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6557B1 - 슬래브스톡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연속적인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슬래브스톡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연속적인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6557B1
KR100196557B1 KR1019940704348A KR19940704348A KR100196557B1 KR 100196557 B1 KR100196557 B1 KR 100196557B1 KR 1019940704348 A KR1019940704348 A KR 1019940704348A KR 19940704348 A KR19940704348 A KR 19940704348A KR 100196557 B1 KR100196557 B1 KR 100196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departure
conveyor
foam
reaction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4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1861A (ko
Inventor
브라이안 제임스 블랙웰
헨드릭 파우
루디 모텔만스
로베르투스 헨드릭커스 에버스
Original Assignee
페. 부르기, 에르. 펠레그리노
프리폼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 부르기, 에르. 펠레그리노, 프리폼 아게 filed Critical 페. 부르기, 에르. 펠레그리노
Priority claimed from PCT/BE1992/000024 external-priority patent/WO1993024304A1/en
Publication of KR950701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1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6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65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2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4/28Expanding the moulding material on continuous moving surfaces without restricting the upwards growth of the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14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이송기 수단(1), 혼합헤드(51), 상기 이송기 수단(1)에 혼합 헤드로부터 반응혼합물을 배출하기 위한 수단(6)으로 이루어지는 슬래브스톡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연속적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치는 출발보드(7), 정비보드, 제조된 슬래브스톡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제1부분의 높이를 증가시키므로 움직이는 반응혼합물을 방해하는 방식으로 제조실행의 개시에서 이송기 수단을 따라 출발보드(7)를 움직이기 위한 수단, 끝 부분의 높이를 증가시키도록, 앞으로 발포형성 반응혼합물을 미는 방식으로 제조실행의 끝에서 출발보드를 움직이기 위한 수단이 추가로 이루어진다. 이 방법으로, 조작자가 발포형성 기계에 들어가지 않고, 발포재 블록의 출발 및 끝에서 최적화된다.

Description

슬래브스톡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연속적인 제조 장치
제1도는 출발 보드 및 출발 보드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제3도 및 제4도는 두 개의 별개 위치의 제1도의 출발 보드의 변형 구현예의 측면도이고,
제5도는 제1도에 해당하는 종단면도이나, 출발 보드 및 출발 보드 조절 수단 대신에 정지 보드 및 정지 보드 조절 수단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제6도는 제5도에 나타낸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제7도 및 제8도는 제1도 및 제5도에 나타낸 장치에 유사한 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를 나타내나, 여기서 출발 보드 및 정지 보드는 단일 및 동일한 보드이고,
제9도 및 제10도는 별개의 2 위치의 이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제1바닥 이송기에 바닥 시트의 고정 메카니즘의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재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스톡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연속적인 제조 장치는 일반적으로, 이송기 수단, 송풍제를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반응 성분을 혼합하기 위한 혼합 헤드, 상기 이송기 수단에 상기 반응혼합물을 배출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이송기 수단을 작동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 장치는 경사진 이송기 타입을 포함하는 별개의 타입(평면 블록이 있거나 없는), 막스폼(Maxfoam) 타입 및 바리막스(Varimax) 타입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면이 단지 막스폼 기계를 나타낼지라도, 이들 타입의 어느 하나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도에 나타낸 막스폼 기계의 이송기 수단(1)은 낙하-플레이트(2), 제1 바닥 이송기(3) 및, 낙하-플레이트(2)와 제1바닥 이송기(3) 위에 종형으로 배치되는 바닥 시트(4)로 이루어진다. 참조 부호(51)로 지칭되는 혼합 헤드 통(6)의 바닥에 도관(5)의 수단으로 연결된다. 이 통(6)에 공급되는 반응 혼합물은 낙하-플레이트(2)의 개시에서 바닥 시트(4)위에 발포 및 도달된다. 움직이는 이송기 수단(1) 위에 그것이 운송되는 동안, 반응혼합물은 발포재 블록을 제조하기 위하여 더욱 일어나고, 중합한다.
제조 실행(발포재 블록)의 개시 및 끝에서 원하는 블록 프로파일을 얻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균일한 높이는 블록의 선단을 향하고, 본 발명의 의한 장치는 출발 보드(7)와 정지 보드(8) 및 이들 보드(7 및 8)의 이동을 기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조절 수단은 반응혼합물의 배출 장소의 근처(통(6)의 근처)의 이송기 수단(1)에 가로로 제조 실행의 개시에서 출발 보드(7)를 위치화 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출발 보드를 위치화하는 수단은 완전히 기계적이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제조 실행의 개시 이후 조작자의 수동 조작이 필요할 수 있고, 해독한 가스의 어떤 발생은 그때까지 없으므로, 조작자가 어떠한 위험 없이 발포 형성 기계를 진입할 수 있다.
