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850B1 - 복약 일정 수정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약 일정 수정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850B1
KR101839850B1 KR1020150064555A KR20150064555A KR101839850B1 KR 101839850 B1 KR101839850 B1 KR 101839850B1 KR 1020150064555 A KR1020150064555 A KR 1020150064555A KR 20150064555 A KR20150064555 A KR 20150064555A KR 101839850 B1 KR101839850 B1 KR 101839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tion
schedule
patient
terminal
medication sche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5727A (ko
Inventor
김지현
최기환
김영국
박현정
황용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ublication of KR20160065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9/346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G06F19/326
    • G06F19/3418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Abstract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일정 수정 방법은 의료진 단말에 의한 복약 일정 수정 방법에 있어서, 제1 복약 일정을 생성하는 단계; 환자 단말로 상기 제1 복약 일정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제2 복약 일정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복약 일정과 제2 복약 일정을 비교하여 의료진의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복약 일정의 수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약 일정 수정 방법 및 시스템 {Correcting method of taking medicine schedule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복약 일정 수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복약 시간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수정함으로써 환자의 생활습관을 고려하여 복약 일정을 조정하고, 의료진이 환자의 복약 시간을 모니터링하여 효과적인 환자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복약 일정 수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별히 건강한 몇 사람을 제외하고 일생동안 한 번이라도 약을 먹지 않는 사람은 거의 없으며 특정 질환의 경우 일생동안 복약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원래 복약 시간은 약의 성분과 약효 지속 시간에 따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복약을 하여야 기대되는 투약 효과를 볼 수 있지만 매우 번거로워 일반인들의 생활 리듬에 따라 가능한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기상 후. 식 전, 식 후, 취침 전 등으로 지정하여 복약하게 된다.
바쁜 현대 사회의 리듬을 맞추어 생활하다 보면 외출시 약을 잊지 않고, 잘 소지하여 정해진 시간에 맞추어 복약하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또한 외출시 약의 소지를 잊어 복약을 못하거나 정해진 복약 시간을 놓치면 투약 효과가 낮아지며 정해진 투약기간 후 복약되지 않은 약이 오용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복약자에게는 약의 소지, 복약 시간 고지, 복약 확인 등 적절한 복약 지도가 필요하다.
그러나 약을 조제하는 병.의원과 약국 등에서는 조제시에 복약 시간과 방법 등에 대해서만 안내를 해줄 수 있을 뿐 이후의 복약 과정에서는 복용자의 기억과 유념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며 복약자 개개인에게 일일이 정시에 복약 고지를 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개인별로 체질 및 생활습관에 따라 기상시간, 식사시간, 소화능력, 취침시간이 상이하며, 이에 따라 복약 시간도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일괄적인 복약 시간의 지정은 현실적이지 않다.
본 발명은 환자마다 개별적으로 복약시간을 지정하여 환자의 생활습관에 따라 복약 시간을 수정하는 복약 일정 수정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일정 수정 방법은 의료진 단말에 의한 복약 일정 수정 방법에 있어서, 제1 복약 일정을 생성하는 단계; 환자 단말로 상기 제1 복약 일정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제2 복약 일정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복약 일정과 제2 복약 일정을 비교하여 의료진의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복약 일정의 수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일정 수정 시스템은 복약자의 복약 정보를 저장하는 복약 일정 관리 서버; 상기 복약 일정 관리 서버와 상기 복약 정보를 송수신하고, 복약 일정 변경 신청 또는 실제의 복약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부를 구비하는 환자 단말; 및 상기 환자 단말의 상기 복약 일정 변경 신청 또는 실제의 복약 정보에 대한 복약 일정의 변경 여부가 반영된 최종 복약 일정을 상기 복약 일정 관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구비하는 의료진 단말을 포함한다.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일정 수정 방법 및 시스템은 환자가 복약 일정 변경을 요청하고 요청된 변경 사항에 대해 의료진이 합의한 경우에는 변경된 복약 일정에 알람을 설정하여 설정된 시간에 환자가 복약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일정 수정 방법 및 시스템은 의료진이 환자의 실제 복약 정보를 고려하여 복약 일정의 변경을 수락한 경우에는 변경된 복약 일정에 알람을 설정하여 설정된 시간에 환자가 복약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일정 수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일정 관리 서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일정 수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약 일정 수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일정 변경 요청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일정 변경 요청에 대한 의료진의 대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일정 수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일정 수정 시스템은 의료진 단말(100), 복약 일정 관리 서버(200) 및 환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의료진 단말(100) 및 환자 단말(300)은 본 실시예에 따라 