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6418A - 공기조화기의 냉매배관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냉매배관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6418A
KR20020036418A KR1020000066579A KR20000066579A KR20020036418A KR 20020036418 A KR20020036418 A KR 20020036418A KR 1020000066579 A KR1020000066579 A KR 1020000066579A KR 20000066579 A KR20000066579 A KR 20000066579A KR 20020036418 A KR20020036418 A KR 20020036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pipe
indoor unit
pipe
chassis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6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도윤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66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6418A/ko
Publication of KR20020036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641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냉매배관 고정구조는 실내기의 열교환기와 실외기의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이 흔들리지 않도록 냉매배관 일측을 둘러싸는 배관 고정용 클램프를 갖추고, 실내기 일측에 상기 배관 고정용 클램프를 고정시켜 냉매배관이 실내기 내에서 흔들리는 것을 막을 수 있고, 그로 인해 인접한 부품이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매배관의 설치시 상기 안착홈에 상기 냉매배관을 안착하면서 배치시키고, 상기 배관 고정용 클램프를 이용해 상기 배관을 고정함으로써, 별도로 냉매배관을 잡아줄 필요가 없게되어 냉배배관의 설치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냉매배관 고정구조{A refrigerant tube fix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교환기의 냉매배관이 실내기 내부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냉매배관을 고정하는 공기조화기의 냉매배관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에는 크게 나누어 일체형(window type)과 분리형(seperate type 또는 split type)이 있다.
상기한 일체형과 분리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고, 분리형은 실내측에 냉각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측에 방열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간을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 중 분리형은 크게 냉각기능을 수행하는 실내기와, 방열 및 압축기능을 수행하는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를 서로 연결시키는 냉매배관으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 및 측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기한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벽면에 고정되고, 전면이 개구된 사각 상자모양의 새시(20)와; 상기 새시(20)와 함께 열교환기(50), 횡류팬(40), 송풍모터(42), 컨트롤박스(미도시)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섀시(20)의 전면에 복개되고, 상면에 흡입구(12)가 형성되며, 전면 하측에 토출구(46)가 형성된 프론트 그릴(10)과; 상기 프론트 그릴(1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결합되고 흡입구(12′)가 형성된 흡입 그릴(14)과; 상부에 상기 열교환기(50)에서 떨어지는 응축수를 수거할 수 있도록 응축수 받이부(45)가 형성되고, 하부에 루버(47) 및 베인(48)과, 상기 베인(48)을 회전시키기 위한 스텝모터(49)가 설치되며, 상기 열교환기(50) 하측에 위치되는 토출 그릴(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50)에는 실외기(미도시)의 열교환기(미도시)와 냉매를 수송하기 위해 냉매배관(50a)이 연결되고, 상기 응축수 받이부(45) 일측에는 수거된 응축수를 실내기 외부로 보내기 위한 드레인 호스(45a)가 연결된다.
상기 횡류팬(40)은 상기 섀시(20)의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송풍모터(42)에 연결되며, 상기 송풍모터(42) 전방에는 상기송풍모터(42)를 커버하면서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위한 각종 전장부품(미도시)이 취부되는 컨트롤박스(43)가 위치된다.
상기 스텝모터(49)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49a)이 상기 컨트롤 박스(43) 측에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송풍모터(42)가 작동되어 상기 횡류팬(42)이 회전되면 실내측의 공기는 상기 흡입구(12,12′)를 통해 실내기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열교환기(50)에 의해 열교환된 다음, 상기 토출구(46)를 통해 다시 실내측으로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냉매배관(50a)은 일측이 상기 실내기의 열교환기(50)에 연결되고, 상기 섀시(20)를 내측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섀시(20)의 배관용 구멍(22)을 관통하며, 실내기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실내기의 외측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냉매배관(50a)을 상기 섀시(20) 측에 설치할 때 상기 냉매배관(50a)이 흔들리게 되어 이를 손으로 잡아주어야 하므로 그 설치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인접해 위치한 스텝모터(49)와 전선(49a)과 컨트롤 박스(43) 등을 파손시킬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열교환기의 냉매배관을 실내기 내에서 흔들리지 않게 고정하여 냉매배관이 실내기에 내장된 부품들을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냉매배관 고정구조에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
