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3759A - 표면보호층을 지닌 적층체 - Google Patents

표면보호층을 지닌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3759A
KR20020053759A KR1020010085720A KR20010085720A KR20020053759A KR 20020053759 A KR20020053759 A KR 20020053759A KR 1020010085720 A KR1020010085720 A KR 1020010085720A KR 20010085720 A KR20010085720 A KR 20010085720A KR 20020053759 A KR20020053759 A KR 20020053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astic layer
laminated
fiber reinforced
reinforced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5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와스미타미오
코다카즈아키
Original Assignee
사토 아키오
미쯔이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아키오, 미쯔이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사토 아키오
Publication of KR20020053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375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4Wear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5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grain, strips, or filamentary elements in respective layers or components in angular relation
    • Y10T428/24074Strand or strand-portions
    • Y10T428/24091Strand or strand-portions with additional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5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grain, strips, or filamentary elements in respective layers or components in angular relation
    • Y10T428/24074Strand or strand-portions
    • Y10T428/24091Strand or strand-portions with additional layer[s]
    • Y10T428/24099On each side of strands or strand-por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5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grain, strips, or filamentary elements in respective layers or components in angular relation
    • Y10T428/24124Fi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Floor Finish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적층체는, 섬유강화수지층과, 상기 섬유강화수지층의 한쪽면에 적층된 탄성층과, 상기 탄성층의 표면에 적층된, 상기 탄성층의 표면을 보호하는 표면보호층을 지니고 있다. 상기 섬유강화수지층은, 일방향으로 배열된 연속강화섬유에, 해당 연속강화섬유의 용적비율이 40 내지 80%가 되도록 열가소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되고, 상기 연속강화섬유의 배열방향이 상호 직교하도록 적층된, 적어도 2매의 프리프레그시트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표면보호층을 지닌 적층체{LAMINATED PRODUCT HAVING SURFACE PROTECTION LAYER}
본 발명은, 치수안정성, 내마모성 및 현장시공성이 우수한, 실내외의 마루, 벽, 노면 등에 적합한, 적층타일 또는 적층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루재에 이용되는 재료로서는, 목질계, 석질계, 섬유계, 수지계, 고무계 등이 있고, 이들은 특성, 기능 및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수지계 마루재는, 높은 양산성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수지계 마루재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염화비닐수지나 우레탄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염화비닐수지는, 저렴하고 시공성이 우수하며, 또, 의장성도 우수하므로, 주택, 점포, 공공시설용의 마루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염화비닐수지는, 목질계 혹은 석질계의 재료와 비교해서, 선팽창률이 크고, 또, 가소제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시공후 시간경과에 따른 치수안정성이 열등하다. 특히, 염화비닐수지를 타일형상으로 형성해서 시공한 경우, 염화비닐수지제의 타일에 직접 열이 가해지는 상황하에서는, 선팽창률이 크므로, 타일이 크게 팽창해서 접합부가 녹아웃(knockout)되거나, 타일의 박리가 일어난다. 역으로, 현저하게 저온하에서는, 타일이 수축하여, 접합부에 틈새가 생긴다.
한편, 우레탄계 수지는, 염화비닐수지에 비해서,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열성, 내약품성 및 방수성 등이 우수하다. 그 때문에, 베란다, 복도, 공장이나 공공시설 등의 마루, 지붕 등, 특히 내구성이나 방수성을 필요로 할 경우에 사용되어, 고기능 마루재로서의 실적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우레탄계 수지를 마루재로 사용한 경우, 그 시공방법으로서는, 시공현장에서 액상의 우레탄원료를 기재에 도포 또는 분무하는 등의 현장도공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므로, 우레탄원료의 도공에 시간이 걸리고, 우레탄원료가 경화할 때까지의 시간 즉, 양생기간이 길다고 하는 등, 시공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 경화가 빠른 유형의 우레탄원료의 경우, 시공시에 상당한 열이 발생하므로, 양생후에는, 우레탄원료의 경화에 따른 체적수축 및 온도저하에 따른 체적수축이 일어난다. 그 결과, 기재와의 접착력이 충분하고, 시공기간에 박리가 관찰되지 않더라도, 박리력이 잠재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현저하게 큰 외력이 가해진 경우나, 장시간의 경과에 의해 접착력이 약해지게 된 경우에는, 우레탄계 수지가 기재로부터 박리되어 버릴 염려가 있다. 즉, 우레탄계 수지를 마루재로서 사용한 경우, 시공성을 개선하고자 하면, 치수안정성이나 시공후의 박리에 대해서 불안을 남기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종래의 마루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방향으로 배열된 연속강화섬유에 용적비율이 50%로 되도록 열가소성 수지를 함침시킨 적어도 2매의 프리프레그시트를 섬유방향이 직교하도록 적층하고, 또는 더욱 그 한쪽 면 또는 양쪽면에 부직포를 적층해서 이루어진 섬유강화수지층에, 우레탄계 수지층을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를 제안한 바 있다(일본국 공개특허 제 1999-192671호 공보 참조).
이 적층체에 의하면, 우레탄계 수지의 특성, 즉, 내마모성, 내충격성 등을 살리면서 치수안정성이 우수하고, 마루재로서의 사용에 적합하다. 또한, 우레탄계 수지를 이용해도, 이 적층체는 현장도공법에 의하지 않고 시공할 수 있으므로, 대폭 시공시간의 단축이 가능해진다.
상기 종래의 적층체는, 성능 및 시공성이 우수한 것이나, 이하의 점에서 더욱 개량의 여지가 남아 있었다.
① 우레탄계 수지는 연질일 수록 표면에 오염이 부착하기 쉽다. 따라서, 오염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는 우레탄계 수지의 표면에 왁스를 도포하는 일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왁스는 마찰 등에 의해 제거되기 쉬워 내구성이 부족하므로, 왁스의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왁스를 정기적으로 재차 도포할 필요가 있었다.
② 쿠션효과를 부여하기 위해서, 우레탄계 수지중에서도 우레탄계 엘라스토머를 마루재로서 이용할 경우가 있다. 우레탄계 엘라스토머는, 염화비닐수지와 동등이상의 내약품성을 지니지만, 특정의 유기용제에 대해서는 약하다. 그러나, 우레탄계 엘라스토머가 특정의 유기용제에 장시간 노출되면, 우레탄계 엘라스토머가 팽창해서, 적층체의 팽창이나 휨이 생겨 버리는 일이 있었다.
