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523Y1 - 건축물 외벽의 침투수 및 결로수 유도용 배수트렌치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 외벽의 침투수 및 결로수 유도용 배수트렌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523Y1
KR200382523Y1 KR20-2005-0003133U KR20050003133U KR200382523Y1 KR 200382523 Y1 KR200382523 Y1 KR 200382523Y1 KR 20050003133 U KR20050003133 U KR 20050003133U KR 200382523 Y1 KR200382523 Y1 KR 2003825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ch
drain pipe
building
wall
drainage tr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1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년중
Original Assignee
김년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년중 filed Critical 김년중
Priority to KR20-2005-00031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5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5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5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 외벽의 침투수 및 결로수 유도용 배수트렌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 외벽면과 보온방습판넬 사이에서 형성되는 침투수 및 결로수를 유도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수트렌치에 있어서, 배수관 연결부를 구비한 그레이팅 안착부가 바닥면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은 양측 벽면의 중앙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H형상을 이루며, 상기 바닥면과 양측 벽면의 좌·우측에 이음절개부가 대응되게 구비되고, 일측 벽면의 하부에는 배수관의 인출을 위한 개방부가 형성된 배수관 결합용 트렌치의 좌·우측에는 바닥면이 양측 벽면의 중앙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H형상을 이루며, 상기 바닥면과 양측 벽면의 좌·우측에 이음절개부가 대응되게 구비된 연결트렌치가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며 본 고안의 고안자에 의한 보온방습판넬과 함께 사용되어 건축물의 실제 사용공간을 확대할 수 있으며, 종래의 공법에서 사용되던 배수트렌치 보다 가볍고,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 맞춰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수평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결합하는 방식에 비하여 시공편차를 줄일 수 있고, 건축물의 모서리 부근에서 결합에 필요한 공간도 종래보다 감소되어 시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 외벽의 침투수 및 결로수 유도용 배수트렌치 구조{STRUCTURE OF DRAINAGE TRENCH FOR INDUCING INFILTRATED WATER AND DEW IN STRUCTURE'S OUTSIDE WALL}
본 고안은 배수트렌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외벽면의 보온 및 방습을 위해 설치되는 판넬과 외벽면 사이에서 형성되는 침투수 및 결로수를 집수·유도하여 배출하는 건축물 외벽의 침투수 및 결로수 유도용 배수트렌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지하에는 옹벽이 설치되어 있으며, 옹벽 내·외부의 온도차로 인한 결로수(結露水)나 침투수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옹벽의 하단 측면부에 약 200mm 가량의 배수트렌치를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등을 이용하여 설치하고 상기 배수트렌치의 건축물 내부 방향측 단부에 4˝ 또는 6˝ 방습블럭을 쌓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할 경우 배수트렌치와 방습블럭에 의하여 최소 300mm ~ 360mm 이상의 폭이 무용화 되어 건축물의 실제 사용면적이 대폭 감소되며, 상기의 배수트렌치나 방습블럭 등 자재의 무게로 인한 건축물의 하중증가, 운반 및 시공상의 어려움과 이에 따른 공사비 및 공사기간의 증가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고안자는 실용신안등록 제371603호에서, 충분한 보온 및 방습효과를 구현하면서도 얇고 가벼워 시공이 편리하고 비용도 저렴한 보온방습판넬구조에 대하여 소개한 바 있으며, 이와 같은 보온방습판넬을 사용하여 시공할 경우에는 외벽으로부터 상기 판넬의 내측면 까지의 폭이 약 10mm ~ 70mm 가량에 불과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보온방습판넬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외벽에 직접 결합되거나 보조물을 이용하여 결합되므로 건축물의 바닥면에서 일정간격 이상을 이격시켜 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의 배수트렌치를 그대로 적용할 필요가 없게 되었고, 상기 보온방습판넬의 장점들을 잘 살릴 수 있는 새로운 배수트렌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상기 보온방습판넬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배수트렌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음절개부가 