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5547A -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의 제조방법, 호메오트로픽배향 액정성 조성물 및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 - Google Patents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의 제조방법, 호메오트로픽배향 액정성 조성물 및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5547A
KR20020045547A KR1020010076616A KR20010076616A KR20020045547A KR 20020045547 A KR20020045547 A KR 20020045547A KR 1020010076616 A KR1020010076616 A KR 1020010076616A KR 20010076616 A KR20010076616 A KR 20010076616A KR 20020045547 A KR20020045547 A KR 20020045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film
homeotropic
side chain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7902B1 (ko
Inventor
슈토순스케
나카니시사다히로
나카노슈사쿠
가미조다카시
모치즈키아마네
Original Assignee
가마이 고로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70978A external-priority patent/JP378873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36848A external-priority patent/JP417419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마이 고로,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마이 고로
Publication of KR20020045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5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9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11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organic films, e.g. polymeric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2Alignment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11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organic films, e.g. polymeric films
    • G02F1/133726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organic films, e.g. polymeric films made of a mesogenic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42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for homeotropic align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성 프래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단량체 단위(a) 및 비액정성 프래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단량체 단위(b)를 함유하는 측쇄형 액정 중합체를 배향막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기판상에 피복하고, 상기 액정 중합체를 액정 상태에서 호메오트로픽 배향시킨 후, 그 배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화시킴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의 광학 필름 등에 사용되는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의 제조방법,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성 조성물 및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METHOD FOR MANUFACTURING HOMEOTROPIC ALIGNMENT LIQUID CRYSTAL FILM, HOMEOTROPIC ALIGNMENT LIQUID CRYSTALLINE COMPOSITION AND HOMEOTROPIC ALIGNMENT LIQUID CRYSTAL FILM}
본 발명은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성 조성물 및 이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성 조성물을 사용한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 및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학 필름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PDP(Plasma Disply Panel) 등과 같은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필름과 조합시켜서, 위상차 필름, 시각 보상 필름, 광학 보상 필름, 타원 편광 필름 등의 광학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액정 화합물의 호메오트로픽 배향은 액정상의 분자의 장축이 평균적으로 박막(액정상)을 형성하는 기판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경우에 발생한다. 자발적으로 호메오트로픽 배향하는 물질은 매우 극소수이므로 이러한 배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수직배향제가 사용된다. 수직배향제에 의해 호메오트로픽 배향시킬 수 있는 액정 화합물로는, 예컨대 네마틱 액정 화합물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액정 화합물의 배향 기술은, 예컨대 화학총설 44[Chemical Review 44](표면의 개질, 일본화학회 편찬, 156 내지 163 페이지)에 개략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상기 액정 화합물을 호메오트로픽 배향시킬 수 있는 수직배향제로는 각종 유기계 또는 무기계 배향제가 공지되어 있고,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배향제의 대부분은 유리 기판상에서 효과적으로 작용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이러한 관용적인 유기계 배향제로는, 예컨대 레시틴, 실란계 계면활성제, n-옥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티타네이트계 계면활성제, 피리디늄 염계 고분자 계면활성제, 헥사데실 트리메틸 암모늄할라이드 또는 크롬 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기계 배향제는 활성 성분이 매우 소량(전형적으로는 1%보다도 적은 양)으로 존재하는 적당한 휘발성 용제에 용해되고, 스핀 코팅 또는 기타 공지된 피복 방법에 의해서 기판상에 피복된 후, 휘발성 용제를 증발시킴으로써, 유리 기판상에 유기배향제의 박막으로서 형성된다. 이들 유기계 배향제는 극성의 유리 표면에 끌려 부착되는 것으로 고려되는 극성 말단기 및 유리 표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되는 무극성의 장쇄상 알킬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러한 유리 표면상에서 액정 화합물에 호메오트로픽 배향을 발생시킨다.
또한, 무기계 배향제로는, 예컨대 유리 기판상에 SiOX또는 In2O3/SnO2을 수직 각도로 증착시킨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 무기계 배향제는 액정 화합물에 호메오트로픽 배향을 발생시킨다. 추가로, 알킬 측쇄를 갖는 폴리이미드막도 액정 표시 장치를 위한 호메오트로픽 배향막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관용적인 배향제는 모두 유리 기판상에서만 액정 화합물에 호메오트로픽 배향을 부여하고, 플라스틱 필름, 플라스틱 시트 등의 중합체 물질로 이루어진 기판상에서의 배향에는 그다지 효과적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중합체 물질로 이루어진 기판의 표면은 상기 관용 배향제의 극성 말단기에 대한 친화성이 부족한 것으로 고려되고, 그 결과 일반적으로는 호메오트로픽 배향을 전혀 나타내지 않거나 극소수로 배향을 나타내는데 그친다. 또한, 알킬 측쇄를 갖는 폴리이미드막의 형성에는 고온에서의 열처리가 필요하지만, 폴리이미드 배향막을 소성하는데 내성일 수 있고 광학 용도로서 사용할 수 있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수직 배향막을 사용하지 않고 기판상에 액정 중합체를 호메오트로픽 배향시킬 수 있는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상에 수직 배향막을 사용하지 않고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층을 갖는 광학 필름 및 상기 광학 필름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측쇄형 액정 중합체는 수직 배향막을 사용하지 않고 기판상에서 필름을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액정 필름의 Tg가 낮게 설계되어 있지만, 이들 액정 필름에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용도로서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의 향상이 기대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수직 배향막을 사용하지 않고 기판상에서 내구성이 우수한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성 조성물을 사용한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상에 수직 배향막을 사용하지 않고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층을 갖는 광학 필름 및 상기 광학 필름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은 액정성 프래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단량체 단위(a) 및 비액정성 프래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단량체 단위(b)로 이루어진 측쇄형 액정 중합체를 수직 배향막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기판상에 피복하는 단계; 및 상기 액정 중합체를 액정 상태에서 호메오트로픽 배향시킨 후, 그 배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화시키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액정 중합체로서 액정성 프래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단량체 단위(a) 및 비액정성 프래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단량체 단위(b)로 이루어진 측쇄형 액정 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수직 배향막을 사용하지 않고서, 액정 중합체의 호메오트로픽 배향을 실현한다. 이 측쇄형 액정 중합체는 통상의 측쇄형 액정 중합체가 갖는 액정성 프래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단량체 단위(a) 이외에, 알킬쇄 등을 갖는 비액정성 프래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단량체 단위(b)를 구비하고 있고, 비액정성 프래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단량체 단위(b)의 작용에 의해, 수직 배향막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예컨대 열처리에 의해 액정 상태로 하여 네마틱 액정상을 발현시켜, 호메오트로픽 배향을 나타내게 된 것이라 추정할 수 있다. 이어서, 열을 제거하여 유리화시켜, 호메오트로픽 배향한 액정 중합체층을 고정화한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을 제조한다.
