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8497A - 구멍 표면 절삭 가공 공구 - Google Patents

구멍 표면 절삭 가공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8497A
KR20020038497A KR1020010070639A KR20010070639A KR20020038497A KR 20020038497 A KR20020038497 A KR 20020038497A KR 1020010070639 A KR1020010070639 A KR 1020010070639A KR 20010070639 A KR20010070639 A KR 20010070639A KR 20020038497 A KR20020038497 A KR 20020038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tool
cutting edges
cutting
off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7196B1 (ko
Inventor
크레쓰디터
헤베레프리드리히
Original Assignee
크레스 디터
마팔 파브릭 퓌어 프래찌지온스베르크쪼이게 독토르 크레쓰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레스 디터, 마팔 파브릭 퓌어 프래찌지온스베르크쪼이게 독토르 크레쓰카게 filed Critical 크레스 디터
Publication of KR20020038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1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79/00Methods, machines, or devices not covered elsewhere, for working metal by removal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77/00Reaming tools
    • B23D77/003Reaming tools with means for preventing cha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06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1908Face or end mill
    • Y10T407/191Plural simultaneously usable separable tools in common seat or common clamp actuator for plural simultaneously usable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06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1926Plural simultaneously usable separable tools in common seat or common clamp actuator for plural simultaneously usable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rilling Tools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 Milling, Broaching, Filing, Reaming, And Others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쌍을 이뤄 배치되는 4개 이상의 절삭날을 구비하는 구멍 표면 절삭 가공 공구(1)로서, 한 쌍의 절삭날이 공구(1)의 축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 표면 절삭 가공 공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구멍 표면 절삭 가공 공구{TOOL FOR MACHINING BORE SURFAC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구멍 표면 절삭 가공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공구, 가령 예를 들자면 보링 공구 및 리머는 공지되어 있다. 특히, 경화강(硬化鋼)으로 이뤄진 공작물의 구멍 표면을 가공할 경우에는 공구 절삭날의 칩핑(chipping) 및/또는 채터링(chattering)이 발생하여 구멍 표면에 원하는 치수 및 얻고자 하는 표면 품질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러한 단점을 수반하지 않는 서두에 언급한 형태의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4개의 절삭날을 구비한 공구 단부면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구의 전방부의 측면도,
도 3은 제2 실시예의 공구 단부면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a는 제1 실시예의 커터팁의 측면도,
도 4b는 제2 실시예의 커터팁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구
3 : 본체
9 : 커터팁
11, 13 : 클램핑 장치
D1, D2, D3 : 직경선
S1, S1', S2, S2', S3, S3' : 절삭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특징을 갖는 공구를 제안한다. 이러한 공구는 쌍을 이뤄 배치된 4개 이상의 절삭날 중 한 쌍의 절삭날이 공구의 축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구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쌍을 이뤄 배치된 4개 이상의 절삭날 중 제1쌍의 절삭날은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고, 제2쌍의 절삭날은 비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것은 제2쌍의 경우에는 절삭날이 직경 방향으로 정확하게 대향하지 않게 배치되거나, 공구의 축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게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 쌍의 절삭날이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거나 직경 방향으로 정확하게 대향하지 않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경화강으로 이루어진 공작물의 가공 시에도 절삭날의 칩핑 및 공구의 채터링이 방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공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한 쌍 이상의 절삭날이 추가로 마련된다. 그 경우, 6개의 절삭날을 구비한 공구에서는 제1쌍의 절삭날이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고, 제1쌍 및/또는 제3쌍의 절삭날이 전술한 바와 같이 비대칭으로 배치된다. 이렇게 하는 경우에도, 절삭날의 칩핑 및 공구의 채터링이 마찬가지로 확실하게 방지되게 된다.
종속 청구항들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는 특징들을 조합시키면, 그로부터 본 발명의 공구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출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평면도는 본체(3)의 윤곽이 원주선(5)으로 도시된 공구(1)를 나타낸 것이다. 본체(3)는 쌍을 이뤄 배치된 4개의 절삭날을 구비한다. 제1쌍의 절삭날(S1, S1')은 공구(1)의 상하에 배치된다. 이들 절삭날(S1, S1')은 제2 가상 직경선(D2)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 가상 직경선(D1) 상에 배치된다. 제2 가상 직경선(D2) 상에는 제2쌍의 절삭날(S2, S2')이 배치된다.
