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8737A - 광원 및 광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광원 및 광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8737A
KR20020038737A KR1020027002274A KR20027002274A KR20020038737A KR 20020038737 A KR20020038737 A KR 20020038737A KR 1020027002274 A KR1020027002274 A KR 1020027002274A KR 20027002274 A KR20027002274 A KR 20027002274A KR 20020038737 A KR20020038737 A KR 20020038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ament
light source
bulb
carbide
carbon di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르놀트외르크
Original Assignee
이페2하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페2하 아게 filed Critical 이페2하 아게
Publication of KR20020038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73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00Details
    • H01K1/02Incandescent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00Details
    • H01K1/02Incandescent bodies
    • H01K1/14Incandescent bodi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3/00Apparatus or processes adapted to the manufacture, installing, removal, or maintenance of incandescent lamps or parts thereof
    • H01K3/02Manufacture of incandescent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구(1), 상기 전구 내에 배치된 필라멘트(2), 그리고 상기 필라멘트(2)용의 가열 장치(3)를 포함하며, 상기 필라멘트(2)는 가시 광선과 열 복사를 모두 방출하는 광원, 특히 백열등으로서, 상기 필라멘트(2)가 평면부(4)를 포함하여 전력 입력과 가시광선 출력간에 높은 변환 효율을 갖도록 설계되고 구성된다. 이러한 유형의 광원은 처음에 소결 금속 분말로 이루어진 필라멘트(2)를 준비하고, 이어서 필라멘트(2)를 이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 및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 노출시켜 금속 카바이드를 형성하고, 마지막으로 필라멘트(2)의 전구(1) 내에 밀봉함으로써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원 및 광원 제조 방법 {LIGHT SOUR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LIGHT SOURCE}
상기한 유형의 광원은 오랫동안 실용적인 측면에서 알려져 왔고, 그 디자인 및 크기가 매우 다양하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백열등은 전기적 광원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내부에 전기적인 주울 열(Joule heat) 수단으로써 가능한 한 최고 온도에 이르게 하는 텅스텐 필라멘트를 가지는 것이 보통이다. 이 과정에서, 온도 복사(temperature radiation)가 발생한다. 백열광 필라멘트의 광 수율(light yield)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당히 증가한다. 이에 비해, 예를 들어 고압 및 저압 설계의 불활성 가스, 수은, 나트륨 및 금속 할로겐화물 방전(discharge lamp)등과 같은 방전등은 이른바 복사의 비열원(nonthermal source)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전기적으로 동작되는 유형의 광원은 전력을 가시광선 출력으로 변환하는데 있어 매우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다. 변환 효율은 겨우 30%를 넘는다. 소비되는 전력의 가장 큰 부분은 주로 열의 형태로 비경제적으로 낭비된다.
알려진 광원의 효율 증가 가능성은 전구 후면(bulb back)의 내면에서 필라멘트나 글로우 와이어(glow wire)로 반사되어 필라멘트나 글로우 와이어로부터 복사되는 열에 달려 있다. 그 결과, 필라멘트나 글로우 와이어는 일종의 역가열(back heating)을 경험한다. 이것은 동일한 필라멘트 온도에 도달한 후에는 반사 없이 가열하는 것에 비해 더 적은 전력을 필요로 할 것이다. 전구를 통해 방출되는 가시광선 출력은 이 경우에 동일하게 유지된다. 이상적인 경우에, 방출되는 가시광선 출력 및 전구가 흡수하는 열손실에 상응하는 전력만을 필요로 할 것이다. 따라서, 변환 효율은 반사되는 열복사 부분에 의해 개선된다. 이론적으로, 만약 텅스텐등(tungsten lamp)의 표준 열손실을 약 25% 기준으로 하고, 전구 내면 거울 코팅부(mirror coating)의 복사 흡수를 무시한다면, 75% 또는 140 루멘/와트 (lumen/watt) 만큼 변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유전체 거울 코팅부는 일반적으로 0.1%의 흡수율을 갖는다.
예를 들어 99.9%의 반사율(reflecting power)을 갖는 전구 내면 거울 코팅부의 경우에, 통계적으로 거울 코팅부의 재료(material)에 매번 1000분의 1의 광자가 흡수될 것이다. 그러므로 전구 내로의 복사에 대한 반사인 경우에, 광자 속(photon flux)은 전구 내에 완전히 흡수될 때까지 전구의 내면 상에서 단지 1000번의 반사를 경험한다.
