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9239B1 -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정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정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9239B1
KR100499239B1 KR10-2002-0052139A KR20020052139A KR100499239B1 KR 100499239 B1 KR100499239 B1 KR 100499239B1 KR 20020052139 A KR20020052139 A KR 20020052139A KR 100499239 B1 KR100499239 B1 KR 100499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e
schedule management
portab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an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0531A (ko
Inventor
이민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헬스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헬스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헬스피아
Priority to KR10-2002-0052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9239B1/ko
Priority to PCT/KR2003/001760 priority patent/WO2004021729A1/en
Priority to AU2003256122A priority patent/AU2003256122A1/en
Publication of KR20040020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0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2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정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와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서 각각 일정 관리 프로그램이 수행되어 양 휴대용 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메시지를 자동으로 송/수신 하여 일정 관리 관련 데이터를 일치시킴으로써, 일정관리자가 일정관리 대상자의 일정을 편리하고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와 일정 관리 정보를 송/수신하는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일정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일정관리 대상자가 이행하여야 할 행동 정보와, 상기 행동을 예정한 일자/시각 정보가 편집된 일정관리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저장하는 제 1 단계; 현재의 일자/시각이 상기 일정관리 데이터에서 정해진 특정 일자/시각에 해당하면, 상기 특정 일자/시각에 이행되어야 하는 행동 정보를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에게 통보하는 제 2 단계;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에 의해, 상기 행동이 이행되었음을 알리는 키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 일자/시각에 해당하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행동이 이행 완료 되었음을 기록하고,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를 상기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행동이 이행되었음을 알리는 키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일자/시각에 해당하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행동이 이행 완료 되지 않았음을 기록하고,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에게 이행 독촉을 통보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와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서 각각 일정 관리 프로그램이 수행되어, 양 휴대용 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메시지를 자동으로 송/수신 하여 일정 관리 관련 데이터를 일치시킴으로써, 일정관리자가 일정관리 대상자의 일정을 편리하고 쉽게 관리할 수가 있게 되며,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기록하고 이를 일정관리자에게 자동으로 통보해 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일정관리자가, 일정관리 대상자에게 이행 해야 하는 행동을 자동으로 상기 시켜줄 수가 있게 되며, 일정관리자는 제때에 이행하지 않았던 행동을 일정관리 대상자에게 자동으로 상기 시켜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가 일정관리 대상자에 의해 행동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키데이터가 입력되는 여부에 따라서,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를 일정관리 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자동으로 송신하고, 일정관리 대상자에게 제때에 이행되지 않은 행동을 자동으로 독촉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일정관리 서버측에서 타인의 일정 관리를 위한 메시지 송/수신, 데이터 기록/관리 및 통보를 해주므로,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일정 관리 프로그램 운용과 데이터 저장/관리에 필요한 부하가 필요 없게 되며, 서버측의 서비스 제공에 의해 일정관리자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일정을 편리하고 쉽게 관리할 수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정 관리 방법{METHOD FOR SCHEDULLING USING PORTABLE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은 일정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정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 통신 단말기(휴대폰, PDA 단말기, 웹패드등)에 구비되는 일정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 본인이 사용하는 것을 가정하여 제작된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 통신 단말기를 조작하여, 자신이 이행하고자 하는 스케쥴 정보와, 상기 스케쥴을 예정한 일자/시각 정보를 편집한다. 그러면, 일정관리 프로그램은 현재의 일자/시각을 검사하고 있다가, 상기 현재의 일자/시각이 상기 일정관리 데이터에서 정해진 특정 일자/시각에 해당하면, 상기 일자/시각에 해당하는 스케쥴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한다. 이때,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시점은 상기 특정 일자/시각의 정각, 30분전, 1시간전등이 될 수가 있다.
또한, 일정관리 프로그램이 해당 스케쥴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방식은 휴대 통신 단말기의 표시 화면에 해당 스케쥴 정보를 표시하거나, 벨, 멜로디, 진동, LED 표시 및 음성 메시지 송출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일정관리 방법은 사용자 본인용으로 한정되었다.
