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5772A - 슬라브스톡 폼 연속 생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슬라브스톡 폼 연속 생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5772A
KR20020035772A KR1020010069112A KR20010069112A KR20020035772A KR 20020035772 A KR20020035772 A KR 20020035772A KR 1020010069112 A KR1020010069112 A KR 1020010069112A KR 20010069112 A KR20010069112 A KR 20010069112A KR 20020035772 A KR20020035772 A KR 20020035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mixture
bottom plate
liquid reaction
liquid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9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술츠바흐한스-미하엘
뢰리히로타
라펠라이너
Original Assignee
브루문트
헤네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루문트, 헤네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브루문트
Publication of KR20020035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77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2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4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n open space or onto moving surfaces, i.e. to make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4/461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n open space or onto moving surfaces, i.e. to make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dispensing apparatus, e.g. dispensing foaming resin over the whole width of the moving surface

Landscapes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Molding Of Porous Articl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선택 사항으로서 선회 가능한 바닥판(31)의 전방에서 하부로부터 그리고/또는 바닥판을 거쳐 액체 반응 혼합물을 도입함으로써, 공동이 없는 슬라브스톡 폼(45)이 어떠한 제약없이, 즉 급속 반응 화학 시스템에 의해 생산될 수 있으며, 이때 바닥판(31)은 상기 바닥판(31) 위의 액체 반응 혼합물(4)이 사실상 계속해서 액체인 영역에 배열되어 있다.

Description

슬라브스톡 폼 연속 생산 방법 및 장치{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SLABSTOCK FOAM}
본 발명은 액체 반응 혼합물이 공급되어 횡단식으로 분배되고 거품이 형성되어 발포되며, 그후 팽창된 슬라브스톡 폼이 제거되는 슬라브스톡 폼(slabstock foam) 연속 생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뒤쪽에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는 배출판을 배열한 비교적 큰 트러프(trough) 내로 소정의 체류 시간 동안 액체 반응 혼합물을 공급함으로써 폴리우레탄 슬라브스톡 폼을 연속 생산하기 위한 폴리올 및 이소시아네이트로 된 액체 반응 혼합물을 생산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분배 트러프 내에서 이렇게 체류하게 되면, 그 결과로서 반응 혼합물의 상부 영역은 거품(cream)이 형성되고, 소위 "상승 분사(rising jet)"로서 배출판 위로 유동되고, 그후 발포되어 블록을 형성한다(GB-PS 1 354 34에 대응하는 DE-OS 2 142 450). 이런 생산 방법과 이에 관련된 장치는 이 경우 트러프 내의 반응 혼합물이 데드 영역(dead zone), 즉 분배 트러프의 저유동 영역으로부터 빠르게 발포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급속 반응 화학 시스템을 처리하는 데 부적절한 것으로 밝혀져 왔다. 분배 트러프를 위한 복잡하고 고가의 세척 및 종이 라이닝 공정은 각각의 발포 공정 전후에 걸쳐 필수적이다.
다른 공지된 생산 방법에 따르면, 액체 반응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바닥판 위로 펼쳐진 트러프 형상의 종이 필름에 위로부터 적용되며, 상기 종이 필름은 적용된 액체 반응 혼합물과 함께 공기 간극 아래에서 인출된다. 공기 간극은 가이드 롤러에 의해 형성되며, 가이드 롤러의 아래에는 커버 필름(산크트 오거스틴(Sankt Augustin) D-53754, 헤네케 게엠베하(Hennecke GmbH의 제작자 로고(logo) "51/1", 제D9901-820 362 3T 10/98 괴(Go))이 펼쳐져 있다. 올바른 공정에서 액체 반응 혼합물은 공기 간극의 전방에 작은 볼록부(bulge)를 형성하며, 이로 인해 공기가 반응 혼합물과 공기 간극 사이에 침투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볼록부는 액체 반응 혼합물이 하부의 종이 필름에 적용될 때 기포로 인해 반응 혼합물에 바람직하지 않은 에디(eddy)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지는 않는다. 이들 기포는 그후 공동을 형성하는 시작점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선천적으로 공동이 없는 슬라브스톡 폼이 아무 제약없이, 즉 급속 반응 화학 시스템에 의해 생산될 수 있는 생산 방법과 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응 혼합물이 사실상 계속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 즉 반응 혼합물이 가시적으로 발포하기 전에 바닥판 전방의 하부로부터 그리고/또는 바닥판을 통해서 반응 혼합물이 배출되는 경우에 달성된다. 일반적으로 반응 중의 세 개의 상(phase)은, 액상과, 폼이 (가시적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점성이 뚜렷이 증가한 거품상과, 기본적으로 거품상에 형성된 미소폼(microfoam) 기포가 쌓아 올져진 상승상(rising phase)으로 구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응 혼합물은 거품상이 시작되기 전에 바닥판에 도달해야만 한다.