공작물의 구멍 표면을 가공할 때에는 공구(1)가 공작물에 대해 회전 운동하거나 공작물을 고정된 공구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절삭날(S1, S1', S2, S2')과 구멍 표면간의 상대 이동이 이루어진다. 물론, 공구와 공작물이 모두 회전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본질적인 것은 절삭날과 구멍 표면간의 상대 이동이다. 여기에서는 공구(1)가 고정된 공작물에 대해 회전하고, 그것도 특히 화살표(7)의 방향,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전제로 삼기로 한다. 본체(3)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절삭날(S1, S1', S2, S2')은 구멍 표면으로부터 칩을 절삭하고, 그 칩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구멍으로부터 밖으로 안내된다. 칩이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공구(1)의 본체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절결부가 회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각 절삭날의 전방에 마련된다. 그러한 형태의 공구의 작동 방식은 공지된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절삭날(S1, S1', S2, S2')은 공구(1)의 본체(3)의 일부일 수도 있다. 즉, 절삭날을 하나의 블록으로부터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절삭날이 각각 공구(1)의 본체(3)에 적절히 고정되는 커터팁(9)의 일부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커터팁(9)은 대략 공구(1)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게 본체(3)에 있는 홈 내에 삽입되어 그곳에 고정적으로 납땜되거나 적절한 클램핑 장치, 특히 클램핑 브래킷에 의해 고정된다. 커터팁을 나사로 직접 본체(3)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의 고찰에 있어서, 절삭날이 직접 본체(3)의 일부로 구성되는가, 또는 도 1 및 그 다음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터팁(9)으로 구성되는가 하는 것은 중요한 사항이 아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구(1)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는 바,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과 관련하여 전술한 것을 참조하라.
이 측면도에는 제1쌍의 절삭날에 있어서 상부 절삭날(S1) 및 이것과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는 절삭날(S1')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절삭날(S1)에 배치된 커터팁(9)이 클램핑 브래킷으로서 형성된 클램핑 장치에 의해 고정되고, 그 클램핑 장치가 클램핑 나사(13)에 의해 공구(1)의 본체(3)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도 1에서와 마찬가지로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또 다른 클램핑 브래킷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2에 따른 측면도는 제2 절삭날 쌍 중의 하나의 절삭날(S2')을 구비한 커터팁(9)을 평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는 다른 절삭날(S2')을 구비한 커터팁(9)의 최전방부가 본체의 단부면(15)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절삭날(S2, S2')은 직경 방향으로 정확하게 대향하여 배치된다. 그러나, 절삭날(S2)의 커터팁(9)은 점선(17)까지 돌출되는 반면에, 절삭날(S2')의 커터팁(9)은 그 점선(17)에 대해 뒤로 후퇴되어 배치되어 있다. 즉, 절삭날(S2')의 커터팁(9)은 본체(3)의 단부면(15)으로부터 절삭날(S2)의 커터팁(9)의 수준 정도로 돌출되지 않는다.
도 2로부터, 절삭날(S1, S1')의 두 개의 커터팁(9) 모두 정확하게 점선(17)까지 도달된다는 것, 즉 단부면(15)으로부터 동일한 수준까지 돌출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고 이를 참고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절삭날(S1, S1')은 정확하게 직경선(D1) 상에 배치된다. 즉, 제1쌍의 두 절삭날(S1, S1')은 서로 대칭으로 배치된다.
반면에, 제2쌍의 절삭날(S2, S2')은 정확하게 직경선(D2) 상에 배치되기는 하지만, 공구(1)의 본체(3) 단부면(15)으로부터 상이한 수준으로 돌출된다. 즉, 절삭날(S2, S2')은 공구(1)의 축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배치된다. 그에 따라, 제2쌍의 절삭날(S2, S2')은 서로 비대칭으로 배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공구(1) 단부면의 평면도를 매우 개략적으로나타낸 것이다. 동일한 부분에는 도 1 및 도 2에 사용된 바와 동일한 도면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이들 부분에 대한 설명은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전술한 설명을 참조하라.
