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7971A - 광학적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학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7971A
KR20020057971A KR1020027004522A KR20027004522A KR20020057971A KR 20020057971 A KR20020057971 A KR 20020057971A KR 1020027004522 A KR1020027004522 A KR 1020027004522A KR 20027004522 A KR20027004522 A KR 20027004522A KR 20020057971 A KR20020057971 A KR 20020057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ive
light
view
opening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제임스 밀너
Original Assignee
벤딩 라이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벤딩 라이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벤딩 라이트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57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797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0Front-view mirror arrangements; Periscope arrangements, i.e. optical devices using combinations of mirrors, lenses, prisms or the like ; Other mirror arrangements giving a view from above or under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05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viewing traffic-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02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the peripheral part of the vehicle, e.g. for viewing tyres, bump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enses (AREA)

Abstract

개구부를 통하여 관찰자의 시야영역을 확장하는 광학적 시스템이 요소를 통하여 관찰자에 의해 관찰되는 상이 직립하도록 개구부에 또는 이에 인접하여 장착된 광 전환요소 또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광학적 장치는 차이나지 않는 각도로부터 입사하는 빛이 보여지는 상의 질적 저하없이 관찰자를 향하여 전환될 수 있도록 굴절되어 도입되는 색수차를 보상하고 이를 통하여 전송되는 굴절광에 의해 분기되어 작동가능하고 개구부와 관찰자 사이에 위치되거나 위치될 수 있는 광학적 요소를 포함한다.
전환요소는 임계 입사각 이상의 각에서 개구부를 통하여 입사하는 광을 전환하도록 작동하고, 임계각 이하의 각에서 개구부를 통하여 입사하는 비편향된 빛을 통하여 전송되는 제 1 전환요소와 관찰자를 향하여 제 1요소로부터 전환된 빛을 전환하도록 작동하는 제 2 전환요소를 포함한다.
이들중 하나 또는 둘다는 적층된 층내의 다수의 요소 굴절매체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적 시스템{AN OPTICAL SYSTEM}
많은 환경에서, 관찰자는 제한적인 관찰영역을 가지는데 이는 예를들어, 관찰 포스트의 기계부분 또는 하우징의 형태로 관찰자 위치부근에 필수적으로 존재하는 차폐 또는 가림에 의해 또는 관찰자에 의해 채택될 수 있는 위치에서의 제한으로 인한 것이다.
예를들어, 기계작동자는 이들이 기계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창 또는 관찰구멍을 통한 관찰영역을 가진다. 여기서 특정환경에서 기계를 동작해야 할 경우에, 따라서 작동자의 머리의 운동범위를 필수적으로 제한하는 예를들어 시트로 제한될 수 있는 관찰위치로부터 통상 이용가능한 것으로부터 관찰자가 다른 관찰영역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한다.
몇 가지 환경에서 다른 관찰점으로부터 관찰하기 위해 관찰자가 시트로부터 일어설 수도 있지만, 이것은 항상 가능한 것이 아니며, 때때로 기계를 작동하기 위해 앉은 위치에서 기계작동자가 남아있도록 제한되거나, 의도하는 관찰을 달성하기위해 요구되는 제어운동과 같이 작동자에 의해 축에서 기계를 작동하기 위해 제어작동 또는 동작이 이루어져야할 때가 있다.
예를들어 수직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몸체 또는 캐빈 상의 분절된 아암의 단부에서 이송되는 버킷 또는 갈고리를 포함하는 탐사 기계를 사용할 때, 상기와 같은 상황이 발생한다.
분절된 아암의 운동범위는 작동자가 버킷의 작동을 관찰할 수 있는 창이 제한된 크기이며 이에따라 기계작동자가 앉아서 제어할 때 버킷이 보여지지 않는 위치에 놓여질 수 있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제한된 공간에서 조정할 때 이동부분을 포함하는 다른형태를 가지는 것과 이동기계를 가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운자자를 향하여 자동차의 후방에 근접한 위치범위로부터 도달하는 빛을 전환하는 후방윈도우상의 프레넬 굴절매체를 위치시킴으로써 자동차의 후진을 도우는 상당히 직립한 후방 윈도우를 가지는 화물차 및 대형화물차와 같은 자동차의 경우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가 있어왔다.