알려진 필라멘트, 예를 들어 알려진 나선형 필라멘트 또는 글로우와이어(glow wire)는 반사되는 열복사를 매우 적게 흡수하므로, 열복사의 대부분은 얇은 나선형 와이어를 지나서 반사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필라멘트 또는 글로우 와이어의 경우에는 효과적인 흡수나 역가열(back heating)이 불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광원으로는 높은 변환 효율을 실현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한 수단으로 높은 변환 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처음에 설명한 유형의 광원과 그러한 광원의 제조 방법을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광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구, 전구 내에 배치된 필라멘트 및 필라멘트용 가열 장치를 구비하며, 필라멘트가 가시광선과 열복사(heat radiation)를 모두 방출하는 백열등(incandescent lamp)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유형의 광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원에 대한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대해 위상을 90°달리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상기한 목적은 한편으로는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을 갖는 광원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광원은 필라멘트가 평면부(flat section)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광자 속(photon flux)이 반사 경로 상에서 필라멘트 또는 글로우 와이어에 충돌하여 그곳에서 흡수될 가능성은 반사 전구의 체적 또는 반사 전구의 표면에 대한 필라멘트의 체적 또는 필라멘트의 표면 비율에 비례함을 알았다. 가능한 한 최고의 필라멘트의 역가열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구의 내면 상에서 가능한 한 최소의 반사가 있은 후에 광자 속이 필라멘트에 충돌하여 그곳에서 흡수되도록 필라멘트의 표면이 큰 경우가 유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원은 간단한 수단으로 높은 변환 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전구 내면의 반사 작용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전구는 투명하여 가시광선을투과시키며, 그 내면에 거울 코팅부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유리한 방법으로는, 거울 코팅부는 유전체의 다층 코팅(dielectric multilayer coating)일 수 있다. 이로써 스펙트럼 선택적인 거울 코팅부가 제공되며, 이것은 열복사 부분의 대부분을 반사시키고 가시광선 복사 부분을 투과시킨다.
그러나, 넓어진 필라멘트 표면은 전류를 결정하는 도체 표면이 커지기 때문에 필라멘트의 전기적 저항이 더 적어져 불리해진다. 이로 인해 정상(normal) 필라멘트 표면 또는 정상 필라멘트 단면(cross section)의 경우에 비해 빛을 방출하는 데 필요한 필라멘트 온도에 도달하기 위해 상당히 더 큰 전류를 필라멘트에서 필요로 한다. 이것은 광원을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안전성 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다. 요약하면, 가능한 한 최대의 필라멘트 표면과 그로 인해 불리한 더 높은 전류를 필요로 하므로 딜레마가 있다. 또한, 표면이 넓은 필라멘트는 특히 실제 가열하는 경우에 기계적으로 불안정하고, 중력 효과로 인해 변형되는 불리한 점을 수반할 수 있다. 심한 경우에, 필라멘트는 전구 내면에 접촉 및/또는 동작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상기한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하여, 필라멘트의 적어도 일부를 소결 금속(sintered metal)으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소결 금속은 다공성 스폰지(porous sponge)로 구현할 수 있으며, 그 내부의 기본 재료의 분말 소자나 입자는 대부분의 경우에 서로에 대하여 점 용융 접촉(point welding contact)만을 포함한다. 이것은 극도로 작고, 효과적이며 도전성 단면 및 증가된 효과적인 도체 길이를 낳는다. 또한 소결 재료는 높은 기계적 안정성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소결 금속 분말을 사용함으로써 한편으로는 증가된 전기 저항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증가된 기계적 강도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표면이 넓은 필라멘트의 사용에 유리하다.
필라멘트 또는 금속 분말은 텅스텐(tungsten), 및/또는 탄탈(tantalum), 및/또는 레늄(rhenium), 및/또는 니오븀(niobium), 및/또는 지르코늄(zirconium)을 함유할 수 있다. 실제로는 탄탈이 특히 유리하다. 이와 달리 또는 이에 더해, 필라멘트는 일부를 비금속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이것은 전기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반적인 필라멘트의 또는 소결 금속 분말로 이루어진 필라멘트의 기계적 안정성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하여, 필라멘트는 적어도 일부를 탄탈 카바이드(tantalum carbide), 및/또는 레늄 카바이드(rhenium carbide), 및/또는 니오븀 카바이드(niobium carbide), 및/또는 지르코늄 카바이드(zirconium carbide)로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맨 마지막으로 언급한 하나 이상의 카바이드를 소결 금속 분말(sintered metal powder)로 이루어진 필라메트용 코팅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매우 일반적으로, 필라멘트 재료보다 녹는점이 높은 코팅 재료로 필라멘트를 코팅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필라멘트의 코팅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텅스텐 필라멘트 전등의 동작 표면 온도보다 더 높은 동작 표면 온도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필라멘트는 탄탈 카바이드로 이루어진 외층(outer layer)을 가지는 소결 탄탈의 기본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탄탈 카바이드는 극히 온도 저항성(temperature-resistant) 경질 재료(hard material)이며, 구조(framework)의 형태에서 교차 결합(crosslinking), 재료의 높은 기계적 또는 정적 강도로 인해 다공성 스폰지 형태의 소결 재료를 만들어 낸다. 따라서, 예상한 바와 같이 필라멘트 재료는 동작 중의 뜨거운 필라멘트의 유동성(flowability)을 방지하는 매우 높은 옴 저항(ohmic resistance)과 적절한 강도를 지닌다.