타인(예:치매노인, 어린이, 환자등, 이하 "일정관리 대상자"라 한다.)의 스케쥴을 관리하고자 하는 사람(이하 "일정관리자"라 한다.)은 해당 일자/시각이 되면, 일정관리 대상자에게 연락하고 이행해야 하는 행동(예:식사, 학원수업, 약 복용등)을 하였는지를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였다.
따라서,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타인의 스케쥴을 관리하기 위한 기능이 구비되어,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와 일정과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간에 일정 관리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데이터 기록/관리 및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것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면, 일정관리자가 일정관리 대상자의 일정을 편리하고 쉽게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타인의 일정을 관리하는 기능이 (휴대용 통신 단말기가 아닌)시스템측에 마련되어 구현될 수가 있다. 이런 경우에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이 가능한 서버가,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 및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게 일정 관리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데이터를 기록/관리해 준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입하기만 하면, 타인의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일정 관리 프로그램 운용과 데이터 저장/관리에 필요한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부하가 필요 없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에서 도출된 것으로,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와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서 각각 일정 관리 프로그램이 수행되어 양 휴대용 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메시지를 자동으로 송/수신 하여 일정 관리 관련 데이터를 일치시킴으로써, 일정관리자가 일정관리 대상자의 일정을 편리하고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나가가 본 발명은, 상기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가, 현재의 일자/시각이 일정관리 데이터에서 정해진 특정 일자/시각에 해당하는지를 체크하고 있다가,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일자/시각에 해당하는 행동이 이행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여 이를 기록하고,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이행 완료 여부를 일정관리자에게 자동으로 통보해 주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가, 상기 특정 일자/시각에 해당하는 행동 정보를 메시지화 하여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송신함으로써, 일정관리자가 이행 해야 하는 행동을 일정관리 대상자에게 자동으로 상기 시켜주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가, 상기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이행 독촉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일정관리자가 제때에 이행하지 않았던 행동을 일정관리 대상자에게 자동으로 상기 시켜주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가, 현재의 일자/시각이 일정관리 데이터에서 정해진 특정 일자/시각에 해당하는지를 체크하고 있다가, 상기 특정 일자/시각에 이행되어야 하는 행동 정보를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에게 통보하고,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에 의해 상기 행동이 이행되었음을 알리는 키데이터가 입력되는 여부에 따라서 이를 기록하며,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를 상기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송신하거나 일정관리 대상자에게 이행 독촉을 통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이 가능한 서버가, 현재의 일자/시각이 일정관리 데이터에서 정해진 특정 일자/시각에 해당하는지를 체크하고 있다가, 상기 특정 일자/시각에 이행되어야 하는 행동 정보를 메시지로 생성하여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행동이 이행되었음을 알리는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기록하고, 이를 상기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이행독촉 메시지를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와 일정 관리 정보를 송/수신하는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일정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가 이행하여야 할 행동 정보와, 상기 행동을 예정한 일자/시각 정보가 편집된 일정관리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저장하는 제 1 단계; 현재의 일자/시각이 상기 일정관리 데이터에서 정해진 특정 일자/시각에 해당하면,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일자/시각에 해당하는 행동이 이행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는 제 2 단계; 상기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 일자/시각에 해당하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행동이 이행 완료되었음을 기록하는 제 3 단계; 상기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특정 일자/시각에 해당하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행동이 이행 완료되지 않았음을 기록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이행 완료 여부를 상기 일정관리자에게 통보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와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서 각각 일정 관리 프로그램이 수행되어, 양 휴대용 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메시지를 자동으로 송/수신 하여 일정 관리 관련 데이터를 일치시킴으로써, 일정관리자가 일정관리 대상자의 일정을 편리하고 쉽게 관리할 수가 있게 되며,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기록하고 이를 일정관리자에게 자동으로 통보해 줄 수가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의하면, 현재의 일자/시각이 상기 일정관리 데이터에서 정해진 특정 일자/시각에 해당하면, 상기 일자/시각에 해당하는 행동 정보를 메시지로 생성하여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일정관리자가, 일정관리 대상자에게 이행 해야 하는 행동을 자동으로 상기 시켜줄 수가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이행 독촉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 7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일정관리자는 제때에 이행하지 않았던 행동을 일정관리 대상자에게 자동으로 상기 