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2816A - 직렬 데이터 버스용 송수신기 - Google Patents

직렬 데이터 버스용 송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2816A
KR20020062816A KR1020020003242A KR20020003242A KR20020062816A KR 20020062816 A KR20020062816 A KR 20020062816A KR 1020020003242 A KR1020020003242 A KR 1020020003242A KR 20020003242 A KR20020003242 A KR 20020003242A KR 20020062816 A KR20020062816 A KR 20020062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ceiver
data bus
line
error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3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2085B1 (ko
Inventor
무스마티아스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20062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0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Bidirectional Digital Transmission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직렬 데이터 버스용 송수신기의 제 1 실시예에서, 에러 관리 수단(1)이 제공되어, 데이터 버스 라인(2,3)이 활성 상태이며 수신 라인이 비활성 버스임을 동시에 알릴 때, 에러 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에러 신호에 의해, 송수신기는 데이터 버스 상에서 더 이상 활성 상태로 동작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기의 제 2 실시예에서, 에러 관리 수단(1)이 이 송수신기 내에 제공되고, 상기 에러 관리 수단은 타이머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머 회로는, 전송 라인이 사전결정된 기간보다 긴 기간 동안 활성 상태로 될 때, 에러 신호를 트리거하며, 오직 전송 라인이 비활성 버스임을 신호로 알리며 수신 라인은 활성 버스임을 신호로 알릴때에만, 상기 에러 신호는 취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직렬 데이터 버스용 송수신기{TRANSCEIVER WITH MEANS FOR ERROR MANAGEMENT}
본 발명은 직렬 데이터 버스용 송수신기(a transceiver)에 관한 것이며, 상기 송수신기는, 전송 라인 및 수신 라인을 통해, 데이터 버스의 프로토콜(protocol)을 관리하는 프로토콜 제어기에 접속된다. 송수신기는 또한 데이터 버스(data bus)의 라인(lines)에도 결합된다. 또한, 송수신기는 에러 관리(error management) 수단을 포함한다.
많은 직렬 버스 시스템에서, 프로토콜 제어기와 같은 프로토콜 프로세스를 위한 구성 요소와, 송수신기 내에 제공되고 필수적인 라인 구동기(line drivers)는 개별적으로 실현된다. 이로 인해, 예를 들면, 동케이블(copper cables) 또는 광 라인(optical lines)과 같은 다른 매체를 선택할 때, 동일한 프로토콜 제어기가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오직 송수신기만이 알맞게 적응되면 된다는 장점이 있다.
프로토콜 제어기와 송수신기를 분리시킴으로써, 이 둘 간의 정보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교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전송 라인이 제공되는데, 프로토콜 제어기가 전송 라인을 통해 송수신기에 기록 프로세스가 버스 상에서 수행되어야 함을 알린다. 이와 반대로, 송수신기는 버스 상의 데이터를 수신하였음을 수신 라인 상에서 신호로 알린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면, 차량에서 특히 사용되는 CAN 버스용 많은 송수신기 및 프로토콜 제어기에 제공된다.
바로 이렇게 사용되기 때문에, 버스 시스템의 가용성이 중요하다. 버스 시스템의 신뢰성을 개선하는 다양한 방법이 알려져 있다.
물리적 측면에 대해 말하자면, 즉, 프로토콜 제어기 및 송수신기 간을 상술한 바대로 접속하면, 전송 라인 및/또는 수신 라인이 방해될 수 있다. 이로 인해,프로토콜 제어기와 송수신기, 이들 두 구성 요소 간의 또는 버스 시스템 내의 통신이 방해되어 버스 시스템이 마비될 수 있다.
집적 회로로 실현되고, 타입 번호가 TJA 1050 및 TJA 1054인 일부 필립스 송수신기에서, 가령, 전송 라인이 활성 상태로 고정되기(clamped) 때문에, 송수신기가 영구적으로 활성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전 주의가 취해졌다. 실제로, 영구적으로 활성 상태인 전송 라인은 오직 에러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우세 전송 시간(dominant transmission time)이 보통은 오직 에지가 발생할 정도로 제한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송 라인이 영구적으로 활성 상태에 있을 때, 결국에는 단락 회로(a short-circuit)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타이머(timer)가 상기 IC 타입 내에서 시작되고, 상기 타이머가 전송 라인의 활성 상태를 조사하며, 사전결정된 시간 후에 송수신기의 구동기 출력을 스위치 오프(switch off)한다. 전송 라인이 "비활성" 상태를 재개하자마자, 이러한 해결법(solution)에서 상기 구동기 출력은 다시 활성 상태로 되고, 타이머는 리세트된다.
