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3716A -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 - Google Patents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3716A
KR20020033716A KR1020020020822A KR20020020822A KR20020033716A KR 20020033716 A KR20020033716 A KR 20020033716A KR 1020020020822 A KR1020020020822 A KR 1020020020822A KR 20020020822 A KR20020020822 A KR 20020020822A KR 20020033716 A KR20020033716 A KR 20020033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voltage
bobbin
voltage terminal
coil
terminal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윤철
Original Assignee
(주)조광전자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광전자통신 filed Critical (주)조광전자통신
Priority to KR1020020020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3716A/ko
Publication of KR20020033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371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01F27/2828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압 코일과 고압 코일간 및 고압 코일과 코아(core)간의 절연을 절연 캡에 의하여 달성하는 절연캡을 구비한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에 관한 것으로,다수개의 저압단자가 구비된 저압단자기판, 다수개의 고압단자가 구비된 고압단자기판, 상기 저압단자기판 및 고압단자기판 사이에 구비되고 그 내부에 단자기판 과 동일 폭의 "ㅌ"형 코아를 양방향에서 삽입할 수 있는 코일 권취부, 상기 코일 권취부 외주면을 저압 코일 권취부와 고압 코일 권취부로 나누는 코일 격벽 및 상기 고압 코일 권취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는 다수개의 슬릿으로 구성된 보빈 본체를 갖는 트랜스포머용 보빈에 있어서, 고압 코일을 상기 고압 단자에 연결하는 인출선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개의 슬릿중 1개 또는 2개의 슬릿으로 부터 외향으로 단자 기판의 폭을 초과 하지 않은 길이 만큼 리브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보빈 본체 상부에는 보빈 본체와는 별도로 사출 성형되어 조립되고, 상기 저압단자기판, 고압단자기판, 코일 권취부 및 리브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는 절연캡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BOBBIN FOR HIGH-VOLTAGE TRANSFORMER}
본 발명은 TFT-LCD의 백라이트(back light) 구동용 인버터 등에 사용되는 소형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저압 코일과 고압 코일간 및 고압 코일과 코아(core)간의 절연을 절연 캡에 의하여 달성하는 절연캡을 구비한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에 관한 것이다.
소형 고전압 트랜스포머의 경우 고압 코일의 권취수가 저압 코일 권취수에 비해야 대단히 크기 때문에, 고압 코일에 흐르는 전류는 저압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비하여 매우 적고, 따라서 코일의 굵기도 코압 코일이 저압 코일에 비하여 훨씬 가늘다. 또한, 보빈의 고압 코일 권취 부분은 코일에서 발생하는 열의 발산이 용이하도록 몇개의 슬릿에 의하여 연속적인 1개의 코일이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권취되는데, 이로 인해 코일의 양단(兩端)은 공간적으로 어느정도 떨어질 수 밖에 없고, 보빈의 일측에 형성된 트랜스포머의 고압 단자에 코일을 연결함에 있어서는 코일의 양단(兩端) 중 1단은 코일의 1단에서 연장된 인출선에 의하여 고압 단자 중 1단자에 연결된다. 이 때, 인출선은 고압 권취 코일로 부터 일정한 간격 만큼 이격하여, 고압 권취 코일의 일부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고전압 트랜스포머의 경우 저압 코일과 고압 코일간 및 고압 코일과 코아간의 절연이 필수적이다. 고전압하에서의 코일간의 단락을 막고, 자속의 유출을 최대한 차단하기 위해서이다. 절연의 방법으로 이들간의 거리를 충분히 떨어지게 배치하는 방법도 있으나 트랜스포머 소자의 용도에 따라 크기의 제한이 있으므로, 일반적으로는 이들 사이에 유전율 또는 내전압(耐電壓) 특성이 큰 절연체를 개입시키는 방법으로 절연이 이루어 진다.
종래 고전압 트랜스포머의 구성 요소간 절연 방법으로는 내열용 절연 필름 (내열온도:250 ℃)을 일정한 형태로 프레스 타발한 후 보빈 위에 덮 쒸우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절연 필름을 이용하는 종래 절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의 절연 필름 방식은 구조적으로 저압 코일 및 고압 코일간의 내전압 특성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왜냐하면, 종래의 절연 필름 방식은 얇은 필름에 보빈이 삽입될 수 있게 천공을 형성하여 코아 하부에 구비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는바, 이러한 구조로는 코일간의 절연에 아무런 영향을 줄 수 없기 때문이다.
