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4169A - 통신 시스템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4169A
KR20020044169A KR1020027005172A KR20027005172A KR20020044169A KR 20020044169 A KR20020044169 A KR 20020044169A KR 1020027005172 A KR1020027005172 A KR 1020027005172A KR 20027005172 A KR20027005172 A KR 20027005172A KR 20020044169 A KR20020044169 A KR 20020044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us
devices
channel
isochronou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5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8069B1 (ko
Inventor
반드뮬렌호프데니스
살룸살라자르안토니오이.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20044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0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78Bus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5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 [HAVI]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8Distribution of signals with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involving splitting/multiplexing signals to/from different 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시 및 비동기 전송들을 관리할 수 있는, 버스를 경유하여 상호접속된 복수의 장치들(101 내지 106)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500)에 관한 것이다. 상태 관리자(105)는 등시 상태 채널상의 상태 정보를 방송하는 등시 상태 채널을 유지한다. 장치들(101 내지 106)은 상태 정보를 상태 관리자(105)에게 송신할 수 있어, 상태 관리자는 상태 채널을 통해 상태 정보를 방송할 수 있다. 그다음에, 장치들(101 내지 106)은 그것들이 지원한다면 상태 정보를 판독하도록 상태 채널로 탭핑(tap)할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상태 정보를 얻도록 종래의 비동기 정보들을 이용할 수 있다. 상태 채널상의 정보는 한번만 송신되고, 이것은 대역폭을 절약한다. 이 정보는 통신 시스템(500)의 네트워크 토폴러지에 대한 것일 수 있고, 통신 시스템(500)내의 장치(101 내지 106)의 성능들에 대한 것일 수 있고, 버스상의 이용가능한 대역폭에 대한 것일 수 있거나, 또는 통신 시스템(500)내의 기지국 장치(106)와 모바일 장치(520)사이의 부착 레벨의 세기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버스는 명세서의 IEEE 1394 시리즈를 양호하게 따른다. 홈 오디오/비디오 상호운용 (Home Audio/Video interoperabolity)(HAVI) 표준은 통신 시스템을 동작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및 장치{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서문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IEEE 컴퓨터 소사이어티, "IEEE Standard for a High Performance Serial Bus",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Inc., IEEE standard 1394-1995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소비자 전자제품(consumer electronics)(CE) 산업으로부터 및 개인 컴퓨터 (PC) 산업으로부터의 장치들은 점점 홈 네트워크들로 함께 연결된다. 그와같은 홈 네트워크들은 등시(실시간) 및 비동기(비 실시간) 정보를 모두 통상적으로 수송할 수 있다. 대개,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림들과 같은 콘텐트는 등시적으로 전송되고, 제어 정보븐 통상적으로 비동기적으로 전송된다. IEEE 1394 명세서 및 그의 1394a 및 1394a-2000 확장들은 그와같은 홈 네트워크내의 버스에 대한 표준을 제공한다.
IEEE 1394 버스상의 장치들은 모두, 비록 토폴러지가 루프들을 포함해서는 안되지만, 별, 트리(tree), 데이지 체인(daisy chain) 또는, 그 조합과 같은 토폴러지로 배열된, 피어 노드들(peer nodes)이다. 시스템이 동작하는 동안 버스로부터 장치들을 제거 및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 장치가 싸이클 관리자(Cycle Manager)로서 동작하고, 다른 장치들은 버스 관리자(Bus Manager) 또는 등시 자원 관리자(Isochronous Resource Manager)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지만, 어떤 장치도 버스에 대한 전체적 마스터 제어기(overall master controller)의 역할을 맡도록 요구되지 않는다. 모든 동작들은 분배된 피어-투-피어 방식(distributed peer-to-peer manner)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구조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시스템들에 잘 적합한데, 그와같은 장치들이 피어-투-피어 방식으로 통상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이다.
홈 네트워크내의 장치들은 비동기 통신을 적어도 지원한다. 대부분의 장치들은 또한 등시 통신(isochronous communication)을 지원하는데, 장치들이, 실시간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스트림들로써 이용되도록 의도되었기 때문이다. 네트워크 버스상의 대역폭의 부분은 비동기 전송들을 위해 예비된다. 규칙적 구간들, 소위 공평 구간들(fairness intervals)로, 장치들은 버스상에서 비동기 전송들을 시작할 수 있다. 이것은, 통상적으로 큰 양의 대역폭을 요구하는, 등시 전송들이 버스상의 모든 대역폭을 점유하는 것을 방지하며, 그에의해 제어 정보등이 송신되는 것을 방지한다.
등시 전송들을 위해, IEEE 1394는 63개의 독립적인 등시 "채널들"을 지원하며, 그 각각은, 이용가능한 대역폭에 의해 제한되는, 다수의 논리적 오디오 또는 비디오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예를들어, 하나의 등시 채널은 서라운드 음향 오디오 신호 및 압축되지 않은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전달할수 있다. 정보를 등시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장치는 등시 자원 관리자(Isochronous Resource Manager)와 접촉하고, 채널 및 어떤 양의 대역폭을 요청한다. 등시 자원 관리자는 이것이 가능한지를 결정하고, 가능하다면, 채널을 할당하여, 장치가 그것을 이용할 수 있다. 장치가 전송하는 것을 종료하였을 때, 등시 자원 관리자는 채널을 할당해제하여, 그것에 대해 예비된 대역폭은 다시 이용가능하게 된다.
IEEE 1394 등시 전송들은, 접속없는 방식(connectionless fashion)으로, 채널 식별자로써 버스상에서 방송된다. 임의의 등시-가능 장치(isochronous-capable device)는 임의의 등시 채널로부터 판독하며, 미리 어느 스트림들이 어느 등시 채널들을 통해 전송되는지를 안다면, 버스상의 임의의 원하는 스트림으로 동적으로 튜닝하는 것이 간단하다.
버스상의 이용가능한 대역폭, 자원의 능력들 또는, 네트워크 토폴러지의 맵과 같은 상태 정보는 하나의 장치상에 대개 저장된다. 이러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 다른 장치들은 비동기 메시지들을 직접 이용하여 이 장치에 접촉하고, 해답은 그 장치들에게 동일한 방식을 제공된다. 따라서, 많은 장치들이 동일한 상태 정보를 필요로 한다면, 많은 비동기 메시지들이 송신된다. 상태 정보를 갖는 장치에 의해 송신된 응답들은 동일하며, 그럼에도 다중 메시지들(multiple messages)은 그것들이 서로다른 장치들에 송신되기 때문에 필요하다. 이것은 대역폭의 낭비이다. 또한, 이들 낭비성 비동기 메시지들을 전송하도록 그의 공평 구간을 이용하는 장치는, 더 긴급하거나 또는 중요한 목적들을 위해, 더이상 그 구간을 이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등시 및 비동기 전송들을 관리할 수 있는, 버스를 경유하여 상호접속된 복수의 장치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와같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용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버스를 경유하여 상호접속된 다수의 장치들을 포함하는 제 1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데이터 전송의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등시 데이터 패킷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등시 데이터 패킷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버스를 경유하여 상호접속된 다수의 장치들을 포함하는 제 2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가능한 대역폭을 더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불필요한 메시지의 송신을 감소시키는, 서문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버스상에서 등시 상태 채널을 생성하는 상태 채널 생성 수단을 갖고, 등시 상태 채널상에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상태 전송 수단을 갖는, 상태 관리자를 통신 시스템이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달성된다. 등시 상태 채널은 버스상의 임의의 장치에 의해 수신될 수 있고, 그래서 이들 장치들에 정보를 전송하는 효율적인 방식이다. 정보는 한번만 송신되므로, 상태 정보 메시지들의 어떤 불필요한 복사본들도 송신되지 않는다. 상태 정보에의 액세스를 바라는 장치는 상태 채널로 탭핑(tap)할 수 있고 그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상태 관리자는 상태 채널을 생성하고 그 채널상에 정보를 전송하는데 책임이 있다. 이 정보는, 예를들어 이들 장치들로부터 상태 관리자로의 비동기 전송들에 의해 다른 장치들로부터, 또는 상태 관리자가 그자체로 액세스할 수 있는 공급원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버스 관리자가 상태 관리자라면, 버스 관리자는 토폴러지 맵에의 직접적 액세스를 갖고, 이 정보를 임의의 시간에 전송할 수 있다. 등시 자원 관리자(Isochronous Resource Manager)는 대역폭- 및 채널-관련된 정보에의 직접적 액세스를 갖고, 변할 때마다 상태 채널상에 이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래서 모든 장치들은 이용가능한 대역폭이 언제 변화했는지, 채널들이 언제 할당되고 할당해제되는지 등을 안다.
