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8334A -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8334A
KR20020048334A KR1020020023792A KR20020023792A KR20020048334A KR 20020048334 A KR20020048334 A KR 20020048334A KR 1020020023792 A KR1020020023792 A KR 1020020023792A KR 20020023792 A KR20020023792 A KR 20020023792A KR 20020048334 A KR20020048334 A KR 20020048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ontrol
panel
broadcasting
sho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3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원선
황광선
소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로몬멀티미디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로몬멀티미디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로몬멀티미디어통신
Priority to KR1020020023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8334A/ko
Publication of KR20020048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334A/ko

Links

Landscapes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송 장비들의 동작을 무인으로 제어하며, 다수의 카메라 각각의 동작 및 기타 주변 장치들의 동작도 미리 설정된 제어 명령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하는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은 카메라 촬영 순서와 카메라 촬영 위치, 카메라 팬/틸트/포커스/줌 및 카메라 이동 속도, 녹화 등 방송에 필요한 각 카메라의 자동 촬영 동작 및 외부 전원기, 외부 조명기 및 출입문 통제 장치들에 대한 동작 제어 사항들을 미리 지정하고, 등록된 각 카메라의 촬영 순서와 카메라 촬영 위치, 카메라 팬/틸트/포커스/줌 및 카메라 이동 속도, 녹화 및 기타 주변 장치의 제어 동작에 따라 무인으로 시스템이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Description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System that control broadcasting without a person}
본 발명은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송 장비들의 동작을 무인으로 제어하며, 다수의 카메라 각각의 동작 및 기타 주변 장치들의 동작도 미리 설정된 제어 명령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하는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은 카메라 촬영 순서와 카메라 촬영 위치, 카메라 팬/틸트/포커스/줌 및 카메라 이동 속도, 녹화 등 방송에 필요한 각 카메라의 자동 촬영 동작 및 외부 전원기, 외부 조명기 및 출입문 통제 장치들에 대한 동작 제어 사항들을 미리 지정하고, 등록된 각 카메라의 촬영 순서와 카메라 촬영 위치, 카메라 팬/틸트/포커스/줌 및 카메라 이동 속도, 녹화 및 기타 주변 장치의 제어 동작에 따라 무인으로 시스템이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방송 촬영을 위해서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편집 및 전송하는 각종 방송 장비들이 필요하다. 종래 카메라를 이용하는 영상 방송 기술은 방송국 등에서 촬영기사에 의해 고정식 또는 이동식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유인 영상방식이 대부분이다. 상기 유인 영상방식에 의거한 방송 기술은 촬영 및 방송 장비를 비롯한 장비 구매대금 및 그 유지보수비에 더불어 촬영기사의 인건비를 또한 지불해야 하므로 소규모 방송국 또는 간이 방송국이나 인터넷 방송국, 그리고 교회, 학원 및 학교, 직장 등에서는 지출되는 비용에 대한 부담이 큰 단점이 있었으며, 또한, 촬영기사의 노하우 또는 경험에 의한 촬영이 이루어져 보다 노련한 촬영기사를 적시적소에 배치해야 하는 어려움이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한편, 영상기술 방식으로 무인 영상방식이 있다. 요즘은 건물이나 주요시설물의 침입자 감시에 사용되는 영상기술 방식이 대부분 무인 영상방식을 따른다. 상기 무인 영상방식은 예컨대, 금융기관에서의 고객 및 침입자 감시, 건물 및 군부대등지에서의 출입자 및 침입자 감시, 유통업체에서의 고객의 흐름 통제, 항만 및 항공기 감시 및 통제, 무인도 선박 감시를 위해 제한된 감시 지역을 촬영 및 녹화하는 무인 영상방식이다. 이러한 무인 영상방식은 촬영기사가 필요치 않다는 점과 24시간 촬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Pan/Tilt/Focus/Zoom 등 다양한 촬영기법이 필요한 방송에 있어서는 적합하지 않았다. 기존의 무인 영상 촬영 장비들은 침입자 감시, 고객의 흐름통제, 교통감시 등의 제한적 목적을 위해 고도의 촬영기법이 필요하지 않는 영상을 위해서는 적합하나, 섬세한 영상 및 고도의 촬영기술이 필요한 방송에 있어서는 부적절하다. 따라서, 기존의 방송 시스템에서는 각 방송 장비들을 다루는 전문 기사를 별도로 두고, 경험에서 오는 서로의 숙련된 기술을 발휘하여 섬세하고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영상을 만들 수 있었다.
물론, 규모가 큰 공중파 방송국에서는 유인 영상 방식이 적합할 수 있다. 하지만, 소규모 방송국이나 간이 방송국, 교회, 학원 및 학교, 직장 등에서는 기사를 고용하는 비용에 대한 경제적 부담 때문에 부적합할 수 있다.
