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3442A - 스피닝릴 - Google Patents

스피닝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3442A
KR20020043442A KR1020010073621A KR20010073621A KR20020043442A KR 20020043442 A KR20020043442 A KR 20020043442A KR 1020010073621 A KR1020010073621 A KR 1020010073621A KR 20010073621 A KR20010073621 A KR 20010073621A KR 20020043442 A KR20020043442 A KR 20020043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state
lever
rotor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5314B1 (ko
Inventor
이쿠타타케시
Original Assignee
시마노 요조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6813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17188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71102A external-priority patent/JP446275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96134A external-priority patent/JP3736792B2/ja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요조,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시마노 요조
Publication of KR20020043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3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3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5Brakes connected to the spool by one-way clutc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레버 브레이크형의 스피닝 릴에 있어서, 제동 조작에 사용되는 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을 낚싯대로부터 떼지 않고 원활하게 규제 조작을 행하도록 한다.
[해결 수단] 레버 브레이크식 스피닝 릴에서 제1 조작부(21c)를 구비하는 제동 레버(21)와, 제1 조작부(21c)와 대향하여 배치된 제2 조작부(26a)를 구비하는 보조 레버(22)를 설치하고 제1 조작부(21c)의 끌어들임 조작에 의해 제동 레버(21)를 동작시켜 제동부(20)의 제동력을 증가시키고, 제2 조작부(26a)의 밀어넣음 조작에 의해 보조 레버(22)를 동작시켜 제동 해제 상태로부터 소정의 제동 상태로 규제 상태를 전환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스피닝 릴{Spinning Reel}
본 발명은, 스피닝 릴, 특히, 낚싯대에 장착되어 낚싯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축 주위에 낚싯줄을 권취하는 레버 브레이크형 스피닝 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닷 낚시를 하는 경우, 원거리 투척 성능을 향상시키고, 경계심이 강한 물고기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비교적 가는 실이 사용된다. 이러한 가는 실은 꼬이기 쉽기 때문에, 제동 레버(제동력 조정 조작부의 일례)에 의해 로터가 제동 조작되는 역전 제동 기구를 가지는 레버 브레이크형의 스피닝 릴이 종종 사용된다. 레버 브레이크형의 스피닝 릴은, 로터를 장력에 따라 역전시켜 물고기와 간단하게 릴링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런 종류의 레버 브레이크 형태의 스피닝 릴에 있어서, 제동 상태가 해제되는 중립 위치와, 중립 위치보다 낚싯대로부터 이반(離反)되어 소정의 제동 상태를 유지하는 제동 위치 사이에 제동 레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스피닝 릴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역전 제동 기구뿐만 아니라 역전 방지 기구를 구비하는 것에서는, 제동 상태가 해제되고 역전이 허용되는 중립 위치와, 중립 위치보다 낚싯대로부터 이반하여 제동 상태가 해제되고 역전이 금지되는 역전 방지 위치 사이에 제동 레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스피닝 릴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스피닝 릴에서는, 물고기와 릴링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제동 레버로 제동 조작을 한다. 이 제동 조작을 할 때에는, 예를 들어 집게 손가락의 배부분으로 제동 레버의 선단 하면을 장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끌어들인다. 한편, 낚싯대에 끌어당기는 액션을 더하거나 낚시대에 걸린 물고기를 옥망(玉網)에 잡아 넣거나 낚시터를 이동할 때 등에는, 규제 조작에 의해 로터가 실 풀어내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한다. 규제 조작을 할 때에는, 손가락의 등부분으로 제동 레버의 선단으로부터 기단측의 상면을 밀어넣어 규제 상태로 한다. 규제 상태를 해제할 때에는, 제동 레버의 선단을 조금 끌어들이는 조작을 하면 좋다. 이러한 제동 레버의 조작에 의해 규제 상태의 전환 조작을 할 수 있으므로, 낚싯대를 파지하고 있는 한 손으로 손을 떼어 놓는 일 없이 역전 제동 기구나 역전 방지 기구 등의 역전 규제 기구의 전환 조작을 행할 수 있고, 규제 조작이 용이해 진다.
전술한 종래의 구성에서는, 규제 조작은, 제동 레버의 선단으로부터 기단측의 상면을 중지로 밀어넣는 동작으로 행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규제 조작을 할 때, 제동 조작에 사용하는 이외의 손가락, 예를 들어 낚싯대를 파지하고 있는 손의 중지가 낚싯대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중지가 낚싯대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옥망에 물고기를 잡아 넣기 위해서 규제 조작을 할 때에는, 부하가 걸린 낚싯대를 파지하는 힘이 규제 조작을 하는 순간에 약해진다. 낚싯대를 파지하는 힘이 약해지면, 낚싯대가 안정되지 않게 되어 물고기를 잘 잡아서 넣을 수 없게 되는 우려가 있다.
중지를 낚싯대로부터 떼어 놓지 않게 하기 위해서, 제동 레버의 선단의 상면측을 제동 레버를 조작하기 위한 집게 손가락으로 밀어넣어 조작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그러나 규제 조작시에 집게 손가락을 하면측으로부터 상면 측에 제동 레버를 벌려서 이동시키지 않으면 안되어, 규제 조작을 원활히 수행하기가 어렵다. 게다가, 제동 레버의 선단과 낚싯대와의 사이에 집게 손가락을 넣기 위한 틈새가 필요하게 되어, 제동 레버가 장착부로부터 한층 더 이반하고, 규제 위치도 그것에 따라 이반하기 때문에 규제 조작을 하기가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레버 브레이크 형태의 스피닝 릴에 있어서, 제동 조작에 사용하는 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을 낚싯대로부터 떼어 놓는 일 없이 원활히 규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피닝 릴의 측면 단면도.
도2는 도1의 II-II선을 따라 본 단면도.
도3은 제동 해제 상태에 있어서의 각 레버와 제동 원통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
도4는 소정의 제동 상태에 있어서의 각 레버와 제동 원통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
도5는 제동 상태에 있어서의 각 레버와 제동 원통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
도6a 및 도6b는 제동 해제 상태와 소정의 제동 상태에서의 제2 레버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7a 및 도7b는 제2 실시예의 도6a 및 도6b에 상당하는 도면.
도8은 제3 실시예의 도1에 상당하는 도면.
도9는 제4 실시예의 도2에 상당하는 도면.
도10은 제5 실시예의 도1에 상당하는 도면.
도11은 제5 실시예의 도2에 상당하는 도면.
도12는 제5 실시예의 도3에 상당하는 도면.
도13은 제5 실시예의 도4에 상당하는 도면.
도14는 제5 실시예의 도5에 상당하는 도면.
도15a 및 도15b는 제5 실시예의 도6a 및 도6b에 상당하는 도면.
도16a 및 도16b는 제5 실시예의 제동 해제 상태와 소정의 제동 상태에서의 제1 레버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17a 및 도17b는 제6 실시예의 도6a 및 도6b에 상당하는 도면.
도18a 내지 도18c는 제7 실시예의 도3 내지 도5에 상당하는 도면.
도19a 및 도19b는 제7 실시예의 도6a 및 도6b에 상당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릴 본체2a:릴 몸체
2c:장착부3:로터
4:스풀6:레버 브레이크 기구
20:제동부21, 91:제동 레버
21a, 91a:조작부21b, 91b:제동 작용부
21c, 91c:제1 조작부22:보조 레버
23:코일 스프링24, 83:토글 스프링
26a, 91e:제2 조작부26b:제3 조작부
80:역전 방지 기구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의한 스피닝 릴은, 낚싯대에 장착되어 낚싯대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축 주위에 낚싯줄을 감아 꺼내는 릴에 있어서, 릴 본체, 로터, 스풀, 제동 수단, 회전 규제 수단, 조작 수단, 및 위치 유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릴 본체는, 낚싯대에 장착되는 장착부, 장착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릴 몸체, 장착부와 릴 몸체를 연결하는 다리부를 포함한다. 로터는, 릴 몸체의 앞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은, 로터의 앞부분에서 릴 본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로터에 의해 외주면에 낚싯줄이 감기는 것이다. 제동 수단은, 로터가 실이 풀려 나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동할 수 있는 수단이다. 회전 규제 수단은, 로터의 회전에 대해서 제1 규제 상태와 제1 규제 상태와 규제 상태가 다른 제2 규제 상태를 취할 수 있는 수단이다. 조작 수단은, 장착부와 접리(接離)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릴 본체에 설치되고, 제1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조작부, 및 제1 조작부에 대향해 제1 위치에서 장착부로부터 이반하는 제2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조작부를 구비하며, 제1 조작부를 제1 위치로부터 장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조작하면 제동 수단에 의한 제동력이 증가하고, 제2 조작부를 제2 위치에 배치하면 회전 규제 수단을 제1 규제 상태로 하며, 제2 조작부를 제2 위치로부터 제2 위치보다 장착부로부터 이반하는 제3 위치로 조작하면 제2 규제 상태로 하는 수단이다. 위치 유지 수단은, 제2 조작부가 제2 위치와 제3 위치에 각각 배치되도록 조작 수단을 유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스피닝 릴에서는, 제1 조작부를 제1 위치로부터 장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끌어들이는 조작을 하면, 로터가 실이 풀려 나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대한 제동 수단의 제동력이 증가한다. 또한, 제1 조작부를 조작하지 않고 제1 위치에 유지하면 회전 규제 수단에 의해 로터가 제1 규제 상태로 규제된다. 또한, 제1 조작부와 대향하여 배치된 제2 조작부를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에 밀어넣는 조작을 하면, 회전 규제 수단에 의해 로터가 제2 규제 상태로 규제되는 한편 그 위치에서 유지된다. 여기에서는, 두 개의 조작부를 장착부와 접리하는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하고 있으므로, 제1 조작부를 조작하는 같은 손가락의 등 부분으로 제2 조작부를 밀어넣는 조작을 하여 규제 상태를 전환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제동 조작을 하는 손가락으로 규제 전환 조작을 할 수 있으므로, 다른 손가락을 낚싯대로부터 떼어 놓을 필요가 없어지고, 규제 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위치나 제3 위치로 제2 조작부를 배치하면 위치 유지 수단에 의해 손을 떼어 놓아도 그 위치에서 유지되므로, 규제 상태를 지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은, 상기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의한 릴에 있어서, 조작 수단이, 선단에 제1 조작부 및 제2 조작부를 가지고 릴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조작부가 제1 위치로부터 장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되면 제동 수단에 의한 제동력이 증가하는 제1 조작 수단 및 제1 조작 수단에 연동하여 요동하고, 제1 조작부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회전 규제 수단을 제1 규제 상태로 하며, 제2 조작부가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조작되면 제2 규제 상태로 하는 제2 조작 수단을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제1 조작 수단의 제1 조작부를 제1 위치로부터 끌어들이는 조작을 하여 장착부로 접근시키면, 제동력이 서서히 증가한다. 