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579A -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9579A
KR20130139579A KR1020120063145A KR20120063145A KR20130139579A KR 20130139579 A KR20130139579 A KR 20130139579A KR 1020120063145 A KR1020120063145 A KR 1020120063145A KR 20120063145 A KR20120063145 A KR 20120063145A KR 20130139579 A KR20130139579 A KR 20130139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doctor
image
pati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피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피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피앤피
Priority to KR1020120063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9579A/ko
Publication of KR20130139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5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할 때 의사의 회진시 모바일 단말기를 휴대하면서, 진료기록을 직접 확인하고 또 필요한 경우 영상이나 이미지를 통해 환자에게 진료상황을 설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병동을 회진중인 의사가 특정 병실에 들어가면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를 인식함으로써 동기화되어 진료 영상등이 공유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담당의 부재시에 동료의사가 환자 진료영상이나 이미지 가운데 중요도가 높은 자료를 선택하고, 이를 원격지의 담당의와 공유할 수 있으며, 환자들에게 담당 의사가 얼마나 많은 사례들을 성공적으로 진료하였는지를 한눈에 보여주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METHOD OF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WITH MOBILE DEVICE}
본 발명은 각급 병원에 설치되는 의료전산시스템과 모바일을 연동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병원의 전산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각종 장비를 이용하여 촬영된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를 저장하며, 각 의사가 진료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신의 계정에 접근한 다음 환자의 진료기록을 생성하고 갱신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병원에서 진료 영상이나 이미지는 CT(Computerized Tomography), 엑스레이,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초음파 사진 등 다양한 형태로 생성되는데, 이러한 진료 영상, 진료 이미지는 병세와 치료의 진행상황을 확인하는 수단인 동시에 처방의 근거가 되기도 하므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북미망사선학회(RSNA)에서는 의료 영상 장비의 표준화를 위하여 다이콤(DICOM:Digital Imaging Communication in Medicine) 규격을 제안하였으며, 현재까지 꾸준히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병원 전산시스템의 전형적인 형태는 병원 내부에 메인 서버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 서버가 각 의사의 진료실이나 각 창구에 구비된 컴퓨터를 통해 생성되는 데이터들을 통합하여 관리하게 된다.
이때, 영상 데이터들은 다이콤 규격에 의하여 저장, 전송된다.
한편, 최근 스마트폰과 타블렛이 널리 보급되면서 새로운 컴퓨팅 수단인 스마트폰 또는 타블렛을 다양한 기술분야에 접목시키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병원 전산시스템 또한 이러한 시도들이 예상된다.
그러나, 다른 일반적인 컴퓨팅 기술분야와는 달리 의료 기술분야의 경우 이러한 모바일 장비가 컴퓨터의 자리를 대신하는 것은 다음 몇 가지의 이유에서 불가능하다.
우선, 다양한 진료장비들과 연동되기가 어렵다. 또한 무선 통신방식에 의해 통신하므로 복잡한 진료장비 인근에서 사용시 진료장비의 오동작을 초래할 위험성이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화면의 크기가 작고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수단이 없어 촬영 영상을 통해 길이나 크기를 측정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 구현이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모바일은 진료에 직접 사용하기 어렵다는 것이 현재 기술수준에 근거한 결론이라고 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항상 휴대한다는 점, 병원 내부는 물론 병원 외부에서도 접근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의사가 어디에 있건 상관없이 병원 전산시스템과 항상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을 살려 기존의 병원 의료전산시스템을 모바일과 연동한다면 막대한 시너지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 예측할 수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9-0000668호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바일과 병원의 의료전산시스템을 연동하되 개인용 컴퓨터를 통한 프론트 엔드(Front End)의 구성과는 달리 휴대가 가능하며, 언제 어디서든 전산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는 장점을 활용하는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제공하는 제 110 단계;
서버가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의 인증정보에 의하여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를 인증하는 제 120 단계;
서버가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 계정에 속하는 환자들의 목록을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 130 단계;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환자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는 제 140 단계;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환자 목록에 표시된 환자들 가운데 어느 하나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선택된 환자의 식별정보를 서버로 제공하는 제 150 단계;
서버가 상기 수신한 환자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를 인출하는 제 160 단계;
서버가 소정의 모바일 단말기용 필터링 기준을 이용하여 상기 인출한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를 필터링하거나, 모바일 단말기용으로 변환하는 제 170 단계;
서버가 상기 필터링하거나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로 실시간 제공하는 제 180 단계; 및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제 19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은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기 저장된 환자의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영상 또는 이미지를 공유할 의사를 선택함에 따라,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선택된 영상 또는 이미지의 식별정보, 상기 선택된 의사의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제 210 단계;