둘째, 종래의 절연 필름 방식은 내열 온도 한계로 인한 변형으로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기존에 사용되어온 절연 필름은 250℃ 전후에서 열변형이 일어나는데, 이러한 열변형은 절연 필름의 내전압 특성을 크게 떨어 뜨려 안전성이 저하되는 것이다.
세째, 종래의 방식대로 절연 필름에 의하여 절연을 할 경우 보빈 전체를 외부의 접촉이나 충격으로 부터 보호해 줄 수 있는 수단이 없어 고압 코일 인출선을 단자에 연결하기 위한 리브를 형성함에 있어서도 다수개의 리브를 형성할 수 밖에 없는데, 이는 보빈의 생산 과정 및 코일 권취과정에서 생성산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왜냐하면, 다수의 리브에 고압 코일 인출선을 걸쳐야 하고, 생산 도중 리브중 어느 하나라도 파손되면 트랜스포머 전체가 불량품으로 처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네째, 종래의 방식대로 절연 필름에 의하여 절연을 할 경우, PCB(printed Circuit Board) 실장시 가열 온도에 의해 PCB가 뒤틀릴 수 있는데 이때 트랜스포머의 코일이 단선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소형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은 일반적으로 수지로 만들어 지고, PCB에 표면실장부품을 삽입하는 공정에서 솔더링(soldering)을 위하여 PCB에 열을 가열하게 되는데, 이때 보빈 바닥이 PCB에 접촉할 경우 보빈에 열이 전달되어 보빈 및 단자기판이 왜곡되고, 결과적으로 고압 코일 인출선이 단선될 수 있는 것이다.
다섯째, 종래의 방식대로 절연 필름에 의하여 절연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보빈에 먼저 절연 필름을 삽입한 후 다시 코아를 조립하게 되는데, 절연 필름 자체가 형태적으로 변형되기 쉬워 코아 삽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제1의 기술적 과제는 인출선을 보호할 수 있는 구조의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제2의 기술적 과제는 저압 코일 및 고압 코일간의 내전압 특성을 크게할 수 있는 구조의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제3의 기술적 과제는 보빈 자체의 열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의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제4의 기술적 과제는 인출선 리브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의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제5의 기술적 과제는 코아 조립이 용이하여 고압 트랜스포머를 양산함에 있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의 절연캡과 코일을 권취한 보빈 본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절연캡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과 여기에 조립될 코아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코아를 조립하여 완성된 고전압 트랜스포머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 1b:코아 2:저압 코일 3:고압 코일 10:절연캡 11a, 11b:하부외측벽
12a,12b:상부 측벽 13:코일 절연벽 14a,14b:인출선 절연판 15a, 15b:코일 권취부 수용개구 16a,16b:하부내측벽 17:고압코아 상부절연판
18:고압단자 절연판 19:고압코일 전면절연벽 30:보빈 본체
31:저압단자기판 32:고압단자기판 33a,33b,33c,33d,33e,33f,33g,33h:저압단자
34a,34b,34c,34d,34e:고압단자 36:인출선 지지 리브 38a, 38b:슬릿
39,40a,40b,41a,41b:전연판 안착 삭각부(削刻部) 42:코일 격벽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은
다수개의 저압단자가 구비된 저압단자기판, 다수개의 고압단자가 구비된 고압단자기판, 상기 저압단자기판 및 고압단자기판 사이에 구비되고 그 내부에 단자기판 과 동일 폭의 "ㅌ"형 코아를 양방향에서 삽입할 수 있는 코일 권취부, 상기 코일 권취부 외주면을 저압 코일 권취부와 고압 코일 권취부로 나누는 코일 격벽 및 상기 고압 코일 권취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는 다수개의 슬릿으로 구성된 보빈 본체를 갖는 트랜스포머용 보빈에 있어서,