복약관리를 위한 의약품 정보 서비스, 의약품 복용 가이드 서비스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device)이며, 예를 들면 휴대폰, PDA폰, PCS, IMT-2000 단말기, 스마트폰(smart phone), 랩톱(laptop) 컴퓨터, 노트패드(notepad) 등의 다양한 형태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의료진 단말(100) 및 환자 단말(300)은 네트워크와 광대역 무선접속으로 상호 연결되어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네트워크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지원하는 2세대뿐만 아니라,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3세대, 또는 그 이상의 무선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환경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의료진 단말(100)은 의료 서비스를 공급하는 의료진에서 사용하는 단말로, 처방전, 복약에 관한 코멘트를 입력하여 복약 일정 관리 서버(20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환자 단말(300)은 의료 서비스를 공급받는 환자측에서 사용하는 단말로, 복약 일정의 수신 및 확인, 의료진 단말(100)에 의한 코멘트의 확인, 복약 일정의 변경 신청, 실제 복약 내용의 입력, 변경된 복약 스케쥴 수신 및 디스플레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복약 일정 관리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의료진 단말(100) 및 환자 단말(30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일측 단말에서 정보를 수신하여 필요한 경우 이를 저장하고 타측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복약 일정 관리 서버(200)는 환자의 인식 정보, 예를 들어, 성별, 나이, 전화번호, 과거 복약 이력 정보, 처방전 및 의약품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복약 일정 관리 서버(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일정 관리 서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일정 관리 서버(200)는 통신부(210), FDB(220), 오더 마스터(230), eMAR 메모리(240) 및 스케쥴 마스터(2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의료진 단말(100) 및 환자 단말(30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일측 단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복약 일정 관리 서버(200)로 수신하여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 타측 단말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FDB(220)는 폼(Form), 루트(Route:약의 체내 흡수 경로), 약의 복용 시간, 시간 간격 등 복약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오더 마스터(230)는 상기 FDB(220)의 정보를 기반으로 복약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이다.
eMAR(전자 약물 관리 기록: Electronic Medication Administration Record) 메모리(240)는 환자가 약을 복용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복용한 시간, 복용한 약명, 복용한 분량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스케쥴 마스터(250)는 환자의 최종 복약 일정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이다. 또한 스케쥴 마스터(250)는 환자의 인식 정보, 예를 들어, 나이, 성별, 전화번호, 과거 복약 이력 정보, 처방전 및 의약품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단말(300)은 입력부(310), 제어부(320), 메모리(330), 표시부(340), 통신부(350) 및 알람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1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31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320)는 환자 단말(3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320)는 필기 입력 또는 터치 입력을 문자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메모리(330)는 제어부(32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340)는 환자 단말(3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환자 단말(300)이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환자 단말(300)이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표시부(3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34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표시부(34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표시부(34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350)는 환자 단말(3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5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에서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환자 단말(3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알람부(360)는 환자 단말(3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360)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표시부(340)나 음성 출력 모듈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이상은 환자 단말(300)의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이었으나, 의료진 단말(100)에도 적어도 일부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일정 수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처음으로, 의료진 단말(100)은 처방전을 입력하고(S101), 통신부를 통해 이를 복약 일정 관리 서버(200)로 전달한다. 전달되는 처방전에는 복약 약물명, 복약시간, 복약시 주의사항, 환자정보, 전송일, 전송시간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처방전은 복약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의 스캔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복약 일정 관리 서버(200)는 처방전을 수신하여 이를 서버(200)에 저장하고 환자 단말(300)로 전달한다(S102). 다음으로, 환자 단말(300)은 수신한 처방전을 저장하고(S103), 이를 환자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한다(S104).
