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959B1 - 수술 전후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술 전후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9959B1 KR102509959B1 KR1020210028403A KR20210028403A KR102509959B1 KR 102509959 B1 KR102509959 B1 KR 102509959B1 KR 1020210028403 A KR1020210028403 A KR 1020210028403A KR 20210028403 A KR20210028403 A KR 20210028403A KR 102509959 B1 KR102509959 B1 KR 1025099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patient
- surgery
- terminal
- manage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chanical, radiation or invasive therapies, e.g. surgery, laser therapy, dialysis or acupuncture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ractices or guideline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eth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 전후 관리방법은,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환자에 대한 약제 처방을 포함하는 진료 상태를 수술 전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환자의 의료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의료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에 대한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환자에 대하여 시행된 수술에 대한 수술기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수술기록 정보와 상기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는, 상기 환자에게 예정된 수술이 시행되기 이전 시점에서 상기 환자가 상기 수술 전후에 준수해야하는 복약 가이던스(guidance)를 포함하는 정보이고,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는, 상기 환자에게 예정된 수술이 완료된 이후 시점에서 상기 환자가 준수해야하는 복약 가이던스(guidance)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술 전후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술 전후 환자의 약제 처방을 포함하는 진료 상태를 관리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술 전후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의료 행위를 수행함에 있어서, 소정의 질병이나 외상에 의한 환자를 치료할 목적으로 상기 환자의 피부나 점막을 절개하여 시술을 수행하는 외과적 치료행위 즉, 수술이 빈번하게 시행되고 있다.
이때, 이러한 수술이 요구되는 환자가 당뇨병이나 심장질환 등과 같은 지병으로 인하여 지속적인 투약 또는 복약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면, 수술 전후에 걸쳐서 해당하는 약제에 대한 별도의 처방 관리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환자가 클로피도그렐이나 아스피린을 포함하는 항혈전제를 지속적으로 복용하는 경우, 이러한 항혈전제는 대량의 출혈이 동반되는 수술을 수행하기에 앞서 복용을 중단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하여 환자의 수술을 담당하는 외과 측에서는, 상기 환자에 대한 수술을 수행하기 이전에 해당 환자가 복용 중인 약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에 대한 복용 중단 여부, 복용 중단 시점이나 해당하는 약제에 대한 재복용 시점을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에는, 위와 같이 결정된 수술 전후 환자에 대한 복약 가이던스(guidance)를 전자의무기록(EMR) 등에 기초한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Clinical decision supporting system, CDSS)을 이용하여 상기 외과 측과 상기 환자에게 약제를 처방하는 내과 측이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서는, 병원별로 폐쇄적으로 동작하는 전자의무기록(EMR)에 기반하는 등의 이유로 상기 환자의 수술을 담당하는 외과 측과 상기 환자의 약제 처방을 담당하는 내과 측 간의 의사소통에 상당한 절차적 리스크가 존재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자세히, 종래에는 상술된 바와 같은 CDSS 시스템을 이용하여 외과 측에서 상기 CDSS 시스템에 기반한 커뮤니케이션을 중계하는 소정의 서버로 상기 환자에 대한 복약 가이던스를 포함하는 일련의 정보들을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서버가 상기 수신된 일련의 정보들을 해당하는 내과 측으로 전달하여 주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일련의 정보들을 수신한 내과 측에서 또한 마찬가지로, 상술된 서버를 거쳐 상기 외과 측으로 해당하는 환자에 대한 일련의 정보들을 송신하고 있어, 환자의 수술 전후 복약 가이던스 등을 포함하는 정보들을 외과 측과 내과 측에서 상호 교환하는데 필요한 프로세스가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방식에서는, 위와 같이 상당한 절차가 요구되는 과정으로 인하여 신속하거나 정확하지 못한 커뮤니케이션의 한계로 인해 해당하는 환자에 대한 약제 처방관리에 대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한 환자안전사고가 유발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방식에서는, 상기 환자에 대한 복약 가이던스와 같이 해당 수술의 대상이 되는 환자가 수술 전후에 유의해야 하는 요소들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정보를 확인하고 스스로 자신의 상태를 관리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이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환자의 수술 및 약제 처방에 관련된 관계자들이 해당 환자의 수술 전후 복약 가이던스와 같은 일련의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공유함과 동시에, 수술 전후에 환자가 유의하고 있어야 하는 요소들(예컨대, 복용 중인 약제의 종류, 복용 목적, 복용 기간, 복용 일시, 마지막 복용일, 복용중단 일시 및/또는 복용 재시작 일시 등)을 해당하는 환자 스스로도 용이하게 확인하고 관리하게 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술 전후 환자의 약제 처방을 포함하는 진료 상태를 관리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술 전후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 전후 관리방법은,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환자에 대한 약제 처방을 포함하는 진료 상태를 수술 전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환자의 의료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의료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에 대한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환자에 대하여 시행된 수술에 대한 수술기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수술기록 정보와 상기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는, 상기 환자에게 예정된 수술이 시행되기 이전 시점에서 상기 환자가 상기 수술 전후에 준수해야하는 복약 가이던스(guidance)를 포함하는 정보이고,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는, 상기 환자에게 예정된 수술이 완료된 이후 시점에서 상기 환자가 준수해야하는 복약 가이던스(guidance)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이때, 상기 의료정보는, 상기 환자가 복용 중인 약제에 대한 복약정보, 상기 환자에게 예정된 수술에 대한 수술정보 및 상기 수술에 영향 가능성이 있는 상기 환자의 건강 관련 정보인 환자 진단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가 복용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 중에서 상기 수술 전 소정의 기간동안 복용을 중지해야 하는 복용중단 약제에 대한 복용중단 약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용중단 약제를 중단하는 시점에 대한 복용중단 시점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수술 후 상기 복용중단 약제를 재복용하는 임시 시점에 대한 재복용 개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술기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에 대하여 시행된 수술에 대한 수술정보, 수술 소요시간 정보, 수술 특이사항 정보, 수술 중 출혈 상황정보 및 집도의 추천 재복용 시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수술 후 상기 복용중단 약제를 재복용하는 확정 시점에 대한 확정 재복용 개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 전후 관리방법은,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에 따른 재처방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 전후 관리방법은,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와 상기 재처방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학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단말, 상기 환자에 대한 수술 관계자의 단말 및 상기 환자에 대한 약제 처방 관계자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단말, 상기 환자에 대한 수술 관계자의 단말 및 상기 환자에 대한 약제 처방 관계자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 전후 관리방법은, 상기 환자를 특정하는 환자 식별코드에 매칭하여 생성되는 대화방으로서, 상기 단말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이 접속하여 상호 메시지를 교환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가상의 공간인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을 기초로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을 기초로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 전후 관리 시스템은, 환자에 대한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 및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환자에 대한 약제 처방을 포함하는 진료 상태를 수술 전후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환자의 의료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의료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에 대한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환자에 