상태 관리자는, 임의의 시간에, 예를들어 다른 장치가 상태 관리자를 상태 채널을 통해 전송될 상태 정보와 접촉시킬 때, 등시 자원 관리자에서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이것은 상태 채널이 필요하다는 좋은 표시이다. 필요할 때만 상태 채널을 할당함으로써, 상태 관리자는 다른 전송들을 위해 이용됐을 수도 있는 이용가능한 등시 채널들중 한 채널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태 채널을 이용하여, 장치들은 상태 채널상에서 방송되는 정보를 알기 위해 비동기 메시지들을 송신해야만 하는 것을 회피하며, 그래서 대신에 다른 비동기 메시지들을 이제 송신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심하게 로딩된 네트워크(heavily loaded network)에서, 이것은 전송을 더 빠르게 한다.
한 이유 또는 다른 이유로, 상태 채널로부터 상태 정보를 판독할 수 없는 장치들은, 상태 정보를 얻기 위해 구 메커니즘(old mechanism)을 여전히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해법(solution)은 그와같은 장치들과 호환가능하다.
일실시예에서, 상태 관리자는, 등시 상태 채널상에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상태 전송 수단에 연결된, 상기 복수의 장치들로부터의 장치로부터 비동기적으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상태 수신 수단을 더 갖는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상태 관리자가 이제 버스상의 다른 장치들에 대한 중앙 분배점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며, 그래서 이들 장치들은 그들의 상태 정보를 복수의 장치들에 여러번 송신하기보다는 상태 관리자에게 한번만 송신할 필요가 있다.
어떤 상태 채널도 즉시 할당되지 않는다면, 상태 관리자는 상태 채널이 생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해 장치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를 이용할 수 있다. 그다음에, 상태 관리자는 등시 상태 채널이 할당되게 하기 위해 등시 자원 관리자에 접촉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태 관리자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등시 상태 채널에 대한 식별자를 장치에 송신하도록 더 배열된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상태 정보를 얻기 위해 어느 채널상에서 들어야하는지가 자동적으로 장치에게 알려진다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장치들로부터의 장치는 송신된 상태 정보를 등시 상태 채널로부터 판독하는 상태 판독 수단을 갖는다.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태 채널로부터의 상태 채널 판독 데이터로 탭핑(tap)하는 단계와, 상태 정보를 얻기 위해 이 데이터를 디코딩 및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장치들은 먼저 상태 채널의 채널 식별자를 알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식별자를 알기 위해, 장치들은 이전의 실시예로부터의 상태 관리자에 비동기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이러한 식별자를 가진 응답을 얻을 수 있다. 대안으로 장치들은 임의의 상태 정보가 장치들중 임의의 장치에서 발견될 수 있는지를 알기 위해 모든 할당된 채널들을 간단히 스캐닝할 수 있다. 상태 채널은 또한 소정의 예비된 채널 식별자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장치들로부터의 장치는 상태 정보를 상태 관리자에게 비동기적으로 송신하는 상태 송신 수단을 갖는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이것이 장치가 버스상에서 다른 장치들로 상태 정보를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것을 허용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복수의 다른 장치들로의 다중 전송들(multiple transmissions)보다는 상태 관리자로의 하나의 전송만을 필요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태 정보는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토폴러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장치들에게 이 토폴러지에서의 변화들이 이제 자동적으로 알려질 수 있고, 장치들이 이 정보를 필요로 할 때마다 버스 관리자에게 접촉할 필요가 더이상 없다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태 정보는 통신 시스템내의 장치의 능력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장치가, 복수의 장치들로부터 인입하는 그 능력들에 대한 정보에 대한 개별적인 요청들에 응답해야만 하기보다는, 다른 장치들에 그 능력들을 이제 알릴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태 정보는 버스상의 이용가능한 대역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는, 등시 채널을 얻고자 하는 장치는 이용가능한 대역폭을 얻도록 등시 자원 관리자에게 비동기 메시지를 먼저 송신해야 하고, 그다음에, 제 1 응답에 삽입된 정보로부터 계산된, 채널 및 어떤 양의 대역폭을 요청하도록 제 2 메시지를 송신해야 한다. 상태 채널상에서 이용가능한 대역폭을 방송하는 것은, 장치들이 그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그것의 요구조건들을 만족하기에 충분한 대역폭이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것은 이들 장치들이 등시 자원 관리자에게 질문을 송신해야만 하는 것을 면하게 하며, 이것은 등시 채널들을 얻는 절차를 더 효율적이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태 정보는 통신 시스템내의 기지국 장치와 모바일 장치사이의 부착 레벨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이 정보가 모바일 장치에 대한 기지국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다른 장치들과 효율적으로 이제 공유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장치들이 서로에게 많은 비동기 메시지들을 송신해야만 할 필요없이 서로 접촉한 채로 있는 것을 허용하며, 모바일 장치를 통한 전달 제어(transfer control)에 어느 기지국이 가장 적합한지를 장치들이 결정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용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이것은 등시 상태 채널을 버스상에서 생성하는 상태 채널 생성 수단과, 등시 상태 채널상에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상태 전송 수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용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것은 전송된 상태 정보를 등시 상태 채널로부터 판독하는 상태 판독 수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측면들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분명하고 명료하게 될 것이다.
도면들을 통해, 같은 참조 번호들은 유사하거나 대응하는 특징을 표시한다. 도면들에 표시된 특징들중 몇몇은 통상적으로 소프트웨어에서 수행되고, 그자체로, 소프트웨어 모듈들 또는 오브젝트들(sofrware modules or objects)과 같은 소프트웨어 실체들을 나타낸다.
