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1478A - 액정표시장치 및 액정 주입 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및 액정 주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1478A
KR20020031478A KR1020000061968A KR20000061968A KR20020031478A KR 20020031478 A KR20020031478 A KR 20020031478A KR 1020000061968 A KR1020000061968 A KR 1020000061968A KR 20000061968 A KR20000061968 A KR 20000061968A KR 20020031478 A KR20020031478 A KR 20020031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panel
crystal display
tft substrate
colo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1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3821B1 (ko
Inventor
최수석
최석원
Original Assignee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Priority to KR1020000061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3821B1/ko
Priority to US09/982,837 priority patent/US6741317B2/en
Publication of KR20020031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1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8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특히 패널에 액정 주입시 액정 주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이 서로 수직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데이터 라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의 교점에 인접한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각 라인들의 사이에 화소전극이 배치되어 형성된 TFT기판과; 상기 TFT기판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칼라필터층 및 공통전극이 형성된 칼라필터 기판과; 상기 TFT기판과 상기 칼라필터 기판 사이에 액정이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임의의 기판 상에 스페이서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대면적 패널의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면적 패널 내부를 소형 사이즈로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패널 내부에 형성된 폴리머 벽; 상기 폴리머 벽으로 나누어진 영역 마다 액정 주입구를 각각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패널 대형화에 따른 주입시간의 증대를 단축하기 위해서 대형패널 내부에 폴리머 벽을 일정 방향으로 형성시켜 소형패널화 한 다음, 각각의 소형패널화된 영역에 주입구를 마련하고 각 주입구와 액정 공급부를 결합시킨 각 컨넥터를 통해서 동시에 각 패널에 액정을 주입함으로써, 액정주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패널의 충격 안정도를 향상시켜 줄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및 액정 주입 방법{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injection method}
본 발명은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특히 대면적 패널 내부에 폴리머 벽을 형성하고 그 벽을 통해 나누어진 부분 패널 영역마다 액정 주입구를 형성하여 각 주입구에 동시에 액정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한 액정표시장치 및 액정 주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필터 기판(10) 및 TFT 기판(20) 사이에 개재시켜서 상호 평행하게 배치해 놓고, 그 주변을 밀봉시켜 만들어지는 액정 셀에 액정(30)을 주입하여 놓음으로써 액정이 갖는 유전이방성을 이용하여 문자, 숫자, 기타 임의의 도안을 표시하는 소자로서 전자기기의 표시 패널부나 시계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칼라필터 기판(10)는 상부 투명기판(11)의 내면에 칼라필터층(12)과 블랙매트릭스(BM)(13)막을 형성하고, 상기 칼라필터층(12)과 블랙매트릭스(13)가 형성된 기판 상에 ITO재질의 공통전극(14)을 형성해 준 구조이다.
그리고, TFT기판(20)에는 하부 투명기판(21)의 내면에 복수개의 게이트 버스라인(22)과 데이터 버스라인(23)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버스라인(22)과 데이터 버스라인(23)의 교차점에 인접한 스위칭소자로 기능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24)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4)의 드레인 전극에 접촉되는 정방향의 화소전극(25)이 게이트 버스라인(202)과 데이터 버스라인(204)에 포위된 형태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장치의 액정 주입방식은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주입방식과 진공을 이용한 흡입방식이 알려져 있다.
상기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패널 내 액정을 주입하는 터치방식(DIP방식)은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을 참조하면, 챔버(chamber)(1)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제1공정과, 상기 제1공정에서 챔버 내부가 진공으로 되면 상기 챔버 내부에 있는 액정쟁반(1c)의 안내부(미도시)와 액정셀(2)의 주입구(미도시)를 임의의 압력으로 결합시키는 제2공정과, 상기 제2공정에서의 결합으로 상기 액정쟁반(1c)의 액정(1b)이 상기 액정셀(1a) 안으로 모세관현상에 의해 주입되는 제3공정과, 상기 제3공정에서의 액정셀(1c) 안으로 액정(1b)이 모두 주입되고 나면 상기 액정쟁반(1c)을 분리하는 제4공정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액정 주입 방법은 챔버(1)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든 후, 챔버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면 상기 챔버 내부에 있는 액정쟁반(1c)의 안내부와 액정셀(1a)의 주입구를 임의의 압력으로 결합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액정쟁반(1c)의 안내부와 액정셀(1a)의 주입구가 결합되면 액정쟁반(1c)의 액정(1b)이 액정 셀(1b) 안으로 모세관현상에 의해 주입된다. 상기 액정셀(1b) 안으로 액정(1b)이 모두 주입되면 액정쟁반(1c)을 분리시켜 줌으로써, 액정 주입공정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챔버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든 후 액정 셀(1a)과 액정쟁반(1c)을 결합시켜 액정(1b)이 모세관현상에 의해 액정셀(1a) 안으로 주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액정 주입 방법은 패널이 대형화 될수록 액정 주입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즉, 패널의 대형화, 협 셀 간격화는액정 공정 중 주입 공정에 많은 부담을 끼치여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소가 된다.