이러한 종래 방식은, 전송 라인이 영구적으로 활성 상태로 고정되는 에러 상황에서만 충분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추가적인 에러가 수신 라인 및/또는 전송 라인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에러는 이러한 종래 기술 방식으로 해결될 수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에러 상황, 특히 송수신기 및 프로토콜 제어기 간의 수신 라인에서 발생하는 에러 상황을 해결할 수 있으며, 그러한 에러 상황에서 데이터 버스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송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러한 목적이, 청구 범위 제 1 항의 다음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직렬 데이터 버스용 송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전송 라인 및 수신 라인을 통해 데이터 버스 프로토콜을 관리하는 프로토콜 제어기에 접속되고 상기 데이터 버스의 라인에 결합되고, 상기 송수신기가 에러 관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에러 관리 수단은 데이터 버스 라인이 활성 상태에 있음을 인식함과 함께 상기 수신 라인이 동시에 비활성 버스임을 신호로 알릴 경우 에러 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에러 신호는 상기 송수신기가 데이터 버스 상에서 더 이상 활성 상태로 동작하지 않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수신 라인(RXD)가 비활성 상태로 영구적으로 고정될 때의 에러 상황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이 경우, 프로토콜 제어기는 버스가 비어(free) 있다고 가정하고, 임의의 순간에 데이터 버스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시작할 것이다. 이로써 데이터 버스 상에서 가능한 전송을 할 수 없게 되고, 버스 시스템의 가용성은 완전히 거부(complete rejection)될 때까지 제한된다. 이를 피하기 위해, 에러 관리 수단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송수신기 내에 제공된다. 이 에러 관리 수단은 데이터 버스 라인들이 동시에 활성 상태인지 그리고 수신 라인이 비활성 버스임을 알리는지를 체크(check)한다. 이러한 상황이 바로 상술된 에러 상황이며, 이 상황에서는 데이터 라인은 비활성 상태로 고정되지만, 실제로 데이터 버스는 활성 상태이다. 이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에러 관리 수단은 데이터 버스가 프로토콜 제어기 또는 송수신기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상기 에러 관리 수단은 송수신기가 더 이상 데이터 버스 상에서 활성 상태로 동작하지 않게 하는 에러 신호를 공급하고, 이로 인해 데이터 버스에 어떠한 우세한 비트(dominant bits)도 전송되지 않게 한다. 이로써, 상술된 에러 상황에 대해 수신 라인을 비활성 상태로 고정(clamping)시켰기 때문에, 송수신기 또는 프로토콜 제어기가 데이터 버스에 데이터를 더 이상 전송할 수 없고, 버스 상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통신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버스 상의 통신이 영향을 받기 전에 에러 상태가 먼저 인식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상술된 목적은 청구 범위 제 2 항의 다음 특징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해 해결된다.
직렬 데이터 버스용 송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전송 라인 및 수신 라인을 통해 데이터 버스 프로토콜을 관리하는 프로토콜 제어기에 접속되고 데이터 버스의 라인에 결합되며, 상기 송수신기는 에러 관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에러 관리 수단은 타이머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머 회로는 전송 라인이 사전결정된 기간보다 긴 기간 동안 활성 상태에 있게 되면 에러 신호를 트리거하며, 상기 에러 신호에 의해, 송수신기는 데이터 버스 상에서 더 이상 활성 상태로 동작하지 않으며, 상기 에러 신호는 오직 전송 라인이 비활성 버스임을 알리며 수신 라인이 활성 버스임을 알릴 경우에만 취소될 수 있다.