조절 수단은 출발 보드(7)가 제1단계에서, 이송기 수단(1)위에 움직이는 반응 혼합물을 방해하고, 그것의 속도가 제2단계에서, 이송기 수단(1)의 속도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이송기 수단(1)을 따라 출발 보드(7)를 움직이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단계 동안, 반응혼합물은 제조된 슬래브스톡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앞 부분의 높이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더욱 상세하게는 이 앞 부분이 충분한 오름 팽창 후, 결과 부분과 같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출발 보드에 의해 축적된다.
출발 보드(7)는 이송기 수단(1)보다 작아진 속도로 이동함에 이해서 발포 형성 반응혼합물을 방해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출발 보드(7)는 상기 제1단계 동안 휴지(休止) 위치로 유지된다. 제2단계에서 여기서 출발 보드(7)는 이송기수단(7)과 동일한 속도로 움직이고, 이어서 발포 형성 반응 혼합물이 출발 보드(7)에 대하여 예정된 높이를 도달하는 것으로 출발된다. 이 순간은 결정될 수 있으므로, 제조 실행의 출발은 동일한 방법으로 각 시간이 반복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예정된 높이는 반응혼합물의 발포 형성 특성에 기초하여 또한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송기수단(1)의 이동은 출발 보드(7)의 이동과 함께 동시에 출발된다.
효과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출발 보드 위치화 수단은 반응혼합물의 배출 위치(통(6)의 가장자리 등)로부터 3m의 거리 내에서 출발 보드(7)에 대해 적용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출발 보드(7)는 배출 위치로부터 1.5m내의 거리 및 특히, 0.5m의 거리 내에서 위치화 된다. 이 방법에서, 반응 혼합물은 원하는 높이를 얻기 위하여 출발 보드(7)의 수단에 의하여 충분하게 축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제조된 발포재가 충분하게 그것의 모양을 유지한 후 또는 달리 충분한 치수 안정성을 갖은 후, 이송기 수단(1)으로부터 출발 보드(7)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이 추가로 이루어진다.
출발 보드를 제거하는 수단은 특히 발포재의 주행 방향중 출발 보드(7)를 가속하기 위한 수단, 및 발포재의 앞면과 출발 보드 사이에 충분한 갭이 일어난 후 출발 보드(7)를 들어올리기(lifting)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제조 실행의 끝에서, 정지 보드(8)는 정지 보드 위치화 수단의 수단에 의해 반응 혼합물의 배출 장소 근처에 이송기 수단 위에 가로로 위치된다. 이들 수단은 특히, 반응 혼합물의 배출 위치로부터 0.5m의 거리 내에서 정지 보드 위치에 적용된다. 이 방법에서, 반응 혼합물의 최종 위치는 제조된 발포재 블록의 끝 또는 꼬리 부분의 높이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이송기 수단 위에 앞으로 향해 밀게 될 수 있다. 이 끝에 대하여, 상기 장치는 이송기수단(1)의 속도보다 높은 속도에서 이송기 수단을 따라 정지보드(8)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인 경사진 발포재 기계에서, 이송기 수단은 반응혼합물의 배출이 정되하는 순간에 정지될 수 있다. 막스폼 기계에서, 이송기 수단의 이동은 반응혼합물의 마지막 부분이 제1이송기 벨트(3)까지 운송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 정지된다.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은 장치에서, 출발 보드(7)는 제1 변화 가능한 속도 모터(12)의 수단에 의해 제1오버헤드트랙(11)위를 움직이는 것이 가능한 운송기(10)에 제1링크 암(9)의 수단에 의해 연결된다. 제1오버헤드트랙(11)은 직선이고, 실질적으로 이송기수단(1)의 길이 방향으로 실행한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변형 구현예에서, 이 오버헤드트랙(11)은 실질적으로 이송기수단(1)에 평행하게 될 수 있고, 또한 출발 보드가 이송기수단(1)위에 움직이게 되는 경우, 출발 보드(7) 및 제1운송기(10)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 및 하방향으로 이동을 격는 방식으로, 낙하-플레이트(2)위에 평행하게 될 수 있다. 제1 링크 암(9)의 방향으로 측정된, 이송기수단(1)과 제1오버헤드트랙(11)사이의 가능한 거리차의 경우에 보정하기 위하여, 이 링크 암(9)은 운송기(10) 및 출발 보드(7) 모두에 힌지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발포기가 폐쇄로 닫혀질 경우(예를 들면, 동일 출원인의 PCT-특허출원번호 PCT/EP91/0217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발포 공정 동안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1오버헤드트랙(11)은 발포기의 높이가 그것의 전체 길이위에 동일하게 되도록 직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또한 제1링크 암은 제1 운송기(10) 및 출발 보드(7)에 힌지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낙하-플레이트(2)위를 움직이는 경우, 출발 보드(7)의 속도가 이 낙하-플레이트(2)위를 또한 이동하는 바닥 시트(4)의 속도에 비해 너무 높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것의 상부 힌지 축(13) 둘레의 제1링크 암(9)의 시계 반대 방향 회전으로 인하여, 제1링크 암(9)과 제1트랙(11)의 사이의 각도(α)는 낙하-플레이트(2) 위의 하방향 이동동안,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것은 제1링크 암(9)이 제1 운송기(9) 및 출발 보드(7) 모두에 슬라이드식으로 연결되는 사실에 의해 제1도에 나타낸 구현예로 실행된다.
