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6025A - 자동차용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6025A
KR20020056025A KR1020000085307A KR20000085307A KR20020056025A KR 20020056025 A KR20020056025 A KR 20020056025A KR 1020000085307 A KR1020000085307 A KR 1020000085307A KR 20000085307 A KR20000085307 A KR 20000085307A KR 20020056025 A KR20020056025 A KR 20020056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ormula
acrylic polyol
meth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5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철
윤홍선
김동진
정유석
Original Assignee
정종순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순,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filed Critical 정종순
Priority to KR1020000085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6025A/ko
Publication of KR20020056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602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 C09D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및 기타의 첨가제로 이루어진 2액형 도료 조성물로서, 특히 아크릴 폴리올로서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전체 모노머 중 30중량부 이내로 함유하여 제조된 아크릴 폴리올 I 30∼70중량%와; 전체 모노머 중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프로락톤메타크릴레이트를 10∼70중량부로 함유하고, 다음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를 1∼20중량부로 함유하여 제조된 아크릴 폴리올 II 30∼70중량%를 블렌딩하여 사용한 것으로서, 이는 자동차용 투명도료로 제조시 종래의 도료보다 내스크래치성에서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며 아울러 내산성 및 도막의 선영성이 우수하다.
상기 식에서, R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상기 식에서, R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n은 1∼6의 정수이다.
상기 식에서 R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료 조성물{Coating composition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종의 아크릴 폴리올을 사용한 2액형 도료로서 베이스 도료와 투명도료가 2-코우트-1베이킹 방식으로 도장되는 자동차용 투명도료로 적합한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차체에 도장되어지는 투명도료의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수산기 함유 아크릴수지(이하, 아크릴 폴리올이라 함)와 경화제인 비황변 형태의 이소시아네이트 수지로서 이루어지며, 그 외 평활제, 슬립제,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등과 작업성 등을 고려한 용제가 함께 사용된다.
2액형 투명도료는 현재 널리 사용하고 있는 1액형 투명도료에 비해 새 배설물, 벌레나 가솔린 등에 의한 내약품성이 우수하며, 용제 방출양이 적어 환경 오염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우레탄 가교결합에 의한 도막의 유연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스크래치성이나 수송상의 내긁힘 등이 우수하다.
특히 종래의 아크릴 폴리올을 이용하여 제조된 투명도료로 도장된 자동차는 최근에 급속히 보급된 자동세차기로 세척할 경우 미세한 흠집이 발생되며 이러한흠집이 축적되면 자동차 도장면의 광택이 점차 퇴색되어 자동차의 외관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내스크래치성은 가해지는 힘의 크기, 속도, 방향 및 접촉물질의 형상, 경도, 마찰계수 등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지며 또한 수지골격을 조절함으로써 내스크래칭을 향상시킬 경우 도막의 경도, 내치핑성(CHIPPING), 콜드 크랙성 등에서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개량에 어려움을 더하고 있다.
또한 갈수록 심화되는 대기오염으로 인한 산성비에 노출될 경우 자동차 도막의 손상을 가중시킴으로써 내산성이 우수한 도막의 개발을 부추기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최근의 자동차용 투명도료에서 내스크래치성과 내산성의 개선이 쟁점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1액형의 경우 멜라민 수지와의 가교 결합시 형성되는 에테르 결합이 산성(비) 등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도막이 쉽게 열화나 변색되는 현상이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가에서 커다란 문제가 되고 있으며, 공업화를 지향하는 우리나라나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에서는 커다란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런데, 아크릴 수지의 수산기와 경화제인 멜라민수지 및 블록화된 이소시아네이트 수지와 경화되는 종래의 경화시스템으로는 내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신규한 경화시스템의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또한 실제로 일부가 상업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신규 경화시스템으로는 에폭시기와 산기의 경화반응, 에폭시기와 무수물의 경화반응, 실란기 자체 혹은 수산기와의 경화반응, 불소변성 수지 등을 들수 있다.
