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3895A - 높은 경도를 갖는 공작물의 나사 가공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높은 경도를 갖는 공작물의 나사 가공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3895A
KR20020053895A KR1020000081652A KR20000081652A KR20020053895A KR 20020053895 A KR20020053895 A KR 20020053895A KR 1020000081652 A KR1020000081652 A KR 1020000081652A KR 20000081652 A KR20000081652 A KR 20000081652A KR 20020053895 A KR20020053895 A KR 20020053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workpiece
processing
guide
lead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1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3852B1 (ko
Inventor
민병종
Original Assignee
민병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종 filed Critical 민병종
Priority to KR10-2000-0081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3852B1/ko
Publication of KR20020053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3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8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36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by gr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02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on an external or internal cylindrical or conical surface, e.g. on re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24B19/02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grinding grooves, e.g. on shafts, in casings, in tubes, homokinetic joint elements
    • B24B19/022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grinding grooves, e.g. on shafts, in casings, in tubes, homokinetic joint elements for helicoidal gro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도가 높은 소재에 정밀한 나사(다양한 모양을 갖는 나선형태의 나사 또는 스크우류 등)가공시 그 정밀도는 최대한 유지시키되, 간단하면서 신속하게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제작로 제작이 가능한 나사가공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반쪽의 형상이 합체된 리드스크우류 가이드용 너트(12,12a)를 장착시키되, 상기 가이드용 너트(12,12a)는 분리 고정되는 지지대(11,11a) 사이에서 밀착고정되어 구성되는 지지장치(10)가 설치되고; 일측 끝단에 공작물 삽지홈(32)과 고정수단(33)이 구비되고, 반대측 끝단에는 동력전달수단(34)이 장치되며, 표면에 가공코자하는 공작물의 나사와 동일한 피치의 나사(31)가 형성되는 리드스크우류(30)가 상기 지지장치(10)의 가이드용 너트(12,12a)와 나사물림 된 상태로 구비되며; 공작물받침대(21) 상단에 공작물 안착홈(22,22a)이 형성되고, 공작물 덮개판(23)을 고정시키되, 상기 덮개판(23)에는 연삭숫돌(F)을 유도하는 가공홈(24,24a)이 각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가공장치(20)가 상기 지지장치(10)와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높은 경도를 갖는 공작물의 나사 가공방법 및 그 장치{a manufacturing method and device for a serew which has high hardness}
본 발명은 높은 경도의 공작물 나사전용 가공기 및 그 나사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경도가 높은 소재에 정밀한 나사(다양한 모양을 갖는 나선형태의 나사 또는 스크우류 등)가공시 그 정밀도는 최대한 유지시키되, 간단하면서 신속하게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제작로 제작이 가능한 나사가공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나사가공방법을 살펴보면 선반 혹은 나사전용 연삭기 등에서 공작물이 회전되게 한 다음 리드스쿠우류의 회전변속 또는 공작물의 회전을 변속함과 동시에 연삭용 그라인드를 회전시키면서 가공하는 것이 대부분인데, 이러한 방법은 그 장치에 있어서 일정한 피치를 가지는 리드 스크우류가 구비됨으로 가공코자하는공작물의 피치를 맞추기 위해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공작물의 회전을 일정상태로 한 다음 리드 스크우류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면서 가공을 하다거나 상기 리드스크우류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고정시킨 다음 리드스크우류의 회전속도만을 조절하여 그 원하는 피치로 가공하다거나 하여야한다.
따라서 정밀한 나사가공이 필요할 경우 상당히 숙련된 기술과 고도의 주의력 및 집중력이 필요함은 물론 상당한 시간이 요구되어 가공 의뢰시 종래에는 상당한 고가의 가공비가 측정되었다.
