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7663A - 문자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문자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7663A
KR20020037663A KR1020010016838A KR20010016838A KR20020037663A KR 20020037663 A KR20020037663 A KR 20020037663A KR 1020010016838 A KR1020010016838 A KR 1020010016838A KR 20010016838 A KR20010016838 A KR 20010016838A KR 20020037663 A KR20020037663 A KR 20020037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character printing
head unit
reverse pressing
prin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지모또히로시
Original Assignee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끼구사 나오유끼
Publication of KR20020037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66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8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building-up characters or image elements applicable to two or more kinds of printing or marking processes
    • B41J2/5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building-up characters or image elements applicable to two or more kinds of printing or marking processes from an assembly of identical printing elements
    • B41J2/5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building-up characters or image elements applicable to two or more kinds of printing or marking processes from an assembly of identical printing elements line print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9/00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 B41J19/18Character-spacing or back-spacing mechanisms; Carriage return or release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9/00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 B41J19/18Character-spacing or back-spacing mechanisms; Carriage return or release devices therefor
    • B41J19/20Positive-feed character-spacing mechanisms
    • B41J19/202Drive control means for carriag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9/00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 B41J19/18Character-spacing or back-spacing mechanisms; Carriage return or release devices therefor
    • B41J19/20Positive-feed character-spacing mechanisms
    • B41J19/30Electromagnetically-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acter Spaces And Line Spaces In Printers (AREA)

Abstract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을 연속하여 반전, 퇴피, 정지, 기동시키는 경우라도, 문자 인쇄 처리 능력을 떨어뜨리지 않고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는 문자 인쇄 장치를 제공한다.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을 일정 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선형 모터와, 이 선형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문자 인쇄 헤드 유닛으로 반전 가압력을 미치게 하는 탄성 스프링을 갖는 문자 인쇄 장치로서, 이에 내장된 마이크로컴퓨터는 반전 가압력에 대향한 구동력을 선형 모터에 발생시켜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을 반전 가압력이 미치지 않는 위치에 일단 퇴피시키고(E, F), 그 퇴피 직후에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을 재기동시키는 경우(G),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을 퇴피 정지 위치(일점쇄선)으로부터 탄성 스프링의 반전 가압력이 가해지는 구간(반전 구간)으로 돌려 보내는 타이밍을 가변 제어한다.

Description

문자 인쇄 장치{CHARACTER PR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선형 모터의 구동력을 주동력으로서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을 일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문자 인쇄를 행하는 문자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트 임팩트 방식에 의해 연속장표 등에 대하여 고속 문자 인쇄를 행하는 문자 인쇄 장치로서는,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을 일정 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선형 모터, 이 선형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이 등속/반전 운동을 행하면서 왕복 이동할 때, 왕복 이동 구간의 양단 부근에서 문자 인쇄 헤드 유닛에 대하여 반전 가압력을 작용시키는 스프링, 및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이 왕복 이동할 때의 변위를 검출하기 위한 선형 인코더 등을 구비한 것이 있다.
이 종류의 문자 인쇄 장치에서는,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이 벨트 풀리 기구를 통하여 선형 모터에 연결되고, 마이크로컴퓨터 등의 제어부에서의 지령에 따라서 선형 모터가 구동됨으로써, 그 구동력을 통해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이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선형 모터는 모터 코일이 부착된 가동자가 벨트 풀리 기구를 통해 문자 인쇄 헤드 유닛과는 역방향으로 동작하게 되어, 이 가동자가 카운터 평형 장치로서의 역할을 겸하고 있다. 또한,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이 왕복 이동하는 구간의 양단 부근에는 문자 인쇄 헤드 유닛에 대하여 반전 가압력을 작용시키기 위해서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고, 이 스프링에 의한 탄성적인 반전 가압력과 선형 모터의 구동력을 정합한 힘에 의해,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이 등속 운동으로부터 반전 운동, 혹은 그 반대로 전환된다.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이 왕복 이동할 때의 위치 및 속도는, 선형 스케일을 검출 대상으로 한 선형 인코더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에 의해 산출되고, 이에 따라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은 미리 정해진 속도 커브에 따른 이동 속도로 왕복 이동하도록 피드백 제어된다. 이 피드백 제어는 제어부에 의해서 선형 모터의 모터 코일에 공급하는 구동 전류의 방향이나 전류치, 혹은 구동 전류의 통전 개시/종료의 타이밍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행해지고 있다. 문자 인쇄 동작을 행할 때는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이 왕복 이동하면서, 그 왕복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문자 인쇄용지가 반송되고, 문자 인쇄용지 상에 잉크 리본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또한 그 위의 문자 인쇄 헤드 유닛으로부터 문자 인쇄용지에 대하여 니들 핀을 치기 시작함으로써, 문자 인쇄용지에 잉크가 전사되어 문자 인쇄가 실시된다.
