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6196A - 이중 백필터를 갖는 소각 배출가스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백필터를 갖는 소각 배출가스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6196A
KR20020036196A KR1020000066246A KR20000066246A KR20020036196A KR 20020036196 A KR20020036196 A KR 20020036196A KR 1020000066246 A KR1020000066246 A KR 1020000066246A KR 20000066246 A KR20000066246 A KR 20000066246A KR 20020036196 A KR20020036196 A KR 20020036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ag
activated carbon
filter bag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6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1369B1 (ko
Inventor
김병환
박기호
이의신
Original Assignee
남상국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상국,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남상국
Priority to KR10-2000-0066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1369B1/ko
Publication of KR20020036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6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3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5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6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moving adsorbents, e.g. rotating beds
    • B01D53/1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moving adsorbents, e.g. rotating beds with dispersed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54Nitrogen compounds
    • B01D53/56Nitrogen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2Carbon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4Heav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e.g. mercu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0Semi-solid phase processes, i.e. by using slur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6Regeneration, reactivation or recycling of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12Methods and means for introducing reactants
    • B01D2259/126Semi-solid reactants, e.g. slur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83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01D2259/40084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by exchanging used adsorbents with fresh adsorb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 소각로 배출가스 속에 포함되어 있는 다이옥신(PCDD, PCDF), 중금속(Hg, As, Cd, Pb, Cr)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반건식 반응기와 백필터를 포함하여, 소각로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백필터가, 서로 인접되어 설치된 적어도 두 개의 필터백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제1 및 제2 필터백은, 상기 제1 필터백의 배출구가 상기 제2 필터백의 가스 주입구와 연결되도록 직렬 형태로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필터백과 상기 제2 필터백이 연결된 통로에는, 흡착제가 공급될 수 있도록 흡착제 주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활성탄과 비산재가 분리 배출되므로, 활성탄을 재순환시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활성탄의 사용 효율을 최대로 할 수 있고, 사용한 활성탄은 혼합된 비산재와 분리되므로, 지정폐기물로 처리되지 않아도 소각공정에 다시 태워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여, 폐활성탄 처리가 용이하고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더욱이 처리가스와 활성탄의 접촉공간 및 접촉시간을 크게 할 수 있어, 오염가스 제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백필터를 갖는 소각 배출가스 처리장치{TREATING EQUIPMENT OF INCINERATION FLUE GAS WITH DUAL BAG-FILTER}
본 발명은 쓰레기 소각로 배출가스 속에 포함되어 있는 다이옥신(PCDD, PCDF), 중금속(Hg, As, Cd, Pb, Cr)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 개의 필터백(Filter Bag)을 직렬로 연결한 이중 백필터를 이용하여 배출가스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킨 배출가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쓰레기 소각로 배출가스 속에는 연소과정을 통해 발생된 비산재, 산성가스(HCl, SO2,HF, H2S등), 질소산화물(NO, NO2), 중금속(Hg, As, Pb 등), 다이옥신류(PCDD, PCDF) 및 휘발성 유기가스(VOC) 등의 유해 대기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오염 물질은 대기중으로 배출되기 전에 반드시 규제치 이하로 처리되어야 한다.
비산재와 같은 입자상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시설로는 전기 집진기(EP), 백필터(Bag Filter), 사이클론(Cycrone), 중력집진법 등이 활용되고, 산성가스(HCl, SO2,HF, H2S등)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각종 반응약제(Ca(OH2), NaOH, CaCO3등)가 사용되며, 이 과정에서 수분사용 여부에 따라 습식법, 건식법, 반건식법으로 분류하고 있다. 질소산화물(NO, NO2)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선택적촉매환원법(SCR), 선택적비촉매환원법(SNCR) 등이 주로 사용되며, 이를 거치고도 미제거된 다이옥신(PCDD, PCDF), 중금속(Hg, As, Cd, Pb, Cr)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은 흡착탑, 흡착제 주입 등의 방법으로 제거하게 된다. 이 오염물질들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발생가스의 성상, 설치 및 운전의 경제성, 또는 최종 배출가스 규제요구치에 따라 복합적으로 활용된다.
현재 우리 나라에서 대형 도시쓰레기 소각설비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배출가스 처리장치 형태는 다음의 4가지로 압축할 수 있다.