한편, 모세관 현상에 의한 액정 주입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액정의 점도를 낮추거나(가온), 패널과 챔버 사이의 기압차를 크게 해 주기 위하여 가압을 하는 도 3와 같은 방법이 채용된다.
도 3은 가온/외압 챔버(80) 내부에 마련된 패널(10)에 주입구 및 배기구를 형성하고 상기 주입구에 주입 컨넥터(11)를 연결하고 상기 배기구에 배기 컨넥터(12)를 각각 연결해 준다.
그리고, 제 1펌프(21)에 의한 패널 내부의 펌핑을 위해 제 7밸브(57), 제 3밸브(53)는 닫고(close), 제 1 및 제 2밸브(51)(52), 제 4밸브(54)는 열은 다음(open), 제 1펌프(21)의 펌핑에 의해 패널 내부를 빼내어 고진공 상태로 만들어 진다.
그리고, 고진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주입 컨넥터(11)에 연결된 제 1밸브(51)를 닫고, 탈포가압탱크(30)에 연결된 제 3밸브(53)를 열어 펌핑시키면 탈포가압탱크(30) 내의 액정(LC)을 탈포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 밸브(51) 및 제 7밸브(57), 제 8밸브(58)를 열고, 탈포 가압탱크(30)의 외부를 가압하면 탱크 내의 액정(LC)이 제 3밸브(53) 및 제 1밸브(51), 주입 컨넥터(11)를 통해서 주입된다.
이때, 제 2펌프(22)의 펌핑에 의해 상기 주입되는 액정(LC)은 배기 컨넥터(12)를 통해서 흡인된다. 즉, 주입 컨넥터(11)로는 액정을 주입하고 배기 컨넥터(12)로는 액정을 흡인하는 방식으로 하여, 액정 주입 시간을 단축하게 된다.이러한 주입-배기 방식은으로, V는 주입속도, △P는 패널과 챔버 내의 기압차, η액정의 점도이다.
그러나, 도 3과 같은 액정 주입-배기 방식은 대형화 패널에서 주입되는 시간 동안 계속 배기측이 열려있는 오픈 시스템이기 때문에 화학적으로 휘발하기 쉬운 재료를 사용할 경우, 휘발된 성분이 배기측에서 계속 날아가 버릴 가능성이 크며, 주입 속도를 강제로 빨리하고 있기 때문에 액정 흐름에 의해 배향막 표면에 손상을 입힐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패널 대형화에 따른 주입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대형 패널에 폴리머 벽을 십자형 또는 일자형으로 형성시켜 소형 패널화한 다음, 각각의 소형 패널화된 영역에 액정 주입구를 각각 마련하고 각 주입구와 액정 공급부를 결합시킨 컨넥터를 통해서 소형패널 각각을 고진공시키고 액정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정 주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액정표시장치 및 액정 주입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종래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액정 주입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 흡인 시키는 방식의 액정 주입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주입을 위한 소형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주입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주입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대형패널110a~110d...소형패널
111...폴리머 벽112...액정 주입구
120...컨넥터130...관
141~146...제 1내지 제 6밸브150...펌프
160...탈포가압탱크170...트랩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이 서로 수직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데이터 라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의 교점에 인접한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각 라인들의 사이에 화소전극이 형성된 TFT기판과; 상기 TFT기판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칼라필터층 및 공통전극이 형성된 칼라필터 기판과; 상기 TFT기판과 상기 칼라필터 기판 사이에 액정이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임의의 기판 상에 스페이서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대면적 패널의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면적 패널 내부를 소형 사이즈로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패널 내부에 형성된 폴리머 벽; 상기 폴리머 벽으로 나누어진 영역 마다 액정 주입구를 각각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패널에 형성되는 액정 주입구는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폴리머 벽이 실링재와 같은 재질이고, 패널 내부에 십자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폴리머 벽이 대형 패널의 짧은 면과 같은 방향으로 한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페이서는 폴리머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주입 