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5448A - 진주 광택 안료의 안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진주 광택 안료의 안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5448A
KR20020035448A KR1020010068502A KR20010068502A KR20020035448A KR 20020035448 A KR20020035448 A KR 20020035448A KR 1020010068502 A KR1020010068502 A KR 1020010068502A KR 20010068502 A KR20010068502 A KR 20010068502A KR 20020035448 A KR20020035448 A KR 20020035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oxide
pigment
oxides
pig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6480B1 (ko
Inventor
글라우쉬랄프
예켈마리타
Original Assignee
플레믹 크리스티안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66231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3544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플레믹 크리스티안,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플레믹 크리스티안
Publication of KR20020035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4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15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2Ingredients treated with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2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two dimensions, e.g. plate-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80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 C01P2004/82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two phases having the same anion, e.g. both oxidic phases
    • C01P2004/84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two phases having the same anion, e.g. both oxidic phases one phase coated with the o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00/00Compositional and structural details of 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 C09C2200/10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 C09C2200/102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the core consisting of glass or silicate material like mica or clays, e.g.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00/00Compositional and structural details of 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 C09C2200/40Interference pigments comprising an outermost surface coating
    • C09C2200/402Organic protective coating
    • C09C2200/407Organosilicon materials, e.g. silanes, silic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00/00Compositional and structural details of 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 C09C2200/40Interference pigments comprising an outermost surface coating
    • C09C2200/402Organic protective coating
    • C09C2200/407Organosilicon materials, e.g. silanes, silicones
    • C09C2200/408Organosilicon materials, e.g. silanes, silicones comprising additional functional groups, e.g. –NH2, -C=C- or -SO3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00/00Compositional and structural details of 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 C09C2200/40Interference pigments comprising an outermost surface coating
    • C09C2200/409Mixed inorganic-organic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20/00Methods of preparing the interference pigments
    • C09C2220/10Wet methods, e.g. co-precipitation
    • C09C2220/103Wet methods, e.g. co-precipitation comprising a drying or calcination step after applying each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20/00Methods of preparing the interference pigments
    • C09C2220/10Wet methods, e.g. co-precipitation
    • C09C2220/106Wet methods, e.g. co-precipitation comprising only a drying or calcination step of the finally coated pig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판형 기재로 이루어진 내부의 제 1 층; 하나 이상의 금속 옥사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층과 함께 하소된 베이스 안료를 형성하는 제 2 층; 상기 제 2 층의 옥사이드에 상응하는 미하소 옥사이드,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옥사이드 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는 제 3 층; 규소 또는 알루미늄의 옥사이드, 하이드레이트 및/또는 옥사이드 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는 제 4 층; 규소, 알루미늄, 지르코늄 및/또는 세륨의 옥사이드, 하이드록사이드 및/또는 옥사이드 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층과는 상이한 제 5 층; 및 하나 이상의 오가노작용성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제 6 층을 갖는 진주 광택 안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안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안료의 페인트, 잉크, 플라스틱, 피복물 및 화장품에서의 용도가 기술된다.

Description

진주 광택 안료의 안정화 방법{STABILIZATION OF PEARL LUSTRE PIGMENTS}
본 발명은 후피복된 진주 광택 안료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안료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EP 0 632 109 B1호에는 피복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해 후처리시켜 안정성을 강화시킨 진주 광택 안료가 개시되어 있다.