더불어 나사가공에 있어서 종래에는 위와 같이 선반 혹은 대형 연삭기 등을 갖추어야 함으로 시설비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대외 경쟁력확보에 상당한 악재로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저렴한 제작비가 요구되는 간단한 장치만으로 더욱 정밀하면서도 신속한 나사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 그 가공시 고도의 숙련된 기술이 요구되지 않아 누구나 손쉽게 조작이 가능하며, 또 이를 근거하여 대량가공생산의 기반을 확보할 수 있는 그 나사가공방법과 나사가공 전용기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의 (가)는 본 고안의 지지장치(10)의 종단면도
(나)는 (가)의 지지장치(10)에서 평블럭(12b)을 적용한 일실시예시도
도 5는 (가)는 본 고안의 가공장치(20)의 측면도
(나)는 (가)의 가공장치(20)에서 원형의 공작물 안착홈(12)을 적용한 일실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공작물F:연삭숫돌
10:지지장치11,11a:지지대
12,12a:가이드용너트12b:평블럭
20:가공장치21:공작물받침대
22,22a:안착홈23:덮개판
24,24a:가공홈30:리드스크우류
31:나사32:삽지홈
33:고정수단34:동력전달수단
100:베이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베이스(100) 상면의 일측에 양측으로 분리된 지지대(11,11a)가 미세한 거리를 두고 상호 대응되게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대(11,11a) 사이에 반쪽의 형상이 합체된 리드스크우류 가이드용 너트(12,12a)가 장착되는 지지장치(10)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장치(10)와 일정거리를 두고 공작물받침대(21)에 공작물 안착홈(22)과 공작물 덮개판(23) 및 연삭숫돌(F)을 유도하는 가공홈(24)이 각 구비된 가공장치(20)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장치(10)의 가이드용 너트(12,12a)와 나사 물림되면서 관통되는 리드스크우류(30)가 관통되어 구성된다.
상기 리드스크우류(30)는 통상적으로 그 외부면에 나사가공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 그 표면에 가공코자하는 공작물의 나사피치와 동일한 형상의 나사(31)를 일반 나사 가공기에서 가공하여 형성되고, 끝단부에 공작물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공작물 삽지홈(32)이 형성되며, 상기 공작물 삽지홈(32) 측면에 볼트 등으로 될 수 있는 고정수단(33)을 구비시키는 한편 반대측 끝단에 동력전달수단(34)이 구성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34)이라 함은 수동으로 조작코자할 경우 조작자의 손이 동력원이 될 것임으로 손잡이 등이 될 수 있고, 자동으로 조작코자할 경우 모터 등이 동력원이 될 것임으로 기어 또는 스프라켓, 풀리 등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장치(10)는 상기 리드스크우류(30)의 표면에 형성된 나사(31)와 동일피치로 하여 상기 리드 스크우류(30)와 나사물림 되는 가이드용 너트(12,12a)를 구비시키되, 도 4의 (가)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12,12a)는 반쪽으로 되는 너트(12,12a)를 밀착시켜 사용한 바, 밀착성이 높아져 상기 리드스크우류(30)와 나사 물림시 나사산간 유격(백래시, 나사산간 전,후 공차)을 없게 하였다.
또 상기 너트(12,12a)의 재질을 플라스틱 또는 일정한 연성을 가지는 기타 금속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그 효율성을 감안할 때 플라스틱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가이드용너트(12,12a)는 양측으로 분리되어 고정될 수 있는 지지대(11,11a) 사이에 삽지되면서 리드스크우류(30)와 나사물림 시킨 다음 상기 지지대(11,11a)간 밀착하여 고정시킨다.
또 상기 가이드용너트는 위와 같이 양쪽의 모양이 동일한 반쪽을 반쪽너트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도 4의 (나)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반쪽의 너트를 사용하지만 다른 일측은 나사 형성되지 않은 평블럭(12b)을 밀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할 것이다.
한편 가공장치(20)는 공작물 받침대(21) 상단에 V형의 공작물 안착홈(22)이 마련되고, 덮개판(23)를 고정시키되, 상기 덮개판(23)에는 공작물(A)에 가공코자하는 나사의 비틀림 각도에 준하는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는 가공홈(24)이 형성되며, 상기 가공홈(24)은 덮개판(23)뿐 아니라 상기 덮개판(23)에 형성된 가공홈(24)에 밀착되는 공장물 받침대(21) 상면에도 동일경사각과 일정깊이로 가공홈(24a)이 형성된다.
