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2979A - T-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T-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2979A
KR20020042979A KR1020000072353A KR20000072353A KR20020042979A KR 20020042979 A KR20020042979 A KR 20020042979A KR 1020000072353 A KR1020000072353 A KR 1020000072353A KR 20000072353 A KR20000072353 A KR 20000072353A KR 20020042979 A KR20020042979 A KR 20020042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roller
rollers
resin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2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2267B1 (ko
Inventor
한미아
Original Assignee
한미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67894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4297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아 filed Critical 한미아
Priority to KR10-2000-0072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2267B1/ko
Publication of KR20020042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2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 F16L58/02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by means of internal or external coatings
    • F16L58/04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 F16L58/10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by rubber or plastics
    • F16L58/1054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by rubber or plastics the coating being placed outside the pipe
    • F16L58/109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by rubber or plastics the coating being placed outside the pipe the coating being an extrud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6Tubes and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주로 대구경의 강관에 적용하여 수지피복층을 형성하고 있는 T-다이 압출기를 이용하여 소구경의 강관에도 적용하여 원하는 두께의 수지피복층을 형성할 수 있는 T-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코팅방법은, 강관(W)의 하부 양쪽을 받쳐지지하는 한 쌍의 로울러 (12)가 공정라인을 따라 다수 쌍 설치되고, 상기 로울러(12)들은 강관(W)의 지름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기울기각도(Tanθ)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한 콘베이어(1)를 이용하여, 강관(W) 사이즈의 규격이 100∼1500A 일 때, 상기 로울러(12)의 기울기각도를 5∼10°범위내에서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강관 (W)의 이송리드거리를 50∼358㎜로 설정하고 0.9∼4m/min의 속도로 강관(W)을 자체회전시키면서 공정라인을 따라 직선이송시키는 단계와; 자체회전하면서 직선이송하는 강관(W)의 바깥둘레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고압스팀으로 세척하는 단계와; 세척된 강관(W)을 가열로에서 155∼230℃로 예열하는 단계와; 상기 예열된 강관(W)의 외면에 T-다이 압출기를 이용하여 띠형상의 방수성 접착제 및 방수성 수지를 압출성형하여 강관(W)의 사이즈에 따라 50∼358㎜ 피치(P)의 나선형으로 감아 2∼3.5㎜ 두께의 수지피복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수지피복된 강관(W)을 냉각실에서 냉각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코팅장치는, 공정라인을 형성하는 레일(11)과, 상기 레일(11)상에 레일(11)을 따라 설치되고 강관(W)을 양쪽에서 받쳐지지함과 동시에, 강관(W)을 자체회전시키면서 공정라인을 따라 이송시키도록 강관(W)의 지름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기울기각도로 설치된 한쌍의 로울러(12)를 1조로 하는 다수쌍의 로울러(12)와, 상기 다수개의 로울러(12)가 연동하도록 연결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을 회전구동시켜 각 로울러(1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강관(W)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각 로울러(12)의 기울기각도를 5∼10°로 조절하기 위한 강관(W)의 이송리드거리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콘베이어(1)와; 상기 공정라인에 설치되어 로울러(12)에 의해 자체회전하면서 직선이송하는 강관(W)의 바깥둘레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쇼트블러스터와; 상기 공정라인에 설치되어 쇼트블러스터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을 고압스팀으로 세척하는 고압스팀세척기와; 상기 공정라인에 설치되어 세척된 강관(W)을 155∼230℃로 예열하는 가열로와; 상기 공정라인에 설치되어 예열된 강관(W)의 외면에 띠형상의 방수성 접착제 및 방수성 수지를 압출성형하여 일정한 피치(P)의 나선형으로 감아 수지피복층을 형성하는 T-다이 압출기와; 상기 공정라인에 설치되어 수지피복된 강관(W)을 냉각시키는 냉각실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T-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방법 및 그 장치{T-DIE EXTRUSION TYPE COATING METHOD FOR STEEL PIPE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땅에 매설하여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강관이 쉽게 부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T-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가스나 천연가스, 석유화학제품, 상하수도 및 농공업 용수등을 운반하거나 혹은 해저통과배관, 전력통신케이블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이즈가 다른 여러종류의 강관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강관을 제조하여 그대로 땅에 매설하는 경우, 쉽게 부식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고, 이를 위해 강관의 외면에 각종 라이닝, 도장 혹은 수지피복층을 형성하여 부식성을 극복하고 있다.