이같은 신규 경화방식은 내산성에서는 종래의 경화방식에 비해 탁월한 성능을 가지게 되나, 각각의 경우 도막외관, 가격, 생산성, 부착성, 저장성, 황변성 등에서 문제를 조금씩 내포하고 있다. 특히 내스크래치성의 향상에는 그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아크릴폴리올, 멜라민수지, 블록이소시아네이트 수지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종래의 경화시스템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아크릴폴리올을 개선하여 내스크래치성을 크게 향상시킨 결과도 보고된 바 있다. 이같은 내스크래치성이 개선된 아크릴수지는 수산기를 함유한 모노머로 락톤변성 아크릴모노머를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 내스크래치성은 월등히 향상되나 내산성에서는 향상되는 효과가 없어 종전의 문제점을 일부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2액형 투명도료에서 종래의 경화시스템을 유지하면서 내산성과 내스크래치성 등 도료 요구물성에 부합하는 2종 이상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가격, 생산성, 부착성, 저장성 등의 제반 물성적인 측면을 유지하면서 종래보다 내스크래치성과 내산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규제문제로 전세계적으로 검토중이거나 일부 상업화 되어있는 수용성 베이스코트로 적용할 수 있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도 그 목적이 있다.
아크릴 폴리올 및 이소시아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2액형 도료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올은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전체 모노머 중 30중량부 이내로 함유하여 제조된 아크릴 폴리올 I 30∼70중량%와; 전체 모노머 중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프로락톤메타크릴레이트를 10∼70중량부로 함유하고, 다음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를 1∼20중량부로 함유하여 제조된 아크릴 폴리올 II 30∼70중량%와의 혼합물인 것임을 그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R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n은 1∼6의 정수이다.
화학식 3
본 발명은 통상의 경화시스템으로 구성된 2액형 도료 조성으로서, 아크릴 폴리올을 2종의 것을 블렌딩하여 사용한다.
아크릴 폴리올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아크릴 폴리올 I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전체 모노머 중 30중량부 이내로 사용하도록 한 것으로서, 이는 내산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또는 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반응성이 좋으므로 가교도가 증가하여 내산성을 향상시키며 도막 외관을 좋게 하는 역할을 한다.
만일, 아크릴 폴리올 I의 전체 모노머 중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30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도막이 취약하여 외부충격에 쉽게 손산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아크릴 폴리올 I과 블렌딩되는 아크릴 폴리올 II는 아크릴 폴리올의 부족한 내스크래치성과 외관, 광택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성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프로락톤메타크릴레이트를 전체 모노머 중 10∼70중량부로 함유하고,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를 전체 모노머 중 1∼20중량부로 함유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프로락톤변성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또는 카프로락톤변성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경우 긴 사슬을 가지며또한 1급 수산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경화제와의 반응시 짧은 사슬 혹은 2급 수산기를 가진 수산기 아크릴모노머보다 유리하여 경화후 도막의 가교도를 높힐 수 있다. 또한 보유하는 긴 사슬의 에스테르결합의 유동성이 좋다.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이소보닐메타크릴레이트의 모노머 성질은 소수성이 크며 관능기 주변의 입체장애가 매우 크므로 가교된 후 외부약품에 의해 가수분해가 되는 것을 방해하므로 내산성을 향상시키며 광택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같은 특성을 갖는 카프로락톤메타크릴레이트의 함량이 아크릴 폴리올 II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중 10중량부 미만이면 유연성에 있어서 효과가 미미하고, 70중량부 초과면 도막이 너무 연약해져 외부충격에 쉽게 손상된다. 특히, 카프로락톤메타크릴레이트는 내스크래치성을 확보하기 위한 모노머이다.
그리고, 외관·광택 확보를 위해 첨가되는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 폴리올 II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중 1∼20중량부로 포함되는 바, 이때 그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도막의 기계적 강도가 떨어지고, 20중량부 초과면 도막이 너무 단단하여 외부 충격에 쉽게 손상된다.
