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7688A - 하수도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하수도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7688A
KR20020047688A KR1020000076221A KR20000076221A KR20020047688A KR 20020047688 A KR20020047688 A KR 20020047688A KR 1020000076221 A KR1020000076221 A KR 1020000076221A KR 20000076221 A KR20000076221 A KR 20000076221A KR 20020047688 A KR20020047688 A KR 20020047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plate
resin sheet
plate portion
water
foamed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변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무원 filed Critical 변무원
Priority to KR1020000076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7688A/ko
Publication of KR20020047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768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발명은 하수도관들과 그 하수도관들의 외면을 감싼 접지판부의 발포수지시이트 사이의 틈새로 누수되려는 하수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차단하여 주도록 구성하여서, 하수도관의 접속부위에서 하자의 원인이 되는 누수가 발생됨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주는 하수도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의 기술구성상의 특징은; 그 재질이 유연하여 둘둘 말려지는 유연성 합성수지시이트(11)의 내면에 일체로서 발포수지시이트(12)을 형성하여서 된 접지판부(10)와, 상기 접지판부(10)의 양측단부 외면에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어서 그 접지판부의 양측단부를 결착시켜 주는 일측 및 타측결착구(20)(30)들로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접지판부(10)의 발포수지시이트(12) 내표면 전체에 액상의 점착제를 도포하여서 끈끈이도막층(40)을 형성하고, 상기 끈끈이도막층(40)을 매개로 미립자인 수팽창분말(50)이 고르게 표출되도록 접착시켜서, 상기 수팽창분말(50)이 하수도관(2)의 접속부위 틈새로 누수되려는 하수와 접촉하면 순간적으로 반응 팽창하여서 신속한 지수능력을 발휘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도관 연결구{Connector for Drainage Pipe}
본발명은 하수도관들을 상호 연결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 특히 하수도관 접속부위 틈새로 누수되려는 하수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차단하여 주어서, 하수도관의 접속부위 수밀성을 향상시켜 주는 하수도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이전부터 하수도관들 상호간이 맞대어지는 접속부위는 누수의 염려가 상존하는 바, 이러한 하수도관의 접속부위를 밀실하게 감싸서 연결하여 주도록 다양한 형태의 하수도관 연결구들이 제공되어 왔다.
본 출원인은 1993년 12월 31일자 실용신안등록출원 제32004호로 "하수도관의 연결구"를 출원하여 1996년 11월 12일자 실용신안등록 제10086호로서 등록받은 사실이 있다.
이와 같은 하수도관 연결구는 " 그 재질이 유연하여 둘둘 말려질 수 있는 직사각형의 유연성 합성수지시이트의 내면에 일체로서 발포수지층을 형성하여서 되는 접지판부와, 상기 접지판부 일측의 외측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접지판부의 외면에 부착되는 부착날개와 그 부착날개와 일체로서 수직하게 세워지는 돌출날개를 가지는 일측결착구와, 상기 접지판부 타측의 외측단부 근처에 폭방향으로 부착되는 부착날개와 그 부착날개와 일체로서 수직하게 세워지는 돌출날개를 가지는 타측결착구로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접지판부의 타측단부는 상기 타측결착구의 돌출날개에서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연장걸침부로 형성하고, 상기 일측 및 타측결착구 각각의 부착날개들은 접속되는 하수도관 외경의 곡률로서 만곡지게 형성하여서, 상기 접지판부 일측단의 내측이 상기 연장걸침부의 외면에 걸쳐지는상태로서 상기 일측 및 타측 결착구가 상호간에 체결되면서, 하수도관의 곡률로서 만곡지는 부착날개들이 연결되는 하수도관들의 외면에 접지판부가 밀착되도록 하여서, 하수도관들을 틈새없이 긴밀하게 연결시킴을" 기술요지로 하였다.
이 하수도관 연결구에 의하면, 접지판부 일측단이 그 접지판부 타측단의 연장걸침부에 걸쳐져서 하수도관을 감싸고, 하수도관의 곡률로서 만곡지는 부착날개들을 가지는 일측 및 타측결착구들로서 하수도관들의 외면에 접지판부를 밀착시켜서 틈새없이 연결하여 주므로, 하수도관 접속부위의 수밀성을 향상시켜서 누수가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는 장점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하수도관 연결구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하수도관의 외면에 밀착된 접지판부의 발포수지층이 노후화되면서 탄력성을 잃게 될 뿐만 아니라, 주위의 온도변화에 따라 수축작용을 반복하게 되므로, 그 접지판부의 발포수지층이 하수도관들의 외면으로부터 느슨하게 풀어지거나 이완된 틈새로 누수가 발생될 염려가 있었다.
