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299B1 - 액정펌프모듈의 기포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펌프모듈의 기포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299B1
KR100673299B1 KR1020060095599A KR20060095599A KR100673299B1 KR 100673299 B1 KR100673299 B1 KR 100673299B1 KR 1020060095599 A KR1020060095599 A KR 1020060095599A KR 20060095599 A KR20060095599 A KR 20060095599A KR 100673299 B1 KR100673299 B1 KR 100673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piston
pump module
discharging
several ti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세호
박종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095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2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펌프모듈의 기포 제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공간을 갖고 양 측면에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실린더와, 실린더 내로 삽입된 상태로 회전 및 승강 운동하며 회전 위치에 따라 흡입구와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게 형성된 피스톤을 구비하는 액정펌프모듈에 있어서 실제 액정을 적하하기 전에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a) 흡입구를 개방시키도록 피스톤을 회전시킨 다음 피스톤을 최대 스트로크로 상승시켜 액정을 흡입한 후, 토출구를 개방시키도록 피스톤을 회전시킨 다음 피스톤을 최대 스트로크로 하강시켜 액정을 토출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 및 (b) (a) 단계 이후에, 흡입구를 개방시키도록 피스톤을 회전시킨 다음 피스톤을 최대 스트로크로 상승시켜 액정을 흡입한 후, 토출구를 개방시키도록 피스톤을 회전시킨 다음 피스톤을 수차례에 걸쳐 하강시키면서 액정을 수회 토출하되 각 차례에서 액정을 토출한 직후 피스톤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정펌프모듈의 기포 제거방법{Method for removing bubble of liquid pump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펌프모듈의 기포 제거방법이 적용되는 액정 펌프 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액정펌프모듈을 일부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액정펌프모듈이 조립된 상태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액정펌프모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펌프모듈의 기포 제거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있어서, 액정을 최대 스트로크로 흡입한 후 최대 스트로크로 액정을 토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도 4에 있어서, 액정을 최대 스트로크로 1회 흡입한 후 수회에 걸쳐 액정을 토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액정펌프모듈 120..실린더
121..흡입구 122..토출구
130..피스톤 140..리니어 액추에이터
150..회전 액추에이터
본 발명은 액정펌프모듈에 있어서, 실제로 액정을 적하하기에 앞서 액정펌프모듈 내에 잔존하는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란 브라운관을 채용한 텔레비전이나 모니터보다 두께가 얇고 가벼운 영상표시장치를 일컫는다. 평판 디스플레이로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 EL(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액정 디스플레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액정 셀들에 화상정보에 따른 데이터신호를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액정 셀들의 광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표시장치로서, 얇고 가벼우며 소비전력과 동작 전압이 낮은 장점 등이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 디스플레이에 일반적으로 채용되는 액정 패널의 제조 방법을 일 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 글라스 기판에 컬러 필터 및 공통 전극을 패턴 형성하고, 상부 글라스 기판과 대향이 되는 하부 글라스 기판에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및 화소 전극을 패턴 형성한다.
이어서, 기판들에 각각 배향막을 도포한 후,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의 액정분자에 프리틸트 각(pretilt angle)과 배향 방향을 제공하기 위해 배향막을 러빙(rubbing)한다. 그리고, 기판들 사이의 갭을 유지하는 한편 액정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고 기판들 사이를 밀봉시킬 수 있도록 어느 하나의 기판에 가장자리를 따라 씨일(seal) 페이스트를 도포한다.
그 다음, 기판들 사이를 합착하기 전에 씨일 페이스트가 도포된 기판 상에 액정을 적하하는 방식에 의해 액정층을 형성한 후 기판들 사이를 합착하거나, 기판들 사이를 합착한 후 그 사이로 액정을 주입하는 방식에 의해 액정층을 형성함으로써, 액정 패널을 제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액정 패널을 제조함에 있어서, 액정을 적하하는 방식에 의해 액정층을 형성하는 경우, 액정적하장치가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액정적하장치는 액정을 설정된 양으로 토출하여 적하할 수 있게 액정펌프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액정펌프모듈은 액정 저장용기로부터 액정을 공급받은 후 액정에 토출 압력을 가함으로써, 노즐을 통해 액정을 설정된 양으로 토출하게 된다.