상기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판은 중합체 물질, 유리 기판, 금속 등의 각종 재질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중합체 물질은 플라스틱 시트 또는 플라스틱 필름 형태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기판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고, 유리 기판, 중합체 물질, 금속을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가 있으며, 또한 중합체 물질은 플라스틱 시트 또는 플라스틱 필름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 중합체가 호메오트로픽 배향되어 있는 호메오트로픽배향 액정 필름층이, 수직 배향막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기판상에 구비되어 있는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 배향막을 사용하지 않고 액정 중합체가 호메오트로픽 배향한 층을 갖는 광학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은 액정 중합체로서 액정성 프래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단량체 단위(a) 및 비액정성 프래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단량체 단위(b)를 함유하는 측쇄형 액정 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학 필름을 적용한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은 수직 배향막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기판상에서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층을 형성할 수 있는 측쇄형 액정 중합체 및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성 조성물이 측쇄형 액정 중합체 이외에 함유하는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열처리에 의해 액정 상태로 됨으로써, 예컨대 네마틱 액정층을 발현시켜 측쇄형 액정 중합체와 함께 호메오트로픽 배향될 수 있고, 그 후에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 또는 가교시킴으로써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성 조성물에 있어서, 측쇄형 액정 중합체가 액정성 프래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단량체 단위(a) 및 비액정성 프래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단량체 단위(b)를 함유하는 측쇄형 액정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쇄형 액정 중합체는 수직 배향막을 사용하지 않고, 액정 중합체의 호메오트로픽 배향을 실현할 수 있다. 이 측쇄형 액정 중합체는 통상의 측쇄형 액정 중합체가 구비하는 액정성 프래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단량체 단위(a) 이외에, 알킬쇄 등을 갖는 비액정성 프래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단량체 단위(b)를 구비하고 있고, 비액정성 프래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단량체 단위(b)의 작용에 의해, 수직 배향막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예컨대 열처리에 의해 액정 상태로 하여 네마틱 액정상을 발현시켜, 호메오트로픽 배향을 나타내게 된 것이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 배향막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기판상에, 상기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성 조성물을 피복하는 단계; 및 이 액정성 조성물을 액정 상태에서 호메오트로픽 배향시켜, 그 배향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고정화시킨 후, 광조사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액정성 조성물을 수직 배향막을 사용하지 않고, 호메오트로픽 배향시킨 후, 열을 제거하여 유리화시켜, 호메오트로픽 배향한 액정 중합체층을 고정화한 후, 광조사에 의해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 또는 가교시킴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한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판은 중합체 물질, 유리 기판, 금속 등의 각종 재질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중합체 물질은 플라스틱 시트 또는 플라스틱 필름 형태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기판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고, 유리 기판, 중합체 물질, 금속을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중합체 물질은 플라스틱 시트 또는 플라스틱 필름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성 조성물이 호메오트로픽 배향하여 고정시킨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층이, 수직 배향막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기판상에 구비되어 있는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학 필름을 적용한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호메오트로픽 배향시키는 액정 중합체로는, 예컨대 액정성 프래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단량체 단위(a) 및 비액정성 프래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단량체 단위(b)를 함유하는 측쇄형 액정 중합체가 사용된다.
상기 단량체 단위(a)는 네마틱 액정성을 갖는 측쇄를 갖는 것으로, 예컨대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나는 단량체 단위를 들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a는 1 내지 6의 양의 정수이고,
X1은 -CO2-기 또는 -OCO-기이고,
R2는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 플루오로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이고,
b 및 c는 각각 1 또는 2의 정수이다.
또한, 단량체 단위(b)는 직쇄상 측쇄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컨대 하기 화학식 2로 나타나는 단량체 단위를 들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3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4는 탄소수 1 내지 22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22의 플루오로알킬기 또는 하기 화학식 3의 단량체 단위이다:
상기 식에서,
d는 1 내지 6의 양의 정수이고,
R5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이다.
또한, 단량체 단위(a)와 단량체 단위(b)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단량체 단위의 종류에 의해서도 다르지만, 단량체 단위(b)의 비율이 많아지면 측쇄형 액정 중합체가 액정 모노도메인 배향성을 나타내지 않게 되므로, (b)/{(a)+(b)}가 0.01 내지 0.8(몰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0.1 내지 0.5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측쇄형 액정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 내지 1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평균분자량을 이러한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액정 중합체로서의 성능이 발휘된다. 측쇄형 액정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너무 작은 경우 배향층의 막 형성 특성이 부족하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중량평균분자량은 2,50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중량평균분자량이 과다하면 액정으로서의 배향성이 부족하게 되어 균일한 배향 상태를 형성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0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측쇄형 액정 중합체는 상기 단량체 단위(a) 및 단량체 단위(b)에 대응하는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메타크릴계 단량체를 공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단량체 단위(a) 및 단량체 단위(b)에 대응하는 단량체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공중합체의 제조는, 예컨대 라디칼 중합 방법, 양이온 중합 방법, 음이온 중합 방법 등의 통상적인 아크릴계 단량체의 중합 방법에 따라 실행할수 있다. 또한, 라디칼 중합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각종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중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및 과산화 벤조일 등의 분해온도가 높지도 낮지도 않은 중간적 온도에서 분해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측쇄형 액정 중합체에 첨가할 수 있는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광중합성 작용기로서, 예컨대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 등의 불포화 이중결합을 하나 이상 갖는 네마틱 액정성의 액정성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로는 상기 단량체 단위(a)인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예시할 수 있다.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로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광중합성 작용기를 2개 이상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로는, 예컨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가교형의 네마틱성 액정 단량체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A 및 D는 각각 독립적으로 1,4-페닐렌기 또는 1,4-시클로헥실렌기이고,
X는 각각 독립적으로 -COO-기, -OCO-기 또는 -O-기이고,
B는 1,4-페닐렌기, 1,4-시클로헥실렌기, 4,4'-비페닐렌기 또는 4,4'-비시클로헥실렌기이고,
g 및 h는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6의 정수이다.
액정성 조성물 중의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과 측쇄형 액정 중합체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수득되는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의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적당히 결정되지만, 통상적으로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 대 측쇄형 액정 중합체(중량비)가 0.1:1 내지 30:1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0.5:1 내지 20: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1 내지 10:1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액정성 조성물 중에는 통상적으로 광중합 개시제가 함유되어 있다. 광중합 개시제로는 다양한 것을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로는, 예컨대 지바 스페셜티 케미칼스사(Ciba Specialty Chemicals) 제품인 이르가큐어(Irgacure) 907, 184, 651, 369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첨가량은 광중합 액정 화합물의 종류, 액정성 조성물의 배합비 등을 고려하여, 액정성 조성물의 호메오트로픽 배향성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첨가된다. 통상적으로,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0.5 내지 30중량부 정도가 바람직하다. 특히 3 내지 15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측쇄형 액정 중합체 또는 액정성 조성물이 피복되는 기판은 유리 기판, 금속박, 플라스틱 시트 또는 플라스틱 필름중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기판의 두께는 보통 10 내지 1000㎛ 정도이다.
플라스틱 필름은 배향시키는 온도에서 변화되지 않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고,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디아세틸셀룰로스, 트리아세틸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계 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계 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중합체 등의 투명 중합체로 이루어진 필름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중합체; 환상 또는 노르보넨 구조의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중합체; 염화비닐계 중합체; 나일론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중합체 등의 투명 중합체로 이루어진 필름도 들 수 있다. 또한, 이미드계 중합체, 설폰계 중합체, 폴리에테르설폰계 중합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중합체,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중합체, 비닐알코올계 중합체, 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 비닐부티랄계 중합체, 알릴레이트계 중합체, 폴리옥시메틸렌계 중합체, 에폭시계 중합체 및 상기 중합체의 블렌딩된 중합체 등의 투명 중합체로 이루어진 필름 등도 들 수 있다. 이들 중 특히 수소 결합성이 높은 플라스틱 필름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 필름으로는 예컨대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되는 금속 필름을 들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으로는 특히 제오노어(Zeonor){상품명, 니혼제온(주)(Zeon Corporation) 제품}, 제오넥스(Zeonex){상품명, 니혼제온(주) 제품}, 아튼(Arton){상품명, JSR(주)(JSR Corporation) 제품}등의 노르보넨 구조를 갖는 중합체 물질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필름이 광학적으로도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이들 중합체 물질(플라스틱 필름)은 광학 이방성이 매우 작기 때문에, 플라스틱 필름상에 형성된 상기 측쇄형 액정 중합체 또는 액정성 조성물의 배향 액정 필름층은 상기 배향 액정 필름층을 별도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전사하지 않고 그대로 호메오트로픽 배향위상차 필름으로서 액정 표시 장치의 광학 보상 용도 등의 광학 필름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학 이방성을 갖춘 플라스틱 필름 또는 알루미늄 호일 등의 금속 필름상에 형성된 상기 측쇄형 액정 중합체 또는 액정성 조성물의 배향 액정 필름층에 관해서는 상기 측쇄형 액정 중합체 또는 액정성 조성물을 배향 액정 필름화한 후, 노르보넨 구조를 갖는 필름 및 셀룰로스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투명하고 광학 이방성이 작은 플라스틱 필름상에 직접 또는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통해 전사함으로써, 광학 보상 필름 등의 광학 필름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측쇄형 액정 중합체 또는 액정성 조성물을 기판에 피복하는 방법은 상기 측쇄형 액정 중합체 또는 액정성 조성물을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사용하는 용액 피복 방법 또는 상기 액정 중합체 또는 액정성 조성물을 용융하여 용융 피복하는 방법을 들 수 있지만, 이 중에서도 용액 피복 방법으로서 지지 기판상에 측쇄형 액정 중합체 또는 액정성 조성물의 용액을 피복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용액을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용매로는 측쇄형 액정 중합체 또는 액정성 조성물이나 기판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말할 수 없지만, 통상적으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테트라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페놀, 파라클로로페놀 등의 페놀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메톡시벤젠, 1,2-디메톡시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기타, 아세톤, 아세트산에틸, 3급-부틸알코올,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2-피롤리돈, N-메틸-2-피롤리돈, 피리딘, 트리에틸아민,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아세토니트릴, 부티로니트릴, 이황화탄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용액의 농도는 사용하는 측쇄형 액정 중합체 또는 액정성 조성물의 용해성 및 최종적으로 목적으로 하는 배향 액정 필름의 막 두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말할 수 없지만, 통상적으로 3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7 내지 30중량%의 범위이다.