또한, 여러 대의 카메라가 필요한 방송 환경에 있는 경우 경제적 문제는 더 크게 다가올 수 있다. 어쩌면 간이 방송국을 운영하고 싶어도 이러한 경제적 부담 때문에 포기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규모 방송국이나 간이 방송국, 교회, 학원 및 학교, 직장 등에 구비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경제적이면서도 다양한 화면을 구성할수 있는 방송을 수행할 수 있는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카메라가 필요한 방송 환경에서도 다수의 카메라를 무인으로 제어하며, 다수의 카메라 각각의 동작 및 기타 주변 장치들의 동작도 미리 설정된 제어 명령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하는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전원이나, 외부 조명, 출입문 통제 및 보안장치 등의 외부 장비들과 방송 시스템을 연동시켜 이들 모두를 중앙에서 통제할 수 있는 중앙 통제식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각기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각 위치에서 지정된 촬영 순서와 촬영 위치, 팬/틸트/포커스/줌 및 이동 속도에 의거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들);
상기 카메라(들)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의 동작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카메라로 인가하는 AV 스위치;
상기 카메라 촬영 순서와 카메라 촬영 위치, 카메라 팬/틸트/포커스/줌 및 카메라 이동 속도, 녹화 등 방송에 필요한 각 카메라의 자동 촬영 동작 및 기타 주변 장치들에 대한 동작 제어 사항들을 지정하여 등록하도록 명령하는 콘트롤 패널;
상기 콘트롤 패널에 의해 미리 지정 등록된 각 카메라의 촬영 순서와 카메라 촬영 위치, 카메라 팬/틸트/포커스/줌 및 카메라 이동 속도, 녹화 및 기타 주변 장치의 제어 동작에 따라 각 구성부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AV 스위치를 통해 각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들을 믹싱하거나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과 저장하고 있는 영상을 믹싱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편집하는 믹싱기; 및
상기 믹싱기에서 편집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 매체;를 적어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카메라의 촬영 또는 편집된 영상을 메인 화면으로 구성하여 화면에 표시하거나 상기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의 상태 및 각 구성부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견지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믹싱기로부터 출력되는 편집 영상 신호를 스크린에 투사하는 프로젝트;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견지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은 상기 믹싱기로부터 출력된 편집 영상 신호를 소정 포맷의 영상 파일로 변환하는 파일 변환부; 및 상기 파일 변환부에서 소정 포맷으로 변환된 영상 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웹 환경을 가지는 원격지 컴퓨터로 연결하는 통신포트;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견지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의 상기 제어부는 마이크 시스템 및 스피커 시스템에 연동되어 상기 마이크 및 스피커의 구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견지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의 상기 제어부는 연동되는 외부 전원기와 외부 조명기와 출입문 통제기 등의 외부 장치를 제어하여 중앙 통제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7견지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의 상기 콘트롤 패널은;
상기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의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전원 패널과,
촬영을 할 카메라를 하나 또는 복수로 지정하는 패널로 미리 방송 순서 및 방송 환경에 맞춰 동작할 카메라의 순서를 지정하는 카메라 지정 패널과,
상기 스피커 시스템의 사운드 레벨을 조절하는 사운드 조절 패널과,
느리게, 보통, 빠르게, 정지에 대한 카메라 이동 속도를 조절하는 이벤트 존 패널과,
각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설정하는 패널로서, 각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전/후/좌/우/대각선 방향으로 설정하는 화면 조정 패널과,
방송 환경에 따른 촬영 공간을 분할하여 각 위치별로 구분하여 두고, 각 카메라의 촬영 위치를 등록하기 위한 패널로서, 각 카메라의 촬영 위치를 위치순서(또는 시간)에 따라 특정 위치로 설정하는 카메라 위치등록 패널과,
녹화를 선택하는 패널로서, 녹화시 엔코딩 포맷을 결정하고, 저장용인지 아니면 인터넷을 통해 출력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녹화선택 패널과,
녹화를 정지하는 정지선택 패널과,
현재 방송중임을 표시하는 On Air 표시패널과,
상기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의 제어에 필요한 각 상황을 주 제어하는 패널로서,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각 카메라의 등록된 위치 이외의 위치로 이동할 필요가 있을 경우 이동할 위치를 지정하거나, 위치를 등록할 때 사용하는 상태 디스플레이 패널과, 각 카메라의 위치 저장, 자동 및 수동 조정, 줌-인/줌-아웃, 각 카메라 위치 등록 삭제, 저장된 위치 스캔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과, 설정 또는 동작에 필요한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패널(123)을 구비하는 메인 콘트롤 패널과,
상기 카메라의 상하 이동, 좌우 이동, 초점 및 줌-인/줌-아웃을 조정하는 카메라 P/T/F/Z 조정 패널과,
상기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과 연동하는 외부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외부 전원 제어 패널과,
스포트라이트나 무대 전체를 비추는 다등 조명기기의 온/오프 및 동작을 제어하는 외부 조명 제어 패널과,
출입문의 오픈/클로우즈를 제어하는 출입문 제어 패널과,
보안을 위한 경보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경보기 제어 패널을 구비하며,