이중, 강관의 외면에 수지피복층을 형성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강관의 외면에 이물질이 없도록 제거하여 깨끗하게 처리한 후, 강관을 수지피복에 적합한 온도로 예열하고, 원형다이 압출기 또는 T-다이 압출기를 이용하여 강관의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그 위에 방식성 수지피복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수지피복층을 형성한 강관을 냉각시킴으로써 코팅을 마치게 되며, 이후에 강관의 코팅불량여부를 검사하고, 강관의 끝단부(다른 강관과의 이음부)는 수지피복층을 벗겨내는 끝처리를 행하며, 마킹 및 최종검사를 거쳐 출하된다. 이러한 수지피복층 형성공정은, 다수개의 강관을 콘베이어로 연이어 이송시키면서 순차적으로 행하여진다.
이때, 수지피복층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다이 압출기는, 강관을 원형다이 내로 직선이동시켜, 강관이 원형다이내를 통과할 때, 강관의 외면둘레 전체에 수지를 압출성형하여 피복하는 방식이고, 주로 100∼350A의 소구경 강관에 수지피복층을 형성할 때 사용한다. 강관의 사이즈가 400∼1500A 인 대구경의 경우에는, 그 만큼 원형다이 압출기도 대형화되므로 운영비가 많이 들고, 강관의 사이즈에 따라 대형의 원형다이 압출기를 여러개 갖추어야 하므로 설비비용이 많이 들어 제조단가가 상승하기 때문에 적용하지 않고 있다.
T-다이 압출기는, 강관을 일정한 속도로 직선이동시킴과 동시에 자체회전시키고, 강관의 일측에 위치한 T-다이 압출기로부터 띠형상의 수지를 압출시켜 강관에 나선형으로 일부 중첩되게 감아 피복층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2층코팅(1층-접착제, 2층-폴리에틸렌)과 3층코팅(1층-에폭시, 2층- 접착제, 3층-폴리에틸렌)방식이 있다.
T-다이 압출기는 이송되는 강관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강관의 사이즈에 따라 T-다이 압출기를 대형화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규격이 400∼1500A 인 대구경 강관에 수지피복층을 형성할 때 사용한다.
이때, T-다이 압출기는 띠형상의 수지를 강관의 외면에 일정한 피치 이상으로 감아야만 수지피복층을 원하는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규격이 400∼1500A의 대구경인 경우, 사이즈에 따라 코팅피치는 128∼358㎜이 되어야 2∼3.5㎜의 수지피복층의 두께를 얻을 수 있다. 현재의 코팅장치는 모든 설정조건이 400∼1500A의 대구경에 맞도록 세트되어 있기 때문에, 규격이 100∼350A인 소구경 강관의 경우에는 이에 적합한 코팅피치를 설정할 수 없어 코팅시 띠형상의 수지가 과도하게 코팅되거나 너무 얇게 코팅되어 2∼3.5㎜의 두께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종래에는 소구경에서 대구경까지 모든 종류의 강관에 수지피복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소구경용 원형다이 압출기 및 대구경용 T-다이 압출기를 모두 갖추어야 하므로 장비의 구입비 및 운영비가 많이 들어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주로 대구경의 강관에 적용하여 수지피복층을 형성하고 있는 T-다이 압출기를 이용하여 소구경의 강관에도 적용하여 원하는 두께의 수지피복층을 형성할 수 있는 T-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장치로 소구경에서 대구경까지 코팅할 수 있게함으로써 장비의 구입비용 및 운영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T-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T-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공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T-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팅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a)는 쇼트 블러스터에 의한 강관의 표면 이물제거 공정을 나타내고, (b)는 고압스팀세척기에 의한 강관의 세척공정을 나타내고, (c)는 가열로에 의한 강관의 예열공정을 나타내고, (d)는 T-다이 압출기에 의한 접착제도포 및 수지피복공정을 나타내고, (e) 및 (f)는 냉각실에 의한 냉각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강관을 이송하기 위한 콘베이어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부분절결 측면도.
도 7은 도 5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로울러의 기울기각도 조절수단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평면도.
