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6657A - 약복용관리시스템과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 - Google Patents

약복용관리시스템과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6657A
KR20020046657A KR1020000076939A KR20000076939A KR20020046657A KR 20020046657 A KR20020046657 A KR 20020046657A KR 1020000076939 A KR1020000076939 A KR 1020000076939A KR 20000076939 A KR20000076939 A KR 20000076939A KR 20020046657 A KR20020046657 A KR 20020046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message
time
service syste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점규
Original Assignee
김좌진
크레지오 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좌진, 크레지오 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좌진
Priority to KR1020000076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6657A/ko
Publication of KR20020046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65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국에서 환자에게 약복용시간을 전자메일, 전화, 휴대폰, 웹폰등과 같은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약국에 구비된 컴퓨터에서 환자에게 약복용시간을 환자소지의 통신단말기를 통해 통지하거나, 많은 약국들로부터 환자정보를 전송받아 통지를 대행해주는 통합관리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환자들 각각의 약 복용시간, 상기 환자들의 통신단말기의 종류 및 접속번호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현재시각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시각정보 생성수단; 상기 시각정보생성수단의 현재시각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환자들의 약복용시간을 비교하여 약복용시간이 도래한 통지대상환자의 발생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 상기 검출수단이 상기 통지대상 환자를 검출한 경우에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통지대상 환자의 약복용시간을 포함한 소정의 형식을 갖는 메시지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메시지생성수단; 상기 메시지생성수단으로부터 메시지생성이 종료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한 상기 통지대상 환자의 통신단말기 접속번호와 상기 메시지데이터를 외부 통신서비스시스템에 전송하는 전송요청수단;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통지대상환자의 발생을 전송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메시지의 소정형식에 필요한 데이터를 인출하여 상기 메시지생성수단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요청수단과의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상기 통신서비스시스템에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약복용관리시스템과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 managemet system for informing the time for taking medicine and intergral management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약국에서 환자에게 약복용시간을 전자메일, 전화, 휴대폰, 웹폰등과 같은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약국에 구비된 컴퓨터에서 환자에게 약복용시간을 환자소지의 통신단말기를 통해 통지하거나, 많은 약국들로부터 환자정보를 전송받아 통지를 대행해주는 통합관리시스템이다.
환자가 질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약을 약사가 지정한 정확한 시간에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그러나, 환자는 바쁜 생활로 인하여 약을 복용할 시간을 지나치는 경우가 흔하게 발생됨으로써 질병치료에 소홀함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약국으로부터 약을 수령한 환자에게 환자소지의 통신단말기에 약복용시간을 통지해주는 약 복용시간 통지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환자에게 약 복용시간을 재차 확인시켜주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서비스를 환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환자가 서비스제공의 약국을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선전효과를 얻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국별로 이루어지는 통지방식을 전체적으로 하나의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기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약국 PC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전송되는 전자메일의 한형식을 나타내는 에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전송되는 SMS메시지의 한 형식을 예시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데이터 처리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약복용시간 관리서비스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약복용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약복용 통합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처리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환자가 원하는 통신단말기에 약복용시간의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하는 약국에 구비된 약복용관리시스템에 있어서,