결국,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이 왕복 이동하는 구간은, 그 중앙부를 점유하여 등속이동중에 문자 인쇄 동작을 행하는 문자 인쇄 구간과, 왕복 이동 구간의 최 양단부를 점유하여 반전 동작중에 종이 이송 동작을 행하는 종이 이송 구간으로 분리된다. 한편, 스프링에 의한 반전 가압력이 작용하는 반전 구간은, 종이 이송 구간을 포함하는 왕복 이동 구간의 양단 부근일대를 차지하지만, 스프링에 의한 반전 가압력은, 문자 인쇄 구간에도 작용하기 때문에, 반전 구간과 문자 인쇄 구간은 상호 간섭하여 부분적으로 중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은 다음과 같이 하여 제어된다. 연속 매행 문자 인쇄 동작을 행하는 경우,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은 문자 인쇄 구간에서 반전 구간으로 이동하여 방향 전환한 후, 반전 구간에서 다시 문자 인쇄 구간을 지나서 다른쪽의 반전 구간으로 옮기고, 이러한 동작이 반복된다. 이 때, 반전 구간 내에서도 양단부에 가까운 종이 이송 구간내에서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이 반전중, 종이 이송 동작이 행해진다. 한편,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이 반전할 때에는, 항상 일정한 길이로 종이 이송되는 것에 한하지 않고, 통상보다 길게 종이 이송되는 경우나, 다음 행의 인쇄 커맨드가 보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은 스프링의 반전 가압력에 대향한 구동력을 선형 모터에 발생시켜 반전 가압력이 미치지 않은 위치에 퇴피시켜고, 일단 정지한 상태가 된다. 그 후, 종이 이송 동작의 완료나 인쇄 커맨드의 수신에 따라서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의 왕복 이동 동작이 다시 기동되고, 이에 따라, 통상보다 긴 종이 이송이나 인쇄 커맨드의 지연에 의해서도 동작이 신속히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을 연속하여 반전, 퇴피, 정지, 기동시키는 경우, 스프링의 동 특성에 관한 변동이나, 온도 변화에 의존하는 선형 모터의 구동력 변동에 의해서, 미리 정된 속도 커브에 따라서 일의적으로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을 움직일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도 8은 종래에서의 반전, 퇴피, 정지, 기동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지만, 이 그림의 부호 C에서 도시하는 부분과 같이, 선형 모터의 구동력이 온도 상승에 의해서 저하하면,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의 퇴피 동작(E)이 불충분하게 되고, 통상 정지 상태가 되어야 하는 위치(F)를 넘어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이 이동하게 되어, 정규의 정지 위치에서 재기동할 수 없고(G), 다시 왕복 이동 동작이 시작되어 버려 이동 속도가 흐트러진다. 또한, 부호 D에서 도시하는 부분의 경우에는, 거의 정지하지 않고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이 재기동되기 때문에, 문자 인쇄구간에서 이탈할 수가 없어, 동작 에러가 생겼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문자 인쇄 장치의 일 실시 형태로서, 그 개략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선형 모터를 측면에서 본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선형 모터의 가동자를 상면에서 본 상태의 상면도.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문자 인쇄 장치에 내장된 마이크로컴퓨터의 블럭도.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반전, 퇴피, 정지, 기동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6은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을 반전, 퇴피, 정지, 기동시키는 경우의 인터럽트 제어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7은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을 반전, 퇴피, 정지, 기동시키는 경우의 인터럽트 제어 처리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8은 종래에서의 반전, 퇴피, 정지, 기동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9는 도 8의 C부에 적합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0은 도 8의 D부에 적합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문자 인쇄 헤드 유닛(문자 인쇄 수단)
2 : 선형 모터(선형 구동 수단)
2A, 2B : 고정 스케일
2C : 가동자
3 : 벨트 풀리 기구
4 : 고정축
5A, 5B : 탄성 스프링
5C, 5D : 가동 스토퍼
6 : 선형 인코더
7 : 서미스터
10 : MPU(제어 수단)
11 : ROM
12 : RAM
13 : 인터페이스
C1 : 등속 코일
C2 : 반전 코일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기초로 안출된 것으로써,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을 연속하여 반전, 퇴피, 정지, 기동시키는 경우라도, 문자 인쇄 처리 능력을 떨어뜨리지 않고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는 문자 인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다음의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고 있다.
즉, 본원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문자 인쇄 수단을 일정 방향에 따라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선형 구동 수단과, 이 선형 구동 수단의 구동력에 의해 문자 인쇄 수단이 왕복 이동할 때, 왕복 이동 구간의 양단 부근에서 문자 인쇄 수단에 대하여 반전 가압력을 미치게 하는 반전 가압 수단을 갖는 문자 인쇄 장치로서, 반전 가압 수단의 반전 가압력에 대향한 구동력을 선형 구동 수단에 발생시켜 문자 인쇄 수단을 반전 가압력이 미치지 않는 위치에 일단 퇴피시키고, 그 퇴피 직후에 문자 인쇄 수단을 재기동시키는 경우, 이 문자 인쇄 수단을 퇴피 정지 위치에서 반전 가압 수단의 반전 가압력이 가해지는 구간으로 돌려 보내는 타이밍을 가변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인쇄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문자 인쇄 수단을 일정 방향에 따라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선형 구동 수단과, 이 선형 구동 수단의 구동력에 의해 문자 인쇄 수단이 왕복 이동할 때, 왕복 이동 구간의 양단 부근에서 문자 인쇄 수단에 대하여 반전 가압력을 미치게 하는 반전 가압 수단을 갖는 문자 인쇄 장치로서, 반전 가압 수단의 반전 가압력에 대향한 구동력을 선형 구동 수단에 발생시켜 문자 인쇄 수단을 반전 가압력이 미치지 않는 위치에 일단 퇴피시키고, 그 퇴피 직후에 문자 인쇄 수단을 재기동시키는 경우, 이 문자 인쇄 수단을 퇴피 정지 위치에서 반전 가압 수단의 반전 가압력이 가해지는 구간으로 돌려 보내는 데에 있어, 선형 구동 수단에 공급하여야 할 구동 전류를 가변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인쇄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문자 인쇄 수단을 일정 방향에 따라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선형 구동 수단과, 이 