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2845A - 미끄럼 베어링 - Google Patents

미끄럼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2845A
KR20020042845A KR1020027003894A KR20027003894A KR20020042845A KR 20020042845 A KR20020042845 A KR 20020042845A KR 1020027003894 A KR1020027003894 A KR 1020027003894A KR 20027003894 A KR20027003894 A KR 20027003894A KR 20020042845 A KR20020042845 A KR 20020042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
layer
sliding bearing
solid lubricant
over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3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5228B1 (ko
Inventor
가와고에기미오
이또히로시
데사끼도루
고또야스아끼
후와요시오
세꼬쇼이찌
Original Assignee
후쿠마 노부오
다이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쿠마 노부오, 다이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쿠마 노부오
Publication of KR20020042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2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20Sliding surface consisting mainly of plastics
    • F16C33/201Composition of the plas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4Special methods of manufacture; Running-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3/00Surface treatments; Hardening; Coating
    • F16C2223/30Coating surfaces
    • F16C2223/32Coating surfaces by attaching pre-existing layers, e.g. resin sheets or foils by adhesion to a substrate; Lamin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4/00Bearings
    • Y10S384/90Cooling or heating
    • Y10S384/907Bearing material or solid lubric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배면플레이트에 압착된 알루미늄합금 베어링층을 고체 윤활제와 바인더수지로 이루어지는 오버레이로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미끄럼 베어링에서, 오버레이의 적응성을 양호하게 하고 또한 오버레이 자체에 내피로성을 담당하게 한다. 오버레이가 실질적으로 MoS2로 이루어지는 고체 윤활제를 포함하는 상층과, 하층으로 이루어지고, 하층은 고체 윤활제 또는 경질제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한다. 단, 하층의 고체 윤활제가 MoS2인 경우는 그 함유량이 상층보다 상대적으로 적다.

Description

미끄럼 베어링{SLIDING BEARING}
상기한 형식의 미끄럼 베어링은 본 출원인이 트라이볼러지 예고집, 동경 1999-5 (1999 년 5 월 10 ∼ 12 일), A12 에서 발표한 것으로, 알루미늄 베어링합금으로는 Al-12.5Sn-2.7Si-1Cu-0.2Cr-2Pb 가, 고체 윤활제로는 MoS2그라파이트 또는 h-BN 이, 또 바인더수지로는 에폭시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수지 (PAI)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 MoS2-PAI 계 오버레이의 내베이킹성과 내피로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30 ∼ 95 질량% 의 MoS2, 잔부 PAI 수지의 조성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오버레이에서는, 내베이킹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MoS2양을 많게 하여 초기 적응성을 양호하게 하는 방책이 유효하지만, 이에 수반하여 오버레이의 경도가 저하되어 내마모성이 열화된다.
이와 같이 MoS2가 많은 MoS2-PAI 계 오버레이에서는 오버레이의 마모에 의해 기초 알루미늄합금이 노출되어 피로 등의 베어링손상이 발생되기 쉽다. 반대로 내마모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수지량을 많게 하여 고경도로 하는 방책이 유효한지만, 이에 수반하여 마모계수가 높아져 초기 적응성이 열화된다. 이와 같이 수지가 많은 MoS2-PAI 계 오버레이에서는 기초 알루미늄합금은 노출되지 않지만, 오버레이와 축의 베이킹이 발생되기 쉽다. 이와 같은 이율배반현상은 고회전형 엔진에서 현저해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미끄럼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면, 배면프레이트(back plate)열건조강에 압착된 알루미늄합금 베어링층을 MoS2등의 고체 윤활제와 바인더수지로 이루어지는 오버레이로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내연기관용 미끄럼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시
종래 오버레이는 단일 층의 성능이 양호해지도록 설계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자들은 고회전형 엔진에서 초기 적응을 필요로 하는 것은 오버레이 상부만으로, 이 범위에서는 내마모성을 희생으로 하여 마일드한 마모는 촉진해도 되고, 오버레이에 적응면이 형성된 후는 적응성은 희생으로 하여 마모를 억제하여 저마찰성능을 가능한 한 장기간 발휘하도록 기능을 분담한 복층 오버레이를 설계하기에 이르렀다. 즉, 종래 주류인 Pb 등의 금속계 오버레이는 전기도금 등으로 만들어져 있고, 이와 같은 제조기법에서는 오버레이층의 조성을 근본적으로 달리한다는 생각은 없어지만, 수지계 오버레이가 실제적으로 금속계 오버레이를 일부 대체하기에 이르러, 복수 층을 간단하게 조제할 수 있다는 배경에서 상기와 같은 기능분할을 고안하기에 이르렀다. 또, 특히 금속계 오버레이의 기본적 기능은 적응면을 형성하고, 내피로성은 베어링합금보다 열화되는 것이지만, 상기 게재 논문에서 MoS2-PAI 계 오버레이는 알루미늄 베어링합금보다 내피로성이 우수함이 해명되기에 이르러, 오버레이 자체에 내피로성을 담당하게 한다는 새로운 설계 사상에 도달하였다.
