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0798A -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0798A
KR20020060798A KR1020010001778A KR20010001778A KR20020060798A KR 20020060798 A KR20020060798 A KR 20020060798A KR 1020010001778 A KR1020010001778 A KR 1020010001778A KR 20010001778 A KR20010001778 A KR 20010001778A KR 20020060798 A KR20020060798 A KR 20020060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rotrusion
supply
lead fram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8818B1 (ko
Inventor
조민연
Original Assignee
한국 고덴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고덴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 고덴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1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8818B1/ko
Publication of KR20020060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8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21Apparatus for making assembl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ackage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9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소자의 기능을 외부에 전달하며 부품을 지지해주는 리드프레임을 공급하여 반도체 제품을 완성하는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에서 리드프레임이 푸쉬되어 공급될 때 레일에 걸리거나 공급이 원할 하지않을 때 발생하는 부하에 의하여 푸시바가 후진되는 것을 감지하며 이동블럭을 후진시킬 수 있는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리드프레임을 공급할 때 발생하는 부하를 감지하여 전진 이동하고 있는 이동블럭을 자동 후퇴시켜 작업의 안전화 및 제품의 불량율을 감소시키며 공급장치의 내구성을 증대시켜 제품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LEAD FRAME SUPPLY EQUIPMENT}
본 발명은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소자의 기능을 외부에 전달하며 부품을 지지해주는 리드프레임을 공급하여 반도체 제품을 완성하는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에서 리드프레임이 푸쉬되어 공급될 때 레일에 걸리거나 공급이 원할 하지않을 때 발생하는 부하에 의하여 푸시바가 후진되는 것을 감지하여 이동블럭을 후진시킬 수 있는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드 프레임(lead frame)은 반도체 소자를 부품으로서 지지해주며 반도체 소자의 기능을 외부회로에 전달해주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리드프레임은 반도체 소자와 소정의 액(에폭시, 패스트)등을 이용하여 여러공정을 거치면서 제품을 완성하게 되며 상기의 공정은 디스펜싱(DISPENSING)공정을 거치면서 각 리드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며 틀을 형성시키고 다이본딩(DIE BONDING)과 와이어본딩(WIRE BONDING)작업을 거치면서 칩을 부착 및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몰딩(MOLING)공정을 거치면서 소자와 와이어의 변형을 방지시킨후 완성된 제품을 분리시키거나 리드의 모양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커팅(CUTTING) 및 포밍(FORMING)공정을 거치고 테스트공정을 거쳐 반도체 제품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은 반도체 제품완성시 사용되는 리드 프레임의 제조는, 순차적으로 이송형 프레스 금형장치에 의해 소재를 순차시켜 타발함으로써 소정의 형상으로 제품을 제작하는 스템핑(STAMPING)에 의한 방법 또는 화학적 부식방법에 의한 것으로 에칭(ETCHING) 즉, 식각에 의한 방법에 따라 리드형상을 각인하는 공정으로 나누는데 상기 제조공정은 리드 프레임의 설계가 완료된 상태에서 소재를 전처리하는 전처리단계, 레지스트 코팅(RESIST COATING)단계, 노광단계, 현상단계, 에칭단계, 박리단계 그리고 후처리단계로서 프레이팅 단계(plating step), 테이핑 단계(taping step)등을 포함하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제조하게 된다.
상기의 공정을 위해서는 낱장의 리드 프레임을 소정의 적치장소로부터 한 장씩 순차적으로 공급해 주는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가 필요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리드프레임의 공급장치는 단순히 이동블럭을 움직여 푸시바를 통하여 리드프레임을 코팅단계등 각각의 단계로 공급하였다.