도 9는 도 8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베이어2 : 쇼트블러스터
3 : 고압스팀세척기4 : 가열로
5 : 히터6 : T-다이 압출기
6a : 접착제 도포용 압출기6b : 수지피복용 압출기
7 : 냉각실7a : 에어분사노즐
7b : 냉각수 분사노즐11 : 레일
12 : 로울러13 : 회전축
14 : 베어링15 : 로울러 지지대
16 : 유니버셜조인트17 : 연결축
18 : 구동모터19 : 동력전달기구
21 : 회전아암22 : 고정베이스
23 : 수직축24 : 연결봉
25 : 구동실린더31 : 로울러 지지대
32 : 보울트33 : 너트
34 : 조절구멍35 : 고정베이스
상기 목적은, 강관의 하부 양쪽을 받쳐지지하는 한 쌍의 로울러가 공정라인을 따라 다수 쌍 설치되고, 상기 로울러들은 강관의 지름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기울기각도(Tanθ)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한 콘베이어를 이용하여, 강관 사이즈의 규격이 100∼1500A 일 때, 상기 로울러의 기울기각도를 5∼10°범위내에서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강관의 이송리드거리를 50∼358㎜로 설정하고 0.9∼4m/min의 속도로 강관을 자체회전시키면서 공정라인을 따라 직선이송시키는 단계와; 자체회전하면서 직선이송하는 강관의 바깥둘레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고압스팀으로 세척하는 단계와; 세척된 강관을 가열로에서 155∼230℃로 예열하는 단계와; 상기 예열된 강관의 외면에 T-다이 압출기를 이용하여 띠형상의 방수성 접착제 및 방수성 수지를 압출성형하여 강관의 사이즈에 따라 50∼358㎜ 피치의 나선형으로 감아 2∼3.5㎜ 두께의 수지피복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수지피복된 강관을 냉각실에서 냉각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T-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울러의 기울기각도는, 강관 사이즈의 규격이 100∼350A의 소구경일 때 7.5∼10°로 조절하여 강관의 이송리드거리를 50∼130㎜로 설정하고, 강관 사이즈의 규격이 400∼1500A의 대구경일 때 5∼7.5°로 조절하여 강관의 이송리드거리를 128∼358㎜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공정라인을 형성하는 레일과, 상기 레일상에 레일을 따라 설치되고 강관을 양쪽에서 받쳐지지함과 동시에, 강관을 자체회전시키면서 공정라인을 따라 이송시키도록 강관의 지름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기울기각도로 설치된 한쌍의 로울러를 1조로 하는 다수쌍의 로울러와, 상기 다수개의 로울러가 연동하도록연결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을 회전구동시켜 각 로울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강관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각 로울러의 기울기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강관의 이송리드거리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콘베이어와; 상기 공정라인에 설치되어 로울러에 의해 자체회전하면서 직선이송하는 강관의 바깥둘레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쇼트블러스터와; 상기 공정라인에 설치되어 쇼트블러스터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을 고압스팀으로 세척하는 고압스팀세척기와; 상기 공정라인에 설치되어 세척된 강관을 예열하는 가열로와; 상기 공정라인에 설치되어 예열된 강관의 외면에 띠형상의 방수성 접착제 및 방수성 수지를 압출성형하여 일정한 피치의 나선형으로 감아 수지피복층을 형성하는 T-다이 압출기와; 상기 공정라인에 설치되어 수지피복된 강관을 냉각시키는 냉각실로 이루어지는 T-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베이어의 로울러 기울기각도 조절수단은, 한 쌍의 로울러를 회전자유롭게 지지하는 로울러 지지대가 고정되는 각각의 회전아암과, 상기 각 회전아암의 하부에 위치하여 레일상에 고정되는 고정베이스와, 상기 한 쌍의 로울러 사이 중심위치를 회전중심으로하여 고정베이스에 대하여 회전아암이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는 중심축과, 상기 각 회전아암의 일끝단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연결봉과, 상기 각 회전아암이 중심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도록 상기 연결봉을 직선이동시키는 실린더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콘베이어의 로울러 기울기각도 조절수단은, 레일상에 고정베이스를 고정하고, 한 쌍의 로울러를 회전자유롭게 지지하는 로울러 지지대에 상기 고정베이스와 보울트 및 너트로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구멍은 각각의 로울러를 중심으로 하는 기다란 원호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T-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방법 및 그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팅공정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전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로서, 먼저 강관의 외면에 수지피복층을 형성하기 위한 각 공정으로의 강관 이송은, 공정라인을 이루는 콘베이어(1)에 의해 이루어진다. 콘베이어(1)는 후술하는 구성에 의해 규격이 100∼1500A인 강관 (W)을 50∼358㎜의 리드거리로 자체회전시키면서 0.9∼4.5m/min의 이송속도로 공정라인을 따라 직선이송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자체회전하면서 직선이송하는 강관(W)은 공정라인에 설치된 쇼트 블러스터(2)를 통과하게 되고,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트 블러스터(2)는 미립자를 고속으로 분사하여 강관(W)의 바깥둘레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물질이 제거된 강관(W)은 연속해서 공정라인에 설치된 고압스팀세척기(3)를 통과하게 되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스팀세척기(3)는 스팀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강관(W)의 외면에 이물질이 잔류하지 않도록 깨끗하게 세척하게 된다.
이어서 세척된 강관(W)은 공정라인에 설치된 가열로(4)를 통과하게 되고,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로(4)에는 히터(5)가 설치되어 이 히터(5)에 의해강관(W)을 수지피복층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강관의 표면온도인 155∼230℃ 로 예열한다.
