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3167A -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3167A
KR20240043167A KR1020220121359A KR20220121359A KR20240043167A KR 20240043167 A KR20240043167 A KR 20240043167A KR 1020220121359 A KR1020220121359 A KR 1020220121359A KR 20220121359 A KR20220121359 A KR 20220121359A KR 20240043167 A KR20240043167 A KR 20240043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gery
information
patient
surgical
s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1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도준
조재형
고승현
한경도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21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3167A/ko
Priority to PCT/KR2023/014424 priority patent/WO2024071843A1/ko
Publication of KR20240043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316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61B5/1122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of movement traject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chanical, radiation or invasive therapies, e.g. surgery, laser therapy, dialysis or acupunct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ometry (AREA)
  • Psychiat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은,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통합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관절수술 통합 관리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환자의 수술 전 제1 관절 가동 각도정보 및 제1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제1 의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1 의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예측 수술 성공률에 기초한 제1 써지컬 스코어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제1 써지컬 스코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수술 전 제1 관리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수술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환자의 수술 후 제1 관절 가동 각도정보 및 제1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의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2 의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실질 수술 성공률에 기초한 실질 써지컬 스코어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실질 써지컬 스코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수술 후 제1 관리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수술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JOINT SURGERY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관절수술 전후 환자의 관절 및 건강 상태를 기초로 한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헬스 케어 분야는 의료 서비스를 넘어 스포츠 분야, 일상 생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신뢰도가 높고 편리한 데이터 수집을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와 결합된 헬스 케어 시스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종래의 헬스 케어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는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의 실행으로 자신의 보행수, 체온, 심박수, 칼로리 소모량 등의 정보를 제공받았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헬스 케어 시스템은 수집되는 신체 및 행동정보 등에 대한 수치값이 각각 분산되어 기록되거나 기준이 되는 값들과의 정량적 비교를 통해 단순한 평가만을 내릴 뿐, 수집된 정보가 통합되어 통합된 정보의 형태로써 제공되지 못하여 종합적인 결론을 도출해내지 못한다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특히나 이러한 헬스 케어 시스템이 무릎 수술 등을 받은 환자의 재활에 사용되는 경우를 가정해보면, 여러 측정 수단을 통해 측정된 결과값들이 환자에게 제공될 수는 있지만, 이는 단순한 수치에 불과한바, 전문적 지식이 없는 환자가 볼 때에는 그래서 자신의 현재 상태가 어떠하다는 것이며, 앞으로 어떻게 재활 운동을 해야하는 것인지 등에 관한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근래에 들어서는 수술을 받은 환자의 현재 신체 상태에 맞게 맞춤형으로 재활 치료 정보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수술 후의 환자의 상태만을 중점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수술 전에 환자가 수술에 따른 우수한 치료 효과를 보기 위해 취해야하는 조치 등에 대한 정보는 여전히 미흡하다.
또한, 수술 진행 후 수술에 따른 치료 효과가 미미한 경우, 어떤 이유로 미흡한 효과가 도출된 것인지에 대해 알 수 없어 근본적인 개선이 수행될 수 없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관련 업계에서는, 측정된 인자들을 단순히 분산하여 나열하는데 그치지 않고, 측정된 정보들을 통합적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들을 종합해 수술 후 사용자에게 알맞은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수술 전 수술에 따른 치료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의 도입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2117523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관절수술 전후 환자의 건강 상태를 기초로 환자의 건강을 관리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절 가동 각도를 기초로 환자의 수술 성공률을 예측하는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술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수술 스케줄을 조정하는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술 결과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를 도출해내는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수술과 관련된 관계자들이 관절수술 전후 환자와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는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은,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통합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관절수술 통합 관리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환자의 수술 전 제1 관절 가동 각도정보 및 제1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제1 의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1 의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예측 수술 성공률에 기초한 제1 써지컬 스코어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제1 써지컬 스코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수술 전 제1 관리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수술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환자의 수술 후 제1 관절 가동 각도정보 및 제1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의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2 의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실질 수술 성공률에 기초한 실질 써지컬 스코어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실질 써지컬 스코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수술 후 제1 관리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수술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환자의 수술 전 제1 관절 가동 각도정보 및 제1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제1 의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셀프 문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공된 셀프 문진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수술 전 복약상태, 영양상태, 비만도, 운동량, 운동수행능력, 통증의 빈도 및 강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셀프 문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제1 셀프 문진 데이터를 상기 수술 전 제1 건강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획득된 제1 의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예측 수술 성공률에 기초한 제1 써지컬 스코어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수술 전 제1 관절 가동 각도정보 대비 상기 수술 후 제1 관절 가동 각도정보가 감소된 비율을 예측한 제1 추정 손실률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획득된 제1 의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예측 수술 성공률에 기초한 제1 써지컬 스코어를 계산하는 단계는, 소정의 의료 정보를 입력으로 하고 소정의 추정 손실률을 출력으로 하는 딥러닝 모델에 상기 제1 의료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딥러닝 모델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 추정 손실률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제1 추정 손실률을 기초로 상기 제1 써지컬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딥러닝 모델은, 복수의 환자별 상기 제1 의료 정보 및 상기 제2 의료 정보를 트레이닝 데이터 셋으로 하여 학습된 딥러닝 모델이다.