환자들 각각의 약 복용시간, 상기 환자들의 통신단말기의 종류 및 접속번호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현재시각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시각정보 생성수단, 상기 시각정보생성수단의 현재시각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환자들의 약복용시간을 비교하여 약복용시간이 도래한 통지대상환자의 발생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 상기 검출수단이 상기 통지대상 환자를 검출한 경우에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통지대상 환자의 약복용시간을 포함한 소정의 형식을 갖는 메시지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메시지생성수단,상기 메시지생성수단으로부터 메시지생성이 종료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한 상기 통지대상 환자의 통신단말기 접속번호와 상기 메시지데이터를 외부 통신서비스시스템에 전송하는 전송요청수단,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통지대상환자의 발생을 전송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메시지의 소정형식에 필요한 데이터를 인출하여 상기 메시지생성수단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요청수단과의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상기 통신서비스시스템에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 통신서비스시스템은 메일서버이고, 상기 환자의 통신단말기로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환자에게 전자메일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 통신서비스시스템은 SMS(short message service)의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시스템이고, 상기 환자의 통신단말기는 유, 무선 전화기로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환자에게 SMS로 전송되는 것을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약복용시간 관리시스템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내의 환자정보중 새로운 데이터의 저장 또는 데이터의 변경이 발생되는 경우에 이를 실시간 또는 일정주기마다 외부 시스템에 전송하기 위한 환자정보 갱신프로세스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커다란 다른 특징은 복수의 약국에 구비된 컴퓨터 단말기들, 상기 컴퓨터 단말기들과 인터넷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되는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환자에게 약복용시간에 대한 메시지를 통지하기 위한 약복용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약구의 컴퓨터 단말기들로부터 입력되는 환자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기 위한 환자정보 저장수단, 상기 환자정보 저장수단과 현재시각을 비교하여 약복용시간이 도래한 약복용시간 통지대상의 환자를 추출하기 위한 통지대상환자 추출수단; 상기 대상환자의 추출수단으로부터 상기 통지대상환자의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환자정보 저장수단으로부터 환자정보를 독출하여 기설정된 형식의 메시지를 형성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메시지데이터 생성수단, 상기 메시지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통지대상환자의 통신단말기 번호와 상기 메시지데이터를 외부 통신서비스시스템에 전송하는 전송요청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외부 통신서비스시스템이 상기 통지대상환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의 환자정보는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웹브라우져를 이용하여 상기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의 웹페이지에 상기 컴퓨터단말기의 관리자가 환자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컴퓨터 단말기는 환자정보저장수단과 상기 환자정보저장수단내의 변경내용을 발생한 경우에 상기 변경내용을 상기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에 전송하는 환자정보갱신프로세스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의 환자정보는 상기 환자정보갱신프로세스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기본 개념도이다.
약국PC(Personal Computer)10에는 약을 구입한 환자의 약 복용시간에 대한 정보 및 통신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 약복용시간이 되게 되면 이를 이터넷 또는 통신망을 통해서 환자의 통신단말기에 전달된다. 통신단말기는 환자의 전자메일을 받을 수 있는 PC40이 될 수 있으며, 휴대폰50이 될 수 있으며, PSTN망에 연결된 유선전화60가 될 수 있으며, PC40에 연결된 웹폰70이 될 수 있다. 또한, 약국PC10에서 휴대폰50, 유선전화60에 약복용의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하여는 ARS를 이용한 음성메세지를 이용할 수 도 있으며, SMS를 이용한 문자메세지를 이용할 수 도 있으며 이러한 메시지를 약국PC10으로부터 통신단말기50, 60에 전송하기 위해서는 통신서비스시스템20을 경유하여 소정의 데이터전송처리과정을 거쳐 데이터가 전송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약국PC10으로부터 환자PC40에 메일을 전송하기 위하여는 메일서버30의 중계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약국 PC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중앙처리장치208은 롬204에 저장된 운영프로그램에 의하여 각각의 제어대상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연산처리하고, 램205는 연산처리를 위한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PC10의 관리자는 입력수단201에 의하여 환자의 약 복용메시지를 받을 통신단말기의 종류와 번호, 환자의 신상정보를 입력한다. 이와 같이, 입력된 환자정보는 데이터베이스207에 저장된다.
시각정보프로세스202는 정확한 현재시각을 생성하기위한 하드웨어 및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약복용시간생성프로세서210은 대부분의 약이 식사시간을 기준으로 일정시간 전, 후로 복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거나, 하루중 특정한 시간에 먹거나, 특정한 요일, 특정시간에 복용하도록 규칙적으로 지정되기 때문에 약국PC의 관리자의 단순한 입력, 예를 들어 「식후 30분 복용」을 지정하여 입력하게 되면 하루중 먹을 시간을 8:30, 1:30, 7:30의 시각을 생성하는 프로세스이고, 이와 같이 생성된 약복용시간은 일일이 관리자에 의하여 입력하지 않아도 데이터베이스207에 저장되게 된다.
메일전송프로세스206은 환자가 약복용시간 메시지를 전자메일로 받고 싶은 경우에, 전송해야될 전자메일의 형식에 대한 데이터를 갖고 있고 그 한 형식은 도 3과 같이 도시될 수 있다. 이때 밑줄친부분은 환자의 약복용시간을 데이터 베이스
207로부터 독출하여 해당부분에 자동 삽입하도록 하며, 이러한 완성된 메일 형식은 메시지 통지대상의 환자를 통지대상환자 검출프로세스212에 의하여 검출하여 중앙처리장치208에 전송하면 중앙처리장치208은 메일전송프로세스206로 하여금 도 3과 같은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한다.