EP 0 632 109 B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는 진주 광택 안료는 다음의 일반적인 층 순서를 갖는다: 제 1 "층"은 기재, 예컨대 운모에 의해 형성되고, 제 2 층은 금속 옥사이드층, 예컨대 이산화 티탄 또는 산화 철(III)이고, 상기 두 층이 베이스 안료를 형성한다. 하소된 베이스 안료 상에, 공지된 바와 같이 제 3 층으로 시작하는 후피복물을 적용한다. 제 3 층은 규소 또는 알루미늄의 옥사이드, 하이드록사이드 및/또는 옥사이드 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고, 제 4 층은 규소, 알루미늄, 지르코늄 및/또는 세륨의 옥사이드, 하이드록사이드 및/또는 옥사이드 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고 제 3 층과 상이하며, 제 5 층은 오가노작용성 커플링제, 예컨대 실란 또는 지르코늄 알루미네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3 내지 5개의 층이 안정화 후피복됨에도 불구하고, 진주 광택 안료, 특히 운모를 기본으로 하고 제 2 층이 산화철(III)로 피복된 안료는 극한 응력 하에서는 더욱 높은 안료의 안정성을 요구하므로 모든 영역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특히, 제 2 층이 이산화 티탄 또는 다른 금속 옥사이드, 예를 들어 산화 크롬, 이산화 지르코늄, 이산화 주석 또는 산화 아연으로 피복된 운모 기본 진주 광택 안료에서도 유사한 논의가 적용되는데, 즉 여러 경우에 상기 안료가 산화 철(III)-피복된 운모보다 안정하지만, 마찬가지로 제한없이 사용될 수는 없다.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후피복된 진주 광택 안료는 피복 필름에서 배향이 최적이 아니라는 단점을 가지며; 다시 말하면, 광택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필름 피복물에 대한 안료의 평행 정렬 개선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안료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피복 필름 내에서 개선된 배향을 갖는 안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다음의 층 순서를 갖는 안료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소판형 기재로 이루어진 제 1 층;
하나 이상의 금속 옥사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층과 함께 하소된 베이스 안료를 형성하는 제 2 층;
상기 제 2 층의 옥사이드에 상응하는 미하소 옥사이드,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옥사이드 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는 제 3 층;
규소 또는 알루미늄의 옥사이드, 하이드록사이드 및/또는 옥사이드 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는 제 4 층;
규소, 알루미늄, 지르코늄 및/또는 세륨의 옥사이드, 하이드록사이드 및/또는 옥사이드 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층과는 상이한 제 5 층; 및
하나 이상의 오가노작용성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제 6 층.
이 순서에서 제 3 층은 접착촉진제의 기능을 가지며 베이스 안료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중량%를 차지한다.
베이스 안료로 적합한 소판형 기재는 EP 632 109 B1호에 기재된 기재, 예를 들어 운모, 카올린 또는 유리이다. 그러나, 베이스 기재로 특히 바람직한 것은 운모이다.
적합한 제 2 층의 금속 옥사이드는, 예를 들어 산화 철(III) 및/또는 이산화 티탄 또는 다른 금속 옥사이드, 예를 들어 산화 크롬, 이산화 지르코늄, 이산화 주석 또는 산화 아연이고, 또한 옥사이드는 혼합물에 존재할 수 있다. 특히 산화 철(III)-피복된 기재의 경우 EP 632 109 B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는 진주 광택 안료보다 특히 많은 개선이 성취된다.
적합한 커플링제는 EP 632 109 B1호에 개시된 커플링제이다. 이들은 특히실란, 지르코늄 알루미네이트, 지르코네이트 또는 티타네이트를 포함하고, 실란은 바람직하게는 Y-(CH2)n-SiX3의 구조를 갖는데, 여기서 Y는 오가노작용기, 예컨대 아미노, 메타크릴, 비닐 및/또는 에폭시기이고, X는 가수분해 후에 무기 기재의 활성 위치와 반응하거나 축합에 의해 다른 규소 화합물과 반응하는 규소 작용기이다. 해당 기는 예를 들어 알콕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질적으로 친수성인 커플링제 이외에, 소수성 실란, 특히 아릴-, 알킬- 및 플루오로알킬-치환된 디- 및 트리메톡시실란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페네틸트리메톡시실란,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부틸트리메톡시실란, 이소부틸트리메톡시실란, 헥실트리메톡시실란, 옥틸트리메톡시실란, 1H,1H,2H,2H-퍼플루오로데실트리메톡시실란 및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을 포함한다.
