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7699A - 방음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음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7699A
KR20020047699A KR1020000076235A KR20000076235A KR20020047699A KR 20020047699 A KR20020047699 A KR 20020047699A KR 1020000076235 A KR1020000076235 A KR 1020000076235A KR 20000076235 A KR20000076235 A KR 20000076235A KR 20020047699 A KR20020047699 A KR 20020047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ir conditioner
soundproofing
sound insulation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교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76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7699A/ko
Publication of KR20020047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769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용 방음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축기의 주위에 설치되어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장치의 구조개선을 통해 방음효과가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음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의 구동소음을 줄이도록 상기 압축기의 주위에 설치되며 겹층의 방음재가 상호 접착된 형태로 된 방음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겹층의 방음재가 접착되는 접착부분은 상호 접착되는 접착부와 상호 접착되지 않는 비접착부가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방음재를 굽힐 때 상기 방음재의 비접착부가 주름형태로 변형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방음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조방법{AIR CONDITIONER HAVING A SOUNDPROOF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음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주위에 설치되는 방음장치의 구조개선을 통해 방음효과가 향상되고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방음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는 작동 시에 많은 소음과 진동을 발생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공기조화기의 동작 시 소음을 발생시키는 주된 원인이었다. 따라서 통상의 공기조화기에는 동작소음을 최소화하여 보다 정숙한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압축기의 주위에 소음을 차폐시키는 방음장치를 설치하여 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방음장치는 공기조화기의 압축기(1) 주위에겹층으로 된 방음재(2)를 원통형으로 성형하여 압축기(1)의 주위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압축기(1)의 구동소음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방음재(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나 PVC 시트 등으로 구성된 차음재(3)의 양면에 펠트(Felt)나 스펀지(Sponge) 등과 같은 다공질성 흡음재(4a,4b)가 부착되는 구조로 마련된다. 이때 차음재(3)와 흡음재(4a,4b)가 부착되는 접착부(5a,5b)는 차음재(3)와 흡음재(4a,4b)의 전면에 통상의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차음재(3)와 흡음재(4a,4b)를 가압하여 부착하는 방식으로 접착하여왔다.
그리고 이러한 방음재(2)를 공기조화기의 압축기(1) 주위에 설치할 때는 겹층의 시트를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진 직사각형 형태로 절단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성형한 후 압축기(1)의 주위를 가려줄 수 있도록 설치하였다. 이때 방음재(2)의 양단이 연결되는 부분(6)은 통상의 접착테이프를 통해 부착시키거나 재봉작업을 통해 연결시켜 왔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종래 방음장치는 차음재(3)와 흡음재(4a,4b)의 전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상호 부착되는 형태로 제작되고, 차음재(3)와 흡음재(4a,4b)가 겹층으로 구성되어 소정의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이를 압축기(1)의 주위에 설치하기 위해 원통형으로 성형할 때 굽힘이 균일하지 못해 성형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으며, 방음효과 또한 만족스럽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방음장치는 흡음재(4a,4b)와 차음재(3)의 전체 면적을 접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많은 량의 접착제가 소요되어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음장치를 구성하는 방음재의 접착구조 개선을 통해 성형성과 방음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음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공기조화기용 방음장치의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공기조화기용 방음장치의 구성을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방음장치의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방음장치의 구성을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방음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 방음재를 구부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방음장치의 접착부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방음장치 접착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11: 상부케이스,
12: 저면판,13: 전면패널,
17: 증발기,18: 증발기팬,
20: 덕트,26: 압축기,
30: 방음장치,31: 차음재,
32a,32b: 흡음재,33,38: 접착부,
34: 비접착부,35: 공기층,
36: 요철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음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의 구동소음을 줄이도록 상기 압축기의 주위에 설치되며 겹층의 방음재가 상호 접착된 형태로 된 방음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겹층의 방음재가 접착되는 접착부분은 상호 접착되는 접착부와 상호 접착되지 않는 비접착부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겹층의 방음재는 시트형의 차음재와, 상기 차음재에 접착되는 다공질성의 흡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음장치는 상기 방음재를 굽힐 때 상기 흡음재가 주름형태로 변형되도록 상기 접착부가 굽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음장치는 상기 방음재를 굽힐 때 상기 흡음재가 주름형태로 변형되도록 상기 접착부가 상호 직교하는 다수의 가상 격자선의 교점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방음장치 제조방법은 압축기의 구동소음을 줄이도록 상기 압축기의 주위에 설치되되 겹층의 방음재가 상호 접착된 형태로 제조되는 공기조화기용 방음장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음재를 접착할 때 상호 접착되는 접착부와 접착이 되지 않는 비접착부가 반복적으로 배치되도록 접착하는 접착단계와, 상기 방음재의 비접착부가 주름형태로 굴곡되도록 상기 방음재를 원통형으로 구부리는 단계와, 원통형으로 휘어진 상기 방음재의 양단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기조화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면과 양 측면이 일체로 구성된 상부케이스(11), 저면판(12), 그리고 전면패널(13), 후면패널(미도시)을 구비한다. 이때 본체(10)의 전면패널(13) 쪽이 건물의 실내 측에 배치되고, 후면패널 쪽이 건물의 실외 측에 배치된다.
