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7857A - 유기피복 강판용 착색제, 이를 함유하는 유기피복강판용수지 용액 및 이를 이용한 내파우더링성과 은폐성이우수한 유기피복강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피복 강판용 착색제, 이를 함유하는 유기피복강판용수지 용액 및 이를 이용한 내파우더링성과 은폐성이우수한 유기피복강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7857A
KR20020047857A KR1020000076482A KR20000076482A KR20020047857A KR 20020047857 A KR20020047857 A KR 20020047857A KR 1020000076482 A KR1020000076482 A KR 1020000076482A KR 20000076482 A KR20000076482 A KR 20000076482A KR 20020047857 A KR20020047857 A KR 20020047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eel sheet
colorant
coated steel
resin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수현
노상걸
Original Assignee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20000076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7857A/ko
Publication of KR20020047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785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00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 C09D17/001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in aqueous me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7Aldehydes; Ketones
    • C08K5/08Quin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00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 C09D17/003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containing an organic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6/00Coat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C23C2/00 - C23C24/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피복 강판용 착색제, 이를 함유하는 유기피복강판용 수지 용액 및 이를 이용한 내파우더링성과 은폐성이 우수한 유기피복강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수용성 적색 안트라디이소퀴논계 안료, 티타늄 옥사이드, 표면건조방지제, 알킬 에테르계 계면활성제, 노닐페놀 에테르계 계면활성제, 동결방지제 및 순수,로 조성된 유기피복 강판용 착색제,
아크릴, 에테르, 에스테르 및 카보네이트-디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을 주쇄로 하고 양말단에 우레탄 결합을 갖는 우레탄계 수지용액에 수평균분자량이 400∼4,000인 물에 유화시킨 에폭시 수지를 첨가하여 이루어진 주제용액, 멜라민 수지, pH8∼10.5인 콜로이달 실리카 및 크롬산 나트륨으로 조성되는 수지 용액 및 상기 착색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기피복강판용 착색제 함유 수지 용액, 및
상기 착색제 함유 유기피복강판용 수지용액을 크로메이트처리된 전기 아연-니켈 도금강판에 건조피막 두께가 0.5∼3.0㎛가 되도록 도포하고 140∼200℃의 온도로 소부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피복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유기피복 강판용 착색제 용액은 내파우더링성이 우수한 것으로 가공시 프레스에 묻어나오는 결함이 없고 식별성 및 내방청유성, 내열성, 용액안정성등의 기본 물성이 우수하며, 이같은 착색제를 함유하는 수지용액으로 처리된 강판은 소지강판의 표면결함을 은폐시키는 효과에 의하여 최종 표면외관 품질의 개선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Description

유기피복 강판용 착색제, 이를 함유하는 유기피복강판용 수지 용액 및 이를 이용한 내파우더링성과 은폐성이 우수한 유기피복강판 제조방법{A COLORANT FOR ORGANIC COATED STEEL SHEET, RESIN SOLUTION FOR ORGANIC COATED STEEL SHEET CONTAINING IT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COAT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POWDERING RESISTANCE AND SHIELDING PROPERTY BY USING IT}
본 발명은 유기피복 강판용 착색제, 이를 함유하는 유기피복강판용 수지 용액 및 이를 이용한 내파우더링성과 은폐성이 우수한 유기피복강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로메이트 처리된 전기 아연-니켈 합금도금강판에 피복되는 전기 아연-니켈 합금도금강판에 도포되는 유기피복 수지용액에 내방청유성, 내열성 및 식별성이 우수하도록 첨가하는 착색제에 내파우더링성과 은폐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조성한 착색제, 이를 함유하는 유기피복 수지용액 및 이를 이용하여 유기피복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피복강판은 고부식 저항성이 요구되는 부위나 전착도장이 곤란한 접힘 부위등에 주로 사용되며 양면/편면코팅 상태로 수요자에게 공급된다. 이경우 특히 편면 유기코팅의 경우에 자동차 제조업체에서와 같은 수요시 가공공정중 유기 코팅면과 미코팅면의 구별이 필요하게 된다.