또한, 제1 조작 수단의 제2 조작부를 제2 위치로부터 밀어넣는 조작을 하여 장착부로부터 이반하는 제3 위치로 조작하면, 규제 상태가 제2 규제 상태로 된다. 여기에서는, 하나의 제1 조작 수단에 설치된 두 개의 조작부를 같은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것으로서 제동 조작과 규제 전환 조작을 같은 손가락으로 할 수 있으므로, 다른 손가락을 낚싯대로부터 떼어 놓을 필요가 없어져, 규제 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은, 상기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의한 릴에 있어서, 위치 유지 수단이, 제2 조작부가 제2 위치와 제3 위치에 각각 배치되도록 제1 조작 수단을 유지한다. 이 경우에는, 양조작부를 가지는 제1 조작 수단을 유지해 제2 조작부를 제2 위치와 제3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은, 본 발명의 상기 제1 특징에 의한 릴에 있어서, 조작 수단이, 선단에 제1 조작부를 가지고 릴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조작부가 제1 위치로부터 장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되면 제동 수단에 의한 제동력이 증가하는 제1 조작 수단 및 선단에 제2 조작부를 가지고 릴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 조작부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회전 규제 수단을 제1 규제 상태로 하며, 제2 조작부가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조작되면 제2 규제 상태로 하는 제2 조작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조작부에 의해 제1 위치로부터 장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끌어들이는 조작을 하면, 로터가 실이 풀려나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대한 제동 수단의 제동력이 증가한다. 또한, 제2 조작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하면 회전 규제 수단에 의해 로터가 제1 규제 상태로 규제되어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에 밀어넣는 조작을 하면, 회전 규제 수단에 의해 로터가 제2 규제 상태로 규제된다. 여기에서는, 제1 조작부를 손가락의 배 부분으로 끌어들이는 조작을 하는 것에 의해 로터를 제동하고, 제1 조작부에 대향해 배치된 제2 조작부를 같은 손가락의 등부분으로 밀어넣는 조작을 함으로써 제1 규제 상태로부터 제2 규제 상태로의 전환 조작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동 조작과 규제 조작을 같은 손가락으로 할 수 있으므로, 다른 손가락을 낚싯대로부터 떼어 놓을 필요가 없어져, 규제 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조작부 및 제2 조작부를 각각 별개로 가지는 제1 및 제2 조작 수단에 의해 제동 조작과 회전 규제 조작을 별개로 할 수 있으므로, 오조작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은, 본 발명의 상기 제4 특징의 릴에 있어서, 위치 유지 수단은, 제2 조작부가 제2 위치와 제3 위치와 배치되도록 제2 조작 수단을 유지한다. 이 경우에는, 제2 조작부를 가지는 제2 조작 수단을 유지하여 제2 조작부를 제2 위치와 제3 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은, 본 발명의 상기 제4 또는 제5특징의 릴에 있어서, 제3 위치에 제2 조작부가 배치되었을 때, 제2 조작부가, 제1 조작부가 제1 위치로부터 장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되면 제1 조작 수단에 연동하여 제2 위치로 복귀한다. 이 경우에는, 제동 조작이 되면, 제2 규제 상태로부터 제1 규제 상태로 전환되므로, 제1 규제 상태가 규제 해제 상태인 경우, 제동 조작에 연동하여 규제 상태로부터 규제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고, 전환 조작을 별도로 할 필요가 없어진다.
본 발명의 제7 특징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은, 본 발명의 상기 제4 또는 제5 특징의 릴에 있어서, 제2 조작 부재는, 제2 조작부보다 요동 중심 측에 배치된 제3 조작부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제2 조작 부재에 있어서, 제2 조작부 및 제3 조작부의 두 개의 조작부를 제공했으므로, 두 개의 조작부를 임의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낚싯대에 하중이 작용하고 있을 때는 제1 조작부에서 예를 들어, 집게 손가락에 의한 규제 조작을 하면, 낚싯대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팔을 뻗어 낚싯대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제3 조작부에서 예를 들어, 중지에 의한 규제 조작을 하면, 규제 조작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낚시의 상황에 맞추어, 낚싯대를 안정되게 지지하거나 규제 조작을 쉽게 하거나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8 특징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은, 본 발명의 상기 제1 특징의 릴에 있어서, 제1 규제 상태는 제2 규제 상태보다 규제가 약한 상태이다. 이 경우에는, 제2 위치에서 규제가 약해지고, 제3 위치에서 규제가 강해진다. 이 때문에, 제1 조작부를 제1 위치로부터 장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제동력이 강해지고, 제2 조작부를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조작하면 규제가 강해져, 제2 위치(제1 위치)를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조작하면 제동력 또는 규제가 강해진다.
본 발명의 제9 특징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은, 본 발명의 상기 제8 특징의 릴에 있어서, 제1 규제 상태는, 회전 규제 수단에 의한 규제를 해제하는 상태이다. 이 경우에는, 제2 조작부를 제2 위치에 배치하면 규제가 해제되므로, 아무것도 조작하지 않으면 규제가 해제되고 로터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특징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은, 본 발명의 상기 제8 특징의 릴에 있어서, 제2 규제 상태를 조정할 수 있는 규제 상태 조정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에는, 제2 규제 상태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낚싯찌의 무게나 낚싯대의 굵기에 따라 제2 규제 상태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 특징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은, 본 발명의 상기 제1 특징의 릴에 있어서, 제2 규제 상태는 제1 규제 상태보다 규제가 약한 상태이다. 이 경우에는, 제3 위치에서의 규제가 약해지고, 제2 위치에서의 규제가 강해진다. 이 때문에, 제1 조작부를 제1 위치로부터 장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제동력이 강해지고, 제2 조작부를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조작하면 규제가 약해져서, 규제 상태 및 제동력이 강해지는 방향이 동일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2 특징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은, 본 발명의 상기 제11 특징의 릴에 있어서, 제2 규제 상태가, 회전 규제 수단에 의한 규제를 해제하는 상태이다. 이 경우에는, 제2 조작부를 제2 위치에 배치하면 규제가 해제되므로, 아무것도 조작하지 않으면 제1 규제 상태에 로터가 규제되고, 제3 위치로 조작하면 규제가 해제되고 로터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3 특징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은, 본 발명의 상기 제2 특징의 릴에 있어서, 제동 수단은, 상기 로터가 실이 풀려 나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만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동 부재를 구비하고, 제1 조작 수단은, 기단에 제동 부재에 접촉 가능한 제동 작용부를 구비하며, 제1 위치에 배치된 제1 조작부를 장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제동 작용부가 제동 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로터가 제동된다. 이 경우에는, 제1 조작 수단이 로터가 실이 풀려 나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만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동 부재에 직접 작용하므로, 제동력을 조정하기 쉽다.
본 발명의 제14 특징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은, 본 발명의 상기 제13 특징의 릴에 있어서, 회전 규제 수단은 제동 수단과 겸용되고, 제2 조작 수단이 제동 부재에 접촉하면 로터가 제동되고 제1 또는 제2 규제 상태로 된다. 이 경우에는, 회전 규제 수단과 제동 수단이 겸용되므로, 장치의 구성이 간소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5 특징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은,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릴에 있어서, 회전 규제 수단은, 로터의 역전을 허가하는 제1 규제 상태와 로터의 역전을 금지하는 제2 규제 상태를 취할 수 있는 역전 방지 수단이다. 이 경우에는, 로터의 역전을 금지 할 수 있으므로, 수초 등에 걸렸을 때에 낚싯줄을 절단하기가 쉬워진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1.전체 구성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피닝 릴은, 핸들(1)을 구비한 릴 본체(2), 릴 본체(2)의 앞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로터(3), 로터(3)의 앞부분에 배치되고 낚싯줄을 권취하는 스풀(4)을 가지고 있다.
릴 본체(2)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또는 금속으로 제작된다. 릴 본체(2)는, 낚싯대에 장착되며 전후로 기다란 장착부(2c), 장착부(2c)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릴 몸체(2a), 장착부(2c)와 릴 몸체(2a)를 연결하는 다리부(2b)를 가지고 있다. 릴 몸체(2a)의 내부에는, 로터(3)을 회전시키기 위한 로터 구동 기구(5), 로터(3)가 실이 풀어나가는 방향으로 회전(역전)하는 것을 제동하기 위한 레버 브레이크 기구(6) 및 스풀(4)을 회전축(X)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4)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권취하기 위한 요동 기구(7)가 설치되어 있다.
로터(3)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또는 금속으로 제작되고,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터(3)는, 원통부(3a), 원통부(3a)의 측방에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된 제1 암부(3b) 및 제2 암부(3c)를 가지고 있다. 원통부(3a)의 전면 벽(3d)의 중앙부에는 관통공(3e)을 가지는 보스부(3f)가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3e)에 스풀 축(8) 및 피니언 기어(12; 후술함)가 관통하고 있다. 제1 암부(3b)의 선단과 제2 암부(3c)의 선단부에는, 베일 암(9)이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베일 암(9)에 의해 낚싯줄을 스풀(4)에 안내한다.