시켜줄 수가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와 일정 관리 정보를 송/수신하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일정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일정관리 대상자가 이행하여야 할 행동 정보와, 상기 행동을 예정한 일자/시각 정보가 편집된 일정관리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저장하는 제 1 단계; 현재의 일자/시각이 상기 일정관리 데이터에서 정해진 특정 일자/시각에 해당하면, 상기 특정 일자/시각에 이행되어야 하는 행동 정보를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에게 통보하는 제 2 단계;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에 의해, 상기 행동이 이행되었음을 알리는 키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 일자/시각에 해당하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행동이 이행 완료 되었음을 기록하고,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를 상기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행동이 이행되었음을 알리는 키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일자/시각에 해당하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행동이 이행 완료 되지 않았음을 기록하고,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에게 이행 독촉을 통보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와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서 각각 일정 관리 프로그램이 수행되어, 양 휴대용 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메시지를 자동으로 송/수신 하여 일정 관리 관련 데이터를 일치시킴으로써, 일정관리자가 일정관리 대상자의 일정을 편리하고 쉽게 관리할 수가 있게 되며,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가 일정관리 대상자에 의해 행동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키데이터가 입력되는 여부에 따라서,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를 일정관리 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자동으로 송신하고, 일정관리 대상자에게 제때에 이행되지 않은 행동을 자동으로 독촉할 수가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이 가능한 서버상에서 수행 가능한 일정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일정관리 대상자가 이행하여야 할 행동 정보와, 상기 행동을 예정한 일자/시각 정보가 편집된 일정관리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저장하는 제 1 단계; 현재의 일자/시각이 상기 일정관리 데이터에서 정해진 특정 일자/시각에 해당하면, 상기 특정 일자/시각에 해당하는 행동 정보를 메시지로 생성하여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 2 단계;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일자/시각에 해당하는 행동이 이행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는 제 3 단계; 상기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 일자/시각에 해당하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행동이 이행 완료되었음을 기록하는 제 4 단계; 상기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특정 일자/시각에 해당하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행동이 이행 완료되지 않았음을 기록하고,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이행 독촉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이행 완료 여부를 메시지로 생성하여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일정 관리 프로그램 운용과 데이터 저장/관리에 필요한 부하가 필요 없게 되며, 서버측의 서비스 제공에 의해 일정관리자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일정을 편리하고 쉽게 관리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또 다른 추가적인 양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다.
참조부호 201은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의미하고, 참조부호 209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통신 단말기(201, 209) 그 자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그대로 이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휴대용 통신 단말기(201, 209)의 하드웨어 구조와 내부의 기능적 동작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휴대용 통신 단말기(201, 209)는 여러 가지 메시지를 서로 송/수신 하고 있는데, 이러한 휴대용 통신 단말기간의 메시지 전송은, 단문 메시지 전송등과 같은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무선 컨텐츠 사이트에서 휴대용 통신 단말기(201, 209)로 각종 데이터를 다운로드 해주는 기술 또한 이미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휴대용 통신 단말기(201, 20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일정관리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때, 일정관리 프로그램은 시리얼 통신 포트를 통해 PC(203, 211)로부터 다운로드 되어질 수가 있으며, 또는 이동통신망(205)으로부터 무선으로 다운로드 되어질 수가 있다. 상기 일정관리 프로그램은 "네이트"등과 같이 이동 통신 사업자에서 운용하는 무선 포탈 사이트(207)나 또는 그 외 무선 컨텐츠 사이트(207)에서 제작되어 제공될 수가 있다. 또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제작할 때, 메이커측에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정관리 프로그램은 GVM(General Virtual Machine)으로 구현될 수가 있다. GVM으로 구현되는 응용 프로그램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가 WAP을 통해 서버로 접속될 때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 되며,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버추얼 머쉰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의 일종이다. 이 응용 프로그램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가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LCD, 오디오 재생, 진동모터, 키패드, 시리얼 통신 포트등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이 응용 프로그램은 미니-C(MiniC)라고 불리는 손쉽게 프로그래밍 할 수 있는 언어를 지원하며,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일정관리 프로그램은 이러한 GVM 환경에서 구현되는 응용 프로그램이 될 수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일정관리 프로그램은 GVM 환경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존의 또는 향후에 구현될 휴대용 통신 단말기 환경에서 적용 가능하다.