따라서 후진시 다소 뒤틀린 경우에도 차량의 후방영역에서 즉시 운전자가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나 한편 후방윈도우의 크기가 작고 주위벽이 불투명하고 운전자의 운이 후방윈도우와 거리가 먼 경우에는 이용할 수 없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것은 광전환 매체가 있음으로 매체에 의해 점유되는 개구나 윈도우의 부분을 통하여 정상적인 시야가 차단되기 때문에 제한된 시야가 문제인 모든 환경에는 적용가능하지 않다.
이것은 차례로 전환된 시야를 허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정상적인 방향의 시야를 위한 윈도우 또는 개구의 실질적 부분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크기의 상기 매체의 크기를 제한한다.
본 발명은 분명하지 않은 영역으로 연장된 개구부를 통하여 관찰자의 시야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상기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관찰자가 관찰위치로부터 통상 얻을 수 있는 것에 부가 적인 다른 영역의 상을 얻도록 빛을 전환하는 광학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측면도.
도 1A는 도 1의 광 전환 시스템의 확대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실시에의 부분을 형성하기에 적절한 복합 굴절요소의 개략적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실시에의 선택적인 형태의 부분을 형성하기에 적절한 세 복합 굴절매체의 유사한 개략적 측면도.
도 4는 차량 또는 기계의 객실내에 위치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측면도.
도 4A는 도 4의 실시예의 확대된 측면도.
도 5는 작동위치에서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예의 측면도.
도 5A는 적재 또는 파킹시 도 5의 실시예의 측면도.
도 6은 배치 또는 작동위치에서 도시된 굴절매체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예의 측면도.
도 6A는 파킹 또는 적재위치에서 도 4의 실시예의 측면도.
도 7은 구조로 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8은 기계 또는 자동차내에서 개구부에 인접하여 위치한 본 발명의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의 측면도.
도 9는 기계 또는 자동차를 위해 적절한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의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다른 개략도.
* 부호설명
11: 항공기 12: 지붕
13: 캐노피 14: 광학요소
15: 피벗 16: 파일럿
20: 굴절매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요소를 통하여 관찰자에 의해 관찰된 상이 직립인 개구부에 인접하거나 장착된 시스템 또는 광 전환 요소를 포함하는 개구부를 통해 관찰자의 시야를 확대하는 광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역시 관찰자에게 도달하지 않는 각도로 입사되는 빛이 보여지는 상의 실질적 저하없이 관찰자를 향하여 전환되도록 굴절매체로 도입되는 색수차를 보상하고 이를통하여 전송되는 굴절광에 의해 전환되어 작동할 수 있고 관찰자와 개구부사이에서 위치되거나 위치가능한 광요소를 포함하고 개구부를 통하여 관찰자의 시야영역을 확장하는 광학적 장치를 포함하여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에서, 상기 광전환 요소 또는 시스템은 상기 시야영역으로부터 미리설정된 위치에서 관찰자에 도달하는 빛의 방향을 가로지르는 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움직이는 굴절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따라, 관찰자가 보게되는 작동위치와 비작동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개구부를 통하여 관찰자의 시야영역을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 축은 상기 굴절매체의 가로방향, 즉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위치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굴절매체의 한단부(공간으로부터)를 따라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굴절매체는 굴절매체의 일반적 평면을 한정하는 층내에 다수의 기본굴절표면을 포함하는 프레넬 굴절매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굴절매체를 광전환목적으로 사용할 때 만나게 되는 문제중 하나는 굴절도입시 색수차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색수차는 광전환 작용에 대해 반대로 편향되는 다수의 굴절요소를 포함하는 복합 굴절요소가 제공되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보상될 수 있다.
굴절매체가 두 프레넬 굴절매체를 포함하는 광 시스템은 특히 층내에 셋 또는 그 이상의 굴절요소가 제공될 수 있을지라도 편리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서, 임계입사각 이상의 각에서는 개구부를 통하여 입사하는 빛을 전환하고, 임계각이하의 각에서는 개구부를 통하여 입사하는 일탈되지 않은 빛을 통하여 전송되는 제 1 광 전환 요소와 관찰자를 향하여 제 1 요소로부터 전환된 빛을 전환하도록 동작하는 제 2 광 전환 요소를 포함하는 개구부를 통해 관찰자의 시야영역을 넓히기 위한 광학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특징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 전환 시스템은 짝수의 굴절매체를 가지는 복합 굴절매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굴절매체 시스템의 제 1 굴절매체는 층의 일반평면에 대해 가로로 경사진 층의 각 요소를 가진 층 내에 다수의 굴절매체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층은 본 명세서의 참조로 실현된 본 출원인의 영국특허 제 255 945호에 일반적으로 서술된 형태일 수 있다.