실내 측의 전면패널(13)에는 실내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위한 실내공기 흡입구(14)와 실내공기 토출구(15)가 형성되고, 실외 측의 상부케이스(11) 상면과 양측면에는 외기의 흡입을 위한 외기흡입구(16)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후면패널에 외기배출구가 형성된다.
또 전면패널(13)의 실내공기 흡입구(14) 내측에는 실내공기를 열교환 하여 냉기를 생성하기 위한 증발기(17)가 설치되고, 증발기(17)의 후방으로 실내공기의흡입을 위한 증발기팬(18)이 설치된다. 그리고 증발기팬(18)의 주위에는 송풍되는 공기를 토출구(15) 쪽으로 안내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20)가 설치되며, 덕트(20)의 후방에는 본체(10)의 내부공간을 실내 측과 실외 측으로 구획하는 구획판(22)이 설치된다.
또한 본체(10)의 실외 측 내부에는 외기의 열교환 및 순환을 위한 응축기(23)와 응축기팬(24)이 설치되며, 구획판(22)과 인접하는 후방 쪽으로 증발기팬(18)과 응축기팬(24)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25)와, 순환하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26)가 설치된다. 그리고 압축기(26)의 주위에는 압축기(26)의 구동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압축기(26)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방음장치(30)가 마련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방음장치(30)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겹층의 방음재가 접착된 구조로 마련되며 압축기(26)의 주위를 감싸도록 원통형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방음재는 고무나 PVC 시트 등으로 구성된 차음재(31)와, 차음재(31)의 양면에 부착되며 펠트(Felt)나 스펀지(Sponge) 등과 같은 다공질성 흡음재(32a,32b)로 이루어진다. 이때 차음재(31)와 흡음재(32a,32b)가 접착되는 접착부(33)는 통상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거나 별도의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접착한다.
또한 차음재(31)와 흡음재(32a,32b)가 접착되는 부분은 상호 접착이 이루어지는 접착부(33)와 상호 접착되지 않는 비접착부(34)가 반복적으로 배치된다. 즉차음재(31)와 흡음재(32a,32b)를 부착할 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33)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접착부(33)와 비접착부(34)가 반복적으로 구성되도록 한다. 이때 다수의 접착부(33)는 추후 방음장치(30)를 원통형으로 구부릴 때를 감안하여 구부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배열된다.
즉 이러한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음장치(30)를 압축기(26)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하기 위해 원통형으로 구부릴 때 차음재(31)의 내측에 위치하는 흡음재(32b)의 비접착부분(34)이 주름형태로 변형되어 내측 흡음재(32b)와 차음재 (31)사이에 공기층(35)과 요철면(36)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방음효과가 크게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음장치(30)를 원통형으로 구부려 압축기(26)의 주위에 설치할 때 내측 방음재, 즉 흡음재(32b)의 비접착부분(34)이 주름형태로 변형됨으로써 방음장치(30)를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방음장치(30)의 양단이 연결되는 부분(37)은 공기조화기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통상의 접착테이프를 통해 연결시키거나, 재봉작업을 통해 연결시킨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장치(30)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겹층으로 구성되는 방음재의 접착구조가 다른 것이다. 즉 방음재를 구성하는 차음재(31)와 흡음재(32a,32b)의 접착부(38)가 상호 직교하는 다수의 가상 격자선(39)의 상호 교차하는 지점에 배치되는 경우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방음장치(30)를 좌우 또는 상하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구부리더라도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방음장치(30)를 구부릴 경우 방음장치(30)의 굽힘방향과 무관하게 차음재(31) 내측에 위치하는 흡음재가 주름형태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방음장치(30)가 적용되는 공기조화기는 압축기(26)의 외측에 설치되는 방음장치(30)의 내측 흡음재(32b)가 주름형태로 변형되어 공기층(35)과 요철면(36)을 이루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기(26)의 구동시 발생하는 구동소음이 공기층(35)과 요철면(36)을 통해 소멸됨으로써 뛰어난 방음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즉 압축기(26)에서 발생된 소음이 내측 흡음재(32b)의 공기층(35)과 요철면(36)에 이르러 난 반사를 일으키게 됨으로 입사파와 반사파의 상쇄간섭현상에 의해 소멸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음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는 겹층의 방음재가 접착되는 부분의 접착부와 비접착부가 반복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이를 원통형으로 성형할 때 내측 방음재(흡음재)가 주름형태로 성형되어 공기층과 요철면을 이룸으로써 방음효과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음재를 원통형으로 성형할 때 내측 방음재(흡음재)가 주름형태로 변형되기 때문에 성형성이 향상되어 설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겹층으로 된 방음재의 접착부가 