상기와 같이 필수적으로 첨가되어야 하는 모노머 외에 아크릴 폴리올 I과 II를 구성하는 여타의 모노머는 통상의 것으로서 다음과 같다.
1)비관능성 아크릴 모노머
비관능성 아크릴 모노머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시아네이토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타크릴레이트,터셔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헥실메타크릴에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터셔리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노말옥틸아크릴에이트, 이소보닐아크리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2)비닐계 모노머
비닐계 모노머로서는 스티렌, 비닐톨루엔, 비닐아세테이트, α-메틸스티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3)수산기 함유 아크릴 모노머
수산기 함유 아크릴 모노머로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카두라아크릴레이트, 카두라메타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변성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변성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3-디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 2,3-디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변성 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변성 메타크릴레이트, 2,2,4-트리메틸-1,3-펜탄이올 모노아크릴레이트, 2,2,4-트리메틸-1,3-펜탄이올 모노메타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4)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인산, 이타코닌산, 크로토닌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5)용제
용제로는 톨루엔, 자이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계; 메틸에틸케톤, 메틸프로필케톤, 메틸부틸케톤, 에틸프로필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아킬케톤 등의 케톤계; 그리고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노말프로필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부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카비톨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 노르말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르말부탄올, 이소부탄올, 터셔리부탄올 등의 알콜계 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6)개시제
개시제로는 2,2-아조비스(2-메틸부틸로니트릴), 2,2-아조비스 이소부틸로 니트릴,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터셔리부틸퍼옥시 벤조에이트, 디터셔리부틸퍼옥사이드, 터셔리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터셔리부틸퍼옥시 아세테이트, 큐밀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큐밀퍼옥사이드, 터셔리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통상의 모노머를 포함하여 얻어진 아크릴 폴리올 I은 톨루엔, 자이렌등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 에스테르계 용제, 알코올계 용제 하에서 고형분의 함량이 40∼80%,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50000, 수산기가는 40∼180mgKOH/g, 산가는 3∼30mgKOH/g, 유리전이온도(Tg) -30∼60℃사이이다.
만일, 아크릴 폴리올 I의 수산기가가 40mgKOH/g 미만이면 도막의 가교밀도가 적게 되어 도막물성의 저하를 초래하고 180mgKOH/g 초과면 도막의 가교밀도가 향상되어 도막물성은 향상되나 표면장력이 높아지므로 인해 도막의 퍼짐성이 저하되며, 용제, 수지 및 베이스도료층과 요구되는 정도 이상으로 상용성이 저하되어 도막의 외관이 나빠짐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얻어진 아크릴 폴리올의 산가가 3mgKOH/g 미만이면 산의 내부 촉매작용이 저하되어 경화가 느리게 진행되며, 도막의 부착성이 저하된다. 산가가 30mgKOH/g 초과면 경화반응은 빨라지나 도막의 내수성, 내후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아크릴 폴리올 II는 톨루엔, 자이렌 등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나 에스테르계 용제, 알코올계 용제하에서 고형분의 함량이 40∼80%이고, 분자량이 4,000∼50,000이며, 수산기가는 50∼190mgKOH/g이고, 산가는 3∼30mgKOH/g이며, 유리전이온도(Tg)는 30∼60℃이다.
만일, 수산기가가 50mgKOH/g 미만이면 도막의 가교밀도가 적게 되어 도막물성의 저하를 초래하고 190mgKOH/g 초과면 도막의 가교밀도가 향상되어 도막물성은 향상되나 표면장력이 높아져 도막의 퍼짐성이 저하되며, 용제, 수지 및 베이스도료층과 요구되는 정도이상으로 상용성이 저하되어 도막의 외관이 나빠지게 된다.