즉, 본 발명에 관한 미끄럼 베어링은 배면플레이트에 압착된 알루미늄합금 베어링층을 적어도 1 종의 고체 윤활제와 바인더수지로 이루어지는 오버레이로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미끄럼 베어링에서, 상기 오버레이가 실질적으로 MoS2로 이루어지는 고체 윤활제를 포함하는 상층과, 적어도 1 종의 고체 윤활제 및 적어도 1 종의 경질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이하, 「첨가물」이라고 함) 으로 이루어지는 최상층에서 최하층에 걸쳐 MoS2가 무단계로 서서히 감소하고, 또한 경질물이 서서히 증가하는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배면플레이트란, 저탄소강판, 합금강판, 이들의 표면처리재 등, 라이닝으로 통칭되고 있는 알루미늄 베어링합금을 담지하며 압착할 수 있는 금속소재이다.
알루미늄 베어링합금은 Al-Sn 계 합금, 특히 Al-3 ∼ 15 질량% Sn 계 합금이다. 물론 이 성분계에 내마모성이나 내피로성을 향상시키는 성분, 예컨대 Si, Cr, Cu, Mg, In, Zr, Pb 등을 4% 이하 첨가한 합금이어도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오버레이의 베어링성능이 우수하므로 첨가성분은 필수가 아니다.
오버레이의 상층은 초기 적응성이 우수한 MoS2로 이루어지는 고체 윤활제를 포함하고, 그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40 ∼ 95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80 질량% 이다. MoS2이외의 다른 고체 윤활제를 소량 병용해도 된다.
하층은 고체 윤활제 또는 경질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첨가제) 을 포함하고, 첨가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30 ∼ 85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60 질량% 이다. 고체 윤활제가 MoS2만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MoS2와 다른 성분을 병용하는 경우는, MoS2함유량이 상층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것이 필요하다. 상층의 MoS2함유량은 하층의 MoS2함유량보다 10% 이상 많은 것이 바람직하고, 15 ∼ 20% 많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하층의 고체 윤활제는 MoS2대신에 또는 MoS2에 더하여 그라파이트, 황산아연, 이황화 텅스텐 및/또는 육방정 질화붕소여도 된다.
경질물은 구체적으로 Si3N4, SiO2, SiC 및, Al2O3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으로, 그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 ∼ 10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5 질량% 이다.