도 1은 예를들어 캠코더(101), 텔레비젼(102), DVD 플레이어(103), 셋-톱 박스(104), VCR(105) 및, 개인용 컴퓨터(106)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장치들(101 내지 106)은, 비록 IEEE 1394a 또는 유사한 버스가 또한 이용될 수 있지만, IEEE 1394 버스를 경유하여 상호접속된다. 버스는, 포인트-투-포인트 시그널링 환경(point-to-point signaling environment)에서, 분배된 피어-투-피어 방식(distributed peer-to-peer manner)으로 동작한다. 버스상의 장치들(101 내지 106)은 장치들상에 하나 또는 그이상의 포트들(110 내지 127)을 가지며, 이것은 중계기(repeater)로서 작용할 수 있고, 장치상의 다른 포트들에 의해 수신된 임의의 패킷들을 재전송한다. 캠코더(101)와 셋-톱 박스(104)는 각각의 포트들(110 및 119)을 통해 상호접속딘다. 셋-톱 박스(104)와 VCR(105)은 각각의 포트들(121과 122)등을 통해 상호접속된다. IEEE 1394 표준은 2개의 장치들이 그들사이에 16개이상의 케이블 홉들(cable hops)을 가져서는 안된다는 것을 지정한다. 하나의 버스는 63개까지의 장치들을 접속할 수 있고, 1023개까지의 버스들이 상호접속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많아야 64,449개의 장치들을 가진 매우 큰 네트워크가 생성될 수 있다. 각각의 노드는 버스를 통해 어드레싱가능한 256 테라바이트까지의 메모리를 가질 수 있다.
버스는 피어-투-피어 방식으로 동작하므로, 어떤 중앙 버스 제어기도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특별한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또는 그이상의 장치들이 일반적으로 있다. 이들 장치들은 싸이클 관리자, 버스 관리자 및, 등시 자원 관리자이다.
싸이클 관리자는 네트워크상의 장치들(101 내지 106)에 대한 공통 클록 기준을 유지한다. 이것은 125 ㎲마다 싸이클 시작 패킷들(Cycle Start packet)을 전송한다. 이 패킷은 싸이클 관리자의 국부 클록의 값을 포함하고, 이 값은 수신 장치들의 국부 클록들을 동기화하기 위해 수신 장치들에 의해 이용된다. 싸이클 관리자로서 작용하는 버스상의 장치가 항상 있다.
버스 관리자는 전력 관리와 같은 버스 최적화들을 수행하고, 네트워크의 토폴러지의 맵과 버스상의 장치들(101 내지 106)의 속도의 리스트와 같은 정보를 유지한다. 이 정보는 최적의 통신 속도들 및 루트들을 선택하도록 장치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등시 자원 관리자는 등시 채널들의 할당 및 할당 해제를 관리한다. 등시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길 원하는 장치(101 내지 106)는 어떤 양의 대역폭과 채널에 대한 요청으로써 등시 자원 관리자에게 접촉해야 한다. 그다음에, 등시 자원 관리자는 장치(101 내지 106)에 대한 어떤 양의 대역폭과 채널 번호(0 내지 63)를 할당할 것이다. 어떤 대역폭 또는 채널도 할당될 수 없다면, 장치(101 내지 106)는 이후의 시간에 요청을 반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장치(101 내지 106)가 등시 데이터 전송을 종료하였을 때, 장치는 등시 자원 관리자에 다시 접촉하여, 채널을 할당해제할 수 있다. 버스가 리셋될 때, 등시 채널을 이용하고 있었던 장치들(101 내지106)은 재전송할 수 있으며, 그래서 장치들은 채널상에서 그들의 전송을 계속할 수 있다.
시스템(100)이 동작하는 동안, 버스로부터 장치들(101 내지 106)을 제거 및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장치(101 내지 106)가 버스에 부가되면, 버스 리셋은 자동적으로 발생된다. 리셋은 또한 소프트웨어를 경유하여 시작될 수 있다. 리셋이후에, 장치들(101 내지 106)은, 리프 노드들(leaf nodes)로 시작하고 그다음에는 브랜치 노드들(branch nodes)로 시작하여, 그들 자신을 구성한다, 구성은 버스 리셋, 트리 식별 및, 자체 식별로 이루어진다.
장치(101 내지 106)가 리셋 신호를 수신할 때, 장치는 이 신호를 접속된 모든 다른 장치들상에서 통과시킨다. 그다음에, 장치(101 내지 106)는 리셋 신호가 버스상의 모든 장치들로 전파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얼마의 시간동안 정지한 채로 있는다. 리셋 신호는 또한 장치상에 존재하는 버스 토폴러지에 대한 정보를 삭제한다.
다음에, 트리 식별이 수행되고, 이것은 다른 노드들이 접속되는 루트 노드 (root node)를 가진 장치들의 트리로서 네트워크 토폴러지를 정의한다. 노드는, 다른 노드에 접속되어 있고 다른 노드보다 루트 노드에 더 가깝다면, 또다른 노드에 대해 부모 노드(parent node)라 불린다. 그다음에, 다른 노드는 부모 노드에 대해 자손 노드(child node)라 불린다. 이것은, 네트워크의 물리적 토폴러지와 다를 수 있는, 논리적 토폴러지라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네트워크의 토폴러지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장치들(101, 102, 103)인 도1에서의 리프 노드들은 그들의 각각의 포트들(110, 114, 118)상에 부모 통지 신호 (parent notification signal)를 제공한다. 장치들(104, 105, 106)인 도 1에서의 각각의 브랜치 노드들은 그들의 각각의 포트들(119, 123, 127)상에서 이러한 부모 통지 신호를 보며, 자손 통지 신호(child notification signal)를 이들 포트들 (119, 123, 127)에 제공하고, 그것들을 자손 노드에 접속된 것으로서 마킹(mark)한다. 그다음에, 리프 노드들(101, 102, 103)은 그들의 각각의 포트들(110, 114, 118 )로부터 그들의 부모 통지 신호들을 제거할 것이다.
그다음에, 셋-톱 박스(104)와 개인용 컴퓨터(106)는 그들의 각각의 포트들 (121 및 125)상에 부모 통지 신호를 제공하며, 이것들은 자손 노드에 접속된 것으로서 마킹되지 않는다. VCR(105)은 마킹되지 않은 포트들(122, 124)상에서 이들 부모 통지 신호들을 수신하고, 이들 포트들(122, 124)에 자손 통지 신호를 제공하고, 그것들을 자송 노드에 접속된 것으로서 마킹한다. VCR(105)은 이제 모든 포트를 자손 노드들에 접속된 것으로서 마킹했으므로, VCR(105)은 루트 노드가 된다.
예를들어 모든 브랜치 노드들이 동일한 수의 마킹되지 않은 포트들을 가지고, 그때 동시에 부모 통지 신호들을 제공할 때, 장치가 루트 노드가 되어야 하는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충돌(conflict)이 일어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랜덤한 백-오프 타이머(random back-off timer)는 하나의 장치가 루트 노드가 되는 것을 허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장치는 또한 시그널링 프로세스에서 응답들을 지연함으로써 루트 노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들어, 개인용 컴퓨터 (106)가 부모 통지 신호를 지연하였다면, VCR(105)은 포트(124)상에 부모 통지 신호를 결국에는 제공하였을 것이다. 그다음에, 개인용 컴퓨터(106)는 포트(125)상에 자손 통지 신호를 제공하였을 것이고, 모든 포트들을 자손 노드들에 접속된 것으로서 마킹하였을 것이며, 그래서 그때 루트 노드가 되었을 것이다.