대응되게 구비된 H형상의 연결트렌치와 배수관 결합용 트렌치를 제공하여 건설현장에서 손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건축물 외벽의 침투수 및 결로수 유도용 배수트렌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외벽의 침투수 및 결로수 유도용 배수트렌치(100) 구조는 건축물 외벽면(300)과 보온방습판넬(200) 사이에서 형성되는 침투수 및 결로수를 유도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수트렌치에 있어서, 배수관 연결부(1)를 구비한 그레이팅 안착부(2)가 바닥면(3)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3)은 양측 벽면(4a,4b)의 중앙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H형상을 이루며, 상기 바닥면(3)과 양측 벽면(4a,4b)의 좌·우측에 이음절개부(5a,5b,6a,6b)가 대응되게 구비되고, 일측 벽면(4b)의 하부에는 배수관(10)의 인출을 위한 개방부(7)가 형성된 배수관 결합용 트렌치(8)의 좌·우측에는 바닥면(3)이 양측 벽면(4)의 중앙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H형상을 이루며, 상기 바닥면(3)과 양측 벽면(4a,4b)의 좌·우측에 이음절개부(5a,5b,6a,6b)가 대응되게 구비된 연결트렌치(9)가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구성, 작용효과 및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렌치(100)는 전체적으로 H형상의 빔 형태를 이루며, 양측 벽면(4a,4b)과 바닥면(3)의 양측단에 이음절개부(5a,5b,6a,6b)가 대응되게 구비된 연결트렌치(9)와 배수관 결합용 트렌치(8)의 연속적인 결합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트렌치(9)와 배수관 결합용 트렌치(8)의 바닥면 이음절개부(5a)는 일측에서는 벽면의 이음절개부(6a)와 일체로 형성되고, 반대측에서는 벽면 이음절개부(6a,6b)의 두께만큼 벽면 이음절개부(6b)에서 이격되게 형성되어 두개의 트렌치가 결합될 때 상부에서 하부로 용이하게 끼워 맞춰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수평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결합하는 방식에 비하여 시공편차를 줄일 수 있고, 건축물의 모서리 부근에서 결합에 필요한 공간도 종래보다 감소되어 시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배수관 결합용 트렌치(8)는 중심부에 배수관(10)을 결합할 수 있는 배수관 연결부(1)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 연결부(1) 주위로 그레이팅 안착부(2)가 형성되어 합성수지 또는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그레이팅(2′)이 안착되어 침투수 또는 결로수에 섞여있는 이물질이 배수관(1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 배수구가 건축물의 바닥에 수직으로 형성되지 않고 건축물의 벽에 수직인 방향이나 건축물의 벽 및 건축물의 바닥에 대각선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배수관(10)을 인출시켜 위치에 맞게 연결시키기 위하여, 도 3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 결합용 트렌치(8)의 일측 벽면(4b)의 하부에 배수관(10)의 위치 및 방향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하는 개방부(7)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트렌치(9)와 배수관 결합용 트렌치(8)의 재질로는 합성수지 또는 석재 등의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나, 금형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일체로 제작하고, 미관이나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합성수지와 석재분말을 혼합하여 경화시킨 인조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온방습판넬(200)의 하부에 본 고안에 의한 배수트렌치(100)가 시공되어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상기 배수트렌치(100)의 폭이 건축물의 외벽과 보온방습판넬의 골(210)까지의 폭보다 넓어야 하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본 고안에 의한 배수트렌치(100)의 시공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건축물 외벽 또는 바닥면(3)에 형성된 배수구에 배수관(10)을 연결하고, 상기 배수관(10)을 배수관 결합용 트렌치(8)의 배수관 연결부(1)에 결합하여 상기 배수관 결합용 트렌치(8)의 위치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배수관 결합용 트렌치(8)의 좌·우측 방향으로 연결트렌치(9)를 연속적으로 결합하는데, 이때 연결트렌치(9)를 배수관 결합용 트렌치(8)의 직상방에서 하방으로 트렌치의 이음절개부(5a,5b,6a,6b)를 끼워 맞출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수관 결합용 트렌치(8)와 연결트렌치(9)를 양측에 결합한 후에는 건축물의 넓이에 따라 연결트렌치(9)를 연속적으로 끼워 맞춰 시공할 수 있으며, 배수트렌치(100)의 양측단에서는 최종적으로 필요한 길이 만큼을 재단하고 별도의 측벽판(도시않음)으로 접합한 후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건축물의 넓이에 따라 배수트렌치(100)의 연결 및 위치지정이 완료된 후 연결부위에 실리콘 등을 도포하여 방수처리를 하고 상기 배수트렌치(100)의 배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건축물 외벽에 고정시키면 시공이 완료된다.