상술된 유형의 에러에 대한 다른 가능한 원인은 수신 라인이 전송 라인과 고정(clamp)되는 경우, 즉, 이 둘 간이 단락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또한, 전송 라인이 활성 상태로 영구적으로 고정되는 경우도 가능한 원인이 될 수 있다.
이 두 경우에, 전송 라인은 영구적으로 활성 상태가 되어 버스는 방해(disturb)된다. 전송 라인이 활성 상태일 경우에, 이러한 효과는 즉각적으로 발생한다. 수신 라인 및 전송 라인이 함께 결합되면(단락되면) 임의의 참여자가 전송을 시작하자마자, 피드백이 발생하는데, 그 이유는 현 버스 상태가 수신 라인으로 피드백되고, 수신 라인에서 전송 라인으로의 이러한 피드백에 의해 버스 상태가 더욱 활성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문제점은 해결되는데, 상기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기는 에러 관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에러 관리 수단은 전송 라인이 사전결정된 기간보다 긴 기간 동안 활성 상태가 될 경우 에러 신호를 트리거하고, 상기 에러 신호는 상기 송수신기가 데이터 버스 상에서 더 이상 활성 상태로 동작하지 않게 한다. 현재 기술 수준과는 대조적으로, 이러한 에러 신호는 시간에 의존하여 소거되지 않고, 전송 라인이 비활성 버스임을 알리고 수신 라인은 활성 버스임을 알릴 때까지 유지된다.
에러 상태를 소거하기 위한, 이러한 조건은 필수적인데, 그 이유는 현 기술수준에서 에러 상태가 인식된 후에 버스가 다시 릴리스(release)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해결법에서, 문제가 다시 제거되었기 때문에 타이머가 리세트된다. 종래 기술의 해결법에서, 데이터 버스 상에서 후속하여 발생하는 후속 전송 시도는 이러한 싸이클을 다시 시작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해결법으로 실제적인 문제, 즉, 데이터 버스의 방해는 제거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법에서, 에러 상태가 확실히 제거되기 전까지는 에러 신호가 소거되지 않는다. 이는 한편으로 수신 라인이 활성 버스임을 알리고, 다른 한편으로 전송 라인이 비활성일 경우이다.
청구 범위 제 3 항에 규정된 제 1 실시예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 라인이 활성 버스임을 알릴 때 에러 신호가 스위치 오프(switch off)된다. 이 경우에, 수신 라인을 활성 상태로 고정하는 것이 취소되며, 방해가 제거된다.
에러 상황일 때에, 단순하고 신뢰할만한 방식으로 송수신기에 의해 행해지며 프로토콜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전송이 차단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청구 범위 제 4 항으로 규정된 본 발명의 두 실시예와 공통적인 점을 갖는 다른 실시예는 송수신기에서 버스 전송 상태가 에러 신호가 발생할 때 비활성 상태로 전환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로써, 버스 상에서 활성 상태의 영향이 차단된다.
두 실시예와 공통적인 점을 갖는, 청구 범위 제 5 항에서 규정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에러 신호가 에러 라인을 통해 외부로 신호로 보내진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는 특히 프로토콜 제어기가 추가적인 전송을 시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에러 상태임을 프로토콜 제어기에 알리고, 애플리케이션에 에러 버스 상태임을 알리는데 유리하다.
적어도 하나의 버스 참여자가 다시 활성 상태로 전송하여, 예상된 신호가 전송 및 수신 라인에서 발생할 경우에만 에러 상태가 소거될 수 있다. 에러를 제거하는 순간에 어떤 다른 참여자도 시스템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 때까지 방해된 노드는 에러가 제거된 후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에러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에러 상태를 해제(lift)하기 위해, 본 발명의 두 실시예는 청구 범위 제 6 항에서 규정된 바와 같은 제어 라인을 제공하며, 상기 제어 라인의 활성화는 송수신기 내의 에러 관리 수단을 리세트하여, 에러 신호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한다. 에러 상태는 이로써 전송 라인의 제어 하에서 그리고 에러 상황에서 리세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 및 다른 측면은 이후에 설명될 실시예를 참조하여 자명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에러 관리 수단(1)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직렬 데이터 버스용 송수신기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XD : 수신 라인TXD : 전송 라인
1 : 에러 관리 수단2, 3 : 데이터 버스 라인
4 : 전송기5, 6 : 버스 전송 단
7 : 차동 증폭기11 : 제 1 AND 게이트
14 : 플립 플롭17 : 제 2 AND 게이트
도면에서 도시된 실시예는 차량에서 사용되는 CAN 데이터 버스이며, 상기 CAN 데이터 버스는 우세한 비트(dominant bits)가 차동적으로 전송되는 두 와이어 버스(two-wire bus)이다.