서버가 상기 수신한 의사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의사의 모바일 단말기인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인출하는 제 220 단계;
서버가 상기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로 환자의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가 공유되었음을 알리는 푸쉬 메시지를 발송하는 제 230 단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접속함에 따라, 서버가 상기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또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제 240 단계;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코멘트가 입력됨에 따라,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서버로 입력된 코멘트를 전송하는 제 250 단계;
서버가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코멘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영상 또는 이미지가 속하는 환자의 진료기록에 포함시켜 저장하는 제 260 단계; 및
서버가 상기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로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로부터의 코멘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푸쉬 메시지를 발송하는 제 270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40 단계에서 서버가 상기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영상 또는 이미지가 속하는 환자의 진료기록 데이터를 인출한 다음, 이를 상기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로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은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인근의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제 310 단계;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서버로 상기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제 320 단계;
서버가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에 해당하는 병상에 배정된 환자의 진료기록 데이터 또는 상기 환자의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를 인출하여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30 단계;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 데이터 또는 상기 환자의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제 340 단계;
서버가 상기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를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를 동기화시키는 제 350 단계;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표시된 진료기록 데이터, 진료영상 또는 이미지 가운데 어느 하나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선택된 진료기록 데이터, 진료영상 또는 이미지의 식별정보를 서버로 제공하는 제 360 단계; 및
서버가 상기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 화면상에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진료기록 데이터, 진료영상 또는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 370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사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은 서버가 각 환자별로 해당 환자의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로서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들을 시간순으로 배치함으로서 진료전후 기록앨범을 생성하는 제 410 단계;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환부 또는 병명이 선택됨에 따라,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선택된 환부 또는 병명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제 420 단계;
서버가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 계정에 속하는 환자들의 진료전후 기록앨범들을 인출하되, 상기 수신한 환부 또는 병명으로 상기 진료전후 기록앨범들을 필터링하는 제 430 단계;
서버가 필터링된 진료전후 기록앨범들을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 440 단계;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진료전후 기록앨범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제 45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병원용 의료전산시스템을 스마트폰이나 타블렛과 같은 모바일 장비와 연동함으로써 의료서비스를 개선하고, 진료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의사의 병동 회진시 모바일 단말기를 휴대하여 각 환자의 진료영상과 이미지를 보여주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병동마다 모바일 단말기를 구비하되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함으로써 의사가 선택한 환자의 진료기록이나 진료영상,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토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환자로 하여금 자신의 병세가 호전되는 과정을 보다 직접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의사별로 축적된 풍부한 진료, 시술경험을 진료 전후의 영상이나 이미지를 앨범형태로 재구성함으로써 환자에게 제시함으로써 환자로 하여금 의사에 대한 신뢰와 믿음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에 대한 진료현황을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며, 병원의 입장에서는 환자들로부터 의사와 진료서비스에 대한 신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와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 병원마다 구비된 메인 서버간 연결관계를 설명하는 연결관계도이며,
도 2는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는 화면예시도이며,
도 3은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환자의 진료영상이 표시되는 모습을 예시하는 화면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사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관련없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한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수단", "~부", "~모듈", "~블록"으로 명명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들 각각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구조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서버(10)는 바람직하게는 각급 병원마다 한 대씩 구비될 수 있다. 환자의 진료시 의사는 스트라이커 장비(미도시)를 이용하여 환자의 환부를 촬영하는데, 서버(10)는 이러한 스트라이커 장비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미지를 다이콤 규격에 의하여 제공받아 저장한다.