(1) 활성탄주입/전기집진기/습식세정탑/선택적촉매환원법(SCR)
(2) 반건식/활성탄주입/백필터/선택적촉매환원법(SCR)
(3) 활성탄주입/백필터/선택적촉매환원법(SCR)/습식세정탑
(4) 선택적비촉매환원법(SNCR)/반건식/활성탄주입/백필터
도1은 각종 도시쓰레기 소각로 배출가스 처리장치 중 반건식/활성탄 주입/백필터/SCR촉매반응기를 구비한 배출가스 처리장치의 일 예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소각로(1)에서 연소 과정을 거친 배출가스는 각종 오염물질이 포함된 상태로 반건식 반응기(2)로 공급된다. 반건식 반응기(2)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소석회 슬러리 분무노즐(3)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소석회 슬러리 분무 노즐(3)을 통해 오염가스와 반응하는 흡수제를 미세 입자로 분사시켜, 중화반응과 반응생성물의 건조가 용이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되는 소석회 슬러리는 액상 슬러리 탱크(6)에서 물과 적당한 비율로 혼합되고, 고압공기 발생기(5)에서 공급되는 고압공기(3~5kg/cm2)로 분무되어, 80~100㎛ 정도의 미립자 상태로 분무된다. 이때, 사용되는 흡수제로는 주로 Ca(OH)2가 5~7% 정도로 물에 희석되어 공급된다. 상기과정을 통해 배출 가스 중 염화수소(HCl), 황산화물(SOx), 황화수소(H2S)와 같은 산성가스들은 중화반응에 의하여 제거된다. 미립자로 분무된 소석회 슬러리는 반응 후, 내부 온도가 230℃정도로 고온인 반건식 반응기(2)를 통해 건조되는데, 이때 발생된 반응생성물과 건조 소석회 슬러리 일부는 하부 호퍼(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나머지는 덕트(12)를 통하여 다음 공정인 백필터(7)로 보내지게 된다.
백필터(7)에서는 입자상 물질이 필터를 통하여 걸러지게 된다. 주요 입자물질로는 전단의 반건식 반응기(2)에서 발생된 반응생성물 입자, 미반응 소석회 슬러리 건조입자와, 소각로(1)에서 발생된 비산재 등이 있으며, 이 물질들은 백필터(7)에 의해 걸러져서, 하부호퍼(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덕트(12)에는 활성탄과 같은 흡착물질을 활성탄 주입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주입하여, 가스상의 다이옥신, 중금속 및 VOC를 제거하기도 한다. 백필터(7)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필터표면에는, 포집된 미반응 건조생성물과 비산재 등의 입자들이 일정한 층을 이룬 상태로 쌓여 있어, 이전 공정에서 미제거된 산성가스를 추가로 제거하고, 아울러 배출 가스내의 비산재 속에 흡착된 다이옥신류와 중금속류를 상당부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을 통해서도 제거되지 않는 질소산화물(NO, NO2) 및 가스 형태의 다이옥신은 아이디 팬(8)과 재가열기(9)를 거친 후, 다음 단의 SCR촉매반응기(10)로 공급되어, 암모니아 공급탱크에서 분무되는 암모니아(13)와 환원반응과 분해반응을 통하여 각각 제거된 후, 최종 정화된 상태로 연돌(1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백필터(7)를 통과한 배출가스는 온도가 약 150℃ 정도인데, 최적 촉매반응에 필요한 온도는 250~300℃ 정도이므로, 재가열기(9)에서는 백필터를 통과한 배출 가스를 가열하여, SCR촉매반응기(10)로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출가스 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선택적촉매환원공정(SCR)은 질소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것으로, 가스 상태의 다이옥신을 제거할 수 있다는 견해로 급속도로 그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선택적촉매환원공정(SCR)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150~160℃의 가스를 280~300℃ 까지 올려야 반응이 가능하므로, 전체가스를 재가열 하기 위한 에너지 소모가 너무 많고, 고가인 촉매를 주기적으로 교체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촉매공정은 운전이 매우 까다롭고, 작은 부주의로 촉매 전체의 활성이 없어질 수 있다. 특히 수분에 촉매의 활성이 약하여 통상 15~20 wt%정도의 수분이 함유된 소각로 배출가스에는 수분이 응축될 경우 치명적인 비활성화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가스의 재가열 과정에서 부적절한 운영시 다이옥신이 오히려 증가될 가능성이 다분히 존재한다.