피복된 상기 측쇄형 액정 중합체 또는 액정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층의 두께는 1 내지 1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히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의 막 두께를 정밀히 제어해야 하는 경우에는 막 두께가 기판에 피복하는 단계에서 거의 결정되므로, 용액의 농도, 피복막의 막 두께 등의 제어는 특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상기 용매를 사용하여 소정의 농도로 조정한 측쇄형 액정 중합체 또는 액정성 조성물의 용액을 기판상에 피복하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스핀 코팅법, 바코트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피복 후, 용매를 제거하고, 기판상에 액정 중합체층을 형성시킨다. 용매의 제거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용매를 대체로 제거할 수 있고, 액정 중합체층이 유동하지 않거나 흘러 내리지 않는 것이면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실온에서의 건조, 건조화로에서의 건조, 핫 플레이트상에서의 가열 등을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다음으로, 지지 기판상에 형성된 측쇄형 액정 중합체층 또는 액정성 조성물층을 액정 상태로 하고 호메오트로픽 배향시킨다. 예컨대, 액정 중합체가 액정 온도 범위가 되도록 열처리를 하고 액정 상태에서 호메오트로픽 배향시킨다. 열처리방법은 상기 건조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열처리 온도는 사용하는 측쇄형 액정 중합체 또는 액정성 조성물과 지지 기판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말할 수 없지만, 통상적으로 6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200℃의 범위에서 실시한다. 또한, 열처리 시간은 열처리 온도 및 사용하는 측쇄형 액정 중합체 또는 액정성 조성물이나 기판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말할 수 없지만, 통상적으로 10초 내지 2시간, 바람직하게는 20초 내지 30분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10초보다 짧은 경우, 호메오트로픽 배향 형성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열처리 종료 후 냉각 조작을 실시한다. 냉각 조작으로는 열처리후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을 열처리 조작에서의 가열 분위기중에서 실온중으로 꺼냄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공기 냉각 또는 수냉각 등에 의해 강제 냉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액정 중합체 또는 액정성 조성물의 호메오트로픽 배향층은 액정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 이하로 냉각함으로써 배향이 고정화된다.
액정성 조성물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고정화된 호메오트로픽 액정 배향층에 대하여 광조사를 실시하여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 또는 가교시켜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고정화시킴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킨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을 수득한다. 광조사는, 예컨대 자외선 조사에 의해 실시한다. 자외선 조사 조건은 충분히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서, 불활성 기체 분위기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약 80 내지 160㎽/㎠의 조도를 갖는 고압 수은 자외 램프가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메타-할라이드 UV 램프 및 백열관 등의 다른 종류의 램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자외선 조사시 액 층의 표면 온도가 액정 온도 범위내가 되도록, 콜드 미러(cold mirror), 수냉 및 기타 냉각처리 또는 라인 속도를 높이는 등 적당히 조정한다.
따라서, 측쇄형 액정 중합체 또는 액정성 조성물의 박막이 생성되어, 배향성을 유지한 채로 고정화시킴으로써, 호메오트로픽 배향한 배향 액정 필름이 수득된다. 상기 배향 액정층은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된 분자를 갖는다. 따라서 이 배향 액정층의 배향 벡터의 동결 또는 안정화 및 이방성 물성의 보존이 달성되는 것은 공지된 것이며, 이러한 박막은 그의 광학적 성질이 확인되어, 각종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배향 액정층은 1축성의 양의 복굴절률을 갖는 박막이다.
이상과 같이 수득되는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층의 배향은 이 액정층의 광학 위상차를 수직 입사로부터 경사시킨 각도로 측정함으로써 정량화할 수 있다.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의 경우, 이러한 위상차값은 수직입사에 대해서 대칭적이다. 광학 위상차의 측정에는 수종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자동 복굴절 측정 장치(오크(Oak) 제) 및 편광현미경(올림푸스(OLYMPUS OPTICAL CO. LTD) 제)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은 크로스 니콜(crossed Nicol) 편광자 사이에서 흑색으로 보인다.
이렇게 해서 수득된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은 기판으로부터 박리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박리하지 않고 기판상에 형성된 배향 액정층으로서 그대로 사용할수 있다.
본 발명의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은 단독으로 위상차 필름(위상차판),시각 보상 필름, 광학 보상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실용에서 편광판 등의 다른 광학층과 적층한 광학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1축 배향한 위상차 필름을 기재로 하여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을 제작하면, 광시야각의 위상차 필름이 수득되고, 이것을 STN형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특성, 특히 시야각 특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광학 필름에는 편광판이 사용된다. 편광판은 통상적으로 편광자의 한면 또는 양면에 보호 필름을 갖는 것이다. 편광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자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 및 2색성 염료 등의 2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축 연신한 것; 및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 및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의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연신하여 2색성 재료(요오드, 염료)를 흡착 및 배향한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편광자의 두께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5 내지 80㎛ 정도가 일반적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여 1축 연신한 편광자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을 요오드의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염색하고, 원래 길이의 3 내지 7배로 연신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붕산 및 요오드화칼륨 등의 수용액에 침지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염색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물에 침지하여 수세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수세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표면의 더러움 및 브록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는 점 이외에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팽창시킴으로써 염색의 불균일 등의 불균일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연신은 요오드로 염색한 후에 실시할 수 있고, 염색하면서 연신할 수 있고, 또한 연신한 후에 요오드로 염색할 수 있다. 붕산 및 요오드화 칼륨 등의 수용액중, 및 수욕중에서도 연신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의 한면 또는 양면에 설치되어 있는 보호 필름에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수분 차폐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 필름의 재료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디아세틸셀룰로스 및 트리아세틸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계 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중합체; 폴리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AS 수지) 등의 스티렌계 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르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중합체; 염화비닐계 중합체; 나일론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중합체; 이미드계 중합체; 설폰계 중합체; 폴리에테르설폰계 중합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중합체;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중합체; 비닐알코올계 중합체; 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 비닐부티랄계 중합체; 알릴레이트계 중합체; 폴리옥시메틸렌계 중합체; 에폭시계 중합체; 또는 상기 중합체의 블렌드 중합체 등이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중합체의 예로서 들 수 있다. 기타, 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형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을 필름화한 것 등을 들수 있다. 보호 필름의 두께는 일반적으로는 500㎛ 이하이고, 1 내지 300㎛가 바람직하다. 특히 5 내지 2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필름으로는 편광 특성 및 내구성 등의 이유로, 트리아세틸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계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특히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이 적합하다. 또한, 편광자의 양측에 보호 필름을 설치하는 경우, 그의 표리에서 같은 중합체 재료로 이루어진 보호 필름을 사용할 수 있고, 다른 중합체 재료 등으로 이루어진 보호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와 보호 필름은 통상적으로 수계 점착제 등을 통해 밀착되어 있다. 수계 접착제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젤라틴계 접착제, 비닐계 라텍스계 접착제, 수계 폴리우레탄 접착제, 수계 폴리에스테르 접착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으로는 하드 코트층, 및 반사 방지 처리, 점착 방지 및 확산 또는 섬광방지를 목적으로 한 처리를 실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하드 코트 처리는 편광판 표면의 손상 방지 등을 목적으로 실시된 것으로, 예컨대 아크릴계, 실리콘계 등의 적당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하여 경도, 미끄럼 특성 등이 우수한 경화성 피복막을 보호 필름의 표면에 부가하는 방법 등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 반사 방지 처리는 편광판 표면에서의 외광의 반사 방지 목적을 위해 실시되는 것이고, 종래의 방법에 따른 반사 방지막 등의 형성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점착 방지 처리는 인접층과의 밀착 방지를 목적으로 실시된다.