③ 우레탄계 수지는, 인쇄 등에 의해 무늬(즉, 패턴)를 부여하는 일이 곤란하다. 따라서, 의장성이 높은 컬러풀한 적층체를 제작하는 일이 곤란하다.
④ 마루재로서 우레탄계 수지를 사용한 경우, 우레탄계 수지의 탄성에 의해 쿠션성이 있는 보행감촉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적층체에서는, 쿠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우레탄계 수지층을 섬유강화수지층의 양면에 형성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치수안정성 및 시공성이 우수하면서도, 정기적인 보수를 행하지 않고도 오염이 부착하기 어렵고, 또한 내마모성 및 내약품성을 향상시킨 적층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 1목적에 부가해서, 임의의 무늬가 부여될 수 있는 의장성이 높은 적층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 1목적에 부가해서, 쿠션성을 부여하기 위한 층을 섬유강화수지층의 한쪽면에 형성하는 것만으로 충분한 쿠션성을 부여가능한 적층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에 비추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섬유강화수지층에 탄성층을 적층하고, 또 그위에 표면보호층을 적층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적층체는, 섬유강화수지층과, 상기 섬유강화수지층의 한쪽면에 적층된 탄성층과, 상기 탄성층의 표면에 적층된, 상기 탄성층의 표면을 보호하는 표면보호층을 지니고 있다. 섬유강화수지층은, 일방향으로 배열된 연속강화섬유에, 해당 연속강화섬유의 용적비율이 40 내지 80%가 되도록 열가소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되고, 상기 연속강화섬유의 방향이 상호 직교하도록 적층된, 적어도 2매의 프리프레그시트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섬유강화수지층과 탄성층을 적층함으로써, 소망의 탄성을 지니면서도, 섬유강화수지층이 탄성층의 큰 신축을 규제하므로, 시공시 및 시공후의 치수안정성이 유지된다. 또, 시공시에도, 단지 적층체를 기재상에 접착하는 것만으로도 되어 양생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시공시간이 대폭 단축된다. 또, 탄성층의 표면에 표면보호층이 적층되어 있으므로, 탄성층을 임의의 재료로 구성해도, 표면에 오염이 부착하기 어렵고, 또한 내마모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한 적층제가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층체는, 실내외의 마루나 벽, 노면 등에 적합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투명한 표면보호층을 이용해서, 탄성층의 표면보호층과의 적층면에 무늬를 부여하거나, 혹은 표면보호층 및 탄성층을 투명한 층으로 해서, 섬유강화수지층의 탄성층과의 적층면에 무늬를 부여함으로써, 의장성이 우수한 컬러풀한 적층체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표면보호층은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필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표면보호층을, 투명한 필름과 그 필름의 한쪽면에 형성된 인쇄층으로 구성하고, 이 인쇄층을 탄성층에 면해서 적층해도, 컬러풀한 적층체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이 경우에도, 필름은 폴리아미드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탄성층으로서는, 그 표면에 표면보호층이 적층되므로,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 등, 각종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중, 탄성층의 재료로서 바람직한 것은, 우레탄계 수지이다. 특히 적층체를 마루재로서 이용하는 경우, 적절한 보행감촉을 얻기 위해서는, 휨탄성률이 30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강화수지층의, 탄성층과의 적층면과 반대쪽의 면에는, 제 2탄성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섬유강화수지층의 양면의 휨력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여, 적층체의 실질적인 겉보기상의 휨이 억제되어, 적층체를 기재에 접착한 후의 박리가 회피된다. 또, 적층체의 최하면, 즉, 상술한 제 2탄성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섬유강화수지층의 탄성층과의 적층면과 반대쪽의 면, 제 2탄성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2탄성층의 섬유강화수지층과의 적층면과 반대쪽의 면에, 시공시의 기재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배킹(backing)층을 형성해도 된다. 배킹층을 형성함으로써, 시공시의 적층체와 기재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의 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예에 의한 적층체의 단면구조를 표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예에 의한 적층체의 단면구조를 표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예에 의한 적층체의 단면구조를 표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형태예에 의한 적층체의 단면구조를 표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3: 프리프레그시트11: 섬유강화수지층
12: 탄성층13, 23: 표면보호층
23a: 투명한 필름23b: 인쇄층
34: 배킹층45: 제 2탄성층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실시형태예)
도 1을 참조하면, 섬유강화수지층(11)과, 섬유강화수지층(11)의 상부면에 적층된 탄성층(12)과, 그 탄성층(12)의 상부면에 적층된 표면보호층(13)을 지닌,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예에 의한 적층체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이들 섬유강화수지층(11), 탄성층(12) 및 표면보호층(13)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섬유강화수지층(11)에 대해서 설명한다. 섬유강화수지층(11)은, 일방향으로 배열된 연속강화섬유에, 용적비율이 50%가 되도록 열가소성 수지를 함침시킨 2매의 프리프레그시트(2), (3)를, 서로 섬유방향이 직교하도록 적층한 것이다.
프리프레그시트(2), (3)에 이용되는 강화섬유로서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붕소섬유, 세라믹섬유 등, 강도가 높은 섬유를 예시할 수 있으나, 특히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선팽창률이 바람직하게는 2.0×10-5/℃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10-5/℃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10-5/℃이하이다. 치수안정성의 관점으로부터는, 선팽창률은 적으면 적을 수록 바람직하다. 또, 선팽창률이 마이너스의 값을 취하는 물질은 고려할 수 없으므로, 선팽창률의 하한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강화섬유로서 이용되는 섬유는, 일반적으로, 0.05×10-5/℃이상의 선팽창률을 지니고 있다. 적층체를 구성하는 섬유강화수지층(11), 탄성층(12) 및 표면보호층(13)중에서, 가장 선팽창률이 적은 것으로 여겨지는 것은 섬유강화수지층(11)이며, 적층체자신의 선팽창률은, 실질적으로 섬유강화수지층(11)의 선팽창률과 동등한 것으로 생각해도 된다. 따라서, 이 섬유강화수지층(11)을 구성하는 강화섬유의 선팽창률이 2.0×10-5/℃이하이면, 적층체로서의 선팽창률도 2.0×10-5/℃이하를 충분히 만족한다. 상술한 각종 섬유중에서도, 프리프레그시트(2), (3)에 적합한 강화섬유로서는, 유리섬유가 적층체의 치수안정성, 생산성, 비용의 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리섬유를 이용한 경우, 그 종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E유리, C유리, A유리 등, 유리섬유로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각종 유리섬유를 사용할 수 있으나, 프리프레그시트(2), (3)의 강도 및 생산효율성의 이유로부터, 유리섬유의 직경이 5 내지 36㎛인 것이 바람직하다.
