(b, b', b")들을 각각 가지며, 후방 단부에서는 저면으로부터 상측 단부까지의 높이가 차례대로 낮아지도록 상이한 높이(h1, h2, h3)로 형성된 제1 내지 제3 버트(a, a', a")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서로 인접한 일군의 고파일 싱커(41), 서로 인접한 일군의 중파일 싱커(41'), 및 서로 인접한 일군의 저파일 싱커(41")를 포함하되, 상기 싱커 베드(50)의 수평 홈들에 적어도 일부분이 배치되어 수평 홈들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파일 싱커;와
    상기 싱커 베드(50)와 파일 싱커를 덮기 위하여 내부 중앙에 개방부를 가지는 상태로 상기 싱커 베드(50)와 파일 싱커 위에 배치되는 도넛 형상의 본체(21)와, 상기 개방부에 인접하여 내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개방부 인접 캠(22)과, 상기 본체(21)의 외측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방부 인접 캠(22)과의 사이에 요입부(20g)를 형성하도록 형성된 외측벽(23)을 포함하는 캡(20);과
    서로 인접한 일군의 고파일 싱커(41)의 제1 버트(a)의 상단부 인접 부위를 일측 단부가 밀어 상기 개방부의 중심을 향해 전진 이동시키도록 상기 외측벽(23) 중 일측에 형성된 제1 힌지(H1)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제1 힌지(H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고 캡(20)의 외측에 위치하는 타측 단부에 제1 헤드(31h)를 구비한 고파일 싱커용 싱커 캠(31)과, 서로 인접한 일군의 중파일 싱커(41')의 제2 버트(a')의 상단부 인접 부위를 일측 단부가 밀어 상기 개방부의 중심축을 향해 전진 이동시키도록 상기 외측벽(23) 중 타측에 형성된 제2 힌지(H2)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제2 힌지(H2)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고 캡(20)의 외측에 위치하는 타측 단부에 제2 헤드(32h)를 구비한 중파일 싱커용 싱커 캠(32)과, 서로 인접한 일군의 저파일 싱커(41")의 제3 버트(a")의 상단부 인접 부위를 일측 단부가 밀어 전진 이동시키도록 상기 외측벽(23) 중 타측에 형성된 제2 힌지(H2)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제2 힌지(H2)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고 캡(20)의 외측에 위치하는 타측 단부에 제3 헤드(33h)를 구비한 저파일 싱커용 싱커 캠(33)을 포함하는 싱커 캠;과
    상기 제1 헤드(31h)를 전진 이동시키도록 신장하고 다시 후퇴 가능한 제1 로드(34c1r)를 가지는 제1 실린더(34c1)와, 상기 제2 헤드(32h)를 전진 이동시키도록 신장하고 다시 후퇴 가능한 제2 로드(34c2r)를 가지는 제2 실린더(34c2)와, 상기 제3 헤드(33h)를 전진 이동시키도록 신장하고 다시 후퇴 가능한 제3 로드(34c3r)를 가지는 제3 실린더(34c3)를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 실린더 하우징(34);과
    제1 내지 제3 로드(34c1r, 34c2r, 34c3r)가 신축에 의해 출몰하는 측면과 제1 내지 제3 헤드(31h, 32h, 33h)의 각각의 사이에 설치된 제1 내지 제3 스프링(61, 62, 63)을 포함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
  2. 제1항의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를 이용하여, 양말의 편직 중에, 상기 양말의 편직과는 별도로 서로 다른 길이의 복수의 제1 내지 제3 파일을 양말의 서로 다른 영역에 차례대로 더 형성하기 위한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를 이용한 양말 제조시의 파일 형성방법으로서,