또한, 상기 제1 써지컬 스코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수술 전 제1 관리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수술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써지컬 스코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수술 날짜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수술 날짜정보를 상기 제1 수술 관리정보에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써지컬 스코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수술 날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수술 담당의 스케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스케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술 날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의료 정보의 획득시점 이후 및 상기 수술 시행시점 이전 소정의 시점에 상기 환자의 수술 전 제2 관절 가동 각도정보 및 제2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제1 신규 의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제1 신규 의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수술 관리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술 관리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규 의료 정보를 상기 딥러닝 모델에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딥러닝 모델로부터 출력된 제2 추정 손실률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제2 추정 손실률을 기초로 제2 써지컬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제2 써지컬 스코어를 기초로 상기 제1 수술 관리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의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실질 수술 성공률에 기초한 실질 써지컬 스코어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수술 전 제1 관절 가동 각도정보 대비 상기 수술 후 제1 관절 가동 각도정보가 감소된 비율을 계산한 실질 손실률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계산된 실질 써지컬 스코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수술 후 제1 관리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수술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실질 써지컬 스코어를 기초로 상기 환자 맞춤형 재활운동 및 복약처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수술 후 제1 관리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의료 정보의 획득시점 이후 소정의 시점에 상기 환자의 수술 후 제2 관절 가동 각도정보 및 제2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규 의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제2 신규 의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수술 관리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수술 통합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은, 환자의 수술 전 제1 관절 가동 각도정보 및 제1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제1 의료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1 의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예측 수술 성공률에 기초한 제1 써지컬 스코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제1 써지컬 스코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수술 전 제1 관리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수술 관리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환자의 수술 후 제1 관절 가동 각도정보 및 제1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의료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2 의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실질 수술 성공률에 기초한 실질 써지컬 스코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실질 써지컬 스코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수술 후 제1 관리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수술 관리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관절수술 전후 환자의 건강 상태를 기초로 환자의 건강을 관리하고 모니터링함으로써, 환자별 건강 상태를 고려하지 않은 수술의 강도나 날짜 등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관절 가동 각도를 기초로 환자의 수술 성공률을 예측함으로써, 환자 스스로가 수술 이전 수술 성공률을 최대한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도록 개선 의지를 북돋우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수술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환자 스스로가 수술 전후에 유의해야 하는 요소들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정보를 확인하고 자신의 상태를 관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환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수술 스케줄을 조정함으로써, 환자로 하여금 수술 성공률이 높은 신체 상태 하에서 수술을 받도록 한다는 인식을 심어주어 수술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수술 결과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를 도출함으로써, 비효율적이고 막연한 건강 관리가 아닌 상기 도출된 요소를 중심으로 효율적이고 정확한 건강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환자의 수술과 관련된 관계자들(실시예에서, 환자의 수술을 담당하는 의사 및 환자의 보호자 등)이 관절수술 전후 관자와 관련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서로 다른 관계자 간의 의사소통 오류로 인한 환자 의료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수술 통합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수술 전후 환자의 건강 상태를 통합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 가동 각도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셀프 문진 인터페이스의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수술에 대한 시점별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수술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 날짜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스케줄 정보의 일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수술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수술 관리정보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선물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수술 통합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수술 통합 관리 시스템은, 관절수술 전후 환자의 관절 및 건강 상태를 관리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를 구현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말(100),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200)(이하, 서비스 제공 서버(200)), 병원 서버(300) 및 네트워크(10: Network)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네트워크(10)는, 상기 단말(100), 서비스 제공 서버(200) 및/또는 병원 서버(300) 등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10)의 일례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현하는 단말(100), 서비스 제공 서버(200) 및 병원 서버(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 단말(100: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상기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관리 애플리케이션(이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소정의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환자용 애플리케이션, 의사용 애플리케이션 및 보호자용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환자용 애플리케이션, 의사용 애플리케이션 및 보호자용 애플리케이션은, 단일 애플리케이션이나 사용 주체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기능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상기 환자용 애플리케이션은,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에 따른 수술 전 건강 상태 관리 기능, 수술 후 건강 상태 관리 기능 및/또는 수술 스케줄 관리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의사용 애플리케이션은, 의사의 수술 스케줄 관리 기능, 환자의 의료기록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 기능 및/또는 환자의 수술 등과 관련된 진료 보조 콘텐츠 제공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자용 애플리케이션은,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에 따른 환자의 건강 상태 모니터링 기능 및/또는 환자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선물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100)은, 환자가 사용하는 환자 단말(100-1), 환자의 수술을 담당하는 의사 단말(100-2) 및/또는 환자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보호자 단말(100-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환자 단말(100-1), 의사 단말(100-2) 및 보호자 단말(100-3)은, 사용 주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성요소나 기능 동작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환자 단말(100-1)에는 상기 환자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의사 단말(100-2)에는 상기 의사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보호자 단말(100-3)에는 상기 보호자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하드웨어적 관점에서 단말(100)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101) 및/또는 데스크탑 타입 컴퓨팅 장치(10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101)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101)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디지털방송용 디바이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tablet P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데스크탑 타입 컴퓨팅 장치(102)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고정형 데스크탑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울트라북(ultrabook)과 같은 퍼스널 컴퓨터 등과 같이 유/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단말(100)은,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는 소정의 서버(Server) 컴퓨팅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능적 관점에서 단말(100)은, 메모리(110), 프로세서 어셈블리(120), 통신 프로세서(130), 인터페이스 모듈(140), 입력 시스템(150), 센서 시스템(160)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단말(100)의 하우징 내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세히, 메모리(110)에는, 애플리케이션(111)이 저장되며, 애플리케이션(111)은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 명령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즉, 메모리(110)는,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 환경을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명령 및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10)는,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100)을 부팅하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기능요소들 사이에 연계될 수 있으며, 데이터 영역은, 단말(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와,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10)는, RO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상기 메모리(11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 환경을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11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111)의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메모리(110)의 애플리케이션(111)을 통해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중앙처리장치(CPU) 및/또는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이 포함된 단말(100)에 적합한 시스템 온 칩(SOC)일 수 있으며, 메모리(110)에 저장된 운영체제(OS) 및/또는 응용 프로그램 등을 실행할 수 있고, 단말(100)에 탑재된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각 구성요소와 내부적으로 시스템 버스(System Bus)에 의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로컬 버스(Local Bus)를 비롯한 소정의 버스 구조들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어셈블리(12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통신 프로세서(130)는, 외부의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프로세서(13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자세히, 통신 프로세서(130)는,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콘텐츠 소스를 저장한 단말(100)과 통신할 수 있으며, 유저 입력을 받는 컨트롤러와 같은 다양한 유저 입력 컴포넌트와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통신 프로세서(130)는,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타 단말 및/또는 외부의 서버 등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프로세서(13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5G NR(New Radio), WIFI) 또는 근거리 통신방식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장치를 통해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100), 임의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센서 시스템(160)은, 이미지 센서(161), 위치 센서(IMU, 163), 오디오 센서(165), 거리 센서, 근접 센서, 접촉 센서 및/또는 기울기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센서(161)는, 단말(100) 주위의 물리적 공간에 대한 이미지 및/또는 영상을 캡처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미지 센서(161)는,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이미지 및/또는 영상 등을 촬영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161)는, 단말(100)의 전면 또는/및 후면에 배치되어 배치된 방향측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단말(100)의 외부를 향해 배치된 카메라를 통해 물리적 공간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161)는, 이미지 센서장치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이미지 센서(161)는, 이미지 센서장치(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161)는, 이미지 인식 프로세스(예컨대, OCR 등) 및/또는 영상 처리 모듈을 이용하여 이미지 센서장치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해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프로세서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16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어셈블리일 수 있다. 카메라 어셈블리는, 가시광선 대역을 촬영하는 일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외선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 등의 특수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이미지 센서(161)는, 실시예에 따라서 단말(100)에 포함되어 동작할 수도 있고, 외부의 장치(예컨대, 외부의 서버 등)에 포함되어 상술된 통신 프로세서(130) 및/또는 인터페이스 모듈(140)에 기초한 연동을 통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위치 센서(IMU, 163)는, 단말(100)의 움직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자력계와 같은 다양한 위치 센서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위치 센서(IMU, 163)는, 통신 프로세서(130)의 GPS와 같은 위치 통신 프로세서(130)과 연동하여, 단말(100) 주변의 물리적 공간에 대한 공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오디오 센서(165)는, 단말(100) 주변의 소리를 인식할 수 있다.