방송 환경에 따라 각 방송 장비들을 서로 연관시켜 동작하도록 제어 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제어 명령은 방송 이전에 미리 지정하여 무인으로 촬영 및 녹화, 방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8견지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의 상기 메인 화면은두 대의 카메라가 각각의 위치에서 이동 촬영하면서 얻어지는 영상을 상기 믹서기를 통해 출력 화면에 겹쳐서 합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9견지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트롤 패널을 통해 방송 환경의 옥내를 소정 간격을 가지는 쉘로 분할하여 생성하고, 각 장비들이 위치한 위험지역 쉘 위치를 미리 등록시킨 후, 보안 모드에서 옥내 전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동작을 통해 피사체가 상기 위험지역 쉘 위치로 이동함을 감지하면 해당 쉘에 미리 지정된 특정 카메라를 통해 크로즈-업하여 촬영 녹화하고, 녹화된 영상을 미리 지정된 원격지로 자동 전송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트롤 패널의 일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트롤 패널을 화면에 구현한 일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의 카메라 배치 및 동작 환경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무인 제어를 통해 촬영하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으로 두 대의 카메라 동시 제어를 통해 크로즈-업 화면을 촬영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두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시에 두 대의 카메라 촬영 화면을 하나의 화면에 구성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안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에서 제어되는 전동 시스템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카메라22: AV 스위치
13: 표시부14: 주변장치
15: 제어부16: 프로젝트
17: 전동 스크린18: 통신 포트
19: 파일변환부20: 믹싱기
21:DVR100: 콘트롤 패널
200: 인터넷300: 외부 장치
400: 원격 시청자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은 촬영에서 편집, 그리고 기타 외부 전원 제어, 조명 제어, 출입제어, 보안에 이르기까지 무인으로 운영할 수 있는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요한 시스템 설명을 이하의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은 카메라(10a~10n), AV 스위치(11), 표시부(13), 주변장치(14), 제어부(15), 프로젝트(16), 전동 스크린(17), 통신 포트(18), 파일 변환부(19), 믹싱기(20), DVR(21), 콘트롤 패널(100), 인터넷(200), 외부 장치(300) 및 원격 시청자(40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콘트롤 패널(100) 및 제어부(15)를 통해서 각 카메라(10)들의 제어, 외부 장치(300)들의 제어를 무인으로 수행하고,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거나,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시청자에게 언제든지 볼 수 있도록 제공한다. 각 구성부의 세부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카메라(10a~10n)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카메라가 설치될 공간과 방송 환경에 따라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10a~10n)는 상기 AV 스위치(11)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5)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거 전원 온/오프, 촬영/대기, 촬영할 위치, P/T/F/Z(Pan/Tilt/Focus/Zoom)의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AV 스위치(11)는 상기 카메라(10a~10n) 및 상기 제어부(15)와의 연결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5)의 제어 신호에 의거 상기 카메라(10a~10n)에 동작 제어신호(전원 온/오프 제어신호, 촬영/대기 제어신호, 촬영할 위치 제어신호, P/T/F/Z 제어신호)를 인가하며, 상기 카메라(10a~10n)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를 상기 믹싱기(20)에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13)는 촬영 또는 편집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거나, 상기 무인방송 제어 시스템의 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의 각 구성부의 원격 제어 및 무인 제어를 위한 콘트롤 패널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주변장치(14)는 상기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에 필요한 주변 장치로서, 전동 마이크 시스템이나 스피커 시스템 등이 이에 해당한다.
상기 제어부(1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콘트롤 패널(100)에 의해 명령되는 카메라 제어, 외부 장치 제어 및 영상 파일 제어, 인터넷 방송 제어 등의 각종 제어신호를 인가 받아 해당 구성부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5)는 촬영 카메라의 지정, 사운드 지정, 카메라 위치 등록, 녹화 및 정지, 전원 제어, 카메라 P/T/F/Z 조정 제어, 이벤트 존 제어, 화면 제어, 외부전원 제어, 외부조명 제어, 출입문 제어, 경보기 제어 등을 담당하며, 미리 콘트롤 패널(100)을 통해 지정되어 등록한 카메라 및 기타 주변 장치의 제어 순서에 따라 상기 카메라 및 기타 주변 장치들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5)의 상세 제어 동작은 해당 구성부의 설명시 다시 언급한다.
상기 프로젝트(16)는 상기 제어부(15) 또는 도시하지 않은 리모콘 제어에 의해 상기 믹싱기(20)로부터의 편집 영상 신호를 스크린(17)에 투사한다. 상기 프로젝트(16)는 고화질 영상제공과 통상의 프로젝트 사양을 구비한다.
상기 전동 스크린(17)은 모터에 의해 상하 또는 좌우로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5) 또는 도시하지 않은 사용자 리모콘 제어에 의해 동작한다.
상기 통신 포트(18)는 상기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의 영상 신호를 인터넷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통신 포트이다.
상기 파일변환부(19)는 상기 믹싱기(20)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를 ASF 또는 WMV 파일, RM 파일, MOV 파일로 변환한다.
상기 믹싱기(20)는 디지털 비디오(DV) 또는 아날로그 비디오 믹서(Video Mixer)로서, 상기 제어부(15)의 제어 하에 상기 AV 스위치(11)를 통해 각 카메라(10a~10n)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믹싱하여 편집하며, 편집된 영상 신호를 상기 파일변환부(19) 또는 영상 저장 매체인 DVR(21)에 출력한다. 상기 믹싱기(20)는 각 카메라의 영상 신호를 서로 합성, 보정, 효과 화면 등의 다양한 기법으로 편집한다.
상기 DVR(21)은 영상 저장 매체로서, 상기 믹싱기(20)에서 편집된 영상 신호를 저장한다.