논리적 트리 토폴러지가 정의된 후에, 장치들(101 내지 106)은 자체 식별을 수행한다. 이것은 각각의 장치(101 내지 106)에 물리적 ID들을 할당하고, 이웃하는 장치들사이에서 전송 속도 능력들을 교환하고, 모든 장치들(101 내지 106)에 트리 토폴러지를 분배하는 것을 포함한다. 자체 식별은 루트 노드인 VCR(105)이 장치가 접속된 가장 낮게 번호붙여진 포트(122)에 신호를 송신할 때 시작된다. 셋-톱 박스(104)는 그 신호를 수신하고 가장 낮게 번호붙여진 포트(119)에 신호를 전파시킨다. 캠코더(101)는 포트(110)상에서 신호를 수신하지만, 신호를 더 이상 전파시킬 수는 없다. 그다음에 캠코더는 그자체의 물리적 ID 0을 할당하고, 자체 ID 패킷을 셋-톱 박스(104)로 되돌려 전송한다. 자체 ID 패킷은 그것을 생성한 장치의 물리적 ID를 적어도 포함하며, 이 장치의 전송 속도 능력들과 같은 다른 정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셋-톱 박스(104)는 그것에 부착된 장치들로써 이러한 자체 ID 패킷을 모든 포트들(119 내지 121)에 재전송한다. 결국에는 자체 ID 패킷은 루트 노드에 도달하며, 이것은 자체 ID 패킷을 높은 번호의 포트들(123, 124)상의 모든 장치들로 전송하는 것을 진행한다. 이런 방식으로, 모든 부착된 장치들은 캠코더 (101)로부터 자체 ID 패킷을 수신한다. 이 패킷을 수신하는 즉시, 모든 다른 장치들(102 내지 106)은 그들의 자체 ID 카운터를 증가시키며, 이 자체 ID 카운터는 모든 장치들에 대해 초기에는 0이다. 그다음에, 캠코더(101)는 자체 ID 행해진표시(self ID done indication)를 셋-톱 박스(104)에 시그널링하게 되는데, 자체 ID 프로세스를 완료했기 때문이다. 셋-톱 박스(104)는 그 자신의 자체 ID 프로세스를 완료하지 않았으므로, 이 표시를 루트 노드에 재전송하지 않는다.
루트 노드는 이제, 어떤 자체 ID 행해진 표시도 수신되지 않은, 가장 낮게 번호붙여진 포트에 다른 신호를 송신하며, 이것은 포트(122)이다. 셋-톱 박스(104)는 할당된 물리적 ID가 없는 어떤 다른 부착된 장치들도 갖지 않으며, 그래서 자체적으로 물리적 ID 1을 할당하고 이 패킷을 다른 장치들(101, 102, 103, 105, 106)에, 이전 단락에 서술된 방식으로, 전송한다. 그다음에, 셋-톱 박스(104)는 자체 ID 행해진 통지(self ID done notification)를 루트 노드에 전송하고, 그후에 루트 노드는 포트(123)로써 프로세스를 반복하는데, 이것이 이제 어떤 자체 ID 행해진 표시도 수신되지 않은 가장 낮게 번호붙여진 포트이기 때문이다. 장치(104)가 물리적 ID를 할당한 후에, 프로세스는 포트(124)에 대해서 반복되며 장치들(103 및 106)에 대해서도 그러하다. 이러한 자체 식별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모든 장치들 (101 내지 106)은 그들자체에 독특한 물리적 ID를 할당할 것이며, 루트 노드는 항상 가장 높은 물리적 ID를 가질 것이다. 프로세스가 완료되었을 때, 캠코더(101)는 물리적 ID 0을 가질 것이고, 셋-톱 박스(104)는 물리적 ID 1을 가질 것이고, 텔레비전(102)는 물리적 ID 2를 가질 것이고, DVD 플레이어(103)는 물리적 ID 3를 가질 것이고, 개인용 컴퓨터(106)는 물리적 ID 4를 가질 것이고, VCR(105)은 물리적 ID 5를 가질 것이다.
초기화가 완료되기 전에, 하나 또는 그이상의 장치들에는 싸이클 관리자의역할들이 할당되어야만 하며, 또한 버스 관리자와 등시 자원 관리자가 선택될 수 있다. 루트 노드는 싸이클 관리자여야 한다. 버스가 리셋되고 싸이클 관리자로서 동작할 수 없는 장치가 루트 노드가 된다면, 버스는 다시 리셋되고 싸이클 관리자로서 동작할 수 있는 장치가 루트 노드가 될 것이다. 버스 관리자는 루트 노드가 된 장치가 싸이클 관리자로서 동작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데 책임이 있다. 이것이 그 경우가 아니라고 결정한다면, 버스 관리자는, 싸이클 관리자로서 동작할 수 있는 다른 장치가 루트 노드로서 선택되도록, 리셋을 시킨다. 버스 관리자는 장치들에 의해 선택된다.
장치들은 그들이 등시 자원 관리자가 되고자 한다는 것을 그들의 자체 ID 패킷내에 표시할 수 있다. 자체 식별 프로세스가 완료될 때, 가장 높은 물리적 ID를 가진 것이 등시 자원 관리자로서 이들 장치들로터 선택된다.
도 2는 데이터 전송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IEEE 1394는 2개의 전송 모드들을 제공한다. 비동기 전송은, 보증된 전달을 허용하는, 각각의 전송된 패킷에 대한 수신확인들(acknowledgments)을 가진 비 실시간 모드이다. 이것은 제어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주로 유용하며, 여기서 타이밍은 결정적으로 중요하지는 않다. 비동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버스에의 액세스는 공평 구간을 이용하여 보장된다. 각각의 공평 구간에서, 장치는 하나의 비동기 버스 액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버스 대역폭의 적어도 20%가 비동기 전달들을 위해 예비된다. 비동기 전송들을 이용하여, 장치는, 몇몇 타입의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지 또는, 명령들을 비동기적으로 송신함으로써 다른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지와같은, 몇몇 종류의 기능성에 대해 다른 장치에게 예를들어 질문할 수 있다.
등시 전송들은 실시간이며, 예측가능한 잠재물(predictable latency)을 가지며, 그것들을 위해 예비된 특정된 양의 대역폭을 가진다. 통상적으로,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림들과 같은 시간-임계 데이터(time-critical data)는 등시적으로 전송된다. IEEE 1394는 63개까지의 독립된 등시 채널들을 지원하며, 그 각각은, 이용가능한 대역폭에 의해 제한되는, 다수의 논리적 오디오 또는 비디오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예를들어, 하나의 등시 채널이 서라운드 음향 오디오 신호와 압축되지 않은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등시 전송들은, 통상적으로 약 100 ㎲인 시간 세그먼트인, 소위 등시 싸이클들에서 발생한다. 싸이클은 싸이클 관리자가 버스를 통해 비동기 싸이클 시작 패킷 (asynchronous Cycle Start(CS) packet)을 전송할 때 시작된다. 그다음에, 등시 채널상에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장치들(101 내지 106)은 트리 토폴러지내의 그들의 부모 노드에의 버스 액세스에 대한 요청을 시그널링한다. 이러한 요청은 루트 노드로 통과된다. 그다음에, 루트 노드는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한 장치에 버스에 대한 액세스를 허가한다. 이것은 대개 루트 노드에 가장 가까운 장치인데, 신호가 루트 노드에 도달하는데 최소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예로서, 캠코더(101), 텔레비전(102), DVD 플레이어(103), 셋-톱 박스(104) 및, 개인용 컴퓨터(106)가 모두 각각의 등시 채널들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한다고 가정한다. 이것들은 모두 채널 번호 및 어떤 양의 대역폭을 이전에 얻었다. 이것들이 그들의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는 순서는 각각의 요청들이 루트 노드에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에 의존한다. 텔레비전(102)으로부터의 요청이 먼저 도달한다고 가정한다. 이것은 그때 허가된 액세스이고, 등시 데이터 패킷(200)을 전송한다. 셋-톱 박스(104)는 다음이며, 등시 데이터 패킷(201)을 전송한다. 이 패킷(201 )에는, 개인용 컴퓨터(106)에 의해 송신된, 등시 데이터 패킷(202)이 뒤따른다. 마지막으로, 캠코더(101)와 DVD 플레이어(103)는 등시 데이터 패킷들(203 및 204)을 전송한다. 버스는 데이터 패킷들(200 내지 204)을 전송하는 사이에서 정지(idle)될 수 있다.