대하여 시행된 수술에 대한 수술기록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수술기록 정보와 상기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딥러닝을 이용하여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 전후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은, 수술 전후 환자의 약제 처방을 포함하는 진료 상태를 관리하고 모니터링함으로써, 환자에 대한 약제 처방관리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해당하는 환자가 수술 전후 시점에서 소정의 약제를 오복용하거나 미복용하는 등의 이유로 발생할 수 있는 의료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 전후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은, 환자의 수술 및 약제 처방에 관련된 관계자들(실시예에서, 환자의 수술을 담당하는 외과 측과 상기 환자의 약제 처방을 담당하는 내과 측 등)이 수술 전후 환자의 약제 처방 등에 관련된 진료 상태를 명확하고 편리하게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서로 다른 관계자(실시예에서, 외과 관계자와 내과 관계자 등) 간의 의사소통 오류로 인한 환자 의료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 전후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은, 수술 전후 환자의 약제 처방을 포함하는 진료 상태를 환자 측에서도 확인 가능하게 함으로써, 해당하는 환자 스스로가 수술 전후에 유의해야 하는 요소들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정보를 확인하고 자신의 상태를 관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 전후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 전후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에 기초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Clinical decision supporting system, CDSS) 서비스에 기초한 협진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에 기초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 전후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에 기초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Clinical decision supporting system, CDSS) 서비스에 기초한 협진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에 기초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 전후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 전후 관리 시스템은, 수술 전후 환자의 약제 처방을 포함하는 진료 상태를 관리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술 전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수술 전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술 전후 관리 시스템은, 단말(100),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 및 병원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 및 병원 서버(300)는,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100),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 및/또는 병원 서버(300) 등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수술 전후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는 단말(100),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 및 병원 서버(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 단말(100: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상기 수술 전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술 전후 관리 애플리케이션(이하, 수술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소정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술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수술과용 애플리케이션, 처방과용 애플리케이션 및 환자용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술과용 애플리케이션, 처방과용 애플리케이션 및 환자용 애플리케이션은, 단일 애플리케이션이나 사용 주체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기능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수술과용 애플리케이션, 처방과용 애플리케이션 및 환자용 애플리케이션은, 단일 애플리케이션이나 사용자(실시예로, 외과의사, 내과의사 또는 환자 등)의 계정에 따라서 서로 다른 권한을 부여하고 기능 동작하는 점을 구별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상기 수술과용 애플리케이션은, 수술 전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환자의 의료기록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 기능, 환자의 수술 등과 관련된 진료 보조 콘텐츠 제공 기능 및/또는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Clinical decision supporting system, CDSS)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처방과용 애플리케이션은, 수술 전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에 더하여, 환자의 의료기록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 기능, 환자에 대한 약제 처방 등과 관련된 진료 보조 콘텐츠 제공 기능 및/또는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Clinical decision supporting system, CDSS)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서 상기 처방과용 애플리케이션은, 환자 식별코드(예컨대, 환자 계정 및/또는 환자 식별번호 등)에 기반하여 해당하는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를 외부의 컴퓨팅 장치(실시예로, 타 단말(100),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 및/또는 병원서버 등)로 송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환자용 애플리케이션은, 수술 전후 관리 서비스와 함께, 해당하는 환자의 병원진료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관련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돌아와서, 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수술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100)은, 환자의 수술을 담당하는 의료인(실시예에서, 외과의사)이 사용하는 수술과 단말(100-1)과, 상기 환자에 대한 약제 처방을 담당하는 의료인(실시예에서, 내과의사)이 사용하는 처방과 단말(100-2)과, 상기 환자가 사용하는 환자 단말(100-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술과 단말(100-1), 처방과 단말(100-2) 및 환자 단말(100-3)은, 사용 주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성요소나 기능 동작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수술과 단말(100-1)에는 상기 수술과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처방과 단말(100-2)에는 상기 처방과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환자 단말(100-3)에는 상기 환자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수술과 단말(100-1) 및 처방과 단말(100-2)은, 동일 의료기관의 단말(100)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의료기관의 단말(100)일 수도 있다.
자세히, 실시예로 상기 수술과 단말(100-1) 및 처방과 단말(100-2)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의료기관의 단말(100)일 수 있고, 그 외 나머지는 상기 제 1 의료기관 이외의 타 의료기관인 제 2 의료기관의 단말(100)일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상기 수술과 단말(100-1)과 상기 처방과 단말(100-2)이 서로 다른 의료기관(예컨대, 1차병원-1차병원 또는 1차병원-3차병원 등)의 단말(100)인 경우에도, 상술된 수술 전후 관리 서비스를 통하여 상호 연동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상기 수술과 단말(100-1)과 상기 처방과 단말(100-2)은, 동일 의료기관이나 서로 다른 의료기관 모두에서 상호 연동 가능함으로써, 동일 의료기관 내 수술과와 처방과 간의 협진을 도모함과 동시에, 서로 다른 의료기관 간의 환자 협진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술과 단말(100-1)과 상기 처방과 단말(100-2)이 동일 의료기관의 단말(100)인 것에 기준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의료기관의 단말(100)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다.
한편, 하드웨어적 관점에서 단말(100)은, 수술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101) 및/또는 데스크탑 타입 컴퓨팅 장치(10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101)는, 수술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폰이나 테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101)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디지털방송용 단말(100)이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tablet P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데스크탑 타입 컴퓨팅 장치(102)는, 수술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고정형 데스크탑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울트라북(ultrabook)과 같은 퍼스널 컴퓨터 등과 같이 유/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수술 전후 관리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능적 관점에서 단말(100)은, 외부의 장치(예컨대, 타 단말(100),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 및/또는 병원 서버(300) 등)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과, 수술 전후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Memory)들과,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들을 포함할 수 있다.