혼합 장치로부터 바닥판에 적용하기까지 배출에 드는 시간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약 1 내지 10초이고, 양호하게는 1 내지 5초이다.
시간은 반응 혼합물, 즉 이송 체적의 유속 및/또는 이송 속도를 반응 혼합물이 바닥판에 도달하기 전에 유동해야만 하는 체적에 관련해서 일치시킴으로써 아무런 어려움없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 반응 혼합물이 하부로부터 바닥판으로 팽창 분사(swelling jet)로서 통과함으로써, 공기가 포함되어 바람직하지 않은 공동이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는 경우 달성된다. 반응 혼합물을 적용하는 동안에는 폼의 폭을 따라 관찰할 때 상기 액체 반응 혼합물이 가능한 균일한 것이 중요하다. 액체 반응 혼합물과 거품 반응 혼합물 사이의 경계 영역은 바닥판에 대해 후방쪽으로 경사지며, 그 결과 바닥판 위에는 항상 사실상 계속 액체인 반응 혼합물이 존재하고 이들 액상 위에는 이미 거품성인 반응 혼합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도입된 반응 혼합물의 액체 상태로 인해, 기포상이 시작되기 전에 선택적으로는 보조 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양호한 자동 횡단 분배를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혼합기로부터 배출되는 혼합물 스트림을 분기시키고 복수개의 사이트에서 반응 혼합물을 평행하게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르게는, 반응 혼합물은 바닥판에 부채 형상의 방식으로 공급된다. 이 경우, 한편으로는 반응 혼합물은 계속 액체 상태로 존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정적인 유동 공간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반응 혼합물에 대한 도입 및/또는 적용 영역에서 저속으로 쌓아 올려질 위험은 방지된다. 형성된 슬라브스톡 폼은 연속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액체 반응 혼합물과 슬라브스톡 위에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이미 거품성인 반응 혼합물은 새로이 도입되는 전방 압박 반응 혼합물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며 따라서 정착할 시간이 없게 된다. 다르게는, 컨베이어 벨트에 연결하기 전에 바닥판 뒤로 낙하판 섹션을 배열할 수도 있다.
양호하게는 바닥판은 반응 혼합물에 대한 이송 장치와 함께 반응 혼합물의 이송 방향으로 놓여 있는 바닥판의 단부 근처에서 선회된다.
이런 수단에 의해, 생산 방법의 진행 과정은, 특히 시작시에 조절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뒤이어 미세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입구와 바닥판 사이에 형성된 수직각은 바닥판의 경사각이 변경될 때 변경되지 않고 남아 있는 것이 편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새로운 생산 방법의 특별한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반응 혼합물의 공급 지점으로부터 이송 방향으로 놓여 있는 바닥판의 단부까지의 거리는 조절된다.
서로 다른 화학 성분 공식을 진행할 때 바닥판 위의 반응 혼합물이 사실상 계속 액체 상태인 것이 유리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송 속도 또한 고려되거나 그리고/또는 보상될 수 있다. 즉, 상술한 거리는 필요하다면 반응 속도 및/또는 이송 속도에 의존해서 증감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도입된 반응 혼합물의 높이는 억제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개방된 그러나 대안으로서 선택적으로는 폐쇄된 공간이 이송 방향으로 형성되고, 공간에서 반응 혼합물은 반드시 낮은 압력 상태에 있으며,이로 인해 횡단 분배가 촉진되고, 그 결과 반응 혼합물은 폼 폭 위의 모든 곳에서 대체로 균일하게 존재한다.
액체 반응 혼합물로부터 슬라브스톡 폼을 연속 생산하기 위한 새로운 장치는 바닥판과 연결된 혼합기와, 필름으로 내부가 라이닝되어 있고 바닥판 뒤에서 이송 방향으로 연결된 측방향 경계부가 마련된 운송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특성은 바닥판 위의 반응 혼합물이 사실상 계속해서 액체로 존재하는 각각의 영역에 바닥판이 배열되고, 액체 반응 혼합물에 대한 입구는 바닥판 전방의 하부로부터 그리고/또는 바닥판을 통해 액체 반응 혼합물을 배출한다는 것이다.
장치의 이런 구조로 인해, 입구로부터 배출되는 액체 반응 혼합물은 부풀어 올라서 바닥판 위로 분배된다. 입구로부터의 유출 속도는 공기를 포함하게 될 수도 있는 난류가 방지되도록 낮게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는 반응 혼합물이 계속 반응해서 쌓아 올려지게 되도록 하는 데드 유동 영역이 없다. 이와 관련해서, 반응 혼합물이 전체 유입 영역에 걸쳐 계속 유동하는 것도 중요하다. 입구는 일반적으로 바닥판에 대해 하부로부터 수직하게 배열되지만, 바닥판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열될 수도 있다. 가장 간단한 실시예에서, 입구는 곡면의 관상 단면을 갖는다. 특히 폼 폭이 큰 경우, 입구는 반응 혼합물이 폼 폭을 따라 관찰할 때 가능한 균일하도록 액체 반응 혼합물에 대한 급속 횡단 분배가 이루어지게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혼합기로부터 나온 분지 튜브는, 예컨대 복수개의 입구가 바닥판에 배열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다르게는, 액체 반응 혼합물에 대한 공급 장치는 폼 폭 및/또는 바닥판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바닥판의 하부에 부채 형상의 방식으로 넓어짐으로써, 입구는 사실상 슬릿 다이의 단면 형상 또는 입 모양 형상을 갖는다.
