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740Y1 - 공진트랜스 - Google Patents

공진트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740Y1
KR200450740Y1 KR2020070018817U KR20070018817U KR200450740Y1 KR 200450740 Y1 KR200450740 Y1 KR 200450740Y1 KR 2020070018817 U KR2020070018817 U KR 2020070018817U KR 20070018817 U KR20070018817 U KR 20070018817U KR 200450740 Y1 KR200450740 Y1 KR 2004507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core
color
primary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069U (ko
Inventor
박종규
Original Assignee
광성전자홍콩유한공사(영업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성전자홍콩유한공사(영업소) filed Critical 광성전자홍콩유한공사(영업소)
Priority to KR2020070018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740Y1/ko
Publication of KR200900050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0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7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7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6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Abstract

본 고안은 공진트랜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관통된 제1삽입부가 중앙에 마련된 제1몸체부와, 그 제1몸체부의 양단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제1칼라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칼라 사이에는 1차코일이 상기 제1몸체부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1차 보빈;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관통된 제2삽입부가 중앙에 마련된 제2몸체부와, 그 제2몸체부의 양단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제2칼라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칼라 사이에는 2차코일이 상기 제2몸체부의 외주면에 권취되며, 상기 1차 보빈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2차 보빈; 상기 1차 보빈과 상기 2차 보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칼라와 상기 제2칼라와 접촉하는 절연벽; 상기 제1칼라 및 상기 제2칼라에 접촉하고, 상기 제1삽입홀과 상기 제2삽입홀에 각각 삽입되며, 폐자로를 형성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코어를 상기 제1칼라 및 제2칼라에 밀착시킴에 따라, 상기 코어가 상기 1차 보빈과 2차 보빈에 위치고정되도록 하는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공진트랜스에 관한 것이다.
1차 보빈, 2차 보빈, 절연벽, 코어, 밀착부재

Description

공진트랜스{Resonance transformer}
본 고안은 공진트랜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를 개선하여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한 공진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고주파트랜스의 2차에 부하로서 콘덴서를 가지고 1차, 2차 전회로가 1차에 공급되는 주파수에 공진하도록 조정할 때는 트랜스에 2차 전압을 평상상태보다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렇게 쓰이는 트랜스를 공진트랜스 또는 공진트랜스포머라고 한다. 요즘의 수신기의 고주파 트랜스는 거의 이러한 공진트랜스를 사용하고 있다. 안테나 코일과 그리드의 공조회로가 그 예이다.
이러한 공진트랜스의 종래기술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공진트랜스(100)는 각각 U자형을 가지면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코어(110)과, 상기 코어(110)를 내부에 수용하며 1차코일(121) 및 2차코일(122)이 권선되는 한 쌍의 보빈(120)과, 상기 코어(110) 및 보빈(120)을 내부에 수용하면서 보빈(120)을 위치고정하는 케이스(1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빈(120)의 양측 하단에는 "ㄱ"자로 절곡된 단자(123)가 마련되며, 단자(123)의 일단은 상기 1차코일(121) 또는 2코일(122)에 접속되며, 단자(123)의 타단은 전기적 연결이 요구되는 인쇄회로기판(미 도시)에 접속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공진트랜스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기술의 트랜스에는 케이스가 마련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공진트랜스의 크기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 소형화되는 전자제품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케이스가 마련됨에 따라 케이스의 두께만큼 공진트랜스의 상하높이를 키우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빈 및 코어를 감싸는 케이스는 통상적으로 값비싼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전체적인 공진트랜스의 제작비용을 증가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사용되는 단자는 "ㄱ" 형으로 절곡된 형태가 사용되게 되는데, 이러한 단자는 1차코일 또는 2차코일과 접촉하는 일단이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공진트랜스의 좌우폭을 크게 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공진트랜스가 소형화되게 하는데 어려움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하면서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공진트랜스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공진트랜스는,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관통된 