구조의 면에서 특히 유리한 방법으로, 평면부를 두 개의 세로 측면을 가지는 스트립으로 설계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세로 측면 상에 각각 2개의 표면 소자를 스트립으로부터 날개 형태로 돌출 시킬 수 있다. 네 개의 표면 소자 모두는 각각 약 90°각도로 스트립으로부터 연장한다. 다시 말해, 평면부는 두 개의 채널부(channel section)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두 채널부는 각각 한 단부에서 결합되어 있고, 거의 후면과 후면이 서로 인접하고 있다. 채널부의 대향하는 단부에서, 필라멘트의 전기적인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평면부 때문에 필라멘트는 열복사에 대해 매우 유리한 흡수 작용을 지닌다.
상기한 구성의 대안으로서, 평면부를 컵 또는 실린더 재킷의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완전한 실린더 재킷 또는 실린더 재킷의 일부, 특히 반(half) 실린더 재킷으로 구성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완전한 실린더 재킷인 경우, 그러한 재킷은 그 측면을 개방하거나 세로로 형성된 홈을 개방하여 만들 수도 있다. 이것은 필라멘트의 열 팽창 작용에 대해 유리하다.
전구의 내면에서 반사되는 열복사의 특히 효과적인 흡수를 보증하기 위하여, 실린더 재킷의 직경 또는 그 일부 또는 그 반은 전구 직경에 비해 단지 약간 작을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구는 관 모양일 수 있다. 이 경우에 특히, 전구의 세로축과 동심(concentric) 및/또는 동축 관계를 갖도록 전구 내에 필라멘트를 배치할 수 있다.
그 구성에 따라, 필라멘트는 전구의 내부를 하나 이상의 반 공간(half space) 또는 부분 공간(subspace)으로 나눌 수 있다.
전구는 매우 큰 외부 표면을 가져서 대류 냉각이나 기타 강제 냉각에 의해 예를 들어 열복사의 흡수에 의해 발생된 것과 같은 표면의 열을 방산할 수 있다. 필라멘트 및 전구의 크기와 형상은 적절히 상호 조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능한 한 큰 필라멘트 표면은 높은 광 출력을 갖는 광원을 만들 수 있다. 또한 필라멘트나 백열 소자의 표면 온도와 관계없이 광원의 색온도(color temperature)를 조정할 수 있다. 이것은 스펙트럼 선택적인 거울 코팅부에 의해 일어나며, 전구로부터 방출된 복사 출력의 전달된 스펙트럼 분포를 미리 정할 수 있어 색온도를 미리 정할 수 있다.
종래의 광원에 비해, 필라멘트의 더 크고 더 차가운 표면이 거의 동등한 가시광선 흐름(visible light current)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필라멘트의 표면 온도를 더 낮게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필라멘트 표면은 새롭고, 구조상의 부가적인 자유도(degree of freedom)를 형성한다.
한편 필라멘트를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동작시킬 수 있고, 동시에 효과적인 흡수에 관하여 전구 내면에 최대한 가까이 있는 매우 큰 표면으로 인해 증발 방해가 발생할 수 있어, 필라멘트 재료(material)의 상대적으로 낮은 증발을 이룩할수 있다. 전구 내면 상에 배치되고 증발되는 필라멘트 재료로 인해, 전구 내면 또는 전구 내면의 거울 코팅부 상의 반사율(reflectivity)은 감소되고, 전구나 거울 코팅부의 흡수 및 열 손실은 각각 증가된다. 따라서 범위(extent)를 최대로 하기 위하여 필라멘트 재료의 증발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라멘트 재료의 증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구는 브롬 및/또는 요오드를 포함하는 불활성 가스 및/또는 할로겐 가스를 함유할 수 있다. 그래서, 텅스텐 필라멘트의 경우에 정상(normal) 텅스텐 요드화물 순환(circulation)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증발 문제에 대한 다른 해결법은 필라멘트 재료보다 녹는점이 더 높은 코팅 재료로 필라멘트를 코팅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것은 그 녹는점으로 인하여 고체의 온도 의존(temperature-dependent) 증기압의 의존에 달려 있다. 게다가, 코팅 재료의 증착은 표준 필라멘트 재료의 증착 또는 백열 소자 재료의 증착에 비해 더 작은 흡수율(absorptivity)을 나타낸다. 코팅 재료는 녹는점이 매우 높아야 하므로, 예를 들어 탄탈 카바이드(tantalum carbide), 및/또는 레늄 카바이드, 및/또는 니오븀 카바이드, 및/또는 지르코늄 카바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조상 넓은 필라멘트 표면을 필요로 한 결과, 매우 높은 광 흐름(light current)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를 광원으로부터 방출할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광원 하나만으로 넓은 빌딩 내부 또는 외부 지역을 조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21항의 단계들로 이루어지는 처음에 언급한 유형의 광원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소결 금속 분말로 이루어진 필라멘트가 제1 단계에서 제공된다. 금속 분말을 소결시킴으로써, 초기 입자의 크기 및 소결 온도는 물론 분말의 압착(compacting)으로 소결 재료의 전도성을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상당히 높은 옴 저항과 기계적 안정을 갖는 재료를 생산할 수 있다. 이것은 전기 저항에 영향력이 있어 낮은 저항을 유발시키는 도체 교차부 및 큰 표면적과 중력 작용하에서 발생하는 기계적 불안정성 없이 넓은 평면부를 갖는 필라멘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높은 동작 온도에서도 늘어짐(sagging) 및 유동(flowing)이 발생하지 않는다.
