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6900A - 텔레비전 프로그램 방송 방법, 텔레비전 수신기, 및 매체 - Google Patents

텔레비전 프로그램 방송 방법, 텔레비전 수신기, 및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6900A
KR20020056900A KR1020027004591A KR20027004591A KR20020056900A KR 20020056900 A KR20020056900 A KR 20020056900A KR 1020027004591 A KR1020027004591 A KR 1020027004591A KR 20027004591 A KR20027004591 A KR 20027004591A KR 20020056900 A KR20020056900 A KR 20020056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rogram
commercial
television
commerc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0571B1 (ko
Inventor
아키야마류헤이
마에다히로키
Original Assignee
나리타 유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덴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리타 유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덴츠 filed Critical 나리타 유타카
Publication of KR20020056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6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5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83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demographical data, e.g. age, family status or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1Caching operations, e.g. of an advertisement for later insertion during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4Content or additional data filtering, e.g. blocking 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Abstract

각 시청자에게 적합한 광고방송을 선명한 화상에 의해 제공한다.
텔레비전 프로그램(프로그램 R, 프로그램 S)을 미리 하드 디스크 메모리(11)에 축적하여 둔다. 또한, 각 기업으로부터 송신되는 복수 종류의 텔레비전 광고방송 중에서 시청자에게 적합한 텔레비전 광고방송(광고방송 a, 광고방송 b, …)을 각 시청자가 미리 등록한 시청자에 관한 정보에 따라 선택하여 하드 디스크 메모리(11)에 축적한다. 텔레비전 프로그램 사이에 방송하는 텔레비전 광고방송으로서 축적한 텔레비전 광고방송을 끼워 넣어 하나의 텔레비전 프로그램(20)을 제작한다. 시청자는 리모트 콘트롤러(13) 등의 조작에 의해 원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선택함으로써,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함께 자신에게 적합한 텔레비전 광고방송을 볼 수 있다.

Description

텔레비전 프로그램 방송 방법, 텔레비전 수신기, 및 매체{TELEVISION PROGRAM BROADCASTING METHOD, TELEVISION RECEIVER, AND MEDIUM}
최근,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디지털파에 의한 위성방송이 점차 보급되고 있다. 일본에서의 수상기 수는 1000만대를 초과하게 되었다. 디지털파에서는, 종래의 UHF대 또는 VHF대의 주파수대의 송신 전파에 대하여, 보다 주파수가 높은 주파수대의 송신 전파가 사용된다. 또한, 디지털파에 의한 지상파의 텔레비전 방송도 실행되고 있다. 이 디지털파에 의한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시청자가 방송되는 다수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중에서 각자의 기호에 맞는 방송을 찾을 필요가 있다.
또한, 다수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함께 송신되어 오는 광고방송은, 시청자의 기호에 관계없이 방송된다. 시청자가 텔레비전 채널을 변경하지 않는 한, 송신 측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내용대로 광고방송이 시청된다. 그러나, 시청자 측에서는, 시청자의 기호에 맞는 광고방송 또는 시청자에게 필요한 광고방송만이 방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각의 시청자 기호에 맞는 내용만의 시청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방법이 이미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있다(일본국 특원평10-303285호).
이 방법에서는, 예를 들어, 각각의 시청자가 미리 가족이나 자신의 고유 데이터를 등록하여 둔다. 그리하면, 그 고유 데이터에 의거하여, 시청자의 기호에 맞는 광고방송 또는 필요한 광고방송이 자동적으로 방송된다.
시청자가 등록하는 고유 데이터는 시청자의 가족 구성, 연령, 취미 등을 의미한다. 이들 데이터를 등록하는 방법으로서는, 등록 장치를 사용하여 시청자가 직접 등록하는 방법과, 특정 대리점에 데이터를 넘겨주어 대리점의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여 두는 방법이 있다.
시청자가 직접 등록할 경우에는, 텔레비전의 리모트 콘트롤러(13) 등을 사용하여 각 가정의 특성, 예를 들어, 주소, 가족 구성, 연령, 취미 등을 등록한다. 그리고, 이들 데이터로부터 그 가정에 적합한 광고방송을 선택하는 고유 코드가 결정된다. 이 고유 코드는 텔레비전 수신기의 메모리에 기록된다.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여 둘 경우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시청자 고유의 데이터, 예를 들어, 각각의 가정의 거주 장소, 가족 구성, 개인의 연령이나 취미, 멤버로 되어 있는 클럽, 소지하고 있는 카드 명칭 등이 어느 특정 대리점에 등록되어, 데이터 베이스(31)에 축적된다. 대리점은 이들 등록 데이터에 의거하여, 각각의 가정에 적합한 광고방송을 선택하기 위한 고유 코드를 인터넷을 통하여 각 가정의 텔레비전 수신기에 송신한다.
도 4는 각 가정에서 등록한 데이터의 상위에 따라, 복수 송신되어 오는 광고방송 중에서 가정마다 서로 다른 광고방송이 선택 수신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도면이다.
텔레비전 프로그램 P의 방송 도중에 흐르게 되는 광고방송 신호(CF)로서, 동시에 타입 A, 타입 B, 타입 C의 서로 다른 3가지 내용의 광고방송이 송신되고 있다. 도 4의 텔레비전 신호에서는, 이 서로 다른 3가지의 광고방송 각각의 필드마다 영상이 차례로 연속하여 나열되어 있다. 도 4에서는, 동일한 텔레비전 프로그램 P를 보고 있는 E 가족, F 가족, G 가족이 가정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가정의 수신기에는, 등록된 고유 데이터에 따라 3가지 광고방송 중에서 가장 적합한 광고방송이 선택되어 수신된다.
또한, 타입 A의 광고방송이 선택될 경우에는, 연속하여 차례로 나열되어 있는 광고방송 신호 중에서 타입 A에 관한 필드 영상만이 추출된다. 추출된 영상은 수상기 내의 메모리에 일시적으로 기억되고, 필드 사이의 보간 영상 처리(예를 들어, 동일 화면 또는 전후 화면의 화소를 이용한 예측 또는 움직임 보상 등)가 실행된 후에, 텔레비전 화면에 상영된다. 도 4의 예에서는, 각각 가정에서 등록된 고유 데이터에 대응하여 광고방송이 상이하다. 예를 들면, E 가정, F 가정, G 가정에서 각각 타입 A, 타입 B, 타입 C의 서로 다른 광고방송이 선택되어 수신된다.
다음으로, 텔레비전 수신기(10) 자체에 탑재된 기억 매체에 미리 광고방송이 선택 수신되어 기억되고, 프로그램 사이에 방송되는 광고방송으로서 방영되는 일 형태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의 예에서는, 다양화되고 있는 시청자의 기호, 광고방송 종류의 증가,지역간에 따른 광고방송 내용의 상위 등에 대응하여, 각각의 가정에 적합한 광고방송을 송신하기 위해, 각각의 가정 E, F, G에 미리 데이터 방송으로서 복수의 광고방송(CF) L, M, N이 송신된다.