본 발명에서 상층 및 하층은 성분조성이 각각 일정하지만, 필요에 따라 상층을 다시 MoS2양을 달리하는 둘 이상의 아층 (亞層; sub-layer) 으로 하고, 상측의 아층이 하측의 아층보다 MoS2양이 많도록 농도구배를 갖게 하면, 상층의 초기 적응작용이 더 높은 레벨로 실현된다. 마찬가지로, 하층이 첨가물량을 달리하는 둘 이상의 아층 (sub-layer) 으로 하고, 상측의 아층이 하측의 아층보다 첨가물량이 많도록 농도구배를 갖게 하면, 하층에서의 내마모성이 긴 슬라이딩거리에 걸쳐 실현된다. 또한, 이와 같이 농도경사를 갖게 한 상층은 그 평균 MoS2함유량이 하층의 평균 함유량보다 많도록 정해지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오버레이 전체적으로 MoS2의 농도구배가 설정된다. 이들 첨가제의 입경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평균 입경으로 0.1 ∼ 2㎛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바인더수지는 폴리아미드이미드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의 오버레이는 상기한 단일 조성의 상층과 단일 조성의 하층 사이에, 이들의 어느 하나와 동일 성분, 성분함유량은 중간 조성을 갖는 중간층을 개재시킨 경사적 층구조여도 된다. 또한 상층과 하층을 구분시키지 않고, 최상층에서 최하층에 걸쳐 MoS2가 무단계로 서서히 감소하고, 또한 경질물이 서서히 증가하는 층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 상층, 하층간의 밀착성의 문제도 없고 안정된 초기 적응성, 내마모성을 얻을 수 있다.
오버레이의 두께는 2 ∼ 15㎛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9㎛ 이다. 또 상층의 두께는 1 ∼ 5㎛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4㎛ 이다.
본 발명에 관한 상층 및 하층은 소정의 첨가물을 함유하는 수지를, 청정화된 알루미늄합금면에 도포 후, 180 ∼ 270℃ 에서 베이킹을 실시함으로써 조제된다.즉, 베이킹 후는 특별히 표면처리, 연마 등은 실시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표 1 에 조성을 나타내는 상층 (두께 2㎛), 중간층 (두께 1㎛) 및 하층 (두께 4㎛) 을 알루미늄 베어링합금 (조성 Al-Sn 계) 에 형성하였다. 알루미늄합금은 저탄소강판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압접한 것이다. 첨가물 이외의 잔부는 폴리아미드이미드이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제한 미끄럼 베어링을 하기 방법의 내베이킹시험 및 내마모시험에 제공하였다.
내베이킹시험
시험기: 고면압 베어링 시험기
상대축: S55C (담금질)
윤활: 축급유
하중 부가방법: 하중 점차증가
내마모시험
시험기: 회전 하중 시험기
상대축: S55C (담금질)
윤활: 축급유
하중 부가방법: 정하중
시험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상층 중간층 하층 결과 비고
MoS2 MoS2 경질물 MoS2 경질물 베이킹면압 마모량
55% 55% 1% Si3N4 40% 1% Si3N4 75㎫ 1㎛ 실시예 1
3% Si3N4 3% Si3N4 75㎫ 1㎛ 실시예 2
70% 70% 1% Si3N4 40% 1% Si3N4 80㎫ 3㎛ 실시예 3
30% 80㎫ 2㎛ 실시예 4
1% BN 1% BN 80㎫ 2㎛ 실시예 5
1% ZnS 1% ZnS 80㎫ 2㎛ 실시예 6
40% MoS2 60㎫ 1㎛ 비교재(단층)
70% MoS2 55㎫ 5㎛ 비교재(단층)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오버레이를 적응성을 중시한 상층과 내마모성을 중시한 하층으로 구성함으로써, 내베이킹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마모를 낮게 억제시킬 수 있다.

Claims (9)

  1. 배면플레이트에 압착된 알루미늄합금 베어링층을 고체 윤활제와 바인더수지로 이루어지는 오버레이로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미끄럼 베어링에서, 상기 오버레이가 실질적으로 MoS2로 이루어지는 고체 윤활제를 포함하는 상층과, 적어도 1 종의 고체 윤활제 또는 적어도 1 종의 경질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는 하층 (단, 고체 윤활제가 MoS2인 경우는 그 함유량이 상층보다 상대적으로 적음)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베어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의 MoS2함유량이 40 내지 95 질량% 인 미끄럼 베어링.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의 고체 윤활제 및 경질물의 함유량이 30 내지 85 질량% 인 미끄럼 베어링.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이 고체 윤활제만을 함유하는 미끄럼 베어링.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윤활제가 MoS2인 미끄럼 베어링.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의 MoS2함유량이 하층의 MoS2함유량보다 10 질량% 이상 많은 미끄럼 베어링.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의 경질물이 Si3N4, SiO2, SiC 및, Al2O3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인 미끄럼 베어링.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이 다시 MoS2양을 달리하는 둘 이상의 아층으로 이루어지고, 상측의 아층이 하측의 아층보다 MoS2양이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베어링.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이 첨가물량을 달리하는 둘 이상의 아층으로 이루어지고, 상측의 아층이 하측의 아층보다 첨가물량이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베어링.
