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3049A - 열 융합 복합 부직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 융합 복합 부직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3049A
KR20020043049A KR1020000072507A KR20000072507A KR20020043049A KR 20020043049 A KR20020043049 A KR 20020043049A KR 1020000072507 A KR1020000072507 A KR 1020000072507A KR 20000072507 A KR20000072507 A KR 20000072507A KR 20020043049 A KR20020043049 A KR 20020043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fiber
carding machine
manufacturing
composite non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2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명기
Original Assignee
조명기
성림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명기, 성림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명기
Priority to KR1020000072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3049A/ko
Publication of KR20020043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3049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the fibres being within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6Absorbent pads; Tampons; Laundry; Tow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생용품이나 일회용품으로 사용되는 일회용 기저귀, 생리대, 필터등으로 사용되는 복합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 각기 다른 2종의 섬유를 상부에 20%의 폴리에테르섬유를 공급하고 하부에 80%의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공급하여 열 융합기에 의해 융합되게하여 원가 절감에 도움이 되게한 열 융합 복합 부직포의 제조 방법

Description

열 융합 복합 부직포의 제조방법 { Making method of compound texture }
본 발명은 복합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열 융합 복합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융점을 달리하는 섬유형성성중합체를 복합성분으로 하는 복합섬유를 사용하여 얻은 부직포는 일본국 특허공보(소) 제42-21318호, 일본국 특허공보(소) 제44-22547호 등에 공지되어 있다. 최근 부직포의 용도가 다양화함에 따라, 부직포에 요구되는 성능도 고도화되어 가능하면 적은 부직포 중량으로서 높은 부직포 장력을 유지하고, 또한 소프트한 촉감이 기본적으로 요구되어 왔으며, 단지 융점차이를 갖는 복합성분으로 구성된 복합섬유를 사용하는 상기 공지의 방법에 의해서는 이들 요건을 만족 시킬수 없었다.
종래의 스판본드 복합 부직포의 웹형성은 통상의 방법으로 용융방사된 폴리프로필렌를 고속의 공기를 이용하여 연신시킨 다음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는 이젝터(EJECTOR)에 의해 개섬시켜 넷트 컨베이어 상에 공기흡입에 의해서 집적시켜 일정한 두께로 웹을 형성하였다
상기 수지에 발란스 물질로 물을 사용하여 고형분이 12-20%인 액상 수지액을 만들어 스판본드를 침전시킨 후 맹글로 압착시켜 WET PICK-UP100∼150wt%가 되도록 한 다음 예비건조 및 수지 가교를 시키기 위해 185∼200%의 공기가 관통하는 흡입형태의 드럼으로 건조시킨다. 상기 수지의 고형분 부착량은 20∼60g/㎡로 한다. 상기 고형분 부착량이 20g/㎡미만일 경우는 요구되는 물성을 얻기가 힘들다. 또60g/㎡미만를 초가하는 경우 특수성이 떨어져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상기 수지 가공된 스판본드 부직포의 표면평활성 및 요구되는 두께를 조정하기 위해서 캘린더 처리를 한다. 칼렌더의 상부 롤의 온도를 100∼150℃로하고 하부롤의 온도는 50∼100℃로 하여 열전달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롤의 압력은 두께에 따라 조정될 수 있게한 스판본드 제조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또한 카딩기을 통한 열융합 방법을 통해 만들어지는 부직포가 이용되고 있으며, 이는 섬유형성성중합체를 복합성분으로 합성하여 사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단일성분으로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대, 위생용품에 사용되는 부직포를 생성하고 있으나, 이는 고가의 섬유를 카딩기를 통해 공급되는 섬유를 열 융합하여 생산하는 것이다.
위생용품으로 일회용기저귀나 생리대에 사용되는 섬유는 폴리에테르 100%섬유를 사용하거나, 폴리에테르 50%와 폴리프로필렌 50%를 혼합기(멜트블로윙기)를 통해 혼합하여 카딩기를 통해 열 융합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의료용이나 위생용품으로 사용되는 부직포는 피부에 접촉되는 면의 촉감이 브드럽고, 유연하고 매끄러워야 한다. 그러나 상기의 폴리에테르50%와 폴리프로필렌50%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부직포는 기능성이 낮고, 폴리에테를100%를 사용하는 것은 섬유가 비싼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각기 다른 2종의 섬유를 상부에 20%의 폴리에테르섬유를 공급하고 하부에 80%의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공급하여 열 융합기에 의해 융합되게하여 원가 절감에 도움이 되게한 열 융합 복합 부직포의 제조 방법를 제공함을 그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 부직포의 도식적 단면도
도 2은 본 발명의 복합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향균제나 향료를 분사하는 분사대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폴리에테르 섬유 20;폴리프로필렌 섬유
30;제1카딩기 40;제2카딩기
50;열 융합로울러 60;분사기
본 발명은 열 융합을 이용한 복합 부직포에 적용되는 것으로, 폴리 에테르 섬유(10)를 공급하는 제1카딩기(30)와; 폴리 프로필렌 섬유(20)를 공급하는 제2카딩기(20)와; 이들을 합성하는 융합로울러(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카딩기의 공정은 이미 숙련된 기술자에 의해 공지된 사항이고, 제1카딩기(30)는 폴리에테르 섬유(10)을 멜트블로윙기에 의해 분쇄하여 20%의 섬유를 상부에서 공급하고, 제2카딩기(40)는 폴리프로필렌 섬유(20)을 멜트브로윙기에 의해 분쇄하여 80%의 섬유를 하부에 공급하여 열 융합로울러(50)에 삽입된다.
열 융합로울러(50)는 제1카딩기(30)와 제2카딩기(40)에서 공급된 섬유를 상하로 합하여 제1로울러와 제2로울러의 사이로 삽입되어 융합되는 것이다. 부직포의 두께는 로울러(5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복합 부직포 제조방법은 기존의 열 융합부직포 제조방법에 제2카딩기(40)를 설치하여 두 개의 섬유를 제공하므로 이루워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열 융합 복합 부직포를 제조함으로서, 기존에 사용되어 왔던 폴리에테르100%의 성분을 이용하여 사용한 위생용품이나 의약용품에 사용되는 고가 섬유의 부직포와 기능 및 성능에는 차이가 없으며, 고가의 폴리에테르의 섬유의 량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원가 절감에 큰 도움이 되는 복합 부직포를 제조할수 있다.