-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는, 수술 전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는, 단말(100)과 같은 외부의 장치에서 수술 전후 관리 프로세스가 구동되게 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외부의 장치와 교환함으로써 상기 수술 전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는, 외부의 장치(실시예에서,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101) 및/또는 데스크탑 타입 컴퓨팅 장치(102) 등)에서 수술 전후 관리 서비스가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는, 수술 전후 관리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는,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Deep-learning Neural Network)와 연동하여 수술 전후 관리 서비스를 위한 각종 딥러닝(Deep Learn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는,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에 직접 설치되거나,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와는 별개의 장치로서 동작하여 상기 수술 전후 관리 서비스를 위한 딥러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가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에 직접 설치되어 딥러닝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는, 상기 딥러닝을 수행하기 위해 구축되어 있는 소정의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 구동 프로그램을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독출된 소정의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 시스템에 따라 하기 기술하는 딥러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는, 외부의 컴퓨팅 장치(실시예에서, 단말(100) 및/또는 병원 서버(300) 등)로부터 환자의 의료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는, 상기 획득된 환자의 의료정보를 기초로, 해당하는 환자가 수술 전후 시점에서 준수해야하는 복약 가이던스(guidance)를 포함하는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는, 위와 같이 생성된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외부의 컴퓨팅 장치(실시예에서, 단말(100) 및/또는 병원 서버(300) 등)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는, 환자에 대한 수술이 시행된 이후에, 상기 시행된 수술과 관련하여 획득되는 수술기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는, 상기 획득된 수술기록 정보와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환자가 수술을 받은 이후에 준수해야하는 복약 가이던스를 포함하는 수술 후 관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는, 상기 생성된 수술 후 관리정보를 외부의 컴퓨팅 장치(실시예에서, 단말(100) 및/또는 병원 서버(300) 등)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는, 위와 같이 생성된 수술 후 관리정보에 기초하여 상술된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학습(Training)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는, 수술 전후 관리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로,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는, 환자의 의료정보(실시예에서, 복약정보, 수술정보 및/또는 환자 진단정보 등),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실시예에서, 복용중단 약제정보, 복용중단 시점정보 및/또는 재복용 개시정보 등), 환자 식별코드, 환자별 수술과-처방과 대화방 정보, 협진 메시지, 수술기록 정보,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실시예에서, 확정 재복용 개시정보 등) 및/또는 재처방 정보 등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가 외부의 장치에서 수술 전후 관리 서비스가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Deep-learning Neural Network)와 연동하여 수술 전후 관리 서비스를 위한 각종 딥러닝(Deep Learning)을 수행하며, 환자의 의료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환자의 의료정보를 기초로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외부의 컴퓨팅 장치로 제공하고, 환자에 대하여 시행된 수술과 관련한 수술기록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수술기록 정보와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수술 후 관리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수술 후 관리정보를 외부의 컴퓨팅 장치로 제공하며, 위와 같이 생성된 수술 후 관리정보에 기초하여 상술된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학습(Training)시키고, 상기 수술 전후 관리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가 수행하는 기능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의 장치(예컨대, 단말(100) 등)에서 수행할 수도 있고, 상기 외부의 장치에서 수행하는 기능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에서 더 수행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는, 외부의 장치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과, 수술 전후 관리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Memory)와,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소정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Memory)는, 수술 전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운영체제(OS),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 명령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100)을 부팅하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기능요소들 사이에 연계될 수 있으며, 데이터 영역은, 단말(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메모리는,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일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단말(100) 상에 탈착 가능한 형태의 기록매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Processor)는, 수술 전후 관리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전술한 각 유닛(unit)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는, 중앙처리장치(CPU) 및/또는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이 포함된 단말(100)에 적합한 시스템 온 칩(SOC)일 수 있으며, 메모리에 저장된 운영체제(OS)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실행할 수 있고, 단말(100)에 탑재된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각 구성요소와 내부적으로 시스템 버스(System Bus)에 의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로컬 버스(Local Bus)를 비롯한 소정의 버스 구조들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 병원 서버(300: Hospital serv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서버(300)는, 해당하는 병원별 환자의 진료 이력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의료 관련 정보들에 기반한 환자진료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병원 서버(300)는, 병원별 전자의무기록(EMR) 및/또는 전자건강기록(EHR) 시스템에 기반한 환자진료정보를 획득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의무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이란, 기존의 종이에 기재하는 환자차트를 전산화한 것으로서, 환자의 인적사항, 과거 병력, 진단 기록, 치료 내용, 복약 지도 기록, 복용 약물 기록, 수술 기록, 입퇴원 기록 및 외래 진료 사항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전자의무기록(EMR)은,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정보에 대한 보안이 중요하므로, 각 병원별 병원 서버(3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건강기록(EHR: Electronic Health Record)이란, 환자의 진료 관련 데이터를 획득하는 디바이스(Divice)에 의해 측정된 디지털 형식의 의료 관련 데이터로서, 환자가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디바이스에서 획득된 생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생체정보는, 혈당, 혈압, 체온, 심전도 등의 환자의 신체를 측정한 정보이거나, 인슐린 투입정보, 천식 흡입제 투입정보, 통증 정보 등 환자가 약물을 투입하거나 상기 환자로부터 발생되는 통증을 입력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병원 서버(300)는, 상기 전자의무기록(EMR) 및/또는 전자건강기록(EHR)에 기반한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Clinical decision supporting system, CDS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CDSS 서비스란, 환자로부터 얻어진 임상정보를 바탕으로 의료인이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할 때 의사결정을 도와주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CDSS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환자의 진단, 치료 및 처방의 범위에서 의료인(실시예에서, 의사)의 의사 결정을 보조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병원 서버(300)는, 외부의 장치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과, 수술 전후 관리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Memory)와,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소정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 수술 전후 환자의 약제 처방을 포함하는 진료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수술 전후 환자의 약제 처방을 포함하는 진료 상태를 관리하고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 전후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상기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환자의 의료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101)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의료정보란, 환자에 대한 의료 관련 기초정보로서, 실시예에서 환자가 복용 중인 약제에 대한 복약정보, 상기 환자에 대하여 시행될 예정인 시술에 대한 수술정보 및/또는 환자 진단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약정보란, 