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3084A - 외벽체와 인접한 슬라브의 코너부용 결로방지 단열재 - Google Patents

외벽체와 인접한 슬라브의 코너부용 결로방지 단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3084A
KR20020063084A KR1020010003837A KR20010003837A KR20020063084A KR 20020063084 A KR20020063084 A KR 20020063084A KR 1020010003837 A KR1020010003837 A KR 1020010003837A KR 20010003837 A KR20010003837 A KR 20010003837A KR 20020063084 A KR20020063084 A KR 20020063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condensation
slab
wall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엔씨
어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엔씨, 어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엔씨
Priority to KR1020010003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3084A/ko
Publication of KR20020063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08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41Elements for window or door openings, or for corners of the buil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슬라브의 코너부에 매립되어서 결로가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면서도 풀이나 접착제로서 마감용 벽지를 견실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천장마감공사에 따른 시공여건을 개선하여 주는 동시에 시공품질을 향상시켜 주는 외벽체와 인접한 슬라브의 코너부용 결로방지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의 기술구성상의 특징은; 발포성합성수지(11)를 소재로하여 그 길이가 길고 폭이 짧게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합성수지(11)와 상응하는 폭과 길이를 가지는 별도의 합성수지표면재(12)를 구비하고, 상기 발포성합성수지(11)의 하부면에 상기 합성수지표면재(12)가 표출되도록 일체로 접합시켜서, 상기 합성수지표면재(12)를 매개로하여 풀이나 접착제로서 마감용 벽지(3)를 견실하게 부착시켜서 마감할 수 있도록 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벽체와 인접한 슬라브의 코너부용 결로방지 단열재{Condensation-Proof Panel for Concrete Slab Corners}
본발명은 외벽체와 인접한 슬라브의 코너부에 매립 설치되어서 그 슬라브의 코너부에 결로가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면서도, 천장마감을 위한 마감용 벽지가 견실하게 부착되도록 하여 주는 외벽체와 인접한 슬라브의 코너부용 결로방지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결로라 함은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가 노점온도 이하에 도달하면 물방울이 맺히는 현상을 의미한다. 즉, 대기 중에는 수증기를 포함한 습공기가 존재하며, 이 습공기는 온도에 따라서 포함할 수 있는 수증기의 량이 변화되는 특성으로 인하여 노점온도에서 최대한의 수증기를 포함한 포화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때 습공기가 접하고 있는 물체의 온도가 노점온도 보다 낮으면 그 물체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된다.
콘크리트 건축물의 경우에는 겨울철 영하의 외기온과 접하여 노점온도를 유지하는 외벽체의 표면에 실내의 습공기가 접촉하여서 결로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건축물에서 결로가 발생되는 외벽체의 내표면에는 발포성합성수지로 만들어진 판상단열재를 설치하고, 판상단열재의 내면에 석고보드와 같은 내화재를 설치하며, 내화재의 내면에 풀이나 접착제로서 마감용 벽지를 부착시켜서 마감하게 되므로, 외벽체를 통하여 내기온과 외기온이 열교환됨을 차단하여서 실내에 인위적으로 조성된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켜 줄 뿐만 아니라, 외벽체의 내표면에 실내의 습공기가 접촉하지 못하도록 차단하여서 그 외벽체의 내표면에 결로가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주게 되었다.
한편, 콘크리트 건축물에서 외벽체와 인접한 슬라브의 코너부 역시도 겨울철에 영하의 외기온과 접하는 외벽체로부터 낮은 온도를 전달받아서 노점온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외벽체와 인접한 슬라브의 코너부 표면에 실내의 습공기가 접촉하여서 결로가 발생되었다.