Claims (2)

  1. 복합 부직포를 제조함에 있어서, 각기 다른 2종의 섬유를 상부에 20%의 폴리에테르 섬유(10)를 공급하고 하부에 80%의 폴리프로필렌 섬유(20)를 공급하여 열 융합 로울러(50)에 의해 융합되게 하여 원가 절감에 도움이 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융합 복합 부직포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제1카딩기(30)와 하부 제2카딩기(40)사이에 향균제와 향료를 분사하는 분사기(6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열 융합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20000072507A 2000-12-01 2000-12-01 열 융합 복합 부직포의 제조방법 KR200200430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507A KR20020043049A (ko) 2000-12-01 2000-12-01 열 융합 복합 부직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507A KR20020043049A (ko) 2000-12-01 2000-12-01 열 융합 복합 부직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049A true KR20020043049A (ko) 2002-06-08

Family

ID=27679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507A KR20020043049A (ko) 2000-12-01 2000-12-01 열 융합 복합 부직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30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646A (ko) * 2001-08-17 2003-02-25 황범수 음이온 발생 물질을 포함하는 부직포 에어필터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762A (ja) * 1992-06-03 1994-02-22 Asahi Chem Ind Co Ltd 複合不織布
WO1997005660A1 (fr) * 1995-08-02 1997-02-13 Matsushita Electronics Corporation Dispositif de prise de vues a semi-conducteurs et fabrication dudit dispositif
KR970010445A (ko) * 1995-08-30 1997-03-27 라르스 브로르센 안전 벨트 신축기구의 장력 제한 장치
JPH09302586A (ja) * 1996-05-15 1997-11-25 Asahi Chem Ind Co Ltd 衛生材料用ポリオレフィン系不織布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762A (ja) * 1992-06-03 1994-02-22 Asahi Chem Ind Co Ltd 複合不織布
WO1997005660A1 (fr) * 1995-08-02 1997-02-13 Matsushita Electronics Corporation Dispositif de prise de vues a semi-conducteurs et fabrication dudit dispositif
KR970010445A (ko) * 1995-08-30 1997-03-27 라르스 브로르센 안전 벨트 신축기구의 장력 제한 장치
JPH09302586A (ja) * 1996-05-15 1997-11-25 Asahi Chem Ind Co Ltd 衛生材料用ポリオレフィン系不織布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646A (ko) * 2001-08-17 2003-02-25 황범수 음이온 발생 물질을 포함하는 부직포 에어필터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9192B2 (en) Cotendered nonwoven/pulp fabric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100575584C (zh) 纺粘类无纺布及卫生材料
KR101019805B1 (ko) 터프트화된 섬유질 웨브
KR100393863B1 (ko) 니트형부직포복합재료
CN100563499C (zh) 化妆品浸渗用皮肤被覆片材及其制造方法、及使用其的面膜
US6642429B1 (en) Personal care articles with reduced polymer fibers
US20020168910A1 (en) Method for producing a complex nonwoven fabric and resulting novel fabric
US20060128249A1 (en) Hydroentangled continuous filament nonwoven fabric and the articles thereof
EP1707657A1 (en) Process for producing elastic and/or water degradable webs from composite filaments
CN1333124C (zh) 纤维层状制品和制造该纤维层状制品的方法
JP2008542570A (ja) 被成形繊維の布地
US20050188513A1 (en) Method for producing a complex nonwoven fabric and resulting novel fabric
EP1743971A3 (fr) Non-tissé comprenant une nappe en filaments continus,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et son application en tant que chiffon d'essuyage
JPH1086256A (ja) 複合化不織布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US20050020159A1 (en) Hydroentangled continuous filament nonwoven fabric and the articles thereof
JPH1136168A (ja) 衛生材料およびメディカル用不織布
US20040133177A1 (en) Barrier performance of absorbent article components
CN113512824A (zh) 一种细旦复合无纺布及其制造方法
KR101874707B1 (ko)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CN101173420A (zh) 一种利用回收聚酯废料生产无纺布的技术
KR20020043049A (ko) 열 융합 복합 부직포의 제조방법
CN215366242U (zh) 一种细旦复合无纺布
CN219010626U (zh) 水刺无纺布、复合无纺布及卫生吸收制品
JPH0482949A (ja) 不織布及びその製造法
KR20150136666A (ko) 입체 형상을 갖는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