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33Y1 - 황토방의 조립식 내벽 구조물 - Google Patents

황토방의 조립식 내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33Y1
KR200200333Y1 KR2020000012569U KR20000012569U KR200200333Y1 KR 200200333 Y1 KR200200333 Y1 KR 200200333Y1 KR 2020000012569 U KR2020000012569 U KR 2020000012569U KR 20000012569 U KR20000012569 U KR 20000012569U KR 200200333 Y1 KR200200333 Y1 KR 2002003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ocher
predetermined area
wall structure
contac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2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호균
Original Assignee
나호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호균 filed Critical 나호균
Priority to KR2020000012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03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04F15/02016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with sealing elements between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황토방의 조립식 내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황토방의 내벽 구조물에 있어서, 소정면적을 갖는 상하 한 쌍의 부재(11)(12)로 이루어지며, 그 대응면에 복수개로 배열된 타원형의 홀(13)이 형성되도록 각각 반원형의 호스 삽입홈(14)(15)이 형성되고, 상측면의 각 단부에 모따기부(16)가 형성되는 바닥재(10)와 각기 소정면적의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단부에 전방과 외측으로 개방된 밀착면(31)을 가지고 있고, 타측단부에 상기 밀착면(31)에 대응 접합될 수 있도록 후방과 외측으로 개방된 결합면(32)을 가지며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밀착면(31)에는 상하방향의 세로홈(33)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면(32)에는 상기 세로홈(3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연장돌기(34)가 형성되는 벽체(30)와; 상기 바닥재(10)와 벽체(30)의 인접부 틈새에 제공되며, 소정면적을 갖는 상하 한 쌍의 보강부재(21)(22)로 이루어지고, 그 대응면에 상기 바닥재(10)에배열된 홀(13)을 서로 연통시키는 U자형 호수 안내홀(23)이 형성되는 보강재(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황토방의 조립식 내벽 구조물{ASSEMBLY TYPE WALL AND FLOOR STRUCTURE OF OCHER ROOM}
본 고안은 황토방의 조립식 내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황토방을 이루는 바닥재와 벽체가 황토 볏짚 참숯 칡외피로 제조되도록 함과 동시에 이들이 조립식으로 소정면적을 가지며 분할하여 구성되도록 하고 또한 내부에 냉난방용 호스가 간편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인체의 건강은 물론 시공과 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황토방의 조립식 내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황토방은, 황토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이 인체의 신진대사, 혈액순환등을 촉진시킨다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통상 바닥재와 벽체를 황토로 형성하고, 또한 이들 내부에 히팅수단을 구비하여 히팅수단의 열기에 의해 사용자가 황토방 내에서 충분히 땀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황토방은 제작시, 바닥 또는 벽면에 온열을 위한 히팅수단 즉, 난방용 호스를 지그재그 형태로 부착하고, 그 위에 반죽된 황토를 바르거나 사각형태의 거푸집으로 제작하여 이들을 바닥면 또는 벽면에 부착시켜 제작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황토방을 제작하게 되면 황토방이 작은 경우에는 제작 시간 또는 작업성이 크게 제한되지 않지만 대형의 황토방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히팅수단에 따른 호스 고정 또는 넓은 바닥과 벽면에 황토층 형성시 많은 불편함이 있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황토방의 벽면을 사각형태의 틀로 벽체를 제작하여 이를벽면에 부착시키는 시공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 또한 히팅용 호스와 바닥재가분리되어 있어 제작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황토방의 바닥재와 벽체가 서로 조립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바닥재의 