부분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들의 접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접착에 따른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압축기의 구동소음을 줄이도록 상기 압축기의 주위에 설치되며 겹층의 방음재가 상호 접착된 형태로 된 방음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겹층의 방음재가 접착되는 접착부분은 상호 접착되는 접착부와 상호 접착되지 않는 비접착부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겹층의 방음재는 시트형의 차음재와, 상기 차음재에 접착되는 다공질성의 흡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재를 굽힐 때 상기 흡음재가 주름형태로 변형되도록 상기 접착부가 굽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재를 굽힐 때 상기 흡음재가 주름형태로 변형되도록 상기 접착부가 상호 직교하는 다수의 가상 격자선의 교점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방음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
  5. 압축기의 구동소음을 줄이도록 상기 압축기의 주위에 설치되되 겹층의 방음재가 상호 접착된 형태로 제조되는 공기조화기용 방음장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음재를 접착할 때 상호 접착되는 접착부와 접착이 되지 않는 비접착부가 반복적으로 배치되도록 접착하는 접착단계와, 상기 방음재의 비접착부가 주름형태로 굴곡되도록 상기 방음재를 원통형으로 구부리는 단계와, 원통형으로 휘어진 상기 방음재의 양단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방음장치 제조방법.
KR1020000076235A 2000-12-13 2000-12-13 방음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476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235A KR20020047699A (ko) 2000-12-13 2000-12-13 방음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235A KR20020047699A (ko) 2000-12-13 2000-12-13 방음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699A true KR20020047699A (ko) 2002-06-22

Family

ID=27681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235A KR20020047699A (ko) 2000-12-13 2000-12-13 방음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769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337B1 (ko) * 2002-11-15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의 방사음 차폐장치
KR100606278B1 (ko) * 2004-12-29 2006-08-0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압축기의 차음부재 배치구조
KR100750231B1 (ko) * 2001-11-22 2007-08-1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압축기의 소음 저감 장치
KR20160136839A (ko) * 2015-05-21 2016-11-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외기 흡입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231B1 (ko) * 2001-11-22 2007-08-1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압축기의 소음 저감 장치
KR100487337B1 (ko) * 2002-11-15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의 방사음 차폐장치
KR100606278B1 (ko) * 2004-12-29 2006-08-0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압축기의 차음부재 배치구조
KR20160136839A (ko) * 2015-05-21 2016-11-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외기 흡입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025982A (ja) 熱交換器及びこれを備えた換気装置
JP6559255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2011208826A (ja) 空調室内機
KR20020047699A (ko) 방음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조방법
JP6203112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01355877A (ja) 空気調和機室外機の騒音低減構造並びに騒音低減方法
JP6641392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AU2018433740B2 (en) Soundproof part and outdoor unit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JPWO2018225224A1 (ja) 熱交換換気装置
JP2010038460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H07286481A (ja) ガラス戸用断熱パネル
JP2014031995A (ja) 空気調和機
KR20220026296A (ko) 적층 현열소자 조립장치
WO2014109184A1 (ja) 全熱交換器
JP2008190724A (ja) 床置型空気調和装置
JP2010007720A (ja) 真空断熱材
JPS5993130A (ja) 空気調和機
WO2021156961A1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02348986A (ja) 断熱、防音パネル
JPH10122594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WO2014050053A1 (ja) 熱交換形換気装置
CN217685388U (zh) 一种空调室内机及柜式空调器
JP3045137B2 (ja) 熱交換エレメント
JP2023065737A (ja) 熱交換形換気装置
CN111989530A (zh) 热交换元件、热交换换气装置及热交换元件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