고압 코일을 상기 고압 단자에 연결하는 인출선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개의 슬릿중 1개 또는 2개의 슬릿으로 부터 외향으로 단자 기판의 폭을 초과 하지 않은 길이 만큼 리브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보빈 본체 상부에는 보빈 본체와는 별도로 사출 성형되어 조립되고, 상기 저압단자기판, 고압단자기판, 코일 권취부 및 리브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는 절연캡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연캡은 상기 저압단자기판 및 고압단자기판의 폭 만큼 이격되어 보빈 본체의 양측면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게 수직 형성된 2개의 하부외측벽, 상기 각 하부외측벽의 일부로 부터 내측으로 수평 연장 형성된 인출선 절연판, 상기 각 인출선 절연판으로 수직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보빈 본체의 코일 권취부 양측면을 내측에 수용할 수 있는 상부측벽, 상기 상부측벽 간을 횡으로 연결하되 조립시 상기 코일 격벽 상부에 배치되어 저압 코일과 고압 코일간의 절연을 강화할 수 있는 코일 절연벽 및 조립시 상기 고압단자기판과 리브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외측벽과 인출선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는 하부내측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절연캡의 상부측벽의 고압단자측에는 상부측벽간을 가로질러 수직 형성된 고압코일 전면(前面)절연벽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압코일 전면절연벽 상부에는 고압단자 방향으로 수평 연장된 고압 코아 상부(上部)절연판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캡의 하부외측벽 고압단자측에는 하부외측벽간을 가로 질러 수평 형성되고 조립시 고압단자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고압단자 절연판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캡의 고압단자 절연판이 안착되는 보빈 본체의 고안단자기판의 단자측 상부 모서리와, 상기 절연캡의 하부외측벽이 안착되는 고압단자기판 및 저압단자기판의 일부는 기판 표면 보다 더 삭각하여, 조립시 상기 고압단자 절면판, 고압단자기판, 저압단자기판 및 하부외측벽의 상부 표면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캡의 하부외측벽의 수직 방향 높이는, 절연캡이 보빈 본체와 조립되었을 때, 보빈 본체의 바닥면이 PCB(printed circuit board)의 표면으로 부터 약간 이격될 수 있는 높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의 절연캡과 코일을 권취한 보빈 본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절연캡의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과 여기에 조립될 코아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코아를 조립하여 완성된 고전압 트랜스포머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는 설명의 편의상 보빈 본체에 코일을 권취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하에서 보빈 본체라함은 코일이 권취되기 전의 하우징만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은 보빈 본체(30)와 여기에 결합되어 저압 코일(2) 및 코압 코일(3)간과 고압 코일(3) 및 코아(1a)간의 내전압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라스틱제의 절연캡(10)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보빈 본체(3)와 절연캡(10)은 액정 폴리머(LCP: liquid crystal polymer)를 소재로 하여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폴리머 수지는 내열온도가 290℃ 이상으로 기계적 특성 뿐만아니라 전기적 절연 특성도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 본체(30)는 다수개의 저압단자(33a~33h)가 구비된 저압단자기판(31), 다수개의 고압단자(34a~34e)가 구비된 고압단자 기판(32), 상기 저압단자기판(31) 및 고압단자기판(32) 사이에 구비되고 그 내부에 단자기판과 동일 폭의 "ㅌ"형 코아를 양방향에서 삽입할 수 있고 저압 코일(2) 및 고압 코일(3)이 권취되는 코일 권취부(도면에는 별도의 부호를 부여하지 않음), 상기 코일 권취부 외주면을 저압 코일(2) 권취부와 고압 코일(3) 권취부로 나누는 코일 격벽(42) 및 상기 고압 코일(3) 권취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는 다수개의 슬릿(38a, 38b)으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상기 저압단자 및 고압단자가 다수 도시되어 있지만, PCB상의 단자 배열에 따라 각각 2개만이 선택되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슬릿은 각 슬릿마다 연속적인 개구가 형성되어 그 개구를 통하여 각 슬릿에 의하여 분할 된 권취부에 1라인(line)의 고압 코일을 권취해 갈 수 있다. 