도 2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매배관이 배관 고정용 클램프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2: 실내기60: 프론트 그릴
62,62′: 흡입구64: 흡입 그릴
70: 섀시 71: 절곡부
74: 안착홈74a: 제 1 안착홈
74b: 제 2 안착홈77: 바닥 부재
90: 횡류팬94: 토출구
95: 응축수 받이부95a: 드레인 호스
96: 토출 그릴 96a: 루버
96b: 베인 96c: 스텝모터
96d: 전선100: 열교환기
110: 냉매배관120: 좌측 커버
122: 배관용 구멍 130: 우측 커버
132: 배관용 구멍140: 컨트롤 박스
150: 배관 고정용 클램프 154,156: 결합부
154a,156a: 볼트홀160: 볼트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매배관 고정구조는 실내기의 열교환기와 실외기의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냉매배관과; 상기 냉매배관이 실내기 내부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냉매배관을 일측을 둘러싸고, 상기 실내기에 고정되는 배관 고정용 클램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매배관 고정구조는 실내기(52)의 열교환기(100)와 실외기(미도시)의 열교환기(미도시)를 연결하는 냉매배관(110)과; 상기 냉매배관(110)이 실내기(52) 내부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냉매배관(110)을 일측을 둘러싸고, 상기 실내기(52)에 고정되는 배관 고정용 클램프(1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내기(52)는 벽면에 고정되는 평판모양의 섀시(70)와; 상기 섀시(70)의 전방에 가로방향으로 위치되는 횡류팬(90)과; 상기 횡류팬(90)의 전방과 상측에 위치되도록 절곡되어 배치되는 열교환기(100)와; 상기 섀시(70) 양측에 수직하게 고정되어 상기 실내기(52)의 양측을 각각 보호하고, 상기냉매배관(110)이 실내기(52)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는 하나를 통해 실외기와 연결될 수 있도록 배관용 구멍(122,132)이 각각 형성된 좌,우측 커버(120,130)와; 공기조화기의 운전 작동을 위한 각종 전장부품(미도시)이 취부되고, 상기 우측 커버(130) 내측에 위치되는 컨트롤 박스(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100)의 전방과 상측에는 상기 섀시(70)와 함께 열교환기(100) 및 횡류팬(90)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면에 흡입구(62)가 형성된 복수개의 프론트 그릴(60)이 위치되고, 상기 프론트 그릴(60)의 전면에는 흡입구(62′)가 가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그릴(20)과 짝을 이루는 복수개의 흡입 그릴(64)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00)의 하측에는 상부에 상기 열교환기(100)에서 떨어지는 응축수를 수거할 수 있도록 응축수 받이부(95)가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섀시(70)의 하부에 함께 토출구(94)를 형성하는 토출 그릴(96)이 위치된다.
상기 응축수 받이부(95)에는 수거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호스(95a)가 연결된다.
상기 토출 그릴(96)에는 루버(96a) 및 베인(96b)과, 상기 루버(96a) 및 베인(96b)을 회전시키는 복수개의 스텝모터(96c)가 설치되며, 상기 스텝모터(96c)의 각각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96d)이 상기 컨트로 박스(140) 측과 연결된다.
상기 섀시(70)는 그 전면에 상기 냉매배관(110)이 안착되면서 상기 좌,우측 커버(120,130)의 배관용 구멍(122,132)까지 안내될 수 있도록 움푹 패인안착홈(74)이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섀시(70)의 하부는 상기 냉매배관(110)이 실내기(52)의 하부 좌측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경사진 절곡부(71)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71) 하측에는 상기 절곡부(71)와 함게 상기 냉매배관(110) 및 드레인 호스(95a)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바닥 부재(77)가 고정된다.
상기 안착홈(74)은 상기 섀시(70)의 전면 우측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움푹 패인 제 1 안착홈(74a)과, 상기 제 1 안착홈(74a)의 끝에서 연장되어 상기 섀시(70)의 전면 우측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 2 안착홈(74b)으로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매배관이 배관 고정용 클램프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배관 고정용 클램프(150)는 원형의 띠 모양으로 상기 냉배배관(110)을 둘러싸면서 상기 제 2 안착홈(74b)에 안착되고, 상기 섀시(70)에 볼트(16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배관 고정용 클램프(150)의 서로 대향하는 결합부(154,156)에는 상기 볼트(16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볼트홀(154a,156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섀시(70)에는 상기 배관 고정용 클램프(150)의 볼트홀(154a,156a)을 관통한 볼트가 고정될 수 있도록 볼트홀(77)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냉매배관의 설치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냉배배관(110)은 상기 섀시(70)에 형성된 제 1 안착홈(74a)에 안착되어 상기 섀시(70)의 전방 우측 상단으로 안내되고, 다시 하방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제 2 안착홈(74b)에 안착되어 상기섀시(70)의 우측 하부로 안내된다.