한편, 산가가 3mgKOH/g 미만이면 산의 내부 촉매작용이 저하되어 경화가 느리게 진행되며, 도막의 부착성이 저하된다. 산가가 30mgKOH/g 초과면 경화반응은 빨라지나 도막의 내수성, 내후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와 같은 아크릴 폴리올 I과 아크릴 폴리올 II를 블렌딩함으로써 1종의 단독수지 조성물에서 충족하지 못하는 물성을 다른 수지 조성물이 보완하여 전체적으로 요구되는 스크래치성이나 오버 베이킹(over baking) 부착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때, 아크릴 폴리올 I의 함량은 전체 아크릴 폴리올 중 30∼70중량%인 바, 만일 그 함량이 30중량% 미만이면 내스크래치성은 어느 정도 개선되나 내산성이 부족하고, 70중량% 초과면 도막이 딱딱하여 내스크래치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리고, 아크릴 폴리올 II의 경우 전체 아크릴 폴리올 중 30∼70중량%로 함유되는 바, 만일 그 함량이 30중량% 미만이면 내스크래치성 개선이 미미하고, 70중량% 초과면 도막이 너무 유연하여 외부충격에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블렌딩된 아크릴 폴리올에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첨가하고 통상의 첨가제, 예를들어 평활제, 슬립제,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등을 첨가하면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얻어진 도막 조성물은 수산기 함유 아크릴 모노머의 조합과 수지 주골격 및 부골격을 이루는 경질 모노머와 연질 모노머의 적절한 배열을 통하여 도막물성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외관 및 내산성, 경도, 오버 베이킹 부착성 및 스크래치성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세차시 요구되는 스크래치성에 대해 용도에 따라 1 내지 4종의 수산기 함유 아크릴 모노머를 적절하게 배합함으로서 목적하는 스크래치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아크릴 폴리올 I의 제조
온도계 및 냉각기가 구비된 4구 플라스크에 솔베소 #100 32중량부를 투입하고 165℃까지 승온하여 환류 유지하였다. 다음에 모노머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8중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 18중량부, 2-히드록시메틸메타크릴레이트 24중량부, 메틸메타크릴산 1.6중량부와 디터셔리부틸퍼옥사이드 2중량부와 혼합개시제(디큐밀하이드록사이드와 큐밀하이드록시퍼록사이드) 2중량부의 혼합물을 3시간에 걸쳐서 적하시켰다. 다음에 환류온도에서 2시간 유지시킨 후, 후차적으로 상기 제조예 1의 혼합개시제와 터셔리-부틸퍼옥사이드를 솔베소#100 4 중량부에 각각 0.2 중량부 사입하여 2시간 유지 반응후 반응을 종결시켰다.
이때 수득한 아크릴 수지용액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4,400, 유리전이온도는 20℃이며, 수산기가 함량이 160mgKOH/g, 산가가 16.5 mg KOH/g이고 고형분이 65%, 점도(가드너 점도) X+, 가드너 칼라가 1이하인 투명한 수지를 얻었다.
제조예 2: 아크릴 폴리올 II
온도계 및 냉각기가 구비된 4구 플라스크에 솔베소 #100과 아밀아세테이트용제 22중량부를 투입하고 145℃로 승온시켰다. 다음에 모노머로서 스티렌 20중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 8중량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에이트 3중량부, 카프로락톤메타크릴레이트(일본 다이셀사 제품명: PLACELL FM-1D) 40중량부,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5중량부, 메타크릴산 1.4중량부와 개시제로서 디큐밀하이드록사이드와 큐밀하이드록시퍼옥사이드가 혼합된 개시제 2중량부 및 터셔리부틸퍼옥사이드 6중량부로 구성된 혼합물을 3시간에 걸쳐서 적하시켰다. 다음에 환류온도에서 2시간 유지시킨후, 개시제인 터셔리-부틸퍼옥사이드 0.06중량부를 아밀아세테이트 1.3중량부에 용해시켜 용해된 혼합액을 10분간 적하하였다. 다음에 다시 1.5시간 유지 반응시킨 후 혼합개시제 0.02중량부를 적하한 후 1.5시간 다시 유지시킨 다음 아크릴 폴리올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아크릴 수지용액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9,700, 유리전이온도는 9℃이며, 수산기가 함량이 130mgKOH/g, 산가가 18.5 mg KOH/g이고 고형분이 70%, 점도(가드너 점도) Y, 가드너 칼라가 1이하인 투명한 수지를 얻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2
상기 제조예에 따라 얻어진 아크릴 폴리올을 사용한 도료 물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투명도료를 제조하였다.