또한, 흡착탑은 가스상의 다이옥신과 가스상의 중금속의 제거에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고정층 활성탄 탑의 경우 모두 사용한 활성탄을 교체하기 위하여 교대로 운영될 수 있도록 2대가 필요하게 되어, 부지면적, 설치 및 운영비 면에서 경제적이지 못하고, 이동층 활성탄 탑의 경우 그래뉼 타입의 활성탄이 이동중 파쇄되어, 장시간 운영시 미세입자가 다이옥신이나 중금속을 흡착한 상태로 반응기를 빠져나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이옥신을 미세농도까지 제어하기 위한 필터가 추가로 필요하게 된다. 또한, 흡착탑의 경우 비교적 큰 입자상의 충진이 필요하며, 반응기 전후의 차압이 높아 가스를 이송시키는 압력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전력소모가 크다. 더욱이, 소각로 배출가스 특성상 비정상 운영시 온도가 낮을 경우, 수분의 응축으로 인한 급격한 차압증가로 운영상 심각한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활성탄 주입방식은 활성탄을 한번 사용하게 되면 가스속에 비산재와 같은 다량의 입자상 오염물과 섞이게 되므로 재사용이 어렵게 되는데, 이는 활성탄 자체를 활용하는 측면에서도 불리하고, 아울러 활성탄 소요비용이 많아지게 되며, 사용한 활성탄은 혼합된 비산재와 같이 지정폐기물로 처리되어야 하므로, 활성탄 사용 후, 처리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처리가스와 활성탄의 접촉공간 및 접촉시간이 작아 오염가스 제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두 개의 필터백을 직렬로 연결하여 백필터를 구성하고, 상기 두 필터백 사이에 흡착제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배출가스 처리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배출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소각 배출가스 처리장치의 개념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소각 배출가스 처리장치의 개념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소각로22 : 반건식 반응기
23 : 분무 노즐24, 31, 31' : 호퍼
25 : 고압공기 발생기26 : 슬러리 저장탱크
28 : 1차 필터백29 : 2차 필터백
30 : 활성탄 주입 설비32 : 아이디팬
33 : 연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건식 반응기와 백필터를 포함하여,소각로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백필터가, 서로 인접되어 설치된 적어도 두 개의 필터백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제1 및 제2 필터백은, 상기 제1 필터백의 배출구가 상기 제2 필터백의 가스 주입구와 연결되도록 직렬 형태로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필터백과 상기 제2 필터백이 연결된 통로에는, 흡착제가 공급될 수 있도록 흡착제 주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소각 배출가스 처리장치의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21은 소각로, 22는 반건식 반응기, 23은 분무 노즐, 24, 31, 31'은 호퍼, 25는 고압공기 발생기, 26은 슬러리 저장탱크, 27은 덕트, 28은 제1 필터백, 29는 제2 필터백, 30은 활성탄 주입 설비, 32는 아이디팬, 33은 연돌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백필터의 구조를 두 개의 필터백을 직렬로 연통시키고, 상기 두 필터백 사이에 흡착제를 공급하는 형태이며, 상기 공급된 흡착제를 재순환 루트를 통해 재 공급되는 구조로 된 것이다.
