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420Y1 - 권취 보빈 - Google Patents

권취 보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420Y1
KR200426420Y1 KR2020060017137U KR20060017137U KR200426420Y1 KR 200426420 Y1 KR200426420 Y1 KR 200426420Y1 KR 2020060017137 U KR2020060017137 U KR 2020060017137U KR 20060017137 U KR20060017137 U KR 20060017137U KR 200426420 Y1 KR200426420 Y1 KR 2004264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wire
primary
zones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1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 치-치
Original Assignee
타이완 딕-필름 인더스트리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완 딕-필름 인더스트리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타이완 딕-필름 인더스트리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20200600171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4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4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변압기의 일차 전선 및 이차 전선의 권선 및 조립을 위한 권취 보빈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권취 보빈은 이차 전선의 권선을 위한 두 개의 이차 권취 지대를 구비하는 이차 권취 보빈과, 상기 두 개의 이차 권취 지대를 수용하여 상기 이차 전선을 절연 및 보호하기 위한 두 개의 하우징 지대를 구비하는 절연 슬리브, 그리고 상기 일차 전선의 권선을 위해 상기 두 개의 하우징 지대 사이에 위치한 일차 권취 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일차 권취 지대와 이차 권취 지대는 서로 별개로 형성되어 있다. 일차 전선이 권선되는 동안 동시에 이차 전선이 권선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생산 속도가 빨라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차 권취 지대가 절연 슬리브 상에 배치되어 있어, 변압기의 조립 동안, 일차 전선이 권선되어 있는 절연 슬리브를 이용하여 이차 전선을 절연 및 보호할 수 있다.
변압기, 권취 보빈, 일차 전선, 이차 전선, 일차 권취 지대, 이차 권취 지대, 절연 슬리브, 하우징 지대