도 3에 도시된 공구에는 3쌍의 절삭날(S1, S1'; S2, S2'; S3, S3')이 마련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것과 구별된다. 제1쌍의 절삭날(S1, S1')은 제1 직경선(D1) 상에 배치되고, 제2쌍의 절삭날(S2, S2')은 제2 직경선(D2) 상에 배치된다. 제2쌍(S3, S3')의 경우, 하나의 절삭날(S3')은 직경선(D3) 상에 배치되지만, 다른 절삭날(S3)은 직경선(D3)에 대해 소정 각도(α)만큼 오프셋되어 배치되는데, 특히 화살표(7)로 도시된 공구(1)의 회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직경선(D3)보다 뒤에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절삭날(S3)이 앞에 배치되는 것, 즉 마치 직경선(D3)에 대해 면대칭으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공구(1)의 실시예에서는 먼저 쌍을 이룬 절삭날(S1, S1'; S2, S2')이 대칭으로 배치되고, 즉 정확하게 직경선(D1, D2) 상에 배치되고, 본체(3)의 단부면(15)으로부터 공구의 축방향으로 동일한 수준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다만, 제3쌍의 절삭날(S3, S3')만이 비대칭으로 배치된다. 즉, 절삭날(S3)은 절삭날(S3')이 배치되어 있는 직경선(D3) 상에 바로 배치되지 않는다.
그러나, 제2쌍의 절삭날(S2, S2')은 도 2를 참고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오프셋 되거나, 아니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달리 이들 절삭날 중의 하나도 역시 직경선(D3) 상에 배치되지 않게 함으로써 그 제2쌍의 절삭날(S2, S2')까지도 비대칭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특히 예컨대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2쌍의 절삭날이 도 2를 참고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오프셋되고, 제3쌍의 절삭날이 직경선(D3)에 대해 오프셋되게 하는 방식으로 도 2 및 도 3을 참고로 설명한 비대칭을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끝으로, 쌍을 이룬 절삭날의 비대칭 관계를 축방향 오프셋 뿐만 아니라 직경선에 대한 오프셋으로 실현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도 2에 따른 도면에서는 절삭날(S2')에 배치된 커터팁(9)이 공구(1)의 본체(3)에서 축방향으로 오른편으로 이동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그러나, 커터팁의 전방 측, 즉 단부면(15)으로부터 돌출된 측을 절단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그러한 방안은, 예컨대 절삭날(S2')이 배치된 커터팁(9)을 나타내고 있는 도 4a에 도시되어 있다. 절삭날(S2')은 그 절삭날의 일부가 연마에 의해 제거되어 절삭날(S2)이 일정 크기(a)만큼 단축되도록 함으로써 역시 도 2에 도시된 가상 직경선(17)에 대해 뒤에 배치된다.
도 4b에는 절삭날(S2')을 구비한 커터팁(9)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점선(19, 2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커터팁(9)의 좌측 상부의 모서리를 절단함으로써 마찬가지로 절삭날(S2')을 축방향으로 소정 크기(a)만큼 단축시킬수 있다.
즉, 쌍을 이룬 2개의 절삭날을 축방향으로 비대칭이 되게 하는 것은 여러 가지 형태으로 달성할 수 있다.
절삭날이 공구(1)의 본체(3)의 일부로 구성되는 경우, 해당 절삭날의 구역, 예컨대 절삭날(S2')의 구역에서 본체(3)를 도 4a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절단할수 있다. 그러나, 절삭날의 일부를 절단하는 것도 가능한데, 그것은 4b를 참고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절삭날이 커터팁으로 구성되는 경우, 도 2를 참고로 전술한 바와 같이 커터팁이 본체에 축방향으로 오프셋되게 배치되어 절삭날이 다른 절삭날과 동일한 수준으로 본체(3)의 단부면(15)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해당 절삭날의 축방향 오프셋을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터팁의 오프셋은 커터팁이 본체(3)에 납땜되는 경우는 물론 커터팁(9)이 클램핑 브래킷(11)에 의해 본체(3)에 고정되는 경우에도 가능하다.