두 개의 필터백은 각각 목적이 상이하므로, 그 A/C Ratio 및 반응기내 가스 이동 속도(LIFTING VELOCITY)를 달리한다. 1차 필터백(28)은 가스속에 포함된 비산재와 이전 공정인 반건식 반응기(2)에서 발생한 반응생성물 및 미반응 건조물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2차 필터백(29)은 활성탄과 같은 흡착제의 주입 및 재순환을 통하여 1차 필터백(28)에서 미제거된 가스상의 대기오염물질인 다이옥신, 중금속,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이중필터의 1차 필터백(28)은 백표면에 포집되어 뭉쳐진 분진 덩어리가 가능하면 호퍼(31) 하부에 떨어지도록 설계 및 운영되고, 2차 필터백(29)은 큰입자 덩어리는 호퍼(31') 하부로 떨어지도록 하고, 작은 비산입자들은 가능한 한 필터백 표면에 다시 부착하도록 가스속도를 약간 크게 설계 및 운영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가스 처리장치에서는 활성탄과 같은 흡착제가 주입되는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흡착제를 재순환시켜 사용도를 최대로 높인다. 종래의 백필터 입구에 활성탄을 주입하는 시스템은, 활성탄에 여러 입자상 물질들(비산재, 반건식 반응생성물, 미반응 건조물등)이 혼합되어 있으므로, 1회밖에 사용하지 못해, 고가인 흡착제의 사용도가 낮고, 또한 그 소모량이 많아 운영비 상승에 영향을 주고 있다.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각로 배출가스 처리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반건식 반응기(22)와 이의 작동 원리 및 반응 메커니즘은 기존의 장치와 거의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SCR촉매반응기(도1의 10)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질소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해 아염화나트륨(Sodium Chlorite)과 같은 촉매제를 소석회 슬러리 혼합탱크(26)에서 소석회 슬러리에 함께 혼합하고, 이를 고압공기 발생기(25)에 의해 발생된 고압공기로 주입하여 분무 노즐(23)을 통해 분사함으로써, 반건식 반응기(22)에서 산성가스(HCl, SOx, HF)와 동시에 질소산화물을 제거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SCR촉매반응기를 구비하지 않은 것으로 하였으나, 이는 종래와 같이 연돌 전단에 SCR촉매 반응기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백필터는 1차 필터백(28)과 2차 필터백(29)이 직렬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1차 필터백(28)과 2차 필터백(29)는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1차 필터백(28)과 2차 필터백(29)은 서로 밀착된 상태로 놓여 있으며, 1차 필터백(28)의 가스 배출구가 2차 필터백(29)의 가스 주입구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1차 필터백(28)과 상기 2차 필터백(29)이 연통된 통로에는 활성탄과 같은 흡착제가 주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한, 2차 필터백의 하부 호퍼(31')에는 활성탄을 재순환시키기 위한 통로(30)가 연결되어 있어, 2차 필터백(29)의 하부에 모여진 활성탄은 이 재순환 통로(30)를 통해 1차 필터백(28)과 2차 필터백(29)의 사이에 위치한 활성탄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다. 물론, 이 활성탄 재순화 통로(30)를 통해 새로운 활성탄도 주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새로운 활성탄과 사용한 활성탄을 혼합하여, 제1 필터백과 제2 빌터백 사이에 제공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는 사용한 활성탄을 재활용하지 않고, 단지 새로운 활성탄을 백필터에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건식 반응기(22)에 의해 처리된 배출 가스는 덕트(27)를 통해 1차 필터백(28)의 하부로 주입된다. 1차 필터백(28)의 하부에 주입된 배출가스에는 이전 과정인 반건식 반응기(22)에서 발생된 반응생성물과 미반응 건조 소석회 슬러리의 미세입자와 소각과정에서 발생한 비산재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1차 필터백(28)에 의해 제거된다. 1차 필터백(28)은 백차압이 150~200mmAq 정도로 운영되고, 일정 차압 이상으로 입자상 오염물이 필터백의 표면에 포집된 경우에는 펄스공기를 3kg/cm 정도로 역주입하여 포집 분진을 하부 호퍼(31)로 떨어뜨려 외부로 배출한다. 이때, 1차 필터백의 표면에는 미반응 건조생성물과 비산재 등의 입자들이 누적되어 있는데, 이 누적층에 의해 이전 반건식 반응기(22)에서 미제거된 산성가스를 추가로 제거할 수 있고, 아울러 배출 가스 속에 포함된 비산재속에 흡착된 다이옥신류와 중금속류를 상당부분 제거할 수 있다.
1차 필터백(28)을 통과하여도 제거되지 않는 가스상의 다이옥신(Dioxin)과 중금속은 인접한 2차 필터백(29)의 하부로 도입된다. 이때는 촉매반응탑에서와 같은 재가열은 필요치 않고, 활성탄 주입 설비(30)를 통해 활성탄을 주입시켜, 가스상의 다이옥신, 중금속 및 VOC류가 흡착 제거되도록 한다. 이때, 2차 필터백의 표면에는 활성탄 입자층이 누적되어 있는데, 이 누적된 활성탄 입자층으로 인하여 가스상의 다이옥신류와 중금속류를 흡착 제거하게 된다. 이렇게 2차 필터백(29)을 통과한 최종 처리 가스는 아이디팬(32)을 통과한 후, 정화된 상태로 연돌(33)을 통하여 외기로 배출된다.
