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299Y1 - 트랜스포머의 절연구조 - Google Patents

트랜스포머의 절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299Y1
KR200457299Y1 KR2020100001273U KR20100001273U KR200457299Y1 KR 200457299 Y1 KR200457299 Y1 KR 200457299Y1 KR 2020100001273 U KR2020100001273 U KR 2020100001273U KR 20100001273 U KR20100001273 U KR 20100001273U KR 200457299 Y1 KR200457299 Y1 KR 2004572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power adapter
present
bobbin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2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934U (ko
Inventor
박종규
Original Assignee
한국광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광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12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299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9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9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2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2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랜스포머의 절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절연구조는, 전원어댑터에 실장되어 전압을 조절하는 트랜스포머의 절연구조에 있어서, 외주면상에 코일이 권선되는 소정형태의 보빈과 상기 보빈의 둘레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는 페라이트 코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트랜스포머; 및 상기 트랜스포머가 하부에서부터 삽입되어 상기 트랜스포머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절연성 수지를 이용하여 소정두께의 사출물로 형성되어, 상기 트랜스포머와 상기 트랜스포머의 주위에 배치되는 주변부품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트랜스포머용 외부절연캡;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트랜스포머가 하부에서부터 삽입되어 상기 트랜스포머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절연성 수지를 이용하여 소정두께의 사출물로 형성되는 트랜스포머용 외부절연캡을 구비하여, 상기 트랜스포머와 상기 트랜스포머의 주위에 배치되는 주변부품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동시에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트랜스포머의 절연구조 { INSULATING STRUCTURE FOR TRANSFORMER }
본 고안은 트랜스포머의 절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랜스포머가 하부에서부터 삽입되어 상기 트랜스포머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절연성 수지를 이용하여 소정두께의 사출물로 형성되는 트랜스포머용 외부절연캡을 구비하여, 상기 트랜스포머와 상기 트랜스포머의 주위에 배치되는 주변부품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동시에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트랜스포머의 절연구조에 관한 것이다.
TV 또는 디지털 TV용 셋탑박스와 같은 전자제품 내에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어댑터에 실장되어, 저전압을 입력받아 고전압을 출력하거나 반대로 고전압을 입력받아 저전압으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하는 트랜스포머는, 보빈의 외주면을 코일로 감고 상기 코일을 절연테이프로 둘러싼 후 지지 고정하고, 상기 보빈의 둘레를 감싸는 구조를 갖도록 페라이트 코어를 상기 보빈의 상측 및 하측 양측방향에서 중심방향으로 결합하여 제조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트랜스포머와 상기 전원어댑터의 메인보드상에 형성되는 주변부품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트랜스포머의 절연구조에 관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의 둘레를 절연테이프로 둘러싸서 전류의 누설을 방지하는 기술이 있었다.
이때, 전기적인 절연을 위한 이격거리 안전규격상 상기 트랜스포머와 주변부품과의 이격거리는 6mm 이상 유지되도록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트랜스포머와 주변부품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상기 트랜스포머의 둘레를 절연테이프로 둘러싸는 경우에는 0.025T 규격의 절연테이프를 2회 둘러싸서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상기 트랜스포머의 둘레를 절연테이프로 둘러싸는 공정과 상기 트랜스포머를 전원어댑터에 실장하기 위한 추가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공정의 증가로 인하여 전원어댑터의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절연테이프의 절연기능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상기 트랜스포머와 상기 주변부품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트랜스포머와 주변부품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동시에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현실적이고도 활용도가 높은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트랜스포머가 하부에서부터 삽입되어 상기 트랜스포머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절연성 수지를 이용하여 소정두께의 사출물로 형성되는 트랜스포머용 외부절연캡을 구비하여, 상기 트랜스포머와 상기 트랜스포머의 주위에 배치되는 주변부품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동시에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절연구조는, 전원어댑터에 실장되어 전압을 조절하는 트랜스포머의 절연구조에 있어서, 외주면상에 코일이 권선되는 소정형태의 보빈과 상기 보빈의 둘레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는 페라이트 코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트랜스포머; 및 상기 트랜스포머가 하부에서부터 삽입되어 상기 트랜스포머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절연성 수지를 이용하여 소정두께의 사출물로 형성되어, 상기 트랜스포머와 상기 트랜스포머의 주위에 배치되는 주변부품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트랜스포머용 외부절연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트랜스포머가 하부에서부터 삽입되어 상기 트랜스포머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절연성 수지를 이용하여 소정두께의 사출물로 형성되는 트랜스포머용 외부절연캡을 구비하여, 상기 트랜스포머와 상기 트랜스포머의 주위에 배치되는 주변부품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동시에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트랜스포머의 절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절연구조에 구비되는 트랜스포머용 외부절연캡의 세부사시도.