끝으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절삭날을 커터팁(9)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도 커터팁(9)의 유효 절삭날을 축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그것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도 4a를 참고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체의 커터팁을 연마에 의해 제거하거나, 도 4b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커터팁에서 절삭날의 구역에 배치된 미소 부분만을 연마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쌍을 이룬 절삭날의 비대칭을 얻고자 할 경우, 배치된 커터팁을 일정 거리(a)만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비대칭은 절삭날을 일정 거리(a)만큼 단축시키는 연마 공정을 통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축방향의 비대칭, 즉 오프셋 범위, "a"의 값은 0.5/10 ㎜ 내지 8/10 ㎜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축방향 오프셋 범위(a)는 1/10 ㎜ 내지 5/10 ㎜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축방향 오프셋 범위(a)는 약 2/10 ㎜인 것이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도 3을 참로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쌍을 이룬 절삭날을 이들이 속한 직경선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비대칭을 실현하는 경우, 공구(1)의 중심(23)으로부터 측정되는 예각(α)은 0.5°내지 10°, 바람직하게는 2°내지 7°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다. 직경선에 대해 약 5°의 각도(α)만큼 오프셋되는 것이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쌍을 이룬 절삭날을 축방향으로 오프셋되게 함으로써 기존의 공구에 대해서도 비대칭 구성을 달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공구에서도 절삭날의 칩핑 및 공구의 채터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결국, 쌍을 이뤄 배치되는 절삭날을 구비한 공구에서는 간단하게, 즉 적어도 한 쌍의 절삭날을 비대칭으로 배치함으로써 공지의 공구에서 부딪히는 단점, 그리고 특히 경화강으로 이루어진 공작물을 가공할 때에 부딪히는 단점이 방지될 수 있다. 그 경우, 도 3의 공구를 참고로 설명한 바와 같이 한 쌍 이상의 절삭날이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끝으로, 동일한 한 쌍의 절삭날의 각도 방향 오프셋 뿐만 아니라 축방향 오프셋에 의해서도, 비대칭 구성을 얻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여기에서 개시된 비대칭 구성은 6개를 초과하는 절삭날을 구비한 공구에서도 실현될 수 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 공구는 공구(1)의 본체(3)에 삽입되어 바람직하게는 여기에서 설명된 절삭날보다 더 길게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스트립을 또한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스트립을 각 절삭날마다 배치하거나 그 중의 단지 몇 개에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가이드 스트립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의미로서 서로 비대칭으로 배치되는 가이드 스트립을 마련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멍 표면 절삭 가공 공구에서는 쌍을 이루어 배치된 절삭날 중에서 한 쌍 이상의 절삭날이 공구의 축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게 배치되거나 각도 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배치됨으로써, 공지의 공구에서의 단점, 특히 경화강으로 이뤄진 공작물을 가공할 때에 발생되는 절삭날의 칩핑 및 공구의 채터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5)

  1. 중심축을 가지며, 절삭 가공 대상 구멍 표면이 있는 구멍이 배치된 공작물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고, 전방 단부와 이 전방 단부 후방의 전방 영역 및 외주부를 구비하는 공구 본체와;
    상기 전방 단부 영역에서, 그리고 상기 본체의 외주부 둘레에 일정 간격을 둔 지점에서 지지되어 있는 두 쌍 이상의 절삭날
    을 포함하고, 한 쌍의 절삭날 중 하나가 그 쌍의 다른 하나의 절삭날로부터 공구 본체의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것인 구멍 표면 절삭 가공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 중 제1쌍의 절삭날은 본체의 상기 전방 단부 영역의 외주부 둘레에서 제1 직경선 상에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인 구멍 표면 절삭 가공 공구.