또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진주 광택 안료를 수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하나 이상의 금속 옥사이드로 피복된, 하소된 소판형 기재를 물에 현탁시키고, 25 내지 100℃에서,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에서 가열하고, pH를 3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로 조정하고,
(1) 소판형 기재의 금속 옥사이드 피복물의 하소된 금속 옥사이드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수용성 금속염을 첨가하고, 상기 염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옥사이드, 하이드록사이드 및/또는 옥사이드 하이드레이트로서 침착시킨 후 30 내지 100℃에서,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5℃에서 가열하고, pH를 3 내지 9, 바람직하게는 6 내지 7로 조정하는 단계;
(2) 수용성 실리케이트 및/또는 알루미늄염을 첨가하고 이들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옥사이드, 하이드록사이드 및/또는 옥사이드 하이드레이트로서 침착시키는 단계;
(3) 하나 이상의 수용성 실리케이트, 알루미늄염, 세륨염 및/또는 지르코늄염을 pH 3 내지 9, 바람직하게는 6 내지 7에서 첨가함으로써, 상응하는 옥사이드,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옥사이드 하이드레이트(이들은 단계 (2)의 것들과 상이할 것이 요구된다)를 침착시키는 단계; 및
(4) 하나 이상의 유기 커플링제를 첨가하고 이들을 pH 3 내지 9,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에서 침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단계 공정을 준비함으로써 달성된다.
금속 옥사이드로 피복된 하소된 소판형 기재로서는 상기 금속 옥사이드 피복물과 함께 이미 언급된 기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이리오딘(Iriodin, 등록상표)(제조자: 다름스타트 소재의 에. 메르크(E. Merck))이라는 상품명으로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다.
적합한 수용성 실리케이트는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실리케이트이고, 적합한 수용성 알루미늄염, 세륨염 및 지르코늄염은 일반적으로 이들 금속의 모든 수용성 염이지만, 예를 들어 용이하게 수득될 수 있는 할라이드 및 할라이드 하이드레이트가 적당하다.
사용되는 커플링제는 바람직하게는 위에서 언급된 것이다.
본 발명의 후피복 공정은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 1 침전 반응(제 1 단계) 후에 안료를 분리하고 후처리하지 않는 하나의 조작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제 1 단계 후, 즉 접착촉진층을 적용한 후에 안료를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피복된 진주 광택 안료는 특히 예를 들어 인쇄용 잉크와 같은 잉크, 예를 들어 중합체 필름과 같은 플라스틱, 및 예를 들어 페인트와 같은 피복 조성물의 착색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안료는 또한 상기 개선된 특성이 일부의 역할을 하는 다른 영역, 예를 들어 화장품의 착색에 사용된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예시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후처리 공정에 의해 상이한 진주 광택 안료를 후피복하였다.
a) 분리하지 않은 산화 철 안료(반응기에서 제조됨)
이리오딘(등록상표) 504 레드 100g을 탈이온수 900ml에 현탁시키고 격렬히 교반하면서 40℃까지 가열한다.
2.5% NaOH를 사용하여 현탁액의 pH를 9로 조정한다(모든 언급되는 pH값은 적당한 pH 지시지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약 30분동안, 탈이온수 74.64g중의 FeCl318.66g의 용액(3% FeCl3용액에 상응함)을 현탁액에 적가한다. pH를 5분동안 3.2까지 떨어뜨리고, 10%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이 수준으로 유지시킨다. 종말점에 도달하면, 안료 현탁액의 pH를 5.0으로 조정한 후 현탁액을 약 15분동안 교반한다.
그 다음에, 30분동안, 탈이온수 150ml중의 나트륨 실리케이트 2.7ml의 용액(리터당 370g의 SiO2)을 안료 현탁액에 적가한다. 2.5%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첨가가 끝난 후, 40℃에서 15분동안 계속 교반한다. 이후에 10분동안 2.5%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6.5로 조정한 후, 현탁액을 40℃에서 15분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고체 상태의 황산 나트륨 1.35g,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헥사하이드레이트 2.30g 및 세륨(Ⅱ) 클로라이드 헵타하이드레이트 1.10g을 현탁액에 첨가하고, pH를 4.0으로 떨어뜨린다.
이후에, 20분동안 현탁액을 75℃까지 가열하고, 75℃에서 추가로 75분동안 교반하고, pH를 3.3으로 떨어뜨린다.
