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5763A -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한 복약 지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한 복약 지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5763A
KR20020085763A KR1020010077595A KR20010077595A KR20020085763A KR 20020085763 A KR20020085763 A KR 20020085763A KR 1020010077595 A KR1020010077595 A KR 1020010077595A KR 20010077595 A KR20010077595 A KR 20010077595A KR 20020085763 A KR20020085763 A KR 20020085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tion
message
information
patient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종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온
Publication of KR20020085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763A/ko

Links

Landscapes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이동통신 기기를 이용한 복약 지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환자의 처방전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입력받은 처방전에 관한 정보를 이동통신을 이용한 복약지도에 적합한 메시지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해당 환자의 복약 시간을 계산하고, 복약하기 일정 시간 전에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환자들은 이동통신 기기의 단문 전송 메시징 시스템을 이용한 복약지도를 받음으로써 순응도를 향상시켜 질병의 치료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한 복약 지도 시스템 및 방법 {A reminding system for using medicine and a method thereof}
이 발명은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한 복약 지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기기를 이용하여 환자의 약을 먹을 시간과 복용 방법등을 상세히 알려주는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한 복약 지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약지도란 약국에서 약사가 환자에게 복용방법과 복용시간 등을 자세히 알려주는 것으로서, 특히 정확한 복용방법과 복용시간은 약효를 최대로 발휘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환자의 순응도를 향상시켜 질병의 치료율이 향상된다.
종래의 복약지도는 약국에서 투약 시 구두로 설명을 하며, 복용시간을 약 봉투에 간단히 기록하였다. 이러한 경우 복용시간은 환자의 기억력에 의존하게 되기때문에 환자는 종종 복용시간을 지나치게 되며 그만큼 병의 치료도 늦어지게 된다.
따라서, 복약지도시에 환자가 제 시간에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좀더 정확하게 약물의 복용시기를 알려줌으로써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한편, 현재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동 통신 기기 즉, 핸드폰을 소지하고 있으며, 약을 약국에서 처방전을 이용하여 조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약국의 처방전 입력 프로그램에서 용법 정보를 입력하면 메시지 변환 프로그램을 거쳐 메시지가 자동 스케쥴러에 저장이 되고 저장된 메시지가 시간에 맞추어 자동적으로 환자의 이동통신기기로 전송되어 정확하게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한 복약 지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한 복약 지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한 복약 지도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한 복약 지도 시스템은,
환자의 처방전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처방전 접수부;
상기 환자의 정보, 약을 복용하는 방법인 용법 정보 및 용법에 대한 메시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처방전 접수부에서 입력받은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환자에 대한 용법 정보를 이동 통신을 이용한 복약지도에 적합한 메시지로 변환하고, 해당 환자의 복약 시간을 계산하여 복약하기 일정 시간 전에 상기 메시지를전송하는 복약 지도 서비스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한 복약 지도 방법은,
환자의 처방전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받은 처방전에 관한 정보를 이동통신을 이용한 복약지도에 적합한 메시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해당 환자의 복약 시간을 계산하고, 복약하기 일정 시간 전에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러한 본 발명을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기기를 이용한 복약지도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을 이용한 복약지도 시스템은, 표시부(170), 처방전 접수부(110), 복약지도 서비스부(13), 데이터베이스(12) 및 인터넷망(140), SMS 서버(150), 고객 핸드폰(160)을 크게 포함하고, 세부적으로 복약지도 서비스부(13)는 약국 서버(120), 자동 스케쥴러(130) 및 메시지 변환부 (124)를 포함하고, 데이터베이스(12)는 환자 DB(121), 용법 DB(122), 메시지 DB (123)를 포함한다.