이를 위해서, 제 1 데이터 버스 라인(2)(CANH)이 제공되며, 제 2 데이터 버스 라인(3)(CANL)이 제공된다. 비트가 데이터 버스 라인 상에서 전송될 때, 제 1 데이터 버스 라인(2)의 전위는 증가하고, 제 2 데이터 버스 라인(3)의 전위는 감소한다.
도 1에서 도시된 송수신기는 제 1 버스 전송 단(5) 및 제 2 버스 전송 단(6)을 제어하는 전송기(4)를 포함한다. 제 1 버스 전송 단(5)은 양의 기준 전위(positive reference potential)에 결합되며, 제 2 버스 전송 단(6)은 기준 전위에 접속된다. 활성 비트가 전송되어야 할 경우, 전송기(4)는 두 전송 단(5,6)을 제어하여 대응하는 전위 이동이 두 버스 라인(2,3) 상에서 수행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전송기(4)는 전송 라인(TXD)을 통해 프로토콜 제어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대응하는 방식으로 제어된다.
프로토콜 제어기(도시되지 않음)는 데이터 버스 프로토콜과 부합되게 데이터 버스 상의 전송 및 수신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송수신기는 프로토콜 제어기에 의해 제어된다.
도 1에 도시된 블록도는 또한 차동 증폭기(7)를 도시하는데, 이 차동 증폭기는 그의 반전 출력이 상태 0으로 될 때, 데이터 버스, 즉, 두 데이터 버스(2,3)가 열세적(recessive)으로 됨을 알린다. 그러나, 차동 증폭기(7)가 하이 레벨을 갖는 신호를 공급할 때, 차동 증폭기는 우세한 비트가 데이터 버스 상에서 전송됨을 알린다. 이러한 신호는 두 트랜지스터(8,9)를 포함하는 푸쉬-풀 구동기 단(a push-pull driver stage)을 통해 수신 라인(RXD) 상으로 알려진다. 이 수신 라인은 특히 프로토콜 제어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측정된다. 이와 같이, 프로토콜 제어기는 수신 라인(RXD) 상에서 수신된 신호를 통해 어떤 프로세스가 데이터 버스 라인(2,3) 상에서 발생하는지를 언제라도 알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 버스 시스템은 예를 들면 모터 차량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특히 라인들 간의 단락으로 발생하는 에러가 데이터 버스 통신을최소로 방해하는 경우 특히 그 중요성이 인정된다. 데이터 버스 라인(2,3) 상의 에러에 대해, 많은 해결 방안이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다. 도면의 송수신기와 프로토콜 제어기가 개별적으로 구성된, 도 1에서 도시된 해결 방안에서, 가령, 송수신기와 프로토콜 제어기 간의 전송 및 수신 라인 중의 한 라인이 고정 상태로 고정됨으로 인해 또는 두 라인 간의 단락이 발생함으로 인해, 이 두 라인 중의 한 라인이 방해을 받아, 동작에 대한 추가적인 방해가 발생할 수 있다.
수신 라인(RXD)이 비활성 상태로 영구적으로 고정되는 상황이 바로 상기의 에러 상황이 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프로토콜 제어기는 데이터 버스가 비어있다고 가정하고, 전송을 시도할 것이다. 그러나, 데이터 통신이 데이터 버스 상에서 이미 동시에 시작되었을 경우, 데이터 통신이 심하게 방해를 받아 데이터 통신이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 이러한 에러 상황을 인식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에러 관리 수단(1)이 데이터 버스 라인은 활성 상태에 있으며 동시에 수신 라인(RXD)은 비활성 버스임을 신호로 알리고 있음을 인식할 때, 에러 신호가 발생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에러 상황은 가령 수신 라인이 비활성 상태로 고정될 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에러 상황을 소거하기 위해, 에러 관리 수단(1)은 제 1 AND 게이트(11)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 1 AND 게이트의 제 1 비반전 입력은 차동 증폭기(7)의 출력에 결합된다. 수신 라인(RXD)의 신호는 제 1 AND 게이트(11)의 제 2 반전 입력에 인가되는데, 상기 신호는 트랜지스터 단(10)에 의해 수신 라인 외부로 결합되어 반전된다.