자세히, 오디오 센서(165)는, 단말(100)을 사용하는 유저의 음성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오디오 센서(165)는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음성 데이터를 유저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40)은, 단말(100)을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자세히, 인터페이스 모듈(140)은, 하나 이상의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과 호환되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모듈(140)을 통해 단말(100)은, 여러 입출력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모듈(140)은, 헤드셋 포트나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출력장치와 연결되어,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오디오 출력장치가 인터페이스 모듈(140)을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단말(100) 내부에 설치되는 실시예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 모듈(140)은,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와 연결되어, 유저 입력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모듈(140)은,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전력 증폭기, RF 회로, 송수신기 및 기타 통신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시스템(150)은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와 관련된 유저의 입력(예를 들어, 제스처, 음성 명령, 버튼의 작동 또는 다른 유형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히, 입력 시스템(150)은 소정의 버튼, 터치 센서 및/또는 유저 모션 입력을 수신하는 이미지 센서(16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시스템(150)은, 인터페이스 모듈(140)을 통해 외부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유저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은,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그래픽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은,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를 위한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실시예에서, 셀프 문진 인터페이스 및/또는 수술기록 입력 인터페이스 등)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100)의 하우징 내에는 상기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유저 터치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171) 상에 터치 센서(173)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디스플레이 시스템(170)은,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71)와, 유저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17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171)는 터치 센서(173)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단말(100)과 유저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유저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단말(100)과 유저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단말(100)은, 외부의 컴퓨팅 장치(실시예에서, 외부 단말, 서비스 제공 서버(200) 및/또는 병원 서버(300) 등)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정보, 신규 의료 정보, 수술 관리정보 및/또는 수술기록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10)에 상기 각종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정보, 수술 관리정보, 신규 의료정보 및/또는 수술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환자의 수술과 관련한 각종 정보는, 수술을 기준으로 전후 소정의 시점에 획득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단말(100)은, 환자의 의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란, 환자에 대한 의료 관련 기초정보로서, 실시예에서 상기 환자의 관절 가동 각도정보, 건강정보 및/또는 상기 환자에 대하여 시행될 예정인 수술에 대한 수술 날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의료 정보는, 수술 시점을 기준으로 수술 이전에 획득된 제1 의료 정보 및 수술 이후에 획득된 제2 의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의료 정보 및 제2 의료 정보는, 동일한 환자에 대한 의료 관련 기초정보이지만, 수술 성공률에 따라 각 의료 정보에 포함된 소정의 수치가 상이해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단말(100)은, 상기 획득된 환자의 의료 정보(실시예에서, 제1 의료 정보 및/또는 제2 의료 정보)를 기초로 수술 관리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수술 관리정보란, 환자가 상기 수술 전후에 준수해야하는 정보로서, 실시예에서 상기 환자에 대한 써지컬 스코어, 임시 수술 날짜정보 및/또는 수술 전후 관리 가이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수술 관리정보는, 수술 시점을 기준으로 수술 이전에 획득된 제1 수술 관리정보 및 수술 이후에 획득된 제2 수술 관리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수술 관리정보 및 제2 수술 관리정보는, 동일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정보이지만, 환자가 상기 수술 관리정보를 획득하는 시점에 따라 각 수술 관리정보에 포함된 정보가 상이해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단말(100)은, 상기 환자의 수술 관리정보(실시예에서, 제1 수술 관리정보 및/또는 제2 수술 관리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의료 정보(실시예에서, 제1 의료 정보 및/또는 제2 의료 정보)를 기초로 써지컬 스코어(Surgical Score)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써지컬 스코어란, 수술 전후 환자의 의료 정보를 기초로 예상되는 수술 성공률을 계산하여 점수로 변환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자세히, 이러한 써지컬 스코어는, 수술 전후 환자의 관절 가동 각도의 변화와, 그에 더하여 수술 후 환자가 느끼는 일상생활 통증, 도보 시 불편감, 하체 피로도 등을 기록한 환자의 셀프 문진 등을 기초로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산출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상기 써지컬 스코어는, 수술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척도로써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수술 전후 관리 가이드 정보는, 수술 전 관리 가이드 정보 및 수술 후 관리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고, 환자가 받게 될 수술 종류나 환자의 신체 상태 등에 따라 환자의 건강과 관련한 각종 수치(예컨대, 근육량, 알부민 수치 등), 생활 습관(예컨대, 음주, 흡연, 운동 등) 및 복약 패턴 등을 개선하기 위한 소정의 안내 사항들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수술 전후 관리 가이드 정보는, 계산된 써지컬 스코어(실시예로, 제1 써지컬 스코어, 제2 써지컬 스코어 및/또는 실질 써지컬 스코어)의 값 별로 기 설정된 소정의 기준에 따라 차등적인 가이드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단말(100)은, 신규 의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신규 의료 정보란, 상기 의료 정보를 획득한 이후 소정의 기간이 지난 시점에 동일 환자에 대한 재 측정 등을 통해 재 획득한 의료 정보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신규 의료 정보는, 수술 시점을 기준으로 수술 이전에 획득된 제1 신규 의료 정보 및 수술 이후에 획득된 제2 신규 의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상기 제1 신규 의료 정보는, 상기 제1 의료 정보를 획득한 이후 소정의 기간이 지난 시점에 획득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시점은, 첫 수술이 시행되기 이전 시점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신규 의료 정보는, 상기 제1 의료 정보를 획득한 시점 이후 및 첫 수술 시점 이전에 획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신규 의료 정보는, 상기 제2 의료 정보를 획득한 이후 소정의 기간이 지난 시점에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단말(100)은, 획득된 상기 신규 의료 정보(실시예에서, 제1 신규 의료 정보 및/또는 제2 신규 의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술 관리정보(실시예에서, 제1 수술 관리정보 및/또는 제2 수술 관리정보)를 업데이트 및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단말(100)은, 환자의 수술기록 정보 및 제2 의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단말(100)은, 획득된 수술기록 정보 및 제2 의료정보를 기초로 제2 수술 관리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단말(100)은, 후술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서 수행하는 기능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 서비스 제공 서버(200: Service Providing Server)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말(100)과 같은 외부의 장치에서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 프로세스가 구동되게 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외부의 장치와 교환함으로써, 상기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외부의 장치(실시예에서,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101) 및/또는 데스크탑 타입 컴퓨팅 장치(102) 등)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이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애플리케이션(111)이 동작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한 각종 데이터를 상기 외부의 장치와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Deep-learning Neural Network)와 연동하여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를 위한 각종 딥러닝(Deep Learn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직접 설치되거나,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는 별개의 장치로서 동작하여 상기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를 위한 딥러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가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직접 설치되어 딥러닝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상기 딥러닝을 수행하기 위해 구축되어 있는 소정의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 구동 프로그램을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독출된 소정의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 시스템에 따라 하기 기술하는 딥러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외부의 컴퓨팅 장치(실시예에서, 단말(100) 및/또는 병원 서버(300) 등)로부터 환자의 의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상기 획득된 환자의 의료 정보를 기초로 수술 관리정보(실시예로, 제1 수술 관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환자에 대한 수술이 시행된 이후에, 상기 시행된 수술과 관련하여 획득되는 수술기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상기 획득된 환자의 수술기록 정보를 기초로 수술 관리정보(실시예로, 제2 수술 관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위와 같이 생성된 수술 관리정보(실시예로, 제1 수술 관리정보 및/또는 제2 수술 관리정보)를 외부의 컴퓨팅 장치(실시예에서, 단말(100) 및/또는 병원 서버(300) 등)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위와 같이 생성된 수술 관리정보(실시예로, 제1 수술 관리정보 및/또는 제2 수술 관리정보)에 기초하여 상술된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를 학습(Training)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 동작은 상술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능 동작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을 더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모듈(210: Processor Module)과, 외부의 장치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모듈(220: Communication Module)과,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모듈(230: Memory Module)을 포함하는 소정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 모듈(230)은,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운영체제(OS),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 명령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 모듈(230)은,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서버를 부팅하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기능요소들 사이에 연계될 수 있으며, 데이터 영역은, 서버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메모리 모듈(230)은,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 모듈(23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일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 모듈(230)은, 서버 상에 탈착 가능한 형태의 기록매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 모듈(210)은,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전술한 각 유닛(unit)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 모듈(210)은, 중앙처리장치(CPU) 및/또는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이 포함된 서버에 적합한 시스템 온 칩(SOC)일 수 있으며, 메모리 모듈(230)에 저장된 운영체제(OS) 및/또는 응용 프로그램 등을 실행할 수 있고, 서버에 탑재된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모듈(210)은, 각 구성요소와 내부적으로 시스템 버스(System Bus)에 의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로컬 버스(Local Bus)를 비롯한 소정의 버스 구조들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모듈(210)은,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상술된 바와 같은 기능 동작을 수행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서 수행하는 기능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의 장치(예컨대, 단말(100) 등)에서 수행할 수도 있고, 상기 외부의 장치에서 수행하는 기능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서 더 수행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다.