여기서, 상기 실내기(52)가 설치되는 실내의 상황에 따라 실내기(52)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냉매배관(110)을 설치하는데, 상기 냉매배관(110)를 실내기(52)의 우측으로 끌어낼 때는 상기 냉매배관(110)을 다시 우측방향으로 벤딩하여 상기 우측 커버(130)의 배관용 구멍(132)을 통해 실외기 측으로 연장시키고, 실내기(52)의 좌측으로 끌어낼 때는 상기 냉매배관(110)을 좌측방향으로 벤딩하여 상기 좌측 커버(120)의 배관용 구멍(122)을 통해 실외기 측으로 연장한다. 이때, 상기 배관 고정용 클램프(150)가 상기 냉매배관(110)을 둘러싸면서 상기 섀시(70) 측에 냉매배관(110)을 고정시키므로, 상기 냉매배관(110)이 흔들리지 않게 되고, 상기 토출 그릴(96)에 설치된 스텝모터(96c)와, 전선(96d)과, 컨트로 박스(140) 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되어 인접한 부품들의 파손을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드레인 호스(95a)는 상기 좌측 커버(120)의 배관용 구멍(122)과 우측 커버(130)의 배관용 구멍(132)을 통해 실내기(52) 외부로 배치되는데, 실내기의 좌측으로 배치되는 때는 상기 절곡부(71)와 바닥 부재(77)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좌측 커버(120)의 배관용 구멍(122)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냉매배관 고정구조는 실내기의 열교환기와 실외기의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이 흔들리지 않도록 냉매배관을 둘러싸는 배관 고정용 클램프를 갖추고, 실내기 일측에 상기 배관 고정용 클램프를 고정시켜 냉매배관이 실내기 내에서 흔들리는 것을 막을 수 있고, 그로 인해 인접한 부품이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매배관의 설치시 상기 안착홈에 상기 냉매배관을 안착하면서 배치시키고, 상기 배관 고정용 클램프를 이용해 상기 배관을 고정함으로써, 별도로 냉매배관을 잡아줄 필요가 없게되어 냉배배관의 설치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실내기의 열교환기와 실외기의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냉매배관과; 상기 냉매배관이 실내기 내부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냉매배관을 일측을 둘러싸고, 상기 실내기에 고정되는 배관 고정용 클램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냉매배관 고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벽면에 고정되는 섀시와; 상기 섀시 양측에 수직하게 고정되어 상기 실내기의 양측을 각각 보호하고, 상기 냉매배관이 실내기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는 하나를 통해 실외기와 연결될 수 있도록 배관용 구멍이 각각 형성된 좌측, 우측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섀시에는 상기 냉매배관이 안착되면서 상기 배관용 구멍까지 안내될 수 있도록 움푹 패인 안착홈이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냉매배관 고정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고정용 클램프는 원형의 띠 모양으로 상기 냉배배관을 둘러싸면서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섀시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냉배배관 고정구조.
KR1020000066579A 2000-11-09 2000-11-09 공기조화기의 냉매배관 고정구조 KR200200364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579A KR20020036418A (ko) 2000-11-09 2000-11-09 공기조화기의 냉매배관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579A KR20020036418A (ko) 2000-11-09 2000-11-09 공기조화기의 냉매배관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418A true KR20020036418A (ko) 2002-05-16

Family

ID=19698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6579A KR20020036418A (ko) 2000-11-09 2000-11-09 공기조화기의 냉매배관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64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9264B2 (en) 2008-04-04 2011-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jection molding machine
WO2022252684A1 (zh) * 2021-06-01 2022-12-08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壁挂式空调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9264B2 (en) 2008-04-04 2011-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jection molding machine
WO2022252684A1 (zh) * 2021-06-01 2022-12-08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壁挂式空调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46151T3 (es) Unidad interior de aire acondicionado
KR100641557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3315317B2 (ja) 空気調和機
EP0791789B1 (en) Discrete type air conditioner
JP3855821B2 (ja) 分離型空気調和機
KR20020036418A (ko) 공기조화기의 냉매배관 고정구조
JP2950252B2 (ja) 高所設置用空気調和機
JP4493188B2 (ja) 空気調和機
JP3842889B2 (ja) 空気調和機の壁掛式室内ユニット
KR100525395B1 (ko) 환기겸용 공기조화기
KR20090022102A (ko) 공기조화기
JPS5848504Y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ツト
KR100870031B1 (ko) 공기조화기의 터미널 블록
KR100371317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0139247Y1 (ko) 공기조화기 실외기
JP3991960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245443B2 (ja) 空気調和機
JP2925980B2 (ja) 熱交換ユニット
KR100623998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20036412A (ko)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케이스 고정 구조
JP3188064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2006017420A (ja) 空気調和機用室外機
JP2005083703A (ja) 空気調和機
KR100300592B1 (ko) 다변설치형에어콘실외기
KR0139114Y1 (ko) 천정형 공조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