종래에는 스트라이커 장비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시디롬에 기록하여 병원의 전산시스템에 옮겨 저장하기도 하였으나, 촬영된 영상/이미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서버(10)로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서버(10)는 각 환자별, 각 의사별로 진료기록을 저장하되, 상기 환자의 환부를 촬영한 영상/이미지를 함께 저장, 관리한다.
해당 병원의 의사들은 상기 서버(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의료용 컴퓨터(미도시)를 이용해 상기 서버(10)에 접속, 진료기록을 생성하거나 열람한다. 이러한 의료용 컴퓨터는 진료실에 설치되어, 의사의 진료시에 사용된다.
반면,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는 의사가 회진시는 물론 병원 외부에서도 항상 휴대하면서, 진료 외적인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바람직하게는 타블렛(Tablet)의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미국 애플사(Apple Inc.)의 아이패드 또는 안드로이드 운영체계를 탑재한 삼성전자의 갤럭시 탭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는 무선통신 방식에 의하여 인터넷 망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인터넷 망을 통하여 서버(10)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는 통상 10인치 미만의 작은 화면 크기를 가지며, 1kg 이내의 경량인 까닭에 휴대성이 매우 높으나, 주로 터치스크린을 입력수단으로 사용하며, 진료를 위한 각종 장비와 직접 연결이 어렵다는 점 등 몇가지의 이유에서 진료용으로 사용되기보다는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의사가 병동 회진시 휴대하면서 환자의 진료기록 등을 보며 환자의 상태를 점검하거나 환자에게 촬영된 영상이나 이미지 등을 보여주면서 진료경과를 안내하기 위한 용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30)는 바람직하게는 병동에 구비되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 또는 서버(10)와 연동되어 환자에게 허용되는 진료기록 또는 진료 영상/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30)은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와 동일한 하드웨어 - 즉, 타블렛일 수 있다. 이러한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30)는 병동의 각 병실마다 한 대씩 구비되거나, 또는 침상마다 한대씩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본 바와 같은 연결구조하에서 서버(10)와 모바일 단말기(20, 30) 사이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는 화면예시도, 도 3은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환자의 진료영상이 표시되는 모습을 예시하는 화면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사가 자신의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자기 환자들의 진료기록을 열람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의사가 자신의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의 전원을 키고, 서버(10)에 접속하기 위한 전용앱을 실행시키면,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는 무선통신 방식에 의하여 상기 서버(10)로 인증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인증정보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사가 직접 입력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고유 식별자(Unique Device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고유 식별자는 모바일 단말기(20, 30) 하드웨어마다 고유하게 부여되는 식별정보로서, 서버(10)는 이에 의하여 각 모바일 단말기(20, 30)를 식별할 수 있다.
서버(10)는 해당 병원의 모바일 단말기(20, 30)로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20, 30)들의 디바이스 고유 식별자들을 미리 수집하여 저장하였다가, 모바일 단말기(20, 30)가 접속해오면 디바이스 고유 식별자를 제공받는 것에 의해 어느 모바일 단말기(20, 30)인지를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서버(10)가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를 인증한다(S120).
인증이 이루이면, 서버(10)는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로 하여금 자신의 계정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접근 권한을 부여한다.
즉,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짐에 다라 서버(10)는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 사용자로 미리 등록된 의사의 진료기록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예컨대,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 사용자 - 즉, 의사 - 가 담당하는 환자들의 목록을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로 제공한다(S130).
이에 따라,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가 제공받은 해당 의사의 환자 목록을 화면에 표시한다(S140).
환자 목록을 보면서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 사용자는 자신의 환자들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는 상기 의사에 의해 선택된 환자의 식별정보를 서버(10)로 제공한다(S150).
서버(10)는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환자의 식별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기 저장된 환자별 진료기록, 진료영상 또는 이미지 가운데 해당 식별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환자의 진료기록, 진료영상 또는 이미지를 인출한다(S16O).
이와 같이 의사가 선택한 환자의 진료기록, 진료영상 또는 이미지가 인출되면 서버(10)는 인출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 30)에서 표시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거나, 또는 모바일 단말기(20, 30)로 전송할 데이터와 전송하지 않을 데이터를 나눈다(S170).