양호하게는 입구와 함께 바닥판은 이송 방향으로 놓여 있는 바닥판의 단부 상에 배열된 샤프트 둘레에서 선회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판의 유격 각도는 조절될 수 있다.
바닥판의 선회 각도는 양호하게는 -30°내지 +80°사이에서, 특히 양호하게는 0°내지 45°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다.
바닥판의 경사를 상술한 범위에서 조절함으로써 유입된 액체 반응 혼합물의 유동 속도는 특히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 방향으로 놓여 있는 바닥판의 단부로부터 입구까지의 거리는 조절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해서, 바닥판은 양호하게는 서로에 대해 신축식으로 변위되는 두 부분으로 된 판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바닥판의 길이는 관련 필요 요건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증가되거나 단축될 수 있다. 특히, 서로 다른 화학 공식을 처리할 때 바닥판의 길이는 필요 요건에 따른 각각의 경우에 조절될 수 있다. 신축식 배열은, 예컨대 두 개의 판 중 하나가, 양호하게는 이송 방향으로 놓여 있는 판이 다른 판에서 신축 자재식으로 안내되는 경우 달성된다. 이것은 판들이 일반적으로는 지지되고 있는 얇은 시트 금속판이기 때문에 어떤 어려움도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신축식 배열은 상호 결합된 지지 벌집 형상부(comb)를 갖는, 두 부분으로 된 판에 의해 달성될수 있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르게는 반응 혼합물에 대한 입구는 바닥판의 길이 방향 구멍을 거쳐 안내되며, 상기 길이 방향 구멍의 적어도 일부는 입구에 단단히 연결된 금속 시트에 의해 덮혀 있다.
금속 시트는 바닥판 상에 시일을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시트는 반응 혼합물이 입구의 모든 방면의 위치의 길이 방향 구멍을 거쳐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기 위해 충분히 크게 되어 있거나 그리고/또는 그런 형상으로 되어 있어야 한다. 특히 중요한 것은, 커버 시트는 후속하는 기부판이나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입구까지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신축식 조절 가능한 부분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크게 설계된다는 점이다.
기부판 및/또는 입구가 후방에서 복귀 정지부와 경계를 이룬다는 것은 특히 중요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반응 혼합물이 후방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런 배열은 바닥판이 부의 경사각을 갖도록 조절되는 경우 특히 유리하다. 바닥판이 금속 커버 시트가 마련된 입구를 변위시키기 위한 길이 방향 구멍을 갖게 되면, 금속 커버 시트는 양호하게는 이송 방향으로 입구 뒤에서 모서리를 따라 배열되어서, 복귀 정지부를 형성한다. 모서리를 따르는 커버 시트는 도입된 반응 혼합물이 모서리를 따른 배열 둘레에서 측방으로 뒤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충분히 넓어야만 한다. 바닥판의 경사각이 부의 값인 경우 금속 커버 시트는 후방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폼 표면의 전체 폭 위로 연장되어야 한다. 모서리를 따르는 금속 시트를 측방향 경계부에 단단히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커버링과 복귀 정지부를 결합하는 것이 부의 바닥판 경사각에 바람직하며, 상기 커버링은 도입된 액체 반응 혼합물의 수준을 제한하기 위해 시일을 형성하도록 복귀 정지부에 대해 놓여 있다.
다른 특별한 실시예는 커버링이 바닥판 위에서 바닥판과 이격되어 배열되어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적용된 액체 반응 혼합물은 이송 중 소정 시간 동안 소위 "밀폐"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 커버링의 적어도 일부는 선택적으로는 이미 거품성인 상부 물질 위로 연장될 수 있다.
커버링은 양호하게는 조절 가능하다.
커버링은 가장 간단하게는 커버 필름이 하부에서 안내된 가이드 롤러에 의해 마련될 수 있으며, 최종 폼에 대한 모든 압력은 당연히 커버 필름의 장력에 의해서만 발생된다. 하부에 상부 커버 필름이 안내될 수 있는 안정적인 활재부 형상의 배열도 가능하다. 다르게는, 커버링은 롤러 위에서 운행되는 벨트 형태이다. 이 경우, 상부 커버 필름은 유리하게는 벨트의 하부에서 운행될 수 있다.