프리프레그시트(2), (3)에 이용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프로필렌(이하, "PP"라 칭함),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등의 수지외,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아미드, 폴리비닐알콜,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들중에서도 PP가, 성형성 및 비용의 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PP를 이용하는 경우, PP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호모폴리머, 블록공중합체, 랜덤공중합체, 또는 엘라스토머나 필러 등의 보조원료를 첨가한 콤포지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이들은 시판도 되고 있어, 시판의 것을 이용가능하다. 단, 프리프레그시트(2), (3)는, 그 생산효율상의 이유로부터, 230℃의 멜트플로인덱스가 10 내지 400g/10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리프레그시트(2), (3)에 이용되는 열가소성 수지에는, 필요에 따라서, 산화방지제, 내후제, 대전방지제, 이형제 등의 각종 안정제외에, 강화섬유와 열가소성 수지와의 접착강도를 높이기 위한 개질제도 바람직하게 첨가할 수 있다.
프리프레그시트(2), (3)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고특허 제 1992-4216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강화섬유의 모노필라멘트를 커플링제, 예를 들면,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 처리하고, 수백 내지 수천본 수속시킨 얀(yarn)을, 균일한 장력하에 정렬시키고,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에 접촉시켜서 가열롤로 문지르면서 열가소성 수지를 일정 속도로 함침시킨다. 이와 같이 해서, 프리프레그시트(2), (3)의 두께는 50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이다. 프리프레그시트의 두께가 50㎛이상 1000㎛이하인 경우에는, 기술적 문제에 의해 프리프레그시트(2), (3)의 제조가곤란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2매의 프리프레그시트(2), (3)를 섬유방향이 직교하도록 적층한 경우, 적층가공시의 섬유방향과 그것에 수직인 방향으로 수축에 차가 생기므로, 결과로서 적층된 프리프레그시트(2), (3)가 다소의 휨을 수반하는 일이 있다. 이 휘는 경향은, 탄성층(12)의 적층후에도, 접착하는 조건에 따라서는 잔존하는 경우가 있으나, 적층체의 성능으로서는 하등 영향은 없다. 또, 기재에 접착제나 감압접착층을 통해서 접착할 경우에도 심각한 문제는 없다.
이와 같은 휘는 경향을 피하는 바람직한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2매의 프리프레그시트를 섬유방향이 직교하도록 적층한 시트 2매를, 동일한 섬유방향을 지닌 2개의 면을 서로 접착시킴으로써 더욱 적층시켜 4매의 프리프레그시트로 이루어진 적층시트를 형성한다. 다른 바람직한 방법의 예로서는, 3매의 프리프레그시트를 섬유방향이 직교하도록 순차 적층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프리프레그시트의 바람직한 적층방법으로서는, 열가소성 수지가 용융하는 온도로 가열한 가압롤사이에 끼워서 열가소성 수지가 용융하는 온도에서 프레스성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섬유강화수지층(11)은, 탄성층(12)과의 접착강도가 충분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충분한 접착강도란, 접착강도가 JIS A1454에 규정된 층간박리강도로서 5N/㎝를 상회하는 것을 말한다. 탄성층(12)과의 접착강도가 5N/㎝이하로 되도록 열가소성 수지를 섬유강화수지층(11)에 이용한 경우에는, 미리 섬유강화수지층(11)의 표면을, 탄성층(12)과의 접착강도가 높아지도록 개질하는 것이바람직하다. 표면개질방법으로서는, 섬유강화수지층(11)의 표면을 요철가공하는 방법, 요철표면을 지니거나 또는 탄성층(12)을 구성하는 재료와의 접착강도가 높은 다른 재료를 섬유강화수지층(11)에 적층하는 방법, 섬유강화수지층(11)의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방법, 또는 섬유강화수지층(11)의 표면에 방전처리를 행하는 방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표면개질방법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형태예는, 적어도 2매의 프리프레그시트를 섬유방향이 직교하도록 적층한 후, 또 그 탄성층(12)이 적층되는 면에 부직포를 적층하는 방법이다. 부직포는 그 표면이 평활하지 않고, 다수의 섬유말단이 표면에 돌출하고, 또한 무수의 공간이 있으므로, 물리적인 접착강도의 증가를 기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이용하는 부직포의 재료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PP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제의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를 프리프레그시트에 적층하는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프리프레그시트끼리 적층하는 방법과 마찬가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의 적층량은 폴리에스테르부직포의 경우, 5∼100g/㎡가 바람직하다.
또, 상술한 표면개질방법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다른 형태는, 적어도 2매의 프리프레그시트를 섬유방향이 직교하도록 적층한 후, 또 그 탄성층(12)이 적층되는 면에, 표면장력이 400∼600μN/㎝가 되도록 방전처리를 행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의 방전처리란, 섬유강화수지층(11)의 표면에 코로나방법, 아크방전 또는 글로방전 등을 행하여, 표면을 산화시켜 표면장력을 크게 하는 것이다.
이 방전처리에 의해, 섬유강화수지층(11)과 탄성층(12)과의 양호한 접착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방전처리의 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부직포를 개재시키는 경우이상의 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다. 방전처리의 조건에 대해서는, 표면장력이 400μN/㎝를 하회하는 조건에서는, 충분한 접착강도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표면장력이 600μN/㎝를 초과하는 조건에서는, 섬유강화수지층(11)의 표면이 극단적으로 열화하거나, 블로킹 등의 문제를 일으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에, 탄성층(12)에 대해서 설명한다.
탄성층(12)으로서는, 공지의 각종 수지 또는 수지혼합물이 사용가능하며, 특히 제약은 없으나, 반응경화제,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의 우레탄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우레탄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진 화합물과,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올류와의 반응에 따라서 생성되는 고분자이며, 가교반응에 의해 액체원료로부터 고체로 경화하는 반응경화형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가교제로서, 예를 들면, 3,3'-디클로로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등의 공지의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고, 또, 경화속도를 자유로이 콘트롤하기 위한 공지의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 탄성층(12)으로서는, 우레탄계 수지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클로로프렌고무, 부틸렌고무, 실리콘고무, 아크릴고무 등의 각종 고무나, 에틸렌/α-올레핀공중합체엘라스토머 등의 열가소성 수지나, 에폭시수지, 페놀수지, 멜라민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 등의 열경화성 수지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엘라스토머는, 3개이상의 탄소를 지닌 α-올레핀의 공중합체엘라스토머가 10중량%이상인 엘라스토머이며, α-올레핀으로서는, 프로필렌, 부텐-1, 펜텐-1을 예시할 수 있고, 이들은 메탈로센계 촉매 등의 공지의 촉매에 의해 중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예의 적층체가 마루재로서 사용되는 경우, 바람직한 보행감촉을 얻기 위해서는, 탄성층(12)은, 휨탄성률이 30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이하이다. 여기서 말하는 휨탄성률은, 탄성층(12)의 겉보기상의 휨탄성률을 의미하고, 탄성층(12)을 구성하는 수지본래의 휨탄성률이 300㎫을 초과할 경우에 있어서도, 예를 들면, 탄성층(12)을 발포층으로 함으로써, 겉보기상의 휘탄성률을 300㎫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탄성층(12)을 발포층으로 하는 것은, 큐션성을 높여, 마루재로서의 보행감촉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층(12)을 발포층으로 함으로써, 경화에 수반되는 탄성층(12)의 수축도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어, 치수안정성도 향상된다.