즉, 도1의 부호 38a 및 38b는 1개의 슬릿 양단을 표시하는 것으로 이들 사이에 슬릿 개구를 갖고 이곳을 통하여 1라인의 고압 코일(3)이 연속적으로 권취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압 코일(3)은 상기 고압단자기판(32)측으로 부터 코일 격벽(42)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권취되어 그 양단(兩端)이 거리적으로 이격되고, 특히 코일 격벽(42)측 1단은 인출선(37)에 의하여 고압 단자(34a~34e) 중 하나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고압 코일(3)을 상기 고압 단자중의 어느 하나에 연결하는 인출선(37)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개의 슬릿중 1개 또는 2개의 슬릿으로 부터만 외향으로 단자 기판의 폭을 초과 하지 않은 길이 만큼 리브(36)를 연장 형성한데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리브의 외측단부(外側端部)는 인출선(37)을 걸칠 수 있게 모따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2개의 리브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모따기를 한 공간에 인출선이 통과하면서, 인출선(37)을 상하로 이탈하지 않도록 1개의 리브는 상부를 1개의 리브는 하부를 모따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보빈 본체(30)와는 별도로 사출 성형되고, 상기 저압단자기판(31), 고압단자기판(32), 코일(2,3) 권취부 및 리브(36)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는 절연캡(10)을 덮어 쒸우므로써 절연과 함께 상기 리브(36) 및 인출선(37)을 보호하게 된다. 상술한 구조는 종래의 보빈에 코일 인출선 리브가 각각의 슬릿마다 모두 형성되어 있어, 코일 권선시 불편하고 파손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PCB실장 후 여러개의 리브가 열변형으로 왜곡되는 경우 인출선을 단선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기 위한 구조로 채택된 것이다.
상기 절연캡(10)은 상기 저압단자기판(31) 및 고압단자기판(32)의 폭 만큼 이격되어 보빈 본체의 양측면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게 수직 형성된 2개의 하부외측벽(11a,11b)을 갖는다. 이 하부외부측벽(11a,11b)은 단자기판(31, 32)의 외측에 밀착 삽입되어 상기 리브(36) 및 인출선(37)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절연캡(10)은 상기 각 하부외측벽(11a,11b)의 일부로 부터 내측으로 수평 연장 형성된 인출선 절연판(14a,14b)를 갖는다. 상기 인출선 절연판(14a,14b)은 고압 코일(3)의 중간 부분과 인출선(37)간의 절연을 보완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절연캡(10)은 상기 각 인출선 절연판(14a, 14b)으로 수직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보빈 본체(30)의 코일 권취부 양측면을 내측에 수용할 수 있는 상부측벽(12a,12b)을 더 구비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측벽(12a, 12b)은 고압 코일(3)과 코아(1a)간의 내전압 특성을 높여 준다.
상기 절연캡(10)은상기 상부측벽(12a, 12b) 간을 횡으로 연결하되 조립시 상기 코일 격벽(13) 상부에 배치되어 저압 코일(2)과 고압 코일(3)간의 절연을 강화할 수 있는 코일 절연벽(13)을 더 구비한다. 코일 절연벽(13)은 저압 코일(2) 및 고압 코일(3)간의 내전압 특성을 좋게 한다.
도 1 또는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절연캡(10)은 조립시 상기 고압단자기판 (32)과 리브(36)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외측벽(11a, 11b)과 인출선(37)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는 하부내측벽(16a)이 더 구비한다. 상기 하부내측벽(16a)은 상기 인출선(37)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인출선(37)과 고압 코일(3)간의 내전압 특성을 높여 준다.
상기 절연캡(10)의 상부측벽(12a,12b) 고압단자측에는 상부측벽간을 가로질러 수직 형성된 고압코일 전면(前面)절연벽(19)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함으로써, 코아(1a)와 고압코일(3)간의 내전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압코일 전면절연벽(19) 상부에는 고압단자 방향으로 수평 연장된 고압 코아 상부(上部)절연판(17)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압 코아 상부 절연판(17)역시 코아(1a)와 고압 코일(3)간의 내전압 특성을 높여준다.