링크 암(9)과 운송기(10) 사이의 슬라이드식 연결은 실질적으로 출발 보드(7)의 상- 및 하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슬라이드식 연결은 출발 보드(7)의 하방향 속도 성분을 위한 보정에 의해 움직이는 바닥 시트(4)의 속도에 한층 더 양호한 출발 보드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어느 정도 더 낙하-플레이트(2) 위에 출발보드(7)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어는 정도 경사진 것을 실행한다. 출발 보드(7)와 바닥시트(4)사이에 속도 차이를 최소화함에 의해서, 이 바닥 시트 손상의 위험은 상당히 감소된다.
바닥 시트(4) 손상의 위험을 더욱 제한하기 위하여, 수단은 바닥 시트(4)위에 출발 보드(7)의 압력을 감소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운송기(10)와 슬라이드식 연결의 링크 암(9)을 잡아당기기 위하여 평형추를 사용함에 의해서 또는 링크 암(9)에 상 방향 힘을 가하는 이 연결에서 일정한 유압을 제공함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다. 이어서, 링크 암(9)은 출발 보드(7)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유사한 수단이 출발 보드(7)하에 상 방향의 힘을 기울이기 위하여 출발 보드(7) 및 링크 암(9) 사이에 슬라이드식 연결로 제공될 수 있다.
제1도에 나타낸 구현예에서, 링크 암(9)은 운송기에서 슬라이드식 부재(14)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링크 암(9)의 하방향 회전은 제1도의 링크 암의 위치(I 및 II)에서 각도(α)로 한정된다.
위치(II)에서, 발포재는 그것의 오름이 완성되었고, 충분하게 안정된다. 이어서, 모터(12)는 갭이 발포재 블록의 앞면과 출발 보드(7)의 사이에서 일어나도록 가속화된다. 이송기수단(1)으로부터 출발 보드(7)를 옮기기 위한 수단은 그들이 이 돌출부(15)를 통과하는 것으로 기계적으로 링크 암(9)과 출발 보드(7)를 들어 올리는 돌출부(15)로 이루어진다. 제1도의 장치의 평면도인 제2도는 돌출부(15)가 오버헤드트랙(11)에 고정되고, 링크암(9)이 이 돌출부(15)에 의해서 양쪽을 올리는 평행한 두 암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다. 기계적인 들어올림(lifting) 수단 대신에 이용은 예를 들면 유압 들어올림 수단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것도 또한 분명하다.
제3도는 제1도에 나타낸, 그러나, 운송기(10)에 수직적인 링크 암(9)이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진 장치의 출발 보드(7)를 큰 비율로 나타낸다. 실제로, 링크 암(9)은 오버헤드트랙(11) 및 운송기(10)와 같은 별개의 성분을 위한 유용한 공간 위에 주로 의존하는 다른 각도하에 배치될 수 있다. 출발 보드(7)는 바닥시트(4)를 손상하는 위험을 더욱 감소시키도록 이송기수단(1) 위에 감기 위한 롤러(16)로 이루어진다. 이 롤러(16)로부터 떨어진 발포 형성 반응혼합물을 유지하기 위하여, 하부 플랩(17)은 출발 보드(7)의 기초부(18)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3도에 나타낸 출발 보드(7)는 상기 기초부(18)에 힌지식으로 또한 연결되고, 스프링(20)의 수단에 의해 그것의 직립 위치에서 유지되는 상부 플랩(19)이 추가로 이루어진다. 이 방식에서, 상부플랩(19)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것이 어떤 수직 장해물에 닿는 경우, 예를 들면 발포 형성기가 좁은 폐쇄에서 닫히게 되는 경우, 아래로 밀리게 될 수 있다.
제5도 및 제6도는 정지 보드(8)와 제조 실행의 끝에서 이송기수단(1)을 따라 이 정지 보드(8)를 움직이기 위한 메카니즘을 나타낸다. 이것은 제6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정지 보드(8)는 동시에 이동 가능한 두 판넬(21,22)로 이루어지고, 폭 변화를 허용하기 위하여 서로 부분적으로 오버랩 된다. 판넬(21,22)은 각각 크랭크 된 암(25 및 26)의 수단에 의해 각각 분리 운송기(23 및 24)에 힌지식으로 각각 연결된다. 각 운송기(23 및 24)는 제2변화 가능한 속도 모터(29)의 수단에 의해 각각 분리 오버헤드트랙(27 및 28)위를 이동한다. 오버헤드트랙(27 및 28)은 발포재폭이 변형되도록, 브라켓(32 및 33)의 수단에 의해 낙하-플레이트의 측벽(30 및 31)에 각각 연결되고, 정지보드(8)는 정확한 폭으로 자동적으로 고정된다.