탄성층(12)을 발포층으로 할 경우, 발포층으로서는, 우레탄계 수지를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고, 발포배율은, 마루재로서 이용할 경우에는, 1.5 내지 20배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발포배율을 이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택하면, 우레탄계 수지에 있어서는 연질 발포체로부터 경질 발포체까지 광범위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우레탄계 수지이외의 발포층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탄성층(12)에는, 상술한 각종 수지 및 수지혼합물외에, 내후제 등의 각종 안정제, 대전방지제 등의 각종 첨가제, 착색안료 및 그 분산제, 충전제 등을 필요에 따라서 첨가해도 된다.
탄성층(12)을 섬유강화수지층(11)에 적층하는 방법으로서는, 탄성층(12)으로서 상술한 반응경화형의 우레탄계 수지를 이용한 경우, 2종류로 나누어 조정된 액상의 우레탄원료(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한 후에 섬유강화수지층(11)의 표면에 도공하는 방법, 혹은 혼합과 동시에 스프레이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미리 탄성층(12)을 단층으로 제작하고, 그 후에 섬유강화수지층(11)과 적층하는 방법도 있으나, 그 경우에는, 접착제를 이용해서 섬유강화수지층(11)과 탄성층(12)을 접착하는 방법이 있다.
한편, 탄성층(12)으로서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경우에는, 탄성층(12)의 적층방법은 다양하다. 먼저, 회분방식에 있어서는, 프레스기를 이용해서, 열경화성 수지가 융해하는 온도까지 프레스성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시트형상의 열경화성 수지와 섬유강화수지층(11)을 중첩시키고, 양자를 프레스기에 의해 샌드위치시키고 있으나, 열경화성 수지가 바람직하게 프레스성형전의 두께를 유지하도록 프레스하는 압력, 온도 및 시간을 제어한다. 또, 프레스성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형태예로서, 섬유강화수지층(11)만을 미리 열경화성 수지가 용융하는 온도이상으로 예열시켜 놓고, 이 예열된 섬유강화수지층(11)에 시트형상의 열경화성 수지를 중첩시켜, 얻어진 적층체를 상온에서 프레스성형하는 방법도 있다. 또, 회분방식의 다른 실시형태예로서는, 시트형상의 열경화성 수지를 용융시키지 않고접착제로 탄성층(12)과 접착하는 방법이나, 적층체를 타일로서 성형하는 경우에, 타일을 성형하는 금형에 타일형상의 섬유강화수지층(11)을 삽입한 후에, 열경화성 수지를 사출성형하는 인서트성형법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연속방식에 있어서는, 섬유강화수지층(11)에, T-다이 등의 압출기를 이용해서, 용융한 열가소성 수지를 라미네이트하는 압출성형라미네이트법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또, 탄성층(12)으로서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경우는, 반응경화형의 우레탄계 수지를 이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액상의 열경화성 수지를 섬유강화수지층(11)에 도공 혹은 스프레이한 후, 해당 도공 또는 스프레이된 열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방법이나, 미리 열경화성 수지로 탄성층(12)을 제작하고, 그 후, 접착제를 이용해서 상기 탄성층(12)을 섬유강화수지층(11)과 적층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섬유강화수지층(11)에 탄성층(12)을 적층할 때, 탄성층(12)이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섬유강화수지층(11)과의 접착도 겸해서, 섬유강화수지층(11)을 가열하거나, 탄성층(12)이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섬유강화수지층(11)은 반드시 가열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섬유강화수지층(11)이 열에 의해 손상을 받게 되는 경우에는, 열경화성 수지로 탄성층(12)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표면보호층(13)에 대해서 설명한다.
표면보호층(13)은, 탄성층(12)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내마모성, 내오염성 및 내약품성이 요구된다.
포면보호층(13)으로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등의 각종 열가소성 수지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각종 수지는 호모폴리머일 필요는 없고, 공중합체이어도 혼합물이어도 된다. 열경화성 수지필름은, 일반적으로 내약품성(내용제성)이 우수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표면보호층(13)으로서 바람직한 것은, 내마모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필름이다. 폴리아미드로서는, 나일론 6, 나일론 12, 나일론 66 등의 락탐 혹은 아미노카르복시산의 중합 및 디아민과 카르복시산의 중축합에 의해서 얻어지는 폴리아미드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고, 이들은 공중합체이어도 2종 이상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폴리아미드필름은, 타버(Taber)내마모시험에서 우레탄계 수지보다 크게 우수하고, 또한 우레탄계 수지에 비해서 오염되기 어렵다.
표면보호층(13)은, 단층필름일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서 2종이상의 필름을 적층한 다층필름이어도 된다. 표면보호층(13)의 두께는, 10 내지 2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10㎛미만에서는, 표면보호층(13)에 요구되는 내마모성 등의 기능이 저하된다. 한편, 두께가 200㎛를 초월하면, 탄성층(12)을 보호한다고 하는 기능은 충분히 만족하지만, 표면보호층(13)자체가 강직한 것으로 되어, 탄성층(12)의 특성이 충분히 발휘될 수 없게 될 염려가 있다.