재료의 높은 기계적 안정성을 생성하기 위하여 다공성 스폰지 형태의 소결 필라멘트로 만들어져 사용되며, 필라멘트는 이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 및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 노출된다. 즉, 필라멘트를 해당하는 가스 분위기에 노출시킴으로써 금속 카바이드 코팅이 필라멘트 외면에 생성된다. 코팅 두께나 금속 카바이드 반응의 침투 두께에 따라, 유효 전기 저항이 더욱 감소된다.
1000℃ 이상의 공정 온도에서, 카바이드는 형태를 이루기 시작하고, 1400℃ 이상의 공정 온도에서 소정의 공정 지속 기간 후에 완전한 탄화가 일어난다. 금속 카바이드는 매우 온도 저항성 경질 재료이며, 다공성 스폰지 형태의 필라멘트에서 교차 결합(crosslinking)에 기인하여 필라멘트의 기계적 및 정적 강도를 각각 생기게 한다. 따라서, 예상한 바와 같이 필라멘트 재료는 매우 높은 옴 저항을 가져, 동작하는 동안 뜨거운 필라멘트의 흐름 작용(flow behavior)을 방지하는 데 적절히 저항한다.
일단 금속 카바이드를 형성하면, 코팅은 적절한 강도를 생기게 하여, 공정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또한 나중에 금속의 녹는점을 넘는 금속 카바이드-금속 필라멘트의 동작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금속 카바이드는 유동성(liquid) 금속 코어 주위에 고체 코팅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이한 열 팽창 계수로 인해, 금속 카바이드 코팅의 가능한 인장 파단(tension break)은 그 파단에 존재하는 유동성 금속에 의해 또는 파단 즉시 금속 카바이드를 형성하기 시작함으로써 회복된다.
제조 방법의 마지막 단계에서, 필라멘트는 전구 내에 밀봉되고, 높은 변환 효율을 지닌 광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필라멘트를 준비 단계 후에 금속박(foil)으로 압연함으로써 본 발명에서의 부가적인 압착 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도성도 또한 영향을 받는다.
특히 신뢰성 있는 필라멘트 제조에 관하여, 필라멘트는 그것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후에 두 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전구 속으로 삽입할 수 있으며, 전구의 한쪽 단부를 전기적으로 결합한다. 따라서, 준비되어 압연된 후, 필요하다면 필라멘트는 보호되는 방법으로 전구에 이미 이용될 것이다. 이것은 본 발명의 방법에서의 단계 동안에 기계적인 보호를 제공한다.
필라멘트를 전구 안으로 삽입한 후에, 그 한쪽 단부를 폐쇄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필라멘트에 필요하다면 텅스텐 와이어 및/또는 몰리브덴 스트립의 표준 전기적 접속과 퓨즈를 배치할 수 있으며, 이들을 함께 단부에서 압착(press)할 수 있다. 전구는 수정관(quartz tube)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간단한 방법으로, 전구의 나머지 단부를 통해 이산화탄소 가스 또는 이산화탄소 및 불활성 가스를 도입함으로써 필라멘트를 이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및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 카바이드를 형성하기 전에 및/또는 중에 필라멘트를 전기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금속 카바이드의 형성이 완료되기 전까지 그 형성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필라멘트의 저항 특성의 도움으로 금속 카바이드의 형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필라멘트의 전기적 결합을 통해 가열 전류 및 가열 전압을 측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제어에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금속 카바이드의 형성을 직접적으로 감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전기적인 전압-전류 특성을 통해 또는 전기적인 저항 특성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제조 방법은, 금속 카바이드 및 금속 필라멘트를 직접 전기적으로 가열하지 않고 전구의 외부에 만들어지며, 금속 카바이드의 형성이나 얻어지는 필라멘트의 전기 저항을 직접 조정할 수 없고, 금속 카바이드 및 금속 필라멘트는 전구 외부에서 매우 부서지기 쉬워 불리하다.