스풀(4)은 예를 들어, 금속으로 제작되고, 로터(3)의 제1 암부(3b)와 제2 암부(3c)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풀(4)은 스풀 축(8)의 선단에 착탈 가능하고,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4)은, 외주에 낚싯줄이 감겨지는 실감김부(4a), 실감김부(4a)의 뒷부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스커트부(4b) 및 실감김부(4a)의 전단에 고정된 플랜지부(4c)를 가지고 있다. 스풀 축(8)은, 요동 기구(7)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로터 구동 기구(5)는, 핸들(1)이 고정된 핸들축(10)과 함께 회전하는 마스터 기어(11)와 상기 마스터 기어(11)에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핸들축(10)은,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앞부분(12a)는 로터(3) 중심부를 관통해 스풀(4) 측으로 연장하고 있다. 이 앞부분(12a)에서, 로터(3)는 너트(13)에 의해 피니언 기어(12)에 회전 불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중간부와 뒷부분에서 베어링(14, 15)에 의해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2.레버 브레이크 기구의 구성
도1 내지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레버 브레이크 기구(6)는 제동부(20), 제동부(20)를 제동 조작하기 위한 제동 레버(21; 제1 조작 수단의 일례), 제동부(20)를 소정의 제동 상태로 조작하기 위한 보조 레버(22; 제2 조작 수단의 일례), 제동 레버(21)를 장착부(2c)로부터 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코일 스프링(23), 및 보조 레버(22)를 제동 해제 위치와 소정의 제동 위치에서 유지하는 토글 스프링(24)을 가지고 있다.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동부(20)는 제동 레버(21)에 의해 제동되는 제동부 본체(31)와, 로터(3)가 실이 풀어나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만 연동하여 제동부 본체(31)를 회전시키는 단방향 클러치(32)를 가지고 있다.
제동부 본체(31)는, 로터(3)의 내주 측에 로터(3)와 동심에 배치된 제동 원통부(40), 제동 원통부(40)를 경사 운동은 가능하게 하는 한편 회전은 불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원통부(41), 및 릴 몸체(2a)에 설치된 원호상의 돌출부(42)를 가지고 있다.
제동 원통부(40)는 밑바닥이 얇은 원통 형상의 금속제 원통이고, 그 둘레부의 선단의 주접부(40a; 周接部)는 외주측에 배치된 돌출부(42)와 내주측에 배치된 제동 레버(21)의 압접부(21d; 후술함)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동 레버(21)의 압접부(21d)와 다른 둘레 방향 위치에서 주접부(40a)의 내주측에 보조 레버(22)의 압접부(27a; 후술함)가 배치되어 있다. 제동 원통부(40)는 그 중심부에 톱니 형상의 내부 기어부(도시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회전 원통(41)은, 대경부(41a)와 소경부(41b)를 가지는 계단식의 금속제 원통 부재이고, 내부 기어부에 치합되는 외부 기어부(도시하지 않음)가 대경부(41a)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 기어부에 단방향 클러치(32) 및 제동 원통부(40)가 회전 불가능하도록 계지되어 있다. 대경부(41a)의 안쪽에는, 피니언 기어(12)와의 사이에 베어링(43)이 배치되어 있다. 소경부(41b)의 외측에는 릴 몸체(2a)와의 사이에 베어링(44)이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전 원통(41)은, 앞부분이 베어링(43)에 의해 피니언 기어(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뒷부분이 베어링(44)에 의해 릴 몸체(2a)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 원통(41)은 단방향 클러치(32)에 의해 로터(3)의 실 풀어 내는 방향의 회전과 일체로 회전하고, 권취할 때에는 로터(3)의 회전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로터(3)에 연결되어 있다.
제동 원통부(40)과 단방향 클러치(32)와의 사이에는 경사 운동한 제동 원통부(40)를 원래의 자세로 복귀시키기 위한 원추 코일 스프링(45)이 배치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돌출부(42)에는, 원호상의 합성 수지제의 제동 슈(42a)가 장착되어 있다. 단방향 클러치(32)는 외륜유전형(外輪遊轉型)이고, 로터(3)의 원통부(3a)의 내주면에 회전 불능하도록 외륜이 연결되고, 내륜은 회전 원통(41)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동 레버(21)는, 릴 본체(2)에 장착되어 있는 지지축(33)에 의해 릴 본체(2)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동 레버(21)는, 코일 스프링(23)에 의해 장착부(2c)와 이반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제동 레버(21)는, 도3에 도시되어 있는 제동 해제 위치와 제동 해제 위치보다 장착부(2c)에 더 접근한 도5에 도시되어 있는 제동 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도록 릴 본체(2)에 장착되어 있다.
제동 레버(21)는, 지지축(33)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으로부터 만곡하여 전방으로 연장하는 제동 조작부(21a)와 지지 부분으로부터 만곡하여 기울어져서 전하방(前下方)으로 연장하는 제동 작용부(21b)를 가지고 있다. 제동 조작부(21a)는, 지지 부분으로부터 장착부(2c)를 따라 베일 암(9)의 바깥쪽 부근까지 전방으로 연장한 후, 직경 방향 바깥쪽을 향해 연장하여 선단이 전방을 향해 더욱 만곡한 형상이다. 이 만곡 부분부터 전방이 낚싯대를 파지하는 손의 집게 손가락으로 조작가능한 제1 조작부(21c)가 되어 있다. 제1 조작부(21c)는, 제동 레버(21)의 요동에 의해 도1에 도시되어 있는 제1 위치로부터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동 조작부(21a)는, 다리부(2b)로부터 전방 부분으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부분까지 폭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광폭 부분에는, 대략 장방형의 개구(21e)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21e)로부터 후술하는 보조 레버(22)의 조작 부재(26)가 상방 및 전방으로 노출되어 있다.
제동 작용부(21b)의 선단은, 제동부(20)의 내주측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거기에는,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동부(20)에 접촉 가능한 압접부(21d)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압접부(21d)는 합성 수지로 제작되고, 제동 레버(21)의 요동에 의해 제동부(20)를 바깥쪽에 배치된 릴 본체(2) 쪽으로 압압한다. 아무 것도 조작되지 않으면, 제동 레버(21)는 코일 스프링(23)에 의해 압박되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 해제 위치에 배치되어 압접부(21d)가 제동부(20)으로부터 이반하고 있다.
보조 레버(22)는, 도3 및 도5에 도시된 제동 해제 상태와 도4에 도시된 소정의 제동 상태간에 로터(3)를 전환하는 규제 조작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제동 해제 상태가 제1 규제 상태에 해당하고, 소정의 제동 상태가 제2 규제 상태에 해당한다. 보조 레버(22)는, 도3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조작부(26a; 후술함)가 장착부(2c)에 접근하는 제2 위치에 배치되는 제동 해제 위치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조작부(26a)가 장착부(2c)로부터 이반한 제3 위치에 배치되는 소정의 제동 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한다. 보조 레버(22)는, 도2 및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33)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릴 본체(2)에 지지된 제1 레버 부재(25)와 제1 레버 부재(25)와 연동하여 요동하는 제2 레버 부재(27)를 가지고 있다.
제1 레버 부재(25)는, 제동 레버(21)의 측면 중 도3의 전측면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1 레버 부재(25)는, 지지 부분으로부터 제동 레버(21)를 따라 상전방 및 하전방으로 연장하는 레버 본체(25a) 및 상기 레버 본체(25a)의 상방에서 연장하는 선단에 나사(29)에 의해 고정된 조작 부재(26)를 가지고 있다. 레버 본체(25a)의 선단은 제동 레버(21)의 제동 조작부(21a)의 광폭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지지 부분으로부터 경사져서 전하방으로 연장하는 레버 본체(25a)의 기단은, 제동부(20)의 후방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레버 본체(25a)의 기단측에는, 제2 레버 부재(27)의 선단이 계지되는 장방형의 계지공(25c)이 형성되어 있다. 계지공(25c)은, 제2 레버 부재(27)의 선단부의 횡단면적보다 큰 면적의 장방형 구멍이다.
조작 부재(26)는, 선단에 제2 조작부(26a)를 구비하고, 기단측(도3 우측)에 제3 조작부(26b)를 가지고 있다. 제2 조작부(26a)는, 장착부(2c)로부터 이반하는 측에 제1 조작부(21c)와 대향해 배치되고, 제3 조작부(26b)는 제동 레버(21)의 제1 조작부(21c)보다 기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조작부(26a)는 낚싯대를 잡는 손의 집게 손가락으로 밀어넣는 조작을 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3 조작부(26b)는 낚싯대를 파지하는 손의 중지로 밀어넣는 조작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제1 조작부(21c)와 제2 조작부(26a)는, 같은 손가락으로 끌어 넣는 조작을 하거나밀어 넣는 조작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조작부(26a)는, 보조 레버(21)의 요동에 의해 도1 및 도3에 도시된 제2 위치 내지 도4 및 도5에 도시된 제3 위치에 배치된다.
조작 부재(26)는, 제동 조작부(21a)의 광폭 부분에 설치된 개구(21e)로부터 장착부(2c)를 향해 상방으로 돌출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돌출 부분에 제3 조작부(26b)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부재(26)는, 개구(21e)의 하부에서 선단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연장된 선단에 제2 조작부(26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 조작부(26b)의 선단에는, 제동 조작부(21a)의 상면에 계지되는 계지부(26c)가 약간 요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계지부(26c)는, 보조 레버(22)가 제동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제동 조작부(21a)의 개구(21e)의 앞부분 상면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보조 레버(22)가 제동 해제 위치에 배치되면, 도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3 조작부(26b)의 계지부(26c)는, 제동 조작부(21a)의 개구(21e)의 앞부분 상면에 거의 접촉한다.