굴절매체의 실시예에서, 제 2 굴절매체는 상기 제 1 굴절매체의 한 변부에 인접하거나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실시예에서, 굴절매체가 일반적으로 평면형으로 형성되고 광 전환기가 배치되지 않을 때 차단되지 않은 개구부를 통해 관찰자의 시야영역외에 정상 시야영역을 허용하는 방법으로 장착됨에 다라 서로 평행하게 접히는 방법으로 장작된다.
본 발명은 역시 비교경사의 조정을 위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및 제 2 굴절 유닛을 포함하고 차단된 위치로부터 관찰자로 빛을 전환하기위한 광학적 시스템을 설명하며, 굴절유닛 중 하나가 상기 한 유닛상에 입사하는 빛이 유닛을 통과함에 따라 굴절에 의해 전환되는 한 굴절유닛의 일반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된 층내의 다수의 굴절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특징 또는 실시예중 어떤 것에서도 굴절매체 또는 굴절매체요소가 오목 또는 볼록 매체일 수 있다.
편의를 위해 장착되는 조립체는 제 1 및 제 2 굴절매체의 비교 위치가 두 요소들의 비료위치에 따라 다른방향에서 시야를 달성하기위해 조절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이제 예시로써 도면을 참조로 설명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일반적으로 참조번호 11로 표시된 세일플레인 또는 글라이더와 같은 항공기에서 사용되기위해 채용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에서, 항공기의 전면 상부위치만이 투명한 캐노피(13)와 함께 도시된다.
특히 착륙시 항공기에서와 같은 전방 및 후방시야는 매우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투명 캐노피 뒤의 지붕에 광 전환 광학 요소(14)를 끼움으로서 확대된 시야영역이 제공된다. 어것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16으로 표시된 파일럿의 시야라인에 수직이 되도록 캐노피(13)를 통하여 가로 및 세로로 한 변부에 평행한 피벗(1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다중요소 프레넬 프리즘 굴절매체(MEFPR)로 불리는 복합 프레넬 프리즘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MEFPR(14)는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12)에 대해 후방으로 또는 캐노피(13)에 대해 전방으로 중 하나로 사용위치와 적재 또는 파킹위치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두 단부위치사이에서 MEFPR은 사용자의 정밀한 시야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즉, MEFPR의 영역이 해당방향으로부터 빛이 채워지도록 어떤 위치로도 회전 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에서, 배치된 위치내의 광전환 광 요소(14)는 광선 자취 A 및 B로 표시된 파일럿의 시야영역하의 전방영역으로 도달하는 빛을 굴절하도록 작동한다. 이에따라 항공기내에 탑승한 파일럿의 제한위치로부터 이들 앞의 항공기 노우즈 부분을 볼수 있도록 한다.
그늘 또는 루브르(17)(도 1A 참조)는 탈선 광효과로부터 보호하고 굴절매체가 적재 또는 파킹위치일 때 작동하지 않도록 한다.
굴절매체는 도 2에서 더욱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요소들을 포함하는 복합 프레넬 굴절매체유닛인 굴절매체(20)이다.
도 2는 도시된 두 굴절매체의 각각의 시트(22,23)의 둘 또는 세 기본 프리즘을 가진 프레넬 굴절매체(20)의 최소 부분을 도시한다. 실제로 전체적으로 요소의 폭에 대한 더 많은 기본 프리즘이 있을 수 있다.
복합 굴절매체(20)의 부분을 형성하는 각각의 굴절매체(22,23)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서로 다른 굴절지수를 가지는 물질이 각각의 굴절매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굴절매체(22)는 평면(24)과 일반적으로 27,28로 표시되는 다수의 인접한 기본 프리즘을 형성하는 라이저(26)에 의해 분리된 다수의 경사진 기본표면(25)을 가지는 반대면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굴절매체요소(23)는 평면(29)과 기본 프리즘(33)을 한정하는 라이저(32)에 의해 분리된 다수의 개별 기본표면의 형태인 반대면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목적을 위해 적합한 복합굴절매체는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이 다른 것과 대향되어 경사진 프리즘의 정점각으로 위치한 다른 것으로부터 다른 물질의 둘이상의 광학적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요소(23)를 위해 바람직한 물질은 폴리메틸메타크린레이트(PMMA)이고 요소(24)를 위해 바람직한 물질은 폴리카보네이트(PC)이다.