사용자(일정관리자)는 일정관리 대상자가 이행하여야 할 행동 정보와, 상기 행동을 예정한 일자/시각 정보를 편집한 일정관리 데이터를 휴대용 통신 단말기(201, 209)에 입력 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정관리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사용자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201, 209)를 직접 조작하여 상기 일정관리 데이터를 입력 시킬 수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PC(203, 211)를 이용하여 유선으로 일정관리 서버(207)에 접속하고, 사용자 PC(203, 211)상에서 상기 일정관리 데이터를 편집하여 상기 서버(207)를 통해 무선으로 입력 시킬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201, 209)와 사용자 PC(203, 211)를 연결시키고, 사용자 PC(203, 211)상에서 편집한 일정관리 데이터를 유선으로 입력 시킬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일정관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1)는 일정관리 대상자가 이행하여야 할 행동 정보와, 상기 행동을 예정한 일자/시각 정보가 편집된 일정관리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저장한다(301).
그리고,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1)는 현재의 일자/시각이, 상기 저장된 일정관리 데이터에서 일정관리 대상자가 특정 행동을 이행해야 하는 일자/시각에 해당하는지를 검사한다(303).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현재의 일자/시각 정보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201)의 내부 타이머에서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써, 휴대용 통신 단말기(201)가 이동통신망(205)으로부터 획득하고 유지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303 단계에서, 상기 현재의 일자/시각이, 일정관리 대상자가 특정 행동을 이행해야 하는 일자/시각에 해당하면,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1)는 상기 일자/시각에 해당하며, 일정관리 대상자가 이행하여야 하는 행동을 추출하고 이를 메시지화 하여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로 송신한다(305).
상기 305 단계에 의해, 일정관리자가, 일정관리 대상자에게 이행해야 하는 행동을 자동으로 상기 시켜줄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305 단계는 일정관리 대상자로 하여금 이행해야할 행동을 상기 시켜 주는 것이므로, 그 송신 시점을 이행해야 하는 일자/시각 이전에 예컨대, 30분전으로 정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에서도 현재의 일자/시각을 체크하여 일정관리 대상자에게 이행하여야 할 행동을 적당한 시점에서 통보해 줄 수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의 설명에서 후술한다.
그리고,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1)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로부터 기설정된 시간내에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307). 상기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가 기설정된 시간내에 수신되면,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1)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행동이 제때에 이행되었음을 기록하고(309, 상기 도 2 참조), 일정관리 대상자의 이행완료 여부(제때에 이행되었음.)를 일정관리자에게 통보한다(315).
상기 307 단계에서, 상기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가 기설정된 시간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1)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행동이 제때에 이행 완료되지 않았음을 기록하고(311, 상기 도 2 참조), 이행독촉 메시지를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로 송신한다(313).
상기 313 단계에 의해, 일정관리자는 제때에 이행하지 않았던 행동을 일정관리 대상자에게 자동으로 상기 시켜줄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에서도 일정관리 대상자가 이행해야할 행동을 통보해준 후, 기설정된 시간내에 상기 행동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키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으면 이행 독촉 통보를 해 줄 수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의 설명에서 후술한다.
그리고,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1)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이행완료 여부(제때에 이행되지 않았음.)를 일정관리자에게 통보한다(315).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307 단계에서 수신되는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에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315 단계에서,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1)는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이행 완료 여부와 함께,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의 현재 위치 정보를 더 일정관리자에게 통보할 수가 있다(상기 도 3에 도시하지 않음.). 이에 따라서, 일정관리자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현재 위치를 알 수가 있게 되어, 예를 들어, 자녀가 미술 학원에 가지 않고서도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를 송신할 수가 있는데, 자녀의 휴대형 통신 단말기(209)에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에 포함하여 송신하므로, 이런 경우를 방지할 수가 있다.