이송기수단(1)에 정지보드(8)를 위치화 하기 위한 수단은 제5도에 나타낸 휴지(休止) 위치(I)중 정지보드(8)를 유지하는 멈춤 장치(34)로 이루어진다. 위치(II)로 정지 보드(8)를 움직임에 의해서, 낙하-플레이트(2)로 자동적으로 낮아진다. 그것이 위치(III)로 이동하는 동안, 원하는 끝 블록 프로파일을 얻기 위하여 이것이 낙하-플레이트(2)위를 움직이는 동안 앞으로 발포 형성 반응 혼합물을 앞으로 밀게된다.
정지 보드(8)에서와 같이, 출발 보드(7)는 출발 보드의 자동적인 폭 조정을 허용하기 위하여 동시에 이동 가능한 두 판넬로 또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자동적인 조절 없이, 출발 보드의 폭은 출발 보드의 재배치에 의해서 제조되게 발포재의 폭에 적용되어진다.
자동적인 폭 조정은 중심부를 이루는 출발보드 및/또는 정지 보드, 중심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사이드플랩 및 측벽(30,31)을 향하여 사이드플랩을 강요하는 수단을 사용함에 의해서 또한 가능하다. 이들 강요하는 수단은 예를 들면, 이용이 탄력 있는 사이드플랩으로 만들어지는 사실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이들은 스프링 또는 다른 탄성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심부 자신은 예를 들면 동시에 이동 가능한 두 판넬(21,22)의 별개의 기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록 상기 설명에서, 출발 보드(7) 및 정지 보드(8)로 언급되었지만, 또한 이들 보드의 기능은 단일 및 동일한 보드(7,8)에 의해 가능하게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는 제7도 및 제8도에 나타난다. 이 구현예에서, 보드(7,8)는 운송기(10)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암(9)에 고정된다. 제조 실행의 개시에서, 보드(7,8)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기수단(1)에 위치(II)로 휴지 위치(I)로부터 낮아진다.
제8도는 제3위치(III)에서 보드(7,8)를 나타내고, 여기서 이것은 제1바닥 이송기(3)의 끝위로 들어올린다. 이 위치로부터, 보드(7,8)는 통(6)근처에 이송기 수단(1)의 개시에 되돌아 모터(12)의 수단에 의해 오버헤드트랙(11)을 따라 움직이게 되고, 위치(I)에서 위치(II)까지 제조 실행의 끝에서 다시 거기로 낮아지게 된다. 이어서 보드(7,8)는 제조된 슬래브스톡 발포재의 끝 부분의 높이를 증가하도록 앞으로 반응혼합물을 밀기 위하여 이송기수단(1)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이 구현예에서, 보드(7,8)를 낮추고, 들어올리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면, 제7도 및 제8도에는 나타내지 않은 유압의 수단이 있다.
제조 실행을 출발하기 이전에 바닥 시트(4)는 공급 굴대(36)로부터 풀리게 되고, 낙하-플레이트(2) 및 제1 바닥 이송기(3)위에 적용되고, 되감김굴대(37)에 고정된다. 측면 시트(38)는 공급 굴대(39)로부터 풀리게 되고, 측면 이송기(40 및 41)와 측면 되감김 굴대(42)에 이중 접착 테이프의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바닥 시트(4)의 측면부 측면은 측면 시트(38)에 대해 약간 윗방향으로 접혀진다.
제조 실행의 개시에서, 되감김 굴대(37)는 낙하-플레이트(2) 위에 발포재 블록의 앞면 부분을 잡아 당기도록 바닥 시트(4)에 큰 힘을 가한다. 바닥 시트(4)의 상당한 길이로, 예를 들면 약 30m의 길이로 인하여, 이 바닥시트는 이송기 수단의 전체 표면을 덮지 않도록, 측면부로 접촉할 수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조 실행의 개시에서 제1 바닥 이송기(3)에 낙하-플레이트(2) 근처의 바닥 시트(4)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안한다.
제1구현예에서, 이들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은 표면을 갖는 편평한 추로 이루어지고, 이것은 제1 바닥 이송기(3)의 끝과 되감김 굴대(37)의 사이에 갭 내에서 낙하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수단은 그것이 상기 갭을 도달하는 것과 같이 추 올림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고정시키는 수단은 제1 바닥 이송기(3)에 설치된 핀(43)의 가로 열로 이루어지고, 이 바닥 이송기(3)의 제1회전 동안 이들 핀은 자동적으로 수축된다. 이들 수축되는 수단은 바닥 시트(4)가 바닥 이송기(3)의 끝에서 핀으로부터 자유롭게 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메카니즘을 제9도 및 제10도에 나타냈다. 바닥 이송기(3)는 이들이 이송기(3)의 작동 스프로켓(44) 둘레로 구부릴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일련의 가로 바닥 슬래이트로 만들어진다. 제9도 및 제10도는 편평한 위치에서와 위치에서 각각 인접 바닥 두 슬래이트(45 및 46)를 나타내고, 여기서, 두 개의 슬래이트는 스프로켓(44)둘레로 구부러진다.