요소(23)가 만들어지는 물질의 굴절지수의 선택과 함께 요소(23)내의 평면(29)에 대한 기본표면(31,30)의 경사는 이를 통하여 빛이 전송됨으로 요소(24)에 의해 도입된 반대 색수차를 도입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관찰자의 눈에 도착하는 빛은 색수차에 의해 저하되지 않은 직립상을 제공한다.
기본요소(25,31,30) 표면의 크기는 통상 1mm 순서이고 프레넬 굴절매체의 평평한 시트는 단일지점 다이아몬드 가공에 의해 제공되는 나노미터 정밀 툴링을 사용하는 PMMA 또는 PC와 같은 열가소성물질을 채용하는 이른바 마이크로-복체를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요소(23,24)는 투명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함께 접착함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비록 도 1에서 평평한 시트(20)가 도시되었으나 물론 복합 굴절매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향에서 시야영역이 확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본표면(31,32,33) 또는 다른 굴절매체상의 일치하는 표면은 오목 또는 볼록으로 만곡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적절한 시야영역을 확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도시된 두 개보다 차라리 세 프레넬 굴절매체가 있는 선택적인 복합 굴절매체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굴절매체(23)는 동일방향에서 정점각을 한정하는 경사진 기본표면을 각각 가지는 두 얇은 굴절매체(35,36)로 교체된다.
상기 구조는 도 2의 광학적 요소(23)를 통해서보다 광학적요소(35,36) 각각을 통하여 더 짧은 통로길이를 허용한다. 상기 특징은 역시 상기 요소(24,36)들이 서로 끼워져서 투명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도록 정확히 동일한 형상으로 만들어지게 한다.
상기 요소(35)는 상기 방법으로 접착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경사진 표면과 요소의 평평한 면사이의 공간이 의도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채워지도록 남아있어야 하고 상기 공간 내에 존재하는 접착제가 요소의 수행능력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선택적인 특성(도시되지 않음)에서, 요소(35)는 역전되어 평평한 표면이 투명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경우 요소(36)의 평평한 면과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요소(35)의 리브형성 면이 외부와 면하고 이것이 청결을 유지하기 어렵게 되는 단점을 가진다.
다른 가능한 선택적인 특징에서와 같이 요소(35)는 요소(24)에 대해 있는 요소(24,26)쌍의 다른 측면상에 동일한 경사로 위치될 수 있다.
이것은 역시 두 평평한 면의 교차점 내에서 접착을 단순하게 하나 리브가 형성된 외부면에 대해 상술한 바와같은 단점을 가진다.
도 4는 회전가능한 연결에 의해 공통의 평행한 변부를 따라 함께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두 분리된 굴절매체(38,39)로 구성된 일반적으로 참조번호 37로 표시된 광 전환 조립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굴절매체(38)는 개구부(13)의 상부변부에 인접한 인클로저의 지붕(12)에 41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굴절매체(38)는 각 표면이 요소의 일반적인 평면 자체에 대해 가로로 연장되는 평행한 기본표면으로 형성되는 본 출원인의 영국특허 2 255 945호에서 서술된 형태의 선택적으로 적층된 기본 굴절매체층 또는 도 2 또는 3d 대해 서술된 다중 굴절매체 층일 수 있다.
이것은 투명한 물질의 시트층을 함께 적층하고 다수의 평행한 표면을 가진 절단 시트를 제공하기 위해 요소의 면에 수직한 층을 통하여 절단하며, 선택적으로 복합요소가 층의 일반적인 장소에 서로 평행한 것으로부터 분기된 다수의 반사면을 한정하는 다른 경사 또는 평행한 그루브를 가지는 두 요소를 함께 가져감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굴절매체 층(38)은 평면 굴절매체(39)에 말단 변부에 피벗(40)에 의해 그리고 지붕(12)에 피벗(41)에 의해 인접변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능한 연결(40,41)은 두 굴절매체(38,39)가 도 4에서 도시된 배치 위치로 또는 두 접힌 또는 파킹된 위치로 연장되도록 한다.(역시 도 4A에도 도시됨) 이들은 서로 실질적으로 서로 그리고 지붕라인(12)과 평행하게 있으며 작동자의 눈의 라인방향에 개구부(13)가 있다.