이러한 위치 정보 송신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에 GPS 수신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에 GPS 수신기가 연결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GPS 수신모듈이 단말기(209)에 내장될 수도 있다(예:퀄컴사의 MSM 칩셋의 gpsOne 기능).
한편,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1)에 수신되는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위치정보로부터 일정관리 대상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 일정관리자는 미리, GPS 수신모듈이 제공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예:209)를 가지고 직접 해당 위치(예:미술 학원)로 가서 위치정보를 알아 둘 수도 있다.
상기 도 3의 설명에서 볼 때,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와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서 각각 일정 관리 프로그램이 수행되어, 양 휴대용 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메시지를 자동으로 송/수신 하여 일정 관리 관련 데이터를 일치시킴으로써, 일정관리자가 일정관리 대상자의 일정을 편리하고 쉽게 관리할 수가 있게 되며,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로부터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기록하고 이를 일정관리자에게 자동으로 통보해 줄 수가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일정관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는 일정관리 대상자가 이행하여야 할 행동 정보와, 상기 행동을 예정한 일자/시각 정보가 편집된 일정관리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저장한다(401).
그리고,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는 현재의 일자/시각이, 상기 저장된 일정관리 데이터에서 일정관리 대상자가 특정 행동을 이행해야 하는 일자/시각에 해당하는지를 검사한다(403).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현재의 일자/시각 정보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의 내부 타이머에서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써,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가 이동통신망(205)으로부터 획득하고 유지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403 단계에서, 상기 현재의 일자/시각이, 일정관리 대상자가 어떤 행동을 이행해야 하는 특정 일자/시각에 해당하면,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는 상기 특정 일자/시각에 해당하며, 일정관리 대상자가 이행하여야 하는 행동을 일정관리 대상자에게 통보한다(405).
그리고,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는, 기설정된 시간내에 일정관리 대상자에 의해 상기 행동이 이행되었음을 알리는 키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407).
상기 기설정된 시간내에 상기 키데이터가 입력되면,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는 상기 특정 일자/시각에 해당하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행동이 이행 완료 되었음을 기록하고(409),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1)로 송신한다(411).
상기 기설정된 시간내에 상기 키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으면,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는 상기 특정 일자/시각에 해당하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행동이 이행 완료 되지 않았음을 기록하고(413),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에게 이행 독촉을 통보한다(415).
상기 415 단계에서, 상기 행동이 이행되었음을 알리는 키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는 상기 행동이 이행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1)로 송신할 수도 있다(상기 도 4에 도시하지 않음.).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에 GPS 기능이 제공되어, 상기 411 단계에서, 상기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에 현재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시켜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1)로 송신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서, 일정관리자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현재 위치를 알 수가 있게 되어, 예를 들어, 자녀가 미술 학원에 가지 않고서도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를 송신할 수가 있는데, 자녀의 휴대형 통신 단말기(209)에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에 포함하여 송신하므로, 이런 경우를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도 4의 설명에서 볼 때,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와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서 각각 일정 관리 프로그램이 수행되어, 양 휴대용 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메시지를 자동으로 송/수신 하여 일정 관리 관련 데이터를 일치시킴으로써, 일정관리자가 일정관리 대상자의 일정을 편리하고 쉽게 관리할 수가 있게 되며,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는 일정관리 대상자에 의해 행동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키데이터가 입력되는 여부에 따라서,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를 일정관리 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1)에 자동으로 송신하고, 일정관리 대상자에게 제때에 이행되지 않은 행동을 자동으로 독촉할 수가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일정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일정관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정관리 서버(207)는 일정관리 대상자가 이행하여야 할 행동 정보와, 상기 행동을 예정한 일자/시각 정보가 편집된 일정관리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저장한다(501). 이때, 상기 501 단계는, 사용자(일정관리자)가 사용자 PC(203)를 사용하여 일정관리 서버(207)에 접속하여 회원으로 등록하고, 일정관리 서버(207)가 제공하는 웹페이지상에서 일정관리 데이터를 편집할 수가 있다(상기 도 2 참조). 사용자가 무선 컨텐츠 사이트에 접속(유/무선)하고 자신의 신상정보와 결제정보, 아이디 및 패스워드등을 키입력하여 회원 등록하는 것은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일정관리 서버(207)는 현재의 일자/시각이, 상기 저장된 일정관리 데이터에서 일정관리 대상자가 특정 행동을 이행해야 하는 일자/시각에 대응하는지를 검사한다(503).