이후에, 순수한 형태의 다이나실란 암모(Dynasilan AMMO, 휠스(Huls) 제조,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g을 10분동안 첨가하고 상기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첨가가 끝난 후, 75℃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고, 그 동안에 실란은 완전히 가수분해되고 안료 표면과 반응한다.
이후에, 매우 서서히 60분동안 2.5%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시스템의 pH를 8.0으로 조정한다. 이 과정동안, 옥사이드 및/또는 옥사이드 하이드레이트 및 실란을 혼합된 침전물의 형태로 완전히 침착시킨다.
이후에, 75℃에서 1시간동안 후반응을 위해 계속 교반하고, pH를 7.0으로 떨어뜨린다.
생성물을 흡인 여과기로 여과하고, 탈이온수로 세척하여 염을 제거하고, 140℃에서 약 16시간동안 건조시킨다.
b) 분리된 산화 철
이리오딘(등록상표) 504 레드 100g을 탈이온수 900ml에 현탁시키고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40℃까지 가열한다.
2.5% NaOH를 사용하여 현탁액의 pH를 9로 조정한다(모든 언급되는 pH값은 적당한 pH 지시지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약 30분동안, 탈이온수 74.64g중의 FeCl318.66g의 용액(3% FeCl3용액에 상응함)을 현탁액에 적가한다. pH는 5분동안 3.2까지 떨어뜨리고, 10%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이 수준으로 유지시킨다. 종말점에 도달하면, 안료 현탁액의 pH를 5.0으로 조정한 후 현탁액을 약 15분동안 교반한다.
안료를 분리하고(흡인으로 여과함), 약 12ℓ의 탈이온수로 세척하고, 110℃에서 약 16시간동안 건조시킨다.
이렇게 수득된 개질된 안료를 탈이온수 900ml에 현탁시키고, 격렬히 교반하면서 40℃까지 가열하고, 2.5%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9.0으로 조정한다.
이후에, 30분동안, 탈이온수 150ml중의 나트륨 실리케이트(리터당 SiO2370g) 2.7ml의 용액을 안료 현탁액에 적가한다. 2.5%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첨가가 끝난 후, 40℃에서 15분동안 계속 교반한다. 이후에 10분동안 2.5%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6.5로 조정한 후, 현탁액을 40℃에서 15분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고체 상태의 황산 나트륨 1.35g,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헥사하이드레이트 2.30g 및 세륨(Ⅱ) 클로라이드 헵타하이드레이트 1.10g을 현탁액에 첨가하고, pH를 4.0으로 떨어뜨린다.
이후에, 20분동안 현탁액을 75℃까지 가열하고, 75℃에서 추가로 75분동안 교반하고, pH를 3.3으로 떨어뜨린다.
이후에, 순수한 형태의 Z6040(다우 코닝(Dow Corning) 제조, 3-글리시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0g을 10분동안 첨가하고 상기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첨가가 끝난 후에, 75℃에서 2시간동안 교반을 계속하고, 그 동안에 실란은 완전히 가수분해되고 안료 표면과 반응한다.
이후, 매우 서서히 60분동안 2.5%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시스템의 pH를 8.0으로 조정한다. 이 과정동안, 옥사이드 및/또는 옥사이드 하이드레이트 및 실란을 혼합된 침전물의 형태로 완전히 침착시킨다.
이후에, 75℃에서 1시간동안 후반응을 위해 계속 교반하고, pH를 7.0으로 떨어뜨린다.
생성물을 흡인 여과기로 여과하고, 탈이온수로 세척하여 염을 제거하고, 140℃에서 약 16시간동안 건조시킨다.
c) 분리하지 않은 산화 티탄 안료(반응기내에서 제조)
이리오딘(등록상표) 225 금홍석 펄-블루 100g을 탈이온수 900ml에 현탁시키고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40℃까지 가열한다.
2.5% NaOH를 사용하여 현탁액의 pH를 9로 조정한다(모든 언급되는 pH값은 적당한 pH 지시지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약 30분동안, 탈이온수 74.64g중의 TiCl420.54g의 용액을 현탁액에 적가한다. pH는 5분동안 3.2까지 떨어뜨리고, 10%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이 수준으로 유지시킨다. 종말점에 도달하면, 안료 현탁액의 pH를 5.0으로 조정한 후 현탁액을 약 15분동안 교반한다.