다음으로 환자 단말의 사용자는 표시부에 표시된 처방 내용에서 복약 일정의 변경을 요청한다(S105). 복약 일정의 변경 요청은 환자가 입력한 복약 시간에 근거하여 생성될 수 있고, 환자에 의해 임의로 입력된 시간에 근거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복약 일정의 변경 사항은 예를 들어, 복약 시간, 복약량의 변경일 수 있다. 복약하는 환자의 개인적인 생활 주기, 나이, 복약 이력 등에 따라 환자 개개인에 적합한 복약 일정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복용 기간 동안 병세가 조금씩 호전되어, 복욕량을 줄이고자 하는 경우에도 복약 일정의 변경을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환자가 복약 일정의 변경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한 복약 일정대로 약을 복용할 수도 있다.
필요한 경우 환자는 환자 단말(300)을 통해 복약 일정의 변경 요청에 대한 이유를 작성하여 의료진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에 의해 입력된 복약 일정의 변경 요청은 환자 단말(300)로부터 통신부(350)를 통해 복약 일정 관리 서버(200)로 전달되고, 복약 일정 관리 서버(200)는 환자 단말(300)로부터의 변경 요청의 내용을 저장하고, 이를 의료진 단말(100)로 전달한다(S106).
의료진 단말(100)은 복약 일정 변경 요청 내용을 수신하여 표시부에 이를 표시하고(S107), 의료진은 복약 일정 변경 요청 내용과 환자의 나이, 복약 이력, 신체 특성 등을 고려하여 복약 일정 변경 요청의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S108).
의료진이 환자의 복약 일정 변경 요청을 승인하지 않는 경우에는 피드백으로 복약 일정 변경 불가에 대한 이유 또는 코멘트를 작성하고, 복약 일정 관리 서버(200)는 이를 환자 단말(300)로 전달한다(S109). 환자 단말(300)은 이를 수신하여 수신한 내용을 표시부(340)에 표시한다(S110).
의료진이 환자의 복약 일정 변경 요청을 승인하는 경우에는 복약 일정 변경 요청의 승인에 의해 복약 일정 관리 서버(200)가 변경된 복약 일정을 저장하고, 변경된 복약 일정을 환자 단말(300)로 전달한다(S111). 환자 단말(300)은 이를 수신하여 변경된 복약 일정을 표시부(340)에 표시한다(S112).
복약 일정의 수정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본래의 복약 일정과 신청된 복약 일정간의 시간차이를 계산하여 시간 차이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 본래의 복약 일정과 신청된 복약 일정을 의료진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고, 의료진 단말(100)은 이를 수신하여 복약 신청에 대한 승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복약 일정의 수정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본래의 복약 일정과 신청된 복약 일정간의 시간차이를 계산하여 시간 차이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 미리 정해진 기준에 근거하여 프로세서(260)에 의해 수정된 복약 일정을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자동적으로 생성된 복약 일정은 의료진 단말(100)로 전달되고, 의료진 단말(100)로부터 수정된 복약 일정에 대한 확인을 수신하는 것으로 복약 일정의 수정이 완료?? 수도 있다.
상기의 과정에 의해 결정된 복약 시간에 음성 또는 문자의 조합으로 알람에 의해 복약 시간을 환자 단말(300)로 고지한다. 또한 환자 단말(300)의 설정에 의해 복약 알림 서비스를 비활성 상태로 하거나 서비스 제공을 거부할 수도 있다. 알람은 환자의 복약 시간을 고려하여 복약 시간에 복약이 필요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환자 단말(300)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약의 종류, 환자의 병명에 따라 해당하는 병원 및 의료 기기의 광고를 복약 일정 메시지에 첨부할 수 있어 마케팅에 이용할 수도 있다. 또는 병명의 기본 정보, 증상, 원인, 합병증, 예방, 치료에 효과적인 음식, 체조, 지압 등의 정보를 나타내는 인터넷 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해당 사이트로 연결되어 원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약 일정 수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의료진 단말(100)은 처방전을 입력하고(S201), 통신부를 통해 이를 복약 일정 관리 서버(200)로 전달한다. 전달되는 처방전에는 복약 약물명, 복약시간, 복약시 주의사항, 환자정보, 전송일, 전송시간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복약 일정 관리 서버(200)는 처방전을 수신하여 이를 서버에 저장하고 환자 단말(300)로 전달한다(S202). 다음으로, 환자 단말(300)은 수신한 처방전을 저장하고(S203), 이를 환자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한다(S204).