선형 구동 수단의 구동력에 의해 문자 인쇄 수단이 왕복 이동할 때, 왕복 이동 구간의 양단 부근에서 문자 인쇄 수단에 대하여 반전 가압력을 미치게 하는 반전 가압 수단을 갖는 문자 인쇄 장치로서, 반전 가압 수단의 반전 가압력에 대향한 구동력을 선형 구동 수단에 발생시켜 문자 인쇄 수단을 반전 가압력이 미치지 않는 위치에 일단 퇴피시키고, 그 후, 정지 상태에 있는 문자 인쇄 수단을 재기동시키는 경우, 이 문자 인쇄 수단을 퇴피 정지 위치에 퇴피시키는 것에 있어서, 선형 구동 수단에 공급하여야 할 구동 전류의 듀티를 가변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인쇄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제4 측면에 의하면, 문자 인쇄 수단을 일정 방향에 따라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선형 구동 수단과, 이 선형 구동 수단의 구동력에 의해 문자 인쇄 수단이 왕복 이동할 때, 왕복 이동 구간의 양단 부근에서 문자 인쇄 수단에 대하여 반전 가압력을 미치게 하는 반전 가압 수단을 갖는 문자 인쇄 장치로서, 반전 가압 수단의 반전 가압력에 대향한 구동력을 선형 구동 수단에 발생시켜 문자 인쇄 수단을 반전 가압력이 미치지 않는 위치에 일단 퇴피시키고, 그 후, 정지 상태에 있는 문자 인쇄 수단을 재기동시키는 경우, 이 문자 인쇄 수단을 퇴피 정지 위치에 퇴피시키는 것에 있어서, 선형 구동 수단에 공급하여야 할 구동 전류 그 자체를 가변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인쇄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따르면, 제어 수단은 문자 인쇄 수단의 이송량이 소정량에 차지 않는 경우, 그 문자 인쇄 수단의 재기동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따르면, 제어 수단은 문자 인쇄 수단의 재기동을 소정 횟수 반복하더라도 성공하지 않는 경우, 동작 에러라고 판단한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측면에 따르면, 문자 인쇄 수단을 퇴피 직후에 재기동시키는 경우, 선형 구동 수단에 구동력을 발생시켜 퇴피 정지 위치에서 반전 가압력이 가해지는 반전 구간으로 문자 인쇄 수단을 돌려 보낸다. 그 때, 선형 구동 수단에 구동 전류를 투입하여 기동 개시로 하거나, 기동 종료로 하기도 하는 타이밍을 동작 상황에 따라서 바꾸고, 혹은 선형 구동 수단에 공급하여야 할 구동 전류 그 자체를 동작 상황에 따라서 바꿀 수 있다. 따라서, 문자 인쇄 수단을 연속하여 반전, 퇴피, 정지, 기동시키는 경우, 반전 가압 수단의 동 특성에 관한 변동이나, 온도 변화에 의해서 선형 구동 수단의 구동력이 변동하는 상황이더라도, 그 시점에서의 상황에 따라서 적당한 제어를 선형 구동 수단에 대하여 행할 수 있어, 문자인쇄 수단의 왕복 이동에 따르는 문자 인쇄 동작을 빠르게 재개시켜 문자 인쇄 처리 능력을 떨어뜨리는 일없이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제3 및 제4 측면에 따르면, 문자 인쇄 수단을 일단 퇴피시킬 때, 선형 구동 수단에 공급하여야 할 구동 전류의 듀티를 동작 상황에 따라서 바꾸고, 혹은 구동 전류 그 자체를 동작 상황에 따라서 바꿀 수 있다. 따라서, 문자 인쇄 수단을 연속하여 반전, 퇴피, 정지, 기동시키는 경우, 반전 가압 수단의 동 특성 에 관한 변동이나, 온도 변화에 의해서 선형 구동 수단의 구동력이 변동하는 상황이더라도, 그 시점에서의 상황에 따라서 적당한 제어를 선형 구동 수단에 대하여 행할 수 있어, 문자 인쇄 수단의 왕복 이동에 따르는 문자 인쇄 동작을 빠르게 재개시켜 문자 인쇄 처리 능력을 떨어뜨리는 일없이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문자 인쇄 수단을 연속하여 반전, 퇴피, 정지, 기동시키는 경우의 선형 구동 수단에 대한 제어는, 문자 인쇄 수단의 이송량이 소정량에 차지 않는 경우에 반복하여 소정 횟수에 걸쳐 실행할 수 있고, 소정 횟수 이내에 문자 인쇄 수단을 소정량 돌려 보낼 수 있는 경우에는, 동작 에러로 하는 일 없이 정상적인 동작으로 하여, 문자 인쇄 수단의 왕복 이동에 따르는 문자 인쇄 동작을 재개시킬 수 있다.
본원 발명의 그 밖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행하는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설명에 의해서, 보다 분명히 될 것이다.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문자 인쇄 장치의 일 실시 형태로서, 그 개략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 본원 발명은 왕복 이동중의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을 반전, 퇴피, 정지, 기동시키는 경우의 선형 모터에 대한 제어에 특징을 갖는 것으로써, 기계적 구성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므로, 적절하게 도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인쇄 장치는 문자 인쇄 행 방향 S를 따라서 왕복 이동하면서 문자 인쇄 동작을 행하는 문자 인쇄 수단으로서의 문자 인쇄 헤드 유닛(1),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선형 구동 수단으로서의 선형 모터(2), 선형 모터(2)의 구동력을 반전시키면서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에 전하는 벨트 풀리 기구(3),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문자 인쇄 행 방향 S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축(4), 이 고정축(4)에 안내 삽입되어,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이 왕복 이동할 때 반전 가압력을 미치게 하는 반전 가압 수단으로서의 한쌍의 탄성 스프링(5A, 5B), 왕복 이동 구간에서의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의 변위를 검출하는 선형 인코더(6) 등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 문자 인쇄 장치에는, 기계적 구성 요소 외, 선형 모터(2)에 공급하는 구동 전류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후술하는 마이크로컴퓨터가 내장되어 있고, 이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문자 인쇄 장치 전체의 동작이 제어된다. 또한, 문자 인쇄 장치에는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성 요소로서 서미스터가 내장되어 있다.
도 2는 선형 모터(2)를 측면에서 본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선형 모터(2)의가동자를 상면에서 본 상태의 상면도이고, 이들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형 모터(2)는 복수의 영구자석 G…를 직선상에 열거하여 일체화된 한쌍의 고정 스케일(2A, 2B)과, 이들 고정 스케일(2A, 2B)의 사이에 삽입되어, 복수의 코일 C…이 부착된 가동자(2C)를 개략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동자(2C)는 코일 C…에 흐르는 구동 전류에 따라서 이동 자계를 생성하여, 이 이동 자계가 고정 스케일(2A, 2B) 상의 영구자석 G…에 작용함으로써, 이들 고정 스케일(2A, 2B)의 사이를 직선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가동자(2C)에는, 특히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로 등속 이동시키는 경우에 통전 상태가 되는 등속 코일(C1)과, 이동 방향을 바꾸는 경우에 주로 통전 상태가 되는 반전 코일(C2)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코일(C1, C2)에 공급하는 구동 전류를 제어량으로서 피드백 제어를 행하는 것에 의해, 가동자(2C)는 등속/반전 운동을 반복하면서 왕복 이동한다.