일단 장치(101 내지 106)가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 그의 액세스를 이용하였으면, 등시 싸이클동안 더 이상 버스 액세스를 요청할 수 없다. 이것은 다른 장치들(101 내지 106)에게 버스에 액세스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한 장치(101 내지 106)가 다중 등시 채널들(multiple isochronous channels)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한다면, 각각의 채널에 대해 분리된 요청들을 발행해야 하며, 이것들은 분리되어 허가될 것이다.
마지막 장치(101 내지 106)가 데이터를 등시 채널상에서 전송한 후에, 버스는 정지하게 된다. 정지 시간(idle time)동안, 장치들(101 내지 106)은 비동기 데이터 패킷들(205, 206)을 전송하도록 버스에의 액세스가 허용되고, 여기서, 액세스의 순서는 등시 데이터 전송들(200 내지 204)에 대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결정된다. 모든 장치들(101 내지 106)에게 동일한 액세스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이러한 정지 시간(idle time)은 공평 구간들로 분할된다. 공평 구간동안, 장치(101 내지 106)는 하나의 비동기 데이터 패킷(205, 206)을 전송할 수만 있다. 일단, 액세스를원한 모든 장치들(101 내지 106)이 기회를 가졌고, 버스가 그후에 임의 리셋 갭의 길이(length of an Arbitration Reset Gap)에 대해 정지(idle)되었으면, 새로운 공평 구간이 시작되고, 장치들은 비동기 데이터 패킷들을 더 전송할 수 있다.
비동기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이 싸이클에서 이용가능한 것보다 더 많은 시간이 걸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후속 싸이클을 시작하는 CS 패킷이 지연될 것이라는 점을 의미한다. 그때, 이러한 후속 싸이클에서 비동기 데이터 전송들에 이용가능한 시간은 지연을 보충하기 위해 더 낮게 될 것이다.
도 3은 등시 데이터 패킷의 구조를 도시한다. IEEE 1394 표준은 한 장치로부터 다른 장치로 등시 데이터가 어떻게 전송되는지를 지정하지만,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와 같은, 특정 타입들의 데이터에 대한 포맷을 지정하지는 않는다. 소비자 전자 오디오/비디오 설비에 대한 디지털 인터페이스들을 위한 IEC 61883 표준은 등시 데이터 패킷들의 포맷을 지정하는 하나의 표준이다. 이러한 포맷은 또한 공통 등시 패킷(Common Isochronous Packet)(CIP) 포맷으로 알려져 있다.
각각의 패킷은 32 비트 헤더(300)와, 그 뒤를 따르는 다수의 페이로드 데이터 블록들(payload data blocks)(301)로 구성된다. 페이로드(301)의 포맷은 헤더 (300)내의 정보에 의존하며, 이것은 가상으로 어떤것도 될 수 있다. 헤더(300)내의 필드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필드 이름 의미
SRC_ID 공급원 ID 패킷을 보낸 장치의 ID
DBS 데이터 블록 크기 32 비트 쿼드렛들내의 데이터 블록의 크기임. 패킷당 256개의 쿼드렛들을 초과하지 않을 수 있음.
FN 분류 번호(Fraction Number) 데이터 블록은 1, 2, 4 또는, 8개의 패킷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FN은 각각 00, 01, 10, 11임.
QPC 쿼드렛 패딩 카운트(Quadlet Padding Count) FN이 00과 동일하지 않을 때 이용됨.
SPH 공급원 패킷 헤더 공급원 패킷이 그 자신의 헤더내에서 가진 플래그들.
RSV 예비됨
DBC 데이터 블록 카운트 데이터 블록의 순차 번호. 패킷 분할이 이용될 때 (FN>00), 이러한 필드의 하위 비트들은 패킷내의 제 1 데이터 블록의 오프셋 값을 표시한다.
FMT 포맷 ID 데이터 블록내의 데이터의 타입. 값들은 MPEG-2, DVCR 등에 대해 정의됨.
FDF 포맷 의존 필드 이 필드의 의미는 FMT 필드에 의존한다.
제 1 헤더 단어의 첫번째 2개의 비트들은 항상 "00"이고, 제 2 헤더 단어의 첫번째 2개의 비트들은 항상 "01"이다.
도 4는 비동기 데이터 패킷의 포맷을 도시한다. 각각의 패킷은 헤더(400)와, 선택적으로 그뒤를 따르는 다수의 페이로드 데이터 블록들(401)로 구성된다. 데이터 블록들에는, 존재한다면, 데이터의 완전성(data integrity)을 보장하도록 데이터 순환 중복 카운트 블록(data cyclic redundancy count block)(D_CRC)이 뒤따른다. 헤더(400)내의 필드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필드 이름 의미
DST_ID 목적지 ID 목적지 장치의 ID
TL 트랜잭션 레벨 트랜잭션에 대한 레벨
RT 재시도 코드(Retry Code) 재시도의 시도와 재시도 프로토콜을 표시함.
TC 트랜잭션 코드 트랜잭션의 타입을 표시함.
PR 우선순위 필드 액세스 우선순위
SRC_ID 공급원 ID 공급원 장치의 ID
D_OFFSET 목적지 오프셋 목적지 장치내의 국부 어드레스
D_SPCFC 데이터 명세(Data Specific)
H_CRC 헤더 CRC 헤더의 완전성을 보장하는 것.
싸이클 시작 패킷(CS)은, 어떤 데이터부(401)도 없는, 특별한 타입의 비동기 패킷이다. 이것은 1차 비동기 패킷들(Primary Asynchronous Packets)중 하나이다. 싸이클 시작 패킷내의 헤더(400)에서의 필드들에 대한 값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값들은 16진수 표기이다).
헤더 필드 주석
DST_ID FFFF 방송 어드레스를 표시함.
TL 0
RT 0
TC 8 CS 패킷을 표시함.
PF FF 가장 높은 액세스 우선순위
SRC_ID 싸이클 관리자의 ID 싸이클 관리자는 CS 패킷을 송신한다.
D_OFFSET FFFF F000 0200
D_SPCFC 싸이클 시간 레지스터의 값 싸이클 시간은 장치 클록들을 동기화하는데 이용된다.
H_CRC 이전 값들에 대한 CRC 표준에 지정된 바와같이 계산됨.