  3. 제2항에 있어서, 제2쌍의 절삭날은 본체의 상기 전방 단부 영역의 외주부 둘레에서 제2 직경선 상에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인 구멍 표면 절삭 가공 공구.
  4. 제2항에 있어서, 제1쌍의 절삭날은 공구의 상기 전방 단부 영역을 따라 축방향으로 동일한 지점에 배치되고, 축방향으로는 오프셋되지 않는 것인 구멍 표면 절삭 가공 공구.
  5. 제2항에 있어서, 제2쌍의 절삭날은 공구 본체의 둘레에서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것인 구멍 표면 절삭 가공 공구.
  6. 제5항에 있어서, 제2쌍의 절삭날은 공구의 전방 단부 영역을 따라 축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있는 것인 구멍 표면 절삭 가공 공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방 단부 영역에 제3쌍의 절삭날을 더 포함하고, 이들 제3쌍의 절삭날은 상기 제1쌍 및 제2쌍의 절삭날로부터 본체의 외주부 둘레로 각도상 오프셋되어 있는 것인 구멍 표면 절삭 가공 공구.
  8. 제7항에 있어서, 제3쌍의 절삭날은 공구 본체 둘레에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지 않게 배치되어 있는 것인 구멍 표면 절삭 가공 공구.
  9. 제8항에 있어서, 제3쌍의 절삭날은 상기 본체의 전방 단부 영역에서 상기 공구의 축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인 구멍 표면 절삭 가공 공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쌍의 절삭날은 상기 본체의 전방 단부 영역에서 공구의 축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인 구멍 표면 절삭 공구.
  11. 제5항에 있어서, 제2쌍의 절삭날 중 하나의 절삭날은 이 제2쌍의 절삭날 중 다른 하나가 배치되는 가상 직경선에 대하여 0.5°내지 10°오프셋되어 있는 것인 구멍 표면 절삭 공구.
  12. 제5항에 있어서, 제2쌍의 절삭날 중 하나의 절삭날은 이 제2쌍의 절삭날 중 다른 하나가 배치되는 가상 직경선에 대하여 2°내지 7°오프셋되어 있는 것인 구멍 표면 절삭 공구.
  13. 제5항에 있어서, 제2쌍의 절삭날 중 하나의 절삭날은 이 제2쌍의 절삭날 중 다른 하나가 배치되는 가상 직경선에 대하여 약 5°만큼 오프셋되어 있는 것인 구멍 표면 절삭 공구.
  14. 제8항에 있어서, 제3쌍의 절삭날 중 하나의 절삭날은 이 제3쌍의 절삭날 중 다른 하나가 배치되는 가상 직경선에 대하여 0.5°내지 10°오프셋되어 있는 것인 구멍 표면 절삭 공구.
  15. 제6항에 있어서, 제2쌍의 절삭날 중 하나의 절삭날은 이 제2쌍의 절삭날 중 다른 하나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0.5/10 ㎜ 내지 8/10 ㎜ 오프셋되어 있는 것인 구멍 표면 절삭 가공 공구.
  16. 제6항에 있어서, 제2쌍의 절삭날 중 하나의 절삭날은 이 제2쌍의 절삭날 중 다른 하나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1/10 ㎜ 내지 5/10 ㎜ 오프셋되어 있는 것인 구멍 표면 절삭 가공 공구.
  17. 제6항에 있어서, 제2쌍의 절삭날 중 하나의 절삭날은 이 제2쌍의 절삭날 중 다른 하나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약 2/10 ㎜ 만큼 오프셋되어 있는 것인 구멍 표면 절삭 가공 공구.
  18. 제6항에 있어서, 제2쌍의 절삭날 중 하나의 절삭날은 이 제2쌍의 절삭날 중 다른 하나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0.5/10 ㎜ 내지 8/10 ㎜ 오프셋되어 있는 것인 구멍 표면 절삭 가공 공구.
  19. 제1항에 있어서, 절삭날은 공구의 본체에 삽입 가능한 커터팁으로 구성되는 것인 구멍 표면 절삭 가공 공구.
  20. 제19항에 있어서, 커터팁은 본체에 납땜되는 것인 구멍 표면 절삭 가공 공구.