핀(43)의 열은 핀(43)이 수축된 위치에서 회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슬래이트(46)에 고정된 가로 축(47)에 회전 가능하게 세워지고, 여기서 이들은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뒷방향 위로 돌아가게 되는 위치에 이송기의 표면 아래로 회전된다. 스프링이 수축된 위치로 핀(43)을 가하도록 제공되지만,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다. 이들 스프링은 슬래이트(46)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편평한 샤프트(47)에서 각 핀(43) 또는 샤프트(47)하에 직접 작용할 수 있다.
바닥 시트(4)로 잡아당기는 경우, 뒤 방향 돌림으로부터 핀(43)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레버(48)가 샤프트(43)에 세워지고, 더욱 상세하게는 핀(43)에 세워지고, 레버(48)의 회전은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한 슬래이트(45)에 고정 장치(49)의 수단에 의해 편평한 위치로 제한된다. 핀이 이송기(3)의 끝에 도달하는 경우, 이들은 바닥 시트(4)를 해제하게 된다. 제10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바닥 시트(4)의 해제는 핀(43)의 뒷방향 회전에 의해서 보장된다. 뒷방향 회전은 레버(48)가 슬래이트(45)에 고정장치(49)를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이들이 스프로켓(44) 둘레를 구부리는 경우, 양 슬래이트(45 및 46) 사이의 증가된 거리로 인해 가능하게 된다. 바닥 시트(4)가 해제될 경우, 스프링은 수축된 위치로 되돌아 핀(43)을 돌린다. 이 위치에서 이들은 이송기의 표면 아래의 컷-아웃(50)에 놓인다. 이송기(3)의 추가 회전동안, 이들은 다음 제조 실행의 개시에서 새로운 바닥 시트(4)를 고정하도록 동시에 들어올릴 때까지 이 위치로 유지한다.
본 발명이 상기에 기재된 구현예로 제한되지 않고, 이들 구현예는 본 특허 출원의 범위 내에서 많은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 명확하다.
우선 첫째로, 출발 보드 및 그것의 조절 수단은 제조된 슬래브스톡 발포재의 출발 프로파일 뿐만 아니라 끝 프로파일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고안될 수 있다.
또한, 이용은 출발 보드 및 정지 보드 모두를 위한 단일 및 동일한 오버 헤드 트랙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출발 보드 및/또는 정지 보드의 폭을 조절하기 위하여, 이들은 두 개의 별개의 대체 가능한 오버 헤드 트랙에 이들 판넬을 연결함에 의해서, 서로 함께 또는 정지 보드에 관한 상기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유압식으로 대체시킬 수 있는 부분적으로 오버래핑되는 두 판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출발 및/또는 정지 보드의 폭은 예를 들면, 스프링의 수단에 의해 측벽에 또는 측면 이송기에 반대로 밀게 되는 힌지 사이드플랩의 수단에 의해 또한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사이드플랩은 다른 폭 조절 수단과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고, 이 경우 이들은 다른 폭 조절 수단의 보다작은 정확한 조절이 요구되도록 정확한 폭 조절을 위해 제공된다.
정지 보드와 같은 것은 또한 출발 보드가 두 개의 분리 오버 헤드 트랙에, 선택적으로 정지보드와 같이 동일한 오버 헤드 트랙에 연결되는 두 판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송기 수단, 송풍제를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반응 성분을 혼합하기 위한 혼합 헤드, 상기 이송기 수단에 상기 반응혼합물을 배출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이송기 수단을 가동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슬래브스톡(slabstock)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연속적인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실제로 통상 사용은 경사진 이송기 기계, 평면 블록(planiblock)이 있거나 또는 없는, 막스폼(maxfoam) 및 베리막스(varimax)기계를 포함하는 연속적인 발포 형성기의 각 타입으로 만들어진다. 이들 공지된 연속적인 발포재 제조기의 문제점은 슬래브스톡 발포재의 유용한 앞과 끝 부분을 얻기 위하여 발포재 제조 실행의 개시에서와 그들의 끝에서 수동조작이 요구되는 것이다. 조작자의 수동 간섭 없이, 제조 실행의 처음 및 마지막 발포재 부분의 모두가 발포재의 여러 계량의 손실을 일으키는 슬래브스톡 발포재의 각각의 선단으로 서서히 기울어져야 된다.
공지된 기계에서, 조작자는 예를 들면, 그들이 첫 번째 이송기에 서있는 동안, 반응 혼합물의 첫 번째 부분을 유지하기 위하여 긴 똘(pole)의 끝에서 고정된 보드(board)를 사용한다. 이송기가 실행을 시작하는 것으로, 발포형성 반응 혼합물을 유지하는 출발 보드는 또한 이송기 수단 위로 움직인다. 제조 실행의 끝에서, 조작자는 원하는 높이의 끝부분을 얻기 위하여 앞으로 향하는 반응 혼합물의 마지막 부분을 밀어낸다.