금속 분말로서, 텅스텐, 및/또는 레늄, 및/또는 니오븀, 및/또는 지르코늄, 및/또는 특히 탄탈을 사용할 수 있다. 탄탈의 사용으로, 탄탈의 매우 우수한 변형성(deformability)을 사용할 수 있다. 탄탈 카바이드는 녹는점이 매우 높으므로, 광원의 정상 동작 온도에서 탄탈 카바이드의 매우 낮은 증발 속도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전구의 매우 적은 흐려짐(fogging)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탄탈 카바이드는 가시광선 스펙트럼에서 검은색이므로 높은 스펙트럼 복사율(emissivity)을 갖는 탄탈 카바이드가 제공된다. 특히, 비다공성 표면과 비교하여 다공성 탄탈 카바이드 표면은 플랭크 흑체 복사(Planck blackbody radiation)의 의미에서 증가된 검은 정도(blackness)를 보인다.
탄탈 카바이드 및 탄탈로 이루어진 필라멘트의 추가적인 장점은 텅스텐 필라멘트의 열 전도율과 비교하여 약 반만큼의 열 전도율을 가지는 것이다. 탄탈 카바이드 및 탄탈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넓은 흡수 표면과 적외선 복사를 함께 가짐으로써, 전구의 내면에서 덜 자주 반사되고, 따라서 덜 흡수되며, 거의 동등하게 적은 열전도율, 실질적으로 더 적은 열 손실을 달성한다.
본 발명의 가르침(teaching)을 개량 및 추가 개발할 수 있는 여러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한편으로는 특허청구범위 제1항 및 제21항의 종속항을 참조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후술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도면과 관련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가르침에 대한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개량 및 추가 개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원에 대한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광원은 백열등으로서 설계되어 구성되며, 필라멘트(2) 또는 백열 소자를 수용하는 전구(1)를포함한다. 필라멘트(2)를 가열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전류를 공급하는 가열 장치(3)가 구비된다.
광원의 높은 변환 효율과 신뢰성 있는 동작을 고려하여, 가열 장치(3)는 필라멘트(2)는 평면부(4)를 포함한다. 평면부(4)는 전구(1) 내면에서 반사된 그리고 필라멘트(2)로부터 원래 복사된 열 복수에 대한 높은 흡수도(degree of absorption)를 부여하며, 때문에 필라멘트(2)는 유사 역가열된다. 따라서, 광원과 동일한 광출력을 달성하기 위하여, 종래 광원의 경우에 비해 더 적은 에너지를 광원에 공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더 적은 에너지로 본 발명의 광원을 동작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종래의 광원보다 더 경제적이다.
필라멘트(2) 상에 배치된 전력 공급 도체(5)는 가열 장치(3)의 전기 접촉부(6)와 결합된다. 전구(1)의 내면은 열복사에 대한 전구(1) 내면의 반사율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키는 거울 코팅부(7)를 구비한다.
필라멘트(2)는 본래 두 개의 채널부(8)로 구성된다. 채널부(8)는 그 상단부(upper end)에서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하단부(lower end)에서, 채널부(8)는 각각 전류 공급 도체(5)에 결합된다. 즉, 필라멘트(2)의 평면부(4)는 두 개의 세로면(9)을 갖는 스트립으로 구성되며, 이 스트립으로부터 각각 두 개의 표면 소자(10)가 날개 형태로 돌출되어 있다. 전부 4개의 표준 소자(10)가 각각 약 90°각도로 스트립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광원의 전체적인 전기적 결합은 전구(1)의 하단부(11)에서 제공된다.
필라멘트(2)는 소결 탄탈 분말과 그 표면의 탄탈 카바이드 코팅으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도 1의 광원을 전구(1)의 세로축에 대해 90°회전한 위치에서 도시한 것이다. 이 위치에서, 표면 소자(10)를 가장 잘 보인다. 채널부(8)는 각각 두 개의 표면 소자(10) 및 한 개의 스트립 또는 스트립형 필라멘트(2) 기부(base portion)로 형성된다. 이 이상의 광원의 소자에 대한 설명에 관해서는 도 1의 설명이 참조로 통합된다.
도 3은 도 1의 광원에 대한 실시예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 도면에서 두 개의 채널부(8)가 가장 잘 보이며, 상단부가 상호 결합되어 있다. 필라멘트(2)는 전구(1) 내에 동축 관계로 배치된다. 전원 공급 도체(5)는 채널부(8)의 내면에 배치된다. 거울 코팅부(7)는 전구(1)의 내면에 도포된다. 표면 소자(10)는 필라멘트의 세로면(9)을 따라서 연장된다.