- 병원 서버(300: Hospital Server)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서버(300)는, 해당하는 병원별 환자의 진료 이력 등을 포함하는 의료 정보들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병원 서버(300)는, 병원별 전자의무기록(EMR) 및/또는 전자건강기록(EHR) 시스템에 기반한 환자의 의료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의무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이란, 기존의 종이에 기재하는 환자차트를 전산화한 것으로서, 환자의 인적사항, 과거 병력, 진단 기록, 치료 내용, 복약 지도 기록, 복용 약물 기록, 수술 기록, 입퇴원 기록 및 외래 진료 사항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술 기록은, 환자가 수술을 받은 날짜 및 수술 부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의무기록(EMR)은,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정보에 대한 보안이 중요하므로, 각 병원별 병원 서버(3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건강기록(EHR: Electronic Health Record)이란, 환자의 진료 관련 데이터를 획득하는 디바이스(Divice)에 의해 측정된 디지털 형식의 의료 관련 데이터로서, 환자가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디바이스에서 획득된 생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생체정보는, 혈당, 혈압, 체온, 심전도 및/또는 근육량 등의 환자의 신체를 측정한 정보이거나, 알부민 수치 정보, 체내 비타민 D 수치 정보, 통증 정보 및/또는 약물 복용 등에 따른 환자의 상태에 관한 정보 및/또는 상기 환자로부터 발생되는 통증을 입력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병원 서버(300)는, 소정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전자의무기록(EMR) 및/또는 전자건강기록(EHR)에 기반한 소정의 데이터(실시예로, 환자의 의료 정보 및/또는 의사의 스케줄 정보 등)를 외부의 장치(실시예로, 단말(100) 및/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 등)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병원 서버(300)는,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310: Processor)와, 외부의 장치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320)과,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 모듈(330)을 포함하는 소정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병원 서버(300)를 구성하는 상기 프로세서(310), 통신 모듈(320) 및 저장 모듈(330)은 상술한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내용을 준용하므로 생략한다.
- 관절수술 전후 환자의 건강 상태를 통합 관리하는 방법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111)이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관절수술 전후 환자의 건강 상태를 통합 관리하는 방법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1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111)을 실행하거나 백그라운드 상태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애플리케이션(111)의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동작하여 상술된 관절수술 전후 환자의 건강 상태를 통합 관리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상기 애플리케이션(111)이 수행하는 것으로 단축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수술 전후 환자의 건강 상태를 통합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환자의 제1 의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101)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수술 시점을 기준으로 수술 이전에 획득된 의료 정보인 환자의 제1 의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란, 환자에 대한 의료 관련 기초정보로서, 실시예에서 상기 환자의 관절 가동 각도정보, 건강정보 및/또는 상기 환자에 대하여 시행될 예정인 수술에 대한 수술 날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단말(100)(실시예로, 환자 단말(100-1) 및/또는 의사 단말(100-2) 중 적어도 하나)에서 감지된 소정의 사용자 입력, 소정의 외부 기기(실시예로, 웨어러블 기기 및/또는 체성분분석기(예컨대, 인바디 기기) 등) 및/또는 병원 서버(300)와의 연동을 기초로 상기 환자의 제1 의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관절 가동 각도정보란, 관절에서 움직일 수 있는 양을 각도로 측정한 정보로, 소정의 수치를 포함하는 값(예컨대, 100도(°)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절 가동 각도정보는, 통상적으로 환자가 관절수술을 받게 되면 관절 가동 각도가 수술 전보다 수술 후에 그 값이 증가하며(예컨대, 수술 전 80도(°)에서 수술 후 100도(°)로 증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정상 관절 가동 각도(예컨대, 통상적으로 135도(°)) 대비 수술 후 관절 가동 각도를 비율로 산출한 값을 손실률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손실률은 환자의 성별, 나이 등에 따라 그 목표치가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 가동 각도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환자 단말(100-1)에 포함된 소정의 센서(실시예로, 기울기 센서 및 이미지 센서 등)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관절 가동 각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환자 단말(100-1)에 포함된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관절 각도를 측정한 사용자(실시예로, 환자) 입력을 기초로 관절 가동 각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환자의 무릎 키포인트(KP-1)를 기준으로 상체에 가까운 방향(이하, X방향) 상에 포함되는 소정의 위치에서의 기울기(이하, 제1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X방향에 위치한 단말(100)로부터 측정을 시작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X방향에서 측정된 제1 기울기를 기준 기울기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환자의 무릎 키포인트(KP-1)를 기준으로 발에 가까운 방향(이하, Y방향) 상에 포함되는 소정의 위치에서의 기울기(이하, 제2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Y방향에 위치한 단말(100)로부터 측정을 종료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정확한 상기 제1 및 제2 기울기의 측정을 위해, 사용자는 단말(100)을 고정하기 위한 소정의 보조 기구(예컨대, 고무 밴드 등)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설정된 기준 기울기로부터 상기 Y방향에서 측정된 제2 기울기의 편차를 기초로 한 관절 가동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소정의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환자의 관절 가동 각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환자 단말(100-1)에 포함된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관절 각도를 측정한 사용자(실시예로, 환자) 입력을 기초로 관절 가동 각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환자의 다리 전체를 포함하는 소정의 이미지 및/또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환자의 무릎 키포인트(KP-1), 허벅지 키포인트(KP-2) 및/또는 정강이 키포인트(KP-3)의 위치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환자의 무릎 키포인트(KP-1) 및 허벅지 키포인트(KP-2)를 연결하는 제1 연결선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제1 연결선의 각도를 기준 각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환자의 무릎 키포인트(KP-1) 및 정강이 키포인트(KP-3)를 연결하는 제2 연결선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설정된 기준 각도로부터 상기 제2 연결선의 각도의 편차를 기초로 한 관절 가동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소정의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환자의 관절 가동 각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소정의 외부 기기(실시예로, 웨어러블 기기)를 기초로 관절 가동 각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환자의 대퇴골측 및/또는 경골측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기기를 기초로 가속도, 각속도, 각도 등을 측정함으로써 관절 가동 각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병원 서버(300)와의 연동을 기초로 관절 가동 각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병원 서버(300)와 연동하여 환자의 전자의무기록(EMR) 및/또는 전자건강기록(EHR)에 포함된 진단 기록 및 치료 내용 등을 수신함으로써 관절 가동 각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돌아와서, 실시예에서 상기 의료 정보에 포함된 상기 건강정보란,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환자) 건강 관련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 복약상태, 영양상태, 비만도, 운동량 및/또는 운동수행능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환자 단말(100-1)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건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환자 