상기 공작물 안착홈(22)은 도 5의 (가)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V형의 모양으로 할 수도 있으나, 도 5의 (나)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안착홈(22)을 원형으로 할 경우 받침대(21)에 반원의 공작물 안착홈(22)을 형성시키고, 덮개판(23)에도 반원의 안착홈(22a)을 마련하여 밀착 고정시켜 사용하여야한다.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은 상기 리드스크우류(3)의 끝단에 공작물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공장치(20)의 공작물 안착홈(22)에 공작물(A)을 안치시키고 덮개판(23)을 고정한 다음 상기 덮개판(23)의 가공홈(24)에 상기 가공홈(24)의 경사각과 동일한 각도로 연삭숫돌(F)을 상기 가공홈(24,24a)으로 진입시켜 회전시키면서 상기 리드스크우류(30)의 동력전달수단(34)에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동력을 전달시켜 상기 리드스크우류(30)를 회전시키면 상기 리드스크우류(30)는 가이드용 너트(12)에 의하여 공작물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전방으로 진행한다.
이때 공작물(A)에 가공코자하는 나사의 비틀림 각도와 모양, 깊이는 상기 가공홈(24,24a)에 연삭숫돌(F)이 그 각도와 깊이 및 모양으로 위치함에 따라서 정하여지고, 또 나사 피치는 가이드용 너트(12)와 리드스크우류(30)에 형성된 나사(31)에 의해 정하여짐으로 작업자는 상기 리드스크우류(30)를 일정한 속도로 회전만 시키면 신속하고도 정밀한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세한 구성과 작용을 갖는 높은 경도의 공작물 나사전용 가공기 및 그 나사가공방법은 경도가 높은 공작물을 간단하면서도 정밀하고 신속하게 가공이 이루어 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성이 간단하고 조작이 쉬워 저렴한 가격대로 널리 보급될 수 있음은 물론 숙련된 고도의 기술 없이도 누구나 쉽게 조작이 가능하여 기존 가공비에 비하여 그 가공비가 대폭 절감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제공된다. 이는 국내 산업분야의 기술적 기반을 확고히 하여 대외 경쟁적 확보에 지대한 공헌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아주 획기적인 발명이다.

Claims (4)

  1. 반쪽의 형상이 합체된 리드스크우류 가이드용 너트(12,12a)를 장착시키되, 상기 가이드용 너트(12,12a)는 분리 고정되는 지지대(11,11a) 사이에서 밀착고정되어 구성되는 지지장치(10)가 설치되고;
    일측 끝단에 공작물 삽지홈(32)과 고정수단(33)이 구비되고, 반대측 끝단에는 동력전달수단(34)이 장치되며, 표면에 가공코자하는 공작물의 나사와 동일한 피치의 나사(31)가 형성되는 리드스크우류(30)가 상기 지지장치(10)의 가이드용 너트(12,12a)와 나사물림 된 상태로 구비되며;
    공작물받침대(21) 상단에 공작물 안착홈(22,22a)이 형성되고, 공작물 덮개판(23)을 고정시키되, 상기 덮개판(23)에는 연삭숫돌(F)을 유도하는 가공홈(24,24a)이 각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가공장치(20)가 상기 지지장치(10)와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경도의 공작물 나사전용 가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용너트(12,12a)는 일측이 반쪽너트(12)로 하고 다른 일측은 평블럭(12b)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높은 경도의 공작물 나사전용 가공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용너트(12,12a)의 재질은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경도의 공작물 나사전용 가공기.
  4. 가공코자하는 공작물 나사의 피치와 동일한 피치의 리드스크우류(30)를 별도 제작한 다음 공작물(F)이 그 스크우류(30)의 나사 피치로 전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연삭숫돌(F)을 나사의 비틀림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과; 공작물(F)의 안내와 지지 및 안내시 흔들림 방지 역할을 하는 안착홈(22,22a)에 안치시킨 상태로 가공이 이루어 질 수 잇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높은 경도의 공작물 나사가공방법.