이는 수지처리된 부분이 차체 내면으로 들어가게 되고 수지가 도포되지 않은 부분(아연-니켈 합금 전기도금면)은 외면쪽으로 향하게 되는 편면코팅의 경우에 강판의 부위가 서로 바뀌면 내식성이 필요한 내면에서는 접힘 부위에서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며, 외면에서는 유기코팅면과 전기도금면의 전착도막두께 차이로 인하여 도장 선명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유기코팅면과 전기도금면의 구별이 반드시 필요하게 되는 것으로, 방청유를 도파할 경우에는 육안으로 코팅면을 구별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특히 추후 자동차 제조업체의 실라인 공정시 주로 밝은 나트륨 조명하에 작업이 수행되므로 유기코팅면과 미유기코팅면을 육안으로 구별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자들은 계류중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6-39090 및 96-72566호에서 유기피복 수지 용액을 제시한 바 있으며, 또한 여기서 제시된 유기피복 수지 용액에 강한 색상을 발휘할 수 있는 착색제를 투여하여 구별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8-58746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에서는 용액안정성, 내식성, 도장성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고 방청유 도포시 녹아나지 않으며 고온소부시 변성되지 않도록 조성하였으나,자동차 성형시 심가공을 수행할 경우 프레스 가공공정도중 다이 표면에서 착색제가 묻어나오는 파우더링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또한 착색제의 요구품질중 색상 식별외에도 소지 표면에 스크래치등의 결함이 있을 경우 표면결함을 은폐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지와의 친화력을 개선시켜 우수한 내파우더링을 갖는 유기피복 강판용 착색제 용액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착색제 용액을 포함하고 소지강판의 표면결함을 은폐시키는 성질이 우수한 수지용액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착색제를 투입한 수지용액을 이용하여 유기피복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잇다.
본 발명의 일견지에 의하면,
착색제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수용성 적색 안트라디이소퀴논계 안료 20∼40중량%, 티타늄 옥사이드 10∼30중량%, 표면건조방지제 0.1∼2중량%,
알킬 에테르계 계면활성제 0.5∼1.5중량%, 노닐페놀 에테르계 계면활성제 0.5∼3중량%, 동결방지제 10∼30중량% 및 잔부 순수,로 조성된 유기피복 강판용 착색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견지에 의하면,
아크릴, 에테르, 에스테르 및 카보네이트-디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을 주쇄로 하고 양말단에 우레탄 결합을 갖는 우레탄계 수지용액에 수평균분자량이 400∼4,000인 물에 유화시킨 에폭시 수지를 상기 우레탄계 수지 대비 3∼50phr이 되도록 첨가하여 이루어진 주제용액, 및
상기 주제용액 대비 멜라민 수지 5∼80phr, pH8∼10.5인 콜로이달 실리카 12∼30phr 및 크롬산 나트륨 10phr이하,로 조성되는 수지 용액; 및
상기 수지 용액 100중량부기준으로 상기 견지의 착색제 0.5∼2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기피복강판용 수지 용액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견지에 의하면,
상기 견지의 유기피복강판용 수지용액을 크로메이트처리된 전기 아연-니켈 도금강판에 건조피막 두께가 0.5∼3.0㎛가 되도록 도포하고 140∼200℃의 온도로 소부처리함을 특징으로하는 내파우더링성과 은폐성이 우수한 유기피복강판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기피복강판용 착색제 용액>
본 발명의 착색제는 안료, 티타늄 옥사이드, 표면건조방지제, 알킬 에테르계 계면활성제, 동결방지제 및 순수(純水)로 조성되는 것으로, 도금강판에 도포시 그 식별성이 우수하며, 내방청유성 및 내열성을 갖고 나아가 내파우더링성과 표면결함의 은폐성이 우수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도금강판에 사용되는 수지용액용 착색제는 적색 안트리디이소 퀴논계 유기안료를 주성분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선정한 착색제 색상은 강한 조명하에서 실라인 작업시 작업자의 식별이 가장 용이한 색상인 적색으로 선택하였으며, 색상의 선명도가 우수하고 수용성 수지용액에 투입할 경우 용액 안정성, 수지와의 친화력 및 내후성, 내마모성이 우수한 안트라퀴논계 유기안료가 사용된다.