단말(100-1)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셀프 문진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건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셀프 문진이란, 관절수술 전후 환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환자 스스로가 기록한 자가 진단으로, 복약 현황, 운동량 및/또는 생활습관(예컨대, 음주, 흡연 등),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통증의 빈도 및 강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셀프 문진 인터페이스의 일례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환자 단말(100-1)을 이용하여 셀프 문진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문지 형태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소정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수행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셀프 문진에 대한 점수를 환산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의 1번 설문을 참고하면, “최고로 좋다”를 가장 높은 점수인 5점, “나쁘다”를 가장 낮은 점수인 1점으로 환산하여 수행된 셀프 문진에 대한 점수를 환산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셀프 문진은, 적어도 한 번 수행되어 환산된 점수가 데이터로써 누적될 수 있다. 즉, 상기 셀프 문진은 수술 전후에 주기적으로 수행되어 셀프 문진 데이터가 생성 및 누적됨으로써 환자의 관절 가동 각도정보와 더불어 수술 성공여부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셀프 문진 데이터가 수술 전에 한 번, 수술 후에 한 번 생성 및 누적되는 것에 기준하여 서술하고, 수술 전에 획득되는 데이터를 제1 셀프 문진 데이터, 수술 후에 획득되는 데이터를 제2 셀프 문진 데이터라고 지칭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제공된 셀프 문진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환자가 입력한 환자의 1일 운동량, 식단, 복약량, 복약 시간 및/또는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통증의 빈도 및 강도 등을 포함하는 건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소정의 외부 기기(실시예로, 웨어러블 기기 및/또는 체성분분석기 등)를 기초로 건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환자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기기 및/또는 체성분분석기를 기초로 혈당, 혈압, 체온, 심전도, 근육량 등의 환자의 신체를 측정한 정보 및/또는 알부민 수치 정보, 체내 비타민 D 수치 정보, 통증 정보 및/또는 약물 복용 등에 따른 환자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병원 서버(300)와의 연동을 기초로 건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병원 서버(300)로부터 환자가 병원에서 수행한 피검사 및/또는 골밀도검사 등에 대한 결과 데이터(예를 들어, 골밀도 등)를 수신함으로써 건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돌아와서, 실시예에서 상기 의료 정보에 포함된 수술 날짜정보는, 소정의 진료에 따라 환자 및 의사가 최초로 결정한 수술 날짜를 포함하는 정보로, 년/월/일/시간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소정의 사용자 입력 및/또는 소정의 서버(실시예로, 서비스 제공 서버(200) 및/또는 병원 서버(300) 등)와의 연동을 기초로 상기 수술 날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획득된 관절 가동 각도정보 및 건강정보에 따라 소정의 써지컬 스코어를 계산하여 제공할 수 있고, 누적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 가동 각도정보 및 건강정보에 따라 상기 수술 날짜정보를 변동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획득된 제1 의료 정보를 기초로 제1 수술 관리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S103)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획득된 제1 의료 정보를 기초로 써지컬 스코어, 임시 수술 날짜정보 및/또는 수술 전 관리 가이드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제1 수술 관리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수술 전후로 소정의 시점 별로 상기 시점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획득된 의료 정보를 기초로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술 관리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수술에 대한 시점별 개념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수술 이전 제1 시점(T1)에 제1 의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시점(T1)은, 환자가 수술 대상으로 지정되고 나서 최초로 의료 정보가 획득된 시점이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의료 정보는, 가이드 및 피드백을 받기 이전 일반적/일상적 상황 하에서 측정 및 획득된 의료 관련 기초정보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수술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의료 정보를 기초로 써지컬 스코어를 획득할 수 있다. (S301)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기 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제1 의료 정보를 기초로 제1 써지컬 스코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 학습된 딥러닝 모델은, 기존에 측정되어 있는 복수의 환자들 각각에 대응된 복수 개의 의료 정보를 트레이닝 데이터 셋으로 하여 학습된 딥러닝 모델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환자들 각각에 대응된 복수 개의 의료 정보는, A 환자의 제1 의료 정보 및 제2 의료 정보, B 환자의 제1 의료 정보 및 제2 의료 정보 … 등 n명의 제1 의료 정보 및 제2 의료 정보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의료 정보 및 제2 의료 정보를 트레이닝 데이터 셋으로 하는 이유는, 상기 제1 의료 정보 내 제1 건강정보에 따른 신체 상태(예컨대, 소정의 알부민 수치, 근육량 및/또는 체내 비타민 수치 등)의 유저가 수술을 받았을 때, 계산된 제1 관절 가동 각도정보 대비 상기 제2 의료 정보 내 제2 관절 가동 각도정보의 손실률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로 저장함으로써, 환자의 현재 신체 상태를 기초로 예상되는 손실률(이하, 추정 손실률)에 따른 수술 성공률(실시예로, 써지컬 스코어)을 획득하기 위함이다.
즉,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소정의 의료 정보를 입력 데이터로, 소정의 추정 손실률을 출력 데이터로 하는 기 학습된 손실률 계산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의료 정보에 기초한 상기 제1 써지컬 스코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제1 의료 정보를 상기 손실률 계산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에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의료 정보를 입력받은 손실률 계산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는, 상기 입력된 제1 의료 정보에 따른 제1 추정 손실률을 출력 데이터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손실률 계산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추정 손실률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수신된 제1 추정 손실률을 써지컬 스코어로 환산함으로써 제1 써지컬 스코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추정 손실률에 따라 환산되는 써지컬 스코어를 기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추정 손실률에 반비례하여 상기 써지컬 스코어가 환산되게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추정 손실률이 0%일 때 환산되는 써지컬 스코어가 100점이며, 상기 추정 손실률이 1% 증가시마다 상기 써지컬 스코어가 1점씩 감소되게끔 추정 손실률에 따라 환산되는 써지컬 스코어를 기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손실률 계산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제1 의료 정보를 기초로 제1 써지컬 스코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획득된 써지컬 스코어를 포함하는 수술 관리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S303)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획득된 제1 써지컬 스코어, 임시 수술 날짜정보 및 수술 전 관리 가이드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제1 수술 관리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임시 수술 날짜를 포함하는 임시 수술 날짜정보를 임시 수술 날짜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획득된 제1 써지컬 스코어를 기초로 임시 수술 날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소정의 서버(실시예로, 서비스 제공 서버(200) 및/또는 병원 서버(300) 등)와의 연동을 기초로 환자의 수술 날짜정보 및 상기 환자 담당 의사의 스케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획득된 제1 써지컬 스코어에 따라 상기 수술 날짜정보에 포함된 수술 날짜를 고정 및/또는 변동한 임시 수술 날짜를 설정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획득된 제1 써지컬 스코어가 기 설정된 소정의 기준을 충족 및/또는 미달하는 경우 상기 수술 날짜정보에 포함된 수술 날짜를 고정 및/또는 변동한 임시 수술 날짜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획득된 제1 써지컬 스코어가 80점 이상이면, 수술 날짜보다 앞선 날짜를 임시 수술 날짜로 설정하거나, 해당 수술 날짜를 임시 수술 날짜로 설정할 수 있다.