제 1 AND 게이트(11)는 필터(12)를 선행하는데, 상기 필터(12)는 시간 필터이며 RXD 핀까지의 지연 시간과 재충전(recharge) 시간을 고려한다. 이 시간 필터는, 사전설정 기간 동안 AND 게이트(11)의 출력 신호를 억제하는데, 상기 소정 기간 동안 AND 게이트(11)에 인가된 두 신호의 상이한 지연 시간으로 인해 AND 게이트(11)의 에러 출력 신호가 발생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이 시간 필터(12)의 출력 신호는 OR 게이트(13)를 통해 D 플립플롭(14)에 인가된다. 상기 신호는 D 플립 플롭의 세트 입력(S)에 인가된다. D 플립 플롭의 출력은 에러 신호(F)에 공급한다. 이 에러 신호(F)는 전송기(4)에 인가되어 에러 라인(ERR)을 통해 가령 프로토콜 제어기와 같은 외부 구성 요소 상으로 신호로 보내진다.
D 플립 플롭(14)은 두 신호(STB,EN)에 의해 제어된 제 3 AND 게이트(15)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클록 입력(CLK)을 구비한다. 두 신호가 이러한 하이 레벨을 갖는 경우, 플립 플롭(14)의 클록 입력은 제 3 AND 게이트(15)의 대응하는 출력 신호을 통해 제어되는데, 이로써, 플립 플롭(14)은 리세트될 수 있다. 이는 에러 상황, 즉, D 플립 플롭 그 자체는 세트되는 상황에서, 리세트를 수행하기 위해 수행된다. 이는 시험을 위한 경우 또는 비상 상황의 경우 유리할 수 있다.
D 플립 플롭(14)의 D 입력은 기준 전위에 접속된다.
이러한 에러 관리 수단(1)의 회로는 데이터 버스 라인이 활성 상태이며 수신 라인이 동시에 비활성 데이터 버스임을 알리는 경우에도 대처할 수 있다. 이러한 에러 상황은 예를 들면, 수신 라인이 비활성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에러 상황에서, 제 1 AND 게이트(11)는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공급하며, 이 출력 신호에 의해 D 플립 플롭은 필터(12) 및 OR 게이트(13)를 통해 세트될 것이다. D 플립 플롭(14)이 세트되면, D 플립 플롭(14)은 에러 신호를 공급하는데, 이 에러 신호는 에러 상황을 전송기(4)에 알리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전송기(4)는 전송 단(5,6)을 비활성 상태로 전환하며, 이는 데이터 버스 라인(2,3) 상에서 다른 참여자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에러 신호가 에러 라인(ERR)을 통해 프로토콜 제어기(도시되지 않음)로 보내지며, 이로 인해 이 프로토콜 제어기는 더 이상의 다른 전송 시도를 하지 않게 된다.
전송 라인(TXD)이 활성 상태로 영구적으로 고정되거나, 전송 라인(TXD)이 수신 라인(RXD)과 고정되어 두 라인 간이 단락될 경우에 다른 에러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에러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전송 라인(TXD)이 사전 결정된 기간보다 긴 기간 동안 활성 상태가 될 때,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머 회로(16)를 제공하며, 상기 출력 신호는 D 플립 플롭이 OR 게이트(13)를 통해 세트되게 한다. 따라서, 사전 결정된 기간 동안 전송 라인(TXD)이 영구적인 활성 상태임이 이러한 방식으로 인식되고, 에러 신호(F)는 이러한 상황하에서 생성된다. 사전결정된 기간 동안의, 이러한 전송 라인(TXD)의 영구적 활성 상태는 데이터 버스 프로토콜에 따라 발생해서는 안되는데, 그 이유는 어떤 최소 기간 내의 데이터 버스의 비활성 상태는 상기 프로토콜에 의해 보장되기때문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상기 에러 신호(F)가 상기 에러 관리 수단(1)에 의해 트리거되는 것은 에러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두 실시예를 결합하는데, 공통 D 플립 플롭이 두 실시예에 제공되고 상기 플립 플롭은 각각의 에러 상황에서 제어된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도 1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에러 신호(F)는 본 발명의 두 실시예에 대해 함께 소거된다.