상기 503 단계에서, 상기 현재의 일자/시각이, 일정관리 대상자가 특정 행동을 이행해야 하는 일자/시각에 해당하면, 일정관리 서버(207)는 상기 일자/시각에 해당하며, 일정관리 대상자가 이행하여야 하는 행동을 추출하고 이를 메시지화 하여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로 송신한다(505).
상기 505 단계에 의해, 일정관리자가, 일정관리 대상자에게 이행해야 하는 행동을 자동으로 상기 시켜줄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505 단계는 일정관리 대상자로 하여금 이행해야할 행동을 상기 시켜 주는 것이므로, 그 송신 시점을 이행해야 하는 일자/시각 이전에 예컨대, 30분전으로 정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정관리 서버(207)는 왑-푸쉬(WAP-Push)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를 송신할 수가 있다. 상기 메시지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의 화면창에 도 6과 같이 표시되게 된다.
한편, 주지하다시피, 왑-푸쉬 기능이란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메시지에 유.알.엘(Uniform Resource Locator : URL)을 삽입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일정관리 대상자가 자신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에 마련되는 발신키를 누르면,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와 이동통신망(205)에 구비되는 게이트웨이(도면에 도시하지 않음.)간에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이하 WAP이라 한다.) 연결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가 이행해야하는 행동(상기 도 6의 실시예에 따르면 미술 학원에 가는 것)을 한 후, 발신키를 누르면, 이에 대응하는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가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로부터 일정관리 서버(207)로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일정관리 서버(207)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로부터 기설정된 시간내에 상기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507).
상기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가 기설정된 시간내에 수신되면, 일정관리 서버(207)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행동이 제때에 이행되었음을 기록하고(509, 상기 도 2 참조), 일정관리 대상자의 이행완료 여부(제때에 이행되었음.)를 메시지로 생성하여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1)로 송신한다(515).
상기 507 단계에서, 상기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가 기설정된 시간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일정관리 서버(207)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행동이 제때에 이행 완료되지 않았음을 기록하고(511, 상기 도 2 참조), 이행독촉 메시지를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로 송신한다(513).
상기 513 단계에 의해, 일정관리자는 제때에 이행하지 않았던 행동을 일정관리 대상자에게 자동으로 상기 시켜줄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일정관리 서버(207)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이행완료 여부(제때에 이행되지 않았음.)를 메시지로 생성하여,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1)로 송신한다(515).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507 단계에서 수신되는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에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의 현재 위치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515 단계에서, 일정관리 서버(207)는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이행 완료 여부와 함께,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의 현재 위치 정보를 더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1)로 송신할 수가 있다(상기 도 5에 도시하지 않음.). 이에 따라서, 일정관리자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현재 위치를 알 수가 있게 되어, 예를 들어, 자녀가 미술 학원에 가지 않고서도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를 송신할 수가 있는데, 자녀의 휴대형 통신 단말기(209)에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에 포함하여 송신하므로, 이런 경우를 방지할 수가 있다.
이러한 위치 정보 송신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에 GPS 수신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휴대용 통신 단말기(209)에 GPS 수신기가 연결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GPS 수신모듈이 단말기(209)에 내장될 수도 있다(예:퀄컴사의 MSM 칩셋의 gpsOne 기능등).
한편,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201)에 수신되는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위치정보로부터 일정관리 대상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 일정관리자는 미리, GPS 수신모듈이 제공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예:209)를 가지고 직접 해당 위치(예:미술 학원)로 가서 위치정보를 알아 둘 수도 있다.