강관의 표면온도는 예컨데, 230℃보다 높을 경우에는 강관(W)의 재질을 변화시킬 수 있고, 피복되어지는 수지가 고온에 의해 변형되어 균일한 두께로 피복되기 어렵다. 또한 155℃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수지의 접착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수지와 강관(W) 사이에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어서 예열된 강관(W)은 공정라인에 설치된 T-다이 압출기(6)를 통과하면서 외면에 수지피복층이 형성된다. 즉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T-다이 압출기(6)는 접착제 도포용 압출기(6a)와 수지피복용 압출기(6b)를 나란히 배치하고 있으며, 먼저 접착제 도포용 압출기(6a)를 통해 띠상의 접착제를 강관(W)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감아 도포하고, 계속해서 수지피복용 압출기(6b)를 통해 띠상의 수지를 강관(W)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감아 도포하여 수지도포층을 형성하게 된다.
강관(W)은 자체회전하면서 직선이동하는 것이므로, 띠상의 접착제 및 수지를 강관(W)의 이송리드거리와 동일한 피치(P)의 나선형으로 감을 수 있고, 띠형상 수지의 폭은 강관(W)의 규격에 따라 360∼725㎜로 설정된다. 이때 수지피복시의 피치(P)는 수지피복층의 두께를 결정하게 되고, 피치(P)는 강관(W)의 이송리드거리와 동일하다. 따라서 강관(W)의 이송리드거리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수지피복시의 피치(P)가 결정된다.
또한 접착제 및 수지는 방수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지는 폴리에틸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수지피복층이 형성된 강관(W)은 공정라인에 설치된 냉각실(7)을 통과하게 되고, 도 3의 (e),(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실(7)에는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노즐(7a) 및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분사노즐(7b)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분사노즐(7a)로 에어를 분사하여 강관(W)의 코팅된 표면을 110∼150℃로 1차냉각시키고, 계속하여 냉각수분사노즐(7b)로 냉각수를 분사하여 강관(W)의 코팅된 표면을 50∼80℃로 2차냉각시킴으로써 코팅공정을 완료한다. 이러한 1차 냉각 및 2차 냉각을 통해 수지피복층은 자국이 없고, 수축작용없이 경화되어지므로 일정한 두께의 수지피복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코팅공정이 완료된 강관(W)은 후처리, 즉 핀홀검사기를 통과시켜 표면에 이상이 있는지 없는지의 여부를 검사하게 되고, 브러쉬가공으로 강관의 끝부분, 즉 다른 강관과의 이음부분에 있는 수지피복층을 벗겨낸 후, 마킹하여 출하되어진다.
이와 같은 공정으로 코팅되는 본 발명은, 규격이 100∼1500A 인 강관(W)의 이송리드거리를 50∼358㎜로 조절하여 수지피복시의 피치(P)를 50∼358㎜ 로 설정함으로써 2∼3.5㎜ 두께의 수지피복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는 강관(W)을 50∼358㎜의 이송리드거리로 자체회전시키면서 직선이송시키기 위한 콘베이어(1)가 도시된 것으로, 콘베이어(1)는 공정라인을 형성하는 기다란 레일(11)을 구비하고, 상기 레일(11)상에는 레일(11)을 따라 한 쌍을 1조로하는 다수쌍의 로울러(12)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로울러(12)는 강관(W)을 양쪽에서 받쳐지지함과 동시에, 강관(W)을 자체회전시키면서 공정라인을 따라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로울러(12)의 회전축 (13) 양단은 양쪽의 베어링(14)에 의해 회전지지되고, 베어링은 레일(11)상에 설치되는 로울러지지대(15)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다수쌍의 로울러(12)중, 한쪽열에 위치한 로울러(12)들의 회전축 (13)은 유니버셜조인트(16)를 통해 연동가능하도록 연결축(17)으로 연결되어 있고, 연결축(17)은 구동모터(18)에 동력전달기구(19)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18)가 회전구동되면, 동력전달기구(19)에 의해 연결축(17)이 회전되므로 한쪽 열의 각 로울러(12)가 회전할 수 있게 되며, 구동모터(18)에 의한 한쪽 열의 각 로울러(12)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강관(W)의 이송속도를 0.9∼4.5m/min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로울러(12)들은 강관(W)을 자체회전시키면서 이송시키기 위해 모두 강관(W)의 지름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기울기각도로 설치되고, 로울러(12)의 기울기각도는 강관(W)의 이송리드거리를 결정하게 된다.
즉 강관(W)의 이론상 리드거리는,
D(강관의 외경) ×3.14 ×tanθ[강관(W)의 지름방향에 대한 로울러(12)의 기울기각도]
으로 구할 수 있고, 실제리드거리는
이론상 리드거리 ×로울러의 마찰손실로 인한 실제효율(%)
로서 구할 수 있으며, 실제리드거리는 수지피복시의 피치(P)가 된다.