상기 적색 안료의 함량은 착색제 용액 총중량을 기준으로 20∼40%의 중량비로 다른 성분들과 혼합되게 되는데, 이는 20중량%이하일 경우에는 식별성의 확보를 위해서는 착색제를 다량 첨가하여야 하므로 제조공정의 부하를 초래하며, 40중량%이상에서는 착색제의 점도가 상승하여 작업성 및 용액안정성이 저하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티타늄 옥사이드는 착색제의 은폐성을 높여주어 소지 금속 표면에 생긴 스크래치, 표면얼룩등의 결함을 가려주는 역할을 하기 위해 투여하는 것으로 착색제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10∼30중량% 수준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10중량%이하에서는 목표로 하는 은폐성능에 미치지 못하며 40중량%를 초과하면 용액내 점도 상승으로 인하여 용액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표면건조 방지제는 보관중 착색제 표면이 경화되어 굳는 현상으로 인한 용액저장성의 열화를 방지할 목적으로 투여하는 것으로서 착색제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1∼2중량%의 수준으로 첨가된다. 그 첨가량이 0.1중량%미만에서는 표면건조방지제를 첨가하더라도 표면경화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없으며, 2중량% 초과시에는 안료의 안전한 분산을 저해하여 결과적으로 용액 안정성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알킬 에테르계 계면활성제는 안료의 친수성기에 작용하여 안전한 분산을 위하여 첨가하는 것으로, 착색제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5%미만으로 투입시에는 안료가 안전하게 분산되지 않으므로 결국 착색제 용액에서 안료가 침전되게 되며, 1.5중량%를 초과하면 도막형성후 도장성이 열화되는등의 품질 저하를 가져오므로 바람직한 범위는 0.5∼1.5중량%범위인 것이다.
또한 상기 노닐페놀 에테르계 계면활성제는 유화제로서 에멀젼내 소수성기에 작용하여 코팅시 표면요철 현상을 방지하여 파우더링성, 즉 용액의 표면장력을 균일화하고 작게 하기 위해 투여하는 것으로 착색제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5∼3중량% 수준으로 첨가된다. 0.5중량%이하에서는 목표로하는 수지와의 유화력이 부족하며, 3중량%를 초과하면 용액안정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결과적으로 상기 알킬 에테르계 및 노닐페놀 에테르계는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인 내파우더링성에 가장 큰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상기 동결방지제는 저온에서 착색제 용액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것으로 영하 20℃이하까지 동결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사용하며,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점도 문제로 인하여 공정내에서취급하기 어려우므로 순수와 희석시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그 함량은 착색제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10∼30중량% 양으로 첨가한다. 이때 10중량%미만에서는 동결방지 성능이 충분하지 않으며, 30중량%를 초과하면 용액 안정성이 저하된다.
한편, 순수는 점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것으로 너무 소량 첨가하면 점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과량 첨가하면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안료 첨가 효과가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수용성 착색제로서 제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성으로된 착색제를 강판에 적용할 경우, 착색제는 수지용액과 혼합하여 강판에 적용된다.
상기 본 발명의 착색제는 혼합되는 우레탄-에폭시 수지와 같은 수용성 착색제이며, 착색제의 pH 및 착색제중 함유된 성분량등에 의해 상기 우레탄-에폭시 유기피복강판용 수지용액과의 상용성이 우수한 것이다.
<유기피복 수지 용액>
본 발명에서 조성된 착색제와 혼합되는 유기피복 수지 용액은 기출원된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96-72566에 개시되어 있는 유기피복 수지 용액을 사용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조성은 아크릴, 에테르, 에스테르 혹은 카보네이트-디올을 주쇄로 하고, 양말단에 우레탄이 결합된 우레탄 수지용액에 수평균 분자량이 400∼4,000인 물에 유화시킨 에폭시 수지를 3∼50phr이 되도록 첨가한 주제용액에 경화제인 멜라민 수지를 전체 수지 함량기준으로 5∼80phr 첨가하고 pH8∼10.5인 콜로이달 실리카를 전체 수지 함량대비 12∼30phr, 크롬산 나트륨을 전체 수지 함량대비 10phr이하로 첨가하여 사용한다.