상기 절연캡(10)의 하부외측벽(11a,11b) 고압단자측에는 하부외측벽 (11a,11b) 간을 가로 질러 수평 형성되고 조립시 고압단자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고압단자 절연판(18)을 더 구비하고, 상기 고압단자 절연판(18)이 안착되는 보빈 본체의 고안단자기판의 단자측 상부 모서리(39)와, 상기 절연캡의 하부외측벽이안착되는 고압단자기판 및 저압단자기판의 일부(40a,40b,41a,41b)는 기판 표면 보다 더 삭각하여, 조립시 상기 고압단자 절연판(18), 고압단자기판(32), 저압단자기판(31) 및 하부외측벽(11a,11b)의 상부 표면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인버터용 고전압 트랜스포머의 두께를 얇게할 수 있다.
상기 절연캡(10)의 하부외측벽(11a, 11b)의 수직 방향 높이는, 절연캡(10)이 보빈 본체(30)와 조립되었을 때, 보빈 본체(30)의 바닥면이 PCB(printed circuit board)의 표면으로 부터 약간 이격될 수 있는 높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PCB에 부품 실장시 솔더링 열에 의하여 보빈 본체가 가열되어 리브(36)등이 왜곡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구조의 보빈에 코아(1a,1b)를 삽입/고정하여 내전압 특성이 우수하고, 고압 코일 인출선의 단선이 없는 고전압 트랜스포머가 완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압측 코일과 저압측 코일의 내전압 특성 및 고압측 코일과 코아간의 내전압 특성을 높일 수 있고, 보빈에 코일 권취시 고압측 코일의 인출선 지지 리브가 쉽게 파손되는 막아 불량률이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PCB(printed Circuit Board) 실장시 열변형에 의한 고압측 코일 단선을 줄일 수 있고, 코아 조립이 용이하여 고전압 트랜스포머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8)

  1. 다수개의 저압단자가 구비된 저압단자기판, 다수개의 고압단자가 구비된 고압단자기판, 상기 저압단자기판 및 고압단자기판 사이에 구비되고 그 내부에 단자기판과 동일 폭의 "ㅌ"형 코아를 양방향에서 삽입할 수 있는 코일 권취부, 상기 코일 권취부 외주면을 저압 코일 권취부와 고압 코일 권취부로 나누는 코일 격벽 및 상기 고압 코일 권취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는 다수개의 슬릿으로 구성된 보빈 본체를 갖는 트랜스포머용 보빈에 있어서,
    고압 코일을 상기 고압 단자에 연결하는 인출선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개의 슬릿중 1개 또는 2개의 슬릿으로 부터 외향으로 단자 기판의 폭을 초과 하지 않은 길이 만큼 리브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보빈 본체 상부에는 보빈 본체와는 별도로 사출 성형되어 조립되고, 상기 저압단자기판, 고압단자기판, 코일 권취부 및 리브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는 절연캡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트랜스포머용 보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2개를 형성하고, 그 외측단부(外側端部)는 인출선(37)을 걸칠 수 있게 모따기를 하되, 모따기를 한 공간에 인출선이 통과하고, 인출선(37)이 상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1개의 리브는 상부를, 다른1개의 리브는 하부를 모따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용 보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캡은 상기 저압단자기판 및 고압단자기판의 폭 만큼 이격되어 보빈 본체의 양측면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게 수직 형성된 2개의 하부외측벽, 상기 각 하부외측벽의 일부로 부터 내측으로 수평 연장 형성된 인출선 절연판, 상기 각 인출선 절연판으로 수직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보빈 본체의 코일 권취부 양측면을 내측에 수용할 수 있는 상부측벽, 상기 상부측벽 간을 횡으로 연결하되 조립시 상기 코일 격벽 상부에 배치되어 저압 코일과 고압 코일간의 절연을 강화할 수 있는 코일 절연벽 및 조립시 상기 고압단자기판과 리브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외측벽과 인출선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는 하부내측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캡의 상부측벽의 고압단자측에는 상부측벽간을 가로질러 수직 형성된 고압코일 전면(前面)절연벽을 더 구비하여 고압 코일과 코아간의 내압 특성을 강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코일 전면절연벽 상부에는 고압단자 방향으로 수평 연장된 고압 코아 상부(上部)절연판을 더 구비하여 고압 코일과 코아간의 내압 특성을 강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캡의 하부외측벽 고압단자측에는 하부외측벽간을 가로 질러 수평 형성되고 조립시 고압단자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고압단자 절연판을 더 구비하여 고압 단자와 코아간의 내압 특성을 강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캡의 고압단자 절연판이 안착되는 보빈 본체의 고안단자기판의 단자측 상부 모서리와, 상기 절연캡의 하부외측벽이 안착되는 고압단자기판 및 저압단자기판의 일부는 기판 표면 보다 더 삭각(削刻)하여, 조립시 상기 고압단자 절연판, 고압단자기판, 저압단자기판 및 하부외측벽의 상부 표면의 높이가 일치하게 함으로써 전체적인 두께를 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캡의 하부외측벽의 수직 방향 높이는, 절연캡이 보빈 본체과 조립되었을 때, 보빈 본체 바닥면이 PCB(printed circuit board)의 표면으로 부터 약간 이격될 수 있는 높이로 성형하여 보빈 본체의 열변형을 최소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