통지대상환자 검출프로세스212는 데이터베이스207에 저장된 지정된 약복용시간을 계속적으로 검출하여 시각정보프로세스로부터 검출된 현재시각과 비교하여 일치할 때, 중앙처리장치에 통지대상의 환자정보를 전송하여 중앙처리장치로 하여금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게 한다.
전송요청프로세스203은 메시지생성이 종료하게 되면 데이터베이스207로부터 통지대상환자의 통신단말기의 번호를 판독하여 생성된 메시지와 함께 통신서비스시스템20에 통신단말기에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프로세스이다. 이때, 전송요청시간은 현재시각과 비교하여 약복용시간보다 5분 먼저 전송하게 설정하거나, 여러 가지 변형예를 상정할 수 있다.
환자정보 갱신프로세스213은 일종의 클라이언트 에이전트 프로그램으로 약
국PC10의 관리자가 데이터베이스207에 환자정보를 새로 업데이트하거나 고치게 되는 경우 이를 감시하여 변경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 주기마다 약복용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전송메시지생성프로세스211에서는 전송할 일정한 형식에 관한 데이터와 형식중 환자의 성명과 약복용시간을 중앙처리장치208이 데이터베이스207로부터 독출하여 전송한 데이터를 삽입하여 완성된 형식의 메시지를 갖추는 데이터를 생성하고, 메시지 데이터가 완성되면 중앙처리장치208로 전송하여 통신서비스시스템20의 SMS서비스기능을 이용하여 환자의 통신단말기, 예를 들어 휴대폰50에 메시지, 즉 도 4와 같은 메시지를 뷰우하게 한다. 메시지 형식은 SMS기능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요금을 줄이고, 데이터 전송속도의 한계를 고려하여 가능한 단문의 메시지 형태를 갖도록 하며, 도 4의 뷰우된 화면에서 밑줄친 글자부분은 데이터베이스207에서 독출된 부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데이터 처리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처리과정은 설명을 명료화하기 위해서 전자메일과 휴대폰에 약복용시간을 통지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우선 약국 PC10의 관리자는 입력수단210에 환자가 메시지를 받기를 원하는전자메일주소, 휴대폰번호, 약복용시간를 포함하는 환자정보를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207에 저장한다(S501). 통지대상환자 검출프로세스212는 시각정보프로세스202의 현재시각과 데이터베이스207에 저장된 환자들의 약복용시간을 비교하여(S502), 일치하는 경우에는 통지대상환자 검출프로세스212는 중앙처리장치208에 전송메시지를 생성할 것을 요구하는 데이터를 전송한다(S503). 중앙처리장치208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통지대상환자가 지정한 전송방식을 확인하여(S504), 전자메일인 경우에는 중앙처리장치208은 메일전송프로세스206에서 전자메일 메시지를 생성한다
(S505). 전자메일 메시지 생성이 완료되면 중앙처리장치208은 전송요청프로세스203에서 메일서버30에 전자메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메시지 데이터와 통지대상환자의 전자메일ID를 독출하여 메일서버30에 전송하여 통지대상환자 단말기에 전송해줄 것을 요청한다(S506). 또한, 메일서버30은 환자PC40의 메일송수신프로그램이 동작되고 있는지를 감지하여 동작되고 있는 시점에 전자메일을 전송함으로써, 환자는 약복용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S507,S508).
또한, 휴대폰50에 의하여 수신하는 경우에는 중앙처리장치208은 통신전송메시지 생성프로세스211로 하여금 해당 환자의 약복용메시지인 SMS메시지를 생성하도록 명령하여 메시지를 생성한다(S509). 중앙처리장치208은 SMS메시지가 생성되면 전송요청프로세스203에서 통신서비스시스템20에 SMS메시지를 전송할 것을 요청한다
(S510). 전송요청프로세스203은 데이터베이스207로부터 통지대상환자의 통신단말기의 번호, 예를들어 휴대폰 전화번호와 SMS메시지를 통신서비스시스템20에서 해당 휴대폰에 전송해줄 것을 요청한다(S511). 이와 같이 통신서비스시스템20에 SMS메시지가 전송되면 이를 해당 환자의 휴대폰50에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해당환자는 메시지를 수신한다(S512).