상기 에폭시 수지 분자량이 4,000이상이면 물에 의한 분산이 어려워 수성 에폭시 수지를 제조하기 어렵게 되며, 400이하이면 저온 열건조에 의한 가교반응이 어려워지게 된다.
그리고 유화된 에폭시수지 함량은 우레탄수지를 기준으로 3phr이하가 되면 건조도막내에 에폭시함량이 너무 적어 내화학성 및 전착도장성이 열화하고 50phr이상이 되면 건조도막내에 에폭시 함량이 많게 되어 광택도가 저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멜라민 수지가 5phr이상일 경우에는 경화제 함량이 너무 적게 되므로 내식성, 내화학성의 물성을 확보하기가 곤란하며 80phr이상에서는 용액안정성이 떨어지게 되며, 물성향상 효과가 없게 된다.
상기 콜로이달 실리카는 물성향상제로서 첨가되는 것으로 수지도막 형성시 내식성이 향상된다. 특히 콜로이달 상태는 수성 수지에 적용하기 바람직한 것으로, 특히 콜로이달 실리카의 안정성이 pH에 상당히 민감하므로 수지용액의 pH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하여야 하는 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지용액에서는 pH8∼10.5정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그 함량은 전체 수지 함량을 기준으로 12phr이하에서는 원하는 내식성 효과가 불충분하고, 30phr이상에서는 실리카 투입으로 인한 특정 물성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크롬산 나트륨은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10phr을 초과하면 피막의 내수성이 취약하고 6가크롬이 용출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유기피복강판의 제조방법>
상기한 바와 같이 제공된 수지 용액, 즉 수평균 분자량이 400∼4,000인 물에유화시킨 에폭시 수지를 3∼50phr이 되게 첨가한 아크릴, 에테르, 에스테르 혹은 카보네이트-디올을 주쇄로 하고 양말단에 우레탄 결합을 갖는 우레탄수지 주제용액, 전체수지 함량 대비 멜라민 수지 5∼80phr, 전체수지 함량대비 pH8∼10.5인 콜로이달 실리카 12∼30phr 및 전체수지 함량대비 크롬산 나트륨 10phr이하로 조성된 수지용액에, 본 발명에 의해 제조한 착색제를 수지용액 100중량부 기준으로 0.5∼2중량부 첨가한다.
이때 수지용액에 첨가되는 착색제의 양이 0.5중량부이하인 경우에는 색상의 선명도 저하로 인해 식별성이 떨어지며, 2중량부이상일 경우에는 과다 사용량으로 인하여 비용 증가이외에도 코팅시 강판 표면에 줄무늬 현상이 발생하여 표면품질이 저하되게 된다.
첨가된 유기피복강판용 수지용액을 크로메이트 처리된 전기 아연-니켈 합금 도금강판에 도포한다. 이때 크로메이트 처리는 반응형, 도포형 및 전해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내식성이 가장 우수한 도포형 방법이 가장 추천할 만하다.
이때 도포두께는 건조피막의 두께가 0.5∼3.0㎛가 되도록 소지강판에 도포한다. 건조피막의 두께가 0.5㎛이하일 경우에는 피막두께가 얇아 충분한 내화학성등의 물성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3.0㎛이상일 경우에는 피막두께가 증대되어 추후에 사용자가 가공시 도막이 박리되게 되며 박리부위에서 내식성이 저하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소지강판에 유기피복수지용액을 도포한 다음, 도포된 유기피복수지용액을 140∼200℃의 온도로 소부처리한다. 140℃이하의 온도에서는 수지경화반응이 충분치 않아 내화학성 저하등의 품질문제가 발생하며, 200℃이상의 온도에서는 열용량 증가에 의한 제조비 상승과 함께 하지 크로메이트 층에 미세균열이 발생하게 내식성이 저하되게 된다.