내부에 냉난방용 호스가 간편하게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작업의 용이 또는 보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황토방의 조립식 내벽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황토방의 조립식 내벽 구조물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본 고안에 따른 황토방의 바닥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본 고안에 따른 황토방 바닥재의 마무리 보강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 본 고안에 따른 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바닥재 11: 상부 부재
12: 하부 부재 13:호스 삽입홀
14,15: 호스 삽입홈 16: 모따기부
17,26: 밀림방지홈 20: 보강재
21: 상부 보강부재 22: 하부 보강부재
23: 호스 안내홀 24,25: U자형 홈
30: 벽체 31: 밀착면
32: 결합면 33: 세로홈
34: 연장돌기 40: 볏짚
50: 호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황토방의 내벽 구조물에 있어서, 소정면적을 갖는 상하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그 대응면에 복수개로 배열된 타원형의 홀이 형성되도록 각각 반원형의 호스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측면의 각 단부에 모따기부가 형성되는 바닥재와; 각기 소정면적의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단부에 전방과 외측으로 개방된 밀착면을 가지고 있고, 타측단부에 상기 밀착면에 대응 접합될 수 있도록 후방과 외측으로 개방된 결합면을 가지며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밀착면에는 상하방향의 세로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면에는 상기 세로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연장돌기가 형성되는 벽체와; 상기 바닥재와 벽체의 인접부 틈새에 제공되며, 소정면적을 갖는 상하 한 쌍의 보강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대응면에 상기 바닥재에 배열된 홀을 서로 연통시키는 U자형 호수 안내홀이 형성되는 보강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따라 본 고안은, 황토방을 이루고자 하는 실내의 바닥면에 바닥재의 하부 부재를 복수개 배열 안착시키고, 벽면과 이루는 틈새에는 상기 하부 보강부재를 안착시켜 이들 상면에 형성된 호스 삽입홈에 호스를 지그재그 형태로 안착시킨 다음 그 상면에 상부 부재를 대향되게 접합시킨다. 그리고 나서 각 단부의 모따기부에 의해 형성된 홈에 황토재를 충전시켜 이들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벽면에 복수개의 벽체를 각 양단에 형성된 밀착부와 결합부를 서로 끼움 조립하게 되면 바닥재와 벽체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황토방의 조립식 내벽 구조물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황토방의 조립식 내벽 구조물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본 고안에 따른 황토방의 바닥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서 본 고안에 따른 황토방 바닥재의 마무리 보강재를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본 고안에 따른 벽체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은 황토방의 실내를 이루는 바닥재(10)와 보강재(20) 그리고 벽체(30) 및 냉난방용 호스(50)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재(10)는, 소정면적을 갖는 상하 한 쌍의 부재(11)(12)로 이루어지며, 그 대응면에 복수개로 배열된 타원형의 홀(13)이 형성되도록 각각 반원형의 호 스 삽입홈(14)(15)이 형성되고, 상측면의 각 단부에 모따기부(16)가 형성된다.
상기 모따기부(16)는 황토방의 바닥면에 바닥재(10)의 배열시 이들 사이의 결합면에 홈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상기 홈에 접착성 재료를 실링하므로써 서로 배열된 바닥재(10)의 밀림 또는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벽체(30)는, 각기 소정면적의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단부에전방과 외측으로 개방된 밀착면(31)을 가지고 있고, 타측단부에 상기 밀착면(31)에대응 접합될 수 있도록 후방과 외측으로 개방된 결합면(32)을 가지며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밀착면(31)에는 상하방향의 세로홈(33)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면(32)에는 상기 세로홈에(33) 삽입될 수 있도록 연장돌기(3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벽체(30)의 밀착면(31)과 또 다른 벽체(30)의 결합면(32)을 접합시키게 되면 그 두께가 벽체(30)의 두께와 결합부위의 두께가 동일하게 유지된다.