또, 탄성층(12)과의 접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표면보호층(13)의 이면(탄성층(12)과의 적층면)에, 섬유강화수지층(11)의 표면에 실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표면개질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표면보호층(13)을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과 같은 무극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으로 구성한 경우, 적층후의 충분한 접착강도를 얻기 위해서 특히 중요하다. 또, 표면보호층(13)을, 표면에 요철가공이 실시된 엠보스필름으로 형성하여, 표면보호층(13)의 광택을 잃게 되는 것은 시각상의 효과의 점에서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표면보호층(13)을 투명한 필름으로 구성하면, 그 필름을 통해서 탄성층(12)을 볼 수 있다. 따라서, 표면보호층(13)을 적층하기 전에, 탄성층(12)의 표면에 인쇄 등에 의해 무늬를 부여해두면, 의장성이 우수한 적층체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탄성층(12)이 우레탄계 수지인 경우에는, 탄성층(12)의 표면에 무늬를 부여하는 것은 곤란하나, 우레탄계 수지이외의 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면 탄성층(12)의 표면에 무늬를 부여하는 것은 용이하다. 여기서, "투명"이란, JIS K7105에 의한 광선투과율이 70%이상인 것을 말한다. 이 광선투과율이 70%이상이면, 필름을 통해서 무늬를 충분히 볼 수 있다. 또, 무늬가 부여된 적층체로 할 경우, 필름뿐만 아니라 탄성층(12)도 투명한 것으로 하고, 섬유강화수지층(11)의 표면에 인쇄 등에 의해 무늬를 부여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섬유강화수지층(11), 탄성층(12) 및 표면보호층(13)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수지강화수지층(11)에 대해서 탄성층(12)을 적층하는 면과는 반대쪽의 면에, 또 감압접착층(도시생략)을 적층해도 된다. 감압접착층을 적층함으로써, 시공시에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적층체를 기재에 붙이는 것이 가능하므로, 시공시간의 더욱 단축이 가능해진다. 감압접착층으로서는 특히 제약은 없으나, 기재와의 접착성을 고려해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가 목질계이면 고무계 혹은 아크릴계의 접착층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기재가 콘크리트계이면, 감압접착아스팔트 등을 접착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적층체 전체로서 보면, 섬유강화수지층(11)의 프리프레그시트(2), (3)에 함유되는 강화섬유의 각각의 배열방향에 대한 치수안정성은, 선팽창률 및 가열치수변화율의 적어도 한쪽이, 이하에 표시하는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팽창률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2.0×10-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팽창률이 2.0×10-5/℃를 초과한 경우, 적층체가 필요로 하는 치수안정성의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일이 있다. 또, 선팽창률이 2.0×10-5/℃를 초과한 경우, 대부분이 2×10-5내지 8×10-5/℃이하의 선팽창률인 염화비닐수지 등의 종래의 고분자타일과의, 치수안정성에 있어서의 차별화가 곤란해진다.
본 발명자들은, 실제의 시공후의 타일의 녹아웃이나 이음매노출의 현상과, 선팽창률과의 관계를 조사한 바, 타일의 한 변의 길이의 약 0.1%이하의 치수변화라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에 대해서, 시공후의 타일의 극적인 온도변화를 50℃로 하면(예를 들면, 타일상에 열탕을 부은 경우), 녹아웃이나 이음매노출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선팽창률이 2.0×10-5/℃이하인 것이 중요하다.
한편, 가열치수변화율은, 바람직하게는 0.10%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이하이다. 가열치수변화율은, 시공후의 타일의 장기적인 치수변화에 대응하는 측정치이다. 가열치수변화율이 0.10%를 초과한 경우에는, 상술한 선팽창률과 마찬가지로, 필요로 하는 치수안정성의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일이 있다.
적층체의 두께는 1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체의 두께가 1㎜를 하회하면, 탄성층(12)이 지나치게 얇아져, 탄성층(12)이 지닌 특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게 될 염려가 있다. 또, 적층체의 두께가 5㎜를 초과하면, 역으로 탄성층(12)이 지나치게 두꺼워져서, 휨이 발생하기 쉬워, 가공이 곤란해지고, 비용이 높아지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일이 있다. 적층체중에서도 특히 탄성층(12)의 두께는, 0.3 내지 3.0㎜가 바람직하다.
적층체는, 시공성을 양호하게 한다고 하는 점에 있어서는, 폭이 50 내지 2000㎜인 시트형상이나, 또는 한 변의 길이가 50 내지 2000㎜의 타일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적층체의 형상에 대해서는, 반드시 시트형상이나 타일형상, 즉 장방형이나 정방형일 필요는 없고, 어떠한 형상이어도, 본 발명이 필요로 하는 치수안정성을 충분히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적층체의 시공방법으로서는, 미리 적층체에 상술한 감압접착층을 적층시켜 놓고, 시공현장에서 기재에 붙이는 방법, 또는 시공현장에서 기재 혹은 적층체에 접착제를 도포해서 기재에 붙이는 방법의 어느 방법도 선택할 수 있다.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 접착제의 종류는, 적층체의 사양, 적층체의 용도 및 기재의 종류에 따라서 선택된다. 접착제로서는, 종래의 고분자타일에 사용하는, 예를 들면, 비닐계 또는 우레탄계 등의 접착제를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한다. 또, 감압접착층을 이용할 경우도 포함해서, 기재의 목질이나 표면평활성에 따라서는, 접착력을 유지하기 위해 불균일조정제나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에, 적층체를 기재에 붙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특히 타일형상의 적층체의 경우는 마찬가지이나, 복수매의 적층체를 이어서 시공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적층체의 시공방법으로서, 이음매에 1 내지 10㎜의 간극을 두고 적층체를 배열하여, 이음매에 시일제를 봉입하는 방법도 있다. 이 방법은, 적층체가 방수성을 지닐 경우, 이음매에도 방수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이 때 사용되는 시일제로서는, 이음매에서의 개열 등의 파괴를 일으키지 않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음매에 있어서의 탄성층(12)과의 접착성이 양호한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변성 실리콘, 폴리우레탄, 폴리설파이드, 아크릴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의 적층체에 의하면, 치수안정성을 발현하는 섬유강화수지층(11)과 탄성층(12)을 적층함으로써, 예를 들면, 마루재로서 적절한 소망의 탄성을 지니면서도, 섬유강화수지층(11)이 탄성층(12)의 온도변화 등에 기인하는 큰 신축을 규제하므로, 시공시 및 시공후에 있어서도 적층체로서의 치수안정성이 유지된다. 그 결과, 특히 적층체를 타일형상으로 한 경우, 시공후의 이음매의 녹아웃이나 노출의 염려가 없어진다. 또한, 적층체의 시공시에도, 이제까지 우레탄계 수지마루재의 주류이었던 도포마루공법에 비해서 시공시간의 대폭적인 단축, 즉, 시공성의 개선이 달성된다. 또, 탄성층(12)의 표면에 표면보호층(13)이 적층되고 있으므로, 표면에 오염이 부착되기 어렵고, 또한, 내마모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한 적층체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실시형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예에 의한 적층체의 단면구조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형태예에서는, 표면보호층(23)의 구성이 제 1실시형태예와 다르다. 섬유강화수지층(11) 및 탄성층(12)은 제 1실시형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이하에서는, 섬유강화수지층(11) 및 탄성층(12)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표면보호층(23)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표면보호층(23)은, 투명한 필름(23a)과, 그 필름(23a)의 이면(탄성층(12)쪽의 면)에 형성된 인쇄층(23b)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투명"에 대한 정의는 제 1실시형태예와 마찬가지이다. 인쇄층(23b)은, 표면보호층(23)을 탄성층(12)에 적층하기 전에, 미리 소망의 색 및 무늬를, 필름(23a)의 이면에 부여함으로써 형성한 것이다. 인쇄층(23b)의 부여에는, 일반적인 필름에 대한 주지의 인쇄법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필름(23a)에의 인쇄층(23b)의 부여는 용이하다.