제1삽입부가 중앙에 마련된 제1몸체부와, 그 제1몸체부의 양단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제1칼라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칼라 사이에는 1차코일이 상기 제1몸체부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1차 보빈;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관통된 제2삽입부가 중앙에 마련된 제2몸체부와, 그 제2몸체부의 양단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제2칼라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칼라 사이에는 2차코일이 상기 제2몸체부의 외주면에 권취되며, 상기 1차 보빈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2차 보빈; 상기 1차 보빈과 상기 2차 보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칼라와 상기 제2칼라와 접촉하는 절연벽; 상기 제1칼라 및 상기 제2칼라에 접촉하고, 상기 제1삽입홀과 상기 제2삽입홀에 각각 삽입되며, 폐자로를 형성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코어를 상기 제1칼라 및 제2칼라에 밀착시킴에 따라, 상기 코어가 상기 1차 보빈과 2차 보빈에 위치고정되도록 하는 밀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공진트랜스에서, 상기 절연벽은,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몸체; 및
상기 절연몸체의 외곽을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절연몸체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칼라 및 제2칼라는, 상기 테두리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테두리부와 대응되는 삽입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진트랜스에서, 상기 코어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제1부재;
상기 한 쌍의 제1부재의 일단에 각각 접촉하며 상기 제1칼라 및 상기 제2칼라에 접촉하는 제2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1부재의 타단에 각각 접촉하며 상기 제1칼라 및 상기 제2칼라에 접촉하는 제3부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진트랜스에서, 상기 제1칼라에는 상기 제2부재 및 제3부재를 수용하도록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칼라에는 상기 제2부재 및 제3부재를 수용하도록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돌출부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진트랜스에서, 상기 코어는 상기 1차 보빈의 제1삽입부 및 2차 보빈의 제2삽입부 내에 각각 삽입되도록 한 쌍이 마련되며, 각각은 "U"자 형상을 가지고, 각 단면은 타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진트랜스에서, 상기 1차 보빈과 상기 2차 보빈의 양측 하단에 마련되며, 1차코일 및 2차코일의 단부에 접속하는 단자는 "┃"자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진트랜스에서, 상기 밀착부재는 절연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공진트랜스는, 절연을 위하여 코어 및 보빈을 둘러싸는 케이스 대신 보빈 및 보빈사이에 절연벽만을 이용하고 있어 전체적인 크기의 소형화 및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측면으로 돌출된 단자를 제거함에 따라 측면의 폭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진트랜스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배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다른 공진트랜스(10)는 1차 보빈(20), 2차 보빈(30), 절연벽(40), 코어(50), 밀착부재(60)로 이루어진다.
상기 1차 보빈(20)은 제1몸체부(21), 제1칼라(22), 날개부(23) 및 단자(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몸체부(21)는 단면이 원형인 원형기둥의 중앙에,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관통된 제1삽입부(21a)가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제1삽입부(21a)는 대략 단면이 원형인 구멍을 말한다. 또한, 제1몸체부(21)의 외주면에는 1차코일(25)이 권선된다.
상기 제1칼라(22)는 제1몸체부(21)의 일단 및 타단에 한 쌍이 마련되는 것으 로서, 그 제1몸체부(2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각각의 제1칼라(22)의 일측 하단에는 그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날개부(23)가 마련된다. 상기 날개부(23)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길이가 짧은 단면쪽은 1차 보빈(20)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에 배치되며, 길이가 긴 쪽은 1차 보빈(20)의 중심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칼라(22)의 일측 또는 타측의 외부 표면에는 그 표면으로부터 1차 보빈(20)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22a)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돌출부(22a)는 후술할 코어(50)의 제2부재(52) 또는 제3부재(53)가 수용될 수 있도록 대략 "┌" 의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제1칼라(22)로부터 돌출된다. 한편, 상기 제1돌출부(22a)와 날개부(23)가 협력하여 전체적으로 "ㄷ"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내부에 코어(50)의 제2부재(52) 또는 제3부재(53)가 수용될 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날개부(23)의 일단에는 상기 1차코일(25)의 단부에 접속하는 단자(24)가 "┃"자 형상을 가지도록 결합되며, 상기 단자(24)는 하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단자(24)는 최상단이 날개부(23)의 일단에 고정결합되고, 상단부분은 1차코일(25)의 단자(24)와 접속되며, 그 아래부분은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접속할 수 있다.