다시 도 1로 바뀌어 보면, 이러한 가동자(2C)는 연접 로드(3B)를 통해 벨트 풀리 기구(3)의 벨트에서의 선형 모터(2)의 위치에서 연결되어 있는 한편,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은 연접 로드(3C)를 통해 벨트 풀리 기구(3)의 벨트에서의 선형 모터(2)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가동자(2C)는 탄성 스프링(5A, 5B)에 대하여 가압하거나, 분리하거나 하기 위한 고정축(4)에 안내 삽입된 가동 스토퍼(5C, 5D)에도 연접 로드(3A)를 통해 직결되어 있다. 따라서,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은 가동자(2C)의 왕복 이동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한편, 이와 동시에 가동 스토퍼(5C, 5D)는 가동자(2C)와 같은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동자(2C)는 왕복 이동하는 문자 인쇄헤드 유닛(1)에 대하여 카운터 평형 장치로서의 역할도 해내고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문자 인쇄 장치는 도트 임팩트 방식에 의해 연속 장표 등의 문자 인쇄용지(도시 생략)에 대하여 문자 인쇄를 실시하는 것으로써,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에는 다수의 니들 핀(도시 생략)이 문자 인쇄용지의 반송 방향 F와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매트릭스형으로 정렬한 상태에서 탑재되어 있다. 이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은 문자 인쇄용지의 반송 방향 F와 직교하는 문자 인쇄 행 방향 S에 따라서 왕복 이동할 때, 선택적으로 니들 핀을 잉크 리본(도시 생략)의 위에서 문자 인쇄 용지측을 향하여 쳐내는 문자 인쇄 동작을 행하고, 그 결과, 1 행분의 문자 인쇄를 통합하여 행하 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문자 인쇄 동작은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이 왕복 이동 구간 내를 등속 이동할 때에 행해지고,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이 반전 이동할 때에는, 문자 인쇄 용지의 종이 이송이 행해진다.
즉,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이 왕복 이동하는 구간은 그 중앙부를 점유하여 등속이동중에 문자 인쇄 동작을 행하는 문자 인쇄 구간과, 왕복 이동 구간의 최 양단부를 점유하여 반전 동작중에 종이 이송 동작을 행하는 종이 이송 구간으로 분리된다. 한편, 탄성 스프링(5A, 5B)에 의한 반전 가압력이 작용하는 반전 구간은, 종이 이송 구간을 포함하는 왕복 이동 구간의 양단 부근 일대를 차지하지만, 이들 탄성 스프링(5A, 5B)에 의한 반전 가압력은 문자 인쇄 구간에서도 작용하므로, 반전 구간과 문자 인쇄 구간은 상호 간섭하여 부분적으로 중복하도록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왕복 이동 구간내에서의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나중의 상세한 동작 설명에 맡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문자 인쇄 장치에 내장된 마이크로컴퓨터의 블럭도이고,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는 MPU(10), ROM(11), RAM(12) 및 인터페이스(13)를 버스선에 의해 서로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인터페이스(13)에는 선형 모터(2), 선형 인코더(6), 및 서미스터(7) 등이 접속되어 있다.
MPU(10)는,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에 의한 문자 인쇄 동작이나 종이 이송 동작 등 외, 선형 모터(2)의 코일(C1, C2)에 공급하여야 할 구동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의 왕복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MPU(10)는 구동 전류를 제어량으로 하여 선형 모터(2)를 제어 대상으로 하는 한편,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이 왕복 이동할 때, 선형 인코더(6)를 통해 축차 검출되는 변위에 기초하여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고, 이 이동 속도를 목표 변화량으로서 피드백 제어를 행한다. 이 때, MPU(10)는 반전 구간내에서도 양단부에 가까운 종이 이송 구간내에서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반전시킬 때, 그것과 동시에 종이 이송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이 반전할 때에는, 항상 일정한 길이로 종이 이송된다고는 한하지 않고, 통상보다 길게 종이 이송되는 경우나, 다음 행의 인쇄 커맨드가 보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때, MPU(10)는 탄성 스프링(5A, 5B)의 반전 가압력에 대향한 구동력을 선형 모터(2)에 발생시켜 반전 가압력이 미치지 않는 위치(이를 이하에서, 「퇴피 정지 위치」라고 부른다)에 문자 인쇄 헤드유닛(1)을 퇴피시켜, 일단 정지한 상태로 한다. 그 후, 종이 이송 동작의 완료나 인쇄 커맨드의 수신에 따라서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의 왕복 이동 동작을 다시 기동시키는 것에 의해, MPU(10)는 통상보다 긴 종이 이송이나 인쇄 커맨드의 지연에 의해서도 왕복 이동 동작을 신속히 재개시키고 있다.
ROM(11)은 MPU(10)가 실행하여야 할 제어 프로그램이나 파라미터등을 기억하고 있다. RAM(12)은 MPU(10)의 작업 영역 등으로서 이용된다. 인터페이스(13)는 MPU(10)에 대한 입출력 접점으로서 기능한다. 선형 인코더(6)는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의 변위에 따른 검출 신호 S1 외,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이 반전 구간에 달한 것을 도시하는 반전위치 검출 신호 S2, S3를 출력한다. 선형 모터(2)의 등속 코일(C1)에 대하여는 등속 구동 전류 DJ가 공급되는 한편, 반전 코일(C2)에 대하여는 반전 구동 전류 D2가 공급된다. 서미스터(7)는 장치 내부의 분위기 온도를 검출하여, 이것을 MPU(10)에 대해 전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마이크로컴퓨터는 그 상세한 동작을 나중의 설명에 맡기지만, 통상보다 긴 종이 이송이나 인쇄 커맨드의 지연에 대응하여,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반전, 퇴피, 정지, 기동시키는 경우, 탄성 스프링(5A, 5B)의 동 특성에 관한 변동이나, 온도 변화에 의존하는 선형 모터(2)의 구동력 변동에 의해서도 정밀도 좋게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이 동작하도록, 그 시점에서의 상황에 따라서 적당하게 타이밍이나 제어량을 변화시키면서 선형 모터(2)를 제어하고 있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반전, 퇴피, 정지, 기동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이 도면의 부호 A에서 도시하는 부분과 같이, 연속 매행 문자 인쇄 동작을 행하는 경우,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은 문자 인쇄 구간에서 반전 구간으로 이동하여 방향 전환한 후, 반전 구간에서 다시 문자 인쇄 구간을 지나서 다른쪽의 반전 구간으로 옮겨,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는 것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문자 인쇄 동작을 행한다. 이 때, 반전 구간내에서도 탄성 스프링(5A, 5B)의 반전 가압력에 따라서 가감속 상태가 되는 종이 이송 구간내에서,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이 반전하는 한창일 때에 종이 이송 동작이 행해진다.