  21. 제19항에 있어서, 커터팁은 본체의 적소에 클램핑되는 것인 구멍 표면 절삭가공 공구.
  22. 제6항에 있어서, 제2쌍의 절삭날 중 하나의 축방향 오프셋은 제2쌍의 절삭날 중 하나를 연마함에 의하여 실현되는 것인 구멍 표면 절삭 가공 공구.
  23. 절삭 가공 대상 구멍 표면이 있는 구멍이 배치된 공작물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고, 전방 단부와 이 전방 단부 후방의 전방 영역 및 외주부를 구비하는 공구 본체와;
    상기 전방 단부 영역에서, 그리고 상기 본체의 외주부 둘레로 일정 간격을 둔 지점에서 지지되어 있는 두쌍 이상의 절삭날
    을 포함하고, 제1쌍의 절삭날은 상기 본체 전방 단부 영역의 외주부에 직경방향으로 대향하게 배치되고, 제2쌍의 절삭날은 본체 전방 단부 영역의 외주부에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인 구멍 표면 절삭 가공 공구.
  24. 제23항에 있어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3쌍의 절삭날을 더 포함하고, 이 제3쌍의 절삭날은 본체 외주부 둘레의 다른 절삭날로부터도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인 구멍 표면 절삭 공구
  25. 제23항에 있어서, 한 쌍 이상의 절삭날이 상기 공구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축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것인 공구 표면 절삭 공구
KR1020010070639A 2000-11-17 2001-11-14 구멍 표면 절삭 가공 공구 KR100837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58226.5 2000-11-17
DE10058226.5A DE10058226B4 (de) 2000-11-17 2000-11-17 Werkzeug zur spanabtragenden Bearbeitung von Bohrungsoberfläch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497A true KR20020038497A (ko) 2002-05-23
KR100837196B1 KR100837196B1 (ko) 2008-06-13

Family

ID=7664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639A KR100837196B1 (ko) 2000-11-17 2001-11-14 구멍 표면 절삭 가공 공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676338B2 (ko)
EP (1) EP1213080B1 (ko)
JP (1) JP4205333B2 (ko)
KR (1) KR100837196B1 (ko)
AT (1) ATE401984T1 (ko)
AU (1) AU759170B2 (ko)
BR (1) BR0105233B1 (ko)
DE (2) DE10058226B4 (ko)
ES (1) ES231053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23180A1 (en) * 2004-06-17 2005-12-29 St. Jude Medical Ab Detection and/or monitoring of diastolic heart failure
JP4775065B2 (ja) * 2006-03-27 2011-09-21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穴加工工具
JP4876748B2 (ja) * 2006-07-19 2012-02-15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穴加工工具
IL177336A (en) * 2006-08-07 2013-05-30 Hanita Metal Works Ltd Anti-vibration stabilized finger milling
JP2014079814A (ja) * 2012-10-12 2014-05-08 Mitsubishi Materials Corp 穴加工工具
DE102012220125B3 (de) * 2012-11-05 2014-02-06 Kennametal Inc. Rundlaufwerkzeug zur Feinbearbeitung eines Bohrlochs in einem Werkstück sowie Verfahren zur Feinbearbeitung eines Bohrlochs
CN104439315A (zh) * 2013-09-13 2015-03-25 上海三电贝洱汽车空调有限公司 孔用复合刀具
DE102017204858A1 (de) 2017-03-22 2018-09-27 Kennametal Inc. Zerspanungswerkzeug, insbesondere Bohrstange, sowie Verfahren zur Bearbeitung einer Anzahl von Bohrungen
DE102017216860B4 (de) 2017-09-22 2020-03-19 Kennametal Inc. Zerspanungswerkzeug, Bearbeitungs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r Bearbeitung von Werkstücken
JP2020069558A (ja) * 2018-10-30 2020-05-07 京セラ株式会社 回転工具及び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US11865629B2 (en) 2021-11-04 2024-01-09 Kennametal Inc. Rotary cutting tool with high ramp angle capability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9965C (ko) 1911-03-03 1911-10-25