다양한 커버링 조절 방식이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 가장 적절한 형태의 수행 생산 방법은 기존 구조에 의존해서 선택되고 조절될 수 있다.
장치의 특별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판으로부터 커버링까지의 수직 거리는 조절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바닥판과 커버링 사이에 위치된 영역의 두께도 또한 조절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링은 바닥판에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다.이렇게 함으로써, 반응 혼합물을 위에서 덮거나 그리고/또는 압박하는 위치는 조절될 수 있다.
커버링은 샤프트 둘레에서 선회할 수도 있으며, 샤프트는 양호하게는 입구 근처에 배열된다. 선회 샤프트는 커버링의 다른 단부 상이나, 예컨대 커버링의 중간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하부를 지나 유동하는 반응 혼합물의 두께는 커버링의 길이를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반응 혼합물의 측면에 대해 오목하게 또는 볼록한 만곡된 커버링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곡률은 비록 복잡하기는 하지만 당연히 조절될 수 있다.
커버링의 길이는, 예컨대 두 부분 이루어진 신축식 바닥판에서와 마찬가지로, 신축식 배열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실현 가능한 이와 같은 실시예는 원하는 경우에는 서로 결합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양호하게는 바닥판과 선택 사항으로서 복귀 정지부는 밀착을 방지하는 보호층으로 피복된다.
보호층은 기판에 단단히 연결되거나 기판에 느슨하고 교체 가능하게 위치된다.
물론 상기와 같은 구성은, 입구, 및/또는 바닥판의 하부에 안내된 커버 필름이 없는 측방 경계부 및/또는 상부 커버링에 연결된, 존재할 수 있는 모든 커버 시트에도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다.
입구가 계속해서 바닥판의 전방에 배열되는 한, 동시-이동 바닥 필름이 바닥판 위로 삽입될 수 있다. 바닥판 영역의 측방 경계부의 표면들과 같이, 반응 혼합물과 직접 접촉하게 되는 다른 표면들도 이런 방식으로 보호될 수 있다.
새로운 장치는 도면에서 여러 실시예의 형태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측면도.
도2a 내지 도2e는 다양한 입구 형태에 대한 평면도.
도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측면도.
도4는 장치의 적용 영역에 대한 확대도.
도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1, 51, 61 : 바닥판
4, 34, 64 : 액체 반응 혼합물
3 : 입구
5 : 공급 라인
6 : 복귀 정지부
7 : 보호층
8 : 낙하판
9, 13 : 가이드 롤러
10 : 동시 주행 종이 필름
11, 12 : 측방향 경계부
14 : 종이 필름
15, 45, 76 : 슬라브스톡 폼
16 : 전이 영역
도1은 소위 슬라브스톡 폼 유닛을 구성하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슬라브스톡 폼 유닛은 경사를 조절하기 위해 이송 방향으로 놓여 있는 축(2)의 둘레에서 선회할 수 있는 바닥판(1)을 포함한다. 하부로부터 액체 반응 혼합물(4)을 배출하는 입구(3)가 바닥판(1) 전방의 진입측에 마련되며, 입구는 바닥판(1)과 함께 선회 가능하다. 공급 라인(5)은 (도시 안된) 혼합기로부터 입구(3)로 이어진다. 복귀 정지부(6)는 입구(3)를 거쳐 도입된 액체 반응 혼합물(4)이 후방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복귀 정지부(6)뿐만 아니라 바닥판(1)도 반응 혼합물(4)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층(7)으로 라이닝(lining)되며, 상기 보호층은 실리콘 피복 종이로 이루어지고 보호층의 배면측 상에는 압력 민감성 접착 지점이 마련된다. 소위 낙하판(8)은 바닥판(1)에 부착되고, 바닥판(1)과 이들 낙하판(8) 사이에는 가이드 롤러(9)가 배열되며, 가이드 롤러(9)의 위로는 트러프 형상의 동시 주행 종이 필름(10)이 도입된다. 낙하판(8)은 이송 방향으로 (도시 안된) 운송 시스템, 예컨대 컨베이어 벨트에 연결된다. 바닥판(1)에는 적어도 일부가 낙하판(8)의 위로 연장되고 보호층(7)으로 라이닝된 측방향 경계부(11)가 마련된다. (도시 안된) 컨베이어 벨트뿐만 아니라 낙하판(8)에도 측방향 경계부(12)가 마련된다. 후자는 동시 주행 종이 필름(10)에 의해 라이닝된다. 종이 필름(14)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13)는 바닥판 위에 배열된다. 가이드 롤러(13)의 길이 방향 정렬과 높이 모두는 조절될 수 있다. 종이 필름(14)은 액체 반응 혼합물(4)과 최종 슬라브스톡 폼(4)을 덮는다. 반응 혼합물이 거품 상태로 변해서 슬라브스톡 폼(5)으로 되는 전이 영역(16)은 점선으로 도시된 반응 혼합물의 액체 영역과 인접해 있다.