제2 레버 부재(27)는, 도2 및 도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릴 본체(2)의 앞부분에 스풀 축(8)과 평행한 축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2 레버 부재(27)의 기단으로부터 요동 중심까지의 거리는, 선단으로부터 요동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2배 이상 길다. 제2 레버 부재(27)의 선단은, 계지공(25c)에 계지되어 있고, 제2 레버 부재(27)는 제1 레버 부재(25)와 연동하여 제동 해제 위치에 대응하는 내측 위치(도6a)와 소정의 제동 위치에 대응하는 외측 위치(도6b)와의 사이에서 요동한다. 여기서, 내측 위치에 있을 때 제2 레버 부재(27)의 기단은 토글스프링(24; 후술함)에 의해 압박되어 계지공(25c)의 상면에 접촉하고, 외측 위치에 있을 때에는 하면에 접촉한다. 제2 레버 부재(27)에는, 선단이 제동 원통부(40)의 주접부(40a)의 내주측에 배치된 압접부(27a)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레버 부재(27)는, 압접부(27a)의 설치 부분에서부터 더욱 절곡되어 연장하고 있고, 연장된 기단에 토글 스프링(24)이 장착되어 있다. 압접부(27a)에 대향하여 제동 원통부(40)의 외주측에는, 제동 슈(51)의 선단부가 제동 원통부(40)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동 슈(51)는, 기단부가 릴 몸체(2a)의 전단면(前端面)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2 위치에 있는 제2 조작부(26a)를 밀어넣는 조작을 하여 제3 위치에 배치하고, 제1 레버 부재(25)를 도6a에 도시되어 있는 제동 해제 위치로부터 도6b에 도시되어 있는 소정의 제동 위치 측으로 요동시키면, 제2 레버 부재(27)가 내측 위치에서 외측 위치로 요동한다. 이 결과, 압접부(27a)가 제동 원통부(40)를 제동 슈(51)로 협지하여 로터(3)가 실을 풀어 내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소정의 제동 상태로 제동한다.
코일 스프링(23)은, 제동 레버(21)의 제동 조작부(21a)와 릴 본체(2)의 다리부(2b)와의 사이에 압축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코일 스프링(23)은 제동 레버(21)를 제동 해제 측을 향해 반시계 방향으로 압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동 레버(21)에서 손을 떼면 로터(3)는 제동 해제 상태가 된다.
도2 및 도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토글 스프링(24)은 보조 레버(22)를 압박해 제2 조작부(26a)를 제2 위치 내지 제3 위치에 배분하여 배치하고, 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토글 스프링(24)은, 제2 레버 부재(27)의 기단에 장착된비틀림 코일 스프링이다. 토글 스프링(24)은, 일단이 제2 레버 부재(27)의 선단에 계지되고, 타단은 릴 몸체(2a)의 전단면에 계지되어 있다. 토글 스프링(24)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레버 부재(27)가 내측 위치에 배치되면 도6a에서, 제2 레버 부재(27)를 시계 방향으로 압박하고, 외측 위치에 배치되면 도6b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압박한다. 이것에 의해, 제2 레버 부재(27)가 내측 위치 내지 외측 위치에 유지되고, 제1 레버 부재(25)가 제동 해제 위치 내지 소정의 제동 위치에 유지된다. 여기에서는, 제2 레버 부재(27)의 기단으로부터 요동 중심까지의 거리가 선단으로부터 요동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2배 이상 길기 때문에, 제1 레버 부재(25)가 요동하면, 그 요동이 제2 레버 부재(27)의 기단측에서 2배 이상의 요동 거리가 되어 나타나 토글 스프링(24)이 용이하게 반전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3.릴의 동작 및 조작
캐스팅시에는 베일 암(9)을 실개방 자세 측으로 넘어뜨리고, 낚싯대를 내리기 시작하는 것에 의해, 스풀(4)의 외주로부터 낚싯줄이 풀려 나온다. 실을 권취할 때에는, 핸들(1)을 실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베일 암(9)이 도시되지 않는 반환 기구에 의해 실 권취 자세로 돌아온다. 핸들(1)의 회전력은 핸들축(10), 마스터 기어(11)를 거쳐서 피니언 기어(12)로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12)로 전달된 회전력은, 피니언 기어의 앞부분(12a)를 거쳐서 로터(3)로 전달된다. 이 때 로터(3)는 실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이 회전력은 회전 원통(41)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피니언 기어(12)가 회전하면 도시되지 않는 중간 기어에 의해 그 회전이 요동 기구(7)로 전달되어 스풀 축(8)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제동 레버(21)는 아무 것도 조작하지 않으면, 제동 레버(21)는 코일 스프링(23)에 의해 압압되고 제동 해제 위치측에 배치된다. 이 때, 보조 레버(22)의 제2 조작부(26a)가 제2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도3 및 도6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압접부(21d) 및 압접부(27a)가 제동 원통부(40)로부터 이반하여 로터(3)는 제동 해제 상태로 된다.
로터(3)을 역전시켜 물고기와 릴링할 때에는, 제동 레버(21)의 제1 조작부(21c)를 예를 들어, 집게 손가락에 의해 장착부(2c)측으로 끌어들이는 조작을 하여 제동력을 조정한다.
낚싯줄이 물고기에 의해 끌려 로터(3)가 실이 풀어 나가는 방향으로 역전하면, 그 회전력이 단방향 클러치(32)를 거쳐 회전 원통(41)으로 전달되고, 또한, 제동 원통부(40)로 전달된다. 이 결과, 제동 원통부(40)가 로터(3)와 일체로 회전한다. 제동 레버(21)의 제1 조작부(21c)를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끌어들이는 조작을 하면, 비록 제1 레버 부재(25)가 소정의 제동 위치에 있어도,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 조작부(21a)가 조작 부재(26)의 계지부(26c)를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압압하고, 보조 레버(22)가 제동 레버(21)에 연동하여 소정의 제동 위치로부터 제동 해제 위치측으로 요동한다. 이 결과, 보조 레버(22)에 의한 소정의 제동 상태가 일단 해제된다. 이 때, 토글 스프링(24)이, 제2 레버 부재(27)의 요동에 의해 반전하고, 제2 레버 부재(27)가 내측 위치로 압박되어 제1 레버 부재(25)가 제동 해제 위치 측에 유지된다(도6a).
이러한 상태에서 또한, 제동 레버(21)를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 레버(21)의 압접부(21d)가 제동 원통부(40)의 주접부(40a)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강하게 압압하고, 제동 원통부(40)를 기울여 주접부(40a)의 외면이 제동 슈(42a)에 압접한다. 이 제동력은 제동 레버(21)에 가해지는 힘을 가감하는 것에 의해 조정할 수 있어 로터(3)가 역전하는 정도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제동 레버(21)의 조작력에 따른 제동력이 로터(3)에 부여된다. 이와 같이, 소정의 제동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잊어버리더라도, 제동 레버(21)를 끌어들이는 조작을 하는 것만으로, 소정의 제동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낚시터를 이동할 때나 릴을 수납할 때에는, 제1 조작부(21c)로부터 손을 떼어 놓은 상태에서, 보조 레버(22)의 제2 조작부(26a) 또는 제3 조작부(26b)를 장착부(2c)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밀어넣는 조작을 한다. 그러면, 도4 및 도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조 레버(22)가 제동 해제 위치로부터 소정의 제동 위치로 요동하고 토글 스프링(24)에 의해 그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 소정의 제동 위치에서는, 제3 조작부(26b)의 계지부(26c)가 제동 조작부(21a)의 개구(21e)에 거의 접촉한다. 또한, 제동 원통부(40)의 주접부(40a)의 외주면이 압접부(27a)에 의해 직경 방향의 바깥쪽으로 압압되어 로터(3)가 제동 슈(51)로 협지됨으로써 소정의 제동력으로 제동된다. 이 결과, 낚시터를 이동할 때 또는 릴을 수납하는 때에, 장비의 무게 등에 의해 낚시용 릴이 갑자기 스풀(4)로부터 풀리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이 장비를 늘어뜨려 길이를 변경하기 위해서이거나, 물고기가 입질을 하는 경우에 물고기가 확실히 물게 하기 위해서, 로터(3)를 소정의 제동 상태로부터 제동 해제 상태로 하고 싶은 경우에는, 제동 레버(21)를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금만 조작하면 된다. 그러면, 도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동 레버(21)에 의해 제2 조작부(26a)가 압압되어 보조 레버(22)가 제동 해제 위치측으로 요동한다. 이 결과, 소정의 제동 상태가 일단 해제된다. 물론, 제2 조작부(26a)를 끌어들이는 조작을 해도 소정의 제동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동 레버(21)가 아니라, 별도로 설치된 보조 레버(22)를 장착부(2c)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제동 해제 상태(제1 규제 상태)로부터 소정의 제동 상태(제2 규제 상태)로 전환시키는 조작을 할 수 있으므로, 회전 규제 조작을 할 때에 필요한 스트로크를 제동 레버의 조작 스트로크 이하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동 레버(21)의 조작 스트로크를 늘리지 않고 한 손으로 로터(3)의 회전 규제 조작을 간단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제동에 의한 규제를 가하고 있기만 하므로, 소정의 제동 상태에서 큰 부하가 작용하더라도 낚싯줄이 끊어지기 어렵게 된다. 또한, 소정의 제동 상태에서, 제동 레버(21)를 끌어들이는 조작에 연동하여 보조 레버(22)가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2 규제 상태로부터 제1 규제 상태에의 전환하는 조작을 제동 레버(21)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규제 해제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제동 해제 상태 및 소정의 제동 상태에서 두 개의 레버(21, 22)의 위치 관계가 다르므로, 로터(3)가 제동 해제 상태에 있는 것인가 아니면 소정의 제동 상태에 있는 것인가를 즉시 판별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보조 레버의 조작 부재(26)의 측면을 채색하여 제동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채색된 색이 보이고 소정의 제동 위치에 있을 때에는 안보이도록 하면, 로터(3)의 상태를 보다 빨리 판별하기가 쉬워진다.