또한, 섬광방지 처리는 편광판의 표면에서 외광이 반사하여 편광판 투과광의시인을 저해하는 것의 방지 등을 목적으로 실시되는 것으로, 예컨대 샌드 블라스트 방법 또는 엠보싱 가공 방법에 의한 조면화 방법 및 투명 미립자의 배합 방법 등의 적당한 방법을 사용하여 보호 필름의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부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면 미세 요철 구조의 형성을 위해 함유시키는 미립자로는 예컨대 평균입경이 0.5 내지 50㎛인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카드뮴, 산화안티몬 등으로 이루어진 도전성을 가질 수 있는 무기계 미립자, 및 가교 또는 미가교 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진 유기계 미립자 등의 투명 미립자가 사용된다.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미립자의 사용량은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투명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2 내지 50중량부 정도이고, 5 내지 25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섬광방지층은 편광판 투과광을 확산하여 시각 등을 확대하기 위한 확산층(시각 확대 기능 등)을 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 방지층, 점착 방지층, 확산층, 섬광방지층 등은 보호 필름 자체에 설치할 수 있고, 별도의 광학층으로서 투명 보호층과는 별도의 것으로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편광판은 위상차판이 적층된 타원 편광판 또는 원 편광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타원 편광판 또는 원 편광판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들은 위상차판에 의해 직선 편광을 타원 편광 또는 원 편광으로 바꾸거나, 타원 편광 또는 원 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바꾸거나, 또는 직선 편광의 편광 방향을 바꾼다. 특히, 직선 편광을 원 편광으로 바꾸거나, 원 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바꾸는 위상차판으로는 이른바 1/4 파장판(λ/4판이라고도 함)이 사용된다. 1/2 파장판(λ/2판이라고도 함)은 통상적으로 직선 편광의 편광 방향을 바꾸는 경우에 사용된다.
타원 편광판은 슈퍼 트위스트 네마틱(super twisted nematic; STN)형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층의 복굴절에 의해 생긴 착색(청 또는 황)을 보상(방지)하여, 상기 착색이 없는 흑백 표시를 하는 경우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3차원의 굴절률을 제어하는 것은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을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생기는 착색도 보상(방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원 편광판은, 예컨대 화상이 칼라 표시되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화상의 색조를 조정하는 경우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또한 반사 방지의 기능도 갖는다.
위상차판에는, 예컨대 각종 파장판 또는 액정층의 복굴절에 의한 착색 및 시각 등의 보상을 목적으로 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사용 목적에 따른 적당한 위상차를 갖는 2종 이상의 위상차판을 적층하여 위상차 등의 광학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위상차판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 노르보넨계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이나 그 밖의 폴리올레핀, 폴리알릴레이트, 폴리아미드의 같은 적당한 중합체로 이루어진 필름을 연신처리하여 형성된 복굴절성 필름; 액정 중합체 등의 액정 재료로 이루어진 배향 필름; 및 액정 재료의 배향층을 필름에 지지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은 이러한 위상차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각 보상 필름으로서 편광판에 적층되어 광시야각 편광판으로서 사용된다. 시각 보상 필름은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을, 화면에 수직이 아닌 약간 기울어진 방향에서 본 경우라도, 화상이 비교적 선명하게 보이도록 시야각을 넓히기 위한 필름이다.
이러한 시각 보상 위상차판으로는 2축 연신처리 또는 직교하는 2방향으로 연신처리된 복굴절을 갖는 필름, 및 경사 배향 필름과 같은 2방향 연신 필름 등이 사용된다. 경사 배향 필름으로는, 예컨대 중합체 필름에 열수축 필름을 접착하고, 가열에 의한 그 수축력의 작용하에서 중합체 필름을 연신처리 또는/및 수축 처리한 것 또는 액정 중합체를 경사 배향시킨 것을 들 수 있다. 시각 보상 필름은 액정셀에 의한 위상차에 근거하는 시인각의 변화에 의한 착색 등의 방지 및 양호한 시인의 시야각의 확대 등을 목적으로 적당히 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양호한 시인의 넓은 시야각을 달성하는 관점에서, 액정 중합체의 배향층, 특히 디스코틱 액정 중합체의 경사 배향층으로 이루어진 광학적 이방성층을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으로 지지한 광학 보상 위상차판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 실용에 있어서 적층되는 광학층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반사판 및 반투과판 등의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에 사용되는 광학층을 1층 또는 2층 이상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타원 편광판 또는 원 편광판에 반사판 또는 반투과 반사판이 추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반사형 편광판 또는 반투과형 편광판, 또는 편광판에 휘도 향상 필름이 추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편광판을 들 수 있다.
반사형 편광판은 편광판에 반사층을 설치한 것으로, 시인측(표시측)으로부터의 입사광을 반사시켜서 표시하는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고, 백라이트 등의 광원의 내장을 생략할 수 있고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하기 쉬운 등의 이점이 있다. 반사형 편광판은 필요에 따라 투명 보호층 등을 통해 편광판의 한 면에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반사층을 부착하는 방법 등의 적당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반사형 편광판의 구체예로는 필요에 따라 매트 처리한 보호 필름의 한 면에, 알루미늄 등의 반사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박 및 증착막을 부착하여 반사층을 형성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필름에 미립자를 함유시켜 표면 미세 요철 구조로 하고, 그 위에 미세 요철 구조의 반사층이 구비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미세 요철 구조의 반사층은 입사광을 난반사에 의해 확산시켜 지향성 및 반짝거리는 외관을 방지하고, 명암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 등이 있다. 또한, 미립자가 함유된 보호 필름은 입사광 및 그의 반사광이 투과할 때에 확산되어 명암 불균일을 보다 억제할 수 있는 이점 등도 갖고 있다. 보호 필름의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반영시킨 미세 요철 구조의 반사층은, 예컨대 진공 증착법, 이온 도금법, 스퍼터링(sputtering)법 등의 적당한 증착 및 도금법으로 금속을 투명 보호층의 표면에 직접 부착시켜 형성할 수 있다.
반사판은 상기 편광판의 보호 필름에 직접 제공되는 방법 대신에, 투명 필름에 적당한 필름의 반사층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반사 시트 등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반사층은 통상적으로 금속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반사면이 보호 필름 또는 편광판 등으로 커버된 상태의 사용 형태가 산화에 의한 반사율의 저하방지, 나아가서는 초기 반사율의 장기 지속 및 보호층의 별도 부착이 필요없는 점 등에서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반투과형 편광판은 상기 반사층을 광을 반사하고 투과하는 하프-미러 (half-mirror)등의 반투과형 반사층으로 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반투과형 편광판은 통상적으로 액정셀의 뒷편에 설치되고, 액정 표시 장치 등을 비교적 밝은 분위기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인측(표시측)으로부터의 입사광을 반사시켜 화상을 표시하고, 비교적 어두운 분위기에서는 반투과형 편광판의 뒷편에 내장되어 있는 백라이트 등의 내장 광원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반투과형 편광판은 밝은 분위기하에서는 백라이트 등의 광원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비교적 어두운 분위기하에서는 내장 광원을 이용하여 사용가능한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형성에 유용하다.