상기 방법을 크로메이트 피막이 도포된 전기 아연-니켈 도금강판상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제조된 도막은 코팅과 미코팅층을 확실히 분리하면서 용액안정성, 접착성, 식별성뿐만 아니라 내파우더링성 및 은폐성이 개선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착색제 용액의 성분인 안료, 알킬라우릴 폴리글리콜에테르, 티타늄 옥사이드,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놀에테르, "LEVANYL BBZ"(표면건조방지, 우신안료사제) 및 "LEVANYL R-6335"(동결방지제, 우신안료사제)를 각각 하기표 1에 기재된 양으로 혼합하였으며 잔부로는 순수를 첨가하여 착색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구분 안료(중량%) 티타늄옥사이드(중량%) 표면건조방지제(중량%) 계면활성제(중량%) 동결방지제(중량%)
알킬 에테르계 노닐 페놀 에테르계
발명예 1 안트라디이소퀴논계 36 10 0.5 0.5 0.5 10
발명예 2 "25 20 1 0.5 2 20
발명예 3 "36 30 1.5 1 0.5 20
발명예 4 "36 20 2 1 2 30
비교예 1 아조계 46 - 0.5 0.5 - 10
비교예 2 "30 - 1 1 - 10
비교예 3 "46 - 0.5 - 0.5 15
비교예 4 "30 - 2 - 2 15
비교예 5 페닐아조계 46 - 1 0.5 0.5 20
비교예 6 "30 - 0.5 1 1 30
비교예 7 아조계 46 - 0.5 1 - 20
비교예 8 축합디아조계 36 - 0.5 1 - 20
상기표에 의해 제조된 착색제와는 별도로 수지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용액은 에테르결합을 갖는 우레탄 수지 용액에 수평균분자량이 3,000인 물에 유화시킨 에폭시 수지를 우레탄 수지대비 20phr 첨가하여 우레탄-에폭시 수지 주제용액을 제조하였다.
그후 상기 주제용액에 전체수지 함량대비 멜라민 수지 15phr, pH8∼10.5인 콜로이달 실리카 20phr 및 크롬산 나트륨 10phr을 첨가하였다.
제조된 수지용액 100중량부에 상기 표에 의해 제조된 착색제를 각각 0.8중량%씩 첨가한 다음 도금부착량이 30g/m2인 전기 아연-니켈 합금 전기도금 강판상에 도포형 크로메이트 부착량이 약50mg/m2으로 처리된 시편에 건조피막두께가 1㎛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각 시편의 상온 및 50℃에서의 용액안정성, 표면외관, 내방청유성 및 내열성, 내파우더링성, 및 은폐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상온에서의 용액안정성은 용액의 층분리 혹은 침전 발생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층분리되거나 침전되면 불량한 것으로 판정한다. 또한 50℃에서의 용액안정성은 겔화되고 점도가 증대되는 시점까지 소요되는 기간으로 평가하였다.
한편, 내화학성은 메틸에틸케톤 용제를 사용하여 10회 마찰실험후 박리 혹은 용출되는 정도로 평가하였으며, 내열성은 열풍 가열로를 사용하여 170℃에서 75분간 가열후 표면상태 및 색상변화를 측정하였다. 내파우더링성은 35mm높이의 컵가공시 가공 다이면에 묻어나오는 착색제량을 육안 관찰하여 평가하였으며, 표면색상은 색도계로 백색도, 적색도, 황색도로 나누어 색차를 측정하였다.
또한 전착도장성은 자체제작한 전착도장기기를 사용하여 50 및 220V전압하에 전착도장을 실시하고 외관을 육안관찰하여 평가하였으며, 은폐성은 소재표면에 X자 형태로 스크래치를 부여한 다음 코팅처리후 표면외관상 나타나는 스크래치의 선명도로서 평가하였다.