따라서, 하수도관 연결구는 하수도관 접속부위에 대하여 원래의 누수방지기능을 지속적으로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하수도관들의 외면으로부터 접지판부가 느슨하게 풀어지거나 이완된 틈새로 누수되려는 하수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대안책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본발명은 하수도관들과 그 하수도관들의 외면을 감싼 접지판부의 발포수지시이트 사이의 틈새로 누수되려는 하수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차단하여 주도록 구성하여서, 하수도관 접속부위에 대한 누수방지기능을 지속적으로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우수한 품질의 하수도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발명의 하수도관 연결구를 나타낸 일부절결 사시도
도2는 본발명의 하수도관 연결구를 나타낸 일부절결 정면도
도3은 도2의 A-A선 확대단면도
도4는 본발명의 하수도관 연결구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수도관 연결구를 나타낸 일측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접지판부 11: 합성수지시이트
12: 발포수지시이트 20, 30: 일측 및 타측결착구
21, 31: 고정판 22,32: 조립구멍
23,33: 돌출날개 40: 끈끈이도막층
50: 수팽창분말
본발명도 그 재질이 유연하여 둘둘 말려지는 유연성 합성수지시이트(11)의 내면에 일체로서 발포수지시이트(12)을 형성하여서 된 접지판부(10)와, 상기 접지판부(10)의 양측단부 외면에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어서 그 접지판부의 양측단부를 결착시켜 주는 일측 및 타측결착구(20)(30)들로서 구성된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발명의 하수도관 연결구(1)는 도1 및 도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접지판부(10)의 발포수지시이트(12) 내표면 전체에 액상의 점착제를 도포하여서 끈끈이도막층(40)을 형성하고, 상기 끈끈이도막층(40)을 매개로 미립자인 수팽창분말 (50)이 고르게 표출되도록 접착시켜서, 상기 수팽창분말(50)이 하수도관(2)의 접속부위 틈새로 누수되려는 하수와 접촉하면 순간적으로 반응 팽창하여서 신속한 지수능력을 발휘하도록 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다시말해서, 본발명의 하수도관 연결구(1)는 도3 및 도4에서와 같이, 접지판부(10)의 발포수지시이트(12) 내표면에 끈끈이도막층(40)을 매개로 수팽창분말(50)이 고르게 표출되도록 접착시켜서, 상기 수팽창분말(50)이 하수도관(2)들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접지판부(10)의 발포수지시이트(12)이 느슨하게 풀리거나 이완된 틈새로 누수되려는 하수와 접촉하면 순간적으로 반응 팽창하여서 신속하고 확실하게 틈새를 메꾸어서 밀봉하여 주도록 구성하여서, 하수도관(2)의 접속부위에서 하자의 원인이 되는 누수가 발생됨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주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접지판부(10)는 유연하게 말아질 수 있는 합성수지시이트(11)의 내면에 복수개의 지수돌기(12a)들이 형성된 발포수지시이트(12)을 접합 형성하여서, 하수도관 (2)들의 외면을 밀실하게 감싸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접지판부(10)의 타측단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연장걸침부(13)를 형성하여서, 상기 접지판부(10)의 일측단이 연장걸침부(13)에 걸쳐지는 형태로서 하수도관(2)들의 외면을 더욱 밀실하게 감싸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측 및 타측결착구(20)(30)들은 각각 하수도관(2)의 곡률로서 만곡지는 고정판(21)(31)들을 가지며, 그 고정판과 일연체로서 수직으로 세워져서 조립구멍(22)(32)들이 뚫어지는 돌출날개(23)(33)들을 가지도록 형성하여서 된다.
이와 같은 일측결착구(20)는 상기 접지판부(10)의 일측단에 고정판(21)을 맞대어서 고정볼트로서 고정시키고, 타측결착구(30)는 상기 접지판부(10)의 연장걸침부(13)를 경계로 고정판(31)을 맞대어서 고정볼트로서 고정시켜서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하수도관(2)들의 외면을 감싸는 접지판부(10)의 양단부에서 마주하는 일측 및 타측결착구(20)(30)의 조립구멍(22)(32)들을 관통하는 조임볼트로서 상기 접지판부(10)의 양측단부를 결착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끈끈이도막층(40)은 상기 접지판부(10)의 발포수지시이트(12) 내표면에 수팽창분말(50)을 접착시키기 위한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 끈끈이도막층(40)은 접착성능이 우수한 액상의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상기 접지판부(10)의 발포수지시이트(12) 내표면에 분사하여서 도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끈끈이도막층(40)은 상기 접지판부(10)의 발포수지시이트(12)에 수팽창분말(50)이 표출되도록 접착시켜 주기 때문에, 상기 수팽창분말(50)이 하수도관(2)의 접속부위 틈새로 누수되려는 하수에 대하여 신속하게 반응할 수 있는 조건을 부여하여 주는 것이다.