편광판과 휘도 향상 필름이 함께 부착된 편광판은 통상적으로 액정셀의 뒷편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휘도 향상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또는 뒷편에서의 반사 등에 의해 자연광이 입사하는 경우 소정 편광축의 직선 편광 또는 소정 방향의 원 편광을 반사하고 다른 광은 투과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휘도 향상 필름을 편광판과 적층한 편광판은 백라이트 등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입사시켜서 소정 편광 상태의 투과광을 얻는 동시에, 상기 소정 편광 상태 이외의 광은 투과하지 않고 반사한다. 이러한 휘도 향상 필름면에서 반사된 광을 또한 뒷편에 설치된 반사층 등을 통해 반전시켜 휘도 향상 필름에 재입사시키고, 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소정 편광 상태의 광으로서 투과시켜 휘도 향상 필름을 투과하는 광의 양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편광자에 흡수시키기 어려운 편광을 공급하여 액정 표시 화상표시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광량의 증가를 도모함으로써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휘도 향상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백라이트 등으로 액정셀의 뒷편에서 편광자를 통해 광을 입사한 경우에는 편광자의 편광축에 일치하지 않는 편광 방향을 갖는 광의 대부분이 편광자에 흡수되어, 편광자를 투과하지 않게 된다. 즉, 사용한 편광자의 특성에 의해서도 다르지만, 약 50%의 광이 편광자에 흡수되어, 액정 화상 표시에 이용할 수 있는 광량이 그만큼 감소하여, 화상이 어두워진다. 휘도 향상 필름은 편광자에 의해 흡수될 수 있는 편광 방향을 갖는 광을 편광자에 입사시키지 않고 휘도 향상 필름에 의해 일단 반사시켜, 다시 뒷편에 설치된 반사층 등을 통해 반전시켜 휘도 향상 필름에 재입사시키는 것을 되풀이하고, 이 양자간에 반사 및 반전하고 있는 광의 편광 방향이 편광자를 통과할 수 있는 편광 방향이 되는 편광만을, 휘도 향상 필름이 투과시켜 편광자에 공급하기 때문에, 백라이트 등의 광을 효율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의 화상의 표시에 사용하여 화면을 밝게 할 수 있다.
상기 휘도 향상 필름으로는, 예컨대 유전체의 다층 박막; 굴절률 이방성이 상이한 박막 필름의 다층 적층체와 같은 소정 편광축의 직선 편광을 투과하고 다른 광은 반사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적층 필름; 콜레스테릭 액정 중합체의 배향 필름; 그 배향 액정층을 필름 기재상에 지지한 것과 같이, 좌회전 또는 우회전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원 편광을 반사시키고 다른 광은 투과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필름 등의 적당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정 편광축의 직선 편광을 투과시키는 타입의 휘도 향상 필름으로는 투과광을 편광축을 맞추어 놓고 그대로 편광판에 입사시킴으로써, 편광판에 의한 흡수 손실을 억제하면서 효율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한편, 콜레스테릭 액정층과 같이 원 편광을 투과하는 타입의 휘도 향상 필름으로는 그대로 편광자에 입사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흡수 손실을 억제한다는 점에서 원 편광을 위상차판을 통해 직선 편광화하여 편광판에 입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상차판으로서 1/4 파장판을 사용함으로써, 원 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할 수가 있다.
가시광 영역 등의 넓은 파장범위에서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판은, 예컨대 파장 550nm의 담색광에 대하여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층과 다른 위상차 특성을 나타내는 위상차층, 예컨대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층을 중첩하는 방법 등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따라서, 편광판과 휘도 향상 필름의 사이에 배치하는 위상차판은 1층 또는 2층 이상의 위상차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콜레스테릭 액정층에 대해서도, 반사 파장이 상이한 것을 조합하여 2층 또는 3층 이상 중첩한 배치구조로 함으로써, 가시광 영역 등의 넓은 파장 범위에서 원 편광을 반사하는 것을 수득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넓은 파장 범위에 투과된 원 편광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편광판은 상기 편광 분리형 편광판과 같이 편광판과 2층 또는 3층 이상의 광학층을 적층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사형 편광판 또는 반투과형 편광판과 위상차판을 조합시킨 반사형 타원 편광판 또는 반투과형 타원 편광판 등일 수 있다.
상기 타원 편광판 및 반사형 타원 편광판은 편광판 또는 반사형 편광판과 위상차판을 적당한 조합으로 적층한 것이다. 이러한 타원 편광판 등은 (반사형)편광판과 위상차판의 조합이 되도록 그것들을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순차 별개로 적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는데, 미리 적층하여 타원 편광판 등의 광학 필름으로 실시한 것은 품질의 안정성, 적층 작업성 등이 우수하고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는 점착층을 설치할 수도 있다. 점착제층은 액정셀로의 부착에 사용할 수 있다는 점 외에, 광학층의 적층에 사용된다. 상기 광학 필름의 접착에 있어서, 이들의 광학축은 목적으로 하는 위상차 특성 등에 따라 적당한 배치 각도로 할 수 있다.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아크릴계 중합체; 실리콘계 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불소계 및 고무계 등의 중합체를 베이스 중합체로 하는 것을 적당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아크릴계 점착제와 같이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당한 습윤성, 응집성 및 접착성의 점착 특성을 나타내고, 내후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추가로, 흡습에 의한 발포 현상 및 벗겨짐 현상의 방지, 열팽창차 등에 의한 광학 특성의 저하 및 액정셀의 휘어짐 방지, 및 고품질로 내구성이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성 등의 점에서, 흡습율이 낮고 내열성이 우수한 점착층이 바람직하다.
점착층은, 예컨대 천연물 또는 합성물의 수지류, 특히 점착성 부여 수지, 유리 섬유, 유리 비드(beads), 금속 분말, 그 밖의 무기 분말 등으로 이루어진 충전제, 안료, 착색제 및 산화방지제 등의 점착층에 첨가되는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미립자를 함유하여 광확산성을 나타내는 점착층일 수 있다.
광학 필름의 한면 또는 양면으로의 점착층의 부착은 적당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그 예로는, 예컨대 톨루엔 또는 아세트산에틸 등의 적당한 용제중의 단독물 또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용매로 베이스 중합체 또는 이의 조성물을 용해 또는 분산시킨 10 내지 40중량% 정도의 점착제 용액을 제조하고, 이 용액을 유동 방법 및 피복 방법 등의 적당한 전개 방법으로 편광판상 또는 광학 필름상에 직접 적용하는 방법, 또는 이에 따라 세퍼레이터상에 점착층을 형성하여 그것을 편광판상 또는 광학 필름상에 이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층은 다른 조성 또는 종류의 중첩층으로서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양면에 설치하는 경우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의 표리에서 다른 조성, 종류 또는 두께 등의 점착층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점착층의 두께는 사용 목적 또는 접착력 등에 따라 적당히 결정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1 내지 500㎛이고, 5 내지 200㎛가 바람직하고, 특히 10 내지 100㎛가 바람직하다.