이후에, 30분동안, 탈이온수 150ml중의 나트륨 실리케이트(리터당 370g의 SiO2) 2.7ml의 용액을 안료 현탁액에 적가한다. 2.5%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첨가가 끝난 후, 40℃에서 15분동안 계속 교반한다. 이후에 10분동안 2.5%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6.5로 조정한 후, 현탁액을 40℃에서 15분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고체 상태의 황산 나트륨 1.35g,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헥사하이드레이트 2.30g 및 세륨(Ⅱ) 클로라이드 헵타하이드레이트 1.10g을 현탁액에 첨가하고, pH를 4.0으로 떨어뜨린다.
이후에, 20분동안 현탁액을 75℃까지 가열하고, 75℃에서 추가로 75분동안 교반하고, pH를 3.3으로 떨어뜨린다.
이후에, 순수한 형태의 다이나실란 메모(데구사-휠스 제조, 3-메타크릴옥시-트리메톡시실란) 3.0g을 10분동안 첨가하고 상기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첨가가 끝난 후, 75℃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고, 그 동안에 실란은 완전히 가수분해되고 안료 표면과 반응한다.
이후에, 매우 서서히 60분동안 2.5%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시스템의 pH를 8.0으로 조정한다. 이 과정동안, 옥사이드 및/또는 옥사이드 하이드레이트 및 실란을 혼합된 침전물의 형태로 완전히 침착시킨다.
이후에, 75℃에서 1시간동안 후반응을 위해 계속 교반하고, pH를 7.0으로 떨어뜨린다.
생성물을 흡인 여과기로 여과하고, 탈이온수로 세척하여 염을 제거하고, 140℃에서 약 16시간동안 건조시킨다.
내후성 시험 결과
안료 견본 a) 내지 c)를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레이트 결합제를 기제로 하는 수성 피복물 시스템에 혼입하고 시험 견본을 분무 적용에 의해 제조하였다.
견본 a) 내지 c)는 DIN 50017에 따른 응축 시험에 의해 외기를 쏘이고 노출이 끝나고 1시간 후에 평가하였다.
발포도(blistering)는 DIN 53209에 따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여기서 "m"은 단위 면적당 기포의 수를 나타내고, "g"는 기포의 크기를 나타낸다. 평가 등급은 0(매우 양호) 내지 5(매우 불량)의 범위이다.
팽윤도(swelling)도 마찬가지로 DIN 53230에 따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상대 평가 등급은 0(변화 없음) 내지 5(매우 심하게 변함)의 범위이다.
접착도는 DIN 53151에 따라 육안으로 측정하였고, 상대적 평가 등급은 0(매우 양호) 내지 5(매우 불량)의 범위이다.
하기 표 1은 견본 a) 내지 c), 및 이리오딘(등록상표) 225 WR II 및 이리오딘(등록상표) 504 WR II의 비교 샘플 및 수성 투명피복물로서 무안료 블랭크 샘플의 시험 결과를 포함한다. 이리오딘(등록상표) 225 WR II(이산화 티탄 안료) 및 이리오딘(등록상표) 504 WR II(산화 철 안료)는 종래의 기술이며 본 발명의 접착촉진 중간층을 갖지 않는다.
후처리된 안료의 내후성 시험 결과
실시예 번호 발포도 팽윤도 접착도
a) m1/g1 Q1 1
b) m1/g1 Q1 1
c) m0/g0 Q0 0
이리오딘(등록상표) 225 WR II m2/g1 Q1-2 1-2
이리오딘(등록상표) 504 WR II m3/g4 Q3-4 4
블랭크 샘플 m0/g0 Q0 0
본 발명의 안료는 극한 조건에 대해 종래 기술의 안료보다 안정하고, 필름 피복물에 대한 안료의 평행 정렬이 개선되어 광택 특성이 뛰어나다.