상기 콘트롤 패널(100)은 상기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의 각 구성부들을 제어할 수 있는 콘트롤 패널로, 상기 제어부(15)에 각 구성부들의 동작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일 예로 상기 콘트롤 패널(100)은 도 2에 도시된 일 예와 같다. 상기 도 2를 보면,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의 각 구성부를 제어할 수 있는 각종 패널이 구비된다. 전원 패널(111), 카메라 지정 패널(112), 사운드 조절 패널(113), 이벤트 존 패널(114), 화면 조정 패널(115), 카메라 위치등록 패널(116), 녹화선택 패널(117), 정지선택 패널(118), On Air 표시패널(119), 상태 디스플레이 패널(121)과 제어패널(122)과 숫자 패널(123)을 구비하는 메인 콘트롤 패널(120),카메라 P/T/F/Z 조정 패널(130), 외부 전원 제어 패널(140), 외부 조명 제어 패널(150), 출입문 제어 패널(160), 경보기 제어 패널(170)을 구비한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각 패널의 역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원 패널(111)은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의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상기 카메라 지정 패널(112)은 촬영을 할 카메라를 하나 또는 복수로 지정하는 패널로 상기 도 3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10대의 카메라 중에서 '카메라 1'을 선택하여 지정하는 패널이다. 상기 카메라 지정 패널(112)에 의해 미리 방송 순서 및 방송 환경에 맞춰 동작할 카메라의 순서를 지정하는 경우에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카메라의 동작 순서가 [카메라 1 →카메라 8 →카메라 2,3 →카메라 1 →카메라 4,5 →‥‥]가 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 지정 패널(112)을 통해 설정한다.
상기 사운드 조절 패널(113)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예와 같이 좌, 우 스피커 시스템의 사운드 레벨을 조절하는 패널이다.
상기 이벤트 존 패널(114)은 카메라 이동 속도를 조절하는 패널로서, 상기 도 3에 도시된 예와 같이 느리게(SLOW), 보통(MIDDLE), 빠르게(FAST), 정지(STOP)를 자유롭게 조정하는 패널이다.
상기 화면 조정 패널(115)은 각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설정하는 패널로서, 상기 도 3의 일 예와 같이 각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전/후/좌/우/대각선 방향으로 설정하는 패널이다.
상기 카메라 위치등록 패널(116)은 방송 환경에 따른 촬영 공간을 분할하여각 위치별로 구분하여 두고, 각 카메라의 촬영 위치를 등록하기 위한 패널로서, 상기 도 3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촬영 공간이 20개의 위치(L1~L20)로 분할되어 있다면 1번 카메라의 촬영 위치를 위치순서(또는 시간)에 따라 특정 위치를 설정하는 패널이다.
상기 녹화선택 패널(117)은 녹화를 선택하는 패널로서, 녹화시 엔코딩 포맷을 결정하고, 저장용인지 아니면 인터넷을 통해 출력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패널이다.
상기 정지선택 패널(118)은 녹화를 정지하는 패널이다.
상기 On Air 표시패널(119)은 현재 방송중임을 표시하는 패널이다.
메인 콘트롤 패널(120)은 상기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의 제어에 필요한 각 상황을 주 제어하는 패널로서, 내부에 구성되는 상기 상태 디스플레이 패널(121)은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각 카메라의 등록된 위치 이외의 위치로 이동할 필요가 있을 경우 이동할 위치를 지정하거나, 위치를 등록할 때 사용하는 패널이다.
상기 제어패널(122)은 도 3에 도시된 예와 같이 각 카메라의 위치 저장, 자동 및 수동 조정, 줌-인/줌-아웃, 각 카메라 위치 등록 삭제, 저장된 위치 스캔 등을 제어하기 위한 패널이다.
상기 숫자 패널(123)은 설정 또는 동작에 필요한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패널이다.
상기 카메라 P/T/F/Z 조정 패널(130)은 카메라의 상하 이동, 좌우 이동, 초점 및 줌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패널로서,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P/T/F/Z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원 제어 패널(140)은 상기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과 연동하는 외부 전원(도 9에 도시된 예와 같은 각종 전동 시스템- 전동 스크린, 전동 현수막, 전동 엘리베이션, 전동 무대, 전동 커튼, 전동 조명, 전동 마이크 등과, 스피커 및 기타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패널이다.
상기 외부 조명 제어 패널(150)은 스포트라이트나 무대 전체를 비추는 다등 조명기기의 온/오프 및 동작을 제어하는 패널이다.
상기 출입문 제어 패널(160)은 출입문의 오픈/클로우즈를 제어하는 패널이다.
상기 경보기 제어 패널(170)은 보안을 위한 경보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패널이다.
상술한 콘트롤 패널(100)은 방송 환경에 따라 각 방송 장비들을 서로 연관시켜 동작하도록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패널이다. 예를 들어, 현재 방송을 위해 카메라 순서를 지정하고, 지정한 순서의 카메라마다 촬영 위치를 등록하며, 촬영 위치를 촬영하는 카메라의 이동 속도를 지정하며, 카메라 이동 속도에 따라 P/T/F/Z를 지정하며, 촬영 순서에 따라 외부 장치들의 온/오프 및 동작을 설정하며, 녹화 및 동영상을 인터넷을 통해 방송할 것인지를 종합적으로 설정하여 설정된 종합적 명령을 상기 제어부(15)에 인가한다. 상기 콘트롤 패널(100)에 의해 명령되는 제어는 방송 이전에 미리 지정하여 무인으로 촬영 및 녹화, 방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인터넷(200)은 원격지에 위치한 원격 시청자(400)인 웹 환경의 임의의컴퓨터들과 연결된다.