구분 표면색상 내화학성 내열성 용액안정성 내파우더링성 전착도장성 은폐성
백색도 적색도 황색도 상온 50℃
발명예 1 48.68 7.27 0.52 7
발명예 2 49.84 5.30 -0.02 7
발명예 3 48.23 7.92 -0.04 7
발명예 4 49.56 8.26 -0.71 7
비교예 1 47.12 6.3 -0.72 × 7 ×
비교예 2 48.08 3.71 -0.55 × 7 ×
비교예 3 48.47 5.76 -0.74 × 7 ×
비교예 4 48.31 3.89 -0.35 × 7 ×
비교예 5 47.74 5.85 -0.96 7
비교예 6 49.40 4.04 -1.0 7
비교예 7 49.70 7.90 -1.93 7
비교예 8 48.55 5.41 -0.7 7 ×
◎:우수, ○:양호, △:열화, ×:불량.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 조성으로된 착색제를 함유하는 유기수지용액으로 강판을 처리할 경우 표면의 적색도값이 양호하여 식별성이 확보되며, 내화학성, 내열성, 용액안정성, 전착도장성등의 기본물성이 우수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내파우더링성과 은폐성은 매우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성분이외 다른 성분을 사용하거나 혹은 적정 조성범위를 벗어난 비교예 1-8에 있어서는 내화학성, 내파우더링성, 은폐성등이 저조함을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우수한 내파우더링성을 확보하여 가공시 다이면에 묻어나지 않고 착색제 용액을 혼합하여도 수지용액의 물성이 저하되지 않으며, 강판도포후 우수한 은폐성을 확보하여 소재강판의 표면결함도 효과적으로 보완할 수 있었다.

Claims (3)

  1. 착색제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수용성 적색 안트라디이소퀴논계 안료 20∼40중량%, 티타늄 옥사이드 10∼30중량%, 표면건조방지제 0.1∼2중량%,
    알킬 에테르계 계면활성제 0.5∼1.5중량%, 노닐페놀 에테르계 계면활성제 0.5∼3중량%, 동결방지제 10∼30중량% 및 잔부 순수,로 조성된 유기피복 강판용 착색제
  2. 아크릴, 에테르, 에스테르 및 카보네이트-디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을 주쇄로 하고 양말단에 우레탄 결합을 갖는 우레탄계 수지용액에 수평균분자량이 400∼4,000인 물에 유화시킨 에폭시 수지를 상기 우레탄계 수지 대비 3∼50phr이 되도록 첨가하여 이루어진 주제용액, 및
    상기 주제용액 대비 멜라민 수지 5∼80phr, pH8∼10.5인 콜로이달 실리카 12∼30phr 및 크롬산 나트륨 10phr이하,로 조성되는 수지 용액; 및
    상기 수지 용액 100중량부기준으로 제1항의 착색제 0.5∼2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기피복강판용 수지 용액
  3. 제2항의 유기피복강판용 수지용액을 크로메이트처리된 전기 아연-니켈 도금강판에 건조피막 두께가 0.5∼3.0㎛가 되도록 도포하고 140∼200℃의 온도로 소부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파우더링성과 은폐성이 우수한 유기피복강판 제조방법
KR1020000076482A 2000-12-14 2000-12-14 유기피복 강판용 착색제, 이를 함유하는 유기피복강판용수지 용액 및 이를 이용한 내파우더링성과 은폐성이우수한 유기피복강판 제조방법 KR200200478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482A KR20020047857A (ko) 2000-12-14 2000-12-14 유기피복 강판용 착색제, 이를 함유하는 유기피복강판용수지 용액 및 이를 이용한 내파우더링성과 은폐성이우수한 유기피복강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482A KR20020047857A (ko) 2000-12-14 2000-12-14 유기피복 강판용 착색제, 이를 함유하는 유기피복강판용수지 용액 및 이를 이용한 내파우더링성과 은폐성이우수한 유기피복강판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857A true KR20020047857A (ko) 2002-06-22

Family

ID=27681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482A KR20020047857A (ko) 2000-12-14 2000-12-14 유기피복 강판용 착색제, 이를 함유하는 유기피복강판용수지 용액 및 이를 이용한 내파우더링성과 은폐성이우수한 유기피복강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7857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3633A (ja) * 1989-04-04 1990-10-26 Nippon Steel Corp プレス加工性及びスポット溶接性に優れた高耐食性着色薄膜塗装鋼板
KR970005446A (ko) * 1995-07-25 1997-02-19 한승준 열간단조용 비조질강의 해머단조시 재결정 오오스테나이트 입도개선방법