2차 보빈(30)은 제2몸체부(31), 제2칼라(32), 날개부(33) 및 단자(24)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몸체부(31)에는 제2삽입부(31a)가 마련되고, 상기 제2칼라(32)에는 제2돌출부(32a)가 마련되고, 날개부(33)에도 단자(34)가 형성된다. 이러한 2 차 보빈(30)은 상기 1차 보빈(2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 구체적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절연벽(40)은 상기 1차 보빈(20)과 2차 보빈(30)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 1차 보빈(20)과 2차 보빈(30)을 격리시킴으로서 1차 보빈(20)과 2차 보빈(30)간의 전기적 절연이 보다 확실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공진트랜스(10)에서는 1차코일(25)과 2차코일(35)간의 간격이 6mm 이상이 되어야 하는데, 상기 절연벽(40)이 형성됨에 따라 이러한 이격거리를 확보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러한 절연벽(40)은 절연몸체(41)와 테두리부(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연몸체(41)는 제1몸체부(21)와 제2몸체부(31)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양면이 각각 제1몸체부(21)와 제2몸체부(31)에 대면하고 있다. 상기 테두리부(42)는 상기 절연몸체(41)의 외곽을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절연몸체(41)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것으로서, 상기 제1칼라(22) 및 제2칼라(32)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제1칼라(22) 및 제2칼라(32)에는 상기 테두리부(4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테두리부(4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삽입홈(22b, 32b)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삽입홈(22b, 32b)에 상기 테두리부(42)가 안착됨에 따라 상기 절연벽(40)과 상기 1차 보빈(20) 또는 상기 절연벽(40)과 2차 보빈(30)이 서로 결합하게 된다.
상기 코어(50)는 상기 제1칼라(22) 및 제2칼라(32)와 접촉하고, 폐자로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제1부재(51), 제2부재(52), 제3부재(5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부재(51)는 상기 제1삽입부(21a) 및 제2삽입부(31a)와 대응되도록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제1삽입부(21a) 및 제2삽입부(31a)에 삽입된다.
상기 제2부재(52)는 상기 제1칼라(22) 및 제2칼라(32)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제1부재(51)의 일단에 각각 접촉한다.
상기 제3부재(53)는 상기 제1칼라(22) 및 제2칼라(32)의 타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제1부재(51)의 타단에 각각 접촉한다.
상기 밀착부재(60)는 상기 코어(5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코어(50)를 상기 제1칼라(22) 및 제2칼라(32)에 밀착시켜, 상기 코어(50)가 상기 1차 보빈(20) 및 2차 보빈(30)에 위치고정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밀착부재(60)로 절연테이프를 사용하고, 상기 절연테이프를 상기 코어(50)의 외주면을 감싸게 되면, 코어(50) 및 1차 보빈(20)과 2차 보빈(30)이 서로 고정될 뿐만 아니라, 1차 보빈(20)과 2차 보빈(30) 사이에 배치된 절연벽(40)도 동시에 위치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공진 트랜스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공진트랜스(10)를 제작하기 위하여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1차 보빈(20)의 제1몸체부(21)의 외주면에 1차코일(25)을 권선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2차 보빈(30)의 제2몸체부(31)의 외주면에도 2차코일(35)을 권선한다. 