예컨대, 진료영상의 해상도가 높은 경우 네트워크 대역폭 한계상 스트리밍 방식에 의하여 모바일 단말기(20, 30)로 제공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모바일 단말기(20, 30)용 규격으로 인코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진료기록 가운데 보안 기타의 이유에서 모바일 단말기(20, 30)에서 접근이 허용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나눌 수도 있다. 즉, 미리 정해진 모바일 단말기용 필터링 기준을 이용하여 필터링 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20, 30)로 제공해도 무방한 자료들을 남길 수 있다.
이후, 서버(10)가 이와 같이 필터링하거나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로 실시간으로 제공한다(S180).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는 서버(10)로부터 필터링되거나 변환된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이를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표시한다(S190).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사의 회진시 모바일 단말기(20)를 휴대하면서, 진료기록을 직접 확인하고 또 필요한 경우 영상이나 이미지를 통해 환자에게 진료상황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의사는 수십, 수백명의 환자를 진료하지만, 환자는 단 한명의 의사로부터 자신의 병세에 관한 정보를 얻기 때문에 병원이라는 공간은 정보의 유통이 일방향적이고 폐쇄적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할 때 환자는 의사가 자신의 진료와 관련한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진료에 임하고 있다는 점을 확신할 수 있게 되며, 나아가 그 정보를 영상이나 이미지를 통해 시각적으로 공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둘 이상의 의사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하여 환자에 대한 진료기록 및 영상, 이미지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특히, 특정 환자를 담당하는 의사(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1) 사용자)가 휴가 기타의 이유로 부재중인 경우, 그 동료의사(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2) 사용자)가 대신하여 진료하는 경우에 그 두 명간의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제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2) 사용자가 특정 환자를 진료하는 동안 촬영된 상기 환자의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 가운데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1) 사용자가 알아야 한다고 판단되는 것을 선택한다.
그리고,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1) 사용자를 선택하면,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2)는 무선통신의 방식에 의하여 상기 선택된 영상 또는 이미지의 식별정보와 상기 선택된 의사(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1)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서버(10)로 제공한다(S210).
공유할 영상 또는 이미지는 반드시 명시적으로 선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2) 사용자가 기 저장된 환자의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에 대하여 중요도를 표시하는 경우, 중요도가 일정값 이상인 영상 또는 이미지를 상기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2) 사용자가 선택한 것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서버(10)는 상기 수신한 의사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의사의 모바일 단말기인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1)의 식별정보를 인출한다(S220).
그리고, 인출한 상기 제 1 모바일 단말기(21)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1)로 환자의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가 공유되었음을 알리는 푸쉬 메시지를 발송한다(S230).
이에 따라,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1)의 대기화면에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2) 사용자로부터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가 공유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팝업의 형태로 표시된다.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1) 사용자는 이에 따라, 공유된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를 확인하기 위한 전용앱을 실행시킨다.
전용앱이 실행된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1)는 미리 저장된 서버(10)의 접속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10)로 접속한 다음 인증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인증정보는 디바이스 고유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1)가 접속함에 따라, 서버(10)는 상기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1)로 상기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2)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또는 이미지를 제공한다.
이때, 기 저장된 환자별 진료기록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2)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또는 이미지가 속하는 환자의 진료기록을 인출한다.
그리고, 인출한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을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1)로 더 제공한다. 이때, 보안상의 이유 등에 의하여 진료기록 가운데 일부만을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1)로 제공하도록 한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1) 사용자는, 원격지에서도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2) 사용자가 공유한 환자의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해당 환자의 진료기록을 열람할 수 있다.
한편,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2) 사용자가 공유한 환자의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를 확인한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1) 사용자는 해당 환자의 진료와 관련하여 의견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1) 사용자는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1)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입력하는 등의 방식으로 코멘트를 남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1)는 입력된 코멘트를 서버(10)로 전송한다(S250).