반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획득된 제1 써지컬 스코어가 30점 미만이면, 상기 수술 날짜보다 늦은 날짜를 임시 수술 날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설정되는 임시 수술 날짜를 소정의 서버(실시예로, 서비스 제공 서버(200) 및/또는 병원 서버(300) 등)와의 연동을 기초로 획득한 의사의 스케줄 정보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의사의 스케줄은 환자 수 증가에 따른 수술량 증가, 의사 인력 감소 등 다양한 이유로 그 조정이 어려울 수 있고, 때문에 현재 환자 본인의 신체 상태가 수술을 받기에 저조한 상태라면 임시 수술 날짜가 최초 결정된 수술 날짜보다 주/달 단위로 늦춰지게 되어 환자의 투병 및 입원 기간이 길어져 신체적/경제적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환자로 하여금 상기 제1 써지컬 스코어를 높여 수술 날짜가 늦춰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인의 신체 상태를 수술을 받기에 우수한 상태로 개선시키기 위하여, 획득된 제1 써지컬 스코어를 기초로 수술 전 관리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수술 전 관리 가이드 정보란, 환자가 받게 될 수술 종류나 환자의 신체 상태 등에 따라 환자의 건강과 관련한 각종 수치(예컨대, 근육량, 알부민 수치 등), 생활 습관(예컨대, 음주, 흡연, 운동 등) 및 복약 패턴 등을 개선하기 위한 소정의 안내 사항들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획득된 제1 의료 정보를 기초로 써지컬 스코어, 임시 수술 날짜정보 및/또는 수술 전 관리 가이드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제1 수술 관리정보를 생성 및 제공함으로써, 환자가 본인의 신체 상태를 수술 이전에 수술을 받기에 적합한 신체 상태로 개선시키기 위한 소정의 행위(예컨대, 운동량, 근육량 및 복약량 늘리기, 음주 횟수 줄이기 등)를 수행하도록 독려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신규 의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305)
다시 도 6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제1 의료 정보를 획득한 제1 시점(T1) 및 수술 시점 사이의 시점인 제2 시점(T2)에 획득되는 의료 정보인 제1 신규 의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제1 시점(T1) 이후 상술한 S303 단계에서 제공된 수술 전 관리 가이드 정보에 따라 상기 가이드를 수행한 환자가 제2 시점(T2)에 재 측정/입력한 소정의 건강정보(이하, 제1 신규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제1 신규 의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1 의료 정보에 포함된 제1 건강정보 및 제1 신규 의료 정보에 포함된 제1 신규 건강정보에 포함된 각 건강 관련 각종 정보의 수치(예컨대, 근육량, 알부민 수치 등)는, 환자의 수술 전 관리 가이드 정보 수행 성실도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제1 의료 정보에 포함된 제1 건강정보에 포함된 건강 관련 각종 정보 각각의 수치가 업데이트된 제1 신규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제1 신규 의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획득된 신규 의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술 관리정보를 업데이트 및 제공할 수 있다. (S307)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획득된 제1 신규 의료 정보를 기초로 임시 수술 날짜정보 및/또는 수술 전 관리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수술 관리정보를 업데이트 및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제1 신규 의료 정보를 손실률 계산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에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신규 의료 정보를 입력받은 손실률 계산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는, 상기 입력된 제1 신규 의료 정보에 따른 제2 추정 손실률을 출력 데이터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손실률 계산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2 추정 손실률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수신된 제2 추정 손실률을 써지컬 스코어로 환산함으로써 제2 써지컬 스코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획득된 제1 써지컬 스코어 및 제2 써지컬 스코어를 비교함으로써 제1 수술 관리정보에 포함된 임시 수술 날짜정보 및 수술 전 관리 가이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환자의 수술 전 관리 가이드 정보 수행 성실도에 따라 상기 제1 써지컬 스코어 대비 제2 써지컬 스코어가 유지 및/또는 변동(감소 및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111)은, 제1 수술 관리정보에 포함된 임시 수술 날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 날짜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스케줄 정보의 일례이다. 예컨대, 상기 도 8은 외부 서버와 연동하여 획득한 의사의 스케줄 정보의 일례일 수 있고, 표시된 복수 개의 날짜(TD, TD-1, TD-2)는 의사가 수술 가능 날짜로 기 등록해놓은 날짜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획득된 제1 써지컬 스코어 및 제2 써지컬 스코어를 비교함으로써 제1 수술 관리정보에 포함된 임시 수술 날짜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제1 써지컬 스코어 대비 제2 써지컬 스코어가 감소한 경우, 환자의 신체 상태가 수술을 받기에 부적합한 신체 상태(실시예로, 수술 성공률이 낮은 상태)라고 판단하여 제1 수술 관리정보에 포함된 임시 수술 날짜(TD)를 더 늦은 날짜(TD-2)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제1 써지컬 스코어 대비 제2 써지컬 스코어가 감소한 경우, 제1 수술 관리정보에 포함된 수술 전 관리 가이드 정보를 환자의 신체 상태를 더욱 개선시키기 위한 정보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반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제1 써지컬 스코어 대비 제2 써지컬 스코어가 같거나 증가한 경우, 환자의 신체 상태가 수술을 받기에 적합한 신체 상태(실시예로, 수술 성공률이 높은 상태)라고 판단하여 제1 수술 관리정보에 포함된 임시 수술 날짜(TD)를 유지 또는 앞당긴 날짜(TD-1)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제1 써지컬 스코어 대비 제2 써지컬 스코어가 같거나 증가한 경우, 제1 수술 관리정보에 포함된 수술 전 관리 가이드 정보를 개선된 환자의 신체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정보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업데이트된 임시 수술 날짜정보 및/또는 수술 전 관리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수술 관리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실시예로, 환자 단말(100-1) 및/또는 의사 단말(100-2)) 및/또는 서버(실시예로, 서비스 제공 서버(200) 및/또는 병원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111)은, 제1 수술 관리정보를 업데이트 및 제공함으로써 환자에게는 수술 성공률이 높은 신체 상태 하에서 수술을 받는다는 인식을 심어주어 수술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의사에게는 환자별 확정된 수술 날짜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효과가, 시스템적으로는 환자별 수술 기록을 용이하게 업데이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환자의 수술기록 정보 및 제2 의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105)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술기록 정보는, 환자의 수술 중에 일어난 이벤트 정보나 특이사항, 수술 소요시간 등을 기재한 정보로, 의사 단말(100-2) 상에서 생성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수술을 시행한 의사 단말(100-2)에 수술기록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술기록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제공된 수술기록 입력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수술기록 정보를 생성 및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다시 도 6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수술 이후 제3 시점(T3)에 제2 의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시점(T3)은, 환자에게 수술이 수행된 이후 최초로 의료 정보가 획득되는 시점이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의료 정보는, 수술 성공률을 판단하기 위해 수술 이후 소정의 기간(예컨대, 통상적으로 수술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시점까지의 기간으로, 2주 등) 뒤에 일반적/일상적 상황 하에서 측정 및 획득된 의료 관련 기초정보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의료 정보는, 상술한 제1 의료 정보와 획득 시점이 다르고, 획득 시점이 달라짐에 따라 포함된 소정의 수치가 상이해진 의료 정보일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상술한 제1 의료 정보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즉,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111)은, 수술 이후의 관절 가동 각도정보 및/또는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의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획득된 수술기록 정보 및/또는 제2 의료 정보를 기초로 제2 수술 관리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S107)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획득된 제2 의료 정보를 기초로 실질 써지컬 스코어 및/또는 수술 후 관리 가이드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제2 수술 관리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수술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수술기록 정보 및 제2 의료 정보를 기초로 실질 써지컬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S501)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제1 의료 정보에 포함된 제1 관절 가동 각도정보 및 제2 의료 정보에 포함된 제2 관절 가동 각도정보를 비교하여 수술 후 실질 손실률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계산된 실질 손실률을 써지컬 스코어로 환산함으로써 실질 써지컬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실질 손실률에 따라 환산되는 실질 써지컬 스코어를 기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실질 손실률이 0%일 때 환산되는 실질 써지컬 스코어가 100점이며, 상기 실질 손실률이 1% 증가시마다 상기 실질 써지컬 스코어가 1점씩 감소되게끔 실질 손실률에 따라 환산되는 실질 써지컬 스코어를 기 설정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상기 실질 손실률이 0~10%면 수술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질 써지컬 스코어는 환자의 제1 및 제2 관절 가동 각도정보만을 단순히 수치 비교하여 산출된 실질 손실률을 기초로 한, 수술 후 경과에 따른 환자의 호전 정도를 미반영한 점수일 수 있다. 후술되는 제3 써지컬 스코어는, 상기 실질 써지컬 스코어에 더하여 수술 후 경과에 따른 환자의 호전 정도를 반영하여 수술 성공여부에 영향을 끼친 여러 요소들을 종합하여 최종 판단한 수술 성공 점수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산출된 실질 써지컬 스코어를 기초로 제2 수술 관리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S503)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산출된 실질 써지컬 스코어를 기초로 수술 후 관리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수술 관리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수술 후 관리 가이드 정보란, 환자가 받은 관절수술의 수술 결과 및 환자의 현재 신체 상태 등에 따라 환자의 건강과 관련한 생활 습관(예컨대, 맞춤 재활운동 등) 및 복약 패턴(예컨대, 맞춤 복약 처방 등) 등의 개선하는 재활 치료의 일종으로써 소정의 안내 사항들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제2 신규 의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505)