2차 필터백(29)은 1차 필터백(28)보다 낮은 백차압(100mmAq)으로 운영되는데, 이는 순수 활성탄 입자로 인한 백차압 상승효과가 대단히 낮으며, 1차 필터백(28)의 경우 다양한 입자상 오염물이 존재하므로, 백의 차압이 높은 반면, 2차 필터백(29)의 경우에는 주로 활성탄 입자들이므로 차압증가가 느리며, 실재 운전 차압을 낮추어도 충분한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차 필터백(29)의 경우에도 일정 차압 이상으로 입자상 오염물이 필터백의 표면에 포집된 경우에는 펄스공기를 3kg/cm 정도로 역주입하여, 사용한 활성탄을하부호퍼(31')로 떨어뜨린 후, 일정비율로 외부로 배출하고, 나머지는 일정비율로 새로 주입되는 활성탄과 혼합하여 재순환 한다. 활성탄의 재순환은 백필터에서 활성탄의 활용도를 최대로 하고, 또 접촉하는 활성탄의 양이 충분하여 가스상의 오염가스와 접촉기회를 높여주게 된다. 활성탄 저장탱크(도시되지 않음)에서 새로이 주입되는 활성탄의 양은 50mg/Nm3이며, 재순환비(R)는 20으로 하여, 1000mg/Nm3의 활성탄이 가스상의 특정대기오염물질과 접촉하게 된다. 반응생성물은 50mg/Nm3이며, 이는 외부로 배출되어 소각로 내에 투입하여 제거한다. 반면에 종래의 백필터입구에 주입하는 방식은 적어도 100 mg/Nm3정도를 투입하며, 제거율도 이중흡착필터에 비하여 낮은 편이다.
또한, 재순환되는 활성탄에는 종래의 장치처럼 비산재나, 반건식 반응 생성물 등이 혼합되어 있지 않으므로, 입자끼리 뭉쳐지는 케이크 형성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곧바로 재순환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배출가스 처리장치의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값비싼 선택적촉매환원공정(SCR)을 이중 백필터로 대체함으로써, 이의 설치 및 촉매 교환비(정기적으로 교환필요)를 절감하고, 이를 운영하기 위한 재가열을 필요로 하지 않아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원리가 간단하고 운영 및 유지관리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가스를 재가열할 필요가 없어, 다이옥신이 추가 재합성 될 우려가 없다.
둘째, 기존의 활성탄 흡착탑 공정을 이중 백필터로 대체함으로써, 부지 및 운영경비를 절감할 수 있고, 흡착탑에 비해 활성탄 미세입자의 유출을 최소화 할 수 있어, 활성탄에 포집되어 빠져나가는 다이옥신의 양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다이옥신 및 중금속의 제거율을 높일 수 있으며, 흡착탑에 비하여 운전 차압이 적어 전력소모가 적고, 활성탄 흡착탑에 비하여 운영이 쉽고 연속운전이 가능하다.
셋째, 종래와 같은 활성탄 주입방식은 활성탄을 한번 사용하게 되면 가스 내에 포함된 비산재와 같은 다량의 입자상 오염물이 활성탄과 섞이게 되어, 활성탄의 재사용이 어려우나, 본 발명에서는 활성탄과 비산재가 분리 배출되므로, 활성탄을 재순환시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활성탄의 사용 효율을 최대로 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사용한 활성탄은 혼합된 비산재와 분리되므로, 지정폐기물로 처리되지 않아도 소각공정에 다시 태워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여, 폐활성탄 처리가 용이하고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더욱이 활성탄 주입방식에 비하여, 처리가스와 활성탄의 접촉공간 및 접촉시간을 크게 할 수 있어, 오염가스 제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반건식 반응기와 백필터를 포함하여, 소각로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백필터가,
    서로 인접되어 설치된 적어도 두 개의 필터백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제1 및 제2 필터백은, 상기 제1 필터백의 배출구가 상기 제2 필터백의 가스 주입구와 연결되도록 직렬 형태로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필터백과 상기 제2 필터백이 연결된 통로에는, 흡착제가 공급될 수 있도록 흡착제 주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 주입구에는, 사용한 흡착제를 재순환시켜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제2 필터백의 호퍼로부터 연장된 재순화 통로가 연결되고, 상기 재순환 통로를 통해 새로운 흡착제와 상기 사용한 흡착제가 일정 비율로 혼합되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 처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건식 반응기는,
    소석회 슬러리와 함께 혼합된 촉매제를 고압공기를 통해 주입 받아, 분무 노즐에 의해 분사되어 배출가스와 혼합됨으로써, 산성 가스를 제거함과 동시에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 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백은,
    백표면에 포집된 분진 덩어리가 상기 제1 필터백의 하부에 설치된 호퍼로 떨어지도록 운전되고,
    상기 제2 필터백은,
    큰입자 케익은 하부로 떨어지도록 하고, 작은 비산입자들은 백 표면에 부착되도록 가스 이동속도를 상기 제1 필터백보다는 빠르게 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 처리장치.