도 6은 본 발명의 약복용시간 관리서비스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복수의 약국PC1, PC2, …,PCn이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60은 인터넷에 접속되고, 약복용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60은 통신서비스시스템20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서비스시스템20은 환자의 휴대폰50에 SMS메시지를 전송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는 다양하게 구비할 수 있으나,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휴대폰을 대표적인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약국PC1∼n들은 웹브라우져를 이용하여 환자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약복용 통합관리시스템내의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환자정보를 입력한다.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은 입력된 환자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축적하고, 약복용시간이 도래한 환자에게 특정의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서비스시스템20에 메시지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통신서비스시스템20은 통지대상환자의 휴대폰에 SMS메시지를 전송하게 됨으로써 환자는 메시지를 수신받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수단, 시각정보프로세스, 통지대상환자 검출프로세서, 전송요청프로세스, 약복용시간생성프로세스, 램, 메일전송프로세스, 통신전송메시지생성프로세스는 도2에 해당부분과 일치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롬705에는 웹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웹운영프로그램이 저장되게되고, 데이터베이스부702에는 웹페이지DB(Data Base)703이 구비되어 있어 다양한 정보를 인터넷으로 약국 PC와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환자정보DB704에는 개개의 환자에 대하여 도2의 데이터베이스207에 저장되는 환자정보 외에도 환자정보를 입력한 약국에 대한 정보도 저장된다. 또한, 환자정보 인출프로세스706은 시스템이 약국PC10에서 갱신되는 환자정보를 인출하는 프로세스로서 약국PC에 환자정보가 변경여부를 감시하여, 변경이 있는 경우 변경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변경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는 프로세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처리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약국PC들은 통합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하여 브라우져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홈페이지를 뷰우하여 로그인(log-in) 한다(S801). 로그인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환자정보 및 약국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웹페이지DB703의 특정 웹페이지를 다운받아 이들 정보를 입력하여 약복용시간 통합관리서비스 시스템100에 전송한다(S802). 약복용시간 통합관리서비스시스템100내의 중앙처리장치701은 이와 같이 전송된 웹페이지의 환자정보와 약국정보를 독출하여 환자정보DB704에 저장한다. 이하, 약국의 단일PC에서 직접 환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처리된다. 즉, 통지대상환자 검출프로세스212에서는 환자정보DB704에 저장된 환자들의 약복용시간과 시각정보프로세스202의 현재시각을 비교하여 약복용시간이 도래한 메시지 통지대상의 환자에 대하여 메시지를 전송해줄 것을 중앙처리장치701에 요청한다
(S803). 중앙처리장치701은 환자정보DB704로부터 해당환자의 성명, 전화번호등 SMS전송을 위한 데이터를 판독하여 통신전송 메시지생성 프로세스211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프로세스211은 특정 형식의 메시지를 갖는 데이터를 완성시킨다(S804). 메시지가 완성되면 전송요청프로세스203은 통신서비스시스템20에 상기 메시지의 데이터와 휴대폰 전화번호 데이터를 함께 전송하여, 통신서비스시스템20이 상기 메시지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한다(S805, S806). 통신서비스시스템20에서는 전송된 메시지 데이터를 환자의 통신단말기인 휴대폰에 전송함으로써 환자는 약복용시간 통신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S807).