KR10-2000-0081652A 2000-12-26 2000-12-26 높은 경도를 갖는 공작물의 나사 가공 장치 KR100403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652A KR100403852B1 (ko) 2000-12-26 2000-12-26 높은 경도를 갖는 공작물의 나사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652A KR100403852B1 (ko) 2000-12-26 2000-12-26 높은 경도를 갖는 공작물의 나사 가공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527U Division KR200237148Y1 (ko) 2001-03-20 2001-03-20 높은 경도를 갖는 공작물의 나사전용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895A true KR20020053895A (ko) 2002-07-06
KR100403852B1 KR100403852B1 (ko) 2003-11-05

Family

ID=27685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1652A KR100403852B1 (ko) 2000-12-26 2000-12-26 높은 경도를 갖는 공작물의 나사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385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795B1 (ko) * 2004-10-15 2006-12-14 주식회사 엘티 스크류 절삭가공장치
KR101325279B1 (ko) * 2013-08-14 2013-11-08 (주)한산리니어시스템 베어링부를 지지하는 지지링이 형성된 볼스크류축
CN109482986A (zh) * 2018-10-30 2019-03-19 杭州美磁科技有限公司 螺纹瓦形磁钢的加工装置及该螺纹瓦形磁钢的加工方法
KR20210152806A (ko) 2020-06-09 2021-12-16 (주)대성하이텍 헤리컬 기어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헤리컬 기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557B1 (ko) 2008-07-11 2010-02-03 이조원 생체 의료용 티타늄합금 나사 가공장치
KR101167402B1 (ko) 2010-05-28 2012-07-19 현대제철 주식회사 시편 절단용 홀더 장치
KR101240284B1 (ko) * 2010-07-22 2013-03-18 (주)삼우아이엠씨 도로 및 교면포장용 숏크리트 타설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8895A (en) * 1976-08-04 1978-02-21 Yaskawa Electric Mfg Co Ltd Threading apparatus
JPS5387088A (en) * 1977-01-10 1978-08-01 Daiwa Kikai Seisakusho Thread cutting method
KR200237148Y1 (ko) * 2001-03-20 2001-10-08 민병종 높은 경도를 갖는 공작물의 나사전용 가공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795B1 (ko) * 2004-10-15 2006-12-14 주식회사 엘티 스크류 절삭가공장치
KR101325279B1 (ko) * 2013-08-14 2013-11-08 (주)한산리니어시스템 베어링부를 지지하는 지지링이 형성된 볼스크류축
CN109482986A (zh) * 2018-10-30 2019-03-19 杭州美磁科技有限公司 螺纹瓦形磁钢的加工装置及该螺纹瓦形磁钢的加工方法
KR20210152806A (ko) 2020-06-09 2021-12-16 (주)대성하이텍 헤리컬 기어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헤리컬 기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3852B1 (ko) 200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329536A (ja) カサ歯車切削機、該装置に用いるバリ取り工具、該工具が取り付けられる装置、及びカサ歯車の面取りあるいはバリ取りを行う方法
KR100403852B1 (ko) 높은 경도를 갖는 공작물의 나사 가공 장치
CN211840460U (zh) 一种数控滚齿机加工齿轮用夹持装置
CN112893904A (zh) 一种机床用柔性软爪卡盘及使用方法
CN211540552U (zh) 一种轧辊超精磨装置
KR200237148Y1 (ko) 높은 경도를 갖는 공작물의 나사전용 가공장치
CN213258160U (zh) 一种机械零件制造用转动切削装置
CN210909155U (zh) 一种可调节工位的数控铣床用定位装置
KR100311270B1 (ko) 모서리가공용절삭장치
CN216802541U (zh) 一种异形工件回转加工装置
KR100363187B1 (ko) 공작기계용 작업지그
CN211867159U (zh) 一种金属件加工数控机床反转装置
CN113977321A (zh) 一种铣削加工夹具装置
CN218362164U (zh) 一种数控车床用夹具
CN219685232U (zh) 一种电子元器加工用夹持机构
CN219746868U (zh) 一种管件加工夹具
CN214489892U (zh) 一种便于校准固定的cnc机床
CN211709019U (zh) 一种圆环类结构外壁磨削夹具
CN220970993U (zh) 一种攻丝机的钻孔机构
CN220462260U (zh) 一种车床刀杆固定装置
KR100657795B1 (ko) 스크류 절삭가공장치
CN214109121U (zh) 一种用于数控电火花线切割机床的工件夹具
KR970008473B1 (ko) 공작물 각도조정장치를 장착한 범용바이스
CN219004832U (zh) 一种齿轮加工机中的齿轮定位装置
KR930000930Y1 (ko) 목공선반의 원목가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