KR10-2000-0066246A 2000-11-08 2000-11-08 이중 백필터를 갖는 소각 배출가스 처리장치 KR100391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246A KR100391369B1 (ko) 2000-11-08 2000-11-08 이중 백필터를 갖는 소각 배출가스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246A KR100391369B1 (ko) 2000-11-08 2000-11-08 이중 백필터를 갖는 소각 배출가스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196A true KR20020036196A (ko) 2002-05-16
KR100391369B1 KR100391369B1 (ko) 2003-07-16

Family

ID=19697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6246A KR100391369B1 (ko) 2000-11-08 2000-11-08 이중 백필터를 갖는 소각 배출가스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1369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609B1 (ko) * 2002-07-29 2005-03-28 김정원 일체형 배출가스 정화장치
KR100837612B1 (ko) * 2007-05-30 2008-06-12 이선영 반건식 반응탑용 염화수소· 황산화물 제거장치
KR101050431B1 (ko) * 2011-03-08 2011-07-19 (주)대우건설 필터백 기반의 분말촉매를 이용한 복합 악취 저감 장치 및 방법
KR101050432B1 (ko) * 2011-03-08 2011-07-19 (주)대우건설 모듈형 촉매 필터와 필터백을 이용한 복합 악취 저감 장치
KR101400334B1 (ko) * 2012-09-27 2014-05-27 현대제철 주식회사 비산 분진 제거장치
CN105771612A (zh) * 2016-05-03 2016-07-20 湖北思搏盈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污染因子低温烟气环保综合治理系统及工艺
CN107684800A (zh) * 2017-09-30 2018-02-13 江苏绿尚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除尘器
CN108993108A (zh) * 2018-08-07 2018-12-14 蔡毓旻 一种气体中氮氧化物净化装置
CN109092039A (zh) * 2018-10-11 2018-12-28 广州环投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灵活高效的超洁净烟气处理技术
CN110882603A (zh) * 2019-11-20 2020-03-17 芜湖普威技研有限公司 一种带快速更换活性炭的吸附风管
CN113234492A (zh) * 2021-06-01 2021-08-10 徐州天裕燃气发电有限公司 一种组装式煤气净化过滤装置
KR102406729B1 (ko) * 2021-12-29 2022-06-10 유원컨설턴트 주식회사 관 내부 갱생작업을 위한 환기 및 유해물질 제거시스템
KR102604844B1 (ko) * 2023-07-18 2023-11-23 대한민국 에어로졸 챔버를 활용한 입자 특성 관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719B1 (ko) * 2017-12-26 2019-04-22 주식회사 아이엔텍 분말형의 소석회 및 활성탄을 이용한 이중 백 필터의 오염물질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391990B1 (ko) 2020-03-16 2022-04-29 김용주 습식세정탑을 이용한 유해가스 및 중금속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고효율 처리장치
KR102198865B1 (ko) 2020-09-18 2021-01-07 주식회사 한기실업 공기 중 고농도로 함유된 유해, 악취물질의 종류에 따라 선별적으로 반응제, 흡착제를 공급하는 고효율 탈취장치
KR102472334B1 (ko) * 2020-12-17 2022-11-3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배가스 내 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동시처리 집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920A (ja) * 1983-07-19 1985-02-05 Hitachi Zosen Corp 排ガスの乾式脱硫法
JPH06126114A (ja) * 1991-12-26 1994-05-10 Plantec:Kk プレコート式バグフィルタ装置における薬剤供給装置
KR960010053A (ko) * 1994-09-26 1996-04-20 김향원 준건식 유해 가스 처리 시스템
KR100227211B1 (ko) * 1997-03-13 1999-10-15 장병주 반건식/백필터 장치 및 그 처리 공정
JPH10277335A (ja) * 1997-04-03 1998-10-20 Daido Steel Co Ltd 電気炉用集じん装置
KR100348516B1 (ko) * 1999-07-07 2002-08-10 (주)대우건설 반건식 반응기와 백필터를 일체화 한 소각 배출가스 처리장치
KR20010104109A (ko) * 2000-05-12 2001-11-24 안진횔 반건식세정기 벽면의 소석회 부착방지를 위한 공정 및에어커튼 가이드 베인 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609B1 (ko) * 2002-07-29 2005-03-28 김정원 일체형 배출가스 정화장치