복수의 광고방송 L, M, N은 데이터 방송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회선에 의해 미리 각 가정에 송신된다. 복수의 광고방송 L, M, N은 미리 설정된 판별 데이터(예를 들어, 광고방송의 방송 개시 시간, 지역 코드 등)를 갖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가정 E, F, G에서 미리 등록한 고유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고방송이 선택 수신되어, 각각의 텔레비전 수신기에 탑재된 기억 매체(33, 34, 35)에 기억된다. 그리고, 광고방송에 미리 설정된 판별 데이터에 의해, 텔레비전 프로그램 Q의 프로그램 사이에 종래의 프로그램 사이에 방영되는 광고방송 대신에, 기억된 광고방송이 방영된다. 각 가정에서 설정된 고유 데이터에 따라 각각의 광고방송이 각각의 기억 매체에 기억된다. 따라서, 동일한 프로그램을 보고 있는 가정 E, F, G에서 동일한 광고방송 타임에 각각의 가정에 적합한 서로 다른 광고방송 L, M, N이 화면 위에 상영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해 시청자의 기호에 맞는 광고방송을 선택 수신하는 방법에서는, 방송되고 있는 텔레비전 신호에 다른 영상 신호를 차례로 끼워 넣어 가는 영상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이 방법에서는, 처리 시간 등에 관하여 기술적으로 곤란한 부분도 있고, 처리 후의 영상을 보기 어려운 등의 결점이 있었다.
여기서, 선택 수신은, 예를 들어, 송신 측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복수 종류의 광고방송 중에서 임의의 광고방송을 선택하여 수신하고, 일정한 영상 처리를 실시하여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사이에 방송되는 광고방송으로서 사용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또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통상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또는 광고방송 이외에, 비디오 메일 등과 같이 미리 송신 측에 의해 편집된 영상 신호를 의미한다. 프로그램은,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광고방송 또는 비디오 메일 등에 의해 제작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또한, 이들 텔레비전 프로그램, 광고방송, 프로그램을 일반적으로 콘텐츠라고 한다. 또한,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콘텐츠라고도 한다.
본 발명은 텔레비전 수신기 내의 기억 매체에 축적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그 시청자의 기호에 따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방송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방송 방법 및 텔레비전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텔레비전 수신기 내의 기록 매체에 기억되는 신호가 텔레비전 화면에 재생되는 일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축적된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광고방송으로부터 프로그램이 제작되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종래의 방법에 의해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는 시청자의 고유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종래의 방법에 의해 복수의 광고방송 중에서 각 가정에서 수신하는 광고방송이 상이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종래의 방법에 의해 텔레비전 수신기의 기억 매체에 기억된 광고방송이 프로그램 사이의 광고방송으로서 방영되는 일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기(10)의 시스템 구성도.
도 7은 디지털파에 의한 전송로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텔레비전 수신기(10)에 송신되는 프로그램표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광고주와 광고방송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광고방송의 콘텐츠를 관리하는 CF 헤더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식생활 상의 기호에서의 클러스터 분석의 분석 결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타이머 기동 프로세스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3은 선택 표시 프로세스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4는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의 디지털파에 의한 전송로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의 교체 제어부(54)의 처리를 나타내는플로차트.
도 16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프로그램 합성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7은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프로그램 합성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각각의 시청자의 기호에 맞는 광고방송을 자동적으로 선택하고, 최신의 선명한 영상 화면을 방송 가능한 텔레비전 프로그램 방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수신한 디지털 방송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텔레비전 수신기(10) 내의 메모리(11)에 기억하고, 다른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합성하여 일정 시간의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이 프로그램을 반복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여기서의 방송은, 미리 메모리(11)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텔레비전 수신기(10)에 재생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다른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광고방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다른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광고방송이고, 미리 메모리(11)에 기억된 것 중에서 선택되며, 또한 합성한 프로그램 중의 광고방송과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텔레비전 프로그램 방송 방법이 온디멘드(on-demand) 방식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하는 텔레비전 수신기(10)로서, 수신된 복수의 제 1 콘텐츠를 기억하는 메모리(11)와 제어부(12)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12)는 제 2 콘텐츠를 수신할 때에, 소정의 기준에 따라 복수의 제 1 콘텐츠로부터 1개 이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제 1 콘텐츠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출력하고, 제 1 콘텐츠와 제 2 콘텐츠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을 시청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콘텐츠는 광고방송이며, 소정의 기준은 시청자의 속성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는 상기 소정의 타이밍을 알리는 타이머(53)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소정의 타이밍을 알리는 타이밍 정보를 디지털 방송파로부터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하는텔레비전 수신기(10)로서, 수신된 디지털 방송의 콘텐츠를 기억하는 메모리(11)와 제어부(12)를 구비하며, 제어부(12)는 제 1 콘텐츠와 제 2 콘텐츠를 합성하여 프로그램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 프로그램 콘텐츠를 반복 시청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모리(11)는 제 1 콘텐츠와 제 2 콘텐츠를 관계시키는 관계 정보를 더 기억하고, 제어부(12)는 관계 정보에 따라 제 1 콘텐츠와 제 2 콘텐츠를 합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관계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제 1 콘텐츠가 광고방송일 경우에는, 그 광고방송을 의뢰한 광고주를 나타내는 코드이다. 즉, 동일 광고주의 광고방송 중에서 적절한 광고방송을 선택하여, 제 2 콘텐츠와 합성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메모리(11)는 제 1 콘텐츠를 선택하는 선택 기준을 더 기억하고, 제어부(12)는 이 선택 기준에 따라 미리 메모리(11)에 기억된 복수의 제 1 콘텐츠로부터 1개 이상을 선택하여, 제 2 콘텐츠와 합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콘텐츠는 광고방송이고, 제 2 콘텐츠는 광고방송을 포함하고 있으며, 메모리(11)는 복수의 광고방송으로부터 1개 이상을 선택하는 선택 기준을 기억하고, 제어부(12)는 이 선택 기준에 따라 미리 메모리에 기억된 복수의 광고방송으로부터 1개 이상을 선택하여, 제 2 콘텐츠에 포함되는 광고방송으로 교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선택 기준은, 예를 들어, 시청자의 속성에 따라 설정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컴퓨터에 이상과 같은 기능을 제공시키는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한 것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1 및 2에 따른 발명에서는, 미리 축적되어 있는 프로그램끼리를 합성하여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나서 방송하기 때문에, 방송되고 있는 텔레비전 신호에 다른 영상 신호를 차례로 끼워 넣어 간다는 종래의 영상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술적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선명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에서는, 미리 메모리 내에 복수의 광고방송이 축적되어 있어, 그 중에서 적절히 시청자에게 적합한 광고방송이 선택되며, 광고방송의 내용도 갱신되어 가기 때문에, 시청자에 의해 적합한 광고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에서는, 축적되어 있는 복수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중에서 선택하여 언제든지 볼 수 있기 때문에, 시청자의 시청 횟수는 늘어나고, 보다 많은 기업으로부터 제공되는 광고방송에 의한 정보를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택 표시에서의 콘텐츠의 선택 처리에 충분한 시간을 주면서, 콘텐츠 전환의 동기를 취하고, 선명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프로그램 방송 방법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구성>
도 1은 송신되어 오는 텔레비전 신호가 텔레비전 수신기(10)에 내장되는 기억 매체에 기억되고, 텔레비전 화면에 재생되는 일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텔레비전 수신기(10)에는 하드 디스크 메모리(플래시 메모리)(11) 등의 용량이 큰 기록 매체를 탑재한 제어장치(12)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하드 디스크 메모리(11)에는, 송신 측으로부터 특정 시청자에게 송신되어 오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시청자가 녹화 예약한 프로그램 이외에, 광고방송을 비롯한 각 기업의 비디오 메일에 의한 광고 정보 등이 축적된다. 이들 정보는, 디지털 회선을 사용한 데이터 방송으로서 BS, CS 또는 지상파의 텔레비전 신호에 의해 송신된다. 그리고, 축적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특정 채널을 사용하여 방송된다. 또한, 그 프로그램 사이에 방송되는 광고방송이 축적된 복수의 광고방송 중에서 제어장치(12)에 의해 적절히 선택되어, 텔레비전 화면 위에 상영된다.
