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0775A - 휴대폰의 버튼음 및 메뉴음 음성출력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버튼음 및 메뉴음 음성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0775A
KR20020050775A KR1020000079885A KR20000079885A KR20020050775A KR 20020050775 A KR20020050775 A KR 20020050775A KR 1020000079885 A KR1020000079885 A KR 1020000079885A KR 20000079885 A KR20000079885 A KR 20000079885A KR 20020050775 A KR20020050775 A KR 20020050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menu
voice
output
pcm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홍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79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0775A/ko
Publication of KR20020050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77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04M1/7248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for visually impaired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상인은 물론 시각 장애자인 경우에도 휴대폰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의 버튼음 및 메뉴음 음성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버튼의 누름상태 여부를 인식하는 버튼 누름 인식부와,
각각의 버튼 또는 메뉴에 해당하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있는 버튼/메뉴 데이터 베이스부와,
눌려진 버튼에 해당하는 음성데이터 출력을 버튼/메뉴 데이터 베이스부에 요구하여 눌려진 버튼/메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신한 후 펄스코드변조(PCM)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PCM 신호 변환부와,
PCM 신호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PCM신호를 본래의 음성인 이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 된 것으로서, 휴대폰 사용자가 표시창을 확인하지 않더라도 음성을 통하여 자신이 선택한 버튼이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 여부와 메뉴 사용 시에도 각각의 메뉴에 해당하는 고유음성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정상인은 물론 시각 장애자도 간편하게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폰의 버튼음 및 메뉴음 음성출력장치{Button and menu voice output device for mobile tele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의 음성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상인은 물론 시각 장애자인 경우에도 휴대폰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의 버튼음 및 메뉴음 음성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폰의 버튼음 음성 출력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의 누름상태 여부를 인식하는 버튼 누름 인식부(1)와, 눌려진 버튼에 해당하는 음을 데이터 베이스부(3)에서 독출하여 음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재생하는 음성 재생부(2)와, 각버튼에 대한 고유음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부(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휴대폰의 버튼음 음성출력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휴대폰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게 되면 버튼 누름 인식부(1)에서는 버튼이 눌려진 상태임을 인식하여 눌려진 버튼에 해당하는 신호를 음성 재생부(3)로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음성 재생부(3)에서는 눌려진 버튼에 해당하는 음을 데이터베이스부(2)로부터 독출하여 음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재생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음성 재생부(3)에서는 메뉴에 따라 달라지는 음성을 구분하여 출력하지는 못하고, 버튼의 눌려짐 상태의 유무만을 판단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휴대폰의 버튼음 음성출력장치는 버튼이 눌려진 경우, 사용자가 출력되는 음성만으로는 어떤 버튼이 눌려졌는 지를 명확히 구분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메뉴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메뉴가 어떻게 선택, 전개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표시창(LCD화면)을 육안으로 보아야만 하므로 사용상 번거로움이 있고, 특히 표시창을 볼 수가 없는 시각 장애자인 경우에는 메뉴의 확인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휴대폰 사용자가 표시창을 확인하지 않더라도 음성을 통하여 자신이 선택한 버튼이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 여부와 메뉴 사용 시에도 각각의 메뉴에 해당하는 고유음성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정상인은 물론 시각 장애자도 간편하게 휴대폰을 사용할수 있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버튼의 누름상태 여부를 인식하는 버튼 누름 인식부와,
각각의 버튼 또는 메뉴에 해당하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있는 버튼/메뉴 데이터 베이스부와,
눌려진 버튼/메뉴에 해당하는 음성데이터 출력을 버튼/메뉴 데이터 베이스부에 요구하여 눌려진 버튼/메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신한 후 펄스코드변조(PCM)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PCM 신호 변환부와,
PCM 신호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PCM신호를 본래의 음성인 이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버튼/메뉴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는 EVRC (Enhenced Variable Rate Codec) 데이터 형태로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 휴대폰의 버튼음 음성출력장치 블록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의 버튼음 및 메뉴음 음성출력장치 블록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버튼 누름 인식부 20: 버튼/메뉴 데이터 베이스부
30: PCM 신호 변환부 40: 음성 출력부
50: 스피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의 버튼음 및 메뉴음 음성출력장치 블록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버튼의 누름상태 여부를 인식하는 버튼 누름 인식부(10)와,
각각의 버튼 또는 메뉴에 해당하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있는 버튼/메뉴 데이터베이스부(20)와,
눌려진 버튼/메뉴에 해당하는 음성데이터 출력을 버튼/메뉴 데이터 베이스부(20)에 요구하여 눌려진 버튼/메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신한 후 펄스코드변조(PCM)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PCM 신호 변환부(30)와,
PCM 신호 변환부(30)로부터 출력되는 PCM신호를 본래의 음성인 이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50)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4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버튼/메뉴 데이터 베이스부(20)의 음성 데이터의 저장은 EVRC (Enhenced Variable Rate Codec)데이터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의 버튼음 및 메뉴음 음성출력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휴대폰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게 되면 버튼 누름 인식부(10)에서는 버튼이 눌려진 상태임을 인식하여 눌려진 버튼에 해당하는 신호를 PCM 신호변환부(30))로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PCM 신호변환부(30)에서는 버튼의 종류에 상응하여 버튼/메뉴 데이터 베이스부(20)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를 독출하여 펄스코드변조(PCM)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 출력부(40)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한 버튼/메뉴 데이터 베이스부(20)에서는 각각의 버튼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데, 일예를 들어 사용자가 "1"번 버튼을 누른 경우에는 "일" 또는 "원(ONE)" 이라는 음성 데이터가 저장되는 형태이다.