환자가 복용 중인 약제에 대한 약제명, 복약기간, 복약일시, 복약시점 및/또는 처방 정보(예컨대, 처방과(즉, 처방 임상과) 정보, 처방 내과 의료인 정보 및/또는 처방 원인질환 정보(예컨대, 뇌졸중, 협심증 또는 말초혈관질환 등을 포함하는 약제 사용의 원인이 되는 질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약정보는, 상기 환자가 클로피도그렐 및 아스피린을 포함하는 항혈전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상기 항혈전제 내 각 요소에 대한 약제명, 복약개시시점, 복약일시, 복약시점 처방과 정보 및/또는 처방 내과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술정보란, 환자에 대하여 시행될 예정인 수술에 대한 수술명(예컨대, Laparoscopic cholecystectomy(복강경 담낭 절제술), Total laparoscopic hysterectomy(전 복강경 자궁 절제술), Laparoscopic appendectomy(복강경 충수 절제술) 또는 Total knee replacement(슬관절 전 치환술) 등), 수술일정(예컨대, 입원예정일 등), 수술과 정보 및/또는 수술 외과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환자 진단정보란, 환자에 대하여 예정된 수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해당 환자의 건강 관련 정보(예컨대, 출혈위험도(예컨대, 수술 중 또는 수술 후 고/중/저 출혈위험도 등), PCI, AF 및/또는 DM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해당하는 환자 단말(100-3)로부터 상기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상기 환자 단말(100-3)은, 상기 환자 단말(100-3)에 설치된 환자용 애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의료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환자 단말(100-3)은, 위와 같이 제공된 의료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사용자(여기서, 환자)의 입력을 토대로 상기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 상기 환자 단말(100-3)은, 상기 의료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처방전 정보 및/또는 수술계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로, 상기 환자 단말(100-3)은, 상기 환자에게 처방된 약제 등에 대한 처방의 내용을 표시하는 처방전 문서를 촬영한 처방전 이미지를 상기 의료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 단말(100-3)은, 위와 같이 획득된 처방전 이미지에 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처방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 단말(100-3)은, 상기 의료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게 시행될 예정인 수술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수술문서를 촬영한 수술문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환자 단말(100-3)은, 상기 획득된 수술문서 이미지에 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수술계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환자 단말(100-3)은, 위와 같이 획득된 처방전 정보 및/또는 수술계획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에 대한 복약정보, 수술정보 및/또는 환자 진단정보 등을 포함하는 의료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환자 단말(100-3)은, 상기 생성된 의료정보를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의 프로세서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하여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 단말(100-3)로부터 상기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 수신해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처방과 단말(100-2)로부터 상기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상기 처방과 단말(100-2)은, 상기 처방과 단말(100-2)에 설치된 처방과용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상기 환자에 대한 환자 식별코드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처방과 단말(100-2)은, 상기 획득된 환자 식별코드에 따른 환자의 의료정보를 해당하는 처방과 단말(100-2)의 메모리 및/또는 해당하는 병원의 병원 서버(300)로부터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처방과 단말(100-2)은, 위와 같이 검출된 환자의 의료정보를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의 프로세서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하여 실시예예서 프로세서는, 상기 처방과 단말(100-2)로부터 상기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 수신 및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병원 서버(300)로부터 상기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에게 소정의 약제를 처방한 병원의 병원 서버(300)로 상기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상기 요청을 수신한 병원 서버(300)로부터 상기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위와 같이 획득된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103)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란, 환자에게 예정된 수술이 시행되기 이전 시점에서 상기 환자가 상기 수술 전후에 준수해야하는 복약 가이던스(guidance) 등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1) 환자에 대한 복용중단 약제정보(10)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실시예에서, 복약정보, 수술정보 및/또는 환자 진단정보 등)에 기초하여, 현재 환자가 복용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 중에서 상기 수술 전 소정의 기간동안 복용을 중지해야 하는 약제인 복용중단 약제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검출된 복용중단 약제에 대한 복약을 중단하도록 요구되는 소정의 시점을 제공하는 복용중단 시점정보(20)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복용중단 시점정보(20)와 상기 복용중단 약제에 대한 기본정보(예컨대, 약제명 및/또는 처방과 정보 등)를 토대로 상기 환자에 대한 복용중단 약제정보(10)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일반화된 표준 프로토콜(예컨대, 다수의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를 기초로 도출된 수술별 표준 복용중단 약제정보(10) 등)에 따라서 상기 의료정보 내 데이터에 기반한 상기 복용중단 약제정보(10)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의 의료정보를 기초로 해당하는 환자가 현재 복용중인 제 1 약제 및 제 2 약제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예시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검출된 제 1 약제 및 제 2 약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일반적인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서 복용중단 약제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가 복용중인 제 1 약제 및 제 2 약제 중 상기 제 1 약제를 제 1 복용중단 약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본 예시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복용중단 약제에서 제외된 상기 제 2 약제를 복용지속 약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시에서 프로세서는, 위와 같이 설정된 제 1 복용중단 약제에 대한 제 1 복용중단 시점을 상기 일반적인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복용중단 약제에 대한 제 1 복용중단 시점을 수술 X일 이전의 제 1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시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설정된 제 1 복용중단 약제에 대한 기본정보와 상기 제 1 복용중단 시점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하는 환자에 대한 복용중단 약제정보(10)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는, 환자의 현재 복약 상태 등을 포함하는 의료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가 수술 이전에 복용을 중단해야하는 약제와 그 시점을 결정해 제공함으로써, 수술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약제를 복용하는 환자의 경우 해당 약제의 복용을 소정의 기간동안 중단하게 하여 수술시점에 최적화된 환자 컨디션을 형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는, 상기 의료정보를 입력 데이터로 하고 상기 복용중단 약제정보(10)를 출력 데이터로 하는 복용중단 약제 출력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복용중단 약제정보(10)를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를 상기 복용중단 약제 출력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에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의료정보를 입력받은 복용중단 약제 출력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는, 상기 입력된 의료정보에 따른 복용중단 약제정보(10)를 출력 데이터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복용중단 약제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복용중단 약제정보(10)를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의 의료정보를 상기 복용중단 약제 출력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에 입력할 수 있고, 상기 의료정보를 입력받은 복용중단 약제 출력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환자가 복용중인 제 1 약제 및 제 2 약제 중 상기 제 1 약제를 복용중단 약제로 설정하고, 소정의 제 1 시점(예컨대, 수술 X일 이전 등)을 상기 제 1 약제에 대한 제 1 복용중단 시점으로 설정한 복용중단 약제정보(10)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는, 딥러닝을 이용하여 해당 환자의 의료정보에 따른 복용중단 약제정보(10)를 제공함으로써, 일반화된 통계적 데이터(즉, 일반적인 표준 프로토콜) 뿐만 아니라 해당하는 환자의 구체적인 건강 상태를 보다 정밀하게 고려하여 해당 환자에 대한 복용중단 약제정보(10)를 결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환자 개개인에게 보다 최적화된 복용중단 약제 및 중단 시점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2) 환자에 대한 재복용 개시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에 대한 수술이 시행된 이후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용중단 약제에 대한 임시 재복용 시점(31)을 나타내는 재복용 개시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실시예에서, 복약정보, 수술정보 및/또는 환자 진단정보 등)에 기초하여, 상기 일반화된 표준 프로토콜에 따른 상기 복용중단 약제에 대한 임시 재복용 시점(31)을 설정할 수 있다.