다음으로 환자 단말(300)은 정해진 복약 시간에 알람을 통해 복약 시간을 알리고 복약 여부의 체크를 입력하는 창이 환자 단말(300)의 표시부에 표시된다(S205). 복약 시간에 복약 여부가 체크되지 않았고, 그 이후에 환자가 약을 복용한 경우, 환자는 일정 시간의 경과 후에 복약 스케쥴 항목에서 복용한 약을 체크하여 복약 일정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약 시간의 전에도 환자가 복용한 경우에는 복약 스케쥴 항목에서 복약 사실과 복용한 시간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를 복약 일정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복약 정보 입력의 신뢰성을 위해 복약 여부의 체크는 당일과 하루 전 날짜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에 의해 입력된 복약 일정의 정보는 통신부를 통해 복약 일정 관리 서버(200)로 전송되어 저장되고, 복약 일정 관리 서버(200)는 환자에 의해 입력된 복약 일정을 의료진 단말(100)로 전달한다(S206).
구현예에 따라서는, 복약 일정 관리 서버(200)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환자로부터 복약 일정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복약 일정의 평균이 원래의 복약 일정과 소정 시간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복약 일정의 평균을 의료진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약의 복용 시간이 13시였으나, 환자가 A 약을 3일 동안 13시, 14시, 15시에 복용하였고, 13시, 14시 및 15시의 평균인 14시가 소정 시간 이상이면, 14시를 나타내는 복약 일정을 의료진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의료진 단말(100)은 실제의 복약 일정을 복약 일정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부에 이를 표시하고(S207), 의료진은 복약 일정 변경 요청 내용, 환자의 나이, 복약 이력, 신체 특성 등을 고려하여 변경 요청의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S208).
의료진이 환자의 복약 일정과 상황을 고려하여 환자의 복약 내용의 변경을 승인하지 않는 경우에는 복약 일정 변경 불가에 대한 이유 또는 코멘트를 작성하고, 복약 일정 관리 서버(200)는 이를 환자 단말(300)로 전달한다(S209). 환자 단말(300)은 이를 수신하여 수신한 내용을 표시부에 표시한다(S210).
의료진이 환자의 복약 일정을 새로운 복약 일정으로 승인하는 경우에는 복약 일정 관리 서버(200)가 승인된 변경 일정을 저장하고, 변경된 복약 일정을 환자 단말(300)로 전달한다(S211). 또한 환자 단말(300)은 이를 수신하여 변경된 복약 일정을 표시부에 표시한다(S212).
상기의 과정에 의해 결정된 복약 시간에 음성 또는 문자의 조합으로 알람이 설정되어 복약 시간을 환자 단말(300)로 고지한다. 또한 환자 단말(300)의 설정에 의해 복약 알림 서비스를 비활성 상태로 하거나 서비스 제공을 거부할 수도 있다.
알람은 환자의 복약 시간을 고려하여 복약시간에 복약이 필요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음성 또는 문자의 조합으로 환자 단말(300)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일정 변경 요청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단말(300)에는 현재의 복약 일정이 표시되어 있고, 해당 복약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되어 있다. 환자가 환자 단말(300)을 통해 복약 일정의 변경을 요청하는 경우 복약 일정 변경 아이콘을 선택하면 변경을 원하는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의 복약시간이 표시될 수도 있다.
변경을 원하는 복약 시간의 입력이 완료되면, 복약 일정 관리 서버(200)를 통해 의료진 단말(100)로 해당 내용이 전달된다.