입구(21)의 형상은 도2a에서는 원형으로 되어 있고, 도2b에서는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도2c에서는 "뼈" 형상으로 되어 있고, 도2d에서는 폼의 폭을 따라 연장된 간극 형상으로 되어 있고, 도2e에서는 폼의 폭을 따라 연장된 간극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형상은 측면쪽으로 넓어지고 이로써 반응 혼합물이 분지 배열을 거쳐 안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상적인 슬라브스톡 폼 유닛에서 분당 200 내지 600 ℓ로 이송되는 반응 혼합물 체적을 위한 공급 라인(5)과 입구(3)의 체적은 3 내지 20 ℓ이다.
도3에서, 장치는 경사각을 -30° 내지 +80° 사이에서 조절하기 위해 샤프트(32) 둘레에서 선회할 수 있는 바닥판(31)을 포함한다. 액체 반응 혼합물을 하부로부터 배출하는 액체 반응 혼합물(34)을 위한 입구(33)는 바닥판(31) 전방의 입구측에 마련되며, 입구는 바닥판(31)과 함께 선회할 수 있다. 입구(33)로 향하는 공급 라인(35)은 (도시 안된) 혼합기로부터 이어져 있다. 복귀 정지부(36)는 입구(33)를 거쳐 도입된 액체 반응 혼합물(34)이 후방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은 바닥판(31)이 부의 값 또는 단지 정의 값만을 갖는 각도로 조절되는 경우 특히 중요하다. 복귀 정지부(36)뿐만 아니라 바닥판(31)도 액체 반응혼합물(34)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층(7)으로 라이닝되며, 보호층은 실리콘 피복 종이로 구성되고 보호층의 배면측 상에는 압력 민감성 접착 지점이 마련된다. 소위 낙하판(38)은 바닥판(31)에 연결되며, 바닥판(31)과 이들 낙하판(38) 사이에는 가이드 롤러(39)가 배열되고, 가이드 롤러의 위로는 트러프 형상의 종이 필름(40)이 도입된다. 낙하판(38)은 이송 방향으로 (도시 안된) 컨베이어 벨트에 연결된다. 바닥판(31)에는 그 일부가 낙하판(38)의 위로 연장되고 보호층(37)으로 라이닝된 측방향 경계부(41)가 마련된다. (도시 안된) 컨베이어 벨트뿐만 아니라 낙하판(38)에도 측방향 경계부(42)가 마련된다. 측방향 경계부는 종이 필름(40)으로 라이닝된다. 활재부(43)로서 형성되고 그 하부에 상부 종이 필름(44)이 안내된 상부 커버링(43)이 바닥판(31) 위에 배열되며, 복귀 정지부(36)와 함께 시일을 형성한다. 커버링(43)은 선회할 수 있으며, 길이 방향 배열과 높이에 있어 모두 조절 가능하다. 종이 필름(44)은 액체 반응 혼합물(34)과 최종 슬라브스톡 폼(45)을 덮는다. 반응 혼합물이 거품 상태로 변하는 전이 영역(46)은 점선으로 도시된 반응 혼합물(34)의 액체 영역과 인접해 있다.
도4에 도시된 장치는 원칙상 도3에 도시된 장치와 대응한다. 이 경우, 바닥판(51)은 고정부(52)와 신축 자재부(53)을 포함하며, 이들 두 부분(52, 53)은 그 위에 배열된 보호층이 적절하게 지지되도록 벌집 형상으로 상호 연결된 충분히 좁은 웨브(54)를 갖는다. 이렇게 해서, 바닥판(51)의 전체 길이는 조절될 수 있다. 선회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길이와 높이가 조절 가능한 커버링(56)은 서로에 대해 변위될 수 있는 두 부분(57, 58)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신축 자재 가능하다.