Claims (11)

  1. 소판형 기재로 이루어진 내부의 제 1 층;
    하나 이상의 금속 옥사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층과 함께 하소된 베이스 안료를 형성하는 제 2 층;
    상기 제 2 층의 옥사이드에 상응하는 미하소 옥사이드,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옥사이드 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는 제 3 층;
    규소 또는 알루미늄의 옥사이드, 하이드레이트 및/또는 옥사이드 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는 제 4 층;
    규소, 알루미늄, 지르코늄 및/또는 세륨의 옥사이드, 하이드록사이드 및/또는 옥사이드 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층과는 상이한 제 5 층; 및
    하나 이상의 오가노작용성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제 6 층을 포함하는 진주 광택 안료.
  2.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가 운모인 진주 광택 안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층의 금속 옥사이드가 산화 철(Ⅲ) 또는 이산화 티탄인 진주 광택 안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 커플링제가 실란, 지르코늄 알루미네이트, 지르코네이트 또는 티타네이트인 진주 광택 안료.
  5. 하나 이상의 금속 옥사이드로 피복된, 하소된 소판형 기재를 물에 현탁시키고, 25 내지 100℃에서,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에서 가열하고, pH를 3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로 조정하고,
    (1) 소판형 기재의 금속 옥사이드 피복물의 하소된 금속 옥사이드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수용성 금속염을 첨가하고, 상기 염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옥사이드, 하이드록사이드 및/또는 옥사이드 하이드레이트로서 침착시킨 후 30 내지 100℃에서,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5℃에서 가열하고, pH를 3 내지 9, 바람직하게는 6 내지 7로 조정하는 단계;
    (2) 수용성 실리케이트 및/또는 알루미늄염을 첨가하고 이들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옥사이드, 하이드록사이드 및/또는 옥사이드 하이드레이트로서 침착시키는 단계;
    (3) 하나 이상의 수용성 실리케이트, 알루미늄염, 세륨염 및/또는 지르코늄염을 pH 3 내지 9, 바람직하게는 6 내지 7에서 첨가함으로써, 상응하는 옥사이드,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옥사이드 하이드레이트(이들은 단계 (2)의 것들과 상이할 것이 요구된다)를 침착시키는 단계; 및
    (4) 하나 이상의 유기 커플링제를 첨가하고 이들을 pH 3 내지 9, 바람직하게는 6내지 8에서 침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진주 광택 안료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단계 (1)과 단계 (2) 사이에서 안료를 분리하여 세척하고 건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단계 (3)을 수행한 후 침전, 세척 및 여과시켜 안료를 분리하고 상기 안료를 80 내지 160℃,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60℃에서 건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금속 옥사이드로 피복된, 하소된 소판형 기재가 산화 철(Ⅲ) 및/또는 이산화 티탄으로 피복된 운모인 방법.
  9.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 커플링제가 실란, 지르코늄 알루미네이트, 지르코네이트 또는 티타네이트인 방법.
  10. 페인트, 잉크, 플라스틱, 피복물 및 화장품의 착색을 위한,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진주 광택 안료의 용도.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진주 광택 안료로 착색된 페인트, 잉크, 플라스틱, 피복물 및 화장품.