도 7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일정 변경 요청에 대한 의료진의 대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진 단말(100)에는 환자의 현재 복약 일정과 변경을 원하는 복약 일정 시간이 표시된다. 또한 선택을 통해 환자의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의료진이 환자의 복약 일정 변경 요청을 수락하면, 환자의 복약 일정 요청 시간대로 복약 시간이 재설정된다. 이에 따라 재설정된 복약 시간에 환자 단말(300)로 알람이 울리게 된다. 또한 의료진이 환자의 복약 일정 변경 요청을 수락하지 않으면, 환자의 복약 일정 요청 시간이 반영되지 않고, 종래의 복약 일정이 유지된다.
환자의 복약 일정 변경 요청을 수락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의료진은 필요한 경우에 코멘트를 작성하여 환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에 의해 의료진과 환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고, 환자 개인에 적합한 복약 일정을 조정할 수 있으며, 환자의 복약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의료진 단말
200: 복약 일정 관리 서버
210: 통신부
220: FDB
230: 오더 마스터
240: 전자 약물 관리 기록 메모리
250: 스케쥴 마스터
300: 환자 단말
310: 입력부
320: 제어부
330: 메모리
340: 표시부
350: 통신부
360: 알람부

Claims (18)

  1. 복약 일정 관리 서버에 의한 복약 일정 수정 방법에 있어서,
    환자에 대해 처방되는 약의 복약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복약 일정을 생성하는 단계;
    환자 단말로 상기 제1 복약 일정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환자가 임의로 생성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복약 일정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복약 일정과 제2 복약 일정을 비교하여 의료진의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복약 일정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복약 일정을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복약 일정과 상기 제2 복약 일정 간에 시간차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시간차가 소정 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차가 소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복약 일정과 상기 제2 복약 일정을 의료진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일정 수정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의료진 단말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복약 일정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일정 수정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복약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의 스캔에 의해 상기 제1 복약 일정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일정 수정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진 단말로부터 수정된 제3 복약 일정을 복약 일정 관리 서버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약 일정 관리 서버는 상기 제3 복약 일정에 따라 환자의 복약 일정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복약 일정 관리 서버는 상기 제3 복약 일정을 상기 환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일정 수정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차가 소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복약 일정과 상기 제2 복약 일정에 근거하여 수정된 제3 복약 일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3 복약 일정을 의료진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일정 수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진 단말로부터 상기 제3 복약 일정에 대한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3 복약 일정에 따라 환자의 복약 일정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3 복약 일정을 상기 환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일정 수정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의료진 단말에서 상기 복약 일정 변경 요청을 승인하는 경우, 변경된 최종 복약 일정을 스케쥴 마스터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일정 수정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의료진 단말에서 상기 복약 일정 변경 요청을 승인하는 경우, 수정된 제3 복약 일정에 따라 상기 환자 단말로 알람이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일정 수정 방법.
  13. 환자 단말로 환자에 대해 처방되는 약의 복약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복약 일정을 송신하고, 환자 단말로부터 환자가 임의로 생성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복약 일정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1 복약 일정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복약 일정과 상기 제2 복약 일정 간에 시간차를 계산하여, 상기 시간차가 소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복약 일정과 제2 복약 일정을 비교하여 상기 제1 복약 일정을 수정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일정 관리 서버.
  14. 환자에 대해 처방되는 약의 복약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복약 일정을 저장하는 복약 일정 관리 서버;
    상기 복약 일정 관리 서버와 상기 제1 복약 일정을 송수신하고, 환자가 임의로 생성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복약 일정으로의 복약 일정 변경 신청 또는 실제의 복약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부를 구비하는 환자 단말; 및
    상기 환자 단말의 상기 복약 일정 변경 신청 또는 실제의 복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복약 일정으로부터 변경된 최종 복약 일정을 상기 복약 일정 관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구비하는 의료진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일정 수정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일정 관리 서버는 폼(Form), 루트(Route:약의 체내 흡수 경로), 약의 복용 시간, 시간 간격 등 복약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F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일정 수정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일정 관리 서버는 상기 FDB의 정보를 기반으로 복약에 대한 환자 개인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오더 마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일정 수정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일정을 저장하는 전자 약물 관리 기록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일정 수정 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복약 일정을 저장하는 스케쥴 마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일정 수정 시스템.