이처럼 액정펌프모듈은 액정을 공급받기 위해 액정 저장용기와 연결되는데, 실제로 액정을 적하하기 전, 예컨대 액정 저장용기와 처음으로 연결될 때에는, 액정펌프모듈 내에 기포가 포함될 수 있는바, 액정이 설정된 양으로 정확하게 토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액정을 최대 스트로크로 흡입하고 토출시키는 과정을 수회 이상 반복하는 과정에서 기포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액정펌프모듈을 동작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전술한 과정을 거쳐 기포를 제거한다고는 하나, 액정펌프모듈 내에 는 기포가 완전히 배출되지 않고 잔존할 수 있다. 이렇게 잔존한 기포는 실제로 액정을 적하할 때, 액정 대신 토출되거나 액정과 함께 토출됨에 따라 액정 패널의 제조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펌프모듈 내에 잔존하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종래에 따르면, 전술한 기포 제거 과정에 후속하여, 기포를 최대한 배출할 수 있게 액정을 최대 스트로크로 흡입하고 토출시키는 과정을 다시금 수회 이상 더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기포를 제거하는데 장시간이 소요될 뿐더러, 액정이 많이 소비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로 액정을 적하하기 전에 액정펌프모듈 내에 잔존하는 기포를 신속하게 제거함과 아울러, 기포 제거시 액정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액정펌프모듈의 기포 제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펌프모듈의 기포 제거방법은, 내부 공간을 갖고 양 측면에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로 삽입된 상태로 회전 및 승강 운동하며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게 형성된 피스톤을 구비하는 액정펌프모듈에 있어서 실제 액정을 적하하기 전에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흡입구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피스톤을 회전시킨 다음 상기 피스톤을 최대 스트로크로 상승시 켜 액정을 흡입한 후, 상기 토출구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피스톤을 회전시킨 다음 상기 피스톤을 최대 스트로크로 하강시켜 액정을 토출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 이후에, 상기 흡입구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피스톤을 회전시킨 다음 상기 피스톤을 최대 스트로크로 상승시켜 액정을 흡입한 후, 상기 토출구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피스톤을 회전시킨 다음 상기 피스톤을 수차례에 걸쳐 하강시키면서 액정을 수회 토출하되 각 차례에서 액정을 토출한 직후 상기 피스톤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펌프모듈의 기포 제거방법이 적용되는 액정펌프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액정펌프모듈(100)은 액정 디스플레이 제조에 있어서 액정을 흡입한 후 설정된 양으로 기판에 토출하여 적하하게 하는 것으로, 상측에는 액정을 공급받을 수 있게 액정 저장용기(11)가 마련된다.
상기 액정 저장용기(11)는 내부에 액정이 채워진 것이다. 액정 저장용기(11)는 강성 소재로 이루어진 케이스(12)에 수납되어 보호될 수 있다. 그리고, 액정 저장용기(11)는 지지부(13)에 의해 지지가 된다.
지지부(13)에는 주사 바늘처럼 내부에 유로를 갖는 핀(14)이 형성된다. 핀(14)은 제1 연결관(15)의 일단부와 결합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 관(15)의 타단부는 액정펌프모듈(100)의 하우징(110)에 마련된 액정 흡입부(111)와 결합하여 연결된다. 이에 따라, 액정 저장용기(11)에 담겨 있는 액정이 핀(14)과 제1 연결관(15)을 통해 액정펌프모듈(100)의 액정 흡입부(111)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액정펌프모듈(100)의 하측에는 노즐(16)이 마련된다. 노즐(16)은 하우징(110)에 마련된 액정 토출부(112)와 제2 연결관(17)에 의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액정 토출부(112)로부터 토출된 액정은 제2 연결관(17)을 거쳐 노즐(16)을 통해 기판에 토출될 수 있다. 여기서, 액정 토출부(112)는 액정 흡입부(111)와 반대쪽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노즐(16)은 액정펌프모듈(100)의 브래킷(101)에 마련된 지지 블록(102)에 의해 지지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정 저장용기(11)로부터 공급된 액정을 흡입하고 노즐(16)을 통해 토출하게 된 액정펌프모듈(100)은, 하우징(110)과 함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20), 피스톤(130),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 140), 및 회전 액추에이터(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린더(120)는 하우징(110)의 상부 개구를 통해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실린더(120)는 피스톤(130)의 상하 운동 및 회전 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갖는다. 상기 실린더(120)는 한쪽 측면에 흡입구(121)가 형성되며, 흡입구(121)의 반대쪽 측면에 토출구(122)가 형성된다.