보편적으로, 수술이 시행된 이후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재복용을 개시하는 것이 좋으므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수술이 시행된 직후의 제 2 시점을 상기 임시 재복용 시점(31)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위와 같이 설정된 임시 재복용 시점(31)과 상기 복용중단 약제에 대한 기본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에 대한 재복용 개시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에 대하여 결정된 복용중단 약제를 다시 복용 개시하도록 요구하는 시점을 상기 환자의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제공함으로써, 수술을 위하여 복용이 중단된 약제가 수술이 완료된 이후에 해당 환자의 건강 상태를 해치지 않도록 하는 최선에 시점에서 다시 재복용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복용중단 약제정보(10) 및/또는 재복용 개시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더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위와 같이 생성된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105)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생성된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외부의 컴퓨팅 장치로 송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1)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환자 단말(100-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수신한 환자 단말(100-3)은, 상기 환자 단말(100-3)에 설치된 환자용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로, 상기 환자 단말(100-3)은,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 내 복용중단 약제정보(10)(실시예에서, 복용중단 약제에 대한 기본정보와 복용중단 시점정보(20) 등)와 재복용 개시정보를 타임 그래프에 기반하여 그래픽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 단말(100-3)로 해당하는 환자에 대한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제공하여 출력하게 함으로써, 상기 환자가 수술 전후에 유의하고 있어야 하는 요소들(예컨대, 복용 중인 약제의 종류, 복용 목적, 복용 기간, 복용 일시, 마지막 복용일, 복용중단 일시 및/또는 복용 재시작 일시 등)을 해당하는 환자 스스로도 간편하고 용이하게 확인 및 관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2)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수술과 단말(10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수신한 수술과 단말(100-1)은, 상기 수술과 단말(100-1)에 설치된 수술과용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로, 상기 수술과 단말(100-1)은,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 내 복용중단 약제정보(10)(실시예에서, 복용중단 약제에 대한 기본정보와 복용중단 시점정보(20) 등)와 재복용 개시정보를 타임 그래프에 기반하여 그래픽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는, 상기 수술 대상이 되는 환자에 대한 복약 상태나 건강 관련 현황을 해당 환자에 대한 수술을 담당하는 수술과 측에서 보다 쉽고 면밀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3)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처방과 단말(100-2)로 전송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처방과 단말(100-2)로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수신한 상기 처방과 단말(100-2)은, 상기 처방과 단말(100-2)에 설치된 처방과용 애플리케이션을 기초로 상기 수신된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수신한 상기 수술과 단말(100-1)의 복용중단 허가 여부에 따라서, 상기 처방과 단말(100-2)로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수신한 상기 수술과 단말(100-1)은,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출력한 이후, 상기 수술과 단말(100-1)에 설치된 수술과용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상기 복용중단 약제에 대한 복용중단 허가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복용중단 허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수술과 단말(100-1)은, 상기 제공된 복용중단 허가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여기서, 외과의사)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복용중단 약제에 대한 복용허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수술과 단말(100-1)에서 상기 복용중단 허가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상기 복용중단 약제에 대한 복용중단이 허가되면,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상기 처방과 단말(100-2)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는, 환자의 수술을 담당하는 수술과 측의 확실한 검토를 거친 이후 처방과 측으로 환자에 대한 약제 복용 가이던스를 제공하여, 환자의 수술을 담당하는 수술과 측과 환자의 약제 처방을 담당하는 처방과 측 간의 보다 명확하고 안전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에 기초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이때,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는, 4)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1)를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에 기초하여 수술과 단말(100-1) 및/또는 처방과 단말(100-2)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이란, 환자를 특정하는 환자 식별코드에 매칭하여 생성되는 대화방으로서, 실시예에서 수술과 단말(100-1)과 처방과 단말(100-2)이 접속하여 상호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가상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에는, 해당하는 환자의 환자 단말(100-3) 또한 접속 가능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환자별로 매칭되어 있는 복수의 수술과-처방과 대화방 중, 상기 환자에 대한 환자 식별코드(예컨대, 환자 계정 및/또는 환자 식별번호 등)에 매칭되는 제 1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검출된 제 1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에 기반한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1)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하여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수술과 단말(100-1) 및 처방과 단말(100-2)로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1)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는, 환자별로 매칭되어 있는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환자에 대한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1)를 제공함으로써, 병원별로 폐쇄적으로 구현되어 있어 상호 정보를 교환하기에 불편함이 존재하는 건강의무기록 시스템 등에 기반한 CDSS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쉽고 효과적으로 환자에 대한 수술 관련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에 접속한 수술과 단말(100-1)의 복용중단 허가 여부에 따라서, 상기 복용중단 허가 여부를 나타내는 허가여부 메시지를 상기 제 1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을 기초로 제공할 수도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수술과 단말(100-1)에서 소정의 약제에 대한 복용중단을 허가한 경우, 상기 소정의 약제에 대한 허가가 승인되었음을 나타내는 허가여부 메시지를 상기 제 1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을 통해 메시지 형식으로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에게 시행하려는 수술일정을 기초로, 상기 수술이 시행되는 시점에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1)를 상기 제 1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으로 재송신하여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환자의 수술이 시행되는 시점에 해당 환자에 대한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1)를 수술과 및 처방과 측에 다시 한 번 알림으로써, 수술과 및 처방과 측 모두에서 해당 환자에 대한 수술 전후 복약지도 등의 정보를 보다 확실히 인지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는, 상기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에 기초하여 교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해당하는 병원의 전자의무기록(EMR)으로서 해당 병원 서버(300) 상에 저장 및 관리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Clinical decision supporting system, CDSS) 서비스에 기초한 협진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는, 5) 병원 서버(300)와 연동하여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1)를 수술과 단말(100-1) 및/또는 처방과 단말(100-2)로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병원 서버(300)로 해당하는 환자에 대한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1)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1)를 수신한 병원 서버(300)는, 전자의무기록(EMR)에 기반한 CDSS 서비스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1)를 포함하는 협진 메시지를 단말(100) 간에 주고받을 수 있는 메시지 전달 프로세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협진 메시지란, 환자의 수술 전후 복약 및/또는 건강 관리 등과 관련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하여 수술과 단말(100-1)과 처방과 단말(100-2) 간에 송수신되는 CDSS 서비스 기반의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상기 병원 서버(300)는, 상기 전자의무기록(EMR)에 기반한 CDSS 서비스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1)를 상기 수술과 단말(100-1)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1)를 수신한 수술과 단말(100-1)은, 상기 수신된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1)에 