필름(23a)으로서는, 제 1실시형태예에서 예시한 것과 마찬가지의 필름을, 투명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필름(23a)의 두께에 대해서도 제 1실시형태예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표면보호층(23)을, 투명한 필름(23a)의 이면에 인쇄층(23b)을 형성하는 것으로 함으로써, 의장성이 높은 컬러풀한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인쇄층(23b)은 필름(23a)으로 보호되어 있으므로, 필름(23a)이 존재하고 있는 한, 혹은 표면보호층(23)자체가 탄성층(12)으로부터 박리되지 않는 한, 인쇄층(23b)이박리되는 일은 없다.
(제 3실시형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예에 의한 적층체의 단면구조를 표시한 도면이다. 또, 도 3에 있어서, 도 1 또는 도 2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들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형태예의 적층체는, 섬유강화수지층(11)과, 섬유강화수지층(11)의 한쪽의 면에 적층된 탄성층(12)과, 또, 그 탄성층(12)에 적층된 표면보호층(23)과, 섬유강화수지층(11)의 다른 쪽의 면에 적층된 배킹층(34)으로 이루어져 있다.
섬유강화수지층(11) 및 탄성층(12)은, 제 1실시형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며, 표면보호층(23)은, 제 2실시형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는 섬유강화수지층(11), 탄성층(12) 및 표면보호층(23)의 설명은 생략한다.
배킹층(34)은, 적층체를 시공할 때, 기재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층이다. 이 목적을 위해서는, 배킹층(34)으로서는 몇개의 예를 고려할 수 있으나, 대표적인 예로서는, 섬유강화수지층(11)과의 적층면과 반대쪽의 면에 요철을 지닌 층으로서 구성한 예를 들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적층체를 접착제에 의해 시공할 때에, 기재 또는 적층체에 도포한 접착제의 도포용 빗의 흔적에 기인한 도포두께의 편차를 완화하고, 또, 접착시의 탈기가 양호해져, 결과적으로 기재와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은 요철을 지닌 배킹층(34)으로서는, 예를 들면, 공지의 한냉사(면이나 스테이플섬유로 이루어진 메시형상의 직물)이나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또, 배킹층(34)의 다른 예로서는, 핫멜트나 아스팔트 등으로 배킹층(34)을구성한 예를 들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배킹층(34)이 감압접착층으로서 작용하여, 적층체를 그대로 기재에 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제 3실시형태예와 같이 배킹층(34)을 형성함으로써, 시공시의 기재와의 밀착성이 향상되어, 시공성이 보다 양호한 것으로 된다.
(제 4실시형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형태예에 의한 적층체의 단면구조를 표시한 도면이다. 또, 도 4에 있어서, 도 1 또는 도 2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들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형태예의 적층체는, 섬유강화수지층(11)과, 섬유강화수지층(11)의 한쪽의 면에 적층된 탄성층(12)과, 또 그 탄성층(12)에 적층된 표면보호층(23)과, 섬유강화수지층(11)의 다른 쪽의 면에 적층된, 탄성층(12)과 동종 또는 이종의 제 2탄성층(45)으로 이루어져 있다.
섬유강화수지층(11), 탄성층(12) 및 표면보호층(23)은, 제 3실시형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는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 2탄성층(45)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라도, 본 발명의 적층체에 필요한 치수안정성은 확보될 수 있으나, 휨이 생길 염려가 있다. 이 휨의 원인은, 섬유강화수지층(11)의 프리프레그시트(2), (3)와 탄성층(12)에 의해서 치수변화량이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예를 들면, 탄성층(12)을 우레탄계 수지로 구성한 경우, 제 2탄성층(45)을 형성하지 않은 적층체를, 기재에 접착하기 전에 가열하면, 프리프레그시트(2), (3)와 비교해서 우레탄계 수지의 쪽이 크게 팽창하므로, 적층체는 볼록하게 휘는 경향을 나타낸다. 또, 가열한 적층체를 실온이하로 냉각하면, 적층체는 오목하게 휘는 경향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와 같은 휘는 발현은, 적층체를 기재에 접착한 후에는, 접착강도가 유지되는 한 일어나는 일은 없고, 본 발명의 적층체에 필요한 치수안정성에 하등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 극적으로 온도변화를 반복하는 환경하나 기재와의 접착강도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시공후의 적층체가 기재로부터 박리되어 버릴염려가 약간 있으나, 프리프레그시트(2), (3)를 탄성층(12)과 제 2탄성층(45)사이에 삽입시킨 샌드위치구조로 함으로써, 기재에 접착된 적층체의 박리의 위험은 회피할 수 있다.