처방전 접수부(110)는 처방전을 입력받으며, 사용자로부터 처방전의 정보를 입력받아 약국 서버(120)로 전달한다. 약국 서버(120)로 전달된 데이터 중 복약지도에 필요한 내용을 환자 DB(121) 및 용법 DB(122)에 저장한다. 메시지 변환부 (124)는 약을 복용하는 방법인 용법 정보를 이동통신을 이용한 복약지도에 적합한 메시지로 변환하여 메시지 DB(123)에 저장한다. 이 메시지에는 복약 약물명, 복약시간, 복약시 주의사항, 환자정보, 전송일, 전송시간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자동 스케쥴러(130)는 약국 서버(120)에 의하여 생성된 메시지를 복약시간보다 일정시간 전에 예약이 되어 해당 예약시간에 담당 환자에게 복약지도 메시지를 보내도록 한다. 여기서는 간단한 복약지도 뿐만 아니라 복잡한 복약지도의 경우도 상황에 맞게 다양한 메시지를 생성함으로써 각각 전송되어진다. 또한, 전송 확인 기능, 예약 확인 기능, 예약 취소 기능이 포함된다. 인터넷망(140)은 자동 스케쥴러(130)에서 SMS 서버(150)로 메시지가 전송될 때 사용되어지는 통로로서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인프라를 사용한다. SMS 서버(150)는 자동 스케쥴러(130)와 고객 이동통신 기기(160)를 연결해주는 부분으로 여기에는 SMS 대행업체 서버나 이동통신사 SMS 서버가 포함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자체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고객 이동통신 기기(160)는 처방전 접수부(110)와 약국 서버(120)에 의해 생성되고 자동 스케쥴러(130)에 의해 조절된 후 인터넷망(140)과 SMS 서버(150)를 통해 전달되는 메시지(복약지도)를 수신하는 부분이다. 여기에는 셀룰러폰, PCS폰, 팩스, 전화, E-mail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기기를 이용한 복약지도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기기를 이용한 복약지도 방법을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환자가 처방전 조제를 받기 위해 약국에 오면, 처방전 접수를 먼저 하게 된다(S210).
처방전 접수를 하게 되면, 담당자는 처방전 접수부(110)를 이용하여 약국 서버(120)에 처방전의 각종 정보를 입력한다. 이때, 환자에 관한 정보는 환자 DB(121)에 저장되고, 환자에 대한 약을 복용하는 정보인 용법 정보는 용법DB에 저장이 된다. 이후, 메시지 변환 프로그램인 메시지 변환부(124)가 용법 DB(122)에 저장된 환자의 용법정보를 미리 저장된 메시지로 변환하여 메시지 DB(123)로 저장한다.
처방전 접수가 완료되면, 약국서버(120)는 표시부(170)에 처방전 내용과 복약지도에 이용할 메시지 정보를 표시한다(S220).
그리고 나서, 약사는 환자에게 투약시 이동통신을 이용한 복약지도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가(S230)라고 문의를 하고 환자가 동의하는 경우 핸드폰 번호를 처방전 접수부(110)를 통해 입력하고(S240), 그렇지 않은 경우 서비스를 종료한다.
핸드폰 번호 입력(S240)의 경우, 처방전 접수(S210)시에 입력이 되었으면 추가로 입력할 필요는 없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만 환자에게 물어본다.
약사의 컴퓨터 표시부(170)에 나타난 처방내용과 전달되어질 메시지가 적절한지 다시 한번 검토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내용을 수정한다(S250). 이때, 메시지를 보내는 회수 및 시간 등도 환자의 동의를 얻어 입력하며, 수정된 내용은 용법 정보DB(122)와 메시지 DB(123)에 저장된다.
약사가 완료 버튼을 누르게 되면, 약국서버(120)는 자동 스케쥴러(130)에 해당 메시지를 전달하며(S260), 자동 스케쥴러(130)는 해당 시간에 맞추어 메시지를 SMS 서버(150)에 전송한다. 이때, 메시지의 내용은 일부 삭제될 수 있다. 즉, 전송시간 정보 등은 삭제될 수 있다.
또한, 메시지에는 수신거부 기능을 포함하여 송신하며, 환자로부터 메시지를 그만 보내달라는 요구가 있을 경우(S270), 서비스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자동 스케쥴러(130)에 예약해 놓은 만큼 계속 진행하고(S280) 서비스를 종료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핸드폰에만 국한되지 않고, 셀룰러폰, PCS폰 이외에도 전화, 팩스, e-mail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이동통신을 이용한 복약지도 서비스를 받는 대상자에게 메시지 끝에 간단한 광고를 첨부할 수 있어 마케팅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는 휴대가 간편한 이동통신 기기를 이용해 복약지도를 받음으로 해서 제시간에 약을 복용할 수 있으며 부가적인 정보도 얻을 수 있어 환자 복약 순응도 측면에서 효과가 높아진다. 특히 고혈압이나 당뇨병처럼 복용시간이 철저히 지켜져야 하는 환자에 있어서는 그 효과가 더욱 높아진다.
또한, 이와 같은 형태에서 Call Back 시스템을 추가하여 임상시험에서의 대상자에게 사용되었을 시 대상자의 순응도를 높일 수 있으며, 대상자의 복용 여부를 피드백(Feedback) 받을 수 있다. 이것은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부적합한 대상자가 발생되는 확률이 줄어들기 때문에 비용면에 있어서도 절약할 수 있다.