KR10-2002-7003894A 2000-07-27 2001-07-26 미끄럼 베어링 KR1004852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27229 2000-07-27
JP2000227229A JP2002039186A (ja) 2000-07-27 2000-07-27 すべり軸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845A true KR20020042845A (ko) 2002-06-07
KR100485228B1 KR100485228B1 (ko) 2005-04-25

Family

ID=18720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3894A KR100485228B1 (ko) 2000-07-27 2001-07-26 미끄럼 베어링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02649B2 (ko)
EP (1) EP1304493B1 (ko)
JP (1) JP2002039186A (ko)
KR (1) KR100485228B1 (ko)
CN (1) CN1211594C (ko)
DE (1) DE60143037D1 (ko)
WO (1) WO20020106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27776C (zh) * 2003-08-25 2008-10-22 日立建机株式会社 滑动轴承组件及滑动轴承
EP1522750B2 (en) * 2003-10-06 2018-02-14 Taiho Kogyo Co., Ltd Multi-layer sliding bearing
US7281853B2 (en) * 2003-12-01 2007-10-16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Bearing material
JP3885800B2 (ja) * 2004-01-15 2007-02-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摺動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122305B2 (ja) * 2004-02-18 2008-07-23 大同メタル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用すべり軸受
GB0421566D0 (en) * 2004-09-29 2004-10-27 Dana Corp Bearing material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7229699B2 (en) * 2004-12-07 2007-06-12 Federal-Mogul Worldwide, Inc. Bearing having embedded hard particle layer and overlay and method of manufacture
DE102005063324B4 (de) * 2005-05-13 2008-02-28 Federal-Mogul Wiesbaden Gmbh & Co. Kg Gleitlagerverbundwerkstoff, Verwendung und Herstellungsverfahren
DE102005063325B4 (de) * 2005-05-13 2008-01-10 Federal-Mogul Wiesbaden Gmbh & Co. Kg Gleitlagerverbundwerkstoff, Verwendung und Herstellungsverfahren
DE102005023309B4 (de) * 2005-05-13 2009-10-01 Federal-Mogul Wiesbaden Gmbh Gleitlagerverbundwerkstoff, Verwendung und Herstellungsverfahren
DE102005023307B4 (de) * 2005-05-13 2009-05-07 Federal-Mogul Wiesbaden Gmbh Gleitlagerverbundwerkstoff, Verwendung und Herstellungsverfahren
AT502546B1 (de) * 2005-09-16 2007-10-15 Miba Gleitlager Gmbh Lagerelement
KR101288336B1 (ko) 2005-12-09 2013-07-22 페더럴-모걸 코오포레이숀 매설된 경질 입자층 및 오버레이를 가지는 베어링 및 제조방법
JP4942370B2 (ja) * 2006-03-17 2012-05-30 大同メタル工業株式会社 摺動樹脂成形体、摺動部材及び摺動部材の製造方法
AT502506B1 (de) * 2006-03-30 2007-04-15 Miba Gleitlager Gmbh Lagerelement
JP2007270895A (ja) * 2006-03-30 2007-10-18 Daido Metal Co Ltd 摺動部材およびその被覆層形成方法
JP4688161B2 (ja) * 2006-03-30 2011-05-25 大同メタ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材およびその被覆層形成方法
JP4827680B2 (ja) * 2006-10-06 2011-11-30 大豊工業株式会社 摺動部材
WO2009124034A1 (en) * 2008-04-01 2009-10-08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Layers durably bonded to surfaces
JP5298838B2 (ja) 2008-12-25 2013-09-25 大豊工業株式会社 斜板とその製造方法
WO2011132788A1 (ja) * 2010-04-22 2011-10-27 大豊工業株式会社 軸受装置
DE102011013881B3 (de) * 2011-03-04 2012-05-03 Ks Gleitlager Gmbh Gleitlagerverbundwerkstoff und daraus hergestelltes Gleitlagerelement