한편, 도 5의 부호 B에서 도시하는 부분과 같이, 왕복 이동중의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반전, 퇴피, 정지, 기동시키는 경우, MPU(10)는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탄성 스프링(5A, 5B)의 반전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퇴피 정지 위치에 일단 퇴피시켜 정지시키도록, 반전 가압력에 대향한 구동력을 선형 모터(2)로부터 발생시켜 반전중의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에 제동력을 제공한다(E). 그렇게 하면,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은 종이 이송 동작이나 다음 행의 인쇄 커맨드를 수신할 때까지 퇴피 정지 위치에 멈추는 상태가 된다(F). 그 후, 종이 이송 동작의 완료나 인쇄 커맨드를 수신하면,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의 왕복 이동 동작이 다시 기동된다(G). 이 때, 선형 모터(2)는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퇴피 정지 위치에서 탄성 스프링(5A, 5B)의 반전 가압력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가해지는 종이 이송 구간까지 돌려 보내도록, 이에 따른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코일(C1, C2)에 공급하여야 할 구동 전류가 제어된다.
이상 설명한 일련의 제어수순에 따르면, 안정적으로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반전, 퇴피, 정지, 기동시킬 수 있어, 정상적인 동작으로 할 수 있다. 그런데,탄성 스프링(5A, 5B)의 동 특성에 오류가 있거나, 연속 운전에 의한 발열에 의해서 장치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선형 모터(2)의 구동력이 크게 변동하는 상황 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생긴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연속하여 반전, 퇴피, 정지, 기동시키는 경우로서, 왕복 이동중의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퇴피시킨 직후에 종이 이송 동작의 완료나 인쇄 커맨드를 수신하고, 그것에 따라서 재기동시키는 경우에는, 선형 모터(2)에 구동 전류를 투입하여 기동 개시로 하는 타이밍, 혹은 기동 종료로 하는 타이밍을 상황에 따라서 변화시켜,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퇴피 정지 위치로부터 종이 이송 구간으로 돌려 보내는 타이밍을 가변 제어하고 있다. 또한, 타이밍을 가변 제어하는 것과 동시에, 혹은 이와는 독립한 제어로서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퇴피 정지 위치에서 종이 이송 구간으로 돌려 보낼 때, 선형 모터(2)에 공급하여야 할 구동 전류의 값을 상황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바와 같이 제어하고 있다.
또한, 왕복 이동중의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일단 퇴피시킬 때에 있어서도, 선형 모터(2)에 공급하여야 할 구동 전류의 듀티, 혹은 그 구동 전류의 값을 상황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소정의 퇴피 정지 위치에 멈추게 하는 동작을 안정시키고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제어에 의해서도,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이 종이 이송 구간까지 완전히 되돌아가지 않은 경우에는, 그 후의 왕복 이동 동작을 정상적인 속도 커브에 따른 동작으로 할 수 없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1회 한으로 동작 에러라고 판단하는 것은 아니고, 재시도 동작으로서 소정 횟수 반복하여 마찬가지의 제어를 실행시켜, 소정 횟수 이내에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종이 이송 구간까지 돌려 보낼 수 있는 경우에는, 동작 에러로 하지 않고 정상적인 동작으로서 취급할 수 있다. 이것에 따르면,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의 반전, 퇴피, 정지, 기동에 따르는 동작 에러를 방지할 수가 있다.
다음에,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반전, 퇴피, 정지, 기동시키는 경우의 제어 동작에 관해서, 순서도를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반전, 퇴피, 정지, 기동시키는 경우의 인터럽트 제어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또, 이 인터럽트 제어 처리는, 통상보다도 종이 송부량을 길게 하는 경우나, 다음 행의 인쇄 커맨드가 왕복 이동 동작에 지연되는 것으로 문자 인쇄 동작을 개시할 수 없는 경우에 실행되어,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왕복 이동하는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정지한 상태로 하기 위한 처리이다. 또한, 왕복 이동 구간내에서의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의 위치는, 선형 인코더(6)를 통해 축차 검출되어 있다.
우선, MPU(10)은 인터럽트 커맨드를 접수하면, 왕복 이동중의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문자 인쇄 구간에서 종이 이송 구간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종이 이송 구간으로부터 방향 전환하여 문자 인쇄 구간으로 향하도록 반전 제어를 행한다(S1). 이 반전 제어는 선형 모터(2)에 공급하는 구동 전류를 적당하게 제어함으로써 행해지고, 도 5에 도시하는 E 부분의 직전이고, B 부분의 전반부에 대응한다. 또, 반전 제어를 행하는 때는, 그것과 동시에 종이 이송 동작이 제어된다.
이에 따라,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이 종이 이송 구간에서 문자 인쇄 구간으로 옮기기 시작하면, MPU(10)은 퇴피 제어를 시작한다(S2). 이 퇴피 제어란, 도 5의 E 부분에 대응하며, 탄성 스프링(5A, 5B)의 반전 가압력에 대향한 구동력을 선형 모터(2)로써 발생시켜, 반전중의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에 제동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행해진다. 이 퇴피 제어가 충분히 행해지면,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은 도 5의 일점차선으로 도시하는 퇴피 정지 위치에서, 순간적으로도 일단 정지한 상태가 된다. 이것은 도 5의 F 부분에 대응한다.