Claims (9)

  1. 환자의 처방전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처방전 접수부;
    상기 환자의 정보, 약을 복용하는 방법인 용법 정보 및 용법에 대한 메시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처방전 접수부에서 입력받은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환자에 대한 용법 정보를 이동 통신을 이용한 복약지도에 적합한 메시지로 변환하고, 해당 환자의 복약 시간을 계산하여 복약하기 일정 시간 전에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복약 지도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한 복약 지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지도 서비스부는,
    상기 처방전 접수부에서 입력받은 환자정보 및 용법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약국서버;
    상기 용법 정보에 해당하는 미리 정해진 메시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메시지 변환부;
    상기 메시지에 따라 해당 환자가 복약하기 일정 시간 전에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자동 스케쥴러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한 복약 지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환자 DB;
    해당 환자의 약을 복용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인 용법 정보를 저장하는 용법 DB;
    상기 용법 정보가 변환된 메시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시지 DB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한 복약 지도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복약 약물명, 복약시간, 복약시 주의사항, 환자정보, 전송일 및 전송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한 복약 지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지도 서비스부에서 변환한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한 복약 지도 시스템.
  6. 환자의 처방전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처방전 접수부;
    상기 환자의 정보, 약을 복용하는 방법인 용법 정보 및 용법에 대한 메시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처방전 접수부에서 입력받은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환자에 대한 용법 정보를 이동 통신을 이용한 복약지도에 적합한 메시지로 변환하고, 해당 환자의 복약 시간을 계산하여 복약하기 일정 시간 전에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복약 지도 서비스부;
    상기 복약지도 서비스부에서 출력되는 메시지를 단문형태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한 복약 지도 시스템.
  7. 환자의 처방전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받은 처방전에 관한 정보를 이동통신을 이용한 복약지도에 적합한 메시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해당 환자의 복약 시간을 계산하고, 복약하기 일정 시간 전에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한 복약 지도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복약 약물명, 복약시간, 복약시 주의사항, 환자정보, 전송일 및 전송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한 복약 지도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복약 약물명, 복약시간, 복약시 주의사항, 환자정보, 전송일 및 전송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한 복약 지도 방법.
KR1020010077595A 2001-05-09 2001-12-08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한 복약 지도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857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140 2001-05-09
KR20010025140 2001-05-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763A true KR20020085763A (ko) 2002-11-16

Family

ID=27704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595A KR20020085763A (ko) 2001-05-09 2001-12-08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한 복약 지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5763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1827A (ja) * 1997-01-20 1998-08-04 Fujitsu General Ltd 在宅診療用投薬システム
US5983193A (en) * 1996-06-19 1999-11-09 Nokia Mobile Phones Ltd. Patient's nursing apparatus and nursing system
JP2000331080A (ja) * 1999-05-21 2000-11-30 Nippon Distributor Kk 服薬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0012647A (ko) * 2000-08-08 2002-02-20 장용현 온라인을 통한 투약시간알람방법
KR20020046657A (ko) * 2000-12-15 2002-06-21 김좌진 약복용관리시스템과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3193A (en) * 1996-06-19 1999-11-09 Nokia Mobile Phones Ltd. Patient's nursing apparatus and nursing system
JPH10201827A (ja) * 1997-01-20 1998-08-04 Fujitsu General Ltd 在宅診療用投薬システム
JP2000331080A (ja) * 1999-05-21 2000-11-30 Nippon Distributor Kk 服薬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0012647A (ko) * 2000-08-08 2002-02-20 장용현 온라인을 통한 투약시간알람방법
KR20020046657A (ko) * 2000-12-15 2002-06-21 김좌진 약복용관리시스템과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9584B2 (en) Messaging including active response feature
US7809584B2 (en) Message and program system supporting communication
US11240192B2 (en)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nd social network platform
US10229393B1 (en)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enhanced appointment notification service to mobile devices
US20100082391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ppointment messaging
KR20070045611A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US20140236566A1 (en) Computer system and computer implemented method of setting up language translation services
WO2019059520A1 (ko) 지능형 콜백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40104513A1 (en) Schedule sharing method, apparatus, and device
EP4191970A1 (en) E-mail synchroniz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10389881B1 (en) Multimode service communication configuration
KR20020085763A (ko)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한 복약 지도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21782A (ko) 거래정보 데이터 자동 음성 변환 및 이동통신망을 이용한자동 발신 방법
CN111370101A (zh) 一种基于互联网平台的处方流转系统及方法
US20060035666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signals vi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during conversation
JP6336657B1 (ja) 予約通知装置、通知装置、通知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1101096A (ja) 電子メール着信通知装置
US20100210241A1 (en) Method for enabling communications sessions and supporting anonymity
KR1006130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룹 메시지 수신 확인 장치 및방법
JP2003331061A (ja) 医薬情報の通知システム及びこれに使用する電子機器
CN110875088A (zh) 一种患者用药跟踪提醒系统
JP2019074831A (ja) 案内システムおよび案内方法
KR20020015923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전 광고 방법.
KR20020037970A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의약 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01128A (ko) 의약 처방 전 공유를 통한 의약분업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