(도료 조성: 중량부)
아크릴 폴리올 54
비황변형 블록이소시아네이트 24
평활제 0.5(독일 BYK 306-10%)
자외선흡수제 1.6(시바가이지사 티누빈328)
광안정제 0.8(시바가이지사 티누빈123)
에스타졸 3.0
솔베스#100 1.5
상기와 같은 조성으로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크릴 폴리올을 조성하여 얻어진 도료 각각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1과 같다.
(1)내한성: 시편 제작후 -40℃×2시간+110℃×2시간+-40℃×2시간+110℃×2시간+-40℃×2시간 후 40℃ 온수에 14시간 침적하여 30 사이클 후 도막의 균열을 파악하였다.
(2)내산성: 황산 pH 1, 2 및 인산 pH 1, 2 용액 2cc를 도막 위에 적하한 각각 50℃, 60℃, 70℃에서 30분 유지후의 도막 손상 정도를 육안으로 판단하였다.
(3)부착성: 과소부(overbaking, 150℃×1시간) 후 크로스-컷(cross-cut).
(4)내황변성: 정상 소부후 150℃×1시간 소부한 다음 황변도를 조사하였다.
(5)내용제성(내 자이렌, 내가솔린성): 상온에서 spot법으로 시험하였다.
(6)내한치핑성: -40℃×3시간 방치후 테스트.
(7)내스크래치성: ANTEK사 car washer 설비로 20회 왕복 후 20°광택 유지율을 측정하였다.
(8)작업성: 도료를 도장시에 도막 두께별로 10∼50㎛ 정도로 하여, 투명 도료와의 매칭성 및 외관을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1 2
아크릴 폴리올 제조예1(52중량%)+제조예2(48중량%) 제조예 1 제조예 2
내한사이클 시험 1 코트
2 코트
3 코트
4 코트
내산성
부착성 오버 베이킹 부착성
재도장 부착성
부착성
내황변성
내용제성 가솔린
자이렌
내한치핑성 내치핑성
재도장치핑성
내스크래치성 ×
작업성 ×
(주)○: 양호, △: 보통, ×: 미흡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의 경우 내산성은 통상의 것과 동등이상이면서도 내스크래치성이 월등히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1종의 아크릴 폴리올과 내산성을 보완해줄 수 있는 1종의 아크릴 폴리올을 블렌딩하고, 여기에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 및 기타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은 자동차용 투명도료로 제조시 종래의 도료보다 내스크래치성에서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며 아울러 내산성 및 도막의 선영성이 우수하다.

Claims (3)

  1. 아크릴 폴리올 및 이소시아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2액형 도료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올은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전체 모노머 중 30중량부 이내로 함유하여 제조된 아크릴 폴리올 I 30∼70중량%와;
    전체 모노머 중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프로락톤메타크릴레이트를 10∼70중량부로 함유하고, 다음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를 1∼20중량부로 함유하여 제조된 아크릴 폴리올 II 30∼70중량%와의 혼합물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료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R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n은 1∼6의 정수이다.
    화학식 3
    상기 식에서 R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2. 제 1 항의 도료 조성물을 베이스 도료와 투명도료가 2 코우트 1베이킹 방식으로 도장되는 자동차용 투명도료로 사용하는 방법.
  3. 제 1 항의 도료 조성물을 수용성 베이스 코트의 투명상도로 사용하는 방법.