또한, 제1 조작부(21c)와 제2 조작부(26a)를 장착부(2c)와 접리(接離)하는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하고 있으므로, 같은 손가락으로 밀어넣는 조작과 끌어들이는 조작을 함으로써 제동 조작과 규제 전환 조작을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제동 조작과 같은 손가락으로 규제 전환 조작을 할 수 있으므로, 다른 손가락을 낚싯대로부터 떼어 놓을 필요가 없어져, 규제 전환 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위치나 제3 위치에 제2 조작부를 배치하면 위치 유지 수단에서 손을 떼어 놓아도 그 위치에서 유지되므로, 규제 상태를 지속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제2 조작부(26a)를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밀어넣는 조작에 의해 제동 해제 상태(제1 규제 상태)로부터 소정의 제동 상태(제2 규제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했지만, 그와 반대로 제2 조작부(26a)를 밀어넣는 조작에 의해 소정의 제동 상태로부터 제동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도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레버 부재(25)의 계지공(25c)에 계지된 제2 레버 부재(67)를, 압접부(67a)가 제동 원통부(40)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레버 부재(67)는, 제1 레버 부재(25)와 연동하여 소정의 제동 위치에 대응하는 내측 위치(도7a)와 제동 해제 위치에 대응하는 외측 위치(도7b)와의 사이에서 요동한다. 제2 레버 부재(67)의 선단에는, 선단이 제동 원통부(40)의 주접부(40a)의 외주측에 배치된 압접부(67a)가 설치되어있다. 또한, 선단에는 토글 스프링(24)이 장착되어 있다. 압접부(67a)에 대향하여 제동 원통부(40)의 외주측에는, 제동 슈(71)의 선단부가 제동 원통부(40)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동 슈(71)는, 기단부가 릴 몸체(2a)의 전단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레버 부재(67)을 배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조작부(26a) 또는 제3 조작부(26b)를 밀어넣는 조작을 하는 경우, 보조 레버(22)가, 소정의 제동 위치로부터 제동 해제 위치로 요동한다. 또한, 제동 레버(21)를 끌어 들이는 조작을 하면, 보조 레버(22)가 제동 해제 위치로부터 소정의 제동 위치로 돌아온다. 제2 실시예에서는, 통상 소정의 제동 상태에 유지되고 보조 레버(22)를 조작하면 제동 해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예]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레버(21, 22)에 의해 제동 조작과 규제 전환 조작을 나누어 조작했지만, 제3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제동 레버(91; 제1 조작 수단의 일례)에 의해 제동 조작과 규제 전환 조작을 하도록 한다.
도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동 레버(91)는, 릴 본체(2)에 장착된 지지축(33)에 의해 릴 본체(2)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동 레버(91)는, 코일 스프링(23)에 의해 장착부(2c)와 이반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제동레버(91)는, 제동 해제 위치, 제동 해제 위치보다 장착부(2c)에 근접한 제동 위치,제동 해제 위치보다 장착부(2c)로부터 이반된 소정의 제동 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가능하게 릴 본체(2)에 장착되어 있다.
제동 레버(91)는, 지지축(33)에 의한 지지 부분으로부터 만곡하여 전방으로 연장하는 제동 조작부(91a)와, 지지 부분에서 만곡하여 경사져서 전하방으로 연장하는 제동 작용부(91b)를 가지고 있다. 제동 조작부(91a)는, 지지 부분으로부터 장착부(2c)를 따라 베일 암(9)의 외측 부근까지 전방으로 연장한 후, 전방 및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분기하여 연장하며 선단이 전방으로 향해 더욱 만곡한 형상이다. 이 만곡 부분부터 전방이 낚싯대를 파지하는 손의 집게 손가락의 배부분으로 끌어 들이는 조작을 할 수 있는 제1 조작부(91c)가 되고, 그대로 전방으로 연장하는 부분이 집게 손가락의 등부분으로 밀어넣는 조작을 할 수 있는 제2 조작부(91e)가 된다. 제1 조작부(91c)는, 제동 레버(91)의 요동에 의해 도1에 도시되어 있는 제1 위치로부터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동 작용부(91b)의 선단은, 제동부(20)의 내주측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거기에는, 제동부(20)에 접촉 가능한 압접부(91d)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압접부(91d)는 합성 수지제이고, 제동 레버(91)의 요동에 의해 제동부(20)를 외측에 배치된 릴 본체(2)측으로 압압한다.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고, 도6에 도시되어 있는 제2 레버부재(27; 제2 조작 수단의 일례)가 제동 레버(91)에 설치된 계지공(91f)에 계지되어 있다. 제2 레버 부재(27)는, 제동 레버(91)에 연동하여 요동한다.
따라서, 제동 레버(91)는, 아무것도 조작되지 않으면 코일 스프링(23)에 의해 압박되어,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동 해제 위치에 배치되고압접부(91d)가 제동부(20)로부터 이반하고 있다. 제2 조작부(91e)를 압압 조작하면 계지공(91f)에 계지되어 있는 제2 레버 부재(27)가 내측 위치에서 외측 위치로 요동하여, 소정의 제동 상태로 된다. 이 상태로 제동 레버(91)을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토글 스프링(24)의 사점(dead point)을 넘은 시점에서 제동 레버(91)가 제동 해제 위치에 배치되어 제동 해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제3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레버에 의해 제동 조작과 전환 조작을 하는 구성에 비해 구성이 간소하게 된다. 또한, 두개의 조작부(91c, 91e)가 장착부(2c)와 접리하는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같은 손가락에 의해 행해지는 끌어들임 조작 및 밀어넣음 조작에 의해 제동 조작과 규제 전환 조작을 할 수가 있다.
[제4 실시예]
전술한 세 개의 실시예에서는, 로터(3)의 실이 풀려 나가는 방향의 규제를 레버 브레이크 기구(6)에 의해, 제동 기구와 규제 기구를 동일 구성으로 실현했지만,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 레버(91)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역전 방지 기구(80)를 설치하여 로터(3)의 역전을 금지하는 규제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역전 방지 기구(80)를 역전 방지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 수초 등에 걸렸을 때에 낚싯줄을 확실하게 자르는 것이 가능하다.
도9에 있어서, 제3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동 레버(91)는, 도9에 도시되어 있는 제동 해제 위치로부터 장착부(2c)와 접리하는 방향으로 요동한다. 코일 스프링(23)은, 제동 레버(91)를 중립 위치로 유지해, 제동 레버(91)가 중립 위치로부터 장착부(2c)에 대해서 접리하면 중립 위치를 향해 압박한다. 제동 레버(91)는, 중립 위치에서는 압접부(91d)가 제동 원통부(40)에 접촉하지 않는 제동 해제 상태이다.
역전 방지 기구(80)는, 제동 레버(91)의 중립 위치로부터 장착부(2c)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조작하여 역전 방지 상태로 된다. 역전 방지 기구(80)는, 피니언 기어(12)와 일체로 형성된 역전 방지 휠(81)과, 역전 방지 휠(81)에 접리 가능한 역전 방지 조부(82; 逆轉禁止爪部)를 가지고 있다.
역전 방지 휠(81)은, 외주부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대략 톱니 형상의 다수의 치부(81a; 齒部)를 가지고 있다. 치부(81a)의 실이 풀려 나가는 방향의 하류 측면은 상류 측면에 비해 직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역전 방지 휠(81)은, 실이 풀려 나가는 방향의 회전만이 역전 방지 조부(82)에 의해서 금지될 수 있다.
역전 방지 조부(82)는, 이점 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역전 방지 위치 내지 실선으로 표시된 역전 허용 위치 자세로 요동 가능하도록 릴 본체(2)의 앞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역전 방지 조부(82)는, 토글 스프링(83)에 의해 역전 방지 위치와 역전 허용 위치에 나뉘어서 압박되어 있다. 역전 방지 조부(82)는 기단부가 토글 스프링(83)에 계지되고, 중간부는 릴 본체(2)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선단부는 두 갈래로 분기된 한 쌍의 계지부(82a, 82b)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계지부(82a, 82b)의 사이에는, 제동 레버(91)의 제동 작용부(91b)가 배치되어 있다. 제동 작용부(91b)는, 역전 방지 조부(82)가 역전 허용 위치에 있을때, 계지부(82a, 82b)의 어느 쪽에도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동 레버(91)가 장착부(2c)와 이반하는 방향으로 중립 위치로부터 조작되면, 제동 작용부(91b)는, 계지부(82b)에 접촉하여 역전 방지 조부(82)를 역전 방지 위치를 향해 압압한다. 역전 방지 조부(82)는, 역전 방지 자세가 되면, 아래 쪽의 계지부(82b)의 선단이 역전 방지 휠(81)의 치부(81a)의 회전 방향 하류 측면에 맞닿아 접하여 역전 방지 휠(81), 즉 피니언 기어(12)가 실이 풀려 나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금지함으로써, 피니언 기어(12)에 고정된 로터(3)가 실이 풀려 나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금지한다. 또한, 역전 방지 조부(82)가 역전 방지 자세로 되면, 비스듬하게 배치된 계지부(82b)에 제동 작용부(91b)가 접촉하고, 제동 레버(91)는 역전 방지 조부(82)에 의해 중립 위치에서 하부의 역전 방지 위치로 요동하는 자세로 유지된다. 이 상태로 제동 레버(91)가 중립 위치를 향해 조작되면, 제동 작용부(91b)가 계지부(82a)를 역전 허용 자세측으로 압압하여, 역전 방지 조부(82)를 역전 허용 자세로 돌린다.
(릴의 동작 및 조작)
제동 레버(91)를 아무 것도 조작하지 않으면, 제동 레버(91)는 코일 스프링(23)에 의해 압압되고 중립 위치에 배치된다.
로터(3)을 역전시켜 물고기와 릴링할 때에는, 제동 레버(91)의 제1 조작부(91c)를 예를 들어, 집게 손가락의 배부분에 의해 장착부(2c)측으로 끌어들이는 조작을 하여 물고기와 릴링을 한다.