도 5는 캠코더(101), 텔레비젼(102), DVD 플레이어(103), 셋-톱 박스(104), VCR(105) 및, 개인용 컴퓨터(106)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5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장치들(101 내지 106)은, 비록 IEEE 1394a, 1394a-2000 또는 유사한 버스가 또한 이용될 수 있지만, IEEE 1394 버스를 경유하여 상호접속된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500)에서, VCR(105)은 도 1을 참조하여 상기에 서술된 절차를 이용하여 루트 노드로서 선택된다. VCR(105)은 또한, 비록 다른 장치들이 등시 자원 관리자로서 또한 작용될 수 있더라도, 싸이클 관리자 및 등시 자원 관리자로서 기능한다. 개인용 컴퓨터(106)는 버스 관리자로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라, 통신 시스템(500)은 또한 상태 관리자를 포함하며, 이것은 등시 상태 채널을 통해 장치들(101 내지 106)에 상태 정보를 분배하는데 책임이 있다. 장치들(101 내지 106)중 하나가 상태 관리자로서 선택된다. 분배될 상태 정보의 타입에 의존하여, 몇몇 선택들이 이용가능하다. 상태 정보가 버스에 관한 것이라면 , 예를들어 이용가능한 대역폭 또는 채널 할당들이라면, 그때 등시 자원 관리자는 좋은 선택이다. 네트워크 토폴러지 맵을 유지하는 버스 관리자는, 토폴러지 정보가 분배될 것이라면, 상태 관리자로서 또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임의의 장치가, 필요한 수단을 가진다고 가정하여, 상태 관리자로서 동작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장치가 상태 관리자로서 동작할 수 있다면, 등시 자원 관리자 또는 버스 관리자를 선택하는 메커니즘과 유사한 선택 메커니즘(election mechanism)이 이용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500)에서, VCR(105)은 상태 관리자로서 동작한다. 상태 관리자 (105)는 버스상에 등시 상태 채널을 생성하는 상태 채널 생성 모듈(501)을 갖는다. 상태 채널 생성 모듈(501)은, 예를들어 요청시에 또는, 상태 관리자(105)가 파워업 또는 리셋될 때 또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101 내지 106)가 등시 상태 채널로부터 판독할 수 있다는 것이 결정될 때, 상태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결정은, 예를들어,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101 내지 106)가, 하기에 설명된 바와같이, 상태 관리자를 상태 채널상에서 분배될 상태 정보와 접촉시킨다면 이루어질 수 있다. 상태 관리자(105)는 등시 상태 채널상에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상태 전송 모듈(502 )을 더 갖는다. 상태 정보는 전송될 수 있기 전에 어떤 방식으로 인코딩되어야만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상태 정보는 주기적으로 상태 채널상에 전송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분들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전에 전송된 상태 정보에 대한 갱신들은 분리되어 전송될 수 있거나, 또는 갱신된 상태 정보를 전체로서, 즉 갱신 또는 갱신들을 통합하는 원래의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전송될 수 있다. 완전한 상태 정보가 주기적으로 전송되고, 주기들사이에서 수신된 갱신들이 분리되어 전송된다면, 결합이 또한 가능하다. 다음 주기에, 갱신된 상태 정보가 완전하게 전송될 것이다.
등시 상태 채널로부터 상태 정보를 판독하도록, 텔레비젼(102), DVD 플레이어(103), 셋-톱 박스(104) 및, 개인용 컴퓨터(106)는 상태 채널로부터 상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각각의 상태 판독 모듈들(511, 512, 513, 514)을 포함한다. 이것은 상태 채널로부터의 상태 채널 판독 데이터로 탭핑하고, 상태 정보를 얻도록 이 데이터를 디코딩 및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장치들(102, 103, 104, 106)은 상태 채널의 채널 식별자를 먼저 알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식별자를 알기 위해, 장치들은 상태 관리자에게 비동기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이러한 식별자와의 응답을 얻을 수 있다. 대안으로, 장치들은 임의의 상태 정보가 그들중 어느하나에서 발견될 수 있는지를 알기 위해 모든 할당된 채널들을 간단히 스캐닝할 수 있다. 상태 채널은 또한 채널 0 또는 채널 63과 같은 소정의 예비된 채널 식별자를 가질 수 있으며, 이것은 상태 채널로 탭핑하는 것을 매우 용이하게 하며, 또한 상태 채널이 항상 할당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그러나, 이것은 상기 채널 식별자의 표준화를 요구한다.
DVD 플레이어(103)와 개인용 컴퓨터(106)는 상태 정보를 상태 관리자에게 비동기적으로 송신하는 상태 송신 모듈들(515, 516)을 더 포함한다. 이런 방식으로,상태 정보는 등시 상태 채널을 통해 상태 관리자에 의해 분배될 수 있다. 그다음에 , 상태 관리자는 수신확인 메시지를 비동기적으로 반환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는 상태 채널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어, DVD 플레이어(103)와 개인용 컴퓨터 (106)는 상태 정보를 얻기위해 어느 채널로 탭핑해야 하는지를 안다.
상태 정보는 상태 관리자에 직접 이용가능할 수 있다. 예를들어, 버스 관리자가 상태 관리자라면, 토폴러지 맵에의 직접 액세스를 가지며, 이 정보를 어느 때에서 전송할 수 있다. 등시 자원 관리자는 대역폭- 및 채널-관련된 정보에의 직접 액세스를 가지며, 변할 때마다 상태 채널상에 이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그래서 모든 장치들은 이용가능한 대역폭이 변할 때, 채널들이 할당 또는 할당해제될때 등에 알려진다. 등시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장치(101 내지 106)는 등시 자원 관리자(105)에서 어떤 양의 대역폭 및 채널을 먼저 예비해두어야 한다. 상태 채널상에서 이용가능한 대역폭을 방송하는 것은 장치들이 그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요구조건들을 만족하기에 충분한 대역폭이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렇다면, 등시 자원 관리자(105)에게 요청을 송신하며, 할당된 채널을 얻는다. 통상적으로, 장치는 이용가능한 대역폭을 얻기위해 등시 자원 관리자(105)에게 비동기 메시지를 먼저 송신해야 하고, 그다음에 채널 및 어떤 양의 대역폭을 요청하기 위해 제 2 메시지를 송신해야 한다.