사용자는 리모트 콘트롤러(13)를 사용하여, 통상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수신 채널과 상기 축적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방영하는 특정 채널을 전환한다.
<기능 개요>
도 2는 하나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사이에 방송되는 광고방송이 축적되어 있는 하드 디스크 메모리(11)로부터 적절히 선택되어 끼워 넣어지고, 일정한 프로그램이 제작되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하드 디스크 메모리(11)는 시청자의 텔레비전 수신기(10)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하드 디스크 메모리(11)에는 프로그램 R 및 프로그램 S 등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및 광고방송 a, 광고방송 b, 광고방송 c 등이 축적되어 있다.
축적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에는, 통상의 텔레비전 방송으로서 방송되고 시청자의 녹화 예약 없이 하드 디스크 메모리(11)에 자동적으로 축적되는 프로그램(여기서는, 프로그램 R이라고 함) 이외에, 시청자가 원하는 것을 녹화하여 축적한 프로그램(여기서는, 프로그램 S라고 함) 등이 있다. 프로그램 R은, 축적된 후, 특정한 채널을 사용하여 반복 방송되는 프로그램(캐루셀(carousel) 방식의 프로그램)이다. 시청자는 그 특정한 채널을 리모트 콘트롤러(13) 등에 의해 선택함으로써, 언제든지 그 프로그램을 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리와인딩(rewinding) 버튼 등을 설치함으로써 프로그램 R이 방송 도중일지라도, 시청자는 리와인딩 버튼을 누름으로써 자유롭게 그 프로그램을 처음부터 볼 수도 있다. 한편, 시청자는 프로그램 S를 종래의 VTR에 녹화한 경우와 동일하도록 일정한 리모트 콘트롤러(13)의 조작에 의해 재생할 수 있다.
송신되어 오는 복수의 광고방송 중에서 각 시청자에게 적합한 것(광고방송 a, b, c, …)이 선택 수신되어, 하드 디스크 메모리(11)에 축적된다. 각 시청자에게 적합한 광고방송의 선택은, 미리 등록된 각 시청자에 관한 속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실행된다. 이 속성 데이터는 시청자의 주소, 가족 구성, 연령, 취미 등의 것을 의미한다. 시청자는, 예를 들어, 등록 장치(리모트 콘트롤러(13) 등)를 사용하여 시청자의 텔레비전 수신기(10)에 직접 이 속성 데이터를 등록하여 둔다.
속성 데이터가 입력되면, 제어장치(12)는 그 속성 데이터에 대응하여 시청자에게 적합한 광고방송을 선택하기 위한 광고방송 선택 코드를 결정하고, 하드 디스크 메모리(11)에 기억한다. 한편, 송신되어 오는 각각의 광고방송에는, 미리 광고방송의 내용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코드가 부여되어 있다. 이 식별 코드는, 예를 들어, 기업의 식별, 종류의 식별, 방송 시간의 식별, 방송 내용의 식별 등을 위한 코드이다. 수신된 복수의 광고방송 신호는 제어장치(12)에 입력된다. 그리고, 제어장치(12)에 설치되어 있는 검출 회로에 의해 식별 코드가 검출된다. 또한, 비교 회로에 의해 식별 코드가 상기 광고방송 선택 코드와 비교되어, 시청자에게 적합한 식별 코드인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그 결과, 적합한 광고방송만이 축적된다. 이들 구체적인 디지털 신호의 해석 방법은 일본국 특개평9-214875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다.
이하, 기업으로부터 송신되는 광고방송 중에서 시청자에게 적합한 광고방송이 선택되는 것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광고방송의 송신 측을 일정 자동차 메이커 P로 한다. 자동차 메이커 P로부터는 복수 종류의 광고방송이 동시에 송신되어 온다. 예를 들면, 제 1은 자동차 메이커 P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는 내용의 광고방송(광고방송 a')이다. 또한, 제 2는 다른 메이커로부터 자동차 메이커 P에 브랜드 스위치시키는 내용의 광고방송(광고방송 a) 등이다.
한편, 여기서 수신 측을 시청자 N으로 한다. 시청자 N의 텔레비전 수신기(1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청자 N에 관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시청자 N이 메이커 P 이외의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시청자 N에 관한 자동차의 데이터로서, 다른 메이커의 자동차 소지라는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자동차 메이커 P로부터 송신되는 복수의 광고방송 중에서 다른 메이커로부터 메이커 P에 브랜드 스위치를 시키는 내용의 광고방송 a가 시청자 N의 하드 디스크 메모리(11)에 축적된다.
또한, 식품 메이커 Q가 송신 측에서 라면의 광고방송을 송신할 경우에는, 지역마다 좋아하는 복수 종류의 라면의 광고방송이 제작되어 송신된다. 즉, 도쿄풍 라면(광고방송 b), 칸사이풍 라면(광고방송 b'), 규슈풍 라면(광고방송 b") 등의 복수 종류의 광고방송이 동시에 송신되어 온다. 한편, 시청자 N에 관한 데이터에는 요코하마 거주라는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식품 메이커 Q로부터 송신되는 복수의 광고방송 중에서 도쿄풍 라면(광고방송 b)의 광고방송이 시청자 N의 하드 디스크 메모리(11)에 축적된다.
이것은, 사전에 집계된 앙케이트 조사를 클러스터 분석한 결과, 예를 들어, 요코하마 시민과 도쿄 도민이 식생활에서 동일한 클러스터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하여, 각 시청자의 하드 디스크 메모리(11)에는, 각 기업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광고방송 중에서 각각의 시청자에게 적합한 것이 축적된다.
프로그램(20)은 하드 디스크 메모리(11)에 축적된 프로그램 R(프로그램 R 전반, 프로그램 R 후반)과 광고방송 a, b, c,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그램 R은 광고방송을 사이에 끼워 프로그램 R 전반, 프로그램 R 후반으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 R은 1회째, 2회째, …로 반복 방송된다. 한편, 광고방송은 각각의 프로그램 R이 방송되는 회의 전반과 후반의 사이, 및 후반의 뒤에 끼워 넣어져 있다. 각각에 끼워 넣어지는 광고방송의 종류는 미리 송신 측에 의해 결정되어 있다. 광고방송은 제어장치(12)에 의해 하드 디스크 메모리(11)에 축적된 것 중에서 적절히 선택되어, 프로그램 사이 또는 프로그램 후에 끼워 넣어진다. 즉, 1회째 방송의 프로그램 R 전반과 프로그램 R 후반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광고방송이 자동차 메이커 P의 광고방송일 경우에는, 자동차 메이커 P에 관한 광고방송으로서, 하드 디스크 메모리(11)에 축적된 광고방송 a가 선택되어 끼워 넣어진다. 또한, 1회째 방송의 프로그램 R 후반의 뒤에 끼워 넣어지는 광고방송이 식품 메이커 Q의 라면의 광고방송일 경우에는, 시청자가 살고 있는 지역을 기준으로 하여 하드 디스크 메모리(11)에 축적된 광고방송 b가 선택되어 끼워 넣어진다.