CH494611A (de) * 1967-12-08 1970-08-15 Walter Gmbh Montanwerke Reibahle
US3759625A (en) * 1970-09-15 1973-09-18 N Iversen Cutting tool
DE2639890B2 (de) * 1976-09-04 1981-04-23 Heinlein, Hans, 8502 Zirndorf Scheibenfräser
DE2811680A1 (de) * 1978-03-17 1979-09-20 Walter Gmbh Montanwerke Schaftfraeser mit schneidplattenbestueckung
US4740121A (en) * 1979-10-18 1988-04-26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Reamer with unequally spaced flutes
GB2079656A (en) * 1980-06-24 1982-01-27 Tooloy Ltd Rotary cutting tools with plural cutting blades
US4586855A (en) * 1982-06-21 1986-05-06 J. P. Tool Limited Face milling cutter
US4808044A (en) * 1986-04-30 1989-02-28 Mitsubishi Kinzoku Kabushiki Kaisha Insert cutter
IL85606A (en) * 1988-03-02 1994-02-27 Amram Dotany Helical cutting tool
US4948305A (en) * 1988-12-23 1990-08-14 Gte Valenite Corporation Boring bar
JPH0297510U (ko) * 1989-01-24 1990-08-03
US5542792A (en) * 1993-12-21 1996-08-06 Waukesha Cutting Tools, Inc. Cutting device with removable nosepiece
JP3376727B2 (ja) * 1994-11-11 2003-02-10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スローアウェイ式エンドミル
DE69619545T2 (de) * 1995-12-21 2002-10-10 Sandvik Ab Drehende schneidwerkzeuge
DE19727170A1 (de) * 1997-06-26 1999-01-07 Walter Ag Bohrwerkzeug mit Rechteckplat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105233B1 (pt) 2009-05-05
EP1213080A1 (de) 2002-06-12
ES2310533T3 (es) 2009-01-16
JP2002200512A (ja) 2002-07-16
DE10058226A1 (de) 2002-05-29
EP1213080B1 (de) 2008-07-23
AU8936001A (en) 2002-05-23
US20020076283A1 (en) 2002-06-20
BR0105233A (pt) 2002-06-25
AU759170B2 (en) 2003-04-10
DE10058226B4 (de) 2014-09-04
KR100837196B1 (ko) 2008-06-13
US6676338B2 (en) 2004-01-13
ATE401984T1 (de) 2008-08-15
DE50114146D1 (de) 2008-09-04
JP4205333B2 (ja) 200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7196B1 (ko) 구멍 표면 절삭 가공 공구
KR100548094B1 (ko) 정면밀링커터
JP5431627B2 (ja) 切屑除去自由端に交換可能なチップを有した回転可能な工具
KR20030076261A (ko) 스로어웨이팁 및 스로어웨이식 절삭공구
US7534075B2 (en) Knife plate and tool for machining bore surfaces
CN103537736A (zh) 用于模块化旋转刀具的耦联点以及用于此类型模块化旋转刀具的刀具头和支架
KR20120088710A (ko) 레이저를 이용한 회전 절삭 공구 에지의 3차원 표면 성형
JP2000005921A (ja) 高送りスローアウェイ式回転工具および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KR20050010874A (ko) 와이퍼 반경을 갖는 밀링 커터
KR100362551B1 (ko) 리머팁
JP2007260788A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切削工具
JPS6141683B2 (ko)
US20060048615A1 (en) Multi-radial shaft for releasable shaft holders
KR100871758B1 (ko) 공작 공구
JP2009184036A (ja) 切削工具
JP2007283467A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切削工具
JP2020006456A (ja) 転削工具
JP2008161999A (ja) 切削工具
US11897161B1 (en) Shaper cutter heads and router bits with indexing feature
KR102209601B1 (ko) 평면 및 모따기 연속가공용 밀링커터
JPS63120008A (ja) ドリル
JPH04300107A (ja) チップ取付面の加工方法及び加工工具
JPS6365450B2 (ko)
JP2000288819A (ja) 転削工具
JP2004066391A (ja) 深穴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