다른 타입들의 상태 정보는 다른 장치들로부터 올 수 있다. 통상적으로, 다른 장치(101 내지 106)내의 어떤 기능성을 이용할 필요가 있는 장치(101 내지 106)는 다른 장치(101 내지 106)가 그러한 기능성을 지원하는지를 알기 위해 비동기 메시지들을 이용해야 한다. 이것은 장치 발견 프로세스(Device Discovery Process)라 불린다. 예를들어, 캠코더 (101)가 기록된 무비를 보여주기 위해 텔레비젼(104)을 이용하고자 한다면, 그것이 가능한지를 알기 위해 텔레비젼(104)에게 먼저 질문해야 한다. 그러나, 상태 판독 모듈(511 내지 514)을 가진 장치는 상태 채널로부터 이러한 정보를 간단히 판독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500)내의 장치들(101 내지 106)이 홈 오디오/비디오 상호운용 (HAVi) 표준에 따라 동작한다면, 그때 장치들의 능력들에 대한 정보는 등록부 (registry)에 질문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것은, 능력들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 , 장치에 접촉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통신 시스템(500)에서, 이 장치는 상태 채널을 통해 등록부내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어, 상태 판독 모듈(511 내지 514)을 가진 장치들은 정보를 상태 채널로부터 간단히 판독할 수 있다. 등록부들과의 다른 상효운용 표준들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들에 대해, 동일한 기술이 대역폭을 절약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장치(101 내지 106)는 버스상의 다른 장치들에게 능력들 또는 자원들을 알리기를 원할 수 있다. 장치는 이러한 상태 정보를 상태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한편 상태 관리자는 상태 채널상에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어, 다른 장치들은 장치의 능력들에 대해 알게 된다. 이 목적을 위해, 상태 관리자는 상태 수신 모듈(503)을 더 가지며, 그것으로써 다른 장치로부터 비동기적으로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태 수신 모듈(503)은 상태 전송 모듈(502)에 연결된다. 그다음에, 상태 정보를 수신한 후에, 그리고 가능하면 몇몇 타입의 처리, 갱신 또는, 포맷팅 이후에, 상태 정보는 상태 채널로 통과된다. 상태 관리자는,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태 채널에 대한 식별자를 장치에 반환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장치에는 상태 정보를 얻기위해 어느 채널을 들어야 하는지가 자동적으로 알려진다. 어떤 상태 채널도 즉시 할당되지 않는다면, 상태 관리자는 상태 채널이 생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해 장치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이벤트를 이용할 수 있다. 그다음에, 상태 관리자는 할당된 등시 상태 채널을 갖도록 등시 자원 관리자에게 접촉한다.
상태 정보는, 예를들어 핸드헬드 원격 제어 유닛 또는 무선 전화의 핸드세트인 모바일 장치(520)와, 모바일 장치(520)에 대한 기지국으로서 작용하는 개인용 컴퓨터(106)사이의 부착 레벨의 세기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기지국(106)과 모바일 장치(520)사이의 접속은 통상적으로 무선이며, 예를들어, DECT 기술, 820.11, 하이퍼랜(HIPERLAN) 또는, 적외선 통신을 이용한다. 부착 레벨은 예를들어 개인용 컴퓨터(106)에 의해 수신된 모바일 장치(520)로부터의 신호의 세기이다. 그다음에, 개인용 컴퓨터(106)는 이러한 상태 정보를 상태 관리자에게 송신하기 위해 상태 송신 모듈(516)을 이용하며, 그다음에 상태 관리자는 다른 장치들에게 알려지도록 상태 채널상에 상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하나의 모바일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내에 하나 이상의 기지국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들어 무선 전화에 대한 수신기는 모든 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 경우에, 다른 기지국이 모바일 장치(520)를 제어하는데 더 적합하게 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기지국들은 제 1 표준으로서 모바일 장치(520)와의 접속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다른 기지국이 현재 그 다른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보다 더 좋은 품질의접속을 갖는다는 것이 밝혀지면, 제어는 다른 기지국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대안으로, 현재 제어하고 있는 기지국은 그자신의 접속을 측정할 수 있고 품질이 어떤 레벨이하로 떨어질 때 다른 기지국으로 제어를 이동시킨다.
다른 표준은 기지국들상의 자원들의 이용가능성에 대한 레벨이다. 기지국 (106)이 과도하게 통화중(too busy)이 된다면, 모바일 장치(520)와 상호작용할 때 더 좋은 성능을 이용자가 얻는 것을 보장하도록 모바일 장치(520)에 대한 제어를 다른 장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 기지국에서 다른 기지국으로 모바일 장치들에 대한 제어를 이동시키는 절차는 본 출원과 동일한 출원인에 의한 유럽 특허 출원 제 00201212.8 호(PHNL000193)에 서술되어 있다.
모바일 장치(520)의 기지국(106)에의 부착 레벨의 세기는 상태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다른 기지국들은 이러한 상태 채널로 탭핑할 수 있고 현재의 세기를 알 수 있다. 다른 기지국들은 상태 채널상에 그 자신의 신호 세기를 보고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들은 모바일 장치(520)에 대한 제어를 어느 기지국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장 적합한지를 기지국들사이에서 협의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500)은, 단일 상태 관리자에 의해 또는 서로다른 상태 채널들에 대한 분리된 상태 관리자들에 의해 제어되는, 다중 상태 채널들(multiple status channels)을 또한 이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하나의 상태 채널은 버스상의 이용가능한 대역폭상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상태 채널은 상기에 서술된 바와같이 모바일 장치들상에 정보를 분배하도록 기지국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버스를 경유하여 상호접속된 복수의 장치들(101 내지 106)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500)으로서, 상기 버스는 등시 및 비동기 전송들(isochronous and asynchronous transmissions)을 관리할 수 있는, 상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버스상에 등시 상태 채널을 생성하는 상태 채널 생성 수단(501)을 갖고, 상기 등시 상태 채널상에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상태 전송 수단(502)을 갖는 상태 관리자(status manager)(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5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관리자(105)는, 비동기적으로 상기 복수의 장치들로부터의 장치 (103, 106)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등시 상태 채널상에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상태 전송 수단(502)에 연결된 상태 수신 수단(503)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50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관리자(105)는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등시 상태 채널에 대한 식별자를 상기 장치(103, 106)에 송신하도록 더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50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장치들로부터의 장치(102, 103, 104, 106)는 상기 등시 상태 채널로부터 상기 전송된 상태 정보를 판독하는 상태 판독 수단(511 내지 51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500).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장치들로부터의 장치(103, 106)는 상기 상태 관리자(105)에게 상태 정보를 비동기적으로 송신하는 상태 송신 수단(515, 51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500).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통신 시스템(500)의 네트워크 토폴러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500).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통신 시스템(500)내의 장치(101 내지 106)의 성능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500).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버스상의 이용가능한 대역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500).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통신 시스템(500)내의 기지국 장치(106)와 모바일 장치(520)사이의 부착 레벨의 세기(strength of a level of attachment)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500).
  10. 제 1 항의 통신 시스템(500)내의 상태 관리자로서의 이용을 위한 장치(105)에 있어서,
    등시 상태 채널을 상기 버스상에 생성하는 상태 채널 생성 수단(501)과, 상기 등시 상태 채널상에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상태 전송 수단(5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내의 상태 관리자로서의 이용을 위한 장치(105).
  11. 제 1 항의 통신 시스템(500)에서의 이용을 위한 장치(102, 103, 104, 106)에 있어서,
    상기 등시 상태 채널로부터 상기 전송된 상태 정보를 판독하는 상태 판독 수단(511 내지 5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용을 위한 장치(102, 103, 104, 106).