상기와 같은 로울러(12)의 기울기각도는 강관(W)의 규격에 따라 로울러 기울기각도 조절수단에 의해 5∼10°로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로울러 기울기각도 조절수단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로울러 지지대(15)를 고정하기 위한 회전아암(21)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아암 (21)의 하부에 고정베이스(22)를 위치시켜 레일(11)상에 고정하며, 상기 한 쌍의 로울러(12) 사이 중심위치를 회전중심(O)으로하여 고정베이스(22)에 대하여 회전아암(21)이 회전가능하도록 축지지하는 수직축(23)을 상기 고정베이스(22)와 회전아암(21)사이에 설치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회전아암(21)은 각 쌍의 로울러(12)마다 설치되고, 각 회전아암(21)의 일끝단은 연결봉(24)으로 연결하여 고정하고, 상기 연결봉(24)은 공압 또는 유압으로 작동하는 구동실린더(25)로 화살표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구동실린더(25)를 작동시켜 연결봉(24)을 직선왕복운동시키는 것에 의해 다수개의 회전아암(21)이 동시에 수직축(23)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하므로 강관(W)의 지름방향에 대한 로울러 기울기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전체의 로울러(12)를 동시에 각도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연결봉은 직선이동하고, 회전아암(21)은 회전중심(O)에 대하여 원호이동 하지만, 로울러(12)의 기울기각도는 5∼10°이므로, 회전아암(21)의 최대회전각은 5°이고, 연결봉(24)과 연결되는 회전아암(21)의 끝부분이 회전중심(O)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회전아암(21)의 끝부분은 거의 직선에 가깝게 원호이동하므로 회전아암(21)과 연결봉(24)의 고정부위를 절곡가능하게 연결할 필요는 없다.
도 8 및 도 9는 로울러(12) 기울기각도 조절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각각의 로울러(12)를 수동으로 조절하도록 한 구성이다.
즉, 레일(11)상에 고정베이스(35)를 설치하고, 각각의 로울러(12)를 회전자유롭게 각각 지지하는 로울러 지지대(31)를 보울트(32) 및 너트(33)로 상기 고정베이스(35)에 각각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조절구멍(34)을 로울러 지지대(31)의 네모서리부에 형성하며, 상기 조절구멍(34)은, 각각의 로울러(12) 중심점(O')을 회전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으로 길게 형성한 구성이다.
따라서 로울러(12)의 기울기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보울트(32) 및 너트(33)를 풀고, 로울러 지지대(31)를 조절하고자하는 각도 만큼 회전시켜 다시 보울트(32) 및 너트(33)로 고정하면 중심점(O')을 중심으로 하는 로울러의 기울기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강관(W)의 규격에 따라 상기 로울러(12)의 기울기 각도, 즉 tanθ를 5∼10°로 조절하여 원하는 강관(W)의 이송리드거리를 설정함으로써 수지피복시 원하는 피치(P)로 감을 수 있다.
다음의 표는 각 강관(W)의 규격에 대한 로울러 기울기각도 설정시의 실제리드거리[수지피복시의 피치(P)]를 나타낸 것이다.
<표>
강관사이즈 강관외경(D) tanθ 이론상 리드거리(L)(수지피복시의 피치)D ×tanθ×3.14 로울러마찰효율(%) 실제리드거리(실제수지피복시의피치)L ×마찰효율(%)
100A 114.2㎜ 10° 63.22㎜ 80% 50.58㎜
150A 165.2㎜ 82.17㎜ 70% 57.52㎜
200A 216.3㎜ 107.58㎜ 70% 75.31㎜
250A 267.4㎜ 133.00㎜ 68% 90.44㎜
300A 318.5㎜ 158.41㎜ 72.6% 115.01㎜
350A 355.6㎜ 7.5° 153.64㎜ 73.5% 112.93㎜