낚싯줄이 물고기에 의해 끌려 로터(3)가 실이 풀려 나가는 방향으로 역전하면, 그 회전력이 단방향 클러치(32)를 거쳐 회전 원통(41)으로 전달되고, 나아가 제동 원통부(40)까지 전달된다. 이 결과, 제동 원통부(40)가 로터(3)와 일체로 회전한다. 이 상태로 제동 레버(91)의 제1 조작부(91c)를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중립 위치로부터 끌어들이는 조작을 하면, 제동 레버(91)의 압접부(91d)가 제동 원통부(40)의 주접부(40a)를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강하게 압압하고, 제동 원통부(40)을 기울여 주접부(40a)의 외면이 제동 슈(42a)에 압접한다. 이 때, 역전 방지 조부(82)의 계지부(82a)와 제동 작용부(91b)와의 사이에 틈새가 열려 있으므로, 역전 방지 조부(82)는 요동하지 않는다. 이러한 끌어들임 조작시의 제동력은 제동 레버(91)에 가해지는 힘을 가감하는 것으로써 조정할 수 있어서 로터(3)가 역전되는 정도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제동 레버(91)의 조작력에 따른 제동력이 로터(3)에 부여된다. 제동 레버(91)에 힘을 가하는 것을 중지하면, 제동 레버(91)는 코일 스프링(23)에 의해 중립 위치로 복귀되어 로터(3)는 제동 해제 상태로 된다.
또한, 제동 레버(91)의 제2 조작부(91e)를 장착부(2c)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중립 위치로부터 밀어넣는 조작하면, 제동 작용부(91b)가 역전 방지 조부(82)의 계지부(82b)를 압압하여 역전 방지 조부(82)가 도9에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 때, 토글 스프링(83)의 사점을 넘으면, 역전 방지 조부(82)는 역전 방지 위치로 압박되어 역전 방지 조부(82)가 역전 방지 위치로 된다. 이 결과, 계지부(82b)의 선단이 역전 방지 휠(81)의 치부(81a)에 접촉하여 로터(3)의 역전이 금지된다. 또한, 토글 스프링(83)의 사점은, 로터(3)가 실권취 방향으로 회전하여역전 방지 휠(81)의 치부(81a)가 역전 방지 조부(82)를 눌러도 역전 방지 조부(82)를 역전 방지 자세로 압박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역전 방지 기구(80)을 역전 허용 상태로 하기에는, 제동 레버(91)를 중립 위치로 돌리는 조작을 하는 것이 좋다. 제동 레버(91)를 중립 위치로 돌리는 조작을 하면, 제동 작용부(91b)가 계지부(82a)를 압압하여 역전 방지 조부(82)를 역전 허용 위치로 돌린다. 이 때, 토글 스프링(83)의 사점을 넘으면, 역전 방지 조부(82)는, 역전 허용 위치로 압박되고 그 위치에 유지된다.
여기에서도, 대향하여 배치된 두 개의 조작부(91c, 91e)를 이용한 동일한 손가락에 의한 끌어들임 조작 및 밀어넣는 조작에 의해 제동 조작과 규제 전환 조작을 할 수가 있다.
[제5 실시예]
1.전체 구성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6)는, 도10 내지 도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동부(20), 제동부(20)를 제동 조작 하기 위한 제동 레버(21), 제동부(20)를 소정의 제동 상태로 조작하기 위한 보조 레버(22), 제동 레버(21)를 장착부(2c)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코일 스프링(23), 및 보조 레버(22)를 제동 해제 위치 내지 소정의 제동 위치에서 유지하는 토글 스프링(24)을 가지고 있다.
제동부(20)및 제동 레버(21)는, 제1 실시예와 같은 구성이므로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조 레버(22)는, 로터(3)를 도12 및 도14에 도시되어 있는 제동 해제 상태와 도13에 도시되어 있는 소정의 제동 상태 간에 전환하여 규제를 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5 실시예에서는, 제동 해제 상태가 제1 규제 상태에 상당하고, 소정의 제동 상태가 제2 규제 상태에 상당한다. 보조 레버(22)는, 도12 및 도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장착부(2c)에 접근하는 제1 규제 위치인 제동 해제 위치와 도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장착부(2c)로부터 이반하는 제2 규제 위치인 소정의 제동 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한다. 보조 레버(22)는, 도11 및 도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축(33)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릴 본체(2)에 지지된 제1 레버 부재(25) 및 제1 레버 부재(25)와 연동하여 요동하는 제2 레버 부재(27)를 가지고 있다.
제1 레버 부재(25)는, 제동 레버(21)에 대해서 도3 전측 측면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 레버 부재(25)는, 지지 부분으로부터 제동 레버(21)를 따라 상전방 및 하전방으로 연장하는 본체(25a), 레버 본체(25a)의 상방으로 연장하는 선단에 나사(29)에 의해 고정된 조작 부재(26)을 가지고 있다. 레버 본체(25a)의 선단은 제동 레버(21)의 조작부(21a)의 광폭 부분에 위치 하고 있다. 또한, 지지 부분으로부터 비스듬하게 전하방으로 연장한 레버 본체(25a)의 기단은, 제동부(20)의 외주 측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기단에는 제동부(20)에 접촉하는 압접부(25b)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레버 본체(25a)의 기단측에는, 제2 레버 부재(27)가 계지되는 장방형의 계지공(25c)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 부재(26)는, 선단에 선단 조작부(26a)를 구비하고, 기단측(도3의 우측)에 제3 조작부(26b)를 구비하고 있다. 제3 조작부(26b)는 제동 레버(21)의 제1 조작부(21c)보다 기단 측에 배치되고, 제2 조작부(26a)는 장착부(2c)로부터 이반하는 측에 제 1 조작부(21c)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3 조작부(26b)는 낚싯대를 파지하는 손의 중지로 조작 가능하고, 제2 조작부(26a)는, 낚싯대 파지하는 손의 집게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하다. 특히, 제1 조작부(21c)와 제2 조작부(26a)는, 같은 손가락에 의한 끌어들임 동작과 밀어넣음 동작에 의해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조작부(26a) 및 제3 조작부(26b)의 선단부는 후단부에 비해 장착부(2c)에 접근하는 형상으로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중지의 등부분이나 집게 손가락의 등부분으로 각 조작부(26a, 26b)에 대해 밀어넣는 조작을 하는 경우에, 손가락이 선단측에 미끄러지기 어려워진다.
조작 부재(26)는 조작부(21a)의 광폭 부분에 설치된 개구(21e)로부터 장착부(2c)를 향해 상방으로 돌출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돌출부에 제3 조작부(26b)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3 조작부(26b)는 개구(21e)에 세방면을 둘러싸인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조작 부재(26)는 개구(21e)의 하부에서 선단측으로 연장하고 있고, 연장한 선단에 제2 조작부(26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 조작부(26b)의 선단에는, 제동 조작부(21a)의 상면에 계지되는 계지부(26c)가 약간 요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계지부(26c)는, 보조 레버(22)가 제동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조작부(21a)의 개구(21e)의 앞부분 상면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보조 레버(22)가 소정의 제동 위치에 배치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조작부(26a)의 계지부(26c)는, 조작부(21a)의 개구(21e)의 앞부분 상면에 거의 접촉한다.
또한, 조작 부재(26)과 제동 레버(21)의 조작부(21a)는, 규제 상태에 관계없이, 전방에서 보았을 때 양자가 장착부(2c)와 접리하는 방향으로 중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낚싯줄이 흔들리기 쉬운 제동 해제 상태에 있더라도, 릴의 전방으로부터 낚싯줄이 조작 부재(26)과 조작부(21a)의 틈새에 침입하기 어려워지고, 제동 레버(21)나 보조 레버(22)에 실엉킴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제2 레버 부재(27)는, 도11 및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 본체(2)의 앞부분에 스풀 축(8)에 평행한 축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2 레버 부재(27)의 선단은, 계지공(25c)에 계지되어 있고, 제2 레버 부재(27)는 제1 레버 부재(25a)와 연동하여 제동 해제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위치(도15a)와 소정의 제동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위치(도15b)와의 사이에서 요동한다. 제2 레버 부재(27)는, 제1 레버 부재(25)의 제동 해제 위치와 소정의 제동 위치와의 약간의 요동 거리에 대해서 토글 스프링(24)의 반전에 필요한 거리를 만들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레버 부재(27)의 기단으로부터 요동 중심까지의 거리는, 선단으로부터 요동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2배 이상 길다
코일 스프링(23)은, 제동 레버(21)의 조작부(21a)와 릴 본체(2)의 다리부(2b)와의 사이에 압축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3)은, 제동 레버(21)를 제동 해제 측으로 압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동 레버(21)에서 손을 떼면 로터(3)는, 제동 해제 상태로 된다.
토글 스프링(24)은, 도11 및 도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조레버(22)를 장착부(2c)에 접근하는 제동 해제 위치와 이반하는 소정의 제동 위치와에 배분하여 압박하는 것이다. 토글 스프링(24)은, 제2 레버 부재(27)의 선단에 장착된 뒤틀림 코일 스프링이다. 토글 스프링(24)은, 일단이 제2 레버 부재(27)의 선단에 계지되고 타단이 릴 몸체(2a)의 전 단면에 계지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2 레버 부재(27)의 기단으로부터 요동 중심까지의 거리가 선단으로부터 요동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2배 이상 길기 때문에, 제1 레버 부재(25)가 요동 하면, 그 요동이 제2 레버 부재(27)의 선단측에서 2배 이상의 요동 거리가 되어 나타나 뒤틀림 코일 스프링(28)이 반전할 수 있게 된다.
토글 스프링(28)은, 도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레버 부재(27)가 제1 위치에 배치되면, 제2 레버 부재(27)를 도15a에서 시계 방향으로 압박하고, 제2 위치에 배치되면, 도15b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압박한다. 이것에 의해, 제2 레버 부재(27)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유지되고, 나아가 제1 레버 부재(25)가 제동 해제 위치와 소정의 제동 위치에 유지된다.