일반적으로 배수트렌치(100)와 보온방습판넬(200)을 시공할 때 어떤 것을 먼저 시공하여도 무방하지만, 보온방습판넬(200)을 먼저 시공하게 되면 연결트렌치(9)를 하나씩 결합하면서 건축물의 외벽면(300)에 고정시킬 수 없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을 완료한 후 건축물 외벽면(300)에 접착제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수트렌치(100)를 먼저 시공할 경우에는 연결트렌치(9)를 하나씩 결합시키며 건축물의 외벽면(300)에 고정시키는 방법이나 배수트렌치(100) 전체의 결합을 완료한 후 건축물의 외벽면(300)에 고정시키는 방법 중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어떠한 방법을 선택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보온방습판넬(200)의 하단과 배수트렌치(100)의 양측 벽면(4) 상단 사이에는 약 30mm 정도가 이격되도록 시공하여 습한 공기가 환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과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설명으로서,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건축물 외벽의 침투수 및 결로수 유도용 배수트렌치 구조는 본 고안의 고안자에 의한 보온방습판넬과 함께 사용되어 건축물의 실제 사용공간을 확대할 수 있으며, 종래의 공법에 사용되던 배수트렌치 보다 가볍고,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 맞춰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수평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결합하는 방식에 비하여 시공편차를 줄일 수 있고, 건축물의 모서리 부근에서 결합에 필요한 공간도 종래보다 감소되어 시공효율을 향상시켜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배수관 결합용 트렌치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배수관 결합용 트렌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연결트렌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배수관 결합용 트렌치의 확대 측종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일부절개 종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수관 연결부 2 : 그레이팅 안착부 2′: 그레이팅
3 : 바닥면 4a,4b : 벽면 5a,5b : 바닥면 이음절개부
6a,6b : 벽면 이음절개부 7 : 개방부 8 : 배수관 결합용 트렌치
9 : 연결트렌치 100 : 배수트렌치 200 : 보온방습판넬
210 : 보온방습판넬의 골 300 : 외벽면

Claims (1)

  1. 건축물 외벽면(300)과 보온방습판넬(200) 사이에서 형성되는 침투수 및 결로수를 유도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수트렌치에 있어서,
    배수관 연결부(1)를 구비한 그레이팅 안착부(2)가 바닥면(3)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3)은 양측 벽면(4a,4b)의 중앙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H형상을 이루며, 상기 바닥면(3)과 양측 벽면(4a,4b)의 좌·우측에 이음절개부(5a,5b,6a, 6b)가 대응되게 구비되고, 일측 벽면(4b)의 하부에는 배수관(10)의 인출을 위한 개방부(7)가 형성된 배수관 결합용 트렌치(8)의 좌·우측에는 바닥면(3)이 양측 벽면(4a,4b)의 중앙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H형상을 이루며, 상기 바닥면(3)과 양측 벽면(4a,4b)의 좌·우측에 이음절개부(5a,5b,6a,6b)가 대응되게 구비된 연결트렌치(9)가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의 침투수 및 결로수 유도용 배수트렌치 구조.
KR20-2005-0003133U 2005-02-02 2005-02-02 건축물 외벽의 침투수 및 결로수 유도용 배수트렌치 구조 KR2003825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133U KR200382523Y1 (ko) 2005-02-02 2005-02-02 건축물 외벽의 침투수 및 결로수 유도용 배수트렌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133U KR200382523Y1 (ko) 2005-02-02 2005-02-02 건축물 외벽의 침투수 및 결로수 유도용 배수트렌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523Y1 true KR200382523Y1 (ko) 2005-04-20

Family

ID=43684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133U KR200382523Y1 (ko) 2005-02-02 2005-02-02 건축물 외벽의 침투수 및 결로수 유도용 배수트렌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5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927B1 (ko) * 2007-08-24 2009-08-31 엄계현 배수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927B1 (ko) * 2007-08-24 2009-08-31 엄계현 배수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546B1 (ko) 목재벽돌조립체
US6321496B1 (en) Insulated form assembly for a poured concrete wall
JP6336682B2 (ja) 壁構造物用建築ブロック
US20190242129A1 (en) Metal framing components for wall panels
KR101173795B1 (ko) 조립식 트러스 구조
JP5715439B2 (ja) 建物の断熱構造
KR101385558B1 (ko)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KR200382523Y1 (ko) 건축물 외벽의 침투수 및 결로수 유도용 배수트렌치 구조
FI83120B (fi) Konstruktionsenhet.
US3415023A (en) Prefabricated buildings and panels utilizable in constructing same
KR101566801B1 (ko) 하프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EP1012415B1 (en) Arrangement at wall support
KR20190002389U (ko) 건식 난방용 조립식 패널
KR101496283B1 (ko) 벽체-슬랩 결합구조물
KR20130024101A (ko)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
KR20130086879A (ko) 조립식 욕실용 저소음형 벽판넬 설치 구조
FI89295B (fi) Golvbrunn med genomfoeringsutrustning samt foerfarande foer installation av golvbrunnen
KR101385554B1 (ko)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KR200384762Y1 (ko) 조립식 석재가옥
KR100561165B1 (ko) 조립식 석재가옥
KR10056727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구조 및 그 체결방법
JP2001323590A (ja) 排水床構造
RU2275477C2 (ru) Решетчатый элемент стенового ограждения
KR20130023454A (ko)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
KR20220007234A (ko) 단열 바닥 배수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