기초한 제 1 협진 메시지를 상기 CDSS 서비스를 기초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수술과 단말(100-1)은, 위와 같이 생성된 제 1 협진 메시지를 상기 환자에게 약제를 처방하는 처방과 단말(100-2)로 상기 CDSS 서비스에 기초하여 송신해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협진 메시지를 수신한 처방과 단말(100-2)은, 상기 수신된 제 1 협진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이하, 제 2 협진 메시지)를 상기 CDSS 서비스에 기초하여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제 2 협진 메시지를 상기 CDSS 서비스에 기초하여 상기 수술과 단말(100-1)로 송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상기 수술과 단말(100-1)과 처방과 단말(100-2)은, 상기 병원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CDSS 서비스를 통하여 상기 협진 메시지를 상호 교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환자의 수술 전후 복약 및/또는 건강 관리 등에 대한 협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에 대한 수술이 시행된 이후, 해당하는 환자의 수술기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107)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술기록 정보란, 환자에게 수술이 시행됨으로써 획득되는 수술 관련 정보로서, 실시예에서 수술정보, 수술 소요시간 정보, 수술 특이사항 정보(예컨대, 수술 중 환자의 급격한 혈압 증가 등과 같은 이벤트 정보 등), 수술 중 출혈 상황정보 및/또는 집도의 추천 재복용 시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의 수술을 담당하는 수술과 단말(100-1)로 상기 수술기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서베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제공된 서베이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사용자(실시예에서, 수술을 집도한 외과의사 등)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수술기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는, 환자의 수술을 수행한 수술과 측(실시예에서, 해당하는 환자의 수술을 집도한 외과의사 등)의 입력에 따른 수술기록 정보를 획득하고 활용함으로써, 환자에게 시행된 수술의 전반적인 상황과 현재 환자의 상태를 가장 용이하게 파악하고 있는 의료인의 인지적인 판단까지 고려하여 추후 해당 환자의 약제 재복용 시점 등을 포함하는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정확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레이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환자에 대하여 획득된 수술기록 정보 및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109)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란, 환자에게 예정된 수술이 완료된 이후 시점에서 결정된 해당 환자가 준수해야하는 복약 가이던스(guidance) 등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수술을 완료한 환자에 대한 확정 재복용 개시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확정 재복용 개시정보란, 상기 환자에 대한 수술이 완료된 이후, 상기 환자에 대하여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용중단 약제에 대하여 확정된 재복용 시점(32: 이하, 확정 재복용 시점)과, 상기 복용중단 약제에 대한 기본정보(예컨대, 약제명 및/또는 처방과 정보 등)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상기 환자의 의료정보 및 수술기록 정보에 기초한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와 수술기록 정보를 입력 데이터로 하고, 상기 확정 재복용 개시정보를 출력 데이터로 하는 확정 재복용 시점 출력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확정 재복용 개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의료정보와 수술기록 정보를 상기 확정 재복용 시점 출력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에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의료정보와 수술기록 정보를 입력받은 상기 확정 재복용 시점 출력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는, 상기 입력된 의료정보 및 수술기록 정보에 따른 확정 재복용 개시정보를 출력 데이터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하여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확정 재복용 시점 출력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확정 재복용 개시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의 의료정보와 수술기록 정보를 상기 확정 재복용 시점 출력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에 입력할 수 있고, 상기 의료정보와 수술기록 정보를 입력받은 확정 재복용 시점 출력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환자가 복용중단 중인 제 1 약제에 대한 확정 재복용 시점(32)이 상기 수술 이후의 소정의 제 3 시점(예컨대, 수술 Y일 이후 등)으로 설정된 확정 재복용 개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위와 같이 획득된 확정 재복용 개시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는, 환자의 의료정보와 더불어 해당 환자에게 시행된 수술에 대한 수술기록 정보까지 고려해 해당 환자가 수술 후 준수해야하는 복약 가이던스 등을 포함하는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수술이 완료된 이후 해당 수술의 경과 등에 따른 환자의 구체적인 상태에 기초하여 해당 환자에게 최적화된 시기의 약제 재복용 시점을 확정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더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생성된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111)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위와 같이 생성된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외부의 컴퓨팅 장치로 송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1)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환자 단말(100-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수신한 환자 단말(100-3)은, 상기 환자 단말(100-3)에 설치된 환자용 애플리케이션을 기초로, 상술된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1)에 더하여 상기 수신된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추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환자 단말(100-3)은,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수신하면 소정의 알람(예컨대, 팝업 알람 등)을 제공하여, 해당하는 환자가 신속하게 수술 완료 이후의 복약 가이던스(guidance) 등을 인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2)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처방과 단말(10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수신한 상기 처방과 단말(100-2)은, 상기 처방과 단말(100-2)에 설치된 처방과용 애플리케이션을 기초로, 상술된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1)에 더하여 상기 수신된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추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처방과 단말(100-2)은, 상기 수신된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의 확정 재복용 개시정보에 따른 재처방 정보를 생성하여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다른 상기 재처방 정보란, 환자의 확정 재복용 개시정보를 기초로 해당하는 환자가 복용중단 하고 있던 소정의 약제(즉, 복용중단 약제)를 상기 환자에게 재처방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상기 재처방 정보는, 상기 환자가 수술 이전에 복용중단 중이던 약제를 수술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확정 재복용 개시정보를 기초로 재처방받아 복용을 다시 시작함에 따라서 생성되는 복약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처방과 단말(100-2)은, 위와 같이 생성된 재처방 정보를 외부의 컴퓨팅 장치(실시예에서, 수술과 단말(100-1), 환자 단말(100-3),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 및/또는 병원 서버(300) 등)에 송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로, 상기 처방과 단말(100-2)은, 상기 생성된 재처방 정보를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200)의 프로세서로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재처방 정보를 수신한 프로세서는, 수신된 재처방 정보를 외부의 컴퓨팅 장치(실시예에서, 수술과 단말(100-1), 환자 단말(100-3) 및/또는 병원 서버(300) 등)로 송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처방과 단말(100-2)로부터 생성된 재처방 정보를 환자나 환자의 수술 등에 관련된 관계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환자가 복용중단 약제를 수술이 끝난 이후 정상적으로 재복용하고 있음을 관련 관계자들이 명확하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에 기초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는, 3)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2)를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에 기초하여 수술과 단말(100-1) 및/또는 처방과 단말(100-2)로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환자별로 매칭되어 있는 복수의 수술과-처방과 대화방 중, 상기 환자에 대한 환자 식별코드(예컨대, 환자 계정 및/또는 환자 식별번호 등)에 매칭되는 제 1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검출된 제 1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에 기반한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2)를 소정의 알람(예컨대, 팝업창 및/또는 오디오 알람 등)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그리하여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수술과 단말(100-1) 및 처방과 단말(100-2)로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2)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에 접속한 처방과 단말(100-2)은, 상술된 바와 같은 재처방 정보를 상기 제 1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을 