상술한 형태의 설명에서는, 축적된 일정 텔레비전 프로그램 R이 특정한 채널을 사용하여 반복 방송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는 이 형태에 구애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R이 온디멘드 방식에 의해 제공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미리 하드 디스크 메모리(11) 내에 축적되어 있다. 이 경우, 시청자는 리모트 콘트롤러(13) 등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화면 위에 표시되는 프로그램 선택 메뉴 중에서 보고 싶은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언제든지 볼 수 있다.
선택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사이에 방송되는 광고방송에 대해서도,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축적된 광고방송 중에서 시청자에게 적합한 것이 적절히 선택된다. 그리고, 하나의 프로그램(20)이 제작되어 방송된다.
또한, 하드 디스크 메모리(11)에 축적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시청자의 녹화 예약에 의해 축적된 프로그램 S일 경우에는, 녹화 시에 프로그램 사이에 끼워 넣어져 있는 광고방송을 기준으로 하드 디스크 메모리(11)에 축적된 광고방송이 선택된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S의 녹화 시에 자동차 메이커 P의 광고방송이 끼워 넣어져 있었을 경우에는, 미리 자동차 메이커 P의 광고방송으로서 하드 디스크 메모리(11)에 축적되어 있는 광고방송 a가 제어장치(12)에 의해 교체되어 방송된다. 즉, 시청자가 프로그램 S를 재생하여 볼 때에는, 자동차 메이커 P의 광고방송은 광고방송 a가 방송된다.
또한, 하드 디스크 메모리(11)에 축적되는 광고방송의 갱신은, 송신 측으로부터 재송함으로써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시청자가 시청자 자신에 관한상기 속성 데이터를 다시 입력함으로써, 광고방송의 갱신 시에 축적되는 종류가 변경된다. 예를 들면, 시청자가 자동차를 메이커 P의 것으로 바꾸어 샀을 경우에는, 시청자는 상기 데이터를 다시 입력한다.
또한, 이러한 광고방송을 선택하기 위한 데이터를 시청자에게 입력시키는 대신에, 방송국, 광고주, 또는 광고 대리점 등의 사업자가 인터넷 등을 통하여 시청자에게 송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데이터가 시청자의 의도와는 관계없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에 강제적으로 축적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축적하기 위해, 텔레비전 수신기에 탑재한 하드 디스크 메모리(11)를 사용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는 이러한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신기에 외장되는 하드 디스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텔레비전 수신기에 접속되는 홈 서버의 기억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억장치는 하드 디스크에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로서는, 떼어낼 수 있는 DVD-RAM 또는 CD-RW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텔레비전 수신기는 세트 톱 박스일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위성방송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케이블 텔레비전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는 것일 수도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하, 도 6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R에 선택적으로 수신한 광고방송 a를 조합시켜, 하나의 프로그램(20)에 합성하고, 하드 디스크 메모리(11)에 기억하며, 이것을 반복 시청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텔레비전 수신기(10)에 대해서 설명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청 중인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있는 광고방송을 미리 하드 디스크 메모리(11)에 축적하여 둔 광고방송과 교체하는 텔레비전 수신기(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른 구성 및 작용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그래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첨부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도 1 내지 도 5의 도면을 참조한다.
<시스템 구성>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텔레비전 수신기(10)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이 텔레비전 수신기(10)는 디지털파를 수신하는 튜너(51)와, 수신된 디지털파의 콘텐츠를 축적하는 하드 디스크 메모리(11)와, 튜너(51) 또는 하드 디스크 메모리(11)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쳐(switcher)(55)와, 이 스위쳐(55)가 선택한 콘텐츠를 디코드하는 디코더(56)와, 이 디코더(56)의 출력을 화상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모니터와, 하드 디스크 메모리(11)의 콘텐츠 갱신을 제어하는 교체 정보 관리부(52)와, 시간을 계측하는 내장 시계(53)와, 스위쳐(55)를 제어하는 교체 제어부(54)를 갖고 있다.
또한, 교체 정보 관리부(52), 내장 시계(53), 및 교체 제어부(54)는 도 1에 나타낸 제어장치(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튜너(51)는 디지털파를 수신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디지털 데이터 중에서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콘텐츠(이하, 표시용 콘텐츠라고 함)는 통상 스위쳐(55) 및 디코더(56)를 통하여 모니터에 전송되고, 출력된다(화살표 101).
한편, 튜너(51)는 표시용 콘텐츠 이외에 다른 대역에서 교체용 콘텐츠(60)를 수신한다. 이 교체용 콘텐츠(60)는 특정한 프로그램의 광고방송과 교체되는 광고방송이다. 교체용 콘텐츠(60)는 교체 대상의 프로그램이 방송되기 전에 사전에 방송된다.
교체용 콘텐츠(60)는 소정의 콘텐츠 코드에 의해 식별된다. 튜너(51)는 이 교체용 콘텐츠(60)를 수신하여, 하드 디스크 메모리(11)에 보존한다(화살표 102).
또한, 방송국은, 상기 교체용 콘텐츠(60)를 다시 교체하는 부분적인 교체 정보(61)를 반복 방송한다. 이 교체 정보(61)는 교체 대상을 나타내는 콘텐츠 코드와 교체 버전을 식별하는 버전 번호를 갖고 있다. 하드 디스크 메모리(11)는, 수신한 교체 정보(61) 중에서 교체 대상의 콘텐츠 코드마다 최신 버전의 교체 정보(61)을 보유한다. 이것에 의해, 교체용 콘텐츠(60)는 항상 최신의 상태로 갱신된다.
한편, 하드 디스크 메모리(11)는 사전에 시청자가 입력한 개인 프로파일(62)을 갖고 있다.
텔레비전 수신기(10) 내의 교체 제어부(54)는, 교체 개시 시각이 되면, 이하를 실행한다.
(1) 스위쳐(55)을 제어하고, 디코더(56)에 흐르는 정보를 튜너(51)로부터 하드 디스크 메모리(11)로 전환한다(화살표 104).
(2) 개인 프로파일(62)을 참조하여, 복수의 교체용 콘텐츠(60)로부터 시청자에게 적합한 것을 선택한다.
(3) 하드 디스크 메모리(11)에 지령하여, 선택된 교체용 콘텐츠(60)를 스위쳐(55)에 흐르게 한다(화살표 105).
교체 정보 관리부(52)는, 방송국으로부터의 교체 정보(61)를 수신하여, 하드 디스크 메모리(11)에 보존한다(화살표 103).
스위쳐(55)는 튜너(51)로부터의 수신 신호 또는 하드 디스크 메모리(11)로부터의 판독 신호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디코더(56)에 전달한다. 스위쳐(55)는 소위 멀티플렉서이다.
디코더(56)는 소정 형식의 디지털 신호로부터 텔레비전 신호를 생성하여, 모니터에 출력한다.
도 7은 디지털파에 의한 전송로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전송로는 표시용 콘텐츠의 대역과 교체 정보의 대역으로 구성된다. 교체 정보(61)는 표시용 콘텐츠와 독립적으로 반복 방송된다(이것을 교체 정보 캐루셀이라고 부름).
<데이터 구조>
도 8에 디지털파에 의해 텔레비전 수신기(10)에 매일 송신되는 프로그램표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다. 이 프로그램표의 각 행은 하나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콘텐츠에 대응한다. 이 프로그램표의 각 행은 개시 시각, 방영 시간, 콘텐츠 코드의 란을 갖고 있다.