이후 1차 보빈(20)에 감긴 1차코일(25)의 양단을 1차 보빈(20)의 날개부(23)에 형성된 단자(24)에 접속한다. 구체적으로는 단자(24)의 상단에 상기 1차코일(25)의 단부를 감아걸고 필요한 납땜작업을 실시한다. 동일한 작업을 2차 보빈(30)에도 실시한다. 이후에, 상기 1차 보빈(20)과 2차 보빈(30)의 사이에 절연벽(40)을 배치시킨 상태에서 1차 보빈(20)과 2차 보빈(30)을 나란하게 병렬로 배치한다. 한편, 이때 절연벽(40)은 그 테두리부(42)가 제1칼라(22) 및 제2칼라(32)의 삽입홈(22b, 32b)에 결합되도록 상기 1차 보빈(20) 및 2차 보빈(30)사이에 위치시킨다. 이후, 코어(50)의 제1부재(51)를 1차 보빈(20)의 제1삽입부(21a) 및 2차 보빈(30)의 제2삽입부(31a)에 삽입한 상태에서, 코어(50)의 제2부재(52) 및 제3부재(53)를 제1돌출부(22a) 및 날개부(23) 또는 제2돌출부(32a) 및 날개부(33) 사이에 형성된 "ㄷ"자형 공간내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제2부재(52) 및 제3부재(53)는 상기 공간 내에 삽입과 함께 제1부재(51)의 양단에 각각 접촉하게 된다. 이후에, 상기 코어(50)의 외주면을 밀착부재(60)를 이용하여 감아 밀착시킴에 따라 코어(50)가 1차 보빈(20)과 2차 보빈(30)에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인 조립작업을 완료한다. 한편, 조립이 완료된 공진트랜스(10)는 필요한 인쇄회로기판 등에 삽입하여 소정의 전기적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공진트랜스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종래기술에 따른 공진트랜스는 보빈들 간의 전기적 절연 및 서로간의 결합을 위하여 보빈 및 코어를 덮는 케이스를 마련하였으나, 이러한 케이스는 그 부피가 크기 때문에 전체적인 공진트랜스의 소형화를 이루게 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이에 반하여 본 실시예는 상기 1차 보빈과 2차 보빈을 서로 격리하고 전기적 절연을 유도하기 위하여, 1차 보빈과 2차 보빈 사이에 절연벽을 마련하고, 1차 보빈 및 2차 보빈의 결합을 위하여 밀착부재를 이용하였다. 이에 따라 적어도 케이스의 두께만 큼 전체적인 공진트랜스의 상하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공진트랜스의 체적감소는 대략 30% 정도이다.
또한, 종래기술에 사용되는 케이스는 그 부피가 크기 때문에 제작을 위한 재료가 많이 필요하게 되나(특히 절연을 위한 합성수지 소재는 그 단가가 일반 합성수지소재에 비하여 고가이다), 본 실시예는 절연벽 만큼의 재료만으로 충분히 공진트랜스의 절연효과를 가질 수 있게 하므로 동일효과 대비 적은 재료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체적인 재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단자를 "ㄱ" 자 형으로 구부려 보빈의 하단에 형성시키고, 보빈에서 측면으로 돌출된 부분에 코일의 단부를 감아걸어 접속하게 되는데,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단자는 공진트랜스의 전체적인 좌우폭을 증가시키게 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종래의 공진트랜스는 상기 단자의 측면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케이스를 이용하여 단자를 덮도록 하고 있으나, 단자의 측면돌출 길이에 더하여 상기 케이스의 두께만큼 더욱 돌출되게 되므로, 전체적인 공진트랜스의 좌우폭을 크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핀을 수직으로 "┃"자 형상으로 배치하고, 상기 단자의 상단에 제1코일 또는 제2 코일의 단부를 결합하고 있으므로, 종래기술과 같이 측면으로 돌출된 부분이 없어 공진트랜스의 좌우폭을 상당부분 감소시킬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절연벽은 테두리부가 삽입홈에 결합되게 되는데, 이는 절연벽과 제1칼라 및 제2칼라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코어와 1차코일 또는 코어와 2차코일사이의 연면거리(creepage distance: 전극간의 절연물의 외표면을 따라 측정한 최단거리)를 증가시키게 한다.