KR1020000085307A 2000-12-29 2000-12-29 자동차용 도료 조성물 KR200200560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307A KR20020056025A (ko) 2000-12-29 2000-12-29 자동차용 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307A KR20020056025A (ko) 2000-12-29 2000-12-29 자동차용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025A true KR20020056025A (ko) 2002-07-10

Family

ID=27688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5307A KR20020056025A (ko) 2000-12-29 2000-12-29 자동차용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602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953B1 (ko) * 2003-02-05 2009-12-16 주식회사 케이씨씨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KR20160080299A (ko) * 2014-12-26 2016-07-08 주식회사 케이씨씨 실란 아크릴 수지를 주수지 성분으로 포함하는 1액형 도료 조성물
WO2017200228A1 (ko) * 2016-05-18 2017-11-23 주식회사 케이씨씨 투명 도료 조성물
KR20180106068A (ko) * 2017-03-17 2018-10-01 주식회사 케이씨씨 우레탄 상도 도료 조성물
KR20190070171A (ko) * 2017-12-12 2019-06-20 주식회사 노루비케미칼 내스크래치성 고경도 도막을 형성하기 위한 자동차 외장용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외장의 코팅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953B1 (ko) * 2003-02-05 2009-12-16 주식회사 케이씨씨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KR20160080299A (ko) * 2014-12-26 2016-07-08 주식회사 케이씨씨 실란 아크릴 수지를 주수지 성분으로 포함하는 1액형 도료 조성물
WO2017200228A1 (ko) * 2016-05-18 2017-11-23 주식회사 케이씨씨 투명 도료 조성물
KR20180106068A (ko) * 2017-03-17 2018-10-01 주식회사 케이씨씨 우레탄 상도 도료 조성물
KR20190070171A (ko) * 2017-12-12 2019-06-20 주식회사 노루비케미칼 내스크래치성 고경도 도막을 형성하기 위한 자동차 외장용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외장의 코팅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98891B2 (ja) 塗料組成物、塗料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無機酸化物ゾルの分散体の製造方法
KR100563420B1 (ko) 코팅용 수지 조성물 및 경화용 코팅 조성물
KR101378336B1 (ko) 내화학성, 내스크래치성 및 스크래치 복원성이 우수한 1액형 자동차 상도용 투명 도료 조성물
KR100755348B1 (ko) 코팅 조성물과 다층 코팅막 형성방법 및 그 코팅 조성물을사용한 코팅 물품
KR101819309B1 (ko) 복원형 내스크래치성 1액형 도료 조성물
KR102033488B1 (ko) 아크릴 폴리올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료 조성물
JP5609355B2 (ja) ウレタン塗料組成物および樹脂部材
KR20190070171A (ko) 내스크래치성 고경도 도막을 형성하기 위한 자동차 외장용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외장의 코팅 방법
JP5615704B2 (ja) 塗料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塗膜形成方法
KR0127783B1 (ko) 1액형 자동차 도료용 조성물
KR20020056025A (ko) 자동차용 도료 조성물
KR100773861B1 (ko) 함불소 아크릴폴리올수지를 포함한 투명도료 조성물
NZ211699A (en) Coating composition having as binder an acrylic amino ester polymer and an acrylic polymer having pendent ethylenically unsaturated groups
CN111630120B (zh) 透明油漆组合物
KR20190083917A (ko) 도료 조성물
US6072008A (en) Resin composition for use in coating composition
KR100576447B1 (ko) 자동차 투명도료용 수지 및 이를 함유하는 자동차 용제형일액형 투명 상도 도료 조성물
KR100615970B1 (ko) 투명도료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KR101928148B1 (ko) 도료 조성물
KR20030057786A (ko) 자동차 보수 도료용 아크릴 폴리올 수지 조성물
US5750624A (en) Curable resin composition, coating composition, coating method and coated article
KR20190119895A (ko) 도료 조성물
KR20200028662A (ko) 투명 도료 조성물
US6156862A (en) Heat-hardenable paint compositions
KR20190119894A (ko) 도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