상기에서 약국PC10으로부터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100으로의 데이터 전송은 웹페이지를 다운받아 약국PC10의 관리자가 입력하는 것을 상정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여기에는 다양한 전송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관리자가 약국PC10에 설치된 환자정보갱신프로세스213에서 제공되는 입력창에 환자의 정보를 입력하거나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프로세서213는 변경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7에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207내의 변경된 정보를 관리자의 설정에 의하여 실시간 또는 일정주기마다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100에 전송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환자정보의 변경된 내용의 전송은 약복용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100의 지시에 의하여 실시간 또는 일정주기마다 이루어질 수 있다. 환자정보 인출프로세스706에서는 환자정보갱신프로세스213의 입력여부를 감시하여 환자정보에 변동이 생기거나, 새로운 내용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환자정보갱신프로세스에 전송요청을 하여 환자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기의 목적과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에게 정확한 약복용시간을 통지하여 상기 시킴으로써 질병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약국을 경영하는 입장에서는 환자에게 질좋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에게 우호적인 감정을 갖도록 함으로써 고객확보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또한, 많은 수의 약국이 개별적으로 이러한 시스템을 운영하지 않고 인터넷을 이용하여 통합관리서비스시스템을 이용하여 위탁관리하도록 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환자가 원하는 통신단말기에 약복용시간의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하는 약국에 구비된 약복용관리시스템에 있어서;
    환자들 각각의 약 복용시간, 상기 환자들의 통신단말기의 종류 및 접속번호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현재시각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시각정보 생성수단;
    상기 시각정보생성수단의 현재시각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환자들의 약복용시간을 비교하여 약복용시간이 도래한 통지대상환자의 발생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
    상기 검출수단이 상기 통지대상 환자를 검출한 경우에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통지대상 환자의 약복용시간을 포함한 소정의 형식을 갖는 메시지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메시지생성수단;
    상기 메시지생성수단으로부터 메시지생성이 종료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한 상기 통지대상 환자의 통신단말기 접속번호와 상기 메시지데이터를 외부 통신서비스시스템에 전송하는 전송요청수단;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통지대상환자의 발생을 전송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메시지의 소정형식에 필요한 데이터를 인출하여 상기 메시지생성수단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요청수단과의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상기 통신서비스시스템에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시간 관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통신서비스시스템은 메일서버이고, 상기 환자의 통신단말기로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환자에게 전자메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시간 관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통신서비스시스템은 SMS(short message service)의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시스템이고, 상기 환자의 통신단말기는 유, 무선 전화기로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환자에게 SMS로 전송되는 것을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시간 관리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복용시간 관리시스템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내의 환자정보중 새로운 데이터의 저장 또는 데이터의 변경이 발생되는 경우에 이를 실시간 또는 일정주기마다 외부 시스템에 전송하기 위한 환자정보 갱신프로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시간 관리시스템.
  5. 복수의 약국에 구비된 컴퓨터 단말기들, 상기 컴퓨터 단말기들과 인터넷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되는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환자에게 약복용시간에 대한 메시지를 통지하기 위한 약복용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약구의 컴퓨터 단말기들로부터 입력되는 환자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기 위한 환자정보 저장수단;
    상기 환자정보 저장수단과 현재시각을 비교하여 약복용시간이 도래한 약복용시간 통지대상의 환자를 추출하기 위한 통지대상환자 추출수단;
    상기 대상환자의 추출수단으로부터 상기 통지대상환자의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환자정보 저장수단으로부터 환자정보를 독출하여 기설정된 형식의 메시지를 형성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메시지데이터 생성수단;
    상기 메시지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통지대상환자의 통신단말기 번호와 상기 메시지데이터를 외부 통신서비스시스템에 전송하는 전송요청수단을 포함함으로써;상기 외부 통신서비스시스템이 상기 통지대상 환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SMS이고, 상기 외부 통신서비스시스템은 상기 SMS를 제공하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의 환자정보는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웹브라우져를 이용하여 상기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의 웹페이지에 상기 컴퓨터단말기의 관리자가 환자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단말기는 환자정보저장수단과 상기 환자정보저장수단내의 변경내용을 발생한 경우에 상기 변경내용을 상기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에 전송하는 환자정보갱신프로세스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의 환자정보는 상기 환자정보갱신프로세스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
KR1020000076939A 2000-12-15 2000-12-15 약복용관리시스템과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 KR200200466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939A KR20020046657A (ko) 2000-12-15 2000-12-15 약복용관리시스템과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939A KR20020046657A (ko) 2000-12-15 2000-12-15 약복용관리시스템과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657A true KR20020046657A (ko) 2002-06-21