수팽창분말(50)은 하수도관(2)의 접속부위 틈새로 누수되려는 하수와 접촉하면 반응 팽창하면서 틈새를 메꾸어서 누수되는 하수를 차단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팽창분말(50)은 미립자인 실리카 염 또는 소디움 아크릴 레이트겔을 주성분으로 하여서, 그 수팽창분말(50) 자체의 중량에 대하여 대략 10배 정도의 수분을 흡수하면서 팽창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수팽창분말(50)은 하수도관(2)들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접지판부(10)의 발포수지시이트(12)이 느슨하게 풀리거나 이완된 틈새로 누수되려는 하수와 접촉하면 순간적으로 반응 팽창하여서 신속하고 확실하게 틈새를 메꾸어서 밀봉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도5는 본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접지판부(10)의 발포수지시이트(12) 내표면에 얇은 비닐지(14)를 접합시켜서 배치하여 두고, 상기 비닐지(14)의 외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서 된 끈끈이도막층(40)을 매개로 수팽창분말(50)이 고르게 표출되도록 접착시켜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접지판부(10)의 발포수지시이트(12)에 끈끈이도막층(40)이 비닐지(14)를 통하여 확실한 접착력을 발휘하도록 도포되어서, 그 끈끈이도막층(40)을 통하여 접착되는 수팽창분말(50)이 임의로 탈락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발명은 하수도관들과 그 하수도관들의 외면을 감싼 접지판부의 발포수지시이트 사이의 틈새로 누수되려는 하수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차단하여 주므로, 하수도관의 접속부위에서 하자의 원인이 되는 누수가 발생됨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주는 유용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그 재질이 유연하여 둘둘 말려지는 유연성 합성수지시이트(11)의 내면에 일체로서 발포수지시이트(12)을 형성하여서 된 접지판부(10)와, 상기 접지판부(10)의 양측단부 외면에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어서 그 접지판부의 양측단부를 결착시켜 주는 일측 및 타측결착구(20)(30)들로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접지판부(10)의 발포수지시이트(12) 내표면 전체에 액상의 점착제를 도포하여서 끈끈이도막층(40)을 형성하고, 상기 끈끈이도막층(40)을 매개로 미립자인 수팽창분말(50)이 고르게 표출되도록 접착시켜서, 상기 수팽창분말(50)이 하수도관 (2)의 접속부위 틈새로 누수되려는 하수와 접촉하면 순간적으로 반응 팽창하여서 신속한 지수능력을 발휘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관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판부(10)의 발포수지시이트(12) 내표면에 얇은 비닐지(14)를 접합시켜서 배치하여 두고, 상기 비닐지(14)의 외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서 된 끈끈이도막층(40)을 매개로 수팽창분말(50)이 고르게 표출되도록 접착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관 연결구.
KR1020000076221A 2000-12-13 2000-12-13 하수도관 연결구 KR200200476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221A KR20020047688A (ko) 2000-12-13 2000-12-13 하수도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221A KR20020047688A (ko) 2000-12-13 2000-12-13 하수도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688A true KR20020047688A (ko) 2002-06-22

Family

ID=27681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221A KR20020047688A (ko) 2000-12-13 2000-12-13 하수도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7688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6716U (ko) * 1977-12-01 1979-06-19
KR920004665Y1 (ko) * 1990-01-11 1992-07-10 금성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투입스프링 인장을 위한 동력전달장치
KR960005260U (ko) * 1994-07-08 1996-02-16 변무원 하수도관 연결구
KR960011233A (ko) * 1994-09-01 1996-04-20 최상민 관의 접합방법과 그 관의 접합 구조체
KR20000051228A (ko) * 1999-01-19 2000-08-16 김용택 지중매설용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및 그의 연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6716U (ko) * 1977-12-01 1979-06-19
KR920004665Y1 (ko) * 1990-01-11 1992-07-10 금성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투입스프링 인장을 위한 동력전달장치
KR960005260U (ko) * 1994-07-08 1996-02-16 변무원 하수도관 연결구
KR960011233A (ko) * 1994-09-01 1996-04-20 최상민 관의 접합방법과 그 관의 접합 구조체
KR20000051228A (ko) * 1999-01-19 2000-08-16 김용택 지중매설용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및 그의 연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658469U (zh) 一种变形缝止水带穿孔型压件结构
KR20020047688A (ko) 하수도관 연결구
JPH0444719Y2 (ko)
JP2007100348A (ja) 高圧用ゴム止水板
JPH0777482B2 (ja) 蛇腹状ケーブル管の配管具
KR0117470Y1 (ko) 흄관 연결구용 지수판
JP3278131B2 (ja) 角ダクトに用いるコーナーピース
JPS594234Y2 (ja) 上下水道管等の継手部の止水具
JP2000054412A (ja) 可とう性継ぎ手構造及び可とう継ぎ手と防水下地材との組合せ
JP2562176Y2 (ja) 防水用シール材
JPH0893042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函用一次止水材
JP2005121186A (ja) 漏水防止用パッキング
KR102475769B1 (ko) 유니언 너트를 보호하는 클램프
CN212079336U (zh) 一种密封垫
JP2767209B2 (ja) シールド工法管路用可撓セグメント
JP2017201127A (ja) コンクリート型枠支持具と施工方法
JP4070317B2 (ja) マンホール構造及び施工方法
JP3286616B2 (ja) 情報通信ケーブル収容管とハンドホールとの接続用継手
CN114737685B (zh) 一种墙体变形缝防水处理结构及处理方法
JP4813699B2 (ja) 接続構造及び止水可とう継手
JP2007205517A (ja) 耐震性可撓管路の継手構造
KR960010086Y1 (ko) 하수도관의 연결구
JPH11190076A (ja) ガスケット
JPH07331684A (ja) 配管具および配管方法
JPH10252964A (ja) 埋設管の耐震・伸縮型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