제 2탄성층(45)을 적층하는 목적은, 섬유강화수지층(11)의 양면의 휨력을 균형을 이루게 하여, 실질적인 겉보기상의 휨을 회피하여, 기재에의 접착후의 적층체의 박리의 위험성을 회피하는 것으로 된다. 이러한 사상에 의거해서, 제 2탄성층(45)의 재료를 탄성층(12)의 재료와 동일하게 하고, 또, 양자의 두께도 동일하게 하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탄성층(12) 및 제 2탄성층(45)의 재료 및 두께가 동일하다는 것은, 제 2탄성층(45)을 형성할 경우에 필요한 조건은 아니다. 왜냐하면, 탄성층(12) 및 제 2탄성층(45)의 재료 및 두께가 동일하지 않아도 본 제 4실시형태예의 적층체는, 휨의 위험이 없는 한,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치수안정성 및 시공성을 충분히 발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 본 실시형태예이 있어서도, 제 2탄성층(45)의 , 섬유강화수지층(11)과 적층되는 면과 반대쪽의 면에, 제 3실시형태예와 마찬가지의 배킹층을 형성하여 시공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정신이나 범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각종 변형이나 수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치수안정성 및 시공성이 우수하면서도, 정기적인 보수를 행하지 않고도 오염이 부착하기 어렵고, 또한 내마모성 및 내약품성을 향상시킨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효과이외에도, 임의의 무늬가 부여될 수 있는 의장성이 높은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에 부가해서, 쿠션성을 부여하기 위한 층을 섬유강화수지층의 한쪽면에 형성하는 것만으로 충분한 쿠션성을 부여가능한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7)

  1. 일방향으로 배열된 연속강화섬유에, 해당 연속강화섬유의 용적비율이 40 내지 80%가 되도록 열가소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되고, 상기 연속강화섬유의 방향이 상호 직교하도록 적층된, 적어도 2매의 프리프레그시트를 포함하는 섬유강화수지층과;
    상기 섬유강화수지층의 한쪽면에 적층된 탄성층과;
    상기 탄성층의 표면에 적층된, 상기 탄성층의 표면을 보호하는 표면보호층을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2. 제 1항에 있어서, 전체 두께가 1 내지 5㎜이고, 또, 상기 연속강화섬유의 배열방향에 대한 치수안정성이, 선팽창률로 2.0×10-5/℃이하, 가열치수변화율로 0.10%이하의 적어도 한쪽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보호층이 투명하며, 상기 탄성층의 상기 표면보호층과의 적층면에 무늬가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 및 표면보호층은 투명하며, 상기 섬유강화수지층의 상기 탄성층과의 적층면에 무늬가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보호층은 폴리아미드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보호층은, 투명한 필름과 해당 필름의 한쪽면에 형성된 인쇄층으로 이루어지고, 해당 인쇄층이 상기 탄성층에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폴리아미드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요철표면을 지닌 엠보스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은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수지가 우레탄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이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우레탄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이 발포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의 휨탄성률이 3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강화수지층의, 상기 탄성층과의 적층면과 반대쪽의 면에, 시공시의 기재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배킹(backing)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강화수지층의, 상기 탄성층과의 적층면과 반대쪽의 면에, 제 2의 탄성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탄성층의, 상기 섬유강화수지층과의 적층면과 반대쪽의 면에, 시공시의 기재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배킹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KR1020010085720A 2000-12-27 2001-12-27 표면보호층을 지닌 적층체 KR200200537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97585 2000-12-27
JPJP-P-2000-00397585 2000-1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759A true KR20020053759A (ko) 2002-07-05

Family

ID=18862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5720A KR20020053759A (ko) 2000-12-27 2001-12-27 표면보호층을 지닌 적층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64741B2 (ko)
EP (1) EP1219408A3 (ko)
KR (1) KR20020053759A (ko)
CN (1) CN1362326A (ko)
TW (1) TW539618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9884A3 (en) * 2009-11-16 2011-09-22 Invista Technologies S.A R.L. Elastic fabric with adhesive
WO2015016518A1 (ko) * 2013-07-30 2015-02-05 (주)엘지하우시스 연속섬유 보강 수지 복합재 및 그 성형품
KR20170129958A (ko) * 2010-05-10 2017-11-27 플로어링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에스에이알엘 마루 패널 및 마루 패널 제조 방법
KR102167673B1 (ko) * 2019-08-08 2020-10-23 박충기 천연자개 원단의 제조방법
US10870994B2 (en) 2010-05-10 2020-12-22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Floor panel
US11668099B2 (en) 2009-12-22 2023-06-06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Panel, covering and method for installing such pane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0215897B1 (pt) * 2002-10-23 2013-07-16 prepreg e método para sua produção
CN100421924C (zh) * 2002-12-27 2008-10-01 东丽株式会社 层压品及其制造方法
US7393583B1 (en) * 2003-04-14 2008-07-01 Starquartz Industries, Inc. Flooring tile
US20070202314A1 (en) * 2004-04-30 2007-08-30 Sambark Co., Ltd Thermoplastic Compound Plate-Shaped Material,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Article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ITVR20050033A1 (it) * 2005-03-15 2006-09-16 Prialpas Spa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una lastra di copertura in gomma particolarmente adatta per pavimentazioni
DE102006018099B4 (de) * 2006-04-18 2017-10-12 Guido Schulte Fußbodenpaneel mit einer Effektpartikel enthaltenden Basis-Beschichtung
US20090208721A1 (en) * 2006-07-28 2009-08-20 Toray Industries, Inc.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8349431B2 (en) * 2007-08-07 2013-01-08 Saint-Gobain Adfors America, Inc. Composite grid with tack film for asphaltic paving, method of paving, and process for making a composite grid with tack film for asphaltic paving
US20090061221A1 (en) * 2007-08-07 2009-03-05 Saint-Gobain Technical Fabrics Composite tack film for asphaltic paving, method of paving, and process for making a composite tack film for asphaltic paving
US8038364B2 (en) * 2007-08-07 2011-10-18 Saint-Gobain Technical Fabrics America, Inc. Reinforcement for asphaltic paving, method of paving, and process for making a grid with the coating for asphaltic paving
WO2009076499A1 (en) 2007-12-12 2009-06-18 Kubota Research, Inc. Composite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e
GB2471318A (en) * 2009-06-26 2010-12-29 Hexcel Composites Ltd Conductive prepreg
US8915035B2 (en) * 2010-01-28 2014-12-23 Ripfloor Llc Floor tile designed for multiple tile images
GB2478749A (en) * 2010-03-17 2011-09-21 Hexcel Composites Ltd Composite materials of reduced electrical resistance
US8925275B2 (en) 2010-05-10 2015-01-06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Floor panel