여기서, 흡입구(121)는 하우징(110)의 액정 흡입부(111)와 연통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액정 저장용기(11)로부터 공급되는 액정을 실린더(120)의 내부로 흡입한다. 그리고, 토출구(122)는 하우징(110)의 액정 토출부(112)와 연통되게 형성됨으 로써, 실린더(120)의 내부로 흡입된 액정을 실린더(120)의 외부로 토출한다. 토출구(122)는 흡입구(121)와의 사이가 대략 180°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20)가 하우징(110)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하우징(110)에는 상부 개구를 막기 위한 캡(cap, 115)이 설치된다. 캡(115)은 실린더(120) 내로 피스톤(130)을 삽입 통과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하우징(110) 내에는 실린더(120)의 상측에 액정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 부재(116)가 마련된다.
피스톤(130)은 원통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갖는 실린더(120)에 상응하게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실린더(120) 내로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피스톤(130)은 리니어 액추에이터(140)에 의해 승강 운동을 하며, 회전 액추에이터(150)에 의해 회전 운동을 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130)에는 회전 위치에 따라 실린더(120)의 흡입구(121)와 토출구(122)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개방 홈(131)이 형성된다.
리니어 액추에이터(140)는 피스톤(130)을 승강 운동시켜 액정을 흡입하고 토출시킬 수 있게 한다. 즉, 리니어 액추에이터(140)는 흡입구(121)의 개방시 피스톤(130)을 상승시킴에 따라 실린더(120) 내에 흡입력을 발생시켜 액정을 흡입할 수 있게 하며, 토출구(122)의 개방시 피스톤(130)을 하강시킴에 따라 실린더(120) 내에 토출력을 발생시켜 액정을 토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리니어 엑추에이터(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130)의 스트로크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토출시키고자 하는 액정의 양을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리니어 액추에이터(140)는 회전 액추에이터(150)에 의해 피스톤(130)이 회전 운동하는 동안 피스톤(130)을 독립적으로 승강 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회전 액추에이터(150)는 피스톤(130)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피스톤(130)의 회전 위치에 따라 개방 홈(131)이 실린더(120)의 흡입구(121)와 토출구(122)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게 한다. 즉, 회전 액추에이터(150)는 피스톤(130)이 액정의 흡입 및 토출 상태를 제어하는 밸브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회전 액추에이터(150)는 피스톤(130)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회전 액추에이터(150)로부터의 회전력은 고정부(10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부재(152)로 전달되며, 상기 회전 부재(152)는 피스톤(130)의 상측에 설치된 리니어 액추에이터(140)가 설치된 헤드(153)로 다시 전달하여 피스톤(130)을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회전 액추에이터(150) 및 리니어 액추에이터(140)의 배치 구조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액정펌프모듈(100)은 액정을 공급받기 위해 액정 저장용기(11)와 연결되는데, 실제로 액정을 적하하기 전, 예컨대 액정 저장용기(11)와 처음으로 연결될 때에는, 액정펌프모듈(100)의 실린더(120) 내에는 기포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기포는 실제로 액정을 적하할 때, 액정 대신 토출되거나 액정과 함께 토출됨에 따라 액정 패널의 제조 불량을 야기하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제거될 필요가 있다.
이처럼 액정펌프모듈(100)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포 제거방법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S210 단계에서는, 액정을 최대 스트로크로 흡입한 후 최대 스트로크로 액정을 토출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하여 수행한다.
상술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130)의 개방 홈(131)이 흡입구(121)에 위치되어 흡입구(121)를 개방시키도록 회전 액추에이터(150)에 의해 피스톤(130)의 회전시킨 후, 리니어 액추에이터(140)에 의해 피스톤(130)을 A 위치까지 최대 스트로크로 상승시켜 액정을 흡입한다.