서버(10)는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1)로부터 코멘트를 수신함에 따라, 수신한 코멘트를 상기 선택된 영상 또는 이미지가 속하는 환자의 진료기록에 포함시켜 저장한다(S260).
진료기록은 병원 내의 진료용 컴퓨터를 통하여 생성되고 변경될 수 있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원격지에서 입력된 코멘트의 경우 추후 진료시에 참고할 수 있도록 이를 진료기록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단, 이때 서버(10)는 상기 코멘트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코멘트임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1)로부터 코멘트가 입력됨에 따라, 서버(10)는 상기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2)로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로부터의 코멘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푸쉬 메시지를 발송한다(S270).
서버(10)는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2)의 식별정보를 보유하며,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1)로부터 코멘트가 입력됨에 따라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2)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2)로 푸쉬 메시지를 발송하게 된다.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2)의 사용자는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2)의 대기화면에 표시된 푸쉬 메시지를 확인한다.
이후,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2)의 사용자는 병원 내의 진료용 컴퓨터(미도시)를 이용하여 해당 환자를 진료할 때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코멘트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진료시에 참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예컨대,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1) 사용자의 부재중, 상기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1) 사용자의 환자를 그 동료의사인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2) 사용자가 대신 진료하는 경우, 해당 환자의 상태나 진료방향과 관련하여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1) 사용자가 숙지해야할 사항이 있다거나, 또는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1) 사용자로부터의 코멘트가 필요한 경우에 실시될 수 있다.
즉, 담당의 부재시에 동료의사가 환자 진료영상이나 이미지 가운데 중요도가 높은 자료를 선택하고, 이를 원격지의 담당의와 공유할 수 있게 된다.
과거에는 담당의 부재시 위급상황이 발생하는 등의 경우, 담당의에게 전화하여 의견을 묻는 것이 고작이었으나, 본 발명에 의할 때 스마트폰, 타블렛 인프라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담당의와 더욱 긴밀한 의견교환이 가능해지는 것은 물론, 원격지의 담당의 의견이 진료기록에 직접적으로 반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삼 실시예는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와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가 동기화되어 환자의 진료 영상이나 이미지가 표시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삼 실시예는 예컨대, 병동을 회진중인 의사가 특정 병실에 들어가면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를 인식함으로써 동기화되어 진료 영상등이 공유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우선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가 인근의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30)로부터 상기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한다(S310).
예컨대,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가 블루투스 방식에 의하여 검색을 하여 신호가 확인되는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30)를 커플링 할 수 있다.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30)들의 식별정보를 미리 등록해 둠으로써 차후의 커플링은 인근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시 자동으로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는 커플링이 이뤄짐에 따라 서버(10)로 상기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30)의 식별정보를 제공한다(S320).
서버(10)는 상기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30)의 식별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30)에 해당하는 병상에 배정된 환자의 진료기록 데이터 또는 상기 환자의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를 인출한 다음 이를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로 제공한다(S330).
이에 따라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는 수신한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 데이터 또는 상기 환자의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한다(S340).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 사용자 - 즉, 담당의는 화면에 표시된 환자의 진료기록 데이터, 환자의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를 보면서 그 가운데 환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환자에게 보여줄 자료들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는 상기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30)를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에 동기화시킴으로써 상기 담당의가 선택한 영상이나 이미지가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3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그 과정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우선 서버(10)가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30)를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에 동기화시킨다. 즉, 양방향의 동기화가 아니라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30)의 화면에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의 화면이 그대로 보여지도록 처리한다(S350).
이후, 담당의 즉,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진료기록 데이터, 진료영상 또는 이미지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는 선택된 진료기록 데이터, 진료영상 또는 이미지의 식별정보를 서버(10)로 제공한다(S360).
이에 따라 서버(10)는 상기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30) 화면상에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진료기록 데이터, 진료영상 또는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370).
이때, 진료항목이나 진료 영상, 이미지는 다수의 항목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그 가운데 일부 항목은 전문적인 내용에 해당하는 등의 이유에서 환자에게 공유될 성질의 것이 아닐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항목별로 미리 공유 여부를 설정해 둘 수 있다.