기반으로 표시 및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을 통하여 상기 재처방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제 1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에 접속한 관련 단말(100)들에서 상기 재처방 정보를 모두 확인한 경우, 상기 제 1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에 기반한 메시지 교환 프로세스 종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는, 수술이 완료된 이후에 해당하는 환자에게 적용되어야 하는 복약 가이던스를 해당 환자와 그 관계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환자가 수술을 위하여 복용을 중단 중이던 약제를 수술이 완료된 이후에 최선의 시점에서 놓치지 않고 재복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는, 4) 병원 서버(300)와 연동하여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2)를 수술과 단말(100-1) 및/또는 처방과 단말(100-2)로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병원 서버(300)로 해당하는 환자에 대한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2)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2)를 수신한 병원 서버(300)는, 전자의무기록(EMR)에 기반한 CDSS 서비스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2)를 포함하는 협진 메시지를 단말(100) 간에 주고받을 수 있는 메시지 전달 프로세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상기 병원 서버(300)는, 상기 전자의무기록(EMR)에 기반한 CDSS 서비스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2)를 상기 처방과 단말(100-2)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2)를 수신한 처방과 단말(100-2)은, 상기 CDSS 서비스를 기반으로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2)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2)를 수신한 처방과 단말(100-2)은, 상기 수신된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2)에 기초한 제 2 협진 메시지를 상기 CDSS 서비스를 기초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처방과 단말(100-2)은, 상술된 재처방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협진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처방과 단말(100-2)은, 위와 같이 생성된 제 2 협진 메시지를 상기 환자의 수술을 시행한 수술과 단말(100-1)로 상기 CDSS 서비스에 기초하여 송신해 제공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상기 수술과 단말(100-1)과 처방과 단말(100-2)은, 상기 병원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CDSS 서비스를 통하여 상기 재처방 정보를 포함하는 협진 메시지를 상호 교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환자가 수술을 위하여 복용중단 중이던 소정의 약제를 해당 수술이 완료된 이후에 정상적으로 재복용 개시하였음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위와 같이 생성된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2)에 기초한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S113)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생성된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2) 및/또는 재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상술된 복용중단 약제 출력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 및/또는 상술된 확정 재복용 시점 출력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학습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2)와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2)에 대응되는 재처방 정보를 매칭하여 트레이닝 데이터 셋(Training data set)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트레이닝 데이터 셋이 소정의 수 이상 생성되면, 상기 생성된 트레이닝 데이터 셋을 이용하여 상술된 복용중단 약제 출력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 및/또는 상술된 확정 재복용 시점 출력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학습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는, 수술 이후 해당하는 환자들에 대하여 확정된 복약 가이던스 정보 등을 기초로, 추후 수술이 필요한 환자의 복용중단 약제와 그 중단 시점 및 재복용 시점 등을 출력하는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학습시킴으로써, 상기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로부터 출력되는 결과 데이터에 대한 정확성과 신뢰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수술 전후 환자의 복약 관리 등을 포함하는 진료의 안전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 전후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은, 수술 전후 환자의 약제 처방을 포함하는 진료 상태를 관리하고 모니터링함으로써, 환자에 대한 약제 처방관리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해당하는 환자가 수술 전후 시점에서 소정의 약제를 오복용하거나 미복용하는 등의 이유로 발생할 수 있는 의료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 전후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은, 환자의 수술 및 약제 처방에 관련된 관계자들(실시예에서, 환자의 수술을 담당하는 외과 측과 상기 환자의 약제 처방을 담당하는 내과 측 등)이 수술 전후 환자의 약제 처방 등에 관련된 진료 상태를 명확하고 편리하게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서로 다른 관계자(실시예에서, 외과 관계자와 내과 관계자 등) 간의 의사소통 오류로 인한 환자 의료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 전후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은, 수술 전후 환자의 약제 처방을 포함하는 진료 상태를 환자 측에서도 확인 가능하게 함으로써, 해당하는 환자 스스로가 수술 전후에 유의해야 하는 요소들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정보를 확인하고 자신의 상태를 관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0)
- 수술 전후 정보관리 서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환자에 대한 약제 처방을 포함하는 진료 상태를 수술 전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환자의 의료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획득된 의료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에 대한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생성된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환자에 대하여 시행된 수술에 대한 수술기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획득된 수술기록 정보와 상기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생성된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는,
상기 환자에게 예정된 수술이 시행되기 이전 시점에서 상기 환자가 상기 수술 전후에 준수해야하는 복약 가이던스(guidance)를 포함하는 정보이고,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는,
상기 환자에게 예정된 수술이 완료된 이후 시점에서 상기 환자가 준수해야하는 복약 가이던스(guidance)를 포함하는 정보이며,
상기 프로세서가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은, 상기 환자를 특정하는 환자 식별코드에 매칭된 비일시적인 가상의 공간이고, 상기 환자의 단말, 상기 환자에 대한 수술 관계자의 단말 및 상기 환자에 대한 약제 처방 관계자의 단말이 접속하여 상호 메시지를 교환하는 환경을 제공하고, 소정의 기간동안 상기 메시지를 저장 및 제공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 및 상기 제 2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소정의 타임 그래프(Time graph)에 기초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환자에 대한 수술 관계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가 복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약제를 상기 수술 전후 소정의 기간동안 복용중단하도록 허가하는 복용중단 허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복용중단 허가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 또는 상기 제 2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상기 환자에 대한 약제 처방 관계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에 더하여 상기 제 2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추가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술 전후 관리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는,