이러한 퇴피 제어의 개시 직후부터, MPU(10)는 인터럽트 제어 처리를 개시하는 원인이 된 종이 이송 동작이 완전히 완료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고 있다(S3). 또, 인터럽트 제어 처리를 개시하는 원인이 인쇄 커맨드의 지연인 경우, MPU(10)는 그 인쇄 커맨드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퇴피 제어의 개시 직후의 시점에서, 종이 이송 동작이 완전히 완료하거나, 혹은 지연되고 있는 인쇄 커맨드를 수신한 것을 검출하면(S3:YES), MPU(10)는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다시 왕복 이동시키도록 재기동 제어를 개시한다(S4). 이 재기동 제어란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퇴피 정지 위치로부터 탄성 스프링(5A, 5B)의 반전 가압력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가해지는 종이 이송 구간까지 돌려 보내어, 그 반동에 의해서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등속 이동시키면서 문자 인쇄 구간으로 밀어 붙이기 위해서 행해지는 것으로, 도 5의 G 부분에 대응한다.
이 때, 퇴피 직후의 상태에 의해서는,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이 완전히 정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재기동 제어가 시작되는 일도 있고, 또한, 탄성 스프링(5A,5B)의 변동이나, 그 이전의 연속한 왕복 이동 동작에 의해서 장치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선형 모터(2)로부터 충분한 구동력을 얻을 수 없다고 하는 상황을 만들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MPU(10)는 선형 인코더(6)를 통해 축차 검출되는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의 위치나, 서미스터(7)를 통해 검출되는 온도 등에 따라서, 재기동 제어를 종료로 하는 시점의 타이밍을 변화시키는 바와 같이 제어하고 있다(S5). 재기동 제어를 종료로 하는 시점의 타이밍으로서는, 예를 들면 재기동 개시의 시점을 기준으로서 20ms에서 30ms 등으로 변화된다. 또, 이 경우에는, 선형 모터(2)에 공급하는 구동 전류의 전류치를 변화시키는 바와 같이 하더라도 좋다. 이에 따라, 퇴피 정지 위치의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문자 인쇄 구간으로부터 이탈시켜, 종이 이송 구간에 확실하게 달할 수 있을 정도의 구동력을 선형 모터(2)에 발생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재기동 제어를 실행한 후, MPU(10)는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이 문자 인쇄 구간에서 이탈하여 종이 이송 구간에 달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6).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이 문자 인쇄 구간에서 이탈한 경우(S6:YES), MPU(10)는 이 인터럽트 제어 처리를 끝내어 원래의 왕복 이동 동작에 따른 처리에 되돌아간다. 이에 따라,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은 선형 모터(2)로부터의 구동력을 통해 문자 인쇄 구간에서 등속 이동하면서 문자 인쇄 동작을 재개시키게 된다.
한편, S6에 있어서, 재기동 제어에 의해서도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문자 인쇄 구간에서 이탈시킬 수 없는 경우(S6:NO), MPU(10)는 재시도 횟수가 소정 횟수, 본 실시예로서는 예를 들면 4회에 달할 때까지(S7:NO), 반복하여 재기동 제어를 행하도록 S4에 되돌아간다.
S7에 있어서, 재시도 횟수가 소정 횟수가 되면(S7:YES), MPU(10)는 정상적인 동작에 복귀할 수 없는 동작 에러라고 판단하여(S8), 그 취지의 통지를 행한 뒤에 이 인터럽트 제어 처리를 끝낸다.
S3에 있어서, 퇴피 제어의 개시 직후, 종이 이송 동작이 완료되지 않고, 혹은 지연되고 있는 인쇄 커맨드를 아직 수신할 수 없는 경우(S3:NO), MPU(10)는 정지 제어를 행한다(S9). 이 정지 제어란, 전술한 바와 같이,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이 퇴피 정지 위치에 멈추는 상태의 제어를 말한다.
그 후, MPU(10)는 S3와 같이 하여, 종이 이송 동작이 완전히 완료하거나, 혹은 지연되고 있는 인쇄 커맨드를 수신한 것을 검출하면(S10:YES), 재기동 제어를 실행한 후(S11), S6에 진행한다.
S10에 있어서, 종이 이송 동작이 완료되지 않고, 혹은 지연되고 있는 인쇄 커맨드를 아직 수신할 수 없는 경우(S10:NO), MPU(10)는 S9의 정지 제어에 되돌아간다.
도 9는 도 8의 C부에 적합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이 도 9를 참조하여 요약하면, C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R2의 위치를 검출하면 선형 인코더(6)로부터 우측 엣지 신호가 발생한다. 그렇게 하면, MPU(10)는 퇴피 동작(E)의 제어에 들어가, 역방향의 힘을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에 대하여 제공하도록 선형 모터(2)를 E구간분만 구동시킨다. 본래, R3의 퇴피 정지 위치에서 밸런스를 잡으면서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정지시키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상술의 이유로부터 R4의 위치까지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이 탄성 스프링(5A, 5B)에 의해서 밀려지는 경우가 있다. R3와 R4의 사이의 거리는, 기계적인 조건이나 온도 등의 환경에 의해서도 변화한다.
다음에, 문자 인쇄가 개시되기까지의 정지 기간(F)에서는, 등속 코일(C1)을 구동하여,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탄성 스프링(5A, 5B)과 접촉하는 R3의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키지만, 등속 코일(C1)에 의한 추진력이 작기 때문에 즉각적으로는 R3의 위치에 닿지 않는다. R3에 닿지 않는 위치에서 재기동(G)을 개시하면, 커브 Cr과 같은 운동궤적으로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이 이동하여, 문자 인쇄 구간 R2-R2로부터의 이탈 거리(H)가 짧게 되어, 구간 J에서 문자 인쇄 품질의 열화가 생기게 된다.