즉, 담당의가 환자에게 보여주기 위하여 선택한 진료기록 데이터, 진료영상 또는 이미지 전체를 모두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30)로 전송하는 대신, 그 가운데 공유가 허용된 항목에 해당하는 데이터만을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30)로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삼 실시예는 각 병상의 환자마다 서버(10)가 진료기록, 진료 영상 및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되, 의사의 회진시에 각 병상에 마련된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30)를 통해 제공하는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삼 실시예에 의할 때, 의사가 허용한 자료를 환자 또는 그 보호자가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와 의사간 보다 긴밀하고 정확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진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사 실시예는 각 의사별로 축적된 진료경험과 사례들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앨범의 형태로 생성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우선 각 환자별로 해당 환자의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들 가운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 사용자가 그 가운데 하나 이상을 선택하면, 서버(10)는 선택된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들을 화면상에 시간순으로 배치함으로써 진료 전후 기록앨범을 생성한다(S410).
서버(10)는 각 진료 영상과 진료 이미지의 촬영 일자와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어느 것이 진료 이전인지, 또 어느 것이 진료 이후인지를 판정할 수 있으며, 진료전을 좌측, 진료후를 우측에 나란히 배치할 수 있다. 진료 전후 기록앨범은 이와 같이 환자의 진료 전과 후의 사진 또는 영상을 나란히 배치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때, 서버(10)는 각 진료 전후 기록앨범에 대하여 어느 의사의 진료자료인지, 병명은 무엇인지, 환부는 어느 부위인지 등의 정보를 각각 저장한다.
한편,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 사용자가 환부 또는 병명을 선택하면,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는 선택된 환부 또는 병명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S420).
이에 따라 서버(10)는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 사용자 계정에 속하는 환자들의 진료전후 기록앨범들을 인출하되, 상기 수신한 환부 또는 병명으로 상기 진료전후 기록앨범들을 필터링한다(S430).
예컨대,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 사용자가 "심장병" 또는 "심장"으로 검색한 경우, 서버(10)는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 사용자의 진료전후 기록앨범 가운데 "심장병" 또는 "심장"에 해당하는 것을 추출한다.
이후, 서버(10)는 이렇게 필터링 된 진료전후 기록앨범들을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로 제공한다(S440).
이에 따라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20)는 수신한 진료전후 기록앨범들을 화면에 표시한다(S450). 바람직하게는 한 화면상에 많은 사례들이 표시될 수 있도록 구획지어 다수의 사례들을 동시에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사 실시예는 의사의 진단과 진료행위에 전적으로 기댈 수 밖에 없는 환자들로 하여금, 담당 의사가 얼마나 많은 사례들을 성공적으로 진료하였는지를 한눈에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의사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도록 하기 위해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수록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을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DVD-ROM, CD-ROM, 하드 디스크, USB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수록된다는 표현은 대량으로 기록매체에 수록되어 패키지 형태로 유통되는 경우는 물론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어 기록매체에 수록되는 경우를 모두 포괄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모바일 단말기"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모바일 단말기"라는 표현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서 서버에 접속할 수 있으며, 푸쉬 방식에 의하여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수단을 지칭하는 것으로, 반드시 스마트폰이나 타블렛이라는 명칭으로 분류되는 하드웨어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네트워크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으나 이때 네트워크는 거리와 규모에 따라서는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접속경로의 특징에 따라서는 인트라넷, VPN(Virtual Private Network), 접속방식에 따라서는 와이브로, WiFi 등과 같이 지칭되는 공지의 유무선 통신방식을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및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오직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며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의료장비 기술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10 : 서버
20 :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21 :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22 :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30 :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

Claims (8)

  1. 사용자 조작에 따라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제공하는 제 110 단계;
    서버가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의 인증정보에 의하여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를 인증하는 제 120 단계;
    서버가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 계정에 속하는 환자들의 목록을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 130 단계;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환자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는 제 140 단계;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환자 목록에 표시된 환자들 가운데 어느 하나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선택된 환자의 식별정보를 서버로 제공하는 제 150 단계;
    서버가 상기 수신한 환자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를 인출하는 제 160 단계;
    서버가 소정의 모바일 단말기용 필터링 기준을 이용하여 상기 인출한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를 필터링하거나, 모바일 단말기용으로 변환하는 제 170 단계;
    서버가 상기 필터링하거나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로 실시간 제공하는 제 180 단계;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제 19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방법.