본 발명의 가르침에 대한 더 유리한 개량 및 추가 개발에 관해서는 한편으로는 상세한 설명의 전반적인 부분이 다른 한편으로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가 함께 참조로 통합된다.
끝으로, 전술한 적극적으로 선택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가르침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었을 뿐이며, 본 발명을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이 특히 강조되어야 한다.

Claims (27)

  1. 전구(1), 상기 전구 내에 배치된 필라멘트(2), 그리고 상기 필라멘트(2)용 가열 장치(3)를 구비하며, 상기 필라멘트(2)는 가시광선과 열복사를 모두 방출하는 백열등인 광원으로서,
    상기 필라멘트(2)는 평면부(4)를 포함하는 광원.
  2. 제1항에서,
    상기 전구(1)는 그 내면에 거울 코팅부(2)를 포함하는 광원.
  3. 제1항에서,
    상기 거울 코팅부(7)는 유전체의 다층 코팅으로 형성되는 광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필라멘트(2)는 적어도 일부가 소결 금속 분말로 이루어지는 광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필라멘트(2) 또는 상기 금속 분말은 텅스텐, 및/또는 탄탈, 밀/또는 레늄, 및/또는 니오븀, 및/또는 지르코늄을 함유하는 광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필라멘트(2)는 적어도 일부가 비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광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필라멘트(2)는 적어도 일부가 탄탈 카바이드, 및/또는 레늄 카바이드, 및/또는 니오븀 카바이드, 및/또는 지르코늄 카바이드로 이루어지는 광원.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필라멘트(2)는 필라멘트 재료보다 녹는점이 높은 코팅 재료로 코팅되는 광원.
  9. 제8항에서,
    상기 코팅 재료는 탄탈 카바이드, 및/또는 레늄 카바이드, 및/또는 니오븀 카바이드, 및/또는 지르코늄 카바이드를 함유하는 광원.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평면부(4)는 두 개의 세로면(9)을 갖는 스트립으로 이루어지는 광원.
  11. 제10항에서,
    상기 두 개의 세로면(9) 상에, 상기 스트립으로부터 두 개의 표면 소자(10)가 날개 형태로 각각 돌출되어 있는 광원.
  12. 제11항에서,
    상기 4개의 표면 소자(10)는 상기 스트립으로부터 각각 약 90°각도로 돌출되어 있는 광원.
  13.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평면부는 컵 또는 실린더 재킷 형태로 설계되어 구성된 광원.
  14.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평면부는 반(half) 실린더 재킷의 형태로 설계되어 구성된 광원.
  15.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평면부는 개방되고 세로로 홈이 파인 실린더 재킷으로 이루어지는 광원.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실린더 재킷 또는 상기 실린더 재킷의 반의 직경이 상기 전구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광원.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필라멘트(2)는 상기 전구(1) 내에 동심 관계로 배치되는 광원.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필라멘트(2)는 상기 전구(1)의 세로축과 동축 관계로 배치되는 광원.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전구(1)는 불활성 가스 및/또는 할로겐 가스를 함유하는 광원.
  20. 제19항에서,
    상기 할로겐 가스는 브롬 및/또는 요오드를 함유하는 광원.
  21. 전구(1), 상기 전구 내에 배치된 필라멘트(2), 그리고 상기 필라멘트(2)용 가열 장치(3)을 포함하며, 상기 필라멘트(2)가 가시광선 및 열 복사를 동시에 방출하는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백열등인 광원의 제조 방법으로서,
    소결 금속 분말로 이루어진 필라멘트(2)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필라멘트(2)를 이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 및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 노출하여 금속 카바이드를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필라멘트(2)를 상기 전구(1) 내에 밀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서,
    상기 필라멘트(2)는 이용 가능하게 만들어진 후 금속박으로 압연되는 방법.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서,
    상기 필라멘트(2)는 이용 가능하게 만들어진 후 그 양단부가 개방된 전구(1) 내로 삽입되고, 상기 전구(1)의 한쪽 단부(11)에서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방법.
  24. 제23항에서,
    상기 한쪽 단부(11)가 폐쇄되는 방법.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서,
    상기 필라멘트(2)를 이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 및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전구(1)의 다른 쪽 단부를 통하여 이산화탄소 가스 또는 이산화탄소 가스 및 불활성 가스를 상기 전구(1) 내로 도입함으로써 일어나는 방법.
  26.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필라멘트(2)는 금속 카바이드를 형성하기 전에 및/또는 형성하는 중에 전기적으로 가열되는 방법.