따라서 리드프레임이 적치장소로부터 레일을 따라 공급될 때 리드프레임이 다른 장치에 걸리거나 공급이 원활하지 않더라도 이동블럭은 계속 이동하게 되어 리드프레임이 파손되거나 불량율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리드프레임이 걸린상태에서도 이동블럭이 이동하게 되어 리드프레임의 공급장치나 주변기기등이 파손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리드프레임을 공급할 때 발생하는 부하를 감지하여 전진 이동하고 있는 이동블럭을 자동 후퇴시켜 작업의 안전화 및 제품의 불량율을 감소시키며 공급장치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드프레임의 코팅장치에 장착하여 리드프레임을 공급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고정구를 형성하고 상기의 고정구의 일측에는 레일을 형성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레일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레일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를 일측에 형성한 하부블럭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블럭의 상측에는 배면측으로 스토퍼를 형성한 상부블럭을 고정하여 상기의 하부블럭과 연동하도록 형성한 이동블럭과 상기 이동블럭의 하부블럭을 공압에 의해 이동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부의 고정구 사이에 형성된 에어실린더와 상기 에어실린더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블럭의 상측면에 베이스가 고정되어 이동블럭과 연동되어 이동하며 베이스의 하측면 중앙으로는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 배면측으로 센서부의 발광센서가 부착된 발광돌기와 수광센서가 부착된 수광돌기를 돌출되도록 형성한 감지수단와 상기 감지부의 베이스 하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푸쉬바를 전방으로 연장형성하고 상기 푸쉬바 배면측으로는 차단블럭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블럭 상측 전방으로는 상기 감지부의 발광돌기와 수광돌기 사이에 삽입 및 이탈될 수 있도록돌기를 형성하고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의 차단블럭 양측과 감지부의 베이스 양측에는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상기의 고정돌기 사이에 인장스프링을 형성하여 공급부의 돌기가 이탈된후 다시 삽입 복원할 수 있는 탄력부와 상기 감지부의 발광돌기와 수광돌기에 의해서 공급부의 돌기가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신호에 의해 에어실린더에 후진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변기기나 리드프레임이 파손 되기전에 리드프레임의 걸림상태를 파악하므로서 제품의 신뢰감을 증진시키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를 나타낸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의 공급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의 부하가 걸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가 후진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이스부 11 : 고정구
12 : 레일 20 : 에어실린더
30 : 이동블럭 31 : 하부블럭
32 : 가이드돌기 33 : 상부블럭
34 : 스토퍼 40 : 감지수단
41 : 베이스 42 : 가이드홈
43 : 발광센서 44 : 발광돌기
45 : 수광센서 46 : 수광돌기
50 : 공급부 51 : 푸쉬바
52 : 차단블럭 53 : 돌기
60 : 탄력부 61 : 고정돌기
62 : 인장스프링 70 : 솔레노이드밸브
이하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리드프레임의 공급장치는 리드프레임의 코팅장치등에 장착할 수 있는 베이스부(10)를 형성하되 상기 베이스부(10)는 리드프레임을 공급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고정구(11)를 형성하고 상기의 고정구(11)의 일측에는 레일(12)를 형성한다.
이와같은 베이스부(10)에 형성된 고정구(11)의 일정간격 이격된 사이와 같은 행정을 갖도록 고정구(11) 사이에 에어실린더(20)를 설치하여 공압에 의하여 상기의 고정구(11)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에어실린더(20)가 이동블럭(30)하측에 형성된 하부블럭(31)에 장착되어 베이스부(10)의 레일(12)을 따라 가이드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위하여 하부블럭(31)의 일측에 레일(12)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32)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하부블럭(31)의 상측에는 상기 하부블럭(31)과 연동되도록 상부블록(33)을 고정하되 상기의 상부블럭(33)은 배면측으로 스토퍼(34)를 형성한다.
이와같이 형성되는 상기 이동블럭(30)의 상부블럭(33) 상측면에는 감지부(40)를 형성하되 상기 감지수단(40)은 하측으로는 베이스(41)를 형성하여 이동블럭(30)과 연동되어 이동하도록 상부블럭(33)의 전단부측으로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41)의 하측면 중앙으로는 가이드홈(42)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41)의 상부면 배면측에는 센서부(47)을 형성하되 상기 센서부(47)는 발광센서(43)가 형성된 발광돌기(44)와 수광센서(45)가 형성된 수광돌기(46)를 배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상호 감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감지수단(40)의 베이스(41) 하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42)에 삽입되어 전후 이동할 수 있도록 공급부(50)를 형성하되 상기 공급부(50)는 전방으로 리드프레임을 공급하도록 푸쉬바(51)를 연장형성하고 상기 푸쉬바(51)의 배면측으로는 차단블럭(52)를 형성하되 상기 차단블럭(52)의 상측 전방으로 상기 감지수단(40)의 센서부(47)에 형성된 발광돌기(43)와 수광돌기(44) 사이에 삽입 및 이탈될 수 있도록 차단돌기(53)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공급부(50)의 차단블럭(52)에 형성된 차단돌기(53)가 이탈된후 다시 삽입되도록 탄력부(60)를 형성하되 상기의 탄력부(30)은 차단블럭(52)의 양측과 감지부(40)의 베이스(41) 양측에는 고정돌기(61)를 형성하고 상기의 고정돌기(61) 사이에 인장스프링(62)을 형성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감지수단(40)의 발광돌기(43)와 수광돌기(44)에 의해서 공급부(50)의 돌기(53)가 이탈되는 것을 감지한후 감지신호에 의하여 솔레노이드밸브(70)가 개방되어 에어실린더(20)에 후진에어를 공급하므로서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를 후진시키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을 인가하여 리드프레임이 적층된 적층장치에서 리드프레임을 코팅장치나 와이에 본더등으로 공급하여 준다.