종래에는 도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벽체와 인접하여서 결로가 발생되는 슬라브의 코너부(1)에 발포성합성수지(110)를 소재로하여 그 길이가 길고 폭은 짧게 형성되는 결로방지 단열재(100)를 일체로 매립하여서, 슬라브의 코너부(1) 표면에 실내의 습공기가 접촉하지 못하도록 차단시켜 주게 되므로 그 슬라브의 코너부 표면에 결로가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외벽체와 인접한 슬라브의 코너부(1)에 설치되는 결로방지 단열재(100)는 풀이나 접착제로서 이질의 마감재를 부착시켜서 마감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발포성합성수지(110)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결로방지 단열재 (100)가 설치된 슬라브의 코너부(1)에 마감용 벽지(3)를 부착시켜서 천장마감하는 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즉, 외벽체와 인접한 슬라브의 코너부(1)에 설치되는 결로방지 단열재(100)는 단면내에 기포군이 존재하여서 기계적인 성질이 소프트하고 흡수성을 가지는 발포성합성수지(110)로 만들어지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 결로방지 단열재(100)의 표면에 도포되는 풀이나 접착제가 원래의 접착능력을 충실히 발휘하기 못하기 때문에, 슬라브의 하부면 전체를 마감용 벽지(3)로서 마감하는 과정에서, 슬라브의 코너부(1)에 매립된 결로방지 단열재(100) 표면에 마감용 벽지(3)를 견실하게 부착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결로방지 단열재(100)의 표면에 부착된 마감용 벽지(3)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들뜨는 하자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발명은 슬라브의 코너부에 매립되어서 결로가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면서도 풀이나 접착제로서 마감용 벽지를 견실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천장마감공사에 따른 시공여건을 개선하여 주는 동시에 시공품질을 향상시켜 주는 외벽체와 인접한 슬라브의 코너부용 결로방지 단열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결로방지 단열재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발명 결로방지 단열재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발명 결로방지 단열재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4는 본발명 결로방지 단열재가 매립된 슬라브의 코너부에 마감용 벽지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결로방지 단열재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결로방지 단열재 11: 발포성합성수지
12: 합성수지표면재 12a: 폴리에틸렌수지단판
12b: 격벽 12c: 중공부
발포성합성수지(11)를 소재로하여 그 길이가 길고 폭이 짧게 형성되는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발명의 외벽체와 인접한 슬라브의 코너부용 결로방지 단열재(10)는 도2 및 도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발포성합성수지(11)와 상응하는 폭과 길이를 가지는 별도의 합성수지표면재(12)를 구비하고, 상기 발포성합성수지(11)의 하부면에 상기 합성수지표면재(12)가 표출되도록 일체로 접합시켜서, 상기 합성수지표면재(12)를 매개로하여 풀이나 접착제로서 마감용 벽지(3)를 견실하게 부착시켜서 마감할 수 있도록 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다시말해서, 본발명의 결로방지 단열재(10)는 도4에서와 같이 발포성합성수지(11)의 하부면에 기계적인 성질이 딱딱하고 표면이 매끄러운 합성수지표면재(12)를 갖추어서, 그 합성수지표면재(12)에 도포되는 풀이나 접착제가 이질의 마감용 벽지(3)에 대하여 원래의 접착능력을 충실히 발휘할 수 있게 하여 주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외벽체와 인접한 슬라브의 코너부(1)에 매립되어서 결로가 발생됨을 방지하여 줌은 물론이고, 슬라브의 하부면에 마감용 벽지(3)를 부착하여서 마감천장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슬라브의 코너부(1)에 매립되어 있는 결로방지 단열재(10)에 이질의 마감용 벽지(3)를 간편하고 견실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은 첫째 외벽체와 인접한 슬라브의 코너부(1)에 발생되는 결로에 의하여 마감용 벽지(3)가 지저분하게 오염됨을 예방하여서 청결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둘째 