Family

ID=27682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939A KR20020046657A (ko) 2000-12-15 2000-12-15 약복용관리시스템과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665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5763A (ko) * 2001-05-09 2002-11-16 주식회사 메디온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한 복약 지도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16013A (ko) * 2001-08-20 2003-02-26 최재영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499239B1 (ko) * 2002-08-30 2005-07-05 주식회사 헬스피아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정 관리 방법
KR100692799B1 (ko) * 2004-10-29 2007-03-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약 복용 시간 통지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15691A (ko) 2020-07-31 2022-02-08 김정현 건강보조 복용약 관리 기반의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작동 방법 및 건강보조 복용약 관리 기반의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1827A (ja) * 1997-01-20 1998-08-04 Fujitsu General Ltd 在宅診療用投薬システム
JPH11216171A (ja) * 1998-02-04 1999-08-10 Fujitsu Ltd 投薬システム
US5983193A (en) * 1996-06-19 1999-11-09 Nokia Mobile Phones Ltd. Patient's nursing apparatus and nursing system
US6075755A (en) * 1997-05-12 2000-06-13 Recall Services, Inc. Medical reminder system and messaging watch
JP2000331080A (ja) * 1999-05-21 2000-11-30 Nippon Distributor Kk 服薬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0012647A (ko) * 2000-08-08 2002-02-20 장용현 온라인을 통한 투약시간알람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3193A (en) * 1996-06-19 1999-11-09 Nokia Mobile Phones Ltd. Patient's nursing apparatus and nursing system
JPH10201827A (ja) * 1997-01-20 1998-08-04 Fujitsu General Ltd 在宅診療用投薬システム
US6075755A (en) * 1997-05-12 2000-06-13 Recall Services, Inc. Medical reminder system and messaging watch
JPH11216171A (ja) * 1998-02-04 1999-08-10 Fujitsu Ltd 投薬システム
JP2000331080A (ja) * 1999-05-21 2000-11-30 Nippon Distributor Kk 服薬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0012647A (ko) * 2000-08-08 2002-02-20 장용현 온라인을 통한 투약시간알람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5763A (ko) * 2001-05-09 2002-11-16 주식회사 메디온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한 복약 지도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16013A (ko) * 2001-08-20 2003-02-26 최재영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499239B1 (ko) * 2002-08-30 2005-07-05 주식회사 헬스피아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정 관리 방법
KR100692799B1 (ko) * 2004-10-29 2007-03-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약 복용 시간 통지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15691A (ko) 2020-07-31 2022-02-08 김정현 건강보조 복용약 관리 기반의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작동 방법 및 건강보조 복용약 관리 기반의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70973A1 (en) Method for transferring operational data to a medical device located within a healthcare environment
US201203306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argeted Healthcare Messaging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JP3935328B2 (ja) 医薬品服用督促通知システムおよび方法、センタ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043461B1 (ja) 服薬履歴管理方法、服薬履歴管理装置、および、服薬履歴管理プログラム
KR101839850B1 (ko) 복약 일정 수정 방법 및 시스템
US201801218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ordinating the flow of events in a health care setting using a workflow module
WO2020251251A2 (ko)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을 통한 약물을 자동으로 주입 후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JP201401676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3016185A5 (ko)
JP2006288473A (ja) お薬手帳システム
KR20020046657A (ko) 약복용관리시스템과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
JP2010218439A (ja) 処方オーダ発行プログラム、処方オーダ発行装置及び方法
JP2004213416A (ja) 医薬品使用状況の管理方法及び管理装置
JP2008234289A (ja) 緊急安全性情報の自動配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Billingsley et al. Use of technology to promote effective medication adherence
JP2017205287A (ja) 経口避妊薬服用スケジューリングシステム、経口避妊薬服用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20012647A (ko) 온라인을 통한 투약시간알람방법
JP2010067237A (ja) 医用情報サービス提供端末及びモバイル情報端末並びにそれらを用いてなる医用情報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KR101602778B1 (ko) 처방전 전달 시스템 및 전달 방법
JP2004062513A (ja) 薬剤服用管理システム,薬剤服用管理装置,薬剤服用管理方法および薬剤服用管理プログラム
KR20220016424A (ko) 네트워크를 통한 전자 처방전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JP2019074831A (ja) 案内システムおよび案内方法
KR102518614B1 (ko) 복약지도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복약지도 방법 및 복약지도 시스템
KR20150120569A (ko) 온라인 기부 주선 시스템 및 방법
CN115068338A (zh) 一种用药管理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