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8454A - 자동차의 엔진룸 후드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엔진룸 후드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8454A
KR20020048454A KR1020000076907A KR20000076907A KR20020048454A KR 20020048454 A KR20020048454 A KR 20020048454A KR 1020000076907 A KR1020000076907 A KR 1020000076907A KR 20000076907 A KR20000076907 A KR 20000076907A KR 20020048454 A KR20020048454 A KR 20020048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room
hood
room hood
po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7985B1 (ko
Inventor
김용욱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2000-0076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7985B1/ko
Publication of KR20020048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9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천시 엔진룸 후드를 수직으로 승강시켜 습기가 엔진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엔진룸 후드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엔진룸 후드의 후방 양측이 힌지축에 의해 차체에 힌지 결합되고, 엔진룸 후드의 전방 양측에 일체 형성된 폴대가 차체에 승강가능하도록 관통 결합되며, 폴대의 외주면 일부위에 체결되는 잠금 너트에 의해서 폴대가 선택적으로 승강되고, 엔진룸 후드의 후방측 중앙에 설치된 공압실린더가 공압이 공급됨에 따라 엔진룸 후드를 승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엔진룸 후드를 공압실린더로 승강시켜 엔진룸 내부의 점검 또는 정비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우천시 습기가 엔진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부품의 고장요인을 제거하는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엔진룸 후드 승강장치{Apparatus for shifting engine room hood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룸 후드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천시의 엔진룸 점검 또는 수리작업을 위한 엔진룸 개방시 습기가 엔진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엔진룸 후드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엔진룸 후드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룸 후드는 엔진룸의 상측에 설치되어 덮개기능을 갖는 부품으로서, 그 구성은 후방측 양단부가 엔진 차체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전방측 중앙부가 록킹장치에 의해 잠금/해제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엔진룸 후드는 평상시 록킹장치에 의해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운전자가 운전석에 설치된 개방레버를 조작하면 록킹장치가 해제상태로 작동되어 개방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엔진룸 후드는 단순히 엔진룸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으며, 엔진의 이상 또는 기타 고장사유로 인한 차량 점검시에는 엔진룸을 개방하여 점검작업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기존의 엔진룸 후드는 개방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경사각을 유지한 채로 엔진 또는 기타 부품을 점검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동절기 또는 하절기의 눈,비가 내릴 때의 우천작업시 습기가 엔진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엔진룸 내부로 유입되는 습기로 인해 엔진룸 내부의 부품(특히 전장부품)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또한 작업자의 점검 또는 정비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우천시 엔진룸 후드를 수직으로 승강시켜 습기가 엔진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자동차 엔진룸 후드의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엔진룸 후드 승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A의 작동상태도.
도 3은 도 1의 요부 B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엔진룸 후드20 : 차체
30 : 폴대32 : (폴대의)나사산
40 : 잠금 너트50 : 공압실린더
60 : 힌지축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후방 양측이 차체에 힌지축으로 힌지 결합되는 엔진룸 후드와,
상기 엔진룸 후드의 전방 양측에 일체 형성되며 상기 차체에 승강가능하도록 관통 결합되며 일부위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폴대와,
상기 폴대의 나사산에 체결되어 선택적으로 폴대의 승강을 제한하는 잠금 너트와,
상기 엔진룸 후드의 후방측에 설치되며 공압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엔진룸 후드를 승강시키는 공압실린더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엔진룸 후드 승강장치는, 도 1 내지 도 3를 참조, 엔진룸 후드(10)의 후방 양측이 힌지축(60)에 의해 차체(20)에 힌지 결합되고, 엔진룸 후드(10)의 전방 양측에 일체 형성된 폴대(30)가 차체(20)에 승강가능하도록 관통 결합되며, 폴대(30)의 외주면 일부위에 체결되는 잠금 너트(40)에 의해서 폴대(30)가 선택적으로 승강되고, 엔진룸 후드(10)의 후방측 중앙에 설치된 공압실린더(50)가 공압이 공급됨에 따라 엔진룸 후드(10)를 승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폴대(30)는 상단부가 엔진룸 후드(10)의 전방 양측 내주면에 수직으로 일체 형성되고, 하단부가 차체(20)의 플랜지부에 관통 결합되어 있다.
또, 폴대(30)의 외주면에는 일부위가 잠금 너트(40)와 체결되도록나사산(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잠금 너트(40)는 폴대(30)의 나사산(32)에 체결되어 폴대(30)의 승강을 제한하도록 차체(20) 플랜지부에 안착된다.
또한, 공압실린더(50)는 공압이 공급됨에 따라 엔진룸 후드(10)를 승강시키도록 상단부의 로드(52)가 브라켓에 의해 엔진룸 후드(10)의 내측면에 일체로 설치되고, 하단부의 몸체가 차체(20)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 공압실린더(50)에 제공되는 공압은 기존의 에어컴프레셔의 구동시 발생되는 공압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며, 이 공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스위치(미도시)를 운전석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미 설명 부호 "55"는 공압실린더(50)에 공압을 제공하는 에어파이프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평상시의 엔진룸 후드(10)는 기존의 것과 동일하게 엔진룸을 개방시키는 기능만을 수행하며, 이때도 록킹장치(미도시)를 해제하고 엔진룸 후드(10)의 전방측을 들어 올리면 힌지축(6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엔진룸을 개방시키게 된다.