상기 외부 장치(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동 스크린, 전동 현수막, 전동 엘리베이션, 전동 무대, 전동 커튼, 전동 조명, 전동 마이크 등과, 스피커 및 기타 전원과 같은 외부 전원기(340)와, 스포트라이트나 무대 전체를 비추는 다등 조명기기 등의 외부 조명기(330)와, 각 출입문의 오픈/클로우즈를 전기적으로 통제하는 출입문 통제기(320)와 경보기(310)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5)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거나, 별도의 사용자 리모콘 및 조작 스위치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원격 시청자(400)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원격지에서 상기 영상 파일들을 동영상 화면으로 시청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의 카메라 배치 및 동작 환경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방송 환경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로 무대 주변 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카메라들(C1~C8)은 각각 상하 이동, 좌우 이동, 줌-인/줌-아웃을 상기 제어부(15)의 제어 명령에 의거 자동으로 이동하며, 촬영 및 대기, 정지 등의 동작을 상기 제어부(15)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한다. 상기 카메라들은 하나씩 동작할 수도 있고, 동시에 다수 또는 전체가 각각 다른 촬영 위치와 이벤트와, 이동 속도, 이동 위치에 의거 동작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무인 제어를 통해 촬영하는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무대에서 5명이 합창을 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촬영하고자 하는 위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발(Start) 지점부터 종료(End) 지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세 대의 카메라(C1~C3)를 통해 상기 출발 지점부터 종료 지점까지 설정 시간을 지정하여 이동, 크로즈-업(Close-up), 줌-인/줌-아웃을 카메라 동시 또는 각각 지정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인물에 대한 크로즈-업이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300s 동안 노래를 단독으로 부르는 싱어에 대해 크로즈-업 하는 경우가 필요한 경우 미리 크로즈-업 화면(M1)을 촬영할 카메라를 지정하고, 설정 시간이 되면 해당 카메라만 단독으로 동작하여 크로즈-업 화면(M1)을 영상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출발 지점부터 종료 지점까지 카메라 이동시 상기 도 3에 도시된 이벤트 존 기능에 따라 느리게, 보통, 빠르게 카메라의 이동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 모두 미리 설정된 제어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촬영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에서의 화면 구성의 특징 중 하나로써, 두 대의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합성하여 하나의 화면을 구성하는 기능이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으로 두 대의 카메라 동시 제어를 통해 크로즈-업 화면을 촬영하기 위한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미리 지정된 두 대의 카메라는 각각 동일한 위치의 화면 M1을 촬영하게 되는데, 카메라 설치 위치가 다르므로 다른 각도의 샷을 촬영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화면 구성시 하나의 카메라(C1)의 샷과 또 다른 하나의 카메라(C2)의 샷을 겹쳐서 하나의 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데, 단순히 겹치게 할 수도 있지만 C1 카메라 샷이 화면에서 좌에서 우로 이동한다고 하면 C2 카메라 샷이 상기 C1 카메라 샷이 지나간 위치에 합성되어 좌에서 우로 이동하게 되면 하나의 화면에는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된 영상의 두 피사체가 겹치게 되면서 하나의 피사체가 서서히 사라지면서 다른 하나의피사체가 서서히 그 자리를 차지하는 영상 화면이 구성될 것이다. 이러한 동작 역시 미리 카메라 및 화면 구성을 설정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을 통해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두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시에 두 대의 카메라가 메인 화면에서 이동하는 것을 표현하는 것을 구성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동그라미 화면을 C1 카메라에서 촬영하고 있는 영상 화면이라 가정하고, 세모 화면을 C2 카메라에서 촬영하고 있는 영상 화면이라 가정하면, t1 시간에 메인 화면(여기서, 메인 화면이라 함은 실질적으로 녹화 또는 방송되는 화면을 일컫는다.)에는 줌-인되어 있는 C1 카메라 영상 화면만이 보여지다가, t2시간에서 줌-아웃 되면서 서서히(메인 화면에서 카메라가 이동하는 속도도 미리 지정하게 된다.) C1 카메라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C2 카메라가 서서히 메인 화면 우측단에서 보이기 시작한다. 이렇게 상기 C1 카메라와 C2 카메라가 메인 화면에서 각각 다른 위치에서 좌측으로 서서히 이동하게 되면, t3 시간이 되면 상기 메인 화면에는 상기 C1 카메라와 C2 카메라가 죄측으로 더 이동하여 동그라미 반과 세모의 반 화면이 구성된다. 지속적으로 상기 C1 카메라와 C2 카메라가 메인 화면에서 좌측으로 서서히 이동하면 t4 시간에 메인 화면의 구성은 다시 바뀌어 동그라미가 좌측단에 일부만이 보이고, 세모는 우측단에 대부분이 보이게 되는 화면 구성을 이룬다. 즉, 상기 C1 카메라가 메인 화면에서 좌측으로 이동을 시작함과 동시에 상기 C2 카메라가 우측단에서 좌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C1 카메라는 메인 화면의 좌측으로 사라지고, 상기 C2 카메라는 메인 화면의 중앙으로 들어오는 카메라 기법을 표현할 수 있다. 결국 완전히 상기 C1 카메라가 이동하여 메인 화면 좌측단을 빠져나가고 상기 C2 카메라가 메인 화면의 중앙으로 위치하게 되면 상기 C2 카메라의 영상 화면은 줌-인 되면서 t5 시간에서의 메인 화면에 줌-인된 세모 영상이 표현된다.