이와같이 리드프레임을 공급하는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는 베이스부(10)의 고정구(11)일측에 연결된 레일(12)을 따라 이동블럭(30)이 이동하도록 에어실린더(20)에 전진에어와 후진에어를 번갈아가며 공급한다.
이와같이 이동블럭(30)이 이동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측에 고정되어 있는 감지수단(40)과 공급부(50)와 탄력부(60)가 같이 이동하면서 공급부(50)의 푸쉬바(51)로 리드프레임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리드프레임이 공급되면 미도시된 센서의 감지를 통하여 이동블럭(30)은 에어실린더(20)의 후진에어의 공급에 따라 후진하게되고 완전히 후진한 상태에서는 다시 전진하여 리드프레임을 공급하는 작업을 반복하며 이와같은 왕복운동은 베이스부(10)의 고정구(11)사이의 거리가 스트로크가 되어 왕복운동한다.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가 리드프레임을 공급하다가 리드프레임이 다른 기기나 장치에 걸리게 되어 공급이 원할하지 못하여 부하가 푸쉬바(51) 단부에서 발생하면 푸쉬바(51)가 고정되고 이동블럭(30)은 계속 전진하게 되어 감지수단(40)의 베이스(41)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42)을 따라 공급부(50)가 뒤로 후진하는 것과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같이 공급부(50)가 정지된 상태에서 이동블럭(30)이 전진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감지수단(40)의 센서부(47)에 형성된 발광돌기(44)와 수광돌기(46) 사이에 삽입되어 있던 차단블럭(52)의 차단돌기(53)가 이탈되면서 발광돌기(44)에 형성된 발광센서(43)의 발광하는 빛을 수광돌기(46)에 형성된 수광센서(45)에서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이와같이 공급부(50) 고정되고 이동블럭(30)이 계속 전진하게 되면 차단블럭(52)은 상부블럭(33)의 스토퍼(34)에 의하여 정지됨과 동시에 상기 차단블럭(52)과 감지수단(40)의 베이스(41)에 형성된 고정돌기(61)를 연결한 인장스프링(62)이 인장된 상태로 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솔레노이드밸브(70)는 감지신호에 의하여 에어실린더(20)에 후진에어를 공급한다.
에어실린더(20)에 후진에어가 공급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급부(50)가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블럭(30)이 후진되며 상기와 같이 이동블럭(30)이 후진되면 탄력부(60)의 인장스프링(62)의 복원력에 의하여 공급부(50)가 원상태로 복귀된다.