점착층의 노출면에 대해서는 실용에 제공되기까지, 그의 오염 방지 등을 목적으로 세퍼레이터가 임시 부착되어 커버된다. 이에 따라, 통상적인 취급 상태로 점착층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로는 상기 두께 조건을 제외하고, 예컨대 플라스틱 필름, 고무 시트, 종이, 천, 부직포, 그물, 발포 시트 및 금속박 또는 이들의 적층 시트 등의 적당한 시트를, 필요에 따라 실리콘계, 장쇄 알킬계, 불소계 및 황화몰리브덴 등의 적당한 박리제로 피복 처리한 것 등의, 종래에 따른 적당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편광판을 형성하는 편광자, 투명 보호 필름, 광학 필름, 점착층 등의 각 층에는, 예컨대 살리실산에스테르계 화합물, 벤조페놀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니켈 착염계 화합물 등의 자외선 흡수제로 처리하는 방법에 의해 자외선 흡수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각종 장치의 형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은 종래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즉, 액정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액정셀, 광학 필름 및 필요에 따라 조명 시스템 등의 구성 부품을 적당히 설치하고 구동 회로를 혼입시키는 등에 의해 형성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광학 필름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 특별한 한정은 없고, 종래의 방법을 따를 수 있다. 액정셀에 관해서도, 예컨대 TN 형, STN형, π형 등의 임의의 타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액정셀의 한면 또는 양면에 상기 광학 필름을 배치한 액정 표시 장치 및 조명 시스템에 백라이트 또는 반사판을 사용한 것 등의 적당한 액정 표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한 광학 필름은 액정셀의 한면 또는 양면에 설치할 수 있다. 양측에 광학 필름을 설치하는 경우, 이들은 같거나 다른 것일 수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에서는, 예컨대 확산판, 섬광방지층, 반사 방지막, 보호판, 프리즘 어레이, 렌즈 어레이 시트, 광확산판, 백라이트 등의 적당한 부품을 적당한 위치에 1층 또는 2층 이상 배치할 수 있다.
이어서, 유기 전기발광 장치(유기 EL 표시 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유기 EL 표시 장치는 투명 기판상에 투명 전극, 유기 발광층 및 금속 전극을 순차로 적층하여 발광체(유기 전기발광 발광체)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유기 발광층은 여러가지 유기 박막의 적층체이며, 예컨대 트리페닐아민 유도체 등으로 구성된 정공 주입층과 안트라센 등의 형광성의 유기 고체로 구성된 발광층과의 적층체; 이러한 발광층과 페릴렌 유도체 등으로 구성된 전자 주입층의 적층체;정공 주입층, 발광층 및 전자 주입층의 적층체 등, 여러가지 조합을 갖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유기 EL 표시 장치는 투명 전극과 금속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유기 발광층에 정공과 전자가 주입되고, 이들 정공과 전자와의 재결합에 의해서 생기는 에너지가 형광물질을 여기하고, 여기된 형광물질이 기저 상태로 되돌아갈 때에 광을 방사한다는 원리로 발광한다. 도중의 재결합이라는 메카니즘은 일반의 다이오드와 동일하고, 이점에서도 예상할 수 있듯이, 전류와 발광 강도는 인가 전압에 대하여 정류성을 수반하는 강한 비선형성을 나타낸다.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유기 발광층에서의 발광을 취하기 위해, 한편 이상의 전극이 투명해야만 하고, 통상적으로 산화인듐주석(ITO)등의 투명 도전체로 형성한 투명 전극을 양극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한편, 전자 주입을 용이하게 하여발광 효율을 높히기 위해서는 음극에 일함수가 작은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고, 통상적으로 Mg-Ag, Al-Li 등의 금속 전극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 유기 발광층은 두께 10nm 정도로 대단히 얇은 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유기 발광층도 투명 전극과 마찬가지로 광을 거의 완전히 투과시킨다. 그 결과, 비발광시 투명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입사하여, 투명 전극과 유기 발광층을 투과하여 금속 전극에서 반사된 광이 다시 투명 기판의 표면측으로 나가기 때문에, 외부에서 시인했을 때, 유기 EL 표시 장치의 표시면이 거울면처럼 보인다.
전압의 인가에 의해서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의 표면측에 투명 전극을 구비하는 동시에, 유기 발광층의 이면측에 금속 전극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유기 전기발광 발광체를 함유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 투명 전극의 표면측에 편광판을 설치하면서, 이들 투명 전극과 편광판과의 사이에 위상차판을 설치할 수 있다.
위상차판 및 편광판은 외부에서 입사하여 금속 전극으로 반사하여 온 광을 편광하는 작용을 갖기 때문에, 이 편광 작용에 의해 금속 전극의 거울면을 외부로부터 시인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특히, 위상차판을 1/4 파장판으로 구성하고, 또한 편광판과 위상차판과의 편광 방향이 이루는 각을 π/4로 조정하면, 금속 전극의 거울면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입사하는 외부광은 편광판에 의해 직선 편광 성분만이 투과된다. 이 직선 편광은 위상차판에 의해 일반적으로 타원 편광이 되지만, 특히 위상판이 1/4 파장판이고 게다가 편광판과 위상판과의 편광 방향이이루는 각이 π/4일 때에는 원 편광이 된다.
이 원 편광은 투명 기판, 투명 전극 및 유기 박막을 투과하여, 금속 전극에서 반사하고, 다시 유기 박막, 투명 전극 및 투명 기판을 투과하고, 위상차판으로 다시 직선 편광이 된다. 그리고, 이 직선 편광은 편광판의 편광 방향과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편광판을 투과할 수 없다. 그 결과, 금속 전극의 거울면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상기 화학식 5(식중 n은 18이고, 단량체 단위의 몰%을 나타내고, 편의상 블록체로 표시함, 중량평균분자량 5000)로 나타낸 측쇄형 액정 중합체 20중량부를 디클로로에탄 80중량부에 용해한 용액을, 노르보넨계 중합체(상품명 제오노어, 니혼제온(주)제품)를 중합체 재료로 하는 플라스틱 필름(20㎛)에, 스핀 코팅에 의해 피복했다. 이어서, 160℃에서 1분간 가열한 후 실온까지 단숨에 냉각함으로써, 상기 액정 중합체층을 호메오트로픽 배향시키고, 배향을 유지한 채로 유리화하여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층(2㎛)을 고정화한 배향 액정 필름을 수득했다.
샘플(기판이 부착된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을 크로스 니콜시킨 편광 현미경에 의해, 상기 필름 표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부터 샘플을 관찰한 바, 정면에서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 이것에 의해 호메오트로픽 배향을 확인했다. 즉, 광학 위상차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았다. 이 필름을 기울여 비스듬하게 광을 입사시키고, 마찬가지로 크로스 니콜로 관찰한 바, 광의 투과가 관측되었다.
또한, 상기 필름의 광학 위상차를 자동 복굴절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했다. 측정광을 샘플 표면에 대하여 수직 또는 경사시켜 입사시키고, 그 광학 위상차와 측정광의 입사 각도의 차트로부터 호메오트로픽 배향을 확인했다. 호메오트로픽 배향에서는 샘플 표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에서의 위상차(정면위상차)가 거의 제로이다. 이 샘플에 관해서는 액정층의 상 지연축 방향에 경사지게 하여 위상차를 측정한 바, 측정광의 입사 각도의 증가에 따라, 위상차값이 증가한 것으로부터 호메오트로픽 배향이 수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플라스틱 필름의 중합체 재료로서, 노르보넨계 중합체(상품명 제오넥스, 니혼제온(주)제품)를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을 제작했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샘플의 호메오트로픽 배향을 확인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플라스틱 필름의 중합체 재료로서, 노르보넨계 중합체(상품명아튼, JSR(주)제품)를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을 제작했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샘플의 호메오트로픽 배향을 확인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기판으로서 플라스틱 필름 대신 알루미늄 호일(15㎛)을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을 제작했다. 이어서,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을 셀룰로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에 전사하고, 기판으로부터 분리하여 샘플로 하고,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샘플의 호메오트로픽 배향을 확인했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기판으로서 플라스틱 필름 대신 유리 기판(1mm)을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을 제작했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샘플의 호메오트로픽 배향을 확인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액정층의 형성 재료로서 상기 화학식 6으로 나타낸 측쇄형 액정 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5000)를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했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샘플의 평가를 실시했지만 호메오트로픽 배향은 확인할 수 없었다. 정면에서 관찰하면 뿌옇게 흐려져 있고, 액정 디렉터가 모든 방향으로 존재하여 액정 배향성의 혼란이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나타낸 화학식 5(식중의 n은 35이고, 단량체 단위의 몰%을 나타내고, 편의적으로 블록체로 표시함, 중량평균분자량 5000)로 나타낸 측쇄형 액정 중합체 12.5중량부, 네마틱 액정층을 나타낸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BASF사 제품, 팔리오칼라(Paliocolor) LC242) 12.5중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지바 스페셜티 케미칼스사 제품, 이르가큐어 907)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5중량%를 시클로헥사논 75중량부에 용해한 용액을, 노르보넨계 중합체(상품명 제오넥스, 니혼제온(주)제품)를 중합체 재료로 하는 플라스틱 필름(20㎛)에, 스핀 코팅에 의해 피복했다. 이어서, 130℃에서 1분간 가열한 후 실온까지 단숨에 냉각함으로써, 상기 액정층을 호메오트로픽 배향시키고, 배향을 유지한 채로 유리화하여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층(2㎛)을 고정화시켰다. 또한, 고정화한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층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을 제작했다.