    편직 니들(51)이 상승하기 전에 제1 실린더(34c1)의 동작으로 제1 로드(34c1r)가 전진하도록 동작하여 제1 헤드(31h)를 전진 이동시키고 제1 헤드(31h)의 전진 이동에 따라 고파일 싱커용 싱커 캠(31)이 제1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 버트(a)를 전진 이동시켜 복수 위치의 파일사 중 가장 높은 위치인 제1 위치에 접해 있는 파일사(y1)를 제1 고파일 니브(b)가 안착시켜, 양말의 발 뒤꿈치 부분의 설정 크기의 영역에 가장 길이가 긴 파일인 복수의 제1 파일이 형성된 제1 파일 형성 영역(61)을 형성하는 제1 파일 형성 영역 형성단계(S1);와
    제1 실린더(34c1)의 동작으로 제1 로드(34c1r)가 후진하도록 동작하여 스프링(61)의 복원력으로 제1 헤드(31h)를 후퇴 이동시키고 제1 헤드(31h)의 후퇴 이동에 따라 고파일 싱커용 싱커 캠(31)이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며 전진 이동되었던 고파일 싱커(41)가 원심력으로 후퇴 이동하여 제1 버트(a)를 후퇴 이동시켜 복수 위치의 파일사(y1, y2, y3) 중 어느 파일사도 제1 고파일 니브(b), 제2 고파일 니브(b'), 또는 제3 고파일 니브(b")에 의해 지지되지 않아 파일들이 미형성된 제1 파일 미형성 영역(66c)을 제1 파일 형성 영역(61)의 발가락을 향하는 전방 단부에 인접하여 띠 모양으로 형성하는 제1 파일 미형성 영역 형성단계(S2);와
    편직 니들(51)이 상승하기 전에 제2 실린더(34c2)의 동작으로 제2 로드(34c2r)가 전진하도록 동작하여 제2 헤드(32h)를 전진 이동시키고 제2 헤드(32h)의 전진 이동에 따라 중간 파일 싱커용 싱커 캠(32)이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2 버트(a')를 전진 이동시켜 복수 위치의 파일사 중 상기 제2 위치에 접해 있는 파일사(y2)를 제2 고파일 니브(b')가 안착시켜, 상기 제1 파일보다 길이가 짧은 복수의 제2 파일이 형성된 제2 파일 형성 영역(64)을 제1 파일 미형성 영역(66c)의 발가락을 향하는 전방 단부에 인접하여 설정 크기로 형성하는 제2 파일 형성 영역 형성단계(S3);와
    제2 실린더(34c2)의 동작으로 제2 로드(34c2r)가 후진하도록 동작하여 스프링(62)의 복원력으로 제2 헤드(32h)를 후퇴 이동시키고 제2 헤드(32h)의 후퇴 이동에 따라 중간 파일 싱커용 싱커 캠(32)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며 전진 이동되었던 중간 파일 싱커(41')가 원심력으로 후퇴 이동하여 제2 버트(a')를 후퇴 이동시켜 복수 위치의 파일사(y1, y2, y3) 중 어느 파일사도 제1 고파일 니브(b), 제2 고파일 니브(b'), 또는 제3 고파일 니브(b")에 의해 지지되지 않아 파일들이 미형성된 제2 파일 미형성 영역(66d)을 제2 파일 형성 영역(64)의 발가락을 향하는 전방 단부에 인접하여 띠 모양으로 형성하는 제2 파일 미형성 영역 형성단계(S4);와
    편직 니들(51)이 상승하기 전에 제3 실린더(34c3)의 동작으로 제3 로드(34c3r)가 전진하도록 동작하여 제3 헤드(33h)를 전진 이동시키고 제3 헤드(33h)의 전진 이동에 따라 저파일 싱커용 싱커 캠(33)이 제2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3 버트(a")를 전진 이동시켜 복수 위치의 파일사 중 상기 제3 위치에 접해 있는 파일사(y3)를 제3 고파일 니브(b")가 안착시켜, 상기 제2 파일보다 길이가 짧은 복수의 제3 파일이 형성된 제3 파일 형성 영역(65)을 제2 파일 미형성 영역(66d)의 발가락을 향하는 전방 단부에 인접하여 설정 크기로 형성하는 제3 파일 형성 영역 형성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를 이용한 양말 제조시의 파일 형성방법.