도 4A에서 삽입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요소 굴절매체층(38)은 두 투명한 시트(40,41)를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평면(42,43)과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침투하는 리브와 그루브와 함께 위치할 때, 다수의 리브 또는 그루브의 선택면사이의 공기 갭 또는 포켓(44)을 한정하는 일치하게 형성된 리브로 분리된 비대칭 평행 그루브를 가지는 반대로 리브가 형성된 면을 가진다. 다른 선택면은 서로 접촉한다.
상기 구조는 색수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확산없이 반사광이 입사하는 전체 내부반사에 의해 완전한 굴절매체로써 기능하는 다수의 인터페이스를 한정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 위치에서 편향층(38)은 요소(38)의 평면에 수직으로(에어포켓(44)에 의해 한정된 평면에 평행한) 일반적으로 도착하는 빛의 확산을 제공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방향에서 개구부(13)를 통한 작동자의 시야가 방해받지 않는다. 두 굴절매체를 가짐으로서 상은 직립한다.
도 4는 역시 굴절매체 장치(38)와 통상의 광선을 관찰함으로써 개구부(13)를 통하여 가장 낮은 시야를 나타내는 기계 객석(라인 L1으로 표시)내의 개구부(130를 통하여 작동자(O)로부터 시야라인과 파킹된 위치내의 장치를 도시한다.
따라서, 작동자가 위치한 객석내에서 개구부로 허용된 외부범위를 시시각각 주시해야하는 크레인 또는 굴삭기와 같은 기계에서 사용될 때 이것은 본 발명의 편향장치를 배치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5는 평면 굴절매체(39)가 개구부(13)의 상부변부로 4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선택적인 특성에서 본 발명의 장치를 도시한다. 한편, 적층된 요소 굴절매체 층(38)은 피벗(40)에서 평면 굴절매체(39)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것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욱 간단한 접힘 또는 파킹 특성을 허용하고 특히 트럭 또는 화물차와 같은 자동차의 후방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장치의 자동배치는 후진기아가 들어갔을 때 배열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평면거울(39)은 평평한 평면거울일 수 있고 또한 상의 크기를 변화시키도록오목 또는 볼록한 거울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두 상호 침투 프리즘 층내의 면의 형상은 만곡되거나 평평하게 보여질 수 있다.
도 6은 도 5와 유사한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나 평면내에서 굴절매체가 개구부(13)너머로 지붕라인(12)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리어 스포일러(45)의 하부표면내에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적층된 요소 굴절매체층(38)은 피벗(46)에서 개구부(13)의 상부변부에 직접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도 6A에서 도시된 파킹된 위치와 도 6에 도시된 배치위치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물론, 굴절매체요소중 하나가 평면 굴절매체가 되는 것이 필수적이지는 않으나 둘다 적층된 요소 굴절매체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개구부내에서 광택이 나는 상부부분(47)이 적층된 요소 굴절매체층으로 형성되고 제 2 층(48)이 배치된 위치(실선으로 도시)와 파킹된 위치(파선으로 도시)사이의 운동을 위한 자동차의 지붕(12)에 49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회전된 층(48)이 파킹된 위치에 있을 때 작동자(O)에게는 빛이 미리 설정된 입사각보다 더 큰 입사각에서만 반사되기 때문에 고정된 층(47)을 통하여 똑바로 보여질 수 있다.
도 8,9 및 10은 차량의 전면에 문자 A로 표시된 영역이 차량의 노우즈에 의해 차단되는 위치로 연장되는 와이드스크린(50)이 있는 코치 또는 대형 화물차의전면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것은 운전자(D)의 눈으로부터 지면까지 시야(B)의 라인에 의해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형성되고 마운트(5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적층된 요소 굴절매체층(38)과 마운트(51)에 고정되어 연결된 평면거울(39)을 포함하는 광전환장치는 빛이 운전자의 눈에 도달하도록 자동차의 전면에 근접한 영역으로부터 전환되도록 한다.