  2.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기 저장된 환자의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영상 또는 이미지를 공유할 의사를 선택함에 따라,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선택된 영상 또는 이미지의 식별정보, 상기 선택된 의사의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제 210 단계;
    서버가 상기 수신한 의사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의사의 모바일 단말기인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인출하는 제 220 단계;
    서버가 상기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로 환자의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가 공유되었음을 알리는 푸쉬 메시지를 발송하는 제 230 단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접속함에 따라, 서버가 상기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또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제 240 단계;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코멘트가 입력됨에 따라,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서버로 입력된 코멘트를 전송하는 제 250 단계;
    서버가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코멘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영상 또는 이미지가 속하는 환자의 진료기록에 포함시켜 저장하는 제 260 단계; 및
    서버가 상기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로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로부터의 코멘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푸쉬 메시지를 발송하는 제 270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40 단계에서 서버가 상기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영상 또는 이미지가 속하는 환자의 진료기록 데이터를 인출한 다음, 이를 상기 제 1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로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10 단계에서, 상기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기 저장된 환자의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에 대하여 중요도를 표시함에 따라, 중요도가 일정값 이상인 영상 또는 이미지를 상기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선택한 것으로 처리하여, 해당 영상 또는 이미지의 식별정보를 제 2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방법.
  4.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인근의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제 310 단계;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서버로 상기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제 320 단계;
    서버가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에 해당하는 병상에 배정된 환자의 진료기록 데이터 또는 상기 환자의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를 인출하여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30 단계; 및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 데이터 또는 상기 환자의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제 34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40 단계 이후, 서버가 상기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를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를 동기화시키는 제 350 단계;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표시된 진료기록 데이터, 진료영상 또는 이미지 가운데 어느 하나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선택된 진료기록 데이터, 진료영상 또는 이미지의 식별정보를 서버로 제공하는 제 360 단계; 및
    서버가 상기 환자용 모바일 단말기 화면상에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진료기록 데이터, 진료영상 또는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 370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60 단계에서,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항목별 공유 허용 여부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선택된 진료기록 데이터, 진료영상 또는 이미지로서 공유가 허용된 항목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식별정보를 서버로 제공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방법.
  7. 서버가 각 환자별로 해당 환자의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로서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진료 영상 또는 이미지들을 시간순으로 배치함으로서 진료전후 기록앨범을 생성하는 제 410 단계;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환부 또는 병명이 선택됨에 따라,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선택된 환부 또는 병명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제 420 단계;
    서버가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 계정에 속하는 환자들의 진료전후 기록앨범들을 인출하되, 상기 수신한 환부 또는 병명으로 상기 진료전후 기록앨범들을 필터링하는 제 430 단계;
    서버가 필터링된 진료전후 기록앨범들을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 440 단계;
    상기 의사용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진료전후 기록앨범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제 45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에 기재된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을 컴퓨터 상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20063145A 2012-06-13 2012-06-13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 KR201301395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145A KR20130139579A (ko) 2012-06-13 2012-06-13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145A KR20130139579A (ko) 2012-06-13 2012-06-13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214A Division KR20130139823A (ko) 2013-12-03 2013-12-03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579A true KR20130139579A (ko) 2013-12-23