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절연구조는, 전원어댑터에 실장되어 전압을 조절하는 트랜스포머의 절연구조에 있어서, 외주면상에 코일이 권선되는 소정형태의 보빈과 상기 보빈의 둘레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는 페라이트 코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트랜스포머; 및 상기 트랜스포머가 하부에서부터 삽입되어 상기 트랜스포머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절연성 수지를 이용하여 소정두께의 사출물로 형성되어, 상기 트랜스포머와 상기 트랜스포머의 주위에 배치되는 주변부품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트랜스포머용 외부절연캡;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트랜스포머의 절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트랜스포머의 절연구조는, 트랜스포머(100)와 상기 트랜스포머(100)의 둘레를 감싸는 트랜스포머용 외부절연캡(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트랜스포머(100)는, 외주면상에 코일이 권선되는 보빈(120)과 상기 보빈(120)의 둘레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는 페라이트 코어(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트랜스포머(100)는 전자제품 내에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어댑터에 실장되어, 저전압을 입력받아 고전압을 출력하거나 반대로 고전압을 입력받아 저전압으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하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보빈(120)의 외주면을 코일로 감고 상기 코일을 절연테이프로 둘러싼 후, 상기 보빈(120)을 상기 페라이트 코어(110) 내부에 배치하여 상기 보빈(120)의 둘레를 감싸는 구조로 페라이트 코어(110)를 형성하여 제조된다.
이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페라이트 코어(110)를 상기 보빈(120)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페라이트 코어(110)를 상기 보빈(120)에 형성된 삽입구에 삽입한 이후에 절연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상기 전원어댑터의 메인보드상에 구비되는 입력회로와 연결되기 위하여 복수개의 단자로 이루어진 입력부가 측면부 소정위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원어댑터의 메인보드상에 구비되는 출력회로와 연결되기 위하여 복수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진 출력부가 상기 입력부와 마주하는 측면부의 소정위치 상단부에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스포머용 외부절연캡(200)은, 상기 트랜스포머가 하부에서부터 삽입되어 상기 트랜스포머(100)를 둘러싸도록 상기 트랜스포머(100)의 외관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중공부(210)가 포함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스포머용 외부절연캡(200)은 상기 트랜스포머(100)와 상기 트랜스포머(100)의 주위에 배치되는 주변부품을 절연시키기 위한 이격거리 안전규격을 만족하기 위하여 절연성수지를 이용하여 안전규격상 0.4mm의 두께를 갖도록 사출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랜스포머용 외부절연캡(200)은, 상기 트랜스포머(100)의 입력부가 상기 메인보드상의 입력회로와 연결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제 1 개구부(220)와 상기 트랜스포머(100)의 출력부가 상기 메인보드상의 출력회로와 연결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제 2 개구부(23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절연구조에 구비되는 트랜스포머용 외부절연캡의 세부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용 외부절연캡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용 외부절연캡(200)은, 트랜스포머(100)가 하부에서부터 삽입되어 상기 트랜스포머(100)를 둘러싸도록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 및 측면은 폐쇄되는 구조를 이루며, 상기 트랜스포머(100)의 외관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중공부(210)가 포함되는 사출물로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용 외부절연캡(200)은, 상기 트랜스포머(100)가 전원어댑터의 메인보드상에 구비되는 입력회로와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트랜스포머(100)의 입력부에 일대일 대응되는 측면 소정위치의 상측끝단에서 하측끝단까지 절개되어 제 1 개구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트랜스포머(100)가 전원어댑터의 메인보드상에 구비되는 출력회로와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트랜스포머(100)의 출력부에 일대일 대응되는 측면 소정위치의 상측끝단부가 하부방향으로 일부분 절개되어 제 2 개구부(230)가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용 외부절연캡(20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트랜스포머(100)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기 위하여 내주면상에 본딩부가 소정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절연구조는 주변부품과의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트랜스포머용 외부절연캡(200)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트랜스포머(100)와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때문에, 종래의 절연테이프를 이용하는 방식에 비하여 전원어댑터의 제조공정을 단순하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트랜스포머가 하부에서부터 삽입되어 상기 트랜스포머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절연성 수지를 이용하여 전원어댑터에 포함된 트랜스포머의 이격거리 안전규격을 만족하는 소정두께의 사출물로 형성되는 트랜스포머용 외부절연캡을 구비하여, 상기 트랜스포머와 상기 트랜스포머의 주위에 배치되는 주변부품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동시에 전원어댑터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고안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트랜스 포머 110 : 페라이트 코어
120 : 보빈 200 : 트랜스포머용 외부절연캡
210 : 중공부 220 : 제 1 개구부
230 : 제 2 개구부