다시 도 6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수술 이후 제2 의료 정보를 획득한 제3 시점(T3)으로부터 소정의 기간이 지난 시점인 제4 시점(T4)에 획득되는 의료 정보인 제2 신규 의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제3 시점(T3) 이후 상술한 S505 단계에서 제공된 수술 후 관리 가이드 정보에 따라 상기 가이드를 수행한 환자가 제4 시점(T4)에 재 측정/입력한 소정의 건강정보(이하, 제2 신규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규 의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2 의료 정보에 포함된 제2 건강정보 및 제2 신규 의료 정보에 포함된 제2 신규 건강정보에 포함된 각 건강 관련 각종 정보는, 환자의 수술 후 관리 가이드 정보 수행 성실도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재활운동 및 복약 현황의 입력을 감지하고 이에 따른 재활운동 및 복약 순응도를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신규 의료 정보는, 셀프 문진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입력된 수술 후 셀프 문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수술 후 셀프 문진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신규 건강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예를 들면 수술 후 환자의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통증의 빈도 및 강도에 대한 입력 등을 기초로 환자의 재활 경과를 체크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제2 의료 정보에 포함된 제2 건강정보에 포함된 건강 관련 각종 정보 각각의 수치가 업데이트된 제2 신규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규 의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획득된 제2 신규 의료 정보를 기초로 수술 후 관리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수술 관리정보를 업데이트 및 제공할 수 있다. (S507)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수술 관리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은 상술한 S307 단계에서 제1 수술 관리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준용하여 생략하도록 하고, 차이점만을 기준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획득된 제3 써지컬 스코어 및 실질 써지컬 스코어를 비교함으로써 제2 수술 관리정보에 포함된 수술 후 관리 가이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제3 써지컬 스코어를 제2 수술 관리정보에 더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써지컬 스코어는, 수술 후 소정의 시간 이후 수행된 셀프 문진 및 환자의 수술 전후 관절 가동 각도정보 변화 추이를 기초로 산출한 점수일 수 있다.
즉, 상기 제3 써지컬 스코어는, 수술에 따라 실제로 개선된 관절의 가동 각도, 수술 이후 소정의 시간 경과에 따라 환자가 생활하면서 느낀 일상적인 통증, 불편감 및 피로도 등 여러 요소들을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판단한 수술 성공 점수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업데이트된 수술 후 관리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수술 관리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실시예로, 환자 단말(100-1), 의사 단말(100-2)), 보호자 단말(100-3) 및/또는 서버(실시예로, 서비스 제공 서버(200) 및/또는 병원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호자 단말(100-3)의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제공된 제2 수술 관리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제2 수술 관리정보에 대해 가이드라인을 선물하는 가이드라인 선물하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수술 관리정보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선물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라인이란, 환자의 관절수술에 따른 재활 치료(예컨대, 맞춤 재활운동 및 맞춤 복약 등)를 위하여 환자가 일상 생활에서 지켜야 할 표준 수칙 등을 소정의 기간동안 복수 회에 걸쳐 환자에게 제공하는 소정의 콘텐츠들의 집합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가이드라인은 상품으로써 보호자로부터 환자에게 선물되며 소정의 데이터 통신(실시예로, 대화방 등)에 기초하여 제공 및 관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의사 및 보호자는 환자의 맞춤 재활운동 및 맞춤 복약 등을 잘 준수하고 있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제2 수술 관리정보에 대한 가이드라인(1000)(이하, 가이드라인(1000)을 대화방(1100)에 기초하여 환자 단말(100-1) 및/또는 의사 단말(100-2)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대화방(1100)이란, 환자 단말(100-1)을 이용하는 환자와 보호자 단말(100-3)을 이용하는 보호자가 제공된 가이드라인(1000)에 대하여 상호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가상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대화방(1100)에는, 해당하는 환자의 담당 의사의 의사 단말(100-2) 또한 접속 가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호자와 마찬가지로 환자의 재활 치료 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1)은, 상기 대화방(1100)을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라인(1000)을 제공함으로써, 상호 정보를 교환하기에 불편함이 존재하는 환자-의사-보호자 간 환자의 관절수술 관련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쉽고 효과적으로 상기 환자의 관절수술에 대해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관절수술 전후 환자의 건강 상태를 기초로 환자의 건강을 관리하고 모니터링함으로써, 환자별 건강 상태를 고려하지 않은 수술의 강도나 날짜 등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관절 가동 각도를 기초로 환자의 수술 성공률을 예측함으로써, 환자 스스로가 수술 이전 수술 성공률을 최대한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도록 개선 의지를 북돋우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수술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환자 스스로가 수술 전후에 유의해야 하는 요소들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정보를 확인하고 자신의 상태를 관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환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수술 스케줄을 조정함으로써, 환자로 하여금 수술 성공률이 높은 신체 상태 하에서 수술을 받도록 한다는 인식을 심어주어 수술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수술 결과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를 도출함으로써, 비효율적이고 막연한 건강 관리가 아닌 상기 도출된 요소를 중심으로 효율적이고 정확한 건강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환자의 수술과 관련된 관계자들(실시예에서, 환자의 수술을 담당하는 의사 및 환자의 보호자 등)이 관절수술 전후 관자와 관련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서로 다른 관계자 간의 의사소통 오류로 인한 환자 의료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2)

  1.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통합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관절수술 통합 관리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환자의 수술 전 제1 관절 가동 각도정보 및 제1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제1 의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1 의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예측 수술 성공률에 기초한 제1 써지컬 스코어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제1 써지컬 스코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수술 전 제1 관리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수술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환자의 수술 후 제1 관절 가동 각도정보 및 제1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의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2 의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실질 수술 성공률에 기초한 실질 써지컬 스코어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실질 써지컬 스코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수술 후 제1 관리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수술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수술 전 제1 관절 가동 각도정보 및 제1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제1 의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셀프 문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공된 셀프 문진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수술 전 복약상태, 영양상태, 비만도, 운동량, 운동수행능력, 통증의 빈도 및 강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셀프 문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제1 셀프 문진 데이터를 상기 수술 전 제1 건강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제1 의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예측 수술 성공률에 기초한 제1 써지컬 스코어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수술 전 제1 관절 가동 각도정보 대비 상기 수술 후 제1 관절 가동 각도정보가 감소된 비율을 예측한 제1 추정 손실률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제1 의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예측 수술 성공률에 기초한 제1 써지컬 스코어를 계산하는 단계는,
    소정의 의료 정보를 입력으로 하고 소정의 추정 손실률을 출력으로 하는 딥러닝 모델에 상기 제1 의료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딥러닝 모델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 추정 손실률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제1 추정 손실률을 기초로 상기 제1 써지컬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딥러닝 모델은,