도 9는 거울(39)이 마운트(51)위의 지점에서 와이드스크린(5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적층된 요소 굴절매체층(38)에 이것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특성을 도시한다. 상기 특성은 도 8의 실시예에 따라 달성된 자동차의 전면보다 약간 더 근접한 시야를 제공하고 약간 더 간단한 특성으로 적층 또는 파킹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두 독립적인 적층된 요소 굴절매체 층이 있는데, 제 1 층은 와이드스크린(50)의 하부부분으로 결합되고 제 2층(38)은 조절가능한 방법으로 마운트(5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다시 이것은 특히 간단한 특성이 있고, 도 9의 실시예와 유사한 시야영역을 얻게된다.

Claims (15)

  1. 개구부를 통해 관찰자의 시야영역을 확장하는 광학적 시스템에 있어서,
    요소를 통하여 관찰자에 의해 관찰된 상이 직립이 되도록 개구부 부근 또는 개구부에 장착된 시스템 또는 광 전환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시스템.
  2. 개구부를 통해 관찰자의 시야영역을 확장하는 광학적 장치에 있어서,
    차이나지 않는 각도로부터 입사하는 빛이 보여지는 상의 질적 저하없이 관찰자를 향하여 전환될 수 있도록 굴절되어 도입되는 색수차를 보상하고 이를 통하여 전송되는 굴절광에 의해 분기되어 작동가능하고 개구부와 관찰자 사이에 위치되거나 위치될 수 있는 광학적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환 시스템 또는 장치가 상기 시야로부터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관찰자에게 도달하는 방향을 가로지르는 축주위에서 회전가능하고 이에따라 관찰자에 의해 보여지는 작동위치와 개구부를 통하여 관찰자의 시야영역을 차단하지 않는 비작동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어 운반되는 굴절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축이 상기 굴절매체를 가로질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시스템.
  5.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매체가 프레넬 굴절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시스템.
  6. 제 3항 내지 5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매체가 광전환작동에 대해 반대로 경사진 다수의 요소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색수차를 위해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매체가 세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시스템.
  8. 임계 입사각 이상의 각에서 개구부를 통하여 입사하는 광을 전환하도록 작동하고, 임계각 이하의 각에서 개구부를 통하여 입사하는 비편향된 빛을 통하여 전송되는 제 1 전환요소와 관찰자를 향하여 제 1요소로부터 전환된 빛을 전환하도록 작동하는 제 2 전환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를 통하여 관찰자의 시야를 확대하기 위한 광학적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광전환요소 또는 시스템이 짝수의 굴절매체를 포함하는 복합 굴절매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장치.
  10. 제 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제 1 굴절매체가 층의 일반적 평면에 대해 가로로 경사진 층의 각각의 요소를 가진 층내의 다수의 굴절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장치.
  11. 제 8,9 또는 10항에 있어서, 제 2 굴절매체가 상기 제 1 굴절매체의 한변부에 또는 이에 인접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장치.
  12. 제 8항 내지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굴절매체의 비교위치가 굴절매체를 조정하는 비교위치에 따라 다른 방향에서 시야를 얻도록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장치.
  13. 차단된 위치로부터 관찰자로 빛을 전환하는 광학적 시스템에 있어서,
    비교경사의 조정을 위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및 제 2 굴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굴절유닛중 하나가 유닛을 통과함으로써 굴절에 의해 한 유닛으로 입사하는 빛이 전환되도록 상기 한 굴절유닛의 일반적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된 층내에 다수의 굴절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시스템.
  14. 전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매체가 오목 또는 볼록하게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시스템.
  15. 기계 또는 자동차를 위한 조작 도움수단에 있어서,
    자동차내의 개구부를 통하여 시야영역을 차단하지 않는 제 1 또는 저장 위치와 자동차 작동자의 시야라인내의 제 2 또는 작동 위치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방법으로 자동차 내에 또는 자동차상에 장착되거나 장착가능한 광전환 광학적 유닛을 포함하고, 이에따라 작동자가 상기 광학적 유닛을 통하여 변경된 시야영역을 가지도록 하는 기계 또는 자동차를 위한 조작 도움수단.