350A 355.6㎜ 176.87㎜ 73.5% 130.00㎜
400A 406.4㎜ 7.5° 175.59㎜ 72.9% 128.01㎜
500A 508.0㎜ 167.65㎜ 74.56% 125.00㎜
500A 508.0㎜ 7.5° 219.49㎜ 75.1% 164.84㎜
600A 609.6㎜ 5.5° 195.63㎜ 76.6% 149.85㎜
750A 762.0㎜ 5.5° 244.53㎜ 81.7% 199.78㎜
900A 914.4㎜ 5.5° 293.44㎜ 78.3% 229.76㎜
1500A 1524.0㎜ 418.72㎜ 85.5% 358.01㎜
※ tan5°= 0.0875, tan5.5°= 0.1022, tan6°= 0.1051,
tan7.5°= 0.1376, tan9°= 0.1584, tan10°= 0.1763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강관(W)의 규격이 100∼1500A인 경우 로울러(12)의 기울기각도를 5∼10°로 조절해야 50∼358㎜ 범위내의 실제리드거리로 강관을 이송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지피복시의 피치를 50∼358㎜ 로 설정하여 강관의 외면에 2∼3.5㎜ 두께의 수지피복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규격이 100A인 강관을 코팅할 때 로울러 기울기각도를 9°이하로 설정하면, 실제리드거리가 50㎜이하로 짧아지기 때문에 수지피복층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므로 2∼3.5㎜의 두께로 피복할 수 없고. 규격이 1500A인 강관을 코팅할 때 로울러 기울기각도를 6°로 설정하면, 실제리드거리가 430㎜가 되어 너무 얇게 코팅되므로 2∼3.5㎜의 두께로 피복할 수 없다. 또한 한쪽 열의 각 로울러(12)는 유니버셜조인트(16)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유니버셜조인트(16)의 회전전달가능 각도인 10°이상으로는 설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실시예 1>
규격이 100A인 소구경 강관(W)의 코팅시, 콘베이어(1)의 로울러(12) 기울기각도인 tanθ를 10°로 조절하여 강관(W)의 실제리드거리를 50.58㎜로 설정함과 동시에, 강관(W)의 이송속도를 4.0m/min 로 하고, T-다이 압출기에 의해 50.58㎜의 피치(P)로 수지를 감은 결과, 2㎜ 두께의 수지피복층이 형성되었다.
<실시예 2>
규격이 250A인 소구경 강관(W)의 코팅시, 콘베이어(1)의 로울러(12) 기울기 각도인 tanθ를 9°로 설정하여 강관(W)의 실제리드거리를 90.44㎜로 설정함과 동시에, 강관(W)의 이송속도를 3.5m/min 로 하고, T-다이 압출기에 의해 90.44㎜의 피치(P)로 수지를 감은 결과, 2.5㎜ 두께의 수지피복층이 형성되었다.
<실시예 3>
규격이 350A인 소구경 강관(W)의 코팅시, 콘베이어(1)의 로울러(12)의 기울기 각도인 tanθ를 9°로 설정하여 강관(W)의 실제리드거리를 130.00㎜ 로 설정함과 동시에, 강관(W)의 이송속도를 2.8m/min 로 하고, T-다이 압출기에 의해 130.00㎜의 피치(P)로 수지를 감은 결과, 2.5㎜ 두께의 수지피복층이 형성되었다.
<실시예 4>
규격이 500A인 대구경 강관(W)의 코팅시, 콘베이어(1)의 로울러(12) 기울기 각도인 tanθ를 6°로 설정하여 강관(W)의 실제리드거리를 125.00㎜ 로 설정함과동시에, 강관(W)의 이송속도를 2.4m/min 로 하고, T-다이 압출기에 의해 125.00㎜의 피치(P)로 수지를 감은 결과, 2.5㎜ 두께의 수지피복층이 형성되었다.
<실시예 5>
규격이 900A인 대구경 강관(W)의 코팅시, 콘베이어(1)의 로울러(12) 기울기 각도인 tanθ를 5.5°로 설정하여 강관(W)의 실제리드거리를 229.76㎜로 설정함과 동시에, 강관(W)의 이송속도를 1.3m/min 로 하고, T-다이 압출기에 의해 229.76㎜의 피치(P)로 수지를 감은 결과, 2.5㎜ 두께의 수지피복층이 형성되었다.
<실시예 6>
규격이 1500A인 대구경 강관(W)의 코팅시, 콘베이어(1)의 로울러(12) 기울기 각도인 tanθ를 5°로 설정하여 강관(W)의 실제리드거리를 358.01㎜로 설정함과 동시에, 강관(W)의 이송속도를 1.0m/min 로 하고, T-다이 압출기에 의해 358.01㎜의 피치(P)로 수지를 감은 결과, 3.0㎜ 두께의 수지피복층이 형성되었다.