상기 도 5의 실시예에 의하면, 일정관리 서버(207)측에서 타인의 일정 관리를 위한 메시지 송/수신, 데이터 기록/관리 및 통보를 해주므로,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일정 관리 프로그램 운용과 데이터 저장/관리에 필요한 부하가 필요 없게 되며, 서버측의 서비스 제공에 의해 일정관리자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일정을 편리하고 쉽게 관리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는 일정관리자용 프로그램 또는 일정관리 대상자용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만이 실행되는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상기 두 프로그램이 함께 실행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두 프로그램이 함께 실행된다면, 연인 사이나 친한 친구 사이의 두 사용자는 상기 두 프로그램을 함께 다운로드 받아서, 서로의 일정을 챙겨줄 수가 있을 것이다.
물론, 서버측에서 본 발명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두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모두 두 가지의 서비스(일정관리자용, 일정관리 대상자용)를 제공할 수가 있음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와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서 각각 일정 관리 프로그램이 수행되어, 양 휴대용 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메시지를 자동으로 송/수신 하여 일정 관리 관련 데이터를 일치시킴으로써, 일정관리자가 일정관리 대상자의 일정을 편리하고 쉽게 관리할 수가 있게 되며,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기록하고 이를 일정관리자에게 자동으로 통보해 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일정관리자가, 일정관리 대상자에게 이행 해야 하는 행동을 자동으로 상기 시켜줄 수가 있게 되며, 일정관리자는 제때에 이행하지 않았던 행동을 일정관리 대상자에게 자동으로 상기 시켜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가 일정관리 대상자에 의해 행동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키데이터가 입력되는 여부에 따라서,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를 일정관리 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자동으로 송신하고, 일정관리 대상자에게 제때에 이행되지 않은 행동을 자동으로 독촉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일정관리 서버측에서 타인의 일정 관리를 위한 메시지 송/수신, 데이터 기록/관리 및 통보를 해주므로,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일정 관리 프로그램 운용과 데이터 저장/관리에 필요한 부하가 필요 없게 되며, 서버측의 서비스 제공에 의해 일정관리자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일정을 편리하고 쉽게 관리할 수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정관리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
도 3은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일정관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일정관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일정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일정관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 화면창에 표시되는 메시지의 예.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 및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서 각각 실행 가능한 일정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 및 일정 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가, 일정관리 대상자가 이행하여야 할 행동 정보와, 상기 행동을 예정한 일자/시각 정보가 편집된 일정관리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가,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특정 일자/시각에 해당되는 행동이 이행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가, 상기 일정관리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일자/시각에 이행되어야 하는 행동 정보를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단말기로 통보하여 일정 관리 데이터를 일치시키는 단계;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가,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에 의해 상기 행동이 이행되었음을 알리는 키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 일자/시각에 해당되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행동이 이행 완료되었음을 기록하고,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를 상기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가, 상기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 일자/시각에 해당하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행동이 이행 완료되었음을 기록하는 단계;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행동이 이행되었음을 알리는 키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일자/시각에 해당하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행동이 이행 완료 되지 않았음을 기록하고,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에게 이행 독촉을 통보하며, 상기 행동이 이행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가, 상기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특정 일자/시각에 해당하는 일정관리 대상자의 행동이 이행 완료 되지 않았음을 기록하는 단계;
    상기 일정관리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가,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이행 완료 여부를 일정관리자에게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 이행 독촉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정 관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이행완료 보고 메시지가,
    상기 일정관리 대상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정 관리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2-0052139A 2002-08-30 2002-08-30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정 관리 방법 KR100499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139A KR100499239B1 (ko) 2002-08-30 2002-08-30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정 관리 방법