KR1020150064555A 2014-12-01 2015-05-08 복약 일정 수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839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57,229 US20160154945A1 (en) 2014-12-01 2014-12-01 Method and system for changing medicine-taking schedule
US14/557,229 2014-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727A KR20160065727A (ko) 2016-06-09
KR101839850B1 true KR101839850B1 (ko) 2018-03-20

Family

ID=56079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555A KR101839850B1 (ko) 2014-12-01 2015-05-08 복약 일정 수정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154945A1 (ko)
KR (1) KR1018398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68423B2 (ja) * 2017-03-14 2021-05-12 オムロン株式会社 投薬支援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56569B2 (ja) * 2017-09-01 2021-11-02 株式会社くすりの窓口 残薬管理装置および残薬管理システム
US20200043582A1 (en) * 2018-08-03 2020-02-06 Immutrack Llc Immunization tracking and notification methods and systems
US10825559B1 (en) 2019-09-03 2020-11-03 Anna Noel Hopen Interiorly positioned machine-readable data labels for prescription compliance
KR102509959B1 (ko) * 2021-03-03 2023-03-1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 전후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US20230063803A1 (en) * 2021-08-27 2023-03-02 Lumio Health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medication usa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5378A (ja) * 2008-05-30 2010-01-14 Yuyama Manufacturing Co Ltd 与薬管理システム
KR101365476B1 (ko) * 2010-11-22 2014-02-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약복용 이력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5509B1 (en) * 2000-03-10 2011-11-08 Walker Digital,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and/or for monitoring a party's compliance with a schedule for taking medicines
US20030110060A1 (en) * 2001-12-12 2003-06-12 Clementi William A. Method of providing comprehensive drug compliance information
US20030234258A1 (en) * 2002-06-25 2003-12-25 Dean Stephens Medicine compliance system
US20080006700A1 (en) * 2006-07-06 2008-01-10 Zume Life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d scheduling medicine intake
US20090259486A1 (en) * 2008-04-09 2009-10-15 Panasonic Corporation Patient centric medication dispensing device
US20100185456A1 (en) * 2008-08-22 2010-07-22 Microsoft Corporation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US20120165975A1 (en) * 2010-09-13 2012-06-28 Ipcomm Llc Medication Compliance Monitor - Method and Apparatus
US20120078649A1 (en) * 2010-09-23 2012-03-29 Terry Lee Mushrush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recording patient compliance
US9542533B2 (en) * 2012-09-07 2017-01-10 Miteshkumar Ishwarbhai Patel Medication dosage dispensing system and methods having customization and modification for medicine dispensing configurations
US20140277705A1 (en) * 2013-03-14 2014-09-18 Ipcomm Llc Medication Compliance Monitor - Method and Apparatus
US20160026765A1 (en) * 2013-03-15 2016-01-28 Phd Preventative Health Care And Diagnostics, Inc. Immunotherapy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50006192A1 (en) * 2013-06-26 2015-01-01 WellDo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linical decision-mak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5378A (ja) * 2008-05-30 2010-01-14 Yuyama Manufacturing Co Ltd 与薬管理システム
KR101365476B1 (ko) * 2010-11-22 2014-02-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약복용 이력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727A (ko) 2016-06-09
US20160154945A1 (en)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850B1 (ko) 복약 일정 수정 방법 및 시스템
US11574721B2 (en) Matching delayed infusion auto-programs with manually entered infusion programs
US11823791B2 (en) Context-aware healthcare notification system
EP2850589B1 (en) Mobile device access for medical devices
US8517990B2 (en) User interface improvements for medical devices
US20160180045A1 (en) Wireless beacon devices used to track medical information at a hospital
KR101996354B1 (ko)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12208862A (ja) 服薬管理システム、服薬管理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法、及び、服薬管理プログラム
US2013009693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atient Self-Management
US202304021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ensing medications based on proximity to an electronic medication storage cabinet
KR20160051534A (ko) 복약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시스템 및 방법
AU2020203449B2 (en) Context-aware healthcare notification system
TW202202182A (zh) 具有警示管理器之輸注泵
US20200013515A1 (en) Drug interaction checking tool
KR102072120B1 (ko) 서버, 서버의 제어 방법,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