<비교예 1>
규격이 100A인 소구경 강관(W)의 코팅시, 콘베이어(1)의 로울러(12) 기울기 각도인 tanθ를 9°로 설정하면, 강관(W)의 실제리드거리는 45.44㎜ 이 되며, 강관(W)의 이송속도를 4.0m/min 로 하여 T-다이 압출기에 의해 45.44㎜의 피치(P)로 수지를 감은 결과, 4㎜ 두께이상의 수지피복층이 형성되었다. 따라서 피치(P)가 50㎜이하인 경우, 2∼3.5㎜ 두께의 수지피복층을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 2>
규격이 1500A인 대구경 강관(W)의 코팅시, 콘베이어(1)의 로울러(12) 기울기각도인 tanθ를 6°로 설정하면, 강관(W)의 실제리드거리는 430㎜ 이 되며, 강관 (W)의 이송속도를 0.9m/min 로 하여 T-다이 압출기에 의해 430㎜의 피치(P)로 수지를 감은 결과, 1.5㎜ 두께의 수지피복층이 형성되었다. 따라서 피치(P)가 430㎜ 이상인 경우, 피치가 크므로 코팅면적이 작아지게 되고 이로써 2∼3.5㎜ 두께의 수지피복층을 얻을 수 없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규격이 400∼1500A인 대구경 강관(W)의 코팅에만 사용하도록 된 T-다이 압출기를 이용하여 규격이 100∼350㎜인 소구경 강관(W)의 코팅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종전에 소구경 강관(W)의 코팅에 사용하였던 고가의 원형다이 압출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비비 및 운영비를 절감하여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강관(W)의 하부 양쪽을 받쳐지지하는 한 쌍의 로울러(12)가 공정라인을 따라 다수 쌍 설치되고, 상기 로울러(12)들은 강관(W)의 지름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기울기각도(Tanθ)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한 콘베이어(1)를 이용하여, 강관(W) 사이즈의 규격이 100∼1500A 일 때, 상기 로울러(12)의 기울기각도를 5∼10°범위내에서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강관(W)의 이송리드거리를 50∼358㎜로 설정하고 0.9∼4m/min의 속도로 강관(W)을 자체회전시키면서 공정라인을 따라 직선이송시키는 단계와;
    자체회전하면서 직선이송하는 강관(W)의 바깥둘레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고압스팀으로 세척하는 단계와;
    세척된 강관(W)을 가열로에서 155∼230℃로 예열하는 단계와;
    상기 예열된 강관(W)의 외면에 T-다이 압출기를 이용하여 띠형상의 방수성 접착제 및 방수성 수지를 압출성형하여 강관(W)의 사이즈에 따라 50∼358㎜ 피치 (P)의 나선형으로 감아 2∼3.5㎜ 두께의 수지피복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수지피복된 강관(W)을 냉각실에서 냉각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T-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12)의 기울기각도는, 상기 로울러(12)의 기울기각도는, 강관(W) 사이즈의 규격이 100∼350A의 소구경일 때 7.5∼10°로 조절하여 강관(W)의 이송리드거리를 50∼130㎜로 설정하고, 강관(W) 사이즈의 규격이 400∼1500A의 대구경일 때 5∼7.5°로 조절하여 강관(W)의 이송리드거리를 128∼ 358㎜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방법.
  3. 공정라인을 형성하는 레일(11)과, 상기 레일(11)상에 레일(11)을 따라 설치되고 강관(W)을 양쪽에서 받쳐지지함과 동시에, 강관(W)을 자체회전시키면서 공정라인을 따라 이송시키도록 강관(W)의 지름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기울기각도로 설치된 한쌍의 로울러(12)를 1조로 하는 다수쌍의 로울러(12)와, 상기 다수개의 로울러 (12)가 연동하도록 연결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을 회전구동시켜 각 로울러(1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강관(W)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각 로울러(12)의 기울기각도를 5∼10°로 조절하기 위한 강관(W)의 이송리드거리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콘베이어(1)와;
    상기 공정라인에 설치되어 로울러(12)에 의해 자체회전하면서 직선이송하는 강관(W)의 바깥둘레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쇼트블러스터와;
    상기 공정라인에 설치되어 쇼트블러스터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을 고압스팀으로 세척하는 고압스팀세척기와;
    상기 공정라인에 설치되어 세척된 강관(W)을 예열하는 가열로와;
    상기 공정라인에 설치되어 예열된 강관(W)의 외면에 띠형상의 방수성 접착제 및 방수성 수지를 압출성형하여 일정한 피치(P)의 나선형으로 감아 수지피복층을 형성하는 T-다이 압출기와;
    상기 공정라인에 설치되어 수지피복된 강관(W)을 냉각시키는 냉각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T-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콘베이어(1)의 로울러(12) 기울기각도 조절수단은, 한 쌍의 로울러(12)를 회전자유롭게 지지하는 로울러 지지대(15)가 고정되는 각각의 회전아암과, 상기 각 회전아암의 하부에 위치하여 레일(11)상에 고정되는 고정베이스와, 상기 한 쌍의 로울러(12) 사이 중심위치를 회전중심으로하여 고정베이스에 대하여 회전아암이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는 중심축과, 상기 각 회전아암의 일끝단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연결봉과, 상기 각 회전아암이 중심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도록 상기 연결봉을 직선이동시키는 실린더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콘베이어(1)의 로울러(12) 기울기각도 조절수단은, 레일 (11)상에 고정베이스를 고정하고, 한 쌍의 로울러(12)를 회전자유롭게 지지하는 로울러 지지대(15)에 상기 고정베이스와 보울트 및 너트로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조절구멍(34)을 형성하며, 상기 조절구멍(34)은 각각의 로울러(12)를 중심으로 하는 기다란 원호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장치.