정리하면, 상기 도 7에서는 메인 화면의 출력으로 두 대의 카메라 영상이 믹서기를 거치면서 두 대 카메라 각각의 두 개의 화면이 겹쳐지면서 나타나는 영상 화면을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에서 무인으로 구현할 수 있는 예를 보인 것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카메라 두 대가 이동하면서 만들 수 있는 출력 화면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샷에 대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다양한 화면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두 대의 카메라 샷뿐만 아니라 하나의 카메라 샷과 저장한 배경 샷을 합성하여도 이러한 화면 효과를 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즉, 하나의 화면에 'A'라는 샷이 나가고 있는 것과 동시에 'B'라는 샷이 들어오는 것과 같은 화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촬영 기법의 또 하나의 특징은 촬영할 특정 대상(피사체)에 대하여 미리 특정 색을 지정하여 두면 카메라 촬영시 지정된 색을 추적하여 자동으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교회에서 목사님이 설교하는 것을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녹화하게 되면, 설교 시작에서 종료까지의 전 과정이 사람의 카메라 조작 없이 미리 지정된 카메라 촬영 순서 및 화면 구성에 의거 녹화되며, 만약 목사님의 의복 색인 검정 색을 미리 녹화 카메라의 색 추적자로 등록시켜 두면 설교 중에 목사님이 이동하게 되어도녹화 카메라들은 색 추적을 이용하여 목사님의 검정 색 의복을 중심으로 화면을 구성하면서 목사님의 이동 경로를 쫓아가게 된다. 따라서, 목사님이 이동하더라도 해당 녹화 카메라는 자연스럽게 이동 중인 목사님의 화면을 추적하면서 녹화하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미리 카메라 촬영순서, 화면 구성 및 추적 색에 대한 제반 정보를 미리 상기 콘트롤 패널(100)을 이용하여 저장하여 두면 녹화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녹화가 진행되어 애초 계획했던 출력 화면들이 구성되어 녹화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은 방송뿐만 아니라, 연동하는 모든 외부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종합 통제 시스템의 역할도 수행하는데, 그 일 예를 도 8에 예시하였다. 상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안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예를 들어 옥내에 설치되어 있는 고가의 촬영 장비들의 도난 방지를 위한 보안 시스템 작동을 보인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옥내에는 C1, C2, C3, C4, C5 이상 5대의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으며, 고가의 장비인 D1, D2, D3, D4, D5, D6이 옥내의 소정 장소에 위치한다고 가정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도 3의 카메라 위치등록 패널(116)에서 보인 것과 같이 옥내를 A01~A96과 같이 소정 간격을 가지는 다수의 쉘(Shell)로 분할하여 생성하고, 각 장비(카메라 및 고가 장비)들이 위치한 영역에 해당하는 쉘 위치를 등록하여 둔다. 만약, 보안 설정 모드(메인 콘트롤 패널(120)에 의해 설정)가 가동되는 상태에서 사람 'H1'이 출입구를 통과하여 실내로 진입하였다고 가정하면 상기 제어부(15)는 출입 통제기(320)에 설치된 출입 감지 센서에 의해 'H1'의 진입을 감지하여 상기 전체 영상을 촬영하도록 지정된 카메라 C1을 가동시켜 옥내상황을 촬영한다. 이렇게 촬영되는 영상은 모두 저장하여도 좋지만 예를 들어 5분 간격으로 녹화하고, 5분 동안 긴급 상황이 발생되지 않으면 녹화된 영상을 삭제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H1'이 출입문을 통과하여 비위험 쉘 지역으로 설정한 [A91-A83-A74-A66-A58-A50-A43]을 지나, 고가의 장비 'D3'이 위치한 위험 쉘 지역으로 설정한 'A44' 셀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면 특정 카메라(미리 각 쉘의 크로즈-업 화면을 촬영할 특정 카메라가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C4 카메라를 구동하여 상기 'A44'위치를 크로즈-업하여 집중 촬영하게 된다. 이렇게 촬영된 영상은 녹화되며, 이러한 녹화 영상은 위험 단계로 설정되어 미리 지정된 원격지(상황실, 이동통신, 경찰서 등)로 자동으로 전송된다. 이때부터 보안 네트워크가 작동되어 위험 상황이 관리된다. 물론, 알람을 울려 경보할 수도 있을 것이고, 유/무선 통신이나 인터넷을 통해 문자 메시지 형태로 관리자나 보안 책임자에게 이러한 상황이 전송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도 1에 도시된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은 일체형의 시스템 형태로도 구성할 수가 있으며, 서로 독립적인 장비들을 연결한 시스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카메라, AV 스위치, 콘트롤 패널과 제어부 기능 일부가 구현되는 콘트롤러, 표시부와 주변장치와 파일변환부와 통신포트 및 제어부 일부가 복합적으로 구성되는 컴퓨터, 믹싱기, DVR 및 프로젝트가 각각 독립체로 구성되어 서로 유/무선 콘넥터를 통해 연결되는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은 카메라 촬영 순서와 카메라 촬영 위치, 카메라 팬/틸트/포커스/줌 및 카메라 이동 속도, 녹화 등 방송에 필요한 각 카메라의 자동 촬영 동작 및 외부 전원기, 외부 조명기 및 출입문 통제 장치들에 대한 동작 제어 사항들을 미리 지정하고, 등록된 각 카메라의 촬영 순서와 카메라 촬영 위치, 카메라 팬/틸트/포커스/줌 및 카메라 이동 속도, 녹화 및 기타 주변 장치의 제어 동작에 따라 무인으로 시스템이 동작되므로써 소규모 방송국이나 간이 방송국, 교회, 학원 및 학교, 직장 등에 구비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경제적이면서도 다양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방송을 구현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카메라가 필요한 방송 환경에서도 다수의 카메라를 무인으로 제어하며, 다수의 카메라 각각의 동작 및 기타 주변 장치들의 동작도 미리 설정된 제어 명령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을 외부 전원이나, 외부 조명, 출입문 통제 및 보안장치 등의 외부 장비들과 연동시켜 이들을 중앙에서 통제할 수 있으므로 중앙 통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각기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각 위치에서 지정된 촬영 순서와 촬영 위치, 팬/틸트/포커스/줌 및 이동 속도에 의거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들);