외벽체와 인접한 슬라브의 코너부(1)에 이질의 마감용 벽지(3)를 간편하고 견실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서 작업능률을 향상시켜 주는 동시에, 슬라브의 코너부(1)에 부착된 마감용 벽지(3)가 탈락되어서 들뜨는 하자가 발생됨을 예방하여 주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은 외벽체이고, 4는 판상단열재이며, 5는 내화재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발포성합성수지(11)는 외벽체와 접한 슬라브의 코너부(1)를 단열하여 주며, 실내의 습공기가 접촉하지 못하도록 차단하여서 결로가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본발명에서 상기 발포성합성수지(11)는 슬라브의 코너부(1)를 따라 대략 20-40㎝ 정도의 폭으로서 길게 매립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발포성합성수지(11)로는 아이소핑크나 스치로풀로 불리우는 것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상기 합성수지표면재(12)는 상기 발포성합성수지(11)의 하부면에 일체로 접합되어서 이질의 마감용 벽지(3)를 견실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발명에서 상기 합성수지표면재(12)는 도포되는 풀이나 접착제가 원래의 접착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경질의 폴리에틸렌수지단판(12a)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표면재(12)는 기계적인 성질이 딱딱하고 표면이 매끄러워서 도포되는 풀이나 접착제가 원래의 접착능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이질의 마감용 벽지(3)를 견실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5는 본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합성수지표면재(12)는 1쌍의 폴리에틸렌수지단판(12a)들이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그 폴리에틸렌수지단판(12a)들 사이의 등간격마다 구획되는 격벽(12b)으로서 단면내에 중공부 (12c)를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와 같은 본발명의 변형예에 의하면, 상기 합성수지표면재(12)는 그 단면내에 중공부(12c)를 가지는 중공판으로 만들어져서 충격이나 하중에 대응하는 구조적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취급시에 돌발적인 충격이나 하중에 의하여 훼손되거나 변형됨을 방지하여 주어서, 마감용 벽지(3)가 부착될 표면을 항시 원래의 상태로 유지하여 주므로, 이후에 마감용 벽지(3)를 부착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는 데 지장이 없도록 하여 주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발명의 외벽체와 인접한 슬라브의 코너부용 결로방지 단열재는 발포성합성수지의 하부면에 일체로 접합된 합성수지표면재를 가져서, 기본적으로 슬라브의 코너부에 매립되어서 결로가 발생됨을 방지하여 청결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줄 뿐만 아니라, 슬라브의 코너부에 이질의 마감용 벽지를 간편하면서도 견실하게 부착시켜서 마감할 수 있게 하여 주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발포성합성수지(11)를 소재로하여 그 길이가 길고 폭이 짧게 형성되는 점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합성수지(11)와 상응하는 폭과 길이를 가지는 별도의 합성수지표면재(12)를 구비하고, 상기 발포성합성수지(11)의 하부면에 상기 합성수지표면재 (12)가 표출되도록 일체로 접합시켜서, 상기 합성수지표면재(12)를 매개로하여 풀이나 접착제로서 마감용 벽지(3)를 견실하게 부착시켜서 마감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체와 인접한 슬라브의 코너부용 결로방지 단열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표면재(12)는 경질의 폴리에틸렌수지단판 (12a)으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체와 인접한 슬라브의 코너부용 결로방지 단열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표면재(12)는 1쌍의 폴리에틸렌수지단판(12a)들이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그 폴리에틸렌수지단판(12a)들 사이의 등간격마다 구획되는 격벽(12b)으로서 단면내에 중공부(12c)를 가지도록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체와 인접한 슬라브의 코너부용 결로방지 단열재.