KR10-2000-0072353A 2000-12-01 2000-12-01 T-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방법 및 그 장치 KR100372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353A KR100372267B1 (ko) 2000-12-01 2000-12-01 T-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353A KR100372267B1 (ko) 2000-12-01 2000-12-01 T-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방법 및 그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715U Division KR200224912Y1 (ko) 2000-12-01 2000-12-01 T-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979A true KR20020042979A (ko) 2002-06-08
KR100372267B1 KR100372267B1 (ko) 2003-02-26

Family

ID=27678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353A KR100372267B1 (ko) 2000-12-01 2000-12-01 T-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22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506B1 (ko) * 2006-12-11 2007-09-18 주식회사 럭키엔지니어링 단위패널의 코팅방법 및 장치
KR100770767B1 (ko) * 2006-09-19 2007-10-26 동양철관 주식회사 폴리우레아 수지를 이용한 강관의 도장방법 및 그 도장장치
KR100912000B1 (ko) * 2008-11-13 2009-08-14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압출식 엠보싱피복코팅강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150122030A (ko) * 2014-04-22 2015-10-30 정성훈 강관파이프의 수지피복층 코팅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771B1 (ko) 2008-10-21 2010-11-04 주식회사 이니텍기계 강관피복시스템의 강관컨베이어
KR100916680B1 (ko) * 2009-03-09 2009-09-08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보온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422A (en) * 1979-07-06 1981-02-02 Ube Ind Ltd Method of sheathing steel pipe
JPS57133026A (en) * 1981-02-12 1982-08-17 Kawasaki Steel Corp Polyethylene coating of welded steel pip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767B1 (ko) * 2006-09-19 2007-10-26 동양철관 주식회사 폴리우레아 수지를 이용한 강관의 도장방법 및 그 도장장치
KR100759506B1 (ko) * 2006-12-11 2007-09-18 주식회사 럭키엔지니어링 단위패널의 코팅방법 및 장치
KR100912000B1 (ko) * 2008-11-13 2009-08-14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압출식 엠보싱피복코팅강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150122030A (ko) * 2014-04-22 2015-10-30 정성훈 강관파이프의 수지피복층 코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2267B1 (ko) 200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767B1 (ko) 폴리우레아 수지를 이용한 강관의 도장방법 및 그 도장장치
JP3173913U (ja) 大型鋼管の防食コーティングの自動塗装生産ライン
KR890000879B1 (ko) 타이어 제조장치
CN100420615C (zh) 搬送装置
KR100372267B1 (ko) T-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16233A (ko) 파이프 도장장치
KR101261020B1 (ko) 금속 파이프 또는 제한된 단면의 다른 긴 부품의 코팅 장치 및 방법
KR101051071B1 (ko) 현장 조립형 강관 제조장치
KR200224912Y1 (ko) T-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 장치
KR100916680B1 (ko) 보온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10049737A (ko) 감압 점착 테이프 제조용 건조 장치
US20030219545A1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the thermal coating of a surface
US3687704A (en) Method for coating pipe
KR0140420B1 (ko) 강관의 내면코팅장치 및 그 방법
US10408374B2 (en) Articulating neck spinner assembly for applying lining materials in pipes
EP1423254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applying an external coating to a pipe
KR200461844Y1 (ko) 에어나이프 및 이를 포함한 기판 공정용 기기
JP2510364B2 (ja) 長尺線条材料の塗装方法及び塗装設備
AU2002324139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applying an external coating to a pipe
JPH06143417A (ja) プラスチック被覆鋼管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H0623826A (ja) プラスチック被覆鋼管の冷却方法および補助冷却装置
JP7087858B2 (ja) 金属管の樹脂被膜形成設備
CN114889178B (zh) 一种环保低损耗喷涂缠绕保温管生产线
CN110252588B (zh) 一种高熔点管道耐磨疏水涂层的磨涂设备及工艺
KR101799072B1 (ko) 금속방수패널 코팅용 제조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22 Withdrawal of opposition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1206

Effective date: 2006111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000266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1206

Effective date: 2006111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200011312;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30000405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1221

Effective date: 2007090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200011312;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1221

Effective date: 20070905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928

Effective date: 200910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300004052;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928

Effective date: 2009102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1102

Effective date: 2009121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13000020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1102

Effective date: 20091215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