상기 보강재(20)는, 상기 바닥재(10)와 벽체(30)의 인접부 틈새에 제공되며,소정면적을 갖는 상하 한 쌍의 보강부재(21)(22)로 이루어지고, 그 대응면에 상기바닥재(10)에 배열된 홀(13)을 서로 연통시키는 U자형 호수 안내홀(23)이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 보강부재(22)의 상면에는 상향으로 개방된 U자형 홈(25)이 형성되도록 하되 양쪽단이 외측으로 개방되어 형성되고, 또한 상기 하부 보강부재(22)의 상면과 대응되는 상부 보강부재(21)의 저면에는 상기 U자형 홈(25) 과 대응되도록 하향으로 개방된 U자형 홈(24)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바닥재(10)와 보강재(20)의 저면 즉, 바닥재(10)의 하부부재(12)와 보강재(20)의 하부 보강부재(22)의 저면에는 실내의 바닥공간에 제공되는 모래(S) 등과의 접합시 밀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밀림방지홈(17)(2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재(10)와 보강재(20) 및 벽체(30)는 황토와 볏짚과 참숯과 칡피가 적정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볏짚(40)은 격자형상 즉 씨줄과 날줄 형태로 꼬아진 것으로 이들 부재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볏짚(40)과 칡피를 함께 사용해도 무방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황토방의 조립식 내벽 구조물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그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황토방을 이루고자 하면, 먼저 실내의 바닥공간에 모래(S)층을 형성시키고, 연속해서 본 고안의 바닥재(10) 하부 부재(12)를 바닥공간의 전면에 걸쳐 복수개 배열 안착시킨다. 이때 바닥공간의 양쪽에는 벽면과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도록 하며, 하부 부재(12)의 호스 삽입홈(15)이 동일라인으로 배열되도록 하고 이라인의 양쪽 단부가 틈새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바닥공간의 틈새에 보강재(20)의 하부 보강부재(22)를 배열시키게 되면, 바닥재(10)의 호스 삽입홀(13) 즉 하부 부재(12)의 호스 삽입홈(15)이 하부 보강부재(22)의 U자형 홈(25)과 연통되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게 된다.
이때, 상기 호스 삽입홈(15)과 U자형 홈(25)에 타원형상의 호스(50)를 안착 시키고, 이후 상부 부재(11)와 상부 보강부재(21)를 덮개 되면 히팅장치의 매설이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호스(50)는 타원형상 뿐만 아니라 일반 호스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후, 바닥재(10)의 상측 모따기부(16)에 의해 제공되는 홈에 황토를 삽입시키게 되면 응고시 실내의 바닥재(10) 설치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그리고, 벽체(30)를 조립하고자 하면, 먼저 도 4에 도시된 벽체(30)의 일면을 접착재가 도포된 벽면 또는 벽면(30)의 일면에 접착재를 부착시키고 연속해서 벽체(30)의 밀착면(31)과 또다른 벽체(30)의 결합면(32)을 밀착 결합시키게 되면,밀착면(31)과 결합면(32)에 형성된 세로홈(33)과 연장돌기(34)가 서로 결합되면서간편하게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황토방의 조립식 내벽 구조물은, 황토방을 이루는 바닥재와 벽체가 각기 조립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바닥재의 내부에 냉난방용 호스를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황토방내에 바닥재와 벽체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보수 공사시 일부만을 탈거시켜 공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작업 효율성 및 경제적 비용을 절감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바닥재에 설치되는 냉난방용 호스가 원형구조 뿐만 아니라 타원형상의구조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냉난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바닥재와 벽체가 황토와 참숯이 혼합된 재료에 의해 성형되는 한편, 그 내부에 볏짚과 칡피에 의해 격자형상으로 꼬아진 보강틀에 의해 성형되므로써, 바닥재와 벽체의 경도와 응집력 증가로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4)

  1. 황토방의 내벽 구조물에 있어서,
    소정면적을 갖는 상하 한 쌍의 부재(11)(12)로 이루어지며, 그 대응면에 복수개로 배열된 타원형의 홀(13)이 형성되도록 각각 반원형의 호스 삽입홈(14)(15)이 형성되고, 상측면의 각 단부에 모따기부(16)가 형성되는 바닥재(10)와;