KR1020027004522A 1999-10-08 2000-10-09 광학적 시스템 KR200200579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923780.2 1999-10-08
GBGB9923780.2A GB9923780D0 (en) 1999-10-08 1999-10-08 An optical system
PCT/GB2000/003845 WO2001026930A1 (en) 1999-10-08 2000-10-09 An optical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971A true KR20020057971A (ko) 2002-07-12

Family

ID=10862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522A KR20020057971A (ko) 1999-10-08 2000-10-09 광학적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218222A1 (ko)
JP (1) JP2003511730A (ko)
KR (1) KR20020057971A (ko)
AU (1) AU7673500A (ko)
GB (2) GB9923780D0 (ko)
WO (1) WO20010269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5121A (ja) * 2003-11-12 2005-06-09 Murakami Corp 車両前方視認装置
EP2719581A1 (en) * 2012-10-10 2014-04-16 Caterpillar Inc. Optical assembly for improving visibility in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42962C (de) * 1953-07-15 1956-05-09 Rene Leduc Optischer Block zur Verbesserung der Sicht durch geneigte Waende
GB815134A (en) * 1956-01-18 1959-06-17 Glacauto Soc A visual aid for vehicle drivers
US3972596A (en) * 1972-05-12 1976-08-03 Donnelly Mirrors, Inc. View expanding and directing optical system
US3809462A (en) * 1972-05-12 1974-05-07 Donnelly Mirrors Inc View expanding and directing optical system
GB1405188A (en) * 1972-12-29 1975-09-03 Ford Motor Co Motor vehicle rear viewing system
DE8700266U1 (ko) * 1987-01-07 1987-07-09 Michel, Wilhelm, 8045 Ismaning, De
FR2670164A1 (fr) * 1990-12-05 1992-06-12 Ponz Robert Dispositif pare-soleil reflecteur permettant la vision vers l'avant.
GB9107551D0 (en) * 1991-04-10 1991-05-29 Milner Peter J A rear view mirror
GB9111331D0 (en) * 1991-05-24 1991-07-17 Milner Peter J Optical reflector
DE4210046A1 (de) * 1992-03-27 1993-10-14 Daimler Benz Ag Verstellbarer Zusatzspiegel für Kraftfahrzeuge, insbesondere für Kurzhaubenfahrzeuge
DE29508623U1 (de) * 1995-05-24 1996-09-19 Hohe Gmbh & Co Kg Weitwinkellinse für Fahrzeugheckscheiben
DE19522900A1 (de) * 1995-06-23 1996-05-15 Daimler Benz Ag Außenspiegel für Kraftfahrzeuge
US5790328A (en) * 1996-11-05 1998-08-04 Automotive Control Technologies, Inc. Vehicular visual safety device
GB9703687D0 (en) * 1997-02-21 1997-04-09 Milner Peter J An optical rear view system
US5914815A (en) * 1997-08-29 1999-06-22 Donnelly Corporation Optical rearview system for vehicle
US6101048A (en) * 1998-05-19 2000-08-08 Raytheon Company Split field wide angle viewing system for vehicles
AU4099600A (en) * 1999-03-15 2000-10-04 Daimlerchrysler Ag System for enlarging the field of view in a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923780D0 (en) 1999-12-08
JP2003511730A (ja) 2003-03-25
GB2357067A (en) 2001-06-13
GB0024650D0 (en) 2000-11-22
WO2001026930A1 (en) 2001-04-19
AU7673500A (en) 2001-04-23
EP1218222A1 (en) 200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4593A (en) Rear view system for a vehicle
CN107428250B (zh) 盖系统和具有盖系统的壳体
US4925272A (en) Indication display unit for vehicles
US5526195A (en) Rear-view system for vehicles
US4906075A (en) Vehicle rear view mirror
WO1989003059A2 (en) Automobile head-up display system
US5450246A (en) Remotely adjustable anti-glare vehicle mirror
GB2245380A (en) An automotive display apparatus
JPH06506420A (ja) 後方確認ミラー装置
EP0344968A1 (en) Vehicular display view control system
US20200225472A1 (en) Vehicle display device
US5134519A (en) Periscope switchover mirror system
US5113292A (en) Panoramic rearview mirror with an elongated adjustable support
KR20020057971A (ko) 광학적 시스템
US10816797B2 (en) Head-up display for a motor vehicle
US5054900A (en) Panoramic rearview mirror with narrow elongated reflective panels
EP0402444B1 (en) A rear view system for a vehicle
KR970009146B1 (ko) 주야 후방관찰 미러
CN116101033A (zh) 一种防窥玻璃组件及车辆
EP0961714B1 (en) An optical rear view system
US3001450A (en) Rear vision optical system
US6042239A (en) Aircraft canopy reflection reduction
JPH0596974A (ja) 車両用表示装置
JP4033069B2 (ja)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9056966A (ja) 車載用ミ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