상기와 같이 공급부(50)가 원상태로 복귀하면 공급부(50)가 고정된 상태에서 푸쉬바(51)을 따라 이동블럭(30)이 이동하게되며 감지수단(40)의 발광돌기(44)와 수광돌기(46) 사이에서 이탈되어 있던 차단블럭(52)의 돌기(53)가 삽입되면서 발광돌기(44)에 형성된 발광센서(43)의 발광하는 빛을 수광돌기(46)에 형성된 수광센서(45)에서 감지를 못하게 되어 감지신호가 정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걸림된 리드프레임을 제거한후 장치를 계속 가동하게 되므로서 공급장치의 파손을 방지하고 리드프레임의 불량율을 낮출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리드프레임을 공급할 때 발생하는 부하를 감지하여 전진 이동하고 있는 이동블럭을 자동 후퇴시켜 작업의 안전화 및 제품의 불량율을 감소시키며 공급장치의 내구성을 증대시켜 제품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리드프레임의 코팅장치에 장착하여 리드프레임을 공급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고정구를 형성하고 상기의 고정구의 일측에는 레일을 형성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레일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레일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를 일측에 형성한 하부블럭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블럭의 상측에는 배면측으로 스토퍼를 형성한 상부블럭을 고정하여 상기의 하부블럭과 연동하도록 형성한 이동블럭과,
    상기 이동블럭의 하부블럭을 공압에 의해 이동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부의 고정구 사이에 형성된 에어실린더와,
    상기 에어실린더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블럭의 상측면에 베이스가 고정되어 이동블럭과 연동되어 이동하며 베이스의 하측면 중앙으로는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 배면측으로는 센서부를 형성한 감지수단와,
    상기 감지수단의 베이스 하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푸쉬바를 전방으로 연장형성하고 상기 푸쉬바 배면측으로는 차단블럭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블럭 상측 전방으로는 상기 센서부를 차단 및 연결시킬 수 있도록 차단돌기를 형성하고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와 감지수단에 형성되어 상기 공급부의 차단돌기가 센서부를 연결한후 다시 차단할 수 있게 복원하는 탄력부와,
    상기 감지부의 발광돌기와 수광돌기에 의해서 공급부의 돌기가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신호에 의해 에어실린더에 후진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의 센서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 배면측으로 발광센서가 부착된 발광돌기와 수광센서가 부착된 수광돌기를 돌출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력부는 상기 공급부의 차단블럭 양측과 감지부의 베이스 양측에는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상기의 고정돌기 사이에 인장스프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
KR1020010001778A 2001-01-12 2001-01-12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 KR100358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778A KR100358818B1 (ko) 2001-01-12 2001-01-12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778A KR100358818B1 (ko) 2001-01-12 2001-01-12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798A true KR20020060798A (ko) 2002-07-19
KR100358818B1 KR100358818B1 (ko) 2002-10-31

Family

ID=27691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778A KR100358818B1 (ko) 2001-01-12 2001-01-12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88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825B1 (ko) * 2009-10-15 2012-01-05 주식회사 에이에스티젯텍 Led 다이 본더의 리드프레임 피딩장치
KR102565931B1 (ko) * 2022-10-11 2023-08-16 주식회사 케이어드밴텍 매거진용 기판 취출 및 적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취출 및 적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825B1 (ko) * 2009-10-15 2012-01-05 주식회사 에이에스티젯텍 Led 다이 본더의 리드프레임 피딩장치
KR102565931B1 (ko) * 2022-10-11 2023-08-16 주식회사 케이어드밴텍 매거진용 기판 취출 및 적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취출 및 적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8818B1 (ko) 200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084883A (ja) チャッキング装置
TW200614614A (en) Nitride-based compou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structural unit thereof,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20120049037A1 (en) Connecting apparatus
KR100358818B1 (ko) 푸쉬방식의 리드프레임 공급장치
US6334641B1 (en) Gripper for a surface mounting apparatus
US201000180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component attachment
US6676356B2 (en) Device for attaching target substrate transfer container to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KR100544322B1 (ko) 스트립 형태 부품의 이송용 벨트
US11462877B2 (en) Die clearance monitoring system for a crimping device
US3711922A (en) Assembling apparatus
KR20190049228A (ko) 호스 체결밴드용 성형장치
JP2007216255A (ja) 薄物材の加工装置及び薄物材の加工方法
JP5570781B2 (ja) 被加工品成形用の、特に金属薄板成形用のツール、およびエジェクター・デバイス
KR100952896B1 (ko) 엘이디 검사장비의 웨이퍼 스테이지의 그립퍼
JP2566042B2 (ja) 光半導体製造装置
JP3565201B2 (ja) チップの実装方法
CN210037117U (zh) 一种汽车零件中弹簧弹力检测装置
KR100244087B1 (ko)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싱귤레이션 장비의 다이
CN112771653A (zh) 顺应性裸晶附接工具、裸晶附接系统及其使用方法
KR0117626Y1 (ko) 반도체 제조장비의 패키지 오 정렬 검지장치
CN215941192U (zh) 一种单动式端子冲孔搬运装置
CN210579483U (zh) 电路板夹具
KR20160109139A (ko) 히트싱크 제조용 프레스장치
JP2005177821A (ja) プレス加工装置
KR0179847B1 (ko) 반도체 제조장비의 반도체 패키지 3차 벤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