그래서, 선형 인코더(6)로부터 얻어지는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MPU(10)는 재기동(G)에 의한 타이밍 동작의 종료 시간을 연장시켜, 그 타이밍 동작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G')로 한다. 혹은, 재기동에 의한 타이밍 동작은(G) 그대로 바꾸는 일없이, 선형 모터(2)에 공급하는 구동 전류를 많게 한다. 혹은, 이들 양 쪽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이탈 거리(H)를 늘려 R1의 위치까지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복귀하도록 선형 모터(2)가 제어되고, 이리하여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의 이동궤적은, 이점 쇄선의 커브 Cr'로 도시한 바와 같은 궤적이 되어, 문자 인쇄 구간 R2-R2에 있어서의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의 속도 변화를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하는 수순으로 반전, 퇴피, 정지, 기동 제어를 행하는 문자 인쇄 장치에 따르면, 탄성 스프링(5A, 5B)의 동 특성에 관한 변동이나, 온도 상승 등에 의해서 선형 모터(2)의 구동력이 저하하는 상황이더라도, 그 시점에서의 상황에 따라서 적당한 제어를 선형 모터(2)에 대하여 행할 수 있어,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의 왕복 이동에 따른 문자 인쇄 동작을 빠르게 재개시켜 문자 인쇄 처리 능력을 떨어뜨리는 일 없이, 반전, 퇴피, 정지, 기동이라고 하는 일련의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다음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해서 순서도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7은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반전, 퇴피, 정지, 기동시키는 경우의 인터럽트 제어 처리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 도 7에 도시하는 일련의 제어수순은 도 7의 순서도에 도시하는 S21 이외는 도 6과 전혀 동일하고, 도 6와 동일 스텝 번호로 나타낸다. 유일하게 다른 점은, S21이 설치된 것이고, 이 점을 중심으로 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S3에 있어서, 퇴피 제어의 개시 직후의 시점에서 종이 이송 동작이 완전히 완료하거나, 혹은 지연되고 있는 인쇄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S3:YES), 이 경우에서도, 탄성 스프링(5A, 5B)의 변동이나, 그 이전의 연속한 왕복 이동 동작에 의해서 장치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선형 모터(2)로부터 충분한 구동력을 얻을 수 없다고 하는 상황을 만들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MPU(10)는 선형 인코더(6)를 통해 축차 검출되는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의 위치나, 서미스터(7)를 통해 검출되는 온도 등에 따라서, 정지 제어의 개시시에 선형 모터(2)에 공급하는 구동 전류의 듀티를 변화시키는 바와 같이 제어하고 있다(S21). 구동 전류의 듀티란, 단위 시간 당의 구동 펄스수의 비율로서, 예를 들면 50%에서 70% 등으로 변화된다. 또, 이 경우에는, 선형 모터(2)에 공급하는 구동 전류의 전류치를 변화시키는 바와 같이 하더라도 좋다. 이에 따라,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소정의 퇴피 정지 위치에 점차 가까이 하여 멈추도록 하는 구동력을 선형 모터(2)에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 후, MPU(10)는 S4에 진행한다.
도 10은 도 8의 D부에 적합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이의 도 10을 참조하여 요약하면, D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퇴피(E)로부터 정지(F)로 이행한 직후에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이 목표 정지 위치(R3)로부터 대폭 밀려진 경우, 이대로 재기동(G)을 행하더라도,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문자 인쇄 구간 R2-R2로부터 이탈시킬 수 없어 에러가 되어 버린다.
이러한 경우, 재기동 종료의 타이밍을 가변시키는 것만이 아니라,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이 밀려지는 것을 될 수 있는 한 억제하기 위해서와, 조금이라도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을 목표 정지 위치(R3)에 가까이 하도록, MPU(10)는 정지 제어 개시시간(F)에 등속 코일(C1)에 공급하는 구동 전류의 듀티를 가변 제어한다. 그리고, 상술한 도 9에 도시하는 C부에 관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 제어가 행하여지는 것에 의해, 문자 인쇄 구간 R2-R2로부터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이 이탈할 수 없어 에러가 된다고 하는 동작을 회피할 수가 있다.
또한, 문자 인쇄 구간 R2-R2로부터의 이탈에 실패하더라도 바로 에러로 하지 않고, 재차 재시도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에러 발생을 최소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하는 수순으로 반전, 퇴피, 정지, 기동 제어를 행하는 문자 인쇄 장치에 따르면, 퇴피 제어의 때에 탄성 스프링(5A, 5B)의 동 특성에 관한 변동이나, 온도 상승 등에 의해서 선형 모터(2)의 구동력이 저하하는 상황이더라도, 그 시점에서의 상황에 따라서 적당한 제어를 선형 모터(2)에 대하여 행할 수 있어, 문자 인쇄 헤드 유닛(1)의 왕복 이동에 따르는 문자 인쇄 동작을 퇴피 제어에 의한 정지후에도 빠르게 재개시켜 문자 인쇄 처리 능력을 떨어뜨리는 일 없이, 반전, 퇴피, 정지, 기동이라고 하는 일련의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 본원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문자 인쇄 방식으로서는 도트 임팩트 방식에 한하지 않고 잉크제트 방식에도 적용할 수 있다.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을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선형 모터에 한하지 않고,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을 피드백 제어에 의해 왕복 직선운동으로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면, 통상의 회전 구동 방식의 모터이더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면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을 연속하여 반전, 퇴피, 정지, 기동시키는 경우, 탄성 스프링의 동 특성에 관한 변동이나, 온도 변화에 의해서 선형 모터의 구동력이 변동하는 상황이더라도, 그 시점에서의 상황에 따라서 적당한 제어를 선형 모터에 대하여 행할 수 있어, 문자 인쇄 헤드 유닛의 왕복 이동에 따르는 문자 인쇄 동작을 빠르게 재개시켜 문자 인쇄 처리 능력을 떨어뜨리는 일없이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Claims (6)

  1. 문자 인쇄 수단을 일정 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선형 구동 수단과, 상기 선형 구동 수단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문자 인쇄 수단이 왕복 이동할 때, 왕복 이동 구간의 양단 부근에서 상기 문자 인쇄 수단에 대하여 반전 가압력을 미치게 하는 반전 가압 수단을 포함하는 문자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전 가압 수단의 반전 가압력에 대향한 구동력을 상기 선형 구동 수단에 발생시켜 상기 문자 인쇄 수단을 반전 가압력이 미치지 않는 위치에 일단 퇴피시키고, 그 퇴피 직후에 상기 문자 인쇄 수단을 재기동시키는 경우, 상기 문자 인쇄 수단을 퇴피 정지 위치에서 상기 반전 가압 수단의 반전 가압력이 가해지는 구간으로 돌려 보내는 타이밍을 가변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인쇄 장치.