(호메오트로픽 배향성)
샘플(기판이 부착된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을 크로스 니콜시킨 편광 현미경에 의해, 상기 필름 표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에서 샘플을 관찰한 바, 정면에서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 이것에 의해 호메오트로픽 배향을 확인했다. 즉, 광학 위상차가 발생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 필름을 기울여 비스듬하게광을 입사시키고, 마찬가지로 크로스 니콜로 관찰한 바, 광의 투과가 관측되었다. 또한, 상기 필름의 광학 위상차를 자동 복굴절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했다. 좌(왼쪽) 30°에서 측정했을 때 30nm였다.
(내구성 시험)
샘플(기판이 부착된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을 90℃의 건조화로내에 120시간 투입하는 내열 시험, 60℃/90%RH의 조건하에서 120시간 방치하는 습열 시험 및 편광 필름을 점착제를 통해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에 부착시켜 수득한 적층된 필름을 90℃의 건조화로내에 2시간 투입하는 내열 점착 시험의 3종의 시험을 실시하고, 투입전후의 물성을 비교했다. 세 종류 시험 모두에서 시험전후에 어떤 변화도 인정되지 않았다.
실시예 7
실시예 6에서, 플라스틱 필름의 중합체 재료로서, 노르보넨계 중합체(상품명 아튼, JSR(주)제)를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을 제작했다. 또한,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하여 샘플의 호메오트로픽 배향성을 확인했다. 또한, 내구성 시험의 3종의 시험 모두에서 시험전후에 어떤 변화도 인정되지 않았다.
실시예 8
실시예 6에서, 기판으로서 플라스틱필름 대신 유리 기판(1mm)을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을 제작했다. 또한,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샘플의 호메오트로픽 배향을 확인했다. 또한, 내구성 시험의 3종 시험 모두에서 시험전후에 어떤 변화도 인정되지 않았다.
실시예 9
실시예 6에서, 측쇄형 액정 중합체의 사용량을 2.5중량부,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사용량을 22.5중량부로 바꾸고, 기판으로서 플라스틱 필름 대신 유리 기판(1mm)을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을 제작했다. 또한,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샘플의 호메오트로픽 배향을 확인했다. 또한, 내구성 시험의 3종 시험 모두에서 시험전후에 어떤 변화도 인정되지 않았다.
참고예 1
실시예 6에서,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지 않고, 측쇄형 액정 중합체만을 25중량부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을 제작했다. 또한,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샘플의 호메오트로픽 배향을 확인했다. 그러나, 내구성 시험의 3종 시험 모두에서 시험후에 배향의 흐트러짐 등의 변화를 확인했다.
본 발명에 따라 수직 배향막을 사용하지 않고서 수득된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은 내열 시험, 습열 시험 및 내열 점착 시험의 3종의 시험에서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Claims (13)

  1. 액정성 프래그먼트(fragment) 측쇄를 함유하는 단량체 단위(a) 및 비액정성 프래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단량체 단위(b)를 함유하는 측쇄형 액정 중합체를 수직 배향막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기판상에 피복하는 단계; 및
    상기 액정 중합체를 액정 상태에서 호메오트로픽(homeotropic) 배향시킨 후, 그 배향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화시키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기판의 재질이 중합체 물질, 유리 또는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의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
  4. 액정 중합체가 호메오트로픽 배향되어 있는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층이, 수직 배향막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기판상에 구비되어 있는 광학 필름.
  5. 제 4 항에 있어서,
    액정 중합체가 액정성 프래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단량체 단위(a) 및 비액정성 프래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단량체 단위(b)를 함유하는 측쇄형 액정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따른 광학 필름을 적용한 화상 표시 장치.
  7. 수직 배향막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기판상에서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층을 형성할 수 있는 측쇄형 액정 중합체 및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성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측쇄형 액정 중합체가 액정성 프래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단량체 단위(a) 및 비액정성 프래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단량체 단위(b)를 함유하는 측쇄형 액정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성 조성물.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따른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성 조성물을 수직 배향막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기판상에 피복하는 단계; 및
    상기 액정성 조성물을 액정 상태에서 호메오트로픽 배향시켜, 그 배향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고정화시킨 후, 광조사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기판의 재질이 중합체 물질, 유리 또는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의 제조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
  12.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따른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성 조성물이 호메오트로픽 배향하여 고정시킨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층이, 수직 배향막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기판상에 구비되어 있는 광학 필름.
  13. 제 12 항에 따른 광학 필름을 적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1020010076616A 2000-12-06 2001-12-05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의 제조방법, 호메오트로픽배향 액정성 조성물 및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 KR1007679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70978A JP3788734B2 (ja) 2000-12-06 2000-12-06 ホメオトロピック配向液晶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ホメオトロピック配向液晶フィルム
JPJP-P-2000-00370978 2000-12-06
JPJP-P-2001-00136848 2001-05-08
JP2001136848A JP4174192B2 (ja) 2001-05-08 2001-05-08 ホメオトロピック配向液晶性組成物、ホメオトロピック配向液晶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ホメオトロピック配向液晶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5547A true KR20020045547A (ko) 2002-06-19
KR100767902B1 KR100767902B1 (ko) 2007-10-17

Family

ID=26605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616A KR100767902B1 (ko) 2000-12-06 2001-12-05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의 제조방법, 호메오트로픽배향 액정성 조성물 및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885423B2 (ko)
KR (1) KR100767902B1 (ko)
NL (1) NL1019506C2 (ko)
TW (1) TW499574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5554A (ko) * 2014-12-01 201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필름용 조성물, 필름 및 표시 장치
US9470928B2 (en) 2004-12-11 2016-10-18 Lg Chem, Ltd. Homeotropic alignment liquid crystal film without alignment lay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10126599B2 (en) 2014-12-02 2018-11-13 Samsung Display Co., Ltd. Precursor particle for forming liquid crystal alignment laye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20180125172A (ko) * 2017-04-24 2018-11-2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5423B2 (en) * 2000-12-06 2005-04-26 Nitto Denko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homeotropic alignment liquid crystal film
JP4207180B2 (ja) * 2001-11-15 2009-01-14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
JP4321067B2 (ja) * 2003-01-08 2009-08-26 ソニー株式会社 携帯型表示装置
WO2004072699A1 (ja) * 2003-02-12 2004-08-26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垂直配向用基板及び垂直配向液晶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7311949B2 (en) * 2003-11-26 2007-12-25 Fujifilm Corporation Composition,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4580188B2 (ja) * 2004-05-27 2010-11-10 富士通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106763A (ko) * 2005-02-08 2007-11-05 니폰 오일 코포레이션 (신 니혼 세키유 가부시키 가이샤)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필름, 이를 이용한 광학필름 및화상표시장치
US20060279865A1 (en) * 2005-02-08 2006-12-14 Norihito Ito Optical element, retardation plate using same, optical laminated body,and display apparatus
KR100732325B1 (ko) * 2005-02-16 2007-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직 배향 액정 필름을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및 그제조방법
JP4407544B2 (ja) * 2005-03-11 2010-02-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射型表示装置
US7733452B2 (en) * 2005-05-06 2010-06-08 Kent State University Materials for promoting alignment of liquid crystals on SiOx and other substrates
KR20070021749A (ko) * 2005-08-19 2007-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DE102005039517A1 (de) * 2005-08-20 2007-02-22 Carl Zeiss Smt Ag Phasenverzögerungs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hasenverzögerungselementes
TWI344032B (en) * 2006-09-07 2011-06-21 Taiwan Tft Lcd Ass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9011992B2 (en) * 2007-03-29 2015-04-21 Akron Polymer Systems Optical compensation films based on stretched polymer films
US8304079B2 (en) * 2007-03-29 2012-11-06 Akron Polymer Systems Optical compensation films with birefringence enhancing substituents for liquid crystal display