공지된 장치의 드로우백(drawback)은 어떤 경우 조작자가 원하는 발포재 프로파일(profile)을 실현하기 위하여 제조 실행의 출발 및 끝에서 발포형성기에 진입하여야만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발포 형성 공정 동안 유독한 가스의 제조로 인하여 그들의 건강에 위험 및 해롭게 될 수 있는 것이 분명하다.
더욱이, 얻어진 발포재 프로파일은 조작자의 숙련도 및 경험에 의존한다. 실제로, 조작자는 발포재 높이의 직접적인 조절을 갖지 않지만, 발포 형성 반응 혼합물의 수동 조정의 효과는 일정한 시간 후, 더욱 상세하게는 그것의 최종 높이를 도달하도록 발포재에 의해 요구된 시간 후 보이게 될 수 있다. 더욱이, 반응 혼합물의 오름 공정은 그것의 조성물에 의존하고, 더욱 상세하게는 그것의 송풍제 함량에 의존하게되면, 즉 이 조성물은 원하는 발포재 프로파일을 얻기 위하여 반응혼합물을 조정하는 경우에 가치가 있는 것으로 취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자를 발포 형성기에 진입하도록 하는 요구 없이 제조 실행의 개시 및 끝에서 발포재 프로파일의 조절이 가능하고, 발포재 블록의 출발 및 끝 프로파일을 최적화하는 슬래브스톡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연속적인 제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추가로 출발 보드 및 정지 보드, 제조 실행의 개시에서 상기 반응 혼합물의 배출의 장소 근처의 상기 이송기 수단 위에 가로로 상기 출발 보드를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 출발 보드가 제1단계에서, 제조된 슬래브스톡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앞 부분의 높이를 증가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 앞 부분이 실질적으로 충분한 오름 팽창 후 후속 부분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하는 상기 이송기 수단 위를 이동하는 반응혼합물을 방해하는 방식, 및 제 2단계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이송기 수단과 동일한 속도로 움직이는 방식으로 상기 이송기 수단을 따라 출발 보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 제조된 발포재의 앞 부분이 충분하게 그것의 모양을 유지한후 상기 이송기 수단으로부터 출발 보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 반응 혼합물 배출이 정지된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의 배출장소 근처의 상기 이송기 수단 위에 가로로 상기 정지 보드를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 제조된 슬래브스톡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끝 부분의 높이를 증가시키도록, 더욱 상세하게는 이 끝 부분이 충분한 오름 팽창 후 실질적으로 이전 부분과 동일한 높이를 갖게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이송기 수단에 비교해 발포 형성 반응혼합물을 앞으로 밀기 위하여 상기 정지 보드의 위치화 후 상기 이송기 수단을 따라 정지 보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정의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수단은 이들 프로파일이 조작자의 어떠한 수동 조정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제조된 발포재 블록의 출발 및 끝 프로파일의 기계적인 조절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계적인 조절의 중요한 장점은 완전하게 폐쇄된 발포재 제조기에서 예를 들면, 동일 출원인의 PCT 출원번호 PCT/EP91/02176호에 기재된 기계중 출발과 끝 프로파일의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출발 보드를 이동시키는 수단은 상기 제1단계에서, 휴지(休止) 위치에서 출발 보드를 유지하고, 발포 형성 반응 혼합물이 출발 보드에 대해 예정된 높이로 도달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이송기 수단과 동일한 속도에서, 출발 보드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출발하는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특별한 구현예에서, 상기 정지 보드를 위치화 하는 수단은 반응 혼합물의 배출의 위치로부터 3m의 거리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0.5m의 거리 내에서 상기 정지 보드 위치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특별한 구현예에서, 상기 출발 보드 위치화 수단은 배출 위치로부터 3m의 거리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1.5m의 거리 내에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5m의 거리 내에서 상기 정지 보드 위치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상세하고 및 유리한 점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스톡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연속적인 제조를 위한 장치의 어떤 구현예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나타나게 된다. 이 설명은 서술적인 실시예의 방식으로 나타낼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 설명에서 사용된 참조 부호는 별지 도면에 관한 것이다.