2.릴의 동작 및 조작
캐스팅시에는 베일 암(9)을 실개방 자세측으로 넘어뜨려, 낚싯대를 내리기 시작하는 것에 의해, 스풀(4)의 외주로부터 낚싯줄이 계속 내보내진다. 실권취시에는, 핸들(1)을 실권취 방향으로 회전 시키면, 베일 암(9)이 도시하지 않는 반환 기구에 의해 실권취 자세로 돌아온다. 핸들(1)의 회전력은 핸들축(10), 마스터 기어(11)를 거쳐서 피니언 기어(12)로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12)로 전달된 회전력은, 피니언 기어의 앞부분(12a)를 거쳐서 로터(3)로 전달된다. 이 때, 로터(3)는실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이 회전력은 회전 원통(41)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피니언 기어(12)가 회전하면, 도시하지 않는 중간 기어에 의해 그 회전이 요동 기구(7)로 전달되어 스풀 축(8)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제동 레버(21)를 아무것도 조작하지 않으면, 제동 레버(21)는 코일 스프링(23)에 의해 압압되고 제동 해제 위치 측에 배치된다. 이 때, 보조 레버(22)가 제동 해제 위치 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도12, 도15a 및 도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접부(21d) 및 압접부(25b)가 제동 원통부(40)로부터 이반하여, 로터(3)는 제동 해제 상태로 된다.
로터(3)를 역전시켜 물고기와 릴링할 때에는, 제동 레버(21)의 제1 조작부(21c)를 예를 들면, 집게 손가락에 의해 장착부(2c)측으로 끌어들이는 조작을 수행하여 물고기와 릴링을 한다. 낚싯줄이 물고기에 의해 끌려 로터(3)가 실이 풀어나가는 방향으로 역전하면, 그 회전력이 단방향 클러치(32)를 거쳐서 회전 원통(41)으로 전달되고, 나아가 제동 원통부(40)까지 전달된다. 이 결과, 제동 원통부(40)가 로터(3)와 일체로 회전한다.
제동 레버(21)의 제1 조작부(21c)를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끌어들이는 조작을 수행하면, 비록 제1 레버 부재(25)가 소정의 제동 위치에 있어도,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21a)가 조작 부재(26)의 계지부(26c)를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압압하고, 보조 레버(22)가 제동 레버(21)에 연동하여 소정의 제동 위치로부터 제동 해제 위치 측으로 요동한다. 이 결과, 보조 레버(22)에 의한 소정의 제동 상태가 일단 해제된다. 이 때, 토글 스프링 기구(24)에서는, 제2 레버 부재(27)의 요동에 의해 뒤틀림 코일 스프링(28)이 반전하고, 제2 레버 부재(27)가 제1 위치 측으로 압박되어 제1 레버 부재(25)가 제동 해제 위치 측에 유지된다(도15a).
이 상태에서 제동 레버(21)를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도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동 레버(21)의 압접부(21d)가 제동 원통부(40)의 주접부(40a)를 직경 방향 바깥 쪽으로 강하게 압압하고, 제동 원통부(40)를기울여 주접부(40a)의 외면이 제동 슈(42a)에 압접한다. 이 제동력은 제동 레버(21)에 가해지는 힘을 가감하는 것으로써 조정할 수 있어 로터(3)가 역전되는 정도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제동 레버(21)의 조작력에 따른 제동력이 로터(3)에 부여된다. 이와 같이, 소정의 제동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잊어도, 제동 레버(21)를 끌어들이는 조작을 하는 것만으로, 소정의 제동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낚시터를 이동할 때나 릴을 수납할 때에는, 제1 조작부(21c)로부터 손을 떼어 놓은 상태로, 보조 레버(22)의 제3 조작부(26b) 또는 제2 조작부(26a)를 장착부(2c)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밀어넣는 조작을 한다. 그러면, 도13, 도15b 및 도1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조 레버(22)가 제동 해제 위치로부터 소정의 제동 위치로 요동해서 토글 스프링(24)에 의해 그 위치에서 유지된다. 상기 소정의 제동 위치에서는, 제3 조작부(26b)의 계지부(26c)가 조작부(21a)의 개구(21e)에 거의 접촉한다. 또한, 제동 원통부(40)의 주접부(40a)의 외주면이 압접부(25b)에 의해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부터 압압되어 로터(3)가 소정의 제동력으로 제동된다. 이 결과, 낚시터를 이동할 때이거나 릴을 수납하는 경우에, 장치의 무게 등에의해 낚시용 릴이 갑자기 스풀(4)로부터 계속 풀려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이, 장치를 늘어뜨려 길이를 변경하기 위하거나, 물고기가 걸린 경우에 물고기에 장치를 확실히 걸리게 하기 위해서, 로터(3)를 소정의 제동 상태로부터 제동 해제 상태로 하고 싶은 경우에는, 제동 레버(21)를 약간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좋다. 그렇게 하면, 전술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 레버(21)에 의해 제3 조작부(26b)가 압압되어 보조 레버(22)가 제동 해제 위치 측으로 요동한다. 이 결과, 소정의 제동 상태가 일단 해제된다.
여기에서도, 제동 레버(21)는 아니고, 별도로 설치된 보조 레버(22)를 장착부(2c)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으로써 제동 해제 상태(제1 규제 상태)와 소정의 제동 상태(제2 규제 상태)를 전환 조작할 수 있으므로, 회전 규제 조작을 할 때에 필요한 스트로크를 제동 레버의 조작 스트로크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제동 레버(21)의 조작 스트로크를 늘리는 일 없이 한 손으로 로터(3)의 회전 규제 조작을 간단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제동에 의한 규제를 더하고 있기만 하므로, 소정의 제동 상태에서 큰 부하가 작용해도 낚싯줄이 끊어지기 어려워진다.
[제6 실시예]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제동 슈(51)를 릴 몸체(2a)에 고정했지만,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 슈(51)의 압압력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 기구(50)를 설치해도 된다.
도17에 있어서, 압접부(27a)는 제2 레버 부재(27)에 설치되어 있고 제동 원통부(40)의 주접부(40a)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레버 부재(27)는, 더욱 절곡되어 연장하고 있고, 연장된 기단에 토글 스프링(24)이 장착되어 있다. 압접부(27a)에 대향하여 제동 슈(51)가 배치되어 있다.
제동 슈(51)는, 조정 기구(50)에 의해 압압되어 있다. 제동 슈(51)는, 주접부(40a)에 대향하여 배치된 접촉부(51a)와, 릴 몸체(2a)에 안내되는 가이드부(51b)와, 외주에 코일 스프링(52)이 배치되는 축부(51c)를 가지고 있다. 접촉부(51a)는 주접부(40a)에 접촉하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51b)는, 릴 몸체(2a)의 앞부분에 형성된 가이드홈(53)에 계합하여 제동 원통부(40)의 직경 방향으로 안내된다. 축부(51c)는 직경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그 기단 측에 조정 부재(54)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조정 부재(54)는, 릴 몸체(2a)의 전단에 나사에 의해 제동 원통부(40)의 직경 방향에 진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조정 부재(54)와 제동 슈(51)와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52)이 배치되어 제동 슈(51)를 제동 원통부(40)의 중심측으로 압박하고 있다.
조정 부재(54)의 기단에는, 릴 본체(2)의 외부에 노출하는 조정 손잡이(54a)가 형성되어 있어 이 조정 손잡이(54a)를 돌리는 것에 의해서 코일 스프링(52)의 압박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동 슈(51)의 압박력이 변화해, 소정의 제동 상태에 있어서의 제동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제1 레버 부재(25)가, 도17a에 도시되어 있는 제동 해제 위치로부터 도17b에 도시되어 있는 소정의 제동 위치측으로 요동하면, 제2 레버 부재(27)가 제2 위치로 요동하고, 압접부(27a)가 제동 원통부(40)를 제동 슈(51)로 협지하여 로터(3)를 제동한다. 이 때문에,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소정의 제동 상태에 있어서의 제동력을 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조정 손잡이(54a)를 돌리는 것에 의해 , 제동 슈(51)의 압압력이 변화하고, 소정의 제동 상태에 있어서의 제동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도,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제7 실시예]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보조 레버(22)를 제1 레버 부재(25)와 제2 레버 부재(27)으로 구성하여, 양부재(25, 27)을 양방향으로 연동시켰지만, 제7 실시예에서는, 도1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레버 부재(25)의 제동 해제 위치로부터 소정의 제동 위치에의 한방향의 요동만 제2 레버 부재(67)를 연동시키고, 역방향에는 제동 레버(21)에 연동하여 제2 레버 부재(67)를 요동시키고 있다.
도18 및 도19에 있어서, 제동 레버(21)의 형상은,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하지만 기능적으로는 동일하고, 조작부(21a)와, 작용부(21b)와, 제동 조작부(21c)를 가지고 있다. 보조 레버(22)는, 제1 레버 부재(25)와, 제2 레버 부재(67)와, 조작 부재(26)를 가지고 있다. 제1 레버 부재(25)는, 지지축(33)에 의해 릴 본체(2)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코일 스프링(70)에 의해 도18의 반시계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70)에 의한 압박력은 후술하는 뒤틀림 코일 스프링(28)의 압박력보다는 약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2 레버 부재(67)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스풀 축(8)에 평행한 축 주위가아니라, 제1 레버 부재(25)와 평행한 요동축(65)의 축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릴 본체(2)에 장착되어 있다. 제2 레버 부재(67)는, 제1 레버 부재(25)의 기단에 계지 가능한 계지부(67a)와, 제동 원통부(40)의 주접부(40a)의 내주면에 대향 가능한 압접부(67b)를 가지고 있다. 계지부(67a)는, 요동축(65)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있고, 제2 레버 부재(67)의 기단 후면에 접촉 가능함과 함께, 제동 레버(21)의 작용부(21b)의 전면에 접촉 가능하다(도19).
조작 부재(26)는, 제1 레버 부재(25)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어 보조 레버(22)가 제동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제동 레버(21)의 조작부(21a)와 틈새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토글 스프링(24)은, 제2 레버 부재(67)를 도18a에 도시되어 있는 제1 위치와 도18b에 도시되어 있는 제2 위치에 배분하여 압박한다.
제7 실시예에서는, 도18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동 레버(21) 및 보조 레버(22)가 제동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압접부(21d) 및 압접부(67b)는, 제동 원통부(40)으로부터 이반하여 로터(3)는 제동 해제 상태로 된다.