    상기 카메라(들)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의 동작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카메라로 인가하는 AV 스위치;
    상기 카메라 촬영 순서와 카메라 촬영 위치, 카메라 팬/틸트/포커스/줌 및 카메라 이동 속도, 녹화 등 방송에 필요한 각 카메라의 자동 촬영 동작 및 기타 주변 장치들에 대한 동작 제어 사항들을 지정하여 등록하도록 명령하는 콘트롤 패널;
    상기 콘트롤 패널에 의해 미리 지정 등록된 각 카메라의 촬영 순서와 카메라 촬영 위치, 카메라 팬/틸트/포커스/줌 및 카메라 이동 속도, 녹화 및 기타 주변 장치의 제어 동작에 따라 각 구성부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AV 스위치를 통해 각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들을 믹싱하거나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과 저장하고 있는 영상을 믹싱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편집하는 믹싱기; 및
    상기 믹싱기에서 편집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 매체;를 적어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카메라의 촬영 또는 편집된 영상을 메인 화면으로 구성하여 화면에 표시하거나 상기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의 상태 및 각 구성부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믹싱기로부터 출력되는 편집 영상 신호를 스크린에 투사하는 프로젝트;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기로부터 출력된 편집 영상 신호를 소정 포맷의 영상 파일로 변환하는 파일 변환부;
    상기 파일 변환부에서 소정 포맷으로 변환된 영상 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웹 환경을 가지는 원격지 컴퓨터로 연결하는 통신포트;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마이크 시스템 및 스피커 시스템에 연동되어 상기 마이크 및 스피커의 구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연동되는 외부 전원기와 외부 조명기와 출입문 통제기 등의 외부 장치를 제어하여 중앙 통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패널은;
    상기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의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전원 패널과,
    촬영을 할 카메라를 하나 또는 복수로 지정하는 패널로 미리 방송 순서 및 방송 환경에 맞춰 동작할 카메라의 순서를 지정하는 카메라 지정 패널과,
    상기 스피커 시스템의 사운드 레벨을 조절하는 사운드 조절 패널과,
    느리게, 보통, 빠르게, 정지에 대한 카메라 이동 속도를 조절하는 이벤트 존 패널과,
    각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설정하는 패널로서, 각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전/후/좌/우/대각선 방향으로 설정하는 화면 조정 패널과,
    방송 환경에 따른 촬영 공간을 분할하여 각 위치별로 구분하여 두고, 각 카메라의 촬영 위치를 등록하기 위한 패널로서, 각 카메라의 촬영 위치를 위치순서(또는 시간)에 따라 특정 위치로 설정하는 카메라 위치등록 패널과,
    녹화를 선택하는 패널로서, 녹화시 엔코딩 포맷을 결정하고, 저장용인지 아니면 인터넷을 통해 출력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녹화선택 패널과,
    녹화를 정지하는 정지선택 패널과,
    현재 방송중임을 표시하는 On Air 표시패널과,
    상기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의 제어에 필요한 각 상황을 주 제어하는 패널로서,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각 카메라의 등록된 위치 이외의 위치로 이동할 필요가 있을 경우 이동할 위치를 지정하거나, 위치를 등록할 때 사용하는 상태 디스플레이 패널과, 각 카메라의 위치 저장, 자동 및 수동 조정, 줌-인/줌-아웃, 각 카메라 위치 등록 삭제, 저장된 위치 스캔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과, 설정 또는 동작에 필요한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패널(123)을 구비하는 메인 콘트롤 패널과,
    상기 카메라의 상하 이동, 좌우 이동, 초점 및 줌-인/줌-아웃을 조정하는 카메라 P/T/F/Z 조정 패널과,
    상기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과 연동하는 외부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외부 전원 제어 패널과,
    스포트라이트나 무대 전체를 비추는 다등 조명기기의 온/오프 및 동작을 제어하는 외부 조명 제어 패널과,
    출입문의 오픈/클로우즈를 제어하는 출입문 제어 패널과,
    보안을 위한 경보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경보기 제어 패널을 구비하며,