Claims (4)

  1. 전원어댑터에 실장되어 전압을 조절하는 트랜스포머의 절연구조에 있어서,
    외주면상에 코일이 권선되는 소정형태의 보빈과 상기 보빈의 둘레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는 페라이트 코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어댑터의 메인보드상에 구비되는 입력회로와 연결되기 위하여 복수개의 단자로 이루어진 입력부가 측면 소정위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원어댑터의 메인보드상에 구비되는 출력회로와 연결되기 위하여 복수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진 출력부가 상기 입력부와 마주하는 측면 소정위치 상단부에 형성되는 트랜스포머; 및
    상기 트랜스포머가 하부에서부터 삽입되어 상기 트랜스포머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절연성 수지를 이용하여 소정두께의 사출물로 형성되어, 상기 트랜스포머와 상기 트랜스포머의 주위에 배치되는 주변부품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트랜스포머용 외부절연캡;을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포머용 외부절연캡은,
    상기 트랜스포머의 입력부가 상기 전원어댑터의 메인보드상에 구비된 입력회로와 연결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제 1 개구부와 상기 트랜스포머의 출력부가 상기 전원어댑터의 메인보드상에 구비된 출력회로와 연결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제 2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랜스포머의 외관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중공부가 포함되고,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 및 측면은 폐쇄되는 구조를 이루며, 상기 트랜스포머의 입력부에 일대일 대응되는 상기 측면 소정위치의 상측끝단부에서 하측끝단부까지 절개되어 제 1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트랜스포머의 출력부에 일대일 대응되는 측면 소정위치의 상측끝단부가 하부방향으로 일부분 절개되어 제 2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의 절연구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용 외부절연캡은,
    0.4mm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의 절연구조.
KR2020100001273U 2010-02-04 2010-02-04 트랜스포머의 절연구조 KR2004572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273U KR200457299Y1 (ko) 2010-02-04 2010-02-04 트랜스포머의 절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273U KR200457299Y1 (ko) 2010-02-04 2010-02-04 트랜스포머의 절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934U KR20110007934U (ko) 2011-08-10
KR200457299Y1 true KR200457299Y1 (ko) 2011-12-13

Family

ID=45569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273U KR200457299Y1 (ko) 2010-02-04 2010-02-04 트랜스포머의 절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29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696B1 (ko) * 2020-10-26 2022-07-15 주식회사 코씨엔 트랜스포머용 절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랜스포머용 절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1027U (ko) * 1978-12-29 1980-07-14
JPS5696615U (ko) 1979-12-22 1981-07-31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1027U (ko) * 1978-12-29 1980-07-14
JPS5696615U (ko) 1979-12-22 1981-07-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934U (ko)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222B1 (ko) 보호 코일 및 그를 이용하는 변압기
US10079088B2 (en) Advanced electronic header apparatus and methods
US7969271B2 (en) Current transformer
KR100995128B1 (ko) 코일 중첩형 매립절연변압기
JP4984090B2 (ja) コイル部品
US6734777B2 (en) Transformer with improved insulation
US20070126542A1 (en) Transformer
US3251015A (en) Miniature magnetic core and component assemblies
US20120161913A1 (en) Transformer structure
TW201501147A (zh) 變壓器結構
KR101240854B1 (ko) 트랜스포머
KR20150040528A (ko) 코일 부품
US20180268992A1 (en) Three-phase reactor having insulating structure
US20150109082A1 (en)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457299Y1 (ko) 트랜스포머의 절연구조
CN202855505U (zh) 线圈组件及显示器设备
JP2003017334A (ja) コンバータトランス
CN208570261U (zh) 电感元件及电感元件外壳
KR101328286B1 (ko) 트랜스포머
JP2009224815A (ja) 防磁型薄型トランス
CN102543391A (zh) 变压器结构
JP2010021479A (ja) トランス
US11610717B2 (en) Potting box and transformer
JP6332159B2 (ja) 表面実装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041581A (ja) 表面実装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