개시 시각은 그 콘텐츠의 방송이 개시되는 시각이다. 방영 시간은 그 콘텐츠의 계속 시간이며, 초 단위로 기술된다. 콘텐츠 코드는 그 콘텐츠를 식별하는 코드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콘텐츠 코드의 선두 2문자로 콘텐츠의 종류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콘텐츠 코드가 SP001일 경우, 선두의 SP는 스포츠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또한, CFO10의 선두의 CF는 콘텐츠가 광고방송인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하여, 제어장치(12)는 프로그램표에 의해, 예를 들어, 콘텐츠 코드 SP001의 콘텐츠가 0:00으로부터 1800초(30분간) 방영되고, 그 후, 120초간(2분간) 콘텐츠 코드 CF101의 광고방송이 방영되는 것을 인식한다.
도 9에 광고주 광고방송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다. 이 테이블은, 각 광고주마다 방영되는 광고방송의 종류와, 그 광고방송을 선택할지 아닐지의 선택 속성(선택 기준에 상당)을 갖고 있다. 도 9는, 예를 들어, CLOOO1로 지정되는 광고주 A사의 광고방송을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고주 CLOOO1에 대해서는 CF101, CFlO2, CF103 등의 광고방송이 준비되어 있다. 이 광고주 광고방송 테이블의 각 행은 하나의 광고방송에 대응하고 있다(광고주 코드가 관계 정보에 상당함). 각 행은 CF 코드와 복수의 선택 속성, 예를 들어, 선택 속성 1 및 선택 속성 2 등을 갖고 있다.
CF 코드는 도 8에서 설명한 콘텐츠 코드의 일종이다. 즉, CF 코드는 광고방송에 한정한 콘텐츠 코드이다.
선택 속성은 해당 광고방송에 적합한 시청자의 속성을 나타내고 있다. 선택 속성은 속성과 속성값의 조합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면, CF 코드:CF101의 선택 속성 1에 있어서, "속성:기(旣)구입 브랜드, 속성값:B사제"는 CF101로 표시되는 광고방송이 B사제의 브랜드를 구입한 시청자에게 적합함을 나타낸다.
또한, CF 코드:CF103의 선택 속성 1에 있어서, "속성:주소, 속성값:도쿄"는 CF103으로 표시되는 광고방송이 도쿄 거주의 시청자에게 적합함을 나타내고 있다.
선택 속성은, 우선도가 높은 차례로 선택 속성 1 및 선택 속성 2 등과 같이 표시되어 있다. 복수의 광고방송 사이에서 선택 속성이 일치했을 경우, 이 선택 속성에 따라서는, 어느쪽 광고방송을 선택해야 할지는 결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는, 다음의 우선도의 선택 속성에 의해 판단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CF103과 CF1O4는 모두 선택 속성 1이 "속성:주소, 속성값:도쿄”에서 일치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선택 속성 2에 의해 어느쪽 광고방송을 선택해야 할지를 결정하면 된다.
도 10에 광고방송의 콘텐츠를 관리하는 CF 헤더 정보를 나타낸다. 이 CF 헤더 정보는 CF 코드, 광고주 코드, 식별 코드, 방영 시간, 광고 기간 및 콘텐츠에 대한 포인터를 갖고 있다.
CF 코드, 광고주 코드, 방영 시간은 도 9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식별 코드는 광고주와의 관계를 판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시청자가 광고 대리점 등의 광고방송 관리자로부터 시청자의 속성에 따라 광고방송 선택 코드가 부여된다. 텔레비전 수신기(10)는, 그 광고방송 선택 코드에 부합되는 식별 코드의광고방송만을 선택한다. 식별 코드는 이상과 같은 광고방송의 선택 수신 또는 선택 표시에 이용된다.
광고 기간은 광고주와의 계약에 의한 광고 기간이다. 콘텐츠에 대한 포인터는 해당 콘텐츠의 하드 디스크 메모리(11)의 어드레스이며, 콘텐츠의 선두 위치를 나타낸다.
도 11에 식생활에서의 클러스터 분석의 분석 결과 예를 나타낸다. 이 예는 식생활의 기호에 관한 앙케이트 결과를 클러스터 분석한 일례이다. 이 예에서는, 클러스터 1에는 요코하마, 도쿄, 사이타마가 포함되어 있다.
이것은, 앙케이트 결과로부터 요코하마, 도쿄, 사이타마의 주민이 식생활 상의 기호에서 유사한 특성을 갖는 것을 나타낸다. 다른 클러스터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쿄 라면과 규슈 라면의 광고방송이 있을 경우, 요코하마 거주의 시청자에게는, 도쿄 거주자와 동일하게, 도쿄 라면의 광고방송을 방영해야 한다는 결정이 이루어진다.
<작용과 효과>
도 12 및 도 13에 교체 제어부(54)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처리를 나타낸다. 이 프로그램은 타이머 기동 프로세스와 선택 표시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있다.
도 12는 타이머 기동 프로세스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 타이머 기동 프로세스가 기동되면, 프로그램 개시를 감시한다(S21).
타이머 기동 프로세스는, 표시용 콘텐츠의 헤더 정보로부터 프로그램의 개시를 검출하면, 프로그램표로부터 그 프로그램의 방영 시간을 읽는다(S22).
다음으로, 타이머 기동 프로세스는 선택 표시 프로세스를 기동한다(S23).
다음으로, 타이머 기동 프로세스는 방영 시간을 계측 시간으로 지정하여 타이머를 기동한다(S24). 그 후, 타이머 기동 프로세스는 S21로 제어를 되돌린다. 또한, 타이머는 지정한 계측 시간이 경과하면 타이머 인터럽트를 발생시킨다.
도 13은 선택 표시 프로세스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선택 표시 프로세스는, 먼저, 내장 시계(53)를 참조한다. 그리고, 표시 프로세스는, 프로그램표로부터 현재의 시간에서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다음에 방송되는 광고방송의 CF 코드를 읽는다(S31).
다음으로, 선택 표시 프로세스는, 그 CF 코드를 갖는 CF 헤더를 검색한다. 그리고, 그 CF 헤더로부터 그 광고방송의 광고주 코드를 구한다(S32).
다음으로, 선택 표시 프로세스는, 해당 시청자의 개인 프로파일(62)로부터 시청자의 속성을 판독한다(S33). 예를 들면, 시청자의 주소, 연령, 성별, 연수(年收), 기구입 브랜드, 기호 등이 판독된다.
다음으로, 선택 표시 프로세스는, 시청자의 속성에 의거하여 광고주 광고방송 테이블로부터 적절한 광고방송의 CF 코드를 결정한다(S34). 이것은, 시청자의 속성에 부합되는 CF 코드를 광고주 광고방송 테이블로부터 구하는 처리이다.
이 상태에서 선택 표시 프로세스는 타이머 인터럽트를 대기한다(S35). 타이머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선택 표시 프로세스는, 스위쳐(55)를 하드 디스크 메모리(11)로 전환하고, 선택된 CF 코드의 광고방송을 디코더(56)에 보낸다(S36).