에러 신호 소거 조건에 대해 말하자면, 전송 라인(TXD)이 비활성 상태이고 수신 라인이 활성 상태일 경우 상기 모든 에러는 제거될 것으로 가정된다. 이러한 경우, 가령, 비활성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수신 라인은 다시 프리(free) 상태여야 한다. 또한, 전송 라인 및 수신 라인 간의 단락은 제거되어야 한다. 전송 라인은 활성 상태로 영구적으로 고정되지는 않는다.
에러 신호를 소거하기 위해, 트랜지스터 단(10)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입력을 갖는 제 2 AND 게이트(7)가 제공된다. 수신 라인(RXD)의 반전된 신호는 이로써 상기 입력에 인가된다. 전송 라인(TXD)의 신호는 AND 게이트(17)의 제 2 입력에 인가된다.
전송 라인이 비활성 상태에 있고 수신 라인이 활성 상태에 있을 때, 제 2 AND 게이트(17)는 출력 신호를 공급한다. 이 경우, 지연 시간을 보상하기 위해, 싱기 출력 신호가 필터(18)를 통해 D 플립 플롭(14)의 리세트 입력에 다시 인가된다. 이로써, D 플립 플롭(14)은 상기 상황 하에서 다시 리세트되고, 이로 인해 에러 신호(F)는 다시 비활성 상태로 전환된다. 이는 에러 라인(ERR)를 통해 프로토콜 제어기에 신호로 알려진다. 동시에, 전송기(4)는 구동기 단(5,6)을, 대응하는 전송이 라인(TXD)을 통해 발생하는 한, 다시 활성 상태로 전환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송수신기는 세가지 주요한 에러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에러 관리 수단(1)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도시된 회로는 본 발명의 두 실시예를 포함하며,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공통 D 플립 플롭(14)이 본 발명의 두 실시예에 제공되기 때문에 회로의 구성 요소의 수가 비교적 적다. 에러 신호를 리세트하는 것은 두 실시예에 공통적으로 제공된 회로 요소에 의해 생성된다.
종래 기술과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송수신기 및 프로토콜 제어기 간의 두 라인 상의 신뢰할만하며 보다 광범위한 에러 인식을 성취할 수 있다. 비교적 작은 수의 구성 요소로, 데이터 버스의 동작의 신뢰성은 실질적으로 개선되는데, 그 이유는 실제로 발생하는 가능한 에러 상황이 해결될 수 있으며, 심지어 수신 및/또는 전송 라인이 방해을 받고 있을 때에도 데이터 버스 라인(2,3)상에서 다른 참여자와의 데이터 통신은 방해를 받지 않기 때문이다.

Claims (10)

  1. 직렬 데이터 버스용 송수신기에서,
    상기 송수신기는 전송 라인 및 수신 라인을 통해 데이터 버스 프로토콜을 관리하는 프로토콜 제어기에 접속되고, 상기 송수신기는 데이터 버스의 라인에 접속되며,
    상시 송수신기는 에러 관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에러 관리 수단은, 상기 수단이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이 활성 상태임을 인식하고, 상기 수신 라인이 동시에 비활성 버스임을 알릴때, 에러 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에러 신호에 의해,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데이터 버스 상에서 더 이상 활성 상태로 동작하지 않는
    직렬 데이터 버스용 송수신기.