방법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이 서로 수직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데이터 라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의 교점에 박막 트랜지스터와 화소전극이 형성된 TFT기판과; 상기 TFT기판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칼라필터층 및 공통전극이 형성된 칼라필터 기판과; 상기 TFT기판과 상기 칼라필터 기판 사이에 액정이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임의의기판 상에 스페이서가 산포되는 구조를 갖는 대면적 패널의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a) 상기 액정 패널에 한 개 이상 형성된 각각의 액정주입구와 액정공급부를 컨넥터로 각각 연결하는 단계;
(b) 각각의 액정주입구를 통해서 펌핑하여 패널 내부를 고진공 상태로 만드는 단계;
(c) 상기 펌핑 단계 후 탈포가압탱크 내의 액정을 탈포시키는 단계;
(d) 상기 액정 탈포 단계후 탈포 가압탱크로부터 액정을 각각의 액정 주입구를 통해서 상기 패널에 주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펌핑 단계후 각 소형 패널 내부의 진공도는 펌핑 단계 후 탈포가압 탱크의 내부 진공도 보다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주입을 위한 소형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주입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주입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대형 패널(100)의 내부에 폴리머 벽(Polymer wall)(111)을 형성하여 소형 패널(110a~110d)화하며, 소형 패널(110a~110d)의 외측 각각에 액정 주입을 위한 액정 주입구(112)를 마련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소형 패널(110a~110d) 각각에 형성된 주입구(112)와 액정 공급부를 컨넥터(120)로 연결하고, 관(130)의 개폐를 위한 제 1내지 제6밸브(141~146)와, 펌핑을 위한 펌프(150)와, 가압에 의해 액정(LC)을 관(130)으로 배출하는 탈포가압탱크(160)와,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트랩(Trap)(170) 및 탈포가압탱크(160)를 가압시키기 위해 건조공기(Dry Air)가 주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및 액정 주입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와 같이 대형패널(100)을 소형 패널화하기 위해 십자 모양(+)으로 폴리머 벽(111)을 칼라필터 기판 또는 TFT기판에 형성하며, 상기 폴리머 벽(111)에 의해 여러개의 소형패널(110a~110d)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폴리머 벽(111)은 셀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spacer) 역할 및 소형 패널(110a~110d) 간을 분리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각각의 소형패널(110a~110d) 내부는 폴리머로 패턴된 스페이서(patterned spacer)를 형성하거나, 또는 비드 스페이스(bead spacer)를 산포하여 액정 표시장치의 칼라필터기판과 TFT기판 상의 셀 간격을 유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셀 간격을 유지하는 방법 중에서 상기 비드 스페이서 산포시에 십자 모양(+)의 폴리머 벽(111)에 비드 스페이서가 올라갈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폴리머로 패턴된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머 벽의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실링재와 같은 재질로 하고, 그 형성되는 방향은 대면적 패널의 짧은 면과 같은 방향으로 한 개 이상 형성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대형 패널의 소형패널화는 패널 사이즈에 맞춰 소형화시키면 도 3의실시예와 같이 한 패널을 4개의 소형 패널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소형패널(110a~110d) 각각에 액정 주입을 위한 액정 주입구(112)를 형성해 주고, 고진공 상태로 만든 다음 가압에 의한 액정을 주입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부분 패널화된 소형패널(110a~110d)에 각각 마련된 주입구(112)에 액정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액정 공급부와 액정 주입구(112)를 컨넥터(120)로 연결시킨다. 여기서 컨넥터(120)는 Beldex사(일본)에 의하여 상용화되어 있다.
그리고, 탈포가압탱크(160)에 연결된 제 3밸브(143)를 닫고 컨넥터로 연결된 패널 내부를 직접 펌프(150)에 의해 펌핑하여 고진공(대략 10-6torr) 내외의 진공상태로 한다. 이때의 제 1 및 제 2밸브(141,142), 제 4밸브(144)는 열린 상태이다.