KR1020027005172A 2000-08-23 2001-08-13 통신 시스템 및 디바이스 KR100818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202949.4 2000-08-23
EP00202949 2000-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169A true KR20020044169A (ko) 2002-06-14
KR100818069B1 KR100818069B1 (ko) 2008-04-01

Family

ID=8171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5172A KR100818069B1 (ko) 2000-08-23 2001-08-13 통신 시스템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107372B2 (ko)
EP (1) EP1224770B1 (ko)
JP (1) JP4731096B2 (ko)
KR (1) KR100818069B1 (ko)
CN (1) CN100420211C (ko)
AT (1) ATE343278T1 (ko)
DE (1) DE60123915T2 (ko)
ES (1) ES2272541T3 (ko)
WO (1) WO200201756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9948B2 (en) 2004-05-13 2012-01-03 Qualcomm Incorporated Header compression of multimedia data transmitted ove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370902B1 (ko) * 2007-05-22 2014-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bs 수신 방법 및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71248B2 (en) * 2001-09-29 2005-03-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sochronous transactions for interconnect busses of a computer system
US7028132B2 (en) * 2001-09-29 2006-04-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tributed peer-to-peer communication for interconnect busses of a computer system
KR100437797B1 (ko) * 2002-04-01 2004-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관리기 지정방법
CN1628299A (zh) * 2002-06-19 2005-06-15 诺基亚有限公司 依据上下文相关信息生成移动主页的方法和设备
DE10239934B4 (de) * 2002-08-30 2006-08-31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zur Steuerung der Dienstbelegung in einem Datenbussystem
DE10243850A1 (de) * 2002-09-20 2004-04-01 Siemens Ag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Datentelegrammen in einem geschalteten, zyklischen Kommunikationssystem
KR100935046B1 (ko) * 2002-10-19 2009-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방송의 이벤트 공유장치 및 방법
EP1667374B1 (en) 2004-12-03 2011-09-21 Sony Corporation Apparatus connection interface,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pparatus control system
CN100361113C (zh) * 2005-02-05 2008-01-09 上海微电子装备有限公司 步进扫描投影光刻机的高速同步广播总线系统
US7387755B2 (en) * 2005-03-21 2008-06-17 Praxair Technology, Inc. Method of making a ceramic composite
JP2007156512A (ja) * 2005-11-30 2007-06-21 Brother Ind Ltd 状態情報取得処理プログラム、状態情報取得装置、および状態情報取得システム
US9438436B2 (en) * 2006-08-14 2016-09-06 Alcatel Lucent Broadcast anchor availability indication
CN101127755B (zh) * 2006-08-15 2010-05-26 深圳洪迪实业有限公司 实时视频图像传输方法及系统
JP2010517396A (ja) * 2007-01-29 2010-05-20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ネットワークコンポーネント、このようなネットワークコンポーネントを作動させるための方法、このようなネットワークコンポーネントを有する自動化システム、このようなネットワークコンポーネントを用いて自動化システム内でデータ通信するための方法、対応す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US8788076B2 (en) 2007-03-16 2014-07-22 Savant Systems, Llc Distributed switching system for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ler
EP2189008A4 (en) * 2007-09-13 2013-10-23 Ant Advanced Network Technologies Oy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REAL-TIME COLLECTION OF MULTI-CHANNEL DIGITAL AUDIO
CN101257770B (zh) * 2008-04-16 2011-06-22 汕头超声印制板公司 一种在印制电路板上嵌入散热片的制作方法
WO2013141541A1 (en) 2012-03-18 2013-09-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system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710410B2 (en) * 2013-10-31 2017-07-18 Qualcomm Incorporated Camera control slave devices with multiple slave device identifier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0802A (en) * 1992-11-02 1996-08-27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Data communication network with management port for isochronous switch
DE69531014T2 (de) * 1994-03-09 2004-05-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Datenübertragungssystem und Verfahren
US5835498A (en) * 1995-10-05 1998-11-10 Silicon Image, Inc.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multiple data signals over a serial link
US5963202A (en) * 1997-04-14 1999-10-05 Instant Video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and managing digital video information in a video distribution network
US6160796A (en) * 1998-01-06 2000-12-12 Sony Corporation Of Japan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device identification and status information after a local bus reset within a home audio/video network
US6678769B1 (en) * 1998-02-24 2004-01-13 Canon Kabushiki Kaisha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logical connection between source and destination nodes
JP3171241B2 (ja) * 1998-03-06 2001-05-28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方法
US6272546B1 (en) * 1998-03-12 2001-08-07 Sony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aging resource allocation and bandwidth overflow in a cooperative,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JP2000151641A (ja) * 1998-11-13 2000-05-30 Sony Corp 伝送制御方法及び伝送装置
US6452935B1 (en) * 1998-11-25 2002-09-17 Sony Corporation Stream allocation in home networks
JP2000196624A (ja) * 1998-12-28 2000-07-14 Pioneer Electronic Corp 伝送管理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伝送システム
WO2000039964A1 (en) * 1998-12-29 2000-07-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Home control system with distributed network devices
JP2000341302A (ja) * 1999-05-27 2000-12-08 Sony Corp 電子機器
JP3152233B2 (ja) * 1999-11-17 2001-04-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ータ伝送方法
JP4143951B2 (ja) * 2000-06-30 2008-09-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機器制御方法
US6820150B1 (en) * 2001-04-11 2004-11-16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quality-of-service delivery facilities over a bu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9948B2 (en) 2004-05-13 2012-01-03 Qualcomm Incorporated Header compression of multimedia data transmitted ove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55059B2 (en) 2004-05-13 2014-10-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on of information to channels of a communication system
US9717018B2 (en) 2004-05-13 2017-07-25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ation of audio and video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034198B2 (en) 2004-05-13 2018-07-24 Qualcomm Incorporated Delivery of information over a communication channel
KR101370902B1 (ko) * 2007-05-22 2014-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bs 수신 방법 및 제공 방법
US9363787B2 (en) 2007-05-22 2016-06-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and providing multicast broadcasting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8069B1 (ko) 2008-04-01
ES2272541T3 (es) 2007-05-01
EP1224770B1 (en) 2006-10-18
EP1224770A1 (en) 2002-07-24
JP2004507931A (ja) 2004-03-11
CN100420211C (zh) 2008-09-17
WO2002017566A1 (en) 2002-02-28
US20020083245A1 (en) 2002-06-27
ATE343278T1 (de) 2006-11-15
JP4731096B2 (ja) 2011-07-20
DE60123915T2 (de) 2007-06-14
US7107372B2 (en) 2006-09-12
CN1394412A (zh) 2003-01-29
DE60123915D1 (de)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8069B1 (ko) 통신 시스템 및 디바이스
EP1330895B1 (en) Bridging system for interoperation of remote groups of devices
JP3442593B2 (ja) ネットワーク接続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
KR100275707B1 (ko) 홈네트웍 시스템 및 그 노드 아이디 할당방법
US7865184B2 (en) Method for managing hidden stations in a centrally controlled network
US6816477B1 (en) Transmission method in a domestic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wireless channel
KR100914707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긴급 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디바이스
EP2108234A2 (en) A method for transmitting a data packet and a method of allocating a channel in a wireless network
US6738816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liable real-time communications among a plurality of nodes having functions conforming to IEEE-1394 serial bus and participating in a session of sharing the maximum bandwidth
JP2001306428A (ja) ネットワーク機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記録媒体
US7187655B1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6272114B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such apparatus/method
US20020097738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JPH11331228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通信方法
WO1999038290A1 (fr) Procede et appareil de commande, systeme de communication sans fil, et support accessible par ordinateur
KR100985745B1 (ko) 직렬 통신 버스용 데이터 링크 레이어 디바이스
JP2003229857A (ja) シリアルバスシステム、シリアルバスの帯域管理機器および通信機器
JPH10178441A (ja) 通信システム
JP2005167800A (ja) データ通信装置
JP2000209221A (ja) 無線通信方法及び該方法を実施する無線通信端末及び該方法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媒体
JP2004072634A (ja) データ通信装置およびデータ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