  2. 직렬 데이터 버스용 송수신기에서,
    상기 송수신기는, 전송 라인 및 수신 라인을 통해, 데이터 버스 프로토콜을 관리하는 프로토콜 제어기에 접속되고, 상기 송수신기는 데이터 버스의 라인에 접속되며,
    상시 송수신기는 에러 관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에러 관리 수단은 타이머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머 회로는, 상기 전송 라인이 사전 결정된 기간보다 긴 기간 동안 활성 상태로 있을 때, 에러 신호를 트리거하며,
    상기 에러 신호에 의해,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데이터 버스 상에서 더 이상 활성 상태로 동작하지 않으며,
    상기 에러 신호는, 상기 전송 라인은 비활성 버스임을 신호로 알리고 상기 수신 라인은 활성 버스임을 신호로 알릴 때에만, 소거되는
    직렬 데이터 버스용 송수신기.
  3. 제 1 항에서,
    상기 에러 관리 수단은, 상기 전송 라인은 비활성 버스임을 신호로 알리며 상기 수신 라인은 활성 버스임을 신호로 알릴 때, 상기 에러 신호를 스위치 오프(switch off)하는
    직렬 데이터 버스용 송수신기.
  4. 제 1 항 또는 2 항에서,
    상기 에러 신호는 상기 송수신기 내의 버스 전송 단을 비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직렬 데이터 버스용 송수신기.
  5. 제 1 항 또는 2 항에서,
    상기 에러 신호는 에러 라인를 통해 외부로, 특히 상기 프로토콜 제어기보다 우선 순위를 갖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신호로 보내지는
    직렬 데이터 버스용 송수신기.
  6. 제 1 항 또는 2 항에서,
    제어 라인이 제공되며,
    상기 제어 라인이 활성화되어, 상기 에러 관리 수단을 리세트하고, 에러 신호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직렬 데이터 버스용 송수신기.
  7. 제 1 항 또는 2 항에서,
    상기 에러 관리 수단은, 세트(set) 상태에서, 상기 에러 신호를 공급하는 플립 플롭을 포함하는
    직렬 데이터 버스용 송수신기.
  8. 제 7 항에서,
    상기 에러 관리 수단은 제 1 AND 게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AND 게이트의 출력 신호가 상기 플립 플롭에 인가되고,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이 활성 상태이고 상기 수신 라인이 동시에 비활성 버스임을 알릴 때 상기 제 1 AND 게이트가 상기 플립 플롭을 세트하는
    직렬 데이터 버스용 송수신기.
  9. 제 7 항에서,
    상기 에러 관리 수단 내의 상기 타이머 회로는, 상기 전송 라인이 사전결정된 기간보다 긴 기간 동안 활성 상태로 있을 때, 상기 플립 플롭을 세트하는
    직렬 데이터 버스용 송수신기.
  10. 제 7 항에서,
    상기 제 2 AND 게이트가 제공되며,
    상기 제 2 AND 게이트의 입력은 상기 수신 신호 및 상기 전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 라인은 활성 버스임을 알리고 상시 수신 라인는 비활성 버스임을 알릴 때, 상기 제 2 AND 게이트가 상기 플립 플롭을 리세트하여 상기 에러 신호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직렬 데이터 버스용 송수신기.