다음으로, 그 광고방송의 콘텐츠의 판독 종료를 대기한다(S37). 광고방송의판독이 종료되면, 선택 표시 프로세스는, 스위쳐(55)를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고, 튜너로부터의 콘텐츠를 디코더(56)에 보낸다(S38).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텔레비전 수신기(10)는, 시청자의 개인 프로파일(62)에 맞춘 적절한 광고방송을 선택하여, 시청자에게 시청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텔레비전 수신기(10)는, 프로그램 개시 시로부터 선택해야 할 광고방송을 선택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교체해야 할 광고방송을 결정한 후, 타이머에 의한 시간 계측을 대기하여, 그 광고방송으로 전환한다. 따라서, 광고방송 선택에 충분히 시간을 확보하여, 전환에 따른 화상의 열화 또는 처리 시간 부족을 회피할 수 있다.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의 텔레비전 수신기(10)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전에 시청자의 개인 프로파일(62)과 광고주 광고방송 테이블로부터 적절한 광고방송의 CF 코드를 구한다. 그리고, 이 텔레비전 수신기(10)는, 타이머에 의한 시간 계측을 대기하여, 그 광고방송의 콘텐츠를 원래 광고방송의 콘텐츠로 교체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는 이러한 순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교체 타이밍을 방송국이 지시하도록 하여도 상관없다. 도 14는 그러한 지시를 송신하는 디지털파의 전송로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전송로에서는, 통상의 프로그램 콘텐츠, 교체 정보 캐루셀 이외에, 교체 타이밍 캐루셀이 송신된다. 이 교체 타이밍 캐루셀의 송신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텔레비전 수신기(10)에 교체를 위한 처리 시간을 충분히 확보시킬 수 있다.
도 15에 이 경우의 교체 제어부(54)의 처리를 나타낸다. 이 처리에서는 2종류의 교체 타이밍 캐루셀을 사용한다. 제 1은 교체 광고를 구하는 처리를 개시시키는 교체 타이밍 캐루셀 1이다. 제 2는 스위쳐(55)를 전환하는 타이밍을 지령하는 교체 타이밍 캐루셀 2이다.
이 처리에서, 교체 제어부(54)는, 먼저, 교체 타이밍 캐루셀 1의 수신을 대기한다(S40).
교체 타이밍 캐루셀 1을 수신하면, 교체 제어부(54)는 교체 광고를 구한다(S41). 이 처리는 도 13의 S31 내지 S34의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 후, 교체 제어부(54)는 교체 타이밍 캐루셀 2의 수신을 대기한다(S42).
교체 타이밍 캐루셀 21을 수신하면, 교체 제어부(54)는 스위쳐(55)를 전환한다(S46). 그 후의 처리는 도 13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교체 타이밍 캐루셀 1과 2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텔레비전 수신기(10)에 교체하는 광고방송을 선택할 시간을 충분히 부여할 수 있다. 그 결과, 화상의 열화 또는 처리 속도 상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상기 광고방송의 교체에서의 선택 표시 프로세스의 처리에 있어서는, 하나의 광고방송을 교체하는 처리를 나타냈다(도 13의 S31 내지 S33).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는 이러한 순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의 프로그램이 복수 부분으로 구성될 경우, 예를 들어, 제 1 쿼터로부터 제 4 쿼터로 분할되고, 각 쿼터의 끝에서 광고방송이 방영되는 경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실시는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각 쿼터를 독립 콘텐츠로 하여 콘텐츠 코드를 부여하면, 각 쿼터는 도 8에 나타낸 독립 행으로서 정의된다. 따라서, 콘텐츠 1에 대하여 하나의 광고방송이 방영되는 형식으로 프로그램이 관리되고, 도 13에 따라 광고방송의 교체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각 쿼터를 독립 콘텐츠로서 취급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13의 S31 내지 S33의 처리를 반복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텔레비전 수신기(10)는 프로그램의 개시 시점을 검출하고, 그 프로그램의 방영 시간의 계측을 타이머에 지정하여, 교체 타이밍을 구했다. 또한, 상기 변형예의 텔레비전 수신기(10)는, 교체 타이밍 캐루셀을 수신함으로써, 그러한 교체 타이밍을 검출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는 이러한 순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내장 시계(53)로부터 현재 시간을 판독하고, 소정 시간 내에 방영되는 광고방송을 프로그램표에서 판독하며, 그러한 광고방송에 대하여 도 12 및 도 13의 처리를 기동할 수도 있다. 그러한 기동을 정기적으로 행하는 스케줄 관리 프로그램을 제어장치(12)에 실행시키는 것이 좋다.
그 경우, 내장 시계의 시각과 방송 시각의 오차가 커지지 않도록 정기적으로 방송국에서 시보를 통지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프로그램의 개시를 검출하지 않고 광고방송을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체 타이밍 캐루셀의 검출과 타이머에 의한 시간 계측을 조합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교체 타이밍 캐루셀 2의 수신을 대기하는(S42) 대신에타이머 인터럽트를 대기하도록 할 수도 있다(도 13의 S35).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교체하는 복수의 광고방송을 관계시키는 정보로서 광고주 코드를 이용했다. 그리고, 동일 광고주에 속하는 광고방송 중에서 선택된 광고방송에 의해 프로그램의 광고방송을 교체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는 이러한 순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광고주에 관계없이 시청자에게 적합한 광고방송을 선택할 수도 있다.
[제 3 실시형태]
이하,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선택적으로 수신한 광고방송 a를 텔레비전 프로그램 R에 편성하여, 하나의 프로그램 2에 합성하고, 하드 디스크 메모리(11)에 기억하며, 이것을 반복 시청시키는 텔레비전 수신기(10)에 대해서 설명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프로그램의 시청 직전에 광고방송을 교체하는 텔레비전 수신기(10)에 대해서 설명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의 구성과 제 2 실시형태의 구성을 조합시킨 텔레비전 수신기(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텔레비전 수신기(10)는, 시청자의 개인 프로파일(62)에 맞추어 광고방송을 선택하고,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광고방송과 교체하여 사전에 프로그램을 합성하여, 반복 재생한다. 다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 또는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그래서, 필요에 따라 도 1 내지 도 15의 도면을 참조한다.
도 16에 제어장치(12)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합성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다. 디지털파에 의해 프로그램표가 송신되었을 때, 제어장치(12)는 이 처리를 실행하여, 프로그램의 광고방송을 교체한다. 제어장치(12)는 프로그램표의 광고방송을 체크하고, 그 광고방송을 해당 시청자에게 적합한 것으로 교체하여 새롭게 프로그램을 합성한다.
먼저, 제어장치(12)는 프로그램표에서 다음 광고방송의 CF 코드를 판독한다(S62).
다음으로, 제어장치(12)는 그 광고방송의 CF 헤더로부터 광고주 코드를 구한다(S63).
다음으로, 제어장치(12)는 해당 시청자의 개인 프로파일(62)로부터 시청자의 속성을 판독한다(S64). 예를 들면, 시청자의 주소, 연령, 성별, 연수, 기구입 브랜드, 기호 등이 판독된다.
다음으로, 제어장치(12)는 시청자의 속성에 의거하여 광고주 광고방송 테이블로부터 적절한 광고방송의 CF 코드를 구한다(S65).
다음으로, 구한 CF 코드의 콘텐츠로 광고방송을 교체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제작한다(S66).