DE102011087798B3 (de) * 2011-12-06 2013-04-04 Federal-Mogul Wiesbaden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leitlagers mit einer CuNi2Si-, CuFe2P- oder CuSnX-Verbindung
JP2014013036A (ja) * 2012-06-07 2014-01-23 Ntn Corp 斜板式コンプレッサの斜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斜板式コンプレッサ
CN104693996B (zh) * 2015-02-09 2017-07-04 广东韶配动力机械有限公司 用于形成滑动轴承减磨层的印刷液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6133916B2 (ja) * 2015-02-27 2017-05-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摺動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ピストンの製造方法
JP7222690B2 (ja) * 2018-12-17 2023-02-15 大豊工業株式会社 摺動部材
JP7171409B2 (ja) * 2018-12-17 2022-11-15 大豊工業株式会社 摺動部材
KR102025046B1 (ko) 2019-05-22 2019-09-25 윤형석 블록완구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9119B2 (ja) 1976-10-12 1984-07-18 スズキ株式会社 多層複合メツキ層
GB8915254D0 (en) * 1989-07-03 1989-08-23 T & N Technology Ltd Bearings
JP2711943B2 (ja) 1991-04-26 1998-02-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複合めっき皮膜付き摺動部材
JPH0971899A (ja) * 1995-09-05 1997-03-18 Brother Ind Ltd 摺動部材
JPH11106779A (ja) * 1997-10-03 1999-04-20 Taiho Kogyo Co Ltd 固体潤滑被膜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滑り軸受材料
US6305847B1 (en) * 1998-12-22 2001-10-23 Daido Metal Company Ltd. Sliding bearing
US6312579B1 (en) * 1999-11-04 2001-11-06 Federal-Mogul World Wide, Inc. Bearing having multilayer overlay and method of manufa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02649B2 (en) 2004-10-12
US20030059137A1 (en) 2003-03-27
WO2002010603A1 (en) 2002-02-07
CN1211594C (zh) 2005-07-20
KR100485228B1 (ko) 2005-04-25
JP2002039186A (ja) 2002-02-06
EP1304493A4 (en) 2006-01-11
EP1304493A1 (en) 2003-04-23
CN1392932A (zh) 2003-01-22
DE60143037D1 (de) 2010-10-21
EP1304493B1 (en) 201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5228B1 (ko) 미끄럼 베어링
US6334914B2 (en) Copper alloy sliding material
US5185216A (en) Composite plating film for sliding member
US6305847B1 (en) Sliding bearing
US6575635B1 (en) Multi-layer sliding bearing
US20080187260A1 (en) Composite antifriction bearing material
JP6326426B2 (ja) 滑り軸受複合材料
KR20160111372A (ko) 마찰 방지 코팅 및 이를 포함하는 미끄럼 베어링 층상 복합재
JPH09236125A (ja) すべり軸受の軸受構造
US6866421B2 (en) Plain bearing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5334460A (en) CU-PB system alloy composite bearing having overlay
US6234678B1 (en) Plain bearing
US5298336A (en) Multilayer composite sliding material having excellent seizure resistance property
JPH07190062A (ja) 多層構造エンドベアリ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US7153591B2 (en) Sliding member
KR20200054973A (ko) 마찰 방지 래커, 이러한 마찰 방지 래커를 갖는 슬라이딩 요소 및 그 이용
JP3416049B2 (ja) 摺動部用被覆材およびピストンリング
JPH06322462A (ja) 耐腐蝕性に優れた銅鉛軸受合金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GB2285060A (en) Copper-head alloy bearing
US6740426B2 (en) Sliding member with composite plating film
US20020037424A1 (en) Sliding bearing material
JPS62110021A (ja) アルミニウム系すべり軸受
US5770323A (en) Bearings
JPH04331817A (ja) 複合めっき皮膜を有するすべり軸受
EP0571481B2 (en) Bear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