그 다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홈이 토출구(122)에 위치되어 토출구(122)를 개방시키도록 회전 액추에이터(150)에 의해 피스톤(130)을 회전시킨 후, 리니어 액추에이터(140)에 의해 피스톤(130)을 A 위치에서 B 위치까지 최대 스트로크로 하강시켜 액정을 토출한다. 이렇게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을 흡입하고 토출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함으로써, 토출구(122)를 통해 액정을 수회 토출시킬 때 실린더(120) 내에 잔존하는 기포를 함께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S210 단계에서는, 액정을 수회 토출하는 과정에서, 피스톤(130)의 회전 방향이 적어도 한 번 이상 바뀔 수 있게 피스톤(1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는 실린더(120)의 내벽에 기포가 붙어있어서 액정 토출시 쉽게 배출되지 않은 경우, 피스톤(130)의 회전 방향에 변화를 주어 기포의 움직임을 활성화하여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실린더(120)와 피스톤(130)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에 따라 움직임이 활성화된 기포는 실린더(120)의 내벽으로부터 떨어진 후 실린더(120) 내의 액정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액정 토출시 액정과 함께 쉽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피스톤(130)의 회전 방향은 일 예로, 액정을 흡입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교번하여 바뀔 수 있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액정을 흡입한 후 한번은 피스톤(130)을 시계 방향으로 360°회전시키고, 다음번에는 피스톤(130)을 반 시계 방향으로 360°회전시키는 방식으로, 피스톤(130)의 회전 방향이 교번하여 바뀌게 설정될 수 있다. 이 밖에도 피스톤(130)의 회전 방향이 적어도 한 번 이상 바뀔 수 있는 범주 내에서 피스톤(130)의 회전 방향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S210 단계를 거쳐 기포를 1차적으로 배출시킨 다음, S220 단계에서는, 액정을 최대 스트로크로 1회 흡입한 후 수회에 걸쳐 액정을 토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즉, 흡입구(121)를 개방시키도록 피스톤(130)을 회전시킨 다음 피스톤(130)을 최대 스트로크로 상승시켜 액정을 흡입한 후, 토출구(122)를 개방시키도록 피스톤(130)을 회전시킨 다음 피스톤(130)을 수차례에 걸쳐 하강시키면서 액정을 수회 토출하되 각 차례에서 액정을 토출한 직후 피스톤(130)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술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121)를 개방시키도록 회전 액추에이터(150)에 의해 피스톤(130)을 회전시킨 후, 리니어 액추에이터(140)에 의해 피스톤(130)을 A 위치까지 최대 스트로크로 상승시켜 액정을 흡입한다.
그 다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122)를 개방시키도록 회전 액추에이터(150)에 의해 피스톤(130)을 회전시킨 후, 리니어 액추에이터(140)에 의해 피스톤(130)을 A 위치에서 C1 위치까지 하강시켜 액정을 1회 토출한다. 여기서, A 위치와 C1 위치 사이의 간격은 피스톤(130)의 최대 스트로크에 해당하는 A 위치와 B 위치 사이의 거리를 액정을 토출하고자 하는 횟수로 나눈 값이 될 수 있다.
이어서, 피스톤(130)을 C1 위치까지 하강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회전 액추에이터(150)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실린더(120)의 내벽에 여전히 붙어있는 기포의 움직임이 실린더(120)와 피스톤(130)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바, 실런더(120)의 내벽으로부터 떨어져 액정 토출시 액정과 함께 토출되어 쉽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피스톤(130)을 회전시키는 각도는 360°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피스톤(130)이 회전하면서 실린더(120)의 내벽과 접하는 면적을 최대한 많이 확보함으로써, 기포도 최대한 많이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피스톤(130)을 360°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130)이 토출구(122)를 개방시키는 위치로 복귀하여 대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리니어 액추에이터(140)에 의해 피스톤(130)을 C1 위치에서 C2 위치까지 하강시켜 액정을 2회 토출한다. 여기서, C1 위치와 C2 위치 사이의 간격은 A 위치와 C1 위치 사이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그 다음, 피스톤(130)의 위치가 B 위치까지 도달하지 않은 상태라면, 회전 액추에이터(150)에 의해 피스톤(130)을 360°로 회전시킨 후, 리니어 액추에이터(140)에 의해 피스톤(130)을 하강시켜 액정을 3회째 토출한다. 이러한 과정을 피스톤(130)의 위치가 B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 수행하게 되면, 실린더(120)의 내벽 전체에 걸쳐 피스톤(130)이 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포가 최대한 많이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포 제거시 액정의 소비를 최소화하면서도, 기포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S220 단계에서는, 액정을 한번 흡입한 다음 수회 토출하는 과정에서, 피스톤(130)의 회전 방향이 적어도 한 번 이상 바뀔 수 있게 피스톤(1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는 실린더(120)의 내벽에 붙어있는 기포의 움직임을 더욱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하여 기포의 제거 효과를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피스톤(130)의 회전 방향은 일 예로, 액정을 토출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교번하여 바뀔 수 있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액정을 토출한 후 한번은 피스톤(130)을 시계 방향으로 360°회전시키고, 다음번에는 피스톤(130)을 반 시계 방향으로 360°회전시키는 방식으로, 피스톤(130)의 회전 방향이 교번하여 바뀌게 설정될 수 있다. 