Description

권취 보빈{WINDING BOBBIN}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권취 보빈을 상측에서 본 분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권취 보빈을 하측에서 본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권취 보빈의 분해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권취 보빈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권취 보빈을 도시한 분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권취 보빈을 도시한 분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권취 보빈
20 : 이차 권취 보빈
21, 21', 32 : 권취 지대
25. 25', 35 : 전선
30 : 절연 슬리브
30, 31' 하우징 지대
40 : 철심
본 고안은 권취 보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변압기의 일차 전선 및 이차 전선의 권선 및 조립을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변압기 및 이 변압기용의 램프관 구동 시스템(Transformer and lamp tube driving system for the transformer)" 이라는 명칭의 대만 특허 제 1239538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변압기의 권취 보빈의 경우에는, 상기 특허의 도 3a에 도시된 변압기용 권취 관을 구비하며, 또한 일차 권취 지대, 그리고 이 일차 권취 지대의 양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이차 권취 지대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그러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발생시킨다.
첫째, 일차 권취 지대에 일차 전선이 권선되고 있는 동안에는 이차 권취 지대에 이차 전선이 권선될 수 없다. 일차 전선의 권선이 완료된 후에나 그 양측에 위치한 이차 권취 지대에 이차 전선이 권선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생산 속도가 느려질 수 밖에 없다.
둘째, 권취 보빈과 철심을 조립하여 변압기를 형성하기 이전에, 일차 전선과 그 양측의 이차 전선에 대해 그 적합성 및 정상 여부를 검사하여야 한다. 일차 전선과 이차 전선이 동일한 권취 보빈에 권선됨에 따라, 결점이 검출되는 경우, 이와 같이 일차 전선 및 이차 전선이 이미 권선되어 있는 권취 보빈 전체를 폐기하여야 하므로, 비경제적이다.
셋째, 변압기의 이차 전선의 듀티 전압(duty voltage)이 높으므로, 절연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연면 방전(creepage discharge)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연면 방전이 기타 다른 전자 부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여분의 절연 스페이서를 이차 전선과 기타 다른 전자 부품을 절연시키도록 설계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다(보통, 덮개 캡을 제공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이러한 접근법은 그러나, 변압기의 생산 및 조립에 있어 하나 이상의 공정 추가를 야기하며, 결국 생산비 증가로 이어진다.
전술한 모든 문제점들은 당 산업 분야에 있어서 해결되어야 할 주요한 과제들이다.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서로 별개로 형성된 일차 권선 지대와 이차 권선 지대를 구비하는 신규한 권취 보빈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일차 전선이 권선되는 동안 동시에 이차 전선이 권선될 수 있어, 생산 속도가 빨라지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차 권취 보빈용의 절연 슬리브 상에 일차 권취 지대를 배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변압기의 조립 시에, 이미 일차 전선이 배치되어 있는 절연 슬리브로 하여금 이차 전선을 절연 및 보호할 수 있어 조립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권취 보빈은,
이차 전선의 권선을 위한 두 개의 이차 권취 지대와, 이들 이차 권취 지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이차 권취 보빈;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이차 권취 지대를 수용하여 상기 이차 전선을 절연 및 보호하 기 위한 두 개의 하우징 지대 및 이들 두 개의 하우징 지대 사이에 개재되어 일차 전선의 권선에 사용되는 일차 권취 지대를 구비하는 이차 권취 보빈용 절연 슬리브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 및 본 고안의 그외 다른 목적, 특정 및 장점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권취 보빈이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권취 보빈은 이차 권취 보빈(20)을 포함하며, 이 이차 권취 보빈(20)은 두 개의 이차 전선(25, 25')의 권선을 위한 두 개의 이차 권취 지대(21, 21')를 구비한다. 이들 두 개의 이차 권취 지대(21, 21')는 연결부(2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두 개의 이차 권취 지대(21, 21') 각각에는 또한, 두 개의 이차 전선(25, 25')을 절연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스페이서(26, 26')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외에도 핀(23, 23')이 두 개씩 마련되어 있다. 하나의 이차 권취 지대(21)의 핀(23)은 하나의 이차 전선(25)의 양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의 이차 권취 지대(21')의 핀(23')은 다른 하나의 이차 전선(25')의 양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고안의 권취 보빈(10)은 또한, 이차 권취 보빈용의 절연 슬리브(30)를 포함한다. 이 절연 슬리브(30)는 이차 권취 보빈(20)을 수용하기 위한 두 개의 하우징 지대(31, 31')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하우징 지대(31, 31')는 이차 전선(25, 25')을 절연 및 보호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 으로, 두 개의 하우징 지대(31, 31')의 사이에는 일차 전선(35)의 권선을 위한 일차 권취 지대(32)가 개재되어 있다. 절연 슬리브(30)는 또한, 일차 전선(35)의 양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핀(33)과, 일차 전선(35)의 양 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안내 통로(35)를 구비한다. 일차 전선(35)이 절연 슬리브(30)의 일차 권취 지대(32)에 권선되는 동안, 이차 전선(25, 25') 또한 동시에 이차 권취 보빈(20) 상의 이차 권취 지대(21, 21')에 권선될 수 있다. 이들 두 개의 이차 권취 지대(21, 21')는 절연 슬리브(30)의 두 개의 하우징 지대(31, 3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절연 슬리브(30)에는 제1 철심 구멍(34)이 마련되며, 이차 권취 보빈(20)에는 제2 철심 구멍(24)이 상기 제1 철심 구멍(34)과 정렬되어 관통 홀을 형성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철심(40)이 상기 구멍(24, 34)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철심(40)은 자기장 고리를 발생시키기 위한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E-자형 철심이 예시로써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해서, 변압기(1)의 조립이 완료된다.
일차 권취 지대(32)와 두 개의 이차 권취 지대(21, 21')가 별개로 형성됨에 따라, 일차 전선(35)이 권선되는 동안 동시에 이차 전선(25, 25')이 권선될 수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생산 속도가 빨라지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일차 권취 지대(32)와 이차 권취 지대(21, 21')가 분리되어 있음에 따라, 일차 권취 지대(32)와 이차 권취 지대(21, 21')를 조립하여 변압기(1)를 형성하기에 앞서, 이들 권취 지대의 적합성 여부를 따로따로 검사할 수 있다. 따라서, 일차 전선 및 이차 전선이 동일한 권취 보빈에 권선되어 있어 결점이 검출될 시에 전체 권취 보 빈을 폐기하여야 하는 종래 기술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다만 두 개의 이차 권취 지대(21, 21')의 사이에 연결부(22)가 없다는 점만이 다르다. 변압기(1)의 조립 이전에 이차 권취 지대(21) 상의 이차 전선(25)을 검사하는 동안 결점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이 두 개의 이차 권취 지대(21, 21')를 분리하도록 연결부(22)가 제거되어, 두 개의 이차 권취 보빈(20, 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검사 결과 적합 판정을 받은 이차 권취 보빈(20')이 다른 하나의 마찬가지로 적합 판정을 받은 별개의 이차 권취 보빈(20)과 함께 사용되어 절연 슬리브(30)의 두 개의 하우징 지대(31, 31') 내부에 유지됨으로써 철심(40)과 결합되어 변압기(1)를 구성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그 주요한 차이점으로는, 절연 슬리브(30)의 두 개의 하우징 지대(31, 31')가 개방형 구성을 채택하고 있는 점이다. 당업자라면, 이차 전선(25, 25')의 고압 전하 연면 충전(creepage charge)이 기타 다른 전자 부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차 전선(25, 25')과 도체(회로판의 금속 회로 및 전자 부품과 같은)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거나 서로 밀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연 슬리브(30)가 이차 전선(25, 25')과 도체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킬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에 부합하는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술되어 있긴 하지만,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수정예 및 기타 다른 실시예가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는 본 고안의 권리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일차 권선 지대와 이차 권선 지대를 서로 별개로 형성함으로써, 일차 전선이 권선되는 동안 동시에 이차 전선이 동시에 권선될 수 있도록 하여, 생산 효율 증가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이차 권취 보빈용 절연 슬리브 상에 일차 권취 지대를 마련함으로써, 변압기의 조립 시에, 이미 일차 전선이 배치되어 있는 절연 슬리브를 통해 이차 전선을 절연 및 보호할 수 있어 조립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변압기의 일차 전선 및 이차 전선의 권선 및 조립을 위한 권취 보빈으로서,
    상기 이차 전선의 권선을 위한 두 개의 이차 권취 지대를 구비하는 이차 권취 보빈과;
    상기 두 개의 이차 권취 지대를 수용하여 상기 이차 전선을 절연 및 보호하기 위한 두 개의 하우징 지대를 구비하는 절연 슬리브; 그리고
    상기 일차 전선의 권선을 위해 상기 두 개의 하우징 지대 사이에 위치한 일차 권취 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 보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권취 지대의 사이에는 연결부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 보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슬리브는 상기 일차 전선의 양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 보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이차 권취 지대는 각기, 상기 이차 전선의 양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 보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권취 지대는 상기 이차 전선의 절연을 위한 복수 개의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 보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슬리브는 상기 일차 전선의 양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안내 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 보빈.
KR2020060017137U 2006-06-26 2006-06-26 권취 보빈 KR2004264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137U KR200426420Y1 (ko) 2006-06-26 2006-06-26 권취 보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137U KR200426420Y1 (ko) 2006-06-26 2006-06-26 권취 보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420Y1 true KR200426420Y1 (ko) 2006-09-19