KR100837612B1 (ko) * 2007-05-30 2008-06-12 이선영 반건식 반응탑용 염화수소· 황산화물 제거장치
KR101050431B1 (ko) * 2011-03-08 2011-07-19 (주)대우건설 필터백 기반의 분말촉매를 이용한 복합 악취 저감 장치 및 방법
KR101050432B1 (ko) * 2011-03-08 2011-07-19 (주)대우건설 모듈형 촉매 필터와 필터백을 이용한 복합 악취 저감 장치
KR101400334B1 (ko) * 2012-09-27 2014-05-27 현대제철 주식회사 비산 분진 제거장치
CN105771612A (zh) * 2016-05-03 2016-07-20 湖北思搏盈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污染因子低温烟气环保综合治理系统及工艺
CN107684800A (zh) * 2017-09-30 2018-02-13 江苏绿尚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除尘器
CN108993108A (zh) * 2018-08-07 2018-12-14 蔡毓旻 一种气体中氮氧化物净化装置
CN108993108B (zh) * 2018-08-07 2021-06-11 杭州野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气体中氮氧化物净化装置
CN109092039A (zh) * 2018-10-11 2018-12-28 广州环投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灵活高效的超洁净烟气处理技术
CN110882603A (zh) * 2019-11-20 2020-03-17 芜湖普威技研有限公司 一种带快速更换活性炭的吸附风管
CN113234492A (zh) * 2021-06-01 2021-08-10 徐州天裕燃气发电有限公司 一种组装式煤气净化过滤装置
KR102406729B1 (ko) * 2021-12-29 2022-06-10 유원컨설턴트 주식회사 관 내부 갱생작업을 위한 환기 및 유해물질 제거시스템
KR102604844B1 (ko) * 2023-07-18 2023-11-23 대한민국 에어로졸 챔버를 활용한 입자 특성 관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1369B1 (ko) 200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1369B1 (ko) 이중 백필터를 갖는 소각 배출가스 처리장치
US5672323A (en) Activated carbon flue gas desulfurization systems for mercury removal
US5659110A (en) Process of purifying combustion exhaust gases
US5827352A (en) Method for removing mercury from a gas stream and apparatus for same
US5575982A (en) Process of purifying exhaust gases produced by combustion of waste materials
CN103768929B (zh) 一种垃圾焚烧过程中产生的烟气的净化处理装置及其应用
US77945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industrial processing plants
US20140170046A1 (en) Pollution control system for kiln exhaust
KR100815175B1 (ko) 분말형 첨착활성탄을 이용한 연소 배기가스로부터의질소산화물 및 다이옥신 제거방법
KR100639261B1 (ko) 응축기를 구비한 하이브리드식 배출가스 정화장치
KR100875519B1 (ko) 활성탄을 이용한 소각로 배기가스의 유해물질 저감 플랜트
JP2007021442A (ja) 排ガス処理方法及び設備
JPH0731847A (ja) 排ガス中の有害物質除去方法
JPH07299328A (ja) 排気ガスの浄化方法
KR100613303B1 (ko) 하이브리드식 배출가스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829533B1 (ko) 각종 노의 배출가스 정화를 위한 다종 오염물질 저감 처리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KR100767161B1 (ko) 분말형 첨착활성탄을 이용한 연소 배기가스로부터의 질소산화물 및 다이옥신 제거장치
US5439508A (en) Process of separating halogenated dioxins and furans from exhaust gases from combustion plants
US6770174B1 (en) Photochemical system and method for removal for formaldehyde from industrial process emissions
KR100348516B1 (ko) 반건식 반응기와 백필터를 일체화 한 소각 배출가스 처리장치
JP2004174360A (ja) 排ガス処理方法および吸着剤充填層装置
US5935299A (en) Apparatus and method of spray dryer/bag filter using circulating shield air
KR100623853B1 (ko) 활성탄을 이용한 배가스 내 다이옥신 저감 방법
Achternbosch et al. Material flows and investment costs of flue gas cleaning systems of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s
CN212091626U (zh) 一种焚烧炉烟道气多污染物干式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