KR1020010003837A 2001-01-26 2001-01-26 외벽체와 인접한 슬라브의 코너부용 결로방지 단열재 KR200200630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837A KR20020063084A (ko) 2001-01-26 2001-01-26 외벽체와 인접한 슬라브의 코너부용 결로방지 단열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837A KR20020063084A (ko) 2001-01-26 2001-01-26 외벽체와 인접한 슬라브의 코너부용 결로방지 단열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084A true KR20020063084A (ko) 2002-08-01

Family

ID=27692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837A KR20020063084A (ko) 2001-01-26 2001-01-26 외벽체와 인접한 슬라브의 코너부용 결로방지 단열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308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212A (ko) * 2002-02-04 2002-03-29 이선일 발코니 천정 복합단열판 설치공법
KR100397849B1 (ko) * 2001-03-31 2003-09-13 현대건설주식회사 건물벽체의 결로 방지를 위한 모서리 단열시공방법
KR100643592B1 (ko) * 2002-02-21 2006-11-10 (주)청원씨엠에스 결로 방지를 위한 벽체의 코너부용 복합단열판 시공방법
KR101718946B1 (ko) 2016-07-27 2017-03-23 이종철 미장용의 결로방지용 단열재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98A (ja) * 1993-05-28 1995-01-06 Uchiyama Shoji Kk 結露防止壁面構造
JPH09324491A (ja) * 1996-06-06 1997-12-16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建築構造用複合パネル材
JPH09328826A (ja) * 1996-06-11 1997-12-22 Sekisui Chem Co Ltd 壁内への通気空間形成部材
JPH10169082A (ja) * 1996-12-06 1998-06-23 Nara Pref Gov 軽量木質系材料
JPH10244609A (ja) * 1997-03-03 1998-09-14 Daicel Chem Ind Ltd 複合断熱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断熱工法
JPH11336212A (ja) * 1998-05-22 1999-12-07 Kubota Corp 建物外壁用断熱パネル及び断熱工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98A (ja) * 1993-05-28 1995-01-06 Uchiyama Shoji Kk 結露防止壁面構造
JPH09324491A (ja) * 1996-06-06 1997-12-16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建築構造用複合パネル材
JPH09328826A (ja) * 1996-06-11 1997-12-22 Sekisui Chem Co Ltd 壁内への通気空間形成部材
JPH10169082A (ja) * 1996-12-06 1998-06-23 Nara Pref Gov 軽量木質系材料
JPH10244609A (ja) * 1997-03-03 1998-09-14 Daicel Chem Ind Ltd 複合断熱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断熱工法
JPH11336212A (ja) * 1998-05-22 1999-12-07 Kubota Corp 建物外壁用断熱パネル及び断熱工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849B1 (ko) * 2001-03-31 2003-09-13 현대건설주식회사 건물벽체의 결로 방지를 위한 모서리 단열시공방법
KR20020024212A (ko) * 2002-02-04 2002-03-29 이선일 발코니 천정 복합단열판 설치공법
KR100643592B1 (ko) * 2002-02-21 2006-11-10 (주)청원씨엠에스 결로 방지를 위한 벽체의 코너부용 복합단열판 시공방법
KR101718946B1 (ko) 2016-07-27 2017-03-23 이종철 미장용의 결로방지용 단열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70509C (en) Continuously insulated wall assembly
US5758464A (en) Insulation system for metal furred walls
CA2774897A1 (en) Moisture control strip
RU2640834C1 (ru) Многослойный реставрационный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KR200409418Y1 (ko) 건축물의 결로방지용 복합단열재
KR20020063084A (ko) 외벽체와 인접한 슬라브의 코너부용 결로방지 단열재
KR101089315B1 (ko) 건식벽체 차음용 스틸스터드 구조
WO2014030111A1 (en) A modular assembly for the construction of insulated building structures
KR100835338B1 (ko) 조적식 단열 황토보온블럭
KR20140101034A (ko) 무기 발포 판재를 이용한 내단열 밀착 시공방법
KR200360846Y1 (ko) 결로 방지를 위한 벽체의 코너부용 복합단열판
KR100643592B1 (ko) 결로 방지를 위한 벽체의 코너부용 복합단열판 시공방법
JP2003049497A (ja) 断熱パネル、それを用いた断熱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352169Y1 (ko) 단차형상을 가지는 건식벽체 마감패널의 이음구조
KR100407870B1 (ko) 차음 성능과 기밀성능이 향상된 경량 벽체 구조
KR20020024212A (ko) 발코니 천정 복합단열판 설치공법
KR200295264Y1 (ko) 결로 방지를 위한 벽체 및 슬라브의 코너부용 복합단열판
KR200349415Y1 (ko) 결로 방지를 위한 벽체 및 슬라브의 코너부용 복합단열판
JP4905966B2 (ja) 建物の気密断熱構造
KR20010077564A (ko) 결로방지시트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389568B1 (ko) 지하구조물 설치용 패널
KR200210950Y1 (ko) 단열재 연결부재
KR101279157B1 (ko) 건축물의 외벽 단열 시스템
KR102362746B1 (ko) 건식 단열 욕실구조
KR200228546Y1 (ko) 차음 성능과 기밀성능이 향상된 경량 벽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