  27. 제21항 내지 제27항에서,
    상기 금속 분말은 텅스텐, 및/또는 탄탈, 및/또는 레늄, 및/또는 니오븀, 및/또는 지르코늄을 함유하는 방법.
KR1020027002274A 1999-08-22 2000-03-24 광원 및 광원 제조 방법 KR200200387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39903.4 1999-08-22
DE19939903 1999-08-22
DE19948420 1999-10-08
DE19948420.1 1999-10-08
PCT/DE2000/000912 WO2001015207A1 (de) 1999-08-22 2000-03-24 Lichtquell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ichtquel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737A true KR20020038737A (ko) 2002-05-23

Family

ID=260546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274A KR20020038737A (ko) 1999-08-22 2000-03-24 광원 및 광원 제조 방법
KR1020027002273A KR100664601B1 (ko) 1999-08-22 2000-03-24 광원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273A KR100664601B1 (ko) 1999-08-22 2000-03-24 광원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6903508B1 (ko)
EP (2) EP1206794A1 (ko)
JP (2) JP2003507878A (ko)
KR (2) KR20020038737A (ko)
CN (2) CN1211829C (ko)
AT (1) ATE343850T1 (ko)
AU (2) AU4742200A (ko)
BR (2) BR0013480A (ko)
DE (1) DE50013668D1 (ko)
HK (1) HK1048704A1 (ko)
MX (2) MXPA02001858A (ko)
RU (1) RU2260226C2 (ko)
WO (2) WO20010152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10146A1 (en) * 2002-03-04 2003-09-16 Ip2H Ag Source of light and method for regenerating a source of light
CN1765003A (zh) * 2004-03-17 2006-04-2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辐射体及具有该辐射体的装置
DE102004014211A1 (de) * 2004-03-23 2005-10-13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Glühlampe mit carbidhaltigem Leuchtkörper
DE102004034786A1 (de) * 2004-07-19 2006-03-16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Glühlampe mit carbidhaltigem Leuchtkörper
DE102004034787A1 (de) * 2004-07-19 2006-03-16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Glühlampe mit carbidhaltigem Leuchtkörper
DE102004034807A1 (de) * 2004-07-19 2006-03-16 Ip2H Ag Lichtquelle und ein Verfahren zur mechanischen Stabilisierung des Filaments oder der Elektrode einer Lichtquelle
JP3939745B2 (ja) * 2004-10-14 2007-07-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エネルギー変換装置
DE102004052044A1 (de) 2004-10-26 2006-04-27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Glühlampe mit einem Leuchtkörper, der eine hochtemperaturbeständige Metallverbindung enthält
DE102006020581A1 (de) * 2006-05-03 2007-11-08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Zwei-Metall-Umspinnung
DE102006035792A1 (de) * 2006-07-28 2008-01-31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Glühlampe mit einem carbidhaltigen Leuchtkörper
US20080237541A1 (en) * 2007-03-30 2008-10-02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o-optically functional compositions,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US20080237500A1 (en) * 2007-03-30 2008-10-02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o-optically functional compositions,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US8278823B2 (en) 2007-03-30 2012-10-02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o-optically functional compositions,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WO2010130272A1 (en) * 2009-05-12 2010-11-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Ceramic carbide fiber, method for making the ceramic carbide fiber and application of the ceramic carbide fiber
JP6519103B2 (ja) * 2014-06-05 2019-05-29 日本電気株式会社 光放射構造体及びそれを用いた熱光起電力発電システム、可視光照明装置、ガス検知装置
CN108533992A (zh) * 2018-04-19 2018-09-14 绍兴文理学院 一种选择性辐射光源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1222C (ko)
US1726365A (en) * 1927-07-13 1929-08-27 Gen Electric Lamp filament
US1863152A (en) * 1929-11-11 1932-06-14 Gen Talking Pictures Corp Exciter lamp
US3237284A (en) * 1962-02-05 1966-03-01 Polaroid Corp Method of forming carbide coated coiled filaments for lamps
US3927989A (en) * 1969-09-30 1975-12-23 Duro Test Corp Tungsten alloy filaments for lamps and method of making
GB1342069A (en) 1970-12-15 1973-12-25 Thorn Electrical Ind Ltd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nents
NL7607038A (nl) * 1976-06-28 1977-12-30 Philips Nv Elektrische gloeilamp.