Family

ID=41774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137U KR200426420Y1 (ko) 2006-06-26 2006-06-26 권취 보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4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461B1 (ko) 2009-08-28 2012-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버터용 트랜스 포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461B1 (ko) 2009-08-28 2012-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버터용 트랜스 포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8141B2 (ja) トランスフォーマー及びこれを備える平板ディスプレイ装置
US7498916B2 (en) Holder for a choke coil and an inductive component with the holder
US8432245B2 (en) Power module and circuit board assembly thereof
US20120038448A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EP2012330A2 (en) Insulating cover-equipped transformer mounted on circuit board
TWI435350B (zh) 變壓器
KR20120025441A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3026560A (ja) 内燃機関用の点火コイル
CN109074935A (zh) 分裂式变压器组件
KR20140003131A (ko) 코일 부품과 그 실장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20090167473A1 (en) Transformer structure
KR200426420Y1 (ko) 권취 보빈
WO2018139728A1 (ko) 인덕터 및 인덕터 제조 방법
JP4747826B2 (ja) トランス
JP2009141113A (ja) 巻線部品のボビン
KR101656013B1 (ko) 코일 부품
JP2003272934A (ja) トランス
KR100444232B1 (ko) 2차코일 고정형 트랜스포머 및 그에 사용되는 트랜스 보빈
US6734774B2 (en) Ignition coil
JP2012099590A (ja) トランス
CN101512689A (zh) 灯用变压器
KR101367951B1 (ko)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20020033716A (ko)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
JP7091678B2 (ja) コイル装置
JP3125066U (ja) 巻線管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