KR1020020020822A 2002-04-17 2002-04-17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 KR200200337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822A KR20020033716A (ko) 2002-04-17 2002-04-17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822A KR20020033716A (ko) 2002-04-17 2002-04-17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3716A true KR20020033716A (ko) 2002-05-07

Family

ID=19720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822A KR20020033716A (ko) 2002-04-17 2002-04-17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371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910B1 (ko) * 2006-07-11 2007-12-11 주식회사 애화신 고전압 트랜스포머
KR101107454B1 (ko) * 2009-10-09 2012-01-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버터 트랜스포머
CN106024326A (zh) * 2016-08-11 2016-10-12 吴江变压器有限公司 一种变压器铁心夹紧结构
WO2021180837A1 (de) * 2020-03-13 2021-09-16 Tdk Electronics Ag Bauelement mit wicklungsträger und ker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elemen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246A (ja) * 1992-06-26 1994-01-21 Toko Inc 高周波昇圧トランス
KR20010005144A (ko) * 1999-06-30 2001-01-15 이형도 인버터용 트랜스포머의 절연장치
KR20030075570A (ko) * 2002-03-19 2003-09-26 주식회사 그린씨앤씨텍 내전압 상승 구조를 가지는 lcd 인버터용 트랜스포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246A (ja) * 1992-06-26 1994-01-21 Toko Inc 高周波昇圧トランス
KR20010005144A (ko) * 1999-06-30 2001-01-15 이형도 인버터용 트랜스포머의 절연장치
KR20030075570A (ko) * 2002-03-19 2003-09-26 주식회사 그린씨앤씨텍 내전압 상승 구조를 가지는 lcd 인버터용 트랜스포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910B1 (ko) * 2006-07-11 2007-12-11 주식회사 애화신 고전압 트랜스포머
KR101107454B1 (ko) * 2009-10-09 2012-01-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버터 트랜스포머
CN106024326A (zh) * 2016-08-11 2016-10-12 吴江变压器有限公司 一种变压器铁心夹紧结构
WO2021180837A1 (de) * 2020-03-13 2021-09-16 Tdk Electronics Ag Bauelement mit wicklungsträger und ker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elem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4777B2 (en) Transformer with improved insulation
US8736411B2 (en) Transformer structure
US20080055814A1 (en) Lamp transformer
US9019056B2 (en) Coil component, mounting structure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10187485A1 (en) Transformer having sectioned bobbin
US20130120099A1 (en) Transformer
JPH10125545A (ja) チョークコイル
KR20020033716A (ko)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
JP5151432B2 (ja) 巻線部品のボビン
KR102173774B1 (ko) 코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EP4057306A1 (en) Transformer having reverse structure
CN202855505U (zh) 线圈组件及显示器设备
KR102399391B1 (ko) 플랫타입 트랜스포머
JP4747826B2 (ja) トランス
KR200450740Y1 (ko) 공진트랜스
US9251949B2 (en) Magnetic element
JP4775093B2 (ja) 高電圧トランス
JP5070848B2 (ja) トランス
JPH09205023A (ja) チョークコイル
KR200426420Y1 (ko) 권취 보빈
EP2009651A1 (en) High-voltage transformer
JP2012099590A (ja) トランス
KR200457299Y1 (ko) 트랜스포머의 절연구조
JP2008192801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CN114342013A (zh) 具有绕组载体和芯的装置以及用于制造装置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