KR20010068502A 2000-11-06 2001-11-05 진주 광택 안료의 안정화 방법 KR100806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0154980 DE10054980C2 (de) 2000-11-06 2000-11-06 Stabilisierung von Perlglanzpigmenten
DE10054980.2 2000-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448A true KR20020035448A (ko) 2002-05-11
KR100806480B1 KR100806480B1 (ko) 2008-02-21

Family

ID=7662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68502A KR100806480B1 (ko) 2000-11-06 2001-11-05 진주 광택 안료의 안정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488758B2 (ko)
EP (1) EP1203794B1 (ko)
JP (1) JP2002188023A (ko)
KR (1) KR100806480B1 (ko)
CN (1) CN100390239C (ko)
AT (1) ATE286094T1 (ko)
DE (2) DE10054980C2 (ko)
TW (1) TWI2895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48174B4 (de) * 2002-11-06 2017-02-09 Merck Patent Gmbh Oberflächenstabilisierung von Perlglanzpigmenten
DE102004039554A1 (de) 2004-08-13 2006-02-23 Merck Patent Gmbh Perlglanzpigmente
US7413599B2 (en) * 2004-08-26 2008-08-19 Eckart Gmbh & Co. Kg Coated pearlescent pigments with SiO2 and cerium oxide
DE102004041592A1 (de) 2004-08-26 2006-03-02 Eckart Gmbh & Co. Kg SiO2 beschichtete Perlglanzpigmente
US7699927B2 (en) 2004-08-26 2010-04-20 Eckart Gmbh SiO2 coated pearlescent pigments
DE102004041586A1 (de) * 2004-08-26 2006-03-02 Eckart Gmbh & Co. Kg Beschichtete Perlglanzpigmente mit SiO2 und Ceroxid
CN100420721C (zh) * 2004-09-24 2008-09-24 林一中 供外部使用的珠光颜料
DE102006009131A1 (de) 2006-02-24 2007-09-06 Eckart Gmbh & Co.Kg Mit anorganisch/organischen Mischschichten beschichtete Perlglanzpigmen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2006009130A1 (de) * 2006-02-24 2007-08-30 Eckart Gmbh & Co. Kg Wetterstabile Perlglanzpigmente auf Basis dünner Glasplättch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5030946B2 (ja) * 2006-03-27 2012-09-19 日本板硝子株式会社 金色調を有する光輝性顔料、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塗料、インク、または樹脂組成物
US20090054534A1 (en) * 2006-04-07 2009-02-26 Nippon Sheet Glass Company, Limited Bright Pigment, Method for Production of the Pigment, and Cosmetic, Coating, Ink or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Pigment
CN100390238C (zh) * 2006-06-23 2008-05-28 河北欧克精细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耐候珠光颜料及其制备方法
US8221536B2 (en) 2006-11-09 2012-07-17 Sun Chemical Corp. Cosmetic comprising multi-colored lustrous pearlescent pigments
US8323396B2 (en) 2006-11-09 2012-12-04 Sun Chemical Corp. Orange pearlescent pigments
US7850775B2 (en) 2006-11-09 2010-12-14 Sun Chemical Corporation Multi-colored lustrous pearlescent pigments
US8906154B2 (en) 2006-11-09 2014-12-09 Sun Chemical Corporation Coating, ink, or article comprising multi-colored lustrous pearlescent pigments
US8211224B2 (en) 2006-11-09 2012-07-03 Sun Chemical Corp. Multi-colored lustrous pearlescent pigments and process for making
US8349067B2 (en) 2006-11-09 2013-01-08 Sun Chemical Corp. Multi-colored lustrous pearlescent pigments
ZA200804693B (en) * 2007-05-30 2009-02-25 Oreal Cosmetic hair compositions containing metal-oxide layered pigments and functionalized metal-oxide layered pigments and methods of use
DE102010021530A1 (de) * 2010-05-26 2011-12-01 Eckart Gmbh Verwendung oberflächenmodifizierter Effektpigmente in einem lösemittelfreien Beschichtungsmittel, lösemittelfreies Beschichtungsmittel und beschichteter Gegenstand
KR101239074B1 (ko) * 2011-05-24 2013-03-11 씨큐브 주식회사 내후성이 우수한 외장재 안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2746716A (zh) * 2012-07-12 2012-10-24 杭州弗沃德精细化工有限公司 超细着色云母颜料的制备工艺