Claims (26)

  1. 이송기 수단(1), 송풍제를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반응 성분을 혼합하기 위한 혼합 헤드(51), 상기 이송기 수단에 상기 반응혼합물을 배출하기 위한 수단(6) 및 상기 이송기 수단을 가동하기 위한 수단(44)으로 이루어지는 슬래브스톡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연속적인 제조 장치에 있어서, 추가로 출발 보드(7) 및 정지보드(8), 제조실행의 개시에서 상기 반응 혼합물의 배출의 장소 근처의 상기 이송기 수단(1)에 가로로 상기 출발 보드를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 출발 보드가 제1단계에서, 제조된 슬래브스톡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앞 부분의 높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이송기 수단(1)위를 움직이는 반응혼합물을 방해하는 방식 및 제2단계에서, 상기 이송기수단(1)과 같은 동일한 속도에서 움직이는 방식으로 상기 이송기 수단(1)을 따라 출발 보드(7)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 제조된 발포재의 앞 부분이 충분하게 그것의 모양을 유지한 후, 상기 이송기 수단(1)으로부터 출발 보드(7)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 반응 혼합물 배출이 정지된후 상기 반응 혼합물의 배출 장소 근처의 상기 이송기 수단(1)에 가로로 정지 보드(8)를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 제조된 슬래브스톡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끝부분의 높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이송기 수단(1)에 비해 앞으로 발포 형성 반응혼합물을 밀기 위하여 상기 정지 보드(8)의 위치화 후, 상기 이송기 수단을 따라 정지 보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 보드를 움직이는 수단은 발포 형성 반응 혼합물이 출발 보드(7)에 대해 예정된 높이에 도달하는 경우, 제1단계에서, 휴지 위치에 출발 보드(7)를 유지하고, 상기 이송기 수단(1)과 같은 동일한 속도에서 출발 보드(7)를 움직이기 위하여 출발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출발 보드(7)가 상기 이송기 수단(1)을 따라 움직이게 출발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이송기 작동 수단(44)을 움직이게 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출발 보드를 움직이는 수단은 발포재의 주행 방향으로 출발 보드(7)를 가속화하기 위한 수단 및 충분한 갭이 발포재의 앞면과 출발 보드 사이에 일어난 후 출발 보드(7)를 들어올리기 위한 수단(1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보드 위치화 수단은 반응 혼합물의 배출 위치로부터 3m 거리내에 상기 정지보드(8)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출발 보드 위치화 수단은 배출 위치로부터 3m 거리 내에 상기 출발 보드(7)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 보드 위치화 수단 및 상기 출발 보드 움직임 수단은 이송기 수단(1)의 길이 방향으로 실행하는 제1 오버 헤드 트랙(11), 상기 제1트랙(11)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 운송기(10), 상기 출발 보드(7)에 상기 제1운송기(10)와 함께 연결되는 제1링크 암(9)으로 상기 제1트랙(11)을 따라 상기 제1운송기(10)를 이동하는 제1변화 가능한 속도 모터(12) 및 이송기 수단에 상기 제1링크암(9)의 수단에 의해 출발 보드(7)를 낮추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 암(9)은 출발 보드가 상기 이송기 수단(1)위를 움직이는 경우, 상기 슬라이드식 연결이 상기 제1 오버헤드트랙(11)과 상기 이송기 수단(1) 사이의 서로의 거리차를 보정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운송기(10), 상기 출발 보드(7) 또는 양자 모두에 슬라이드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 수단(1)은 낙하-플레이트(2) 및 제1바닥 이송기(3)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드식 연결은 낙하-플레이트(2)위에 출발 보드(7)의 하방향 운동으로 인하여 낙하-플레이트(2)에 출발보드(7)와 움직이는 이송기 수단(1) 사이의 속도 차이를 가능한 최소화 하는 것과 같은 방향으로, 이 출발 보드가 낙하-플레이트(2) 위를 움직이는 경우, 출발 보드(7)의 상- 및 하방향 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이송기 수단(1) 위에 출발 보드(7)의 압력을 감소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보드(7)는 상기 이송기 수단(1) 위에 감기 위한 롤러(16)와 출발보드(7)의 수평축으로 힌지된 하부플랩(1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16)와 발포 형성 반응 혼합물 사이의 경사진 이송기 수단(1)을 접촉하는 것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 보드(7)는 방해물과 충돌하는 경우 접어 내릴 수 있도록 출발 보드(17)의 기초부(18)에 연결되는 상부플랩(19)과 그것의 직립된 위치에 상기 상부 플랩(19)을 가하는 탄력 수단(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보드(8)는 제조된 발포재의 폭에 그들의 폭을 자동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보드(8)는 상호 이동 가능한 두 판넬(21,22)과 제조된 발포재의 폭에 각기 보드의 폭을 조절하기 위하여 이들 판넬(21,22)을 동시에 이동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한 판넬(21,22)은 서로 부분적으로 오버랩 되고, 이송기 수단(1)의 길이 방향으로 오버 헤드 트랙(27,28)위에 이동 가능한 운송기(23,24)에 분리 링크 암(25,26)의 수단에 의해 각각 고정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두 링크 암(25,26)의 사이에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폭 조절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보드(8)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두 사이드플랩 및 제조된 발포재의 폭에 자동적으로 각각의 보드의 폭을 조절하기 위하여 측 벽면(30,31)을 향하여 상기 사이드플랩을 가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 보드(7) 및 상기 정지 보드(8)는 단일 및 동일한 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낙하-플레이트(2), 상기 낙하-플레이트(2)에 이어지는 제1 이송기(3) 및 제조실행을 출발하기 이전에 제1이송기(3)에 낙하-플레이트(2) 근처의 상기 낙하-플레이트(2) 및 상기 제1 