WO2011163365A2 (en) * 2010-06-22 2011-12-29 Ticona Llc Thermoplastic prepreg containing continuous and long fibers
CN102888975A (zh) * 2011-07-18 2013-01-23 东莞美哲塑胶制品有限公司 新颖环保型地砖及其制作方法
CN104884250B (zh) 2012-10-19 2018-05-04 加拿大圣戈班爱德福思有限公司 复合粘着膜
US20140182875A1 (en) * 2012-12-28 2014-07-03 Mark Sprenger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3031807B (zh) * 2012-12-31 2015-08-19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道砟直接作用下铁路钢桥面防水防护层及施工工艺
CN103963396A (zh) * 2013-02-01 2014-08-06 纳幕尔杜邦公司 复合制品
CN104060798A (zh) * 2013-03-19 2014-09-24 张大为 一种覆合热固性聚氨酯弹性体的复合地板及其制造方法
CN103555218B (zh) * 2013-11-08 2015-11-25 山西长达交通设施有限公司 一种路面裂缝修补材料及其制备方法
US20170314273A1 (en) * 2014-09-04 2017-11-02 Palram Industries (1990) Ltd.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abrasion and weather resistant coating to profiles
DE102015012015A1 (de) * 2015-08-05 2017-02-09 Ewald Dörken Ag Mehrschichtverbundfolie, vorzugsweise für den Baubereich
CN107794818B (zh) * 2016-09-06 2024-06-25 洛阳科博思新材料科技有限公司 步道板及其制造方法
JP6993092B2 (ja) * 2017-03-27 2022-02-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繊維強化樹脂製品
CN110785274B (zh) * 2017-06-02 2021-12-24 山内株式会社 热压用缓冲件及其制造方法
CN108532905A (zh) * 2018-04-18 2018-09-14 江苏华俊新材料有限公司 一种多功能高弹地板膜
JP6790023B2 (ja) * 2018-05-18 2020-11-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複合材の製造方法および複合材
CN110607839A (zh) * 2018-06-15 2019-12-24 成都博绿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物、构筑物用合体物及利用其进行施工的方法
CN109184149B (zh) * 2018-09-07 2020-11-06 广州尚卓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top耐水防滑弹性砖及其制备方法
BE1027024B1 (nl) * 2019-02-04 2020-09-02 Flooring Ind Ltd Sarl Vloerpaneel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ervan
CN110712397A (zh) * 2019-09-12 2020-01-21 青岛中集创赢复合材料科技有限公司 复合板材及其连续生产系统和连续生产方法
CN114727521B (zh) * 2021-01-06 2023-11-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组件及电子设备
CN113183492B (zh) * 2021-04-02 2023-01-13 太原理工大学 一种不锈钢/碳纤维/不锈钢层合板辊压工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0581A (en) * 1980-02-04 1982-01-12 Armstrong Cork Company Surface covering articles
JPS63113385A (ja) 1986-06-11 1988-05-18 Hitachi Cable Ltd ゴムあるいは樹脂成形体線量計素子
JP2838217B2 (ja) * 1989-08-09 1998-12-16 株式会社タジマ 合成樹脂製床材およびその製法
JPH0664078A (ja) * 1992-08-17 1994-03-08 Mitsubishi Rayon Co Ltd 塩化ビニルタイルの製造法
JP3383513B2 (ja) * 1996-05-10 2003-03-04 株式会社エイ・アール・センター 無機長繊維強化防水層構造およびその形成方法
JPH10294277A (ja) 1997-02-18 1998-11-04 Dainippon Screen Mfg Co Ltd 熱処理装置および熱処理方法
EP1097804A4 (en) * 1999-04-14 2002-05-08 Mitsui Chemicals Inc THE MINE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9884A3 (en) * 2009-11-16 2011-09-22 Invista Technologies S.A R.L. Elastic fabric with adhesive
US11668099B2 (en) 2009-12-22 2023-06-06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Panel, covering and method for installing such panels
US11371249B2 (en) 2010-05-10 2022-06-28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Floor panel
KR20220090584A (ko) * 2010-05-10 2022-06-29 플로어링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에스에이알엘 마루 패널 및 마루 패널 제조 방법
US10597876B2 (en) 2010-05-10 2020-03-24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Floor panel
US12031337B2 (en) 2010-05-10 2024-07-09 Unilin, Bv Floor panel
US10870994B2 (en) 2010-05-10 2020-12-22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Floor panel
KR20210157424A (ko) * 2010-05-10 2021-12-28 플로어링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에스에이알엘 마루 패널 및 마루 패널 제조 방법
KR20170129958A (ko) * 2010-05-10 2017-11-27 플로어링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에스에이알엘 마루 패널 및 마루 패널 제조 방법
KR20190108203A (ko) * 2010-05-10 2019-09-23 플로어링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에스에이알엘 마루 패널 및 마루 패널 제조 방법
US11566432B2 (en) 2010-05-10 2023-01-31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Floor panel
US11634913B2 (en) 2010-05-10 2023-04-25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Floor panel
US11634914B2 (en) 2010-05-10 2023-04-25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Floor panel
US12012764B2 (en) 2010-05-10 2024-06-18 Unilin Bv Floor panel
US11795702B2 (en) 2010-05-10 2023-10-24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Floor panel
US11976471B2 (en) 2010-05-10 2024-05-07 Unilin Bv Floor panel
WO2015016518A1 (ko) * 2013-07-30 2015-02-05 (주)엘지하우시스 연속섬유 보강 수지 복합재 및 그 성형품
KR102167673B1 (ko) * 2019-08-08 2020-10-23 박충기 천연자개 원단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64741B2 (en) 2004-07-20
EP1219408A2 (en) 2002-07-03
TW539618B (en) 2003-07-01
US20020090490A1 (en) 2002-07-11
EP1219408A3 (en) 2004-01-21
CN1362326A (zh) 200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53759A (ko) 표면보호층을 지닌 적층체
KR100395314B1 (ko) 적층체
RU2752490C2 (ru) Многослойные композитные изделия и способы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JP3756406B2 (ja) 化粧材
EP1149711B1 (en) Decorative material
JP2002254563A (ja) 積層体
CN109863276A (zh) 弹性地板产品及其制造方法
CA2413730C (en) Structure reinforcing method, structure-reinforcing reinforcing fiber yarn-containing material, reinforcing structure material and reinforced structure
CN115627897A (zh) 用于形成地板覆盖层的地板面板及用于面板的基板
RU2394686C2 (ru) Система для винилового напольного покрытия с армированием сегментированным тканым или нетканым стекловолоконным матом
KR20020055567A (ko) 콘크리트구조물의 보수·보강용 시트 및 콘크리트구조물의 보수·보강방법
JP2002160315A (ja) 加飾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加飾成形品
JPH11192671A (ja) 積層体
JPH11123735A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の製造方法
US20240271428A1 (en) Nonwoven surface covering elements having tongue and groove
JPH0760911A (ja) 熱硬化性樹脂化粧板及びその製造法
JP2002067262A (ja) 加飾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加飾成形品
JP3051532U (ja) 床 板
US20240110029A1 (en) Panel, composition for impregnating or coating a panel,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panel
JP2024010718A (ja) 粘着層付き通気緩衝シート
BR112019009738B1 (pt) Artigos compósitos em camadas e métodos de fabricação dos mesmos
JPH07329236A (ja) 高強度石膏板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