이렇게 컨넥터(120)로 연결된 소형패널(110a~110d) 각각에 직접 펌핑을 하기 때문에 대형화되는 패널 전체를 펌핑하는 방식에 비해서는 펌핑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소형패널(110a~110d)의 내부 진공도를 일정 진공상태(대략 10-6torr)로 유지하기 위하여 제 1밸브(141)를 닫은 다음, 제 3밸브(143)를 열어 탈포가압탱크(160)에 펌핑하면 탈포가압탱크(160) 내의 액정(LC)을 탈포시킬 수 있다. 이때, 액정 재료의 화학 성분의 휘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형패널(110a~110d)의 내부 진공도 보다는 낮은 진공도(대략 10-3torr)내외로 펌핑시킨다.
즉, 소형패널 내부의 펌핑과 액정 탈포를 동시에 할 수도 있으나, 패널 내부는 고진공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액정 재료의 화학 성분의 휘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따로 분리하여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패널 펌핑 및 액정 탈포 후, 펌프(150)와 연결된 제 4밸브(144)를 닫은 다음, 탈포시 닫았던 제 1밸브(141)를 열고 탈포가압탱크(160) 외부를 건조공기(Dry Air)로 가압하여 탈포가압탱크(160) 내의 액정(LC)이 각 소형 패널(110a~110d)에 주입되도록 한다. 이때 제 1 내지 제 3밸브(141~143), 제 6밸브(146)는 열려진 상태이다.
이러한 도 5의 액정 주입 장치에 의한 액정 주입 방법에 대하여 도 6를 참조하면, 대형 패널(100) 내부에 한 개 이상의 폴리머 벽(111)에 의해 나누어진 소형 패널(110a~110b) 일측에 형성된 각각의 액정 주입구(112)와 액정 공급부를 컨넥터(120)로 각각 연결하여(S101), 액정을 각 소형패널 내부에 주입할 수 있게 만든다.
상기 S102 단계 후 각 소형 패널(110a~110d) 내부를 펌핑하여 고진공 상태로 하고 어느 정도의 고진공 상태가 되면 그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제 1밸브(141)를 닫는다(S102).
그리고, 상기 단계 S103 후 탈포가압탱크(160)에 연결된 제 3밸브(143)를 열고 펌핑을 하여 탈포가압탱크(160) 내의 액정을 탈포시킨다(S103). 이때의 펌핑은 탈포가압 탱크(160)의 진공도가 소형 패널 내부의 진공도 보다는 낮게 유지한다.
이와 같이 소형패널(110a~110d)의 펌핑 및 탈포 후, 펌프와 연결된 제 4밸브(144)를 닫고, 탈포시 닫았던 제 1밸브(141)를 열고 탈포가압탱크(160) 외부를 가압하여 탱크 내의 액정(LC)이 컨넥터(111)를 통해서 소형패널(110a~110d) 각각에 주입되도록 한다(S104). 이후 패널의 주입구(112)를 봉지하는 봉지공정 및 세정공정을 통해 액정 주입 공정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대화패널에 폴리머 벽을 형성하여 임의의 사이즈를 갖는 소형패널 즉, 십자모양(+)에 의한 4개의 소형패널 또는 2개의 일자모양(||)에 의한 3개의 소형패널로 나누고 각 소형패널에 동시에 액정을 주입하게 함으로써, 액정주입 시간을 단축시킬 뿐 만 아니라, 십자 모양(+)의 폴리머 벽에 의하여 내 충격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면적 패널 내부에 폴리머 벽을 칼라필터 기판 또는 TFT 기판에 형성하여 임의의 사이즈를 갖는 소형패널로 나누고, 상기 폴리머 벽 사이의 소형 패널에는 칼라필터 기판 및 TFT기판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를 산포하거나 폴리머로 패턴된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소형패널에 형성된 액정 주입구에 컨넥터를 연결하여 효과적으로 각 패널 내부의 진공도를 높임과 아울러, 각 주입구를 통해 동시에 액정을 주입하도록 함으로써, 액정 주입 속도를 단축시키고, 패널 내부에 형성된 폴리머 벽에 의한 내 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복수의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이 서로 수직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데이터 라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의 교점에 인접한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각 라인들의 사이에 화소전극이 형성된 TFT기판과; 상기 TFT기판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칼라필터층 및 공통전극이 형성된 칼라필터 기판과; 상기 TFT기판과 상기 칼라필터 기판 사이에 액정이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임의의 기판 상에 스페이서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대면적 패널의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면적 패널 내부를 소형 사이즈로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패널 내부에 형성된 폴리머 벽;
    상기 폴리머 벽으로 나누어진 영역 마다 액정 주입구를 각각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에 형성되는 액정 주입구는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벽이 실링재와 같은 재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벽이 십자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벽이 대형 패널의 짧은 면과 같은 방향으로 한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폴리머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복수의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이 서로 수직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데이터 라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의 교점에 박막 트랜지스터와 화소전극이 형성된 TFT기판과; 상기 TFT기판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칼라필터층 및 공통전극이 형성된 칼라필터 기판과; 상기 TFT기판과 상기 칼라필터 기판 사이에 액정이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임의의 기판 상에 스페이서가 산포되는 구조를 갖는 대면적 패널의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에 한 개 이상 형성된 각각의 액정주입구와 액정공급부를 컨넥터로 각각 연결하는 단계;
    각각의 액정주입구를 통해서 펌핑하여 패널 내부를 고진공 상태로 만드는 단계;
    상기 펌핑 단계 후 탈포가압탱크 내의 액정을 탈포시키는 단계;