  3. 삭제
KR1020230002615A 2023-01-09 2023-01-09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 및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를 이용한 양말 제조시의 파일 형성방법 KR102564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2615A KR102564055B1 (ko) 2023-01-09 2023-01-09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 및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를 이용한 양말 제조시의 파일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2615A KR102564055B1 (ko) 2023-01-09 2023-01-09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 및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를 이용한 양말 제조시의 파일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4055B1 true KR102564055B1 (ko) 2023-08-09

Family

ID=87566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2615A KR102564055B1 (ko) 2023-01-09 2023-01-09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 및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를 이용한 양말 제조시의 파일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0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484Y1 (ko) * 2001-02-01 2001-07-19 우병노 파일직 양말 및 그의 제조를 위한 양말편직기
KR100374905B1 (ko) 2001-02-01 2003-03-15 우병노 파일직 양말 및 그의 제조를 위한 양말편직기
KR20090080717A (ko) * 2008-01-22 2009-07-27 우병노 양말 편직기의 싱커 및 이를 이용한 양말 편직 방법
KR20130094258A (ko) * 2012-02-15 2013-08-23 오카모토 가부시키가이샤 파일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편직기 및 상이한 파일 길이들을 가지는 편직 패브릭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484Y1 (ko) * 2001-02-01 2001-07-19 우병노 파일직 양말 및 그의 제조를 위한 양말편직기
KR100374905B1 (ko) 2001-02-01 2003-03-15 우병노 파일직 양말 및 그의 제조를 위한 양말편직기
KR20090080717A (ko) * 2008-01-22 2009-07-27 우병노 양말 편직기의 싱커 및 이를 이용한 양말 편직 방법
KR20130094258A (ko) * 2012-02-15 2013-08-23 오카모토 가부시키가이샤 파일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편직기 및 상이한 파일 길이들을 가지는 편직 패브릭의 제조방법
JP2013167037A (ja) * 2012-02-15 2013-08-29 Okamoto Kk パイル長を変化できる編機及びパイル長を変化させた編地の製造方法
KR101967847B1 (ko) 2012-02-15 2019-04-10 오카모토 가부시키가이샤 파일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편직기 및 상이한 파일 길이들을 가지는 편직 패브릭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694B1 (ko) 다이얼 상의 니들을 구비하는 양말용 원형 편직기
EP2638193B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men's socks, of the type with needles on the dial
EP2452005B1 (en) Single cylinder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making socks
US3283540A (en) Needle selecting devices
EP0784113A1 (en) Single-cylinder circular knitting machine
KR102564055B1 (ko)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 및 파일직 양말 제조용 편직기를 이용한 양말 제조시의 파일 형성방법
JPS6214663B2 (ko)
JP2011511171A (ja) スペーサ編み布とスペーサ編み布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編機
KR101182483B1 (ko) 스페이서 직물의 제조를 위한 원형 편직기
US10011927B2 (en) Stitch-size controllable knitt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knitted fabric
US6286342B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device for producing tubular items closed at an axial end, and method for producing tubular items
US3877256A (en) Knitting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cylinder and dial needles
US3605446A (en) Rib and terry knitting machine and method
JPS641575B2 (ko)
US2207463A (en) Selective control of sinkers, needles, and jacks
KR200443714Y1 (ko) 날개사용 파일직물 양말편직기의 싱커
US3205683A (en) Pattern means for knitting machines
GB2111539A (en)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single-bed patterned article of knitwear
EP0875613A2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device for transferring loops of formed knitting from needles of one needle cylinder half to needles of the other needle cylinder half
KR200405496Y1 (ko) 양말편직기 및 환편기
JPH05247803A (ja) タオル編み目の模様を作製するための装置を備えたソックス、ストッキング等を製造する丸編み機及び同丸編み機用シンカ
US3372562A (en) Sinker operating control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JP3069788B2 (ja) 筒状編地用パイル編機
US3181940A (en) Device for forming the shaped reinforced parts of stockings on circular machines forthe manufacture of stockings or socks
WO2020212818A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en-work knitted fabric o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