도5에서, 장치는 경사각을 - 30° 내지 + 80° 사이에서 조절하기 위해 샤프트(62) 둘레에서 선회할 수 있는 바닥판(61)을 포함한다. 액체 반응 혼합물(64)을 위한 입구(33)는 바닥판(61)을 거쳐 하부로부터 액체 반응 혼합물을 배출하고, 연결편(65)을 거쳐 혼합기(66)로 연결된다. 연결편(65)은 바닥판(61)의 길이 방향 구멍(67)을 거쳐 안내된다. 입구(63)에는 전체 폼 폭에 걸쳐 연장되어 측방향 경계부(68)까지 이어진 금속 커버 시트(69)가 마련되며, 상기 커버 시트는 소위 바닥판(61)의 신축 자재부(69)를 형성한다. 커버 시트는 측면에서 측방향 경계부(68)에 단단히 연결되고 모서리를 따라 정렬된 복귀 정지부(70)를 갖는다. 측면 경계부(68)와 보호 시트(69)와 복귀 정지부(70)에 대한 밀착을 방지하는 보호층은 설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았다. 바닥판(61)은 관련된 부분(65, 66, 67, 68, 69, 70)과 함께 선회 가능하게 배열된다. 컨베이어 벨트(71)는 금속 커버 시트(69)와 인접해 있으며, 컨베이어 벨트(71)의 위에는 트러프 형상의 종이 필름(73)이 측방향 경계부(72)도 라이닝하기 위해 주행한다. 활재부로서 형성된 상부 커버링(74)은, 그 하부에 상부 종이 필름(75)이 안내되고, 바닥판(61) 위에서 바닥판과 이격되도록 배열된다. 커버링(74)은 선회될 수 있으며, 길이 방향 배열과 높이 모두에 있어 조절 가능하다. 종이 필름(75)은 액체 반응 혼합물(64)과 최종 슬라브스톡 폼(76)을 덮는다. 반응 혼합물이 거품 상태로 변해서 슬라브스톡 폼(76)으로 변하는 전이 영역(77)은 점선으로 도시된 반응 혼합물(64)의 액체 영역과 인접해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른 슬리브스톡 폼 연속 생산 방법 및 장치는 반응 혼합물이 사실상 계속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 즉 반응 혼합물이 가시적으로 발포하기 전에 바닥판 전방의 하부로부터 그리고/또는 바닥판을 통해서 반응 혼합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Claims (14)

  1. 액체 반응 혼합물(4, 34, 64)이 공급되어 횡방향으로 분배되고 거품이 형성되어 발포되며, 그 후 팽창된 슬라브스톡 폼(15, 45, 76)이 제거되는 슬라브스톡 폼 연속 생산 방법에 있어서,
    액체 반응 혼합물(4, 34, 64)은 바닥판(1, 31, 51, 61) 전방의 하부로부터 그리고/또는 바닥판을 통해 배출되고, 바닥판 위의 액체 반응 혼합물(4, 34, 64)은 사실상 계속 액체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바닥판(1, 31, 51, 61)은 액체 반응 혼합물에 대한 공급 수단(5, 35)과 함께 액체 반응 혼합물(4, 34, 64)의 이송 방향으로 놓여 있는 바닥판(1, 31, 61)의 단부 둘레에서 선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액체 반응 혼합물(4, 34, 64)의 배출 사이트(3, 21, 33, 63)와 이송 방향으로 놓여 있는 바닥판(1, 3, 61)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입된 액체 반응 혼합물(4, 34, 64)의 높이는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바닥판(1, 31, 51, 61)과 연결된 혼합기(66)를 포함하며, 필름(10, 40, 73)으로 라이닝되고 측방향 경계부(12, 52, 72)가 마련된 운송 시스템(71)이 바닥판(1, 31, 51, 61) 뒤에서 이송 방향으로 연결된, 액체 반응 혼합물(4, 34, 64)로부터 슬라브스톡 폼(15, 45, 76)을 연속 생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바닥판(1, 31, 51, 61)은 상기 바닥판(1, 31, 51, 61) 위의 액체 반응 혼합물(4, 34, 64)이 사실상 계속해서 액체인 영역(4, 34, 64)에 배열되고, 액체 반응 혼합물(4, 34, 64)에 대한 입구(3, 21, 33, 63)는 바닥판(1, 31, 51, 61) 전방의 하부로부터 그리고/또는 바닥판을 통해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바닥판(1, 31, 51, 61)은 입구(31, 63)와 함께 이송 방향으로 놓여 있는 바닥판(1, 31, 51, 61)의 단부 상에 배열된 샤프트(2, 32, 62) 둘레에서 선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바닥판(1, 31, 51, 61)의 선회각(α)은 -30°내지 +80°사이에서, 양호하게는 0°내지 45°사이에서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 반응 혼합물(4, 34, 64)의 입구(3, 33, 63)와 이송 방향으로 놓인 바닥판(1, 31, 51, 61)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바닥판(51, 61)은 서로에 대해 신축식으로 변위될 수 있는 두 부분으로 된 판(52, 53, 61, 6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액체 반응 혼합물(64)에 대한 입구(63)는 바닥판(61)의 길이 방향 구멍(67)을 통해 안내되고, 상기 길이 방향 구멍(67)은 입구(63)에 단단히 연결된 금속 커버 시트(69)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링(43, 56, 74)이 바닥판(31, 51, 61) 위에서 이격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부의 커버링(43, 56, 74)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4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 반응 혼합물(4, 34, 64)에 대한 입구(3, 33, 63) 및/또는 바닥판(1, 31, 61)은 배면에서 복귀 정지부(6, 36, 70)에 의해 경계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4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닥판(1, 31, 51)은 밀착을 방지하는 보호층(7, 37, 55)으로 라이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10069112A 2000-11-08 2001-11-07 슬라브스톡 폼 연속 생산 방법 및 장치 KR200200357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55222 2000-11-08
DE10055222.6 2000-1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772A true KR20020035772A (ko) 2002-05-15

Family

ID=7662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112A KR20020035772A (ko) 2000-11-08 2001-11-07 슬라브스톡 폼 연속 생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833095B2 (ko)
EP (1) EP1205290B1 (ko)
JP (1) JP4057279B2 (ko)
KR (1) KR20020035772A (ko)
CN (1) CN1282533C (ko)
DE (1) DE50107027D1 (ko)
NO (1) NO3212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107027D1 (de) * 2000-11-08 2005-09-15 Henneck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Herstellen von Blockschaum
DE102005005151A1 (de) * 2005-02-04 2006-08-10 Henneck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Blockschaum
WO2006091882A2 (en) 2005-02-25 2006-08-31 Nova Chemcials Inc. Lightweight compositions and articles containing such