한편, 우천 작업시에는 엔진룸 후드(10)를 승강시키는 작동과정은 먼저, 힌지축(60)을 차체(20)와 엔진룸 후드(10)로부터 이탈시키고, 잠금 너트(40)를 풀어 폴대(30)가 차체(20)로부터 승강가능한 상태로 해제시킨다.
이어서 공압실린더(50)에 공압이 에어파이프(55)를 통해 제공되면, 공압실린더(50)의 상단부 로드(52)가 상승하여 엔진룸 후드(10)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엔진룸 후드(10)에 일체 형성된 폴대(30)는 같이 상승되는 데, 이후에 작업자는 잠금 너트(40)를 폴대(30)의 나사산(32)에 체결하면 상승된 폴대(30)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엔진룸 후드(10)는 일정한 높이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빗물 또는 눈이 엔진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잠금 너트(40)를 풀고 공압실린더(50)에 제공된 공압을 외부로 배출하면, 공압실린더(50)의 로드(52)가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엔진룸 후드(1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우천시 엔진룸을 개방할 때 습기가 엔진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인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엔진룸 후드를 공압실린더로 승강시켜 엔진룸 내부의 점검 또는 정비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우천시 습기가 엔진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부품의 고장요인을 제거하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후방 양측이 차체(20)에 힌지축(60)으로 힌지 결합되는 엔진룸 후드(10)와,
    상기 엔진룸 후드(10)의 전방 양측에 일체 형성되며 상기 차체(20)에 승강가능하도록 관통 결합되며 일부위에 나사산(32)이 형성되는 폴대(30)와,
    상기 폴대(30)의 나사산(32)에 체결되어 선택적으로 폴대(30)의 승강을 제한하는 잠금 너트(40)와,
    상기 엔진룸 후드(10)의 후방측에 설치되며 공압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엔진룸 후드(10)를 승강시키는 공압실린더(5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룸 후드 승강장치.
KR10-2000-0076907A 2000-12-15 2000-12-15 자동차의 엔진룸 후드 승강장치 KR100377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907A KR100377985B1 (ko) 2000-12-15 2000-12-15 자동차의 엔진룸 후드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907A KR100377985B1 (ko) 2000-12-15 2000-12-15 자동차의 엔진룸 후드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454A true KR20020048454A (ko) 2002-06-24
KR100377985B1 KR100377985B1 (ko) 2003-03-29

Family

ID=27682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907A KR100377985B1 (ko) 2000-12-15 2000-12-15 자동차의 엔진룸 후드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79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872B1 (ko) * 2010-09-17 2011-01-06 주식회사 승진기계 발포시트 성형용 압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3487B1 (en) * 2015-02-19 2016-08-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eployable front ste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872B1 (ko) * 2010-09-17 2011-01-06 주식회사 승진기계 발포시트 성형용 압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7985B1 (ko) 200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22253A1 (en) Covering device for a vehicle container
CA2177508A1 (en) Mobile lift assembly
US5374215A (en) Vertically adjustable vent cover having venturi cone
KR100377985B1 (ko) 자동차의 엔진룸 후드 승강장치
US4145069A (en) Support system for a wheeled vehicle
US6481078B1 (en) Fixture for sunroof assembly
US6584925B2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a boat windshield
JPH11192881A (ja) タイヤ修理等のサービスカー
KR200384373Y1 (ko) 트레일러의 콘테이너 자동잠금장치
CN206707497U (zh) 一种气动式发动机盖举升装置
CN205523467U (zh) 一种小型车轮胎与轮辋剥离装置
KR100217596B1 (ko) 덤프 트럭의 안전 잭 작동장치
KR960003982Y1 (ko) 후드(Hood)의 록킹(Looking)장치
KR200308815Y1 (ko) 크레인의 조정실 보호장치
KR200233085Y1 (ko) 승강장치가 구비된 카고 크레인의 조정석 보호장치
JPH0736024Y2 (ja) 二段式立体駐車装置
KR100387880B1 (ko) 트럭용 발판 회동장치
JP2601981Y2 (ja) 土木作業車の運転室
DE102004012187A1 (de) Cabrio-Verdeck
KR960000602Y1 (ko) 화물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탈,장착장치
JPH06321074A (ja) 車両構造に一体化されたジャッキ
KR880001366Y1 (ko) 자동차에 설치한 자동 작키 장치
US20040155478A1 (en) Actuation device for movable parts on a vehicle
JP2592653Y2 (ja) 車両のエンジン排気装置
KR200191175Y1 (ko) 자동차 본네트의 열림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