다음으로, 제어장치(12)는 프로그램표의 체크를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67). 프로그램표의 모든 체크가 종료되지 않았을 경우, 제어장치(12)는 S62로 제어를 되돌린다. 한편, 프로그램표의 모든 체크가 종료된 경우, 제어장치(12)는 프로그램 합성 처리를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텔레비전 수신기(10)에서는, 시청자에게적합한 광고방송의 콘텐츠를 사전에 선택하여, 프로그램의 광고방송과 교체한다. 따라서, 광고방송 교체에 따른 화상의 열화 또는 처리 시간 부족을 회피하여, 시청자에게 적합한 광고방송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시청시킬 수 있다.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의 텔레비전 수신기(10)에서는, 시청자의 개인 프로파일(62)에 따라 광고방송이 선택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는 이러한 순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시청자의 속성에 의거하여, 사전에 광고방송 선택 코드를 결정해 둔다. 한편, 각 광고방송의 콘텐츠에는 소정의 식별 코드를 부여하여 둔다(도 10 참조). 그리고, 시청자의 광고방송 선택 코드와 일치하는 식별 코드의 콘텐츠를 교체용 광고방송으로서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합성 처리의 순서를 도 17에 나타낸다. 이 처리에서는, S64a 및 S65a 이외의 순서는 도 16과 동일하다. 그래서, 동일한 순서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첨부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의 처리에서는, S64a에 있어서, 제어장치(12)는 개인 프로파일(62)로부터 해당 시청자의 광고방송 선택 코드를 판독한다.
다음으로, 제어장치(12)는 광고방송 선택과 일치하는 식별 코드를 갖는 CF 헤더를 검색한다(S65a). 그리고, 구한 식별 코드의 콘텐츠로 광고방송을 교체하여, 새로운 프로그램을 제작한다(S66).
이 예에서는 식별 코드의 판정에 의한 광고방송 선택 처리를 플로차트로 나타냈다. 이 기능은 제어장치(12)의 프로그램으로서 실장할 수도 있고, 게이트를조합시킨 논리회로에 의해 하드웨어로서 실장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상기 실시형태에 나타낸 제어장치(12)의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에 이 기록 매체의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시켜서, 텔레비전 수신기(10)의 제어장치(12)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 등의 정보를 전기적, 자기적, 광학적, 기계적, 또는 화학적 작용에 의해 축적하고, 컴퓨터로부터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기록 매체 중에서 컴퓨터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것으로서는, 예를 들어, 플로피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CD-R/W, DVD, DAT, 8㎜ 테이프,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에 고정된 기록 매체로서 하드 디스크 또는 ROM(read only memory) 등이 있다.
<반송파로 구현화된 데이터 통신 신호>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격납하고, 통신 매체를 통하여 다른 컴퓨터에 배포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그램은 반송파에 의해 구현화된 데이터 통신 신호로서 통신 매체가 전송된다. 그리고, 그 배포를 받은 컴퓨터를 상기 실시형태의 텔레비전 수신기(10)의 제어장치(12)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매체로서는 동축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광통신 케이블, 위성통신, 지상파 무선통신 등 중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반송파는 직류 신호일 수도 있고, 반송파로 구현화된 데이터 통신 신호는 변조된 브로드 밴드 신호와 변조되지 않은 베이스 밴드 신호 중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텔레비전 수신기 등의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수신기의 제조 산업, 디지털 방송에 의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산업에서 실시할 수 있다.

Claims (20)

  1. 수신한 디지털 방송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텔레비전 수신기 내의 메모리에 기억하고,
    다른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합성하여 일정 시간의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이 프로그램을 반복 방송하는 일정 지역 내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방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광고방송인 일정 지역 내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방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광고방송이고, 미리 메모리에 기억된 것 중에서 선택되며, 또한 합성한 프로그램 중의 광고방송과 교체 가능한 일정 지역 내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방송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프로그램 방송 방법이 온디멘드(on-demand) 방식으로 실행되는 일정 지역 내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방송 방법.
  5.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하는 텔레비전 수신기로서,
    수신된 복수의 제 1 콘텐츠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 2 콘텐츠를 수신할 때에, 소정의 기준에 따라 복수의 제 1 콘텐츠로부터 1개 이상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 1 콘텐츠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출력하고, 제 1 콘텐츠와 제 2 콘텐츠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을 시청시키는 텔레비전 수신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텐츠는 광고방송이며, 상기 소정의 기준은 시청자의 속성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텔레비전 수신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타이밍을 알리는 타이머를 더 구비한 텔레비전 수신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타이밍을 알리는 타이밍 정보를 디지털 방송파로부터 검출하는 텔레비전 수신기.
  9.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하는 텔레비전 수신기로서,
    수신된 디지털 방송의 콘텐츠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 1 콘텐츠와 제 2 콘텐츠를 합성하여 프로그램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 프로그램 콘텐츠를 반복 시청시키는 텔레비전 수신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 1 콘텐츠와 제 2 콘텐츠를 관계시키는 관계 정보를 더 기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계 정보에 따라 제 1 콘텐츠와 제 2 콘텐츠를 합성하는 텔레비전 수신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제 1 콘텐츠를 선택하는 선택 기준을 더 기억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 선택 기준에 따라 미리 메모리에 기억된 복수의 제 1 콘텐츠로부터 1개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제 2 콘텐츠와 합성하는 텔레비전 수신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텐츠는 광고방송이고,
    상기 제 2 콘텐츠는 광고방송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메모리는 복수의 광고방송으로부터 1개 이상을 선택하는 선택 기준을 기억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 선택 기준에 따라 미리 메모리에 기억된 복수의 광고방송으로부터 1개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제 2 콘텐츠에 포함되는 광고방송과 교체하는 텔레비전 수신기.