이때 버튼/메뉴 데이터 베이스부(20)의 음성 데이터의 저장은 EVRC (EnhencedVariable Rate Codec)데이터 형태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PCM 신호변환부(30)로부터 출력되는 PCM신호는 음성출력부(40)에서 본래의 음성인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스피커(50)를 통해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음성신호로 송출된다.
한편,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각각의 메뉴가 선택 될 때마다 PCM 신호변환부(30)로 현재 선택되어진 메뉴의 종류에 따른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PCM 신호변환부(3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베이스부(20)로부터 메뉴에 상응하는 음성데이터를 독출하여 펄스코드변조(PCM)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 출력부(40) 및 스피커(50)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폰 사용자가 표시창을 확인하지 않더라도 음성을 통하여 자신이 선택한 버튼이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 여부와 메뉴 사용 시에도 각각의 메뉴에 해당하는 고유음성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정상인은 물론 시각 장애자도 간편하게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버튼의 누름상태 여부를 인식하는 버튼 누름 인식부와,
    각각의 버튼 또는 메뉴에 해당하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있는 버튼/메뉴 데이터 베이스부와,
    눌려진 버튼/메뉴에 해당하는 음성데이터 출력을 버튼/메뉴 데이터 베이스부에 요구하여 눌려진 버튼/메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신한 후 펄스코드변조(PCM)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PCM 신호 변환부와,
    상기 PCM 신호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PCM신호를 본래의 음성인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버튼음 및 메뉴음 음성출력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버튼/메뉴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는 EVRC 데이터 형태로 저장된 것이 특징인 휴대폰의 버튼음 및 메뉴음 음성출력장치.
KR1020000079885A 2000-12-21 2000-12-21 휴대폰의 버튼음 및 메뉴음 음성출력장치 KR200200507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885A KR20020050775A (ko) 2000-12-21 2000-12-21 휴대폰의 버튼음 및 메뉴음 음성출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885A KR20020050775A (ko) 2000-12-21 2000-12-21 휴대폰의 버튼음 및 메뉴음 음성출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775A true KR20020050775A (ko) 2002-06-27

Family

ID=27684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885A KR20020050775A (ko) 2000-12-21 2000-12-21 휴대폰의 버튼음 및 메뉴음 음성출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077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579A (ko) * 2003-03-19 2003-04-14 문귀석 이동통신단말기의 키버튼을 이용한 캐릭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01002A (ko) * 2002-06-26 2004-01-07 주식회사 팬택 단말기에서 키 입력시 음성 발생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23868A (ko) * 2002-09-12 2004-03-20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말기 정보 음성 송출 시스템
KR100716307B1 (ko) * 2005-11-23 2007-05-08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멀티 버튼음 출력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292A (ja) * 1994-07-04 1996-01-19 Iwatsu Electric Co Ltd 音声表示キーボードおよびその音声表示キーボードを用いる電話装置
KR19980074223A (ko) * 1997-03-22 1998-11-05 윤종용 시각장애자용 통신단말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04049A (ko) * 1997-06-27 1999-01-15 윤종용 휴대폰의 단축 다이얼 번호 음성 출력 방법
KR19990052449A (ko) * 1997-12-22 1999-07-05 윤종용 통신용 단말기의 키데이타 음성 출력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292A (ja) * 1994-07-04 1996-01-19 Iwatsu Electric Co Ltd 音声表示キーボードおよびその音声表示キーボードを用いる電話装置
KR19980074223A (ko) * 1997-03-22 1998-11-05 윤종용 시각장애자용 통신단말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04049A (ko) * 1997-06-27 1999-01-15 윤종용 휴대폰의 단축 다이얼 번호 음성 출력 방법
KR19990052449A (ko) * 1997-12-22 1999-07-05 윤종용 통신용 단말기의 키데이타 음성 출력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002A (ko) * 2002-06-26 2004-01-07 주식회사 팬택 단말기에서 키 입력시 음성 발생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23868A (ko) * 2002-09-12 2004-03-20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말기 정보 음성 송출 시스템
KR20030029579A (ko) * 2003-03-19 2003-04-14 문귀석 이동통신단말기의 키버튼을 이용한 캐릭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16307B1 (ko) * 2005-11-23 2007-05-08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멀티 버튼음 출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722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 서비스 방법
KR20020050775A (ko) 휴대폰의 버튼음 및 메뉴음 음성출력장치
WO2002098115A1 (fr) Appareil de communication
WO2002052817A1 (fr) Telephone et telephone sans fil
US66254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signal based answer call message generation
KR970055729A (ko) 이동단말기에서의 음성인식에 의한 전화번호 송신방법 및 장치
KR10077448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텍스트 변환 장치 및 방법
KR100318421B1 (ko) 단말기간에구별이용이하도록하기위한링서비스방법
JPH026101B2 (ko)
KR200197262Y1 (ko) 다기능이 구비된 하나로 키보드
KR100283167B1 (ko) 음성인식전화기의음성메모장치
KR100294463B1 (ko) 호착신음녹음이가능한이동통신단말기및호착신음지정방법
KR0170741B1 (ko) 소리인식형 호출장치
JPH02181200A (ja) 音声認識装置
KR100689464B1 (ko) 벨소리 제어 장치 및 방법
JPH0484554A (ja) 電話装置
KR20020074816A (ko) 휴대용 다기능 전자책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7283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표준어 변환 처리장치
JP2002354107A (ja) 電話装置
KR960020070A (ko) 셀룰라폰의 음성지시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3803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음 발생 장치 및 방법
JP2002271454A (ja) 電話装置
KR20010049060A (ko) 자동응답전화기의 단축전화번호 확인방법
JPH10155163A (ja) 電話装置
JP2000196710A (ja)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