    상기 액정 탈포 단계후 탈포 가압탱크로부터 액정을 각각의 액정 주입구를통해서 상기 패널에 주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주입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 단계후 각 소형 패널 내부의 진공도는 펌핑 단계 후 탈포가압 탱크의 내부 진공도 보다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주입 방법.
KR1020000061968A 2000-10-20 2000-10-20 액정 주입 방법 KR100623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968A KR100623821B1 (ko) 2000-10-20 2000-10-20 액정 주입 방법
US09/982,837 US6741317B2 (en) 2000-10-20 2001-10-22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injection ports and liquid crystal injec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968A KR100623821B1 (ko) 2000-10-20 2000-10-20 액정 주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1478A true KR20020031478A (ko) 2002-05-02
KR100623821B1 KR100623821B1 (ko) 2006-09-12

Family

ID=19694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1968A KR100623821B1 (ko) 2000-10-20 2000-10-20 액정 주입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741317B2 (ko)
KR (1) KR1006238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24905A1 (de) * 2016-12-14 2018-06-14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Fusionieren von Bilddaten von einem Multikamera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5661A (ja) * 1991-08-21 1993-02-26 Toshiba Corp 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JP3010325B2 (ja) * 1992-02-21 2000-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
US5499127A (en) * 1992-05-25 1996-03-12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larger gap between the substrates in the display area than in the sealant area
US6195149B1 (en) * 1995-11-02 2001-02-27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a liquid crystal panel
JP3698809B2 (ja) * 1996-03-23 2005-09-2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装置作製方法
JP3274813B2 (ja) * 1996-09-12 2002-04-1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注入装置
JPH10319416A (ja) * 1997-05-19 1998-1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注入方法
TW507091B (en) * 1997-10-30 2002-10-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US6285434B1 (en) * 1998-02-20 2001-09-04 Advanced Display Systems, Inc. Substrate for colored cholesteric liquid crystal display allowing cholesteric liquid crystal material to be filled by surface tension without vacuum
JP2000180877A (ja) * 1998-12-15 2000-06-30 Berudekkusu:Kk 液晶注入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3821B1 (ko) 2006-09-12
US6741317B2 (en) 2004-05-25
US20020047981A1 (en) 200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6417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119371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111874A (ko) 액정 표시 장치
US20100243157A1 (en) Sealant Forming Apparatus, Sealant Forming Meth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0623821B1 (ko) 액정 주입 방법
JP2009036937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31196B2 (ja) 液晶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60454B1 (ko) 필터를 구비한 액정적하장치
KR100673299B1 (ko) 액정펌프모듈의 기포 제거방법
JP2006276372A (ja) 液晶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31041B1 (ko) 액정탈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포 방법
KR930001831Y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11828A (ko) 액정표시패널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996554B1 (ko) 분리가능한 액정토출펌프를 구비한 액정적하장치
KR101239822B1 (ko) 액정표시장치용 실런트 적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패턴형성방법
KR100934835B1 (ko) 1회용 노즐을 구비한 액정적하장치
JP2006098609A (ja) 液晶表示装置
JP2776329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236293A (ja)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532088B1 (ko) 액정적하장치
KR10032056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0241825A (ja) 液晶装置の製造方法
KR20050011122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201109B1 (ko)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2008175894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