KR1020020003242A 2001-01-24 2002-01-21 직렬 데이터 버스용 송수신기 KR1008520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03092.4 2001-01-24
DE10103092A DE10103092A1 (de) 2001-01-24 2001-01-24 Transceiver mit Mitteln zum Fehlermanag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816A true KR20020062816A (ko) 2002-07-31
KR100852085B1 KR100852085B1 (ko) 2008-08-13

Family

ID=7671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242A KR100852085B1 (ko) 2001-01-24 2002-01-21 직렬 데이터 버스용 송수신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46722B2 (ko)
EP (1) EP1227406B1 (ko)
JP (1) JP4011348B2 (ko)
KR (1) KR100852085B1 (ko)
AT (1) ATE256312T1 (ko)
DE (2) DE10103092A1 (ko)
ES (1) ES221021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9987B1 (en) * 2001-06-19 2010-01-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forwarding selective calls
KR100539249B1 (ko) * 2004-02-06 2005-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전하에 의한 에러를 제거하는 전류 모드 트랜스미터
JP4451712B2 (ja) * 2004-05-18 2010-04-14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データ転送装置、および転送異常状態検出方法。
JP2012235427A (ja) * 2011-05-09 2012-11-29 Denso Corp バスコントローラの接続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DE102017212544A1 (de) * 2017-07-21 2019-01-24 Robert Bosch Gmbh Sende-/Empfangseinrichtung für ein CAN Bussystem und Verfahren zur Erkennung eines Kurzschlusses mit einer CAN Sende-/Empfangseinrichtung
US20210406138A1 (en) * 2020-06-26 2021-12-30 Nxp B.V. Can transceiver
DE102020123202A1 (de) 2020-09-04 2022-03-10 Krauss-Maffei Wegmann Gmbh & Co. Kg CAN-Bus-Netzwerk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9677A (en) * 1983-07-28 1985-09-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Multiple acc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US4639933A (en) * 1983-12-14 1987-01-27 General Electric Company Steering logic circuit for a digital data transceiver
US4837788A (en) * 1985-11-08 1989-06-06 Ford Aerospace & Communications Corporation Repeater for extending local area networks
KR920009156B1 (ko) * 1989-12-16 1992-10-13 한국전기통신공사 공통선 시스템의 신호 단말 제어장치
DE19509133C2 (de) 1994-04-11 2003-07-17 Daimler Chrysler Ag Anordnung zur Überwachung von Zweidraht-Busleitungen
DE19611942C2 (de) * 1996-03-26 2003-02-20 Daimler Chrysler Ag Halbleiterschaltkreis für ein elektronisches Steuergerät
DE19611944C2 (de) * 1996-03-26 2003-03-27 Daimler Chrysler Ag Integrierter Schaltkreis zur Kopplung eines mikrokontrollierten Steuergerätes an einen Zweidraht-B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56312T1 (de) 2003-12-15
ES2210216T3 (es) 2004-07-01
US7046722B2 (en) 2006-05-16
JP2002271347A (ja) 2002-09-20
DE10103092A1 (de) 2002-07-25
DE50200126D1 (de) 2004-01-22
JP4011348B2 (ja) 2007-11-21
KR100852085B1 (ko) 2008-08-13
EP1227406A1 (de) 2002-07-31
US20020097789A1 (en) 2002-07-25
EP1227406B1 (de) 200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19413B (zh) 控制器局域网收发器
JP4952212B2 (ja) 通信妨害防止装置、通信システムのノード、通信システム、車両用故障診断装置、及び車載装置
EP2800313B1 (en) Devices and methods for an enhanced driver mode for a shared bus
JP3952830B2 (ja) 通信システム
US6430636B1 (en) Method and system for a physical bus selector
US9985798B2 (en) Method and subscriber station for optimized data transmission between subscriber stations in a bus system
CN110892681B (zh) 发送/接收装置、总线系统及识别短路的方法
CN110113070B (zh) 一种适用于usb的信号发送及接收方法
KR102044723B1 (ko) 버스 시스템의 가입자 국, 그리고 버스 시스템의 가입자 국들 간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852085B1 (ko) 직렬 데이터 버스용 송수신기
US7743273B2 (en) Serial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synchronization with a clock signal
CN114073042A (zh) 用于串行总线系统的用户站的发送/接收装置和通信控制装置以及用于在串行总线系统中通信的方法
JP5177893B2 (ja) 車載通信装置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CN107925604B (zh) 与can-fd通信协议兼容的运载工具的电子计算机
EP1989630B1 (en) Interface between busses of different physical layers
CN114930774A (zh) 用于串行总线系统的用户站的发送/接收装置和通信控制装置及用于在串行总线系统中通信的方法
CA2013446A1 (en) Interface module
JP6617091B2 (ja) 自動車用電子制御装置
KR100400929B1 (ko)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 다중 절체 장치 및 그 방법
CN117596275A (zh) 用于执行数据传输的方法
CN116405047A (zh) 控制器局域网收发器
CN113812121A (zh) 分配器装置和方法
CN114930775A (zh) 用于串行总线系统的用户站的发送/接收装置和通信控制装置以及用于在串行总线系统中进行通信的方法
CN115811447A (zh) 控制器局域网收发器
JP2002094535A (ja) エラーコード送出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