KR19980020580A (ko) * 1996-09-10 1998-06-25 김종진 아연합금계 전기도금강판 수지처리 용액 및 이를 이용한 수지피복 아연합금계 전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KR19980053460A (ko) * 1996-12-26 1998-09-25 김종진 식별성과 롤코팅성이 우수한 착색 박막수지피복 강판용 수지용액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지처리 전기아연합금도금강판 제조방법
KR19990061667A (ko) * 1997-12-31 1999-07-26 김충세 분말도료 조성물
KR20000042526A (ko) * 1998-12-26 2000-07-15 이구택 내방청유성, 내열성 및 식별성이 우수한 유기피복강판용 착색제, 이를 함유하는 유기용액 및 이를 이용한 유기피복강판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3633A (ja) * 1989-04-04 1990-10-26 Nippon Steel Corp プレス加工性及びスポット溶接性に優れた高耐食性着色薄膜塗装鋼板
KR970005446A (ko) * 1995-07-25 1997-02-19 한승준 열간단조용 비조질강의 해머단조시 재결정 오오스테나이트 입도개선방법
KR19980020580A (ko) * 1996-09-10 1998-06-25 김종진 아연합금계 전기도금강판 수지처리 용액 및 이를 이용한 수지피복 아연합금계 전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KR19980053460A (ko) * 1996-12-26 1998-09-25 김종진 식별성과 롤코팅성이 우수한 착색 박막수지피복 강판용 수지용액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지처리 전기아연합금도금강판 제조방법
KR19990061667A (ko) * 1997-12-31 1999-07-26 김충세 분말도료 조성물
KR20000042526A (ko) * 1998-12-26 2000-07-15 이구택 내방청유성, 내열성 및 식별성이 우수한 유기피복강판용 착색제, 이를 함유하는 유기용액 및 이를 이용한 유기피복강판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77945T3 (es) Procedimiento para el revestimiento de superficies metalicas con una composicion acuosa, con contenido en polimeros, la composicion acuosa y uso de los sustratos revestidos.
JP5508305B2 (ja) 光輝性複層塗膜の形成方法
KR102314431B1 (ko) 우수한 내흑변성 및 내알칼리성을 부여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및 그 제조 방법
TWI534295B (zh) Black coated metal plate
JP2011074251A (ja) アルミニウム部材用防錆プライマー及びアルミニウム部材
TWI502035B (zh) Water resin coating Laminated metal plate
JP4874153B2 (ja) プレコート金属板、これを成形加工した金属成形体及びプレコート金属板の製造方法
KR20020047857A (ko) 유기피복 강판용 착색제, 이를 함유하는 유기피복강판용수지 용액 및 이를 이용한 내파우더링성과 은폐성이우수한 유기피복강판 제조방법
KR101586979B1 (ko) 칼라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4298837A (ja) 複層塗膜の形成方法
JP5110486B2 (ja) プレコート金属板
KR101762340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흑색 수지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10247347A (ja) プレコート冷延鋼板およびこの製造方法
KR100380746B1 (ko) 내방청유성,내열성및식별성이우수한유기피복강판용착색제,이를함유하는유기용액및이를이용한유기피복강판제조방법
KR101500838B1 (ko) 박막 흑색 도장 금속판
KR100381719B1 (ko) 수용성 방청도료 조성물
TWI494215B (zh) 著色樹脂塗裝金屬板
JP3124266B2 (ja) 塗膜密着性と加工部の耐食性に優れ環境負荷の小さい塗装鋼板
JP4246689B2 (ja) 耐食性に優れるプレコート金属板
KR20100076529A (ko)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0265282A (ja) 塗膜密着性及び耐食性に優れるプレコート金属板
JP2016188332A (ja) 自動車車体用クリヤー塗料組成物、自動車車体用複層塗膜の形成方法及び自動車車体用複層塗膜
KR100510008B1 (ko) 내오염성이 우수한 유기피복강판 코팅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코팅한 유기피복강판
KR101977505B1 (ko)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흑색 수지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14829519B (zh) 水性涂料组合物套装及使用其的多层涂膜的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