    복수의 환자별 상기 제1 의료 정보 및 상기 제2 의료 정보를 트레이닝 데이터 셋으로 하여 학습된 딥러닝 모델인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써지컬 스코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수술 전 제1 관리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수술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써지컬 스코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수술 날짜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수술 날짜정보를 상기 제1 수술 관리정보에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써지컬 스코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수술 날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수술 담당의 스케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스케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술 날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의료 정보의 획득시점 이후 및 상기 수술 시행시점 이전 소정의 시점에 상기 환자의 수술 전 제2 관절 가동 각도정보 및 제2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제1 신규 의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제1 신규 의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수술 관리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술 관리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규 의료 정보를 상기 딥러닝 모델에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딥러닝 모델로부터 출력된 제2 추정 손실률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제2 추정 손실률을 기초로 제2 써지컬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제2 써지컬 스코어를 기초로 상기 제1 수술 관리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의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실질 수술 성공률에 기초한 실질 써지컬 스코어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수술 전 제1 관절 가동 각도정보 대비 상기 수술 후 제1 관절 가동 각도정보가 감소된 비율을 계산한 실질 손실률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실질 써지컬 스코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수술 후 제1 관리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수술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실질 써지컬 스코어를 기초로 상기 환자 맞춤형 재활운동 및 복약처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수술 후 제1 관리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의료 정보의 획득시점 이후 소정의 시점에 상기 환자의 수술 후 제2 관절 가동 각도정보 및 제2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규 의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제2 신규 의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수술 관리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12.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관절수술 통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은,
    환자의 수술 전 제1 관절 가동 각도정보 및 제1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제1 의료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1 의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예측 수술 성공률에 기초한 제1 써지컬 스코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제1 써지컬 스코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수술 전 제1 관리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수술 관리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환자의 수술 후 제1 관절 가동 각도정보 및 제1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의료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2 의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실질 수술 성공률에 기초한 실질 써지컬 스코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실질 써지컬 스코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수술 후 제1 관리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수술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관절수술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220121359A 2022-09-26 2022-09-26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4316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359A KR20240043167A (ko) 2022-09-26 2022-09-26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CT/KR2023/014424 WO2024071843A1 (ko) 2022-09-26 2023-09-21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359A KR20240043167A (ko) 2022-09-26 2022-09-26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3167A true KR20240043167A (ko) 2024-04-03

Family

ID=90478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1359A KR20240043167A (ko) 2022-09-26 2022-09-26 관절수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3167A (ko)
WO (1) WO202407184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523B1 (ko) 2018-12-28 2020-06-01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릎관절 환자를 위한 센서 피드백 기반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무릎재활훈련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6111B2 (ja) * 2011-12-30 2016-06-15 国立大学法人 岡山大学 関節対の可動域予測装置
US20140081659A1 (en) * 2012-09-17 2014-03-20 Depuy Orthopaed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urgical and interventional planning, support, post-operative follow-up, and functional recovery tracking
US20220249168A1 (en) * 2019-06-28 2022-08-11 Formus Labs Limited Orthopaedic pre-operative planning system
KR102290504B1 (ko) * 2019-07-24 2021-08-19 주식회사 에버닌 트래커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WO2021119001A1 (en) * 2019-12-09 2021-06-17 OrthAlign, Inc. Cup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KR102509959B1 (ko) * 2021-03-03 2023-03-1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 전후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523B1 (ko) 2018-12-28 2020-06-01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릎관절 환자를 위한 센서 피드백 기반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무릎재활훈련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1843A1 (ko)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ussbaum et al. Systematic review of mobile health applications in rehabilitation
Greiwe et al. Wearable technology and how this can be implemented into clinical practice
Kwon et al. Review of smart hospital services in real healthcare environments
Chiauzzi et al. Patient-centered activity monitoring in the self-management of chronic health conditions
Bachiri et al. Mobile personal health records for pregnancy monitoring functionalities: Analysis and potential
Spender et al. Wearables and the internet of things: Considerations for the life and health insurance industry
Paschou et al. Health Internet of Things: Metrics and methods for efficient data transfer
KR102477776B1 (ko)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3037190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diagnosing a medical condition of a patient
US201202596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monitoring, management and optimization of physical therapy treatment
Slade Shantz et al. The application of wearable technology in surgery: ensuring the positive impact of the wearable revolution on surgical patients
US201202596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monitoring, management and optimization of physical therapy treatment
US201202596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monitoring, management and optimization of physical therapy treatment
US201202596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monitoring, management and optimization of physical therapy treatment
US201202596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monitoring, management and optimization of physical therapy treatment
Park et al. Lack of acceptance of digital healthcare in the medical market: addressing old problems raised by various clinical professionals and developing possible solutions
Bleser et al. Development of an inertial motion capture system for clinical application: Potentials and challenges from the technology and application perspectives
Pagiatakis et al. Intelligent interaction interface for medical emergencies: Application to mobile hypoglycemia management
Baumann et al. Implementing blockchain to enhance usability of patient-generated data
Rubin et al. Development and pilot study of an iOS smartphone application for perioperative functional capacity assessment
Latreche et al. A new home-based upper-and lower-limb telerehabilitation platform with experimental validation
Israni et al. Human‐Machine Interaction in Leveraging the Concept of Telemedicine
Allam et al. AI economical wearable smart device to alert real time health reports to doctors
Koumpouros et al. mHealth R&D activities in Europe
US20230064408A1 (en) Digital twi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