CN103421357B (zh) * 2013-07-10 2015-10-21 杭州弗沃德精细化工有限公司 一种具有高耐候性能的云母基珠光颜料的制备工艺
JP6392349B2 (ja) 2013-08-23 2018-09-19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Merck Patent Gesellschaft mit beschraenkter Haftung 印刷画像
CN107641339A (zh) * 2017-10-27 2018-01-30 河北欧克精细化工股份有限公司 随角异色立体系列功能性珠光颜料及其制备工艺和用途
CN114539808A (zh) * 2022-03-03 2022-05-27 河南凌宝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分散性珠光颜料及其制备方法
CN115710434A (zh) * 2022-11-15 2023-02-24 福建坤彩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白色珠光颜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35017A1 (de) 1982-09-22 1984-03-22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Perlglanzpigmente
JPH0643565B2 (ja) 1986-11-21 1994-06-08 メルク・ジヤパン株式会社 耐水性真珠光沢顔料およびその製造法
JP2568481B2 (ja) * 1987-05-08 1997-01-08 鐘紡株式会社 被覆顔料およびその製造法
FR2632962A1 (fr) 1988-06-17 1989-12-22 Pola Chem Ind Inc Poudres a revetement hydrofuge et oleofuge leur procede de production et produits cosmetiques les contenant
DE3841848A1 (de) * 1988-12-13 1990-06-21 Bayer Ag Anorganische pigmente mit verbesserten eigenschaften
DE3929423A1 (de) * 1989-09-05 1991-03-07 Merck Patent Gmbh Plaettchenfoermige, oberflaechenmodifizierte substrate
US5091011A (en) * 1990-03-12 1992-02-25 The Mearl Corporation Light and moisture resistant metal oxide-coated mica pigments
DE4321005A1 (de) * 1993-06-24 1995-01-05 Merck Patent Gmbh Perlglanzpigment für Wasserlacksysteme
JPH08208418A (ja) 1994-06-03 1996-08-13 Pola Chem Ind Inc 水系美爪料
DE4443824A1 (de) * 1994-12-09 1996-06-13 Huels Chemische Werke Ag Organopolysiloxan-haltige Zusammensetzungen auf Wasserbasis,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DE4443825A1 (de) * 1994-12-09 1996-06-13 Huels Chemische Werke Ag Wasserbasierende Organopolysiloxan-haltige Zusammensetzung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US5759255A (en) * 1996-02-07 1998-06-02 Engelhard Corporation Pearlescent pigment for exterior use
DE19639783A1 (de) 1996-09-27 1998-04-02 Merck Patent Gmbh Modifizierte Perlglanzpigmente für Wasserlacksyste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054980A1 (de) 2002-05-16
EP1203794B1 (de) 2004-12-29
CN100390239C (zh) 2008-05-28
US6488758B2 (en) 2002-12-03
CN1353145A (zh) 2002-06-12
EP1203794A1 (de) 2002-05-08
JP2002188023A (ja) 2002-07-05
TWI289589B (en) 2007-11-11
DE50104956D1 (de) 2005-02-03
DE10054980C2 (de) 2003-02-06
ATE286094T1 (de) 2005-01-15
KR100806480B1 (ko) 2008-02-21
US20020112645A1 (en) 200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6480B1 (ko) 진주 광택 안료의 안정화 방법
US6488757B2 (en) After coating of pearl luster pigments with hydrophobic coupling reagents
FI110784B (fi) Vesiohenteisiin lakkasysteemeihin soveltuva helmiäiskiiltopigmentti
JP5065897B2 (ja) SiO2および酸化セリウムを含む、コーティングを有する真珠光沢顔料
CN1081209C (zh) 用于水性涂料体系的改进了的珠光颜料
US8197591B2 (en) Pearlescent pigments having a secondary coating comprising α-silane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7413599B2 (en) Coated pearlescent pigments with SiO2 and cerium oxide
US7699927B2 (en) SiO2 coated pearlescent pigments
JP6268179B2 (ja) 耐候性真珠光沢顔料、それを製造するためのプロセス、およびそれの使用
JP2009527605A (ja) 薄いガラスの微小板をベースとする耐候安定性真珠光沢顔料およびそれを調製するためのプロセス
EP0446986B1 (en) Process for producing light and moisture resistant metal oxide-coated mica pigments
JPH06145556A (ja) カーボンブラックを含有する顔料
KR20140011347A (ko) 내후성 진주광택 안료,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JP2006523734A (ja) 表面修飾効果顔料
US20080295736A1 (en) Pearl Pigment Used For External Outside
JP2510365B2 (ja) セリア含有耐摩耗性シロキサン被覆及びその製法
Henglein et al. SiO 2 coated pearlescent pig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