US8726594B2 (en) 2005-02-25 2014-05-20 Syntheon Inc. Composite pre-formed building panels
US8752348B2 (en) 2005-02-25 2014-06-17 Syntheon Inc. Composite pre-formed construction articles
EP2364959A1 (en) 2005-03-22 2011-09-14 Nova Chemicals Inc. Lightweight concrete compositions
US7566165B2 (en) * 2006-04-17 2009-07-28 Milliken & Company Valved manifold and system suitable for introducing one or more additives into a fluid stream
DE102006051311B4 (de) * 2006-10-31 2016-12-29 Henneck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Blockschaum
US7677009B2 (en) 2007-02-02 2010-03-16 Nova Chemicals Inc. Roof truss system
US8048219B2 (en) 2007-09-20 2011-11-01 Nova Chemicals Inc. Method of placing concrete
US10189964B2 (en) 2015-06-08 2019-01-29 Covestro Llc Methods for preparing open-celled polyurethane foams, systems for use therein, and open-celled polyurethane foams produced thereby
TR201903564A2 (tr) 2019-03-08 2019-03-21 Safas Saf Plastik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Stres ve ağri azaltici bi̇r malzeme olarak magneti̇t parti̇külleri̇ i̇çeren sürekli̇ blok esnek poli̇üretan köpük üretmek i̇çi̇n yöntem
WO2021029836A1 (en) 2019-08-09 2021-02-18 Safaş Saf Plasti̇k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Boron-modified flexible polyurethane foam for hygiene and a method of production theref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5287A (en) * 1993-07-14 1997-09-09 Foaming Technologies Cardio Bv Froth process for continous manufacture of polyurethane foam slab-stocks
KR100196557B1 (ko) * 1992-06-01 1999-06-15 페. 부르기, 에르. 펠레그리노 슬래브스톡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연속적인 제조 장치
US6019919A (en) * 1996-07-05 2000-02-01 Bayer Aktiengesellscaft Process for foam production using carbon dioxide dissolved under pressure
EP1205290A2 (de) * 2000-11-08 2002-05-15 Henneck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Herstellen von Blockschaum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85391B1 (ko) * 1970-04-16 1973-08-10 Rhone Poulenc Sa
NO131636C (ko) * 1970-09-01 1975-07-02 Unifoam Ag
GB1564604A (en) * 1975-11-07 1980-04-10 Unifoam Ag Manufacture of polymeric foam
US3832099A (en) * 1971-08-24 1974-08-27 Uniform Ag Apparatus for producing polyurethane foam
DE2552361A1 (de) * 1974-12-09 1976-06-10 Semperit Gmbh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herstellen eines schaumstoffstranges
US4128611A (en) * 1977-04-07 1978-12-05 The Upjohn Company Continuous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oamed polymer bunstock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section
US4158032A (en) * 1977-05-03 1979-06-12 Reeves Brothers, Inc. Centrifugal process for production of polyurethane foam
DE2748733A1 (de) * 1977-10-29 1979-05-10 5090 Leverkusen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herstellen von blockfoermigem schaumstoff
GB1594539A (en) * 1978-05-19 1981-07-30 Walmsley G Foam manufacture
DE2924183A1 (de) * 1979-06-15 1980-12-18 Bayer Ag Ein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herstellen von schaumstoffbloecken oder schaumstoffbahnen
US4363610A (en) * 1981-01-26 1982-12-14 Miller Foam Enterprises, Inc. Apparatus for continuously molding cylindrical blocks of foamed polymeric material
GB8314010D0 (en) * 1983-05-20 1983-06-29 Unifoam Ag Polymeric foam
AU636191B2 (en) * 1990-02-01 1993-04-22 Huntsman Ici Chemicals Llc Manufacturing of polymeric foams from polyisocyanate compositions
GB9014331D0 (en) * 1990-06-27 1990-08-15 Bareuter Gerd Manufacture of polymeric foam
US5129771A (en) * 1991-03-22 1992-07-14 Briles Rivet Corporation Precision ring dome-headed rivet
JP3186060B2 (ja) * 1991-11-14 2001-07-11 プリフオーム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所定の圧力範囲内で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スラブ素材を連続的に製造する方法と装置
US5409649A (en) * 1992-07-22 1995-04-25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Method of forming foam buns having no skin on a surface
US5527172A (en) * 1994-04-15 1996-06-18 Carpenter Co. Apparatus for forming a foam product
DE59507025D1 (de) * 1994-06-29 1999-11-18 Henneck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Herstellen von Schaumstoffblöcken oder Schaumstoffbahnen
US5512222A (en) * 1995-03-15 1996-04-30 Foamex L.P. Method of using a chilled trough for producing slabs of polyurethane foam