  2. 문자 인쇄 수단을 일정 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선형 구동 수단과, 상기 선형 구동 수단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문자 인쇄 수단이 왕복 이동할 때, 왕복 이동 구간의 양단 부근에서 상기 문자 인쇄 수단에 대하여 반전 가압력을 미치게 하는 반전 가압 수단을 포함하는 문자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전 가압 수단의 반전 가압력에 대향한 구동력을 상기 선형 구동 수단에 발생시켜 상기 문자 인쇄 수단을 반전 가압력이 미치지 않는 위치에 일단 퇴피시키고, 그 퇴피 직후에 상기 문자 인쇄 수단을 재기동시키는 경우, 상기 문자 인쇄 수단을 퇴피 정지 위치에서 상기 반전 가압 수단의 반전 가압력이 가해지는 구간으로 돌려 보낼 때에, 상기 선형 구동 수단에 공급하여야 할 구동 전류를 가변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인쇄 장치.
  3. 문자 인쇄 수단을 일정 방향에 따라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선형 구동 수단과, 상기 선형 구동 수단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문자 인쇄 수단이 왕복 이동할 때, 왕복 이동 구간의 양단 부근에서 상기 문자 인쇄 수단에 대하여 반전 가압력을 미치게 하는 반전 가압 수단을 포함하는 문자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전 가압 수단의 반전 가압력에 대향한 구동력을 상기 선형 구동 수단에 발생시켜 상기 문자 인쇄 수단을 반전 가압력이 미치지 않는 위치에 일단 퇴피시키고, 그 후, 정지 상태에 있는 상기 문자 인쇄 수단을 재기동시키는 경우, 상기 문자 인쇄 수단을 퇴피 정지 위치에 퇴피시킬 때에, 상기 선형 구동 수단에 공급하여야 할 구동 전류의 듀티를 가변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인쇄 장치.
  4. 문자 인쇄 수단을 일정 방향에 따라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선형 구동 수단과, 상기 선형 구동 수단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문자 인쇄 수단이 왕복 이동할 때, 왕복 이동 구간의 양단 부근에서 상기 문자 인쇄 수단에 대하여 반전 가압력을 미치게 하는 반전 가압 수단을 갖는 문자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전 가압 수단의 반전 가압력에 대향한 구동력을 상기 선형 구동 수단에 발생시켜 상기 문자 인쇄 수단을 반전 가압력이 미치지 않는 위치에 일단 퇴피시키고, 그 후, 정지 상태에 있는 상기 문자 인쇄 수단을 재기동시키는 경우, 상기 문자 인쇄 수단을 퇴피 정지 위치에 퇴피시킬 때에, 상기 선형 구동 수단에 공급하여야 할 구동 전류 자체를 가변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인쇄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문자 인쇄 수단의 이송량이 소정량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문자 인쇄 수단의 재기동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문자 인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문자 인쇄 수단의 재기동을 소정 횟수 반복해도 성공하지 않는 경우 동작 에러라고 판단하는 문자 인쇄 장치.
KR1020010016838A 2000-11-14 2001-03-30 문자 인쇄 장치 KR200200376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46230A JP2002144661A (ja) 2000-11-14 2000-11-14 印字装置
JP2000-346230 2000-11-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663A true KR20020037663A (ko) 2002-05-22

Family

ID=18820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838A KR20020037663A (ko) 2000-11-14 2001-03-30 문자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2144661A (ko)
KR (1) KR20020037663A (ko)
CN (1) CN1221397C (ko)
TW (1) TW5170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91159A (zh) * 2012-12-03 2013-03-27 苏州工业园区鑫海胜电子有限公司 一种电机与打印机集成控制系统
US20230189824A1 (en) 2020-05-29 2023-06-22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Ltd. Transfer Device For Food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17017B (en) 2003-01-11
CN1353044A (zh) 2002-06-12
JP2002144661A (ja) 2002-05-22
CN1221397C (zh) 200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08969B1 (en) Printing device
US6618159B1 (en) Method of switching print modes of printing device
KR20020037663A (ko) 문자 인쇄 장치
US2792779A (en) Vibrating printing means
JP4926317B2 (ja) 圧電アクチュエータの駆動方法及び装置
US4527921A (en) Paper feed apparatus for shuttle printer
JP2013208832A (ja) 画像形成装置
US6231250B1 (en) Method of controlling reciprocal movement of hammer rank in print device
KR20010098365A (ko) 인자 장치
KR100721482B1 (ko) 인자 장치
JP3564451B2 (ja) シリアルプリンタおよびそのキャリッジ駆動方法
KR100591096B1 (ko) 셔틀 제어 방법
JP3084346B2 (ja) インパクトプリンタ及びその制御方法
JP3552020B2 (ja) 印刷装置のシャトル制御方法
JP3813790B2 (ja) 印刷ヘッドの初期位置制御方法および印刷装置
JP5927831B2 (ja) モータ制御装置
JP4411983B2 (ja) ドットラインプリンタ
JP2003211735A (ja) ドットラインプリンタの印刷制御方法
JP2000127544A (ja) ドットラインプリンタのシャトル制御方法
JP2000233540A (ja) プリンタ装置
JP2008213435A (ja) ドットラインプリンタの印刷制御方法
JPS59140071A (ja) シヤトル型ドツトラインプリンタの印字タイミング補正装置
JPH0447626B2 (ko)
JP2009202504A (ja) 印刷装置のシャトル制御方法
JP2002172825A (ja) 印字装置のシャトル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