즉, 1차코일을 통하여 발생된 자속은 직선적으로 코어와 연결되지 않고 수직 및 수평경로를 거쳐서 코어에 연결되어 전체적인 연면거리가 증가하게 된다. 즉, 3mm 의 연면거리를 만들기 위하여 절연벽과 코어 사이에 직선적으로 슬릿이 형성되면, 적어도 3mm 만큼 절연벽과 코어가 이격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 및 수평적으로 지그재그 형태의 슬릿이 형성되게 되므로 그 절연벽의 표면을 따라서 측정되는 연면거리는 3mm 가 되어도 코어와 1차코일사이의 거리가 3mm 만큼 이격되지 않아도 된다. (즉, 수평거리 2mm이고, 수직거리가 1mm 인 경우에는 1mm 만큼의 거리만큼 상기 코어와 1차코일이 이격되면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공진트랜스는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공진트랜스의 코어는 제1부분, 제2부분 및 제3부분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전체적으로 "U" 자형을 가지는 한 쌍의 코어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각 코어의 단면은 타원형, 원형, 사각형 중에서 어느 것이나 선택할 수 있다. 도 6은 타원형단면을 가지는 코어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7에는 사각단면을 가지는 코어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밀착부재는 절연테이프 이외에도 절연을 하면서 상기 코어를 1, 2차 코어에 밀착시켜 위치고정하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사용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단자는 "┃" 형상이외에도 1, 2차 보빈에 설치되었을 때 측면으로 돌출되지 않는 형상이라면 무엇이나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공진트랜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진트랜스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3의 배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진트랜스의 코어.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진트랜스의 코어.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0...공진트랜스 20... 1차 보빈
21...제1몸체부 21a...제1삽입부
22...제1칼라 22a...제1돌출부
22b...삽입홈 23...날개부
24...단자 25...1차코일
30...2차 보빈 31...제2몸체부
31a...제2삽입부 32...제2칼라
32a... 제2돌출부 32b...삽입홈
33...날개부 34...단자
35...2차코일 40...절연벽
41...절연몸체 42...테두리부
50...코어 51...제1부재
52...제2부재 53...제3부재
60...밀착부재

Claims (7)

  1.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관통된 제1삽입부(21a)가 중앙에 마련된 제1몸체부(21)와, 그 제1몸체부(21)의 양단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제1칼라(22)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칼라(22) 사이에는 1차코일(25)이 상기 제1몸체부(21)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1차 보빈(20);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관통된 제2삽입부(31a)가 중앙에 마련된 제2몸체부(31)와, 그 제2몸체부(31)의 양단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제2칼라(32)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칼라(32) 사이에는 2차코일(35)이 상기 제2몸체부(31)의 외주면에 권취되며, 상기 1차 보빈(20)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2차 보빈(30);
    상기 1차 보빈(20)과 상기 2차 보빈(3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칼라(22) 및 상기 제2칼라(32)와 접촉하는 절연벽(40);
    상기 제1칼라(22) 및 상기 제2칼라(32)에 접촉하고, 상기 제1삽입부(21a)와 상기 제2삽입부(31a)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1차 보빈(20)과 상기 2차 보빈(30)을 둘러싸도록 연결하는 자성재료로 이루어진 코어(50); 및
    상기 코어(5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코어(50)를 상기 제1칼라(22) 및 제2칼라(32)에 밀착시킴에 따라, 상기 코어(50)가 상기 1차 보빈(20)과 2차 보빈(30)에 위치고정되도록 하는 밀착부재(60);를 포함하되,
    상기 절연벽(40)은,
    상기 제1몸체부(21)와 상기 제2몸체부(31)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몸체(41); 및
    상기 절연몸체(41)의 외곽을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절연몸체(41)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테두리부(4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칼라(22) 및 제2칼라(32)는, 상기 테두리부(42)를 수용하도록 상기 테두리부(42)와 대응되는 삽입홈(22b, 32b)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트랜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50)는,
    상기 제1삽입부(21a)와 상기 제2삽입부(31a)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제1부재(51);
    상기 한 쌍의 제1부재(51)의 일단에 각각 접촉하며 상기 제1칼라(22) 및 상기 제2칼라(32)에 접촉하는 제2부재(52); 및
    상기 한 쌍의 제1부재(51)의 타단에 각각 접촉하며 상기 제1칼라(22) 및 상기 제2칼라(32)에 접촉하는 제3부재(5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트랜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칼라(22)에는 상기 제2부재(52) 및 제3부재(53)를 수용하도록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돌출부(22a)가 마련되고,
    상기 제2칼라(32)에는 상기 제2부재(52) 및 제3부재(53)를 수용하도록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돌출부(32a)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트랜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50)는 상기 1차 보빈(20)의 제1삽입부(21a) 및 2차 보빈(30)의 제2삽입부(31a) 내에 각각 삽입되도록 한 쌍이 마련되며, 각각은 "U"자 형상을 가지고, 각 단면은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트랜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보빈(20)과 상기 2차 보빈(30)의 양측 하단에 마련되며, 상기 1차코일(25) 및 상기 2차코일(35)의 단부에 접속하는 단자(24)는 "┃"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트랜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60)는 절연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트랜스.