이 상태로부터 보조 레버(22)를 소정의 제동 위치를 향해 중간 조작부(26a)에 의해 압압하면, 도18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조 레버(22)의 조작 부재(26)가 제동 레버(21)의 조작부(21a)에 접촉함과 함께, 제1 레버 부재(25)의 기단이 제2 레버 부재(67)의 계지부(67a)에 접촉해 제2 레버 부재(67)를 도18에서 시계 방향으로 압압하고, 제2 레버 부재(67)을 제2 위치를 향해 요동시킨다. 그러면, 토글 스프링(24)이 반전하여 제2 레버 부재(67)를 제2 위치측으로 압박하고,제2 레버 부재(67)의 압접부(67b)가 제동 원통(50)의 주접부(40a)의 내주면에 접촉해 로터(3)이 소정의 제동 상태로 된다. 더욱이 이 때, 제1 레버 부재(25)는, 코일 스프링(70)에 의해 제동 레버(21)를 향해 압박되어 있으므로,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을 향해 자유롭게 움직이지 않는다.
이 상태로부터 제동 레버(21)를 제동 조작부(21c)에 의해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요동 시키면, 조작 부재(26)가 조작부(21a)에 압압되어 보조 레버(22)는 제동 해제 위치로 복귀한다. 그것과 함께, 제동 레버(21)의 작용부(21b)가 계지부(67a)에 접촉하여 제2 레버 부재(67)를 도18에서 시계 방향으로 압압해, 제2 레버 부재(67)를 제1 위치를 향해 요동시킨다.
[다른 실시예]
(1)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또는 제2 규제 상태를 제동 해제 상태로 하고, 제2 또는 제1 규제 상태를 소정의 제동 상태 또는 역전 방지 상태라고 했지만, 제1 규제 상태와 제2 규제 상태에서 제동력을 변화시켜도 좋고, 어느 것인가의 규제 상태를 소정의 제동 상태로 하고 타방의 규제 상태를 역전 방지 상태로 해도 좋다.
(2)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동 레버(21, 91)를 릴 본체(2)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했지만, 장착부(2c)에 접리할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하면 직선 이동하도록 하는 것도 좋다.
(3)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동 레버(21)의 제동 조작에 의해 소정의 제동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했지만, 보조 레버(22)의 조작에 의해 소정의 제동 상태를해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좋다.
(4)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규제 상태를 제동 해제 상태로 하고 제2 규제 상태를 소정의 제동 상태로 했으나 제1 규제 상태를 소정의 제동 상태로 하고 제2 규제 상태를 그것보다 강한 제동 상태로 설정해도 좋다.
(5)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보조 레버(22)를 제동 해제 위치와 소정의 제동 위치에 유지했지만, 장착부에 접근하는 위치에서만 보관 유지해, 장착부로부터 이반하는 위치로 조작할 때마다, 규제 상태를 제1 규제 상태와 제2 규제 상태와에 교대로 전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6)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조작 부재(26)과 제동 레버(21)의 조작부(21a)를, 규제 상태에 관계없이, 전방에서 보았을 때 양자가 장착부(2c)와 접리하는 방향으로 중복하도록 배치했다. 그러나 실이 흔들리기 쉬운 것은, 규제가 느슨한 상태(예를 들어, 제동 해제 상태)일 때이기 때문에, 적어도 규제가 느슨한 상태일 때에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양자가 중복 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두개의 조작부를 장착부와 접리하는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하고 있으므로, 제1 조작부를 조작하는 손가락의 등부분으로 제2 조작부를 밀어넣는 조작을 하여 규제 상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동 조작을 하는 손가락으로 규제 전환 조작을 할 수 있으므로, 다른 손가락을 낚싯대로부터 떼어 놓을 필요가 없어져, 규제 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위치나 제3 위치에 제2 조작부를 배치하면 손을 떼어 놓아도 위치 유지 수단에 의해 그위치에서 유지되므로, 규제 상태를 지속할 수 있다.

Claims (15)

  1. 낚싯대에 장착되어 낚싯대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축 주위에 낚싯줄을 권취하는 스피닝 릴에 있어서,
    상기 낚싯대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릴 몸체, 및 상기 장착부와 상기 릴 몸체를 연결하는 다리부를 가지는 릴 본체와,
    상기 릴 몸체의 앞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와,
    상기 로터의 앞부분에서 상기 릴 본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로터에 의해 외주면에 낚싯줄이 감겨지는 스풀과,
    상기 로터가 실이 풀려 나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동할 수 있는 제동 수단과,
    상기 로터의 회전에 대해서 제1 규제 상태와, 상기 제 1 규제 상태와 규제 상태가 다른 제2 규제 상태를 취할 수 있는 회전 규제 수단과,
    상기 장착부와 접리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1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조작부 및 상기 제1 조작부에 대향하여 상기 제1 위치보다 전술한 장착부로부터 이반하는 제2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조작부를 전술한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장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상기 제동 수단에 의한 제동력이 증가하고, 상기 제2 조작부를 상기 제2 위치에 배치하면 상기 회전 규제 수단을 상기 제1 규제 상태로 하고, 상기 제2 조작부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제2 위치보다 상기 장착부로부터 이반하는 제3 위치로조작하면 상기 제2 규제 상태로 하도록 하는 조작 수단과,
    상기 제2 조작부가 상기 제2 위치와 전술한 제3 위치에 각각 배치되도록 상기 조작 수단을 유지 가능한 위치 유지 수단을,
    포함하는 스피닝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선단에 상기 제1 조작부 및 상기 제2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릴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조작부가 전술한 제1 위치로부터 장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되면 상기 제동 수단에 의한 제동력이 증가하는 제1 조작 수단과,
    상기 제 1 조작 수단에 연동하여 요동하고, 상기 제1 조작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회전 규제 수단을 상기 제1 규제 상태로 하고, 상기 제2 조작부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조작되면 상기 제2 규제 상태로 하는 제2 조작 수단을 포함하는, 스피닝 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유지 수단은, 상기 제2 조작부가 상기 제2 위치와 전술한 제3 위치에 각각 배치되도록 상기 제 1 조작 수단을 유지하는, 스피닝 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선단에 상기 제1 조작부를 가지고,
    상기 릴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조작부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장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되면 상기 제동 수단에 의한 제동력이 증가하는 제1 조작 수단과,
    선단에 전술한 제2 조작부를 가지고, 상기 릴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 조작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회전 규제 수단을 제1 규제 상태로 하고, 상기 제2 조작부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3 위치로 조작되면 상기 제2 규제 상태로 하는 제2 조작 수단을 포함하는, 스피닝 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유지 수단은, 상기 제2 조작부가 상기 제2 위치와 상기 제3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 2 조작 수단을 유지하는, 스피닝 릴.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위치에 상기 제2 조작부가 배치되었을 때, 상기 제2 조작부는, 상기 제1 조작부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장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되면 상기 제1 조작 수단에 연동하여 상기 제2 위치로 복귀하는, 스피닝 릴.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작 부재는, 상기 제2 조작부보다 요동 중심 측에 배치된 제3 조작부를 가지는, 스피닝 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규제 상태는 상기 제2 규제 상태보다 규제가 약한 상태인, 스피닝 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규제 상태는, 상기 회전 규제 수단에 의한 규제가 해제되는 상태인, 스피닝 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규제 상태를 조정할 수 있는 규제 상태 조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스피닝 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규제 상태는 상기 제1 규제 상태보다 규제가 약한 상태인, 스피닝 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규제 상태는, 상기 회전 규제 수단에 의한 규제가 해제되는 상태인, 스피닝 릴.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수단은, 상기 로터가 실이 풀려 나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만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작 수단은, 상기 제동 부재에 접촉 가능한 제동 작용부를 기단에 구비하고,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상기 제1 조작부를 상기 장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상기 제동 작용부가 상기 제동 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로터가 제동되는, 스피닝 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규제 수단은 제동 수단과 겸용되고, 상기 제2 조작 수단이 상기 제동 부재에 접촉하면 상기 로터가 제동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규제 상태로 되는, 스피닝 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규제 수단은, 상기 로터의 역전을 허용하는 상기 제1 규제 상태와 상기 로터의 역전을 금지하는 상기 제2 규제 상태를 취할 수 있는 역전 방지 수단인, 스피닝 릴.
KR1020010073621A 2000-12-04 2001-11-24 스피닝릴 KR100745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68136 2000-12-04
JP2000368136A JP2002171881A (ja) 2000-12-04 2000-12-04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0371102A JP4462754B2 (ja) 2000-12-06 2000-12-06 スピニングリール
JPJP-P-2000-00371102 2000-12-06
JPJP-P-2001-00196134 2001-06-28
JP2001196134A JP3736792B2 (ja) 2001-06-28 2001-06-28 スピニング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442A true KR20020043442A (ko) 2002-06-10
KR100745314B1 KR100745314B1 (ko) 2007-08-01

Family

ID=27345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621A KR100745314B1 (ko) 2000-12-04 2001-11-24 스피닝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745314B1 (ko)
CN (1) CN1204808C (ko)
TW (1) TW5182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8152B2 (ja) * 2009-08-20 2014-09-1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6352756B2 (ja) * 2014-09-30 2018-07-04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のトルク制限装置
JP6964998B2 (ja) * 2017-03-08 2021-11-1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57226A (zh) 2002-07-10
CN1204808C (zh) 2005-06-08
TW518207B (en) 2003-01-21
KR100745314B1 (ko) 200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35090Y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のドラグ装置
KR100745314B1 (ko) 스피닝릴
KR100947802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KR101191077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KR20030055176A (ko)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
JP2004141144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KR100923134B1 (ko) 스피닝 릴
KR100877308B1 (ko) 스피닝 릴
JP426671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KR100886920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규제 장치
JP446275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KR100905294B1 (ko) 스피닝 릴
JP373679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KR100978631B1 (ko)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
JP2002000146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432446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KR20030023587A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JP2002171881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522577Y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401590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動作装置
JPH1156182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4221240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3839960B2 (ja)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操作機構
JP2001128599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5176779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