이송기(3)위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바닥-시트(4)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화 수단은 상기 제1 바닥 이송기에 세워진 핀(43)의 가로 열과 제1이송기(3)의 제1회전 동안 이들 핀(43)을 자동적으로 수축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기(3)는 서로 힌지식으로 연결된 일련의 가로 슬래이트로 만들어지고, 상기 핀(43)의 열은 이들 두 슬래이트(45,46)의 힌지축 외부에, 인접한 두 슬래이트(46)의 하나에 고정된 가로 샤프트(47)위에 회전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수축 수단은 위치에서 핀(43)을 강요하기 위한 스프링 수단, 여기서 이들은 수축된 위치에 상기 두 슬래이트(45,46)사이의 컷-아웃트를 통해 설계되고, 상기 핀(43)에 관한 고정된 각도에서 상기 샤프트(48)에 세워지게 되는 하나의 레버(48)와 상기 레버(48)의 길이보다 긴 길이가 상기 샤프트(47) 및 상기 고정장치(49) 사이에 얻어지게 되도록 상기 두 슬래이트(45,46)가 제1이송기(3)의 스프로켓(44) 둘레를 구부리는 경우, 상기 두 슬래이트(45,46)가 상기 레버(48)의 회전을 제한함에 의해서 동일한 평면을 가지지만, 설계한 핀(43)의 위에 뒷 방향으로 도는 것을 허용하는 경우 상기 고정 장치(49)가 설계된 핀(43)의 위에 뒷방향으로 도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인접한 두 슬래이트(45,46)의 반대 슬래이트(45)에 상기 레버(48)를 위해 제공되는 상기 핀(4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제조된 슬래브스톡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앞 부분의 높이는 충분한 오름 팽창 후 후속 부분과 같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제조된 슬래브스톡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끝 부분의 높이는 충분한 오름 팽창 후 이전 부분과 같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보드 위치화 수단은 반응혼합물의 배출 위치로부터 0.5m 거리 내에 상기 정지보드(8)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6항에 있어서, 출발 보드 위치화 수단은 배출 위치로부터 1.5m 거리 내에 상기 출발 보드(7)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6항에 있어서, 출발 보드 위치화 수단은 배출 위치로부터 0.5m 거리내에 상기 출발 보드(7)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하나의 운송기(23,24) 및 상기 두판넬(21,22)의 각각을 위한 하나의 오버 헤드 트랙(27,28)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버 헤드 트랙의 각각은 상기 이송기 수단(1)의 제1부분을 따라 가로로 조절 가능한 두 측벽면(30,31)의 하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40704348A 1992-06-01 1992-06-01 슬래브스톡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연속적인 제조 장치 KR1001965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BE1992/000024 WO1993024304A1 (en) 1992-06-01 1992-06-01 Device for the continuous manufacture of slabstock polyurethane fo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1861A KR950701861A (ko) 1995-05-17
KR100196557B1 true KR100196557B1 (ko) 1999-06-15

Family

ID=66649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4348A KR100196557B1 (ko) 1992-06-01 1992-06-01 슬래브스톡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연속적인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196557B1 (ko)
MY (1) MY108960A (ko)
UA (1) UA39871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772A (ko) * 2000-11-08 2002-05-15 브루문트 슬라브스톡 폼 연속 생산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772A (ko) * 2000-11-08 2002-05-15 브루문트 슬라브스톡 폼 연속 생산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08960A (en) 1996-11-30
UA39871C2 (uk) 2001-07-16
KR950701861A (ko) 199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47178B1 (en) Device for the continuous manufacture of slabstock polyurethane foam
US6848563B2 (en) U-shaped accumulator device with endless belts
EP0714327A1 (en) Apparatus for forming profiles on strip materials
EP0559302B1 (en) Conveyor
KR100196557B1 (ko) 슬래브스톡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연속적인 제조 장치
GB2075955A (en) Feeding folded and flattened cartons to a packaging machine
US4853166A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compound block members, especially building blocks having a heat insulating intermediate layer
US3000154A (en) Panning mechanism for bread molder
US4029197A (en) Apparatus for handling cigarettes or other rod-like articles
US3055659A (en) Sheet piler for handling odd shaped materials
KR102469360B1 (ko) 코일 파이프 컷팅장치
JPS5935464Y2 (ja) 単材搬出装置
EP1260468B1 (en) Dispenser
LT3143B (en) Device for the continuous manufacture of slabstock polyurethane foam
CA1108659A (en) Aligner for aligning sheets in a stack formed at the stacker end of a stacker conveyor
US3269244A (en) Device for feeding, cutting and dropping a measured length of cushioning material
US3111311A (en) Sheet conveyor for handling odd shaped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