    각기 소정면적의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단부에 전방과 외측으로개방된 밀착면(31)을 가지고 있고, 타측단부에 상기 밀착면(31)에 대응 접합될 수있도록 후방과 외측으로 개방된 결합면(32)을 가지며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밀착면(31)에는 상하방향의 세로홈(33)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면(32)에는 상기 세로홈(3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연장돌기(34)가 형성되는 벽체(30)와;
    상기 바닥재(10)와 벽체(30)의 인접부 틈새에 제공되며, 소정면적을 갖는 상하 한 쌍의 보강부재(21)(22)로 이루어지고, 그 대응면에 상기 바닥재(10)에 배열된홀(13)을 서로 연통시키는 U자형 호수 안내홀(23)이 형성되는 보강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방의 조립식 내벽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10)의 타원형 홀(13)에 타원형상의 냉난방용 호스(5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방의 조립식 내벽 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10)와 보강재(20) 및 벽체(30)가, 황토, 참숯, 칡피, 볏짚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볏짚과 칡피는 격자형상으로 꼬아져서 강성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방의 조립식 내벽 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10)와 보강재(20)의 저면에는 실내의 바닥면에 적층되는 모래(S)에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밀림방지홈(17)(26)이 형성되도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방의 조립식 내벽 구조물.
KR2020000012569U 2000-05-02 2000-05-02 황토방의 조립식 내벽 구조물 KR2002003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569U KR200200333Y1 (ko) 2000-05-02 2000-05-02 황토방의 조립식 내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569U KR200200333Y1 (ko) 2000-05-02 2000-05-02 황토방의 조립식 내벽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33Y1 true KR200200333Y1 (ko) 2000-10-16

Family

ID=19654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569U KR200200333Y1 (ko) 2000-05-02 2000-05-02 황토방의 조립식 내벽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3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259B1 (ko) * 2000-11-22 2003-05-09 진공순 찜질방용 황토벽체의 구조
KR100816644B1 (ko) 2006-09-19 2008-03-27 이병수 대마황토를 이용한 찜질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259B1 (ko) * 2000-11-22 2003-05-09 진공순 찜질방용 황토벽체의 구조
KR100816644B1 (ko) 2006-09-19 2008-03-27 이병수 대마황토를 이용한 찜질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49804T3 (es) Estructuras internas de pared de colchon que se pueden acoplar de forma enclavada con conjuntos de muelles de colchon.
CN103249892B (zh) 用于桥梁的上部结构
JPH05123281A (ja) マツト
US8881321B1 (en) Spa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system
JP5186519B2 (ja) 土台用スペーサ及び土台構造
KR200200333Y1 (ko) 황토방의 조립식 내벽 구조물
JP3169539B2 (ja) 床化粧材およびこの床化粧材の敷設構造
JP4512513B2 (ja) 土台用スペーサ及び土台構造
KR200305718Y1 (ko) 조립식 파티션
KR100467910B1 (ko) 마루 조립체
KR20050021749A (ko) 조립식 온돌 패널 및 그 설치방법
KR200340839Y1 (ko) 건축용 조립식 판넬
KR200404135Y1 (ko) 조립식 매트의 조립부재
KR200397711Y1 (ko) 조립식 온돌판넬
CN216620043U (zh) 底盘、机壳和立式空调器
CN212984460U (zh) 一种外墙保温装饰板的固定结构
JP2888284B2 (ja) 水路構造
KR200452938Y1 (ko) 소파용 골조
JPH10196093A (ja) ユニット式床材
KR102643025B1 (ko) 차량용 바닥구조물 및 그 조립방법
KR200321233Y1 (ko) 자체 체결부재를 갖는 히팅 패널
KR200382523Y1 (ko) 건축물 외벽의 침투수 및 결로수 유도용 배수트렌치 구조
KR200322177Y1 (ko) 벽면 마감재
JP3064349U (ja) 綴り合わせ方式の木質床構造
JP2006083561A (ja) 土台用スペーサ及び土台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