US5656678A (en) * 1996-05-14 1997-08-12 Hickory Springs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polyurethane foam using variable capacity trough
DE19702433C1 (de) * 1997-01-24 1998-10-01 Henneck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Polyurethan-Blockschaum
EP1020275B1 (de) * 1999-01-12 2002-10-16 Hennecke GmbH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Schaumstoff aus einem gelöstes Treibmittel enthaltenden Reaktionsgemisch
JP2001225309A (ja) * 2000-02-15 2001-08-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セメント繊維板の製造方法
US6200505B1 (en) * 2000-07-31 2001-03-13 Bayer Corporation Method to improve pour-in place molding technology
GB0019507D0 (en) * 2000-08-08 2000-09-27 Cannon Viking Limited Foam plastics method and machine
US6616886B2 (en) * 2001-01-31 2003-09-09 Foamex L.P.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thickness of a skin formed on a slab of polyurethane foam
DE10141619C1 (de) * 2001-08-24 2002-11-28 Henneck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iskontinuierlichen Herstellen von Polyurethan-Blockschaum
US6734220B2 (en) * 2002-08-27 2004-05-11 Foamex L.P. Fine cell, high density viscoelastic polyurethane foam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557B1 (ko) * 1992-06-01 1999-06-15 페. 부르기, 에르. 펠레그리노 슬래브스톡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연속적인 제조 장치
US5665287A (en) * 1993-07-14 1997-09-09 Foaming Technologies Cardio Bv Froth process for continous manufacture of polyurethane foam slab-stocks
US6019919A (en) * 1996-07-05 2000-02-01 Bayer Aktiengesellscaft Process for foam production using carbon dioxide dissolved under pressure
EP1205290A2 (de) * 2000-11-08 2002-05-15 Henneck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Herstellen von Blockschau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SRE37115 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53038A (zh) 2002-06-12
US6833095B2 (en) 2004-12-21
NO321297B1 (no) 2006-04-18
US7101163B2 (en) 2006-09-05
US20050067728A1 (en) 2005-03-31
EP1205290A3 (de) 2003-02-12
CN1282533C (zh) 2006-11-01
NO20015443L (no) 2002-05-10
US20020120023A1 (en) 2002-08-29
NO20015443D0 (no) 2001-11-07
JP4057279B2 (ja) 2008-03-05
DE50107027D1 (de) 2005-09-15
JP2002166434A (ja) 2002-06-11
EP1205290B1 (de) 2005-08-10
EP1205290A2 (de) 200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35772A (ko) 슬라브스톡 폼 연속 생산 방법 및 장치
KR101986714B1 (ko) 슬러리 분배시스템 및 방법
US3786122A (en) Method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a foamed polyurethane slab involving flow from a vessel over a weir structure
KR20140042774A (ko) 슬러리 분배기, 시스템 및 이의 이용 방법
US5844015A (en) Process and device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polyurethane block foam
US5665286A (en) Method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foam blocks or sheets
JP3337967B2 (ja) ポリウレタン−ブロックフォームを連続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4255105A (en) Equipment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foam boards
JPS60908A (ja) 重合物発泡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50029702A (ko) 폴리우레탄 샌드위치 성분의 제조 방법
US4264291A (en) Equipment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foam boards
US20080145544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Polyurethane Foam Slab Stock
US5512222A (en) Method of using a chilled trough for producing slabs of polyurethane foam
BRPI0717370B1 (pt) processo contínuo para produção de espuma de poliuretano em bloco e dispositivo para produção de espuma de poliuretano em bloco
JP2000005851A (ja) 溶融金属を連続金属鋳造装置へ幅広均一で乱れ、あとだれなしに鋳造するための放射流れの分配器の方法と装置
GB2317848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oamed material slabs
US4207279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polyurethane foam
IE48877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polyurethane foam
CN111823472A (zh) 制造隔热板的方法
GB2032337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oam blocks
CA1157613A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molding cylindrical blocks of foamed polymeric material
CA2003908C (en) Process and device for uniform distribution of a free-flowing reaction mixture onto a continuously transported substrate
US5196239A (en) Process for uniform distribution of a free-flowing reaction mixture onto a continuously transported substrate
JPS6321414Y2 (ko)
JPH022665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