PCT/KR2003/001760 WO2004021729A1 (en) 2002-08-30 2003-08-29 Personal schedule management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U2003256122A AU2003256122A1 (en) 2002-08-30 2003-08-29 Personal schedule management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139A KR100499239B1 (ko) 2002-08-30 2002-08-30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정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531A KR20040020531A (ko) 2004-03-09
KR100499239B1 true KR100499239B1 (ko) 2005-07-05

Family

ID=31973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139A KR100499239B1 (ko) 2002-08-30 2002-08-30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정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99239B1 (ko)
AU (1) AU2003256122A1 (ko)
WO (1) WO20040217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31364A1 (en) * 2009-03-16 2010-09-16 Nokia Corporation Reminder notification for electronic devices
KR101740448B1 (ko) * 2015-07-22 2017-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6632A (ja) * 1995-10-17 1997-05-02 Sony Corp スケジュール通知装置
KR20000018143A (ko) * 2000-01-14 2000-04-06 주진용 인터넷과 핸드폰을 이용한 일정관리방법
KR20010090491A (ko) * 2000-03-16 2001-10-18 전경환 네트워크를 이용한 일정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10097840A (ko) * 2000-04-26 2001-11-08 구창환 이동통신을 이용한 자동 매니저시스템 및 방법
KR20020046657A (ko) * 2000-12-15 2002-06-21 김좌진 약복용관리시스템과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462A (ko) * 1999-08-19 2001-03-05 이용진 개인 무선 휴대 통신 기기를 이용한 다이어트 관리 방법
JP2001209680A (ja) * 2000-01-24 2001-08-03 Ntt Data Corp スケジュール管理装置、及びスケジュール管理システム
KR20000072052A (ko) * 2000-07-14 2000-12-05 왕해주 인터넷 무선 일정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34451A (ko) * 2000-11-01 2002-05-09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2271828A (ja) * 2001-03-14 2002-09-20 Victor Co Of Japan Ltd スケジュール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6632A (ja) * 1995-10-17 1997-05-02 Sony Corp スケジュール通知装置
KR20000018143A (ko) * 2000-01-14 2000-04-06 주진용 인터넷과 핸드폰을 이용한 일정관리방법
KR20010090491A (ko) * 2000-03-16 2001-10-18 전경환 네트워크를 이용한 일정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10097840A (ko) * 2000-04-26 2001-11-08 구창환 이동통신을 이용한 자동 매니저시스템 및 방법
KR20020046657A (ko) * 2000-12-15 2002-06-21 김좌진 약복용관리시스템과 약복용시간 통합관리 서비스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21729A1 (en) 2004-03-11
KR20040020531A (ko) 2004-03-09
AU2003256122A1 (en) 200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9519B2 (en)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protocol environments cooperative with each other and a method therefor
KR100900362B1 (ko) 정보 분배기, 정보 분배기의 동작 방법 및 무선 통신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휴대형 컴퓨팅 장치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US8610576B2 (en) Routing communications to a person within a facility
EP1609290B1 (en) Managing context-related information with a mobile station
US20030236821A1 (en) Body wearable personal network server and system
US8339259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n alarm by a third party
US200501827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generating content on a portable computing device
CN102291446A (zh) 向应用程序通知状态变化的灵活体系结构
CN101505284A (zh) 一种智能的信息动态推送方法及系统
US8806378B2 (en) Mobile client application for managing display of messages to users
CN109391476B (zh) 网络通话方法、装置及系统
CN103095907B (zh) 一种移动终端中通过短信改变联系人状态的方法和装置
KR20050056979A (ko) 주체, 객체, 장소 및 시간 정보 제공 장치
CN109670918A (zh) 房地产租赁的管理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02970207A (zh) 一种即时通信方法、客户端装置和即时通信系统
JP2007282111A (ja) 安否確認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携帯端末装置及びサーバ装置
KR100499239B1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정 관리 방법
KR20060108718A (ko) 기능적 요소들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04184161A (ja) 電子機器、時計装置および携帯端末
Izadi et al. The FUSE platform: supporting ubiquitous collaboration within diverse mobile environments
CN112711518B (zh) 一种日志上传方法和装置
JP6713608B1 (ja) 情報配信取得処理装置及び情報配信取得処理プログラム
KR20130020427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다수의 사용자 간의 약속잡기 방법 및 그 약속잡기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KR100754616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스케줄 관리 방법
US200701553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 mobile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