    방송 환경에 따라 각 방송 장비들을 서로 연관시켜 동작하도록 제어 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제어 명령은 방송 이전에 미리 지정하여 무인으로 촬영 및 녹화, 방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화면은 두 대의 카메라가 각각의 위치에서 이동 촬영하면서 얻어지는 영상을 상기 믹서기를 통해 출력 화면에 겹쳐서 합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트롤 패널을 통해 방송 환경의 옥내를 소정 간격을 가지는 쉘로 분할하여 생성하고, 각 장비들이 위치한 위험지역 쉘 위치를 미리 등록시킨 후, 보안 모드에서 옥내 전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동작을 통해 피사체가 상기 위험지역 쉘 위치로 이동함을 감지하면 해당 쉘에 미리 지정된 특정 카메라를 통해 크로즈-업하여 촬영 녹화하고, 녹화된 영상을 미리 지정된 원격지로 자동 전송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
KR1020020023792A 2002-04-30 2002-04-30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 KR200200483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792A KR20020048334A (ko) 2002-04-30 2002-04-30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792A KR20020048334A (ko) 2002-04-30 2002-04-30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317U Division KR200284446Y1 (ko) 2002-05-01 2002-05-01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334A true KR20020048334A (ko) 2002-06-22

Family

ID=27726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792A KR20020048334A (ko) 2002-04-30 2002-04-30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833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1281A1 (ko) * 2008-12-17 2010-06-24 메타빌드 주식회사 디바이스 서비스 융합 시스템
KR101414796B1 (ko) * 2014-01-20 2014-07-03 (주)매트릭스미디어 디지털 중계 방송용 시스템의 신호 변환 및 복수의 카메라 원격 제어 장치
KR101415505B1 (ko) * 2014-01-20 2014-07-04 (주)매트릭스미디어 디지털 방송 중계 시스템의 운영 장치와 이를 이용한 카메라 제어 방법
KR101477220B1 (ko) * 2014-01-20 2014-12-29 (주)매트릭스미디어 디지털 방송 중계 시스템의 입출력 신호 복합 스위칭 장치
KR200484406Y1 (ko) * 2016-08-03 2017-09-01 (주)잼투고 무대 겸용 스튜디오 제어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1281A1 (ko) * 2008-12-17 2010-06-24 메타빌드 주식회사 디바이스 서비스 융합 시스템
KR101414796B1 (ko) * 2014-01-20 2014-07-03 (주)매트릭스미디어 디지털 중계 방송용 시스템의 신호 변환 및 복수의 카메라 원격 제어 장치
KR101415505B1 (ko) * 2014-01-20 2014-07-04 (주)매트릭스미디어 디지털 방송 중계 시스템의 운영 장치와 이를 이용한 카메라 제어 방법
KR101477220B1 (ko) * 2014-01-20 2014-12-29 (주)매트릭스미디어 디지털 방송 중계 시스템의 입출력 신호 복합 스위칭 장치
KR200484406Y1 (ko) * 2016-08-03 2017-09-01 (주)잼투고 무대 겸용 스튜디오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4193B2 (en) Presentation video control system
CA2316167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utomatic camera selection system
Zettl Television production handbook
US8842179B2 (en) Video surveillance sharing system and method
JP2000505265A (ja) 動画像カメラを制御、調整および監視する装置
WO2007032553A1 (ja) 視聴覚システム
US20060070108A1 (en) Wireless video surveillance system & method with digital input recorder interface and setup
US7140789B1 (en) Remote controlled pan head system for video cameras and its method of operation
JP2013062559A (ja) 撮像監視画面及び全方位撮像画面監視システム
CN214959711U (zh) 一种轻量化多平台互动视频直播云播控系统
KR20020048334A (ko)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
KR200284446Y1 (ko)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
JPH0918849A (ja) 撮影装置
JP2002245572A (ja) 遠隔監視方式の動画警備システム
KR20060102967A (ko) 울타리 경계 시스템
JP2018101930A (ja) 雲台システム
KR101969957B1 (ko) 포터블 통합 방송장비 컨트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트롤 방법
US9241140B2 (en) Arrangement for video surveillance
KR100434775B1 (ko) 비디오 및 디지털 리코딩 시스템
CN202111791U (zh) 具有视频跟踪功能的会议设备
JPH09163360A (ja) ビデオカメラ装置
JPS60141087A (ja) 環境再現装置
JP4565855B2 (ja) 放送番組制作装置
RU136663U1 (ru) Система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просмотра театрального представления или подобного зрелища
KR100353768B1 (ko) 터치에 의한 자동 추적 마이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