US7989036B2 (en) * 2007-03-29 2011-08-02 Akron Polymer Systems Optical compensation films with disk groups for liquid crystal display
US8226860B2 (en) * 2007-03-29 2012-07-24 Akron Polymer Systems Optical compensation films having positive birefringen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US8821994B2 (en) * 2007-03-29 2014-09-02 Akron Polymer Systems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improved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s
US9096719B2 (en) * 2007-03-29 2015-08-04 Akron Polymer Systems Optical compensation films with mesogen groups for liquid crystal display
US8802238B2 (en) * 2007-03-29 2014-08-12 Akron Polymer Systems, Inc. Optical compensation films based on fluoropolymers
US8435636B2 (en) * 2007-03-29 2013-05-07 Akron Polymer Systems, Inc. Optical compensation films of brominated styrenic polymers and related methods
US8889043B2 (en) 2007-03-29 2014-11-18 Akron Polymer Systems, Inc. Optical films cast from styrenic fluoropolymer solutions
JP5256714B2 (ja) * 2007-12-04 2013-08-07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101620A (ko) * 2008-03-24 2009-09-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시야각 보상필름 일체형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ips-lcd
JP5184944B2 (ja) * 2008-04-01 2013-04-17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解消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9052549B2 (en) * 2008-11-27 2015-06-09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90488B1 (ko) * 2008-11-27 2015-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5485834B2 (ja) * 2010-09-01 2014-05-0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画像表示装置の作製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作製装置
US9658252B2 (en) * 2011-02-21 2017-05-23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Probe insertion auxiliary and method of probe insertion
US9457496B2 (en) 2011-03-23 2016-10-04 Akron Polymer Systems, Inc. Aromatic polyamide films for transparent flexible substrates
US9856376B2 (en) 2011-07-05 2018-01-02 Akron Polymer Systems, Inc. Aromatic polyamide films for solvent resistant flexible substrates
US11084906B2 (en) 2011-08-19 2021-08-10 Akron Polymer Systems, Inc. Thermally stable, low birefringent copolyimide films
US8871882B2 (en) 2012-02-14 2014-10-28 Akron Polymer Systems, Inc.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styrenic fluoropolymers
KR20150143571A (ko) * 2013-04-11 2015-12-23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
KR102224841B1 (ko) 2014-06-11 2021-03-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129782A1 (ko) * 2015-02-12 2016-08-18 한국과학기술원 매크로 프리패턴을 이용한 투명전극 및 수직 배향형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CN105158984A (zh) * 2015-10-15 2015-12-1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Va型液晶显示面板的制作方法
JP6769921B2 (ja) * 2017-04-28 2020-10-14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配向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9035414A1 (ja) * 2017-08-14 2019-02-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3064B2 (ja) * 1991-07-19 1999-02-03 日本石油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用視角補償板
US5620781A (en) * 1991-10-23 1997-04-15 Fuji Xerox Co., Ltd. Erasable display medium
US5498450A (en) * 1992-11-18 1996-03-12 Fuji Xerox Co., Ltd. Liquid crystal-polymer composite film, electro-optical element using the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electro-optical element
EP0617111B1 (en) * 1993-03-25 1997-09-17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Optically anisotropic material, process for producing it, and retardation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ame
US5730900A (en) * 1995-06-08 1998-03-24 Fuji Photo Film Co., Ltd. Film and process for preparation of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H093454A (ja) 1995-06-20 1997-01-07 Fuji Photo Film Co Ltd 高分子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製造方法、液晶表示素子
TW373100B (en) * 1996-07-01 1999-11-01 Merck Patent Gmbh Compensation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aining the same
US5773178A (en) * 1996-09-13 1998-06-30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a patterned anisotropic polymeric film
JPH10186356A (ja) * 1996-12-27 1998-07-14 Nippon Oil Co Ltd 液晶表示素子用光学補償フィルム
GB9704623D0 (en) 1997-03-06 1997-04-23 Sharp Kk Liquid crytal optical element and liquid crystal device incorporating same
JP2000212310A (ja) 1999-01-19 2000-08-02 Hayashi Telempu Co Ltd 配向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液晶表示装置
JP2001133627A (ja) * 1999-08-26 2001-05-18 Nippon Mitsubishi Oil Corp 偏光回折素子の製造方法
JP4174192B2 (ja) * 2001-05-08 2008-10-29 日東電工株式会社 ホメオトロピック配向液晶性組成物、ホメオトロピック配向液晶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ホメオトロピック配向液晶フィルム
JP3788734B2 (ja) * 2000-12-06 2006-06-21 日東電工株式会社 ホメオトロピック配向液晶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ホメオトロピック配向液晶フィルム
US6885423B2 (en) * 2000-12-06 2005-04-26 Nitto Denko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homeotropic alignment liquid crystal film
JP2002214416A (ja) * 2001-01-16 2002-07-31 Nitto Denko Corp 光拡散板、光学素子及び液晶表示装置
JP4036322B2 (ja) * 2002-03-25 2008-01-23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これを用いた照明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0928B2 (en) 2004-12-11 2016-10-18 Lg Chem, Ltd. Homeotropic alignment liquid crystal film without alignment lay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160065554A (ko) * 2014-12-01 201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필름용 조성물, 필름 및 표시 장치
US10126599B2 (en) 2014-12-02 2018-11-13 Samsung Display Co., Ltd. Precursor particle for forming liquid crystal alignment laye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20180125172A (ko) * 2017-04-24 2018-11-2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1019506C2 (nl) 2005-02-07
US20050122456A1 (en) 2005-06-09
KR100767902B1 (ko) 2007-10-17
US7037443B2 (en) 2006-05-02
NL1019506A1 (nl) 2002-06-07
TW499574B (en) 2002-08-21
US20020036739A1 (en) 2002-03-28
US6885423B2 (en) 2005-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902B1 (ko)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의 제조방법, 호메오트로픽배향 액정성 조성물 및 호메오트로픽 배향 액정 필름
KR100635841B1 (ko) 위상차판 및 그 제조 방법, 광학 필름
JP4036322B2 (ja) 光学フィルム、これを用いた照明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0959048B1 (ko) 점착형 광학보상층을 갖는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KR100708246B1 (ko) 액정 배향 필름의 제조 방법, 액정 배향 필름, 광학 필름및 화상 표시 장치
JP3969637B2 (ja) 液晶配向フィルムの製造方法、液晶配向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06085454A1 (ja) ホメオトロピック配向液晶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8191630A (ja) 楕円偏光板、その製造方法、輝度向上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4287416A (ja) 傾斜配向フィルムの製造方法、傾斜配向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7017637A (ja) 積層位相差板、その製造方法、輝度向上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3992969B2 (ja) ホメオトロピック配向液晶フィルム、輝度向上フィルムおよび光学フィルム
JP2006337575A (ja) ホメオトロピック配向液晶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装置
JP2009116197A (ja) 異方性光散乱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531329B2 (ja) 位相差フィルム、輝度向上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059683B2 (ja) 複屈折性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3842102B2 (ja) ホメオトロピック配向液晶フィルムの製造方法、ホメオトロピック配向液晶フィルムおよび光学フィルム
JP2004309904A (ja) 円偏光板、輝度向上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4094063A (ja) 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3195032A (ja) 液晶配向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3121852A (ja) ホメオトロピック配向液晶フィルムの製造方法、ホメオトロピック配向液晶フィルムおよび光学フィルム
JP2004177550A (ja) 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4191803A (ja) 輝度向上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3337221A (ja) 輝度向上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293595B2 (ja) 位相差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133002A (ja) 光学補償層付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