Family

ID=49984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145A KR20130139579A (ko) 2012-06-13 2012-06-13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9579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256B1 (ko) * 2015-06-16 2016-12-09 주식회사 유비케어 검진결과 유통 방법 및 검진결과 유통 시스템
KR101892931B1 (ko) * 2017-05-24 2018-08-30 주식회사 메디스태프 협진을 지원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200068990A (ko) * 2018-12-06 2020-06-16 주식회사 유비케어 전자차트 작성 방법 및 전자차트 작성 장치
CN112233819A (zh) * 2020-11-13 2021-01-15 河南大学淮河医院 重症监护室监控系统
CN114155953A (zh) * 2021-11-15 2022-03-08 浙江嘉兴数字城市实验室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智慧医疗病情监控方法
KR102382541B1 (ko) * 2021-07-15 2022-04-08 주식회사 에이더블유시스템즈 고객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20124568A (ko) * 2021-03-03 2022-09-1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 전후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US11449793B2 (en) 2019-07-03 2022-09-20 Kpn Innovation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medical record searching with transmittable machine learning
KR20230021447A (ko) 2021-08-05 2023-02-14 휴마니타스 주식회사 의료정보 실시간 제공 시스템
CN116759060A (zh) * 2023-08-17 2023-09-15 北京大学第三医院(北京大学第三临床医学院) 临床药学智慧管理方法、系统、设备及介质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256B1 (ko) * 2015-06-16 2016-12-09 주식회사 유비케어 검진결과 유통 방법 및 검진결과 유통 시스템
KR101892931B1 (ko) * 2017-05-24 2018-08-30 주식회사 메디스태프 협진을 지원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200068990A (ko) * 2018-12-06 2020-06-16 주식회사 유비케어 전자차트 작성 방법 및 전자차트 작성 장치
US11449793B2 (en) 2019-07-03 2022-09-20 Kpn Innovation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medical record searching with transmittable machine learning
CN112233819A (zh) * 2020-11-13 2021-01-15 河南大学淮河医院 重症监护室监控系统
KR20220124568A (ko) * 2021-03-03 2022-09-1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 전후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382541B1 (ko) * 2021-07-15 2022-04-08 주식회사 에이더블유시스템즈 고객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WO2023286899A1 (ko) * 2021-07-15 2023-01-19 주식회사 에이더블유시스템즈 고객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30021447A (ko) 2021-08-05 2023-02-14 휴마니타스 주식회사 의료정보 실시간 제공 시스템
CN114155953A (zh) * 2021-11-15 2022-03-08 浙江嘉兴数字城市实验室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智慧医疗病情监控方法
CN116759060A (zh) * 2023-08-17 2023-09-15 北京大学第三医院(北京大学第三临床医学院) 临床药学智慧管理方法、系统、设备及介质
CN116759060B (zh) * 2023-08-17 2024-01-30 北京大学第三医院(北京大学第三临床医学院) 临床药学智慧管理方法、系统、设备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9579A (ko)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
US20200281469A1 (en) Electronic delivery of information in personalized medicine
US9532756B2 (en) Medical image control system and mobile terminal
KR20190022623A (ko) 지리적 지역들에 걸친 분석용 건강 데이터를 수정 및 편집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2973319A (zh) 痴呆症护理辅助系统
US9223932B1 (en) Handheld medical imaging mobile modality
US20170277842A1 (en) Patient health measurement compliance and incentive system
US202100052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best practices for third parties accessing a health care network
JP2014044495A (ja) 医用画像管理サーバ
US11152104B2 (en) Medical data managing apparatus and medical data managing system
JP6095324B2 (ja) 病院内患者ガイダンスシステムおよび患者携帯端末
US20130195331A1 (en) Apparatus for sha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in 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JP7112660B2 (ja) 個別化医療における情報の電子配信
US20210005292A1 (en) System and method of utilizing a user's health data stored over a health care network, for disease prevention
JP2014086001A5 (ko)
US20200272761A1 (en) Software having control logic for secure transmission of personal data via the internet from computers to the server, with secure storage of the data on servers
JP5730109B2 (ja) ホームヘルスケアシステム及び生体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20130139823A (ko) 모바일과 연동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
KR101678106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태아 정보 제공 시스템
JP5499148B1 (ja) データアクセス制御装置及び方法
JP6645251B2 (ja) 画像送信装置、画像送信システム及び治験データ管理装置
US202401387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data transmission using an agnostic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KR20140030911A (ko) 영상검사자료 통합검색기능이 구비된 병원진료검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im et al. m-PACS gateway platform for mobile-based diagnostic medical image service
JP2015212894A (ja) 医療行為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