DE2650298A1 (de) * 1976-11-02 1978-05-03 Patra Patent Treuhand Halogengluehlampe
US4196368A (en) * 1977-09-07 1980-04-01 Eikonix Corporation Improving incandescent bulb efficiency
US4123833A (en) * 1977-10-13 1978-11-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of producing doped tungsten filaments by ion-implantation
US4176293A (en) * 1978-02-17 1979-11-27 Varian Associates, Inc. Thermionic cathode heater having reduced magnetic field
DD141222A1 (de) * 1978-12-27 1980-04-16 Ralf Riebel Gluehlampe fuer mikroskopie
JPS5611832A (en) * 1979-07-11 1981-02-05 Toshiba Corp Directly heated cathode of electron tube and its manufacture
FR2476386A1 (fr) * 1980-02-15 1981-08-21 Thomson Csf Element chauffant pour cathode a chauffage indirec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element et cathode a chauffage indirect comportant un tel element
SU922915A1 (ru) * 1980-09-12 1982-04-23 Vni Лампа накаливания 1
US4585971A (en) * 1984-12-18 1986-04-29 Clegg John E Flat circular foil-filament lamp
CA1305512C (en) * 1986-12-22 1992-07-21 Thomas J. Patrician Method of fabricating a composite lamp member
US5330854A (en) * 1987-09-24 1994-07-19 General Electric Company Filament-containing composite
GB2233150A (en) * 1989-06-16 1991-01-02 Electricity Council Infra-red radiation source
JPH05258730A (ja) * 1992-03-13 1993-10-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光源用白熱体
JPH0613053A (ja) * 1992-06-25 1994-01-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光 源
US5666017A (en) * 1994-03-22 1997-09-09 Tailored Lighting Inc. Daylight lamp
US5493167A (en) * 1994-05-03 1996-02-20 General Electric Company Lamp assembly with shroud employing insulator support stops
DE4438870B4 (de) * 1994-11-03 2004-11-11 Heraeus Noblelight Gmbh Infrarotstrahler mit langgestrecktem Widerstandskörper als Strahlenquelle
US6018216A (en) * 1997-08-27 2000-01-25 Mcintosh; Devon R. Multielement selective emitter
US6268685B1 (en) * 1997-08-28 2001-07-31 Daniel Lee Stark High efficiency light source utilizing co-generating sources
DE19843852A1 (de) * 1998-09-24 2000-03-30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Elektrische Glühlam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4742200A (en) 2001-03-19
CN1211829C (zh) 2005-07-20
MXPA02001856A (es) 2004-03-10
CN1370327A (zh) 2002-09-18
WO2001015207A1 (de) 2001-03-01
EP1206794A1 (de) 2002-05-22
JP2003507878A (ja) 2003-02-25
AU4742300A (en) 2001-03-19
BR0013489A (pt) 2002-05-14
EP1206793B1 (de) 2006-10-25
WO2001015206A1 (de) 2001-03-01
ATE343850T1 (de) 2006-11-15
RU2260226C2 (ru) 2005-09-10
JP2003508875A (ja) 2003-03-04
EP1206793A1 (de) 2002-05-22
KR20020038736A (ko) 2002-05-23
HK1048704A1 (en) 2003-04-11
MXPA02001858A (es) 2004-03-10
US6903508B1 (en) 2005-06-07
US6777859B1 (en) 2004-08-17
CN1370328A (zh) 2002-09-18
DE50013668D1 (de) 2006-12-07
BR0013480A (pt) 2002-04-30
CN1215527C (zh) 2005-08-17
KR100664601B1 (ko)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38737A (ko) 광원 및 광원 제조 방법
US5144201A (en) Low watt metal halide lamp
US5138228A (en) Bulb geometry for low power metal halide lamp
EP0376712B1 (en) Double bulb halogen lamp
JPH0531801Y2 (ko)
US3903447A (en) Single-ended electric discharge lamp having tubular envelope with partition means that provides a helical arc path
US2200939A (en) Gaseous electric discharge lamp device
US7378797B2 (en) Fluorescent lamp with conductive coating
US7456556B2 (en) Lamp for heating having a reflective film for transmitting different radiation portions
US6555948B1 (en) Electric incandescent lamp
FR2513809A1 (fr) Lampe a decharge a haute intensite
US3211938A (en) Integral reflector tubular lamp
JPH02220346A (ja) 重水素放電管の傍熱陰極
GB2080020A (en) Electrical Light Source with a Metal Halide Discharge Tube and a Tungsten Filament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Discharge Tube
EP0678901B1 (en) Filament lamp
US8415883B2 (en) Miniature ceramic metal halide lamp having a thin leg
US3249789A (en) Electric incandescent projection lamp
JP3407555B2 (ja) 光照射装置
JP2000082574A (ja) 炭素発熱体とその製造方法
US7053535B2 (en) Low-pressure mercury vapor discharge lamp
US6570327B1 (en) Lamp with safety switch
GB2072416A (en) Halogen incandescent lamp
JPS5871554A (ja) 放電ランプ
CA1229867A (en) Radiant heater
WO2008050253A2 (en) Electric incandescent lamp with filament array and infrared reflective co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