  13. 텔레비전 수신부가 접속되는 컴퓨터에,
    수신한 복수의 제 1 콘텐츠를 기억하는 단계와,
    소정의 기준에 따라 복수의 제 1 콘텐츠로부터 1개 이상을 선택하는 단계와,
    제 2 콘텐츠가 수신될 때에, 상기 선택된 제 1 콘텐츠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고, 제 1 콘텐츠와 제 2 콘텐츠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을 시청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텐츠는 광고방송이며, 상기 소정의 기준은 시청자의 속성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타이밍을 알리는 타이머를 기동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타이밍을 알리는 타이밍 정보를 디지털 방송파로부터 검출하는단계를 더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7. 텔레비전 수신부가 접속되는 컴퓨터에,
    수신된 콘텐츠를 메모리에 기억하는 단계와,
    메모리에 기억된 제 1 콘텐츠와 제 2 콘텐츠를 합성하여 프로그램 콘텐츠를 제작하는 단계와,
    프로그램 콘텐츠를 반복 시청시키는 단계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텐츠와 제 2 콘텐츠를 관계시키는 관계 정보를 참조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키고,
    이 관계 정보에 따라 제 1 콘텐츠와 제 2 콘텐츠를 합성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9. 제 17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 1 콘텐츠로부터 1개 이상을 선택하는 선택 기준을 참조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 기준에 따라 복수의 제 1 콘텐츠로부터 1개 이상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키고, 선택된 제 1 콘텐츠를 상기 제 2 콘텐츠와 합성하는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텐츠는 광고방송이고,
    상기 제 2 콘텐츠는 광고방송을 포함하고 있으며,
    복수의 광고방송으로부터 1개 이상을 선택하는 선정 기준을 참조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 기준에 따라 복수의 광고방송으로부터 1개 이상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키고, 상기 제 2 콘텐츠에 포함되는 광고방송을 상기 선택된 광고방송과 교체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27004591A 1999-10-13 2000-10-06 텔레비전 프로그램 제공 방법, 텔레비전 수신기, 및 매체 KR1007405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290880 1999-10-13
JP29088099 1999-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900A true KR20020056900A (ko) 2002-07-10
KR100740571B1 KR100740571B1 (ko) 2007-07-19

Family

ID=17761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591A KR100740571B1 (ko) 1999-10-13 2000-10-06 텔레비전 프로그램 제공 방법, 텔레비전 수신기, 및 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20157093A1 (ko)
EP (1) EP1227674A4 (ko)
KR (1) KR100740571B1 (ko)
CN (1) CN1390420A (ko)
AU (1) AU7558800A (ko)
CA (1) CA2387386A1 (ko)
TW (1) TW492247B (ko)
WO (1) WO20010282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0286B2 (en) * 2000-08-25 2007-07-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tent editing apparatus, content editing method, content editing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020100062A1 (en) * 2001-01-19 2002-07-25 Lowthert Jonathan E. Content with advertisement information segment
US20020194589A1 (en) * 2001-05-08 2002-12-19 Cristofalo Michael Technique for optimizing the delivery of advertisements and other programming segments by making bandwidth tradeoffs
JP2002354449A (ja) * 2001-05-28 2002-12-06 Tatsuya Ishii 広告配信方法及びテレビ放送受信機
JP4168606B2 (ja) * 2001-06-28 2008-10-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7631327B2 (en) * 2001-08-08 2009-12-08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Enhanced custom content television
US20040155897A1 (en) * 2003-02-10 2004-08-12 Schwartz Paul D. Printed user interface for electronic systems
KR20040076426A (ko) * 2003-02-25 2004-09-01 한우중 광고와 게임 및 티브이 방송을 스케줄에 의해자동스위칭하는 방송 스위칭 장치 및 방법
US20040268384A1 (en) * 2003-06-30 2004-12-30 Stone Christopher J.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method for playback of a recorded video signal and method of providing an advertising service
GB2405555B (en) * 2003-08-28 2006-02-22 Motorola Inc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US20050081252A1 (en) * 2003-10-14 2005-04-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bandwidth optimization using a local cache
IL159530A0 (en) * 2003-12-23 2004-06-01 Affinient Ltd Display of video signals to subscribers
WO2005083977A1 (en) * 2004-02-19 2005-09-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a first data stream
JP2006186518A (ja) * 2004-12-27 2006-07-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および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3933671B2 (ja) * 2005-04-25 2007-06-20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再生システムおよびそ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情報再生装置
EP1905236A4 (en) * 2005-05-31 2008-10-08 Wi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NG CONTENT
KR100657322B1 (ko) * 2005-07-02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로컬 3차원 비디오를 구현하기 위한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장치
US20070143787A1 (en) * 2005-12-19 2007-06-21 Cankaya Hakki 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xt-aware local advertising in IPTV systems
US20070294356A1 (en) * 2006-06-20 2007-12-20 Yasuyoshi Shimooka User selection type e-mail delivery system
JP2008099001A (ja) * 2006-10-12 2008-04-24 Funai Electric Co Ltd 録画装置および録画方法
US8949886B2 (en) * 2007-06-18 2015-02-03 Alcatel Lucent Targeted advertisement insertion with interface device assisted switching
JP4596060B2 (ja) * 2008-08-29 2010-12-08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動画像データ区間変更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427555A (zh) * 2011-10-10 2012-04-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字节目的发布、播放方法及其装置和系统
CN103517101A (zh) * 2012-06-29 2014-01-15 深圳市快播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多屏互动场景同步播放时间轴广告的方法及系统
KR102052492B1 (ko) * 2018-03-05 2019-12-05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미디어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0125781A1 (zh) * 2018-12-20 2020-06-25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广播信号接收装置以及广播信号接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2615A (en) * 1995-06-30 1997-07-29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Precision broadcast of composite programs including secondary program content such as advertisements
JPH0951522A (ja) * 1995-08-07 1997-02-18 Hitachi Ltd 広告映像配送方法
JPH09191453A (ja) * 1995-11-07 1997-07-22 Sony Corp データ送受信、データ記録再生のための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H09327002A (ja) * 1996-06-07 1997-12-16 Sony Corp テレビジョン放送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放送方法並びにテレビジョン放送信号受信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放送信号受信方法
US5986692A (en) * 1996-10-03 1999-11-16 Logan; James D. Systems and methods for computer enhanced broadcast monitoring
US6317795B1 (en) * 1997-07-22 2001-11-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modification of multimedia content
KR19990032224A (ko) * 1997-10-17 1999-05-15 전주범 위성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US6029045A (en) * 1997-12-09 2000-02-22 Cogent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ng local content into programming content
US6698020B1 (en) * 1998-06-15 2004-02-24 Webtv Networks, Inc. Techniques for intelligent video ad insertion
US6799327B1 (en) * 1998-07-14 2004-09-28 United Video Properties, Inc. Program guide with selectable advertisements and pseudo-ads
US7103904B1 (en) * 1999-06-30 2006-09-05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 interactive advertising using remote advertising templ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57093A1 (en) 2002-10-24
WO2001028236A1 (fr) 2001-04-19
AU7558800A (en) 2001-04-23
TW492247B (en) 2002-06-21
CA2387386A1 (en) 2001-04-19
EP1227674A1 (en) 2002-07-31
EP1227674A4 (en) 2007-11-21
CN1390420A (zh) 2003-01-08
KR100740571B1 (ko) 200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0571B1 (ko) 텔레비전 프로그램 제공 방법, 텔레비전 수신기, 및 매체
US7249365B1 (en) System and method for ensuring presentation of embedded rich media across station boundaries
US8079045B2 (en) Personal video recorder and method for inserting a stored advertisement into a displayed broadcast stream
US6425128B1 (en) Video system with a control device for displaying a menu listing viewing preferences having a high probability of acceptance by a viewer that include weighted premium content
EP2629546B1 (en) Program switch display control on an audio-video rendering device
KR101004564B1 (ko) 콘텐츠축적시스템, 홈서버장치, 정보공급장치, 집적회로 및 기록매체
US20030066078A1 (en) Subscriber interface device for use with an intelligent content-broadcast network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20064612A (ko)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추천 방법
JP2003506970A (ja) テレビ信号の受信機における改良
US20060107301A1 (en) Video recorder unit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JP2009522860A (ja) プログラムセグメント関心に基づくメディアプログラム選択アクセス用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102194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lacing a broadcasted advertisement based on both heuristic information and attempts in altering the playback of the advertisement
JP7267005B2 (ja) 放送信号受信装置、放送信号受信方法
KR20220046120A (ko) 콘텐츠 추천 방법 및 장치
WO1999049661A1 (fr) Dispositif de reception selective de radiodiffusion numerique et procede associe
JP7267004B2 (ja) 放送信号受信装置、放送信号受信方法
JP7171416B2 (ja) 放送信号受信装置、放送信号受信方法
JP7350484B2 (ja) 放送信号受信装置、放送信号受信方法
JP7146616B2 (ja) 放送信号受信装置、放送信号受信方法
JP7146618B2 (ja) 放送信号受信システム、放送信号受信方法
US11431940B2 (en)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broadcast signal receiving method
JP7146617B2 (ja) 放送信号受信システム、放送信号受信方法
JP7187294B2 (ja) 放送信号受信システム、放送信号受信方法
JP7187293B2 (ja) 放送信号受信システム、放送信号受信方法
JP2003153105A (ja) チャンネル切替装置、チャンネル切替方法、チャンネル切替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