상기 환자가 복용 중인 약제에 대한 복약정보, 상기 환자에게 예정된 수술에 대한 수술정보 및 상기 수술에 영향 가능성이 있는 상기 환자의 건강 관련 정보인 환자 진단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수술 전후 관리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가 복용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 중에서 상기 수술 전 소정의 기간동안 복용을 중지해야 하는 복용중단 약제에 대한 복용중단 약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용중단 약제를 중단하는 시점에 대한 복용중단 시점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수술 후 상기 복용중단 약제를 재복용하는 임시 시점에 대한 재복용 개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술 전후 관리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기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에 대하여 시행된 수술에 대한 수술정보, 수술 소요시간 정보, 수술 특이사항 정보, 수술 중 출혈 상황정보 및 집도의 추천 재복용 시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술 전후 관리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수술 후 상기 복용중단 약제를 재복용하는 확정 시점에 대한 확정 재복용 개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술 전후 관리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에 따른 재처방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술 전후 관리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와 상기 재처방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학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술 전후 관리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단말, 상기 환자에 대한 수술 관계자의 단말 및 상기 환자에 대한 약제 처방 관계자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단말, 상기 환자에 대한 수술 관계자의 단말 및 상기 환자에 대한 약제 처방 관계자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술 전후 관리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을 기초로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을 기초로 상기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술 전후 관리방법. - 환자에 대한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 및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환자에 대한 약제 처방을 포함하는 진료 상태를 수술 전후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환자의 의료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의료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에 대한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환자에 대하여 시행된 수술에 대한 수술기록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수술기록 정보와 상기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딥러닝을 이용하여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2 수술 후 관리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환자를 특정하는 환자 식별코드에 매칭된 비일시적인 가상의 공간이고, 상기 환자의 단말, 상기 환자에 대한 수술 관계자의 단말 및 상기 환자에 대한 약제 처방 관계자의 단말이 접속하여 상호 메시지를 교환하는 환경을 제공하고, 소정의 기간동안 상기 메시지를 저장 및 제공하는 수술과-처방과 대화방을 제공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 및 상기 제 2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소정의 타임 그래프(Time graph)에 기초하여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환자에 대한 수술 관계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가 복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약제를 상기 수술 전후 소정의 기간동안 복용중단하도록 허가하는 복용중단 허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복용중단 허가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 또는 상기 제 2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상기 환자에 대한 약제 처방 관계자의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 1 수술 전후 관리정보에 더하여 상기 제 2 수술 전후 관리정보를 추가 표시하는
수술 전후 관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8403A KR102509959B1 (ko) | 2021-03-03 | 2021-03-03 | 수술 전후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
PCT/KR2021/017099 WO2022186447A1 (ko) | 2021-03-03 | 2021-11-19 | 수술 전후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8403A KR102509959B1 (ko) | 2021-03-03 | 2021-03-03 | 수술 전후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4568A KR20220124568A (ko) | 2022-09-14 |
KR102509959B1 true KR102509959B1 (ko) | 2023-03-14 |
Family
ID=83155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8403A KR102509959B1 (ko) | 2021-03-03 | 2021-03-03 | 수술 전후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9959B1 (ko) |
WO (1) | WO202218644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43167A (ko) * | 2022-09-26 | 2024-04-03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10057088A1 (en) * | 2018-05-21 | 2021-02-25 | Lauren Brownfield | Touchless and automatic method to initiate, track and control with verifications, biometrics and gps pre-operative surgical procedures and activities, day of surgery procedures and activities, and post-operative surgical procedures and activities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171371B2 (en) * | 1999-09-03 | 2007-01-30 | Smg Trust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e and post operative support and care |
KR20060077523A (ko) | 2004-12-30 | 2006-07-05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투약 조력 시스템 및 방법 |
KR20130139579A (ko) * | 2012-06-13 | 2013-12-23 | 주식회사 지피앤피 |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 |
US20160154945A1 (en) * | 2014-12-01 | 2016-06-02 | Lg Cns Co., Ltd. | Method and system for changing medicine-taking schedule |
KR101788031B1 (ko) * | 2016-01-19 | 2017-10-19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약물 주입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약물 주입 장치 |
KR102190056B1 (ko) * | 2018-08-31 | 2020-12-11 | 주식회사 모노라마 | 빅데이터 기반의 환자 맞춤형 복약 정보 제공 장치 및 복약 정보 제공 방법 |
KR102290504B1 (ko) * | 2019-07-24 | 2021-08-19 | 주식회사 에버닌 | 트래커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
-
2021
- 2021-03-03 KR KR1020210028403A patent/KR10250995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11-19 WO PCT/KR2021/017099 patent/WO202218644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10057088A1 (en) * | 2018-05-21 | 2021-02-25 | Lauren Brownfield | Touchless and automatic method to initiate, track and control with verifications, biometrics and gps pre-operative surgical procedures and activities, day of surgery procedures and activities, and post-operative surgical procedures and activiti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186447A1 (ko) | 2022-09-09 |
KR20220124568A (ko) | 2022-09-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2998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ication of medication administration adherence | |
US20070033073A1 (en) |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monitoring patient treatment orders | |
US20140278492A1 (en) | System and methods for proving medical care algorithms to a user | |
Sherman et al. | Addressing the polypharmacy conundrum | |
KR102509959B1 (ko) | 수술 전후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 |
TWI749621B (zh) | 用藥提醒與回報系統及其實施方法 | |
Feinstein et al. | Making polypharmacy safer for children with medical complexity | |
Chang et al. | Nurse practitioner-based diabetes care management: Impact of telehealth or telephone intervention on glycemic control | |
Gorski | Infusion therapy: a model for safe practice in the home setting | |
JP2012133564A (ja) | 薬剤処方支援システム | |
Hewitt et al. | Insulin dosing error in a patient with severe hyperkalemia | |
Ford et al. | Adapting stroke servic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 implementation guide | |
Ayabe et al. | Evaluation and Outcomes of Multidisciplinary-Reported Incidents Regard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t Special Functioning Hospital in Japan | |
Mitchell et al. | Meeting the challenge of managing vaso-occlusive crisis | |
Rosenwasser et al. | Perioperative medication errors in otolaryngology | |
Smith et al. | Patient safety in the outpatient setting | |
Thompson | California bill would accord pharmacists provider status. | |
Stofferahn et al. | Medication Management--A Common and Complex Source of Medical Error. | |
Quill et al. | Patient-First Approach to Specialty Relieves Economic Burden, Improves Outcomes, Enhances Quality of Life | |
TWM602263U (zh) | 用藥提醒與回報系統 | |
Traynor | Pharmacists work to boost patient satisfaction scores. | |
Chetty | Medicine adherence: opinion | |
Wanzer et al. | Perioperative pharmacology: Antibiotic administration | |
Hatch | Chairman Committee on Finance United States Senate Washington, DC 20510 | |
McHenry Martin | The Changing Landscape of Community-Based Pharmacy Practice Part 2 of 2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