KR2020070018817U 2007-11-22 2007-11-22 공진트랜스 KR2004507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817U KR200450740Y1 (ko) 2007-11-22 2007-11-22 공진트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817U KR200450740Y1 (ko) 2007-11-22 2007-11-22 공진트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069U KR20090005069U (ko) 2009-05-27
KR200450740Y1 true KR200450740Y1 (ko) 2010-10-26

Family

ID=4130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817U KR200450740Y1 (ko) 2007-11-22 2007-11-22 공진트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74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105077D0 (en) * 2011-03-25 2011-05-11 Redisem Ltd Transformer for resonant converters
CN107170559A (zh) * 2016-03-08 2017-09-15 东京零件工业股份有限公司 线路滤波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659A (ko) * 2003-09-16 2005-03-21 주식회사 필룩스 엘씨디 백라이트용 트랜스
KR100631124B1 (ko) 2005-06-23 2006-10-02 삼성전기주식회사 인버터 트랜스포머
KR20060111369A (ko) * 2005-04-22 2006-10-27 스미다 코포레이션 인버터 트랜스포머
KR20070000046A (ko) * 2005-06-27 2007-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인버터 트랜스포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659A (ko) * 2003-09-16 2005-03-21 주식회사 필룩스 엘씨디 백라이트용 트랜스
KR20060111369A (ko) * 2005-04-22 2006-10-27 스미다 코포레이션 인버터 트랜스포머
KR100631124B1 (ko) 2005-06-23 2006-10-02 삼성전기주식회사 인버터 트랜스포머
KR20070000046A (ko) * 2005-06-27 2007-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인버터 트랜스포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069U (ko)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2245B2 (en) Power module and circuit board assembly thereof
US20070126542A1 (en) Transformer
US6734777B2 (en) Transformer with improved insulation
US7969271B2 (en) Current transformer
KR101913172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KR20150050025A (ko) 코일 부품
KR101240854B1 (ko) 트랜스포머
KR200450740Y1 (ko) 공진트랜스
US20040113739A1 (en) Low profile transformer
KR102173774B1 (ko) 코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JP4747826B2 (ja) トランス
JP4775093B2 (ja) 高電圧トランス
KR100444232B1 (ko) 2차코일 고정형 트랜스포머 및 그에 사용되는 트랜스 보빈
JPH09205023A (ja) チョークコイル
JP3088788U (ja) 変圧器のコイルボビン
KR101090003B1 (ko) 트랜스포머
CN114144856A (zh) 电流互感器模块
US20220285069A1 (en) Base and transformer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01313222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KR20020033716A (ko) 고전압 트랜스포머용 보빈
US1109445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EP4266333A1 (en) Electronic component module and power supply device comprising same
US20240090132A1 (en) Electronic component module and power supply device comprising same
JP2012099590A (ja) トランス
JP2008205210A (ja) トラ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