이 밖에도 피스톤(130)의 회전 방향이 적어도 한 번 이상 바뀔 수 있는 범주 내에서 피스톤(130)의 회전 방향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S220 단계를 거쳐 기포를 배출시킨 다음, S230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S230 단계에서는, 전술한 S210 단계에서와 마찬가지로, 액정을 최대 스트로크로 흡입한 후 최대 스트로크로 액정을 토출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을 흡입하고 토출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함으로써, 토출구(122)를 통해 액정을 수회 토출시킬 때 실린더(120) 내에 잔존하는 기포를 함께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액정을 수회 토출 하는 과정에서, 전술한 S210 단계에서와 마찬가지로, 피스톤(130)의 회전 방향이 적어도 한 번 이상 바뀔 수 있게 피스톤(1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230 단계에서는, 전술한 S220 단계를 거쳐 기포가 상당량 제거된 상태이므로, 액정을 흡입하고 토출하는 횟수는, S210 단계에서 액정을 흡입하고 토출하는 횟수보다 적게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액정의 소비가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S230 단계는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전술한 바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로 액정을 적하하기 전에 액정펌프모듈 내에 잔존하는 기포를 최대한 많이 배출할 수 있으므로, 액정 적하시 액정 패널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기포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액정 패널의 제조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기포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액정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바, 제조 비용 절감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내부 공간을 갖고 양 측면에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로 삽입된 상태로 회전 및 승강 운동하며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게 형성된 피스톤을 구비하는 액정펌프모듈에 있어서 실제 액정을 적하하기 전에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흡입구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피스톤을 회전시킨 다음 상기 피스톤을 최대 스트로크로 상승시켜 액정을 흡입한 후, 상기 토출구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피스톤을 회전시킨 다음 상기 피스톤을 최대 스트로크로 하강시켜 액정을 토출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 이후에, 상기 흡입구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피스톤을 회전시킨 다음 상기 피스톤을 최대 스트로크로 상승시켜 액정을 흡입한 후, 상기 토출구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피스톤을 회전시킨 다음 상기 피스톤을 수차례에 걸쳐 하강시키면서 액정을 수회 토출하되 각 차례에서 액정을 토출한 직후 상기 피스톤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정펌프모듈의 기포 제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는, 액정을 수회 토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스톤의 회전 방향이 적어도 한 번 이상 바뀔 수 있게 상기 피스톤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펌프모듈의 기포 제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에,
    (c) 상기 흡입구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피스톤을 회전시킨 다음 상기 피스톤을 최대 스트로크로 상승시켜 액정을 흡입한 후, 상기 토출구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피스톤을 회전시킨 다음 상기 피스톤을 최대 스트로크로 하강시켜 액정을 토출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펌프모듈의 기포 제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액정을 흡입하고 토출하는 횟수는 상기 (a) 단계에서 액정을 흡입하고 토출하는 횟수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펌프모듈의 기포 제거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액정을 수회 토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스톤의 회전 방향이 적어도 한 번 이상 바뀔 수 있게 상기 피스톤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펌프모듈의 기포 제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피스톤을 수차례에 걸쳐 하강시키면서 액정을 수회 토출하는 과정 동안, 각 차례에서 액정을 토출한 직후 상기 피스톤을 회전시키는 각도가 3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펌프모듈의 기포 제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액정을 수회 토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스톤의 회전 방향이 적어도 한 번 이상 바뀔 수 있게 상기 피스톤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펌프모듈의 기포 제거방법.
KR1020060095599A 2006-09-29 2006-09-29 액정펌프모듈의 기포 제거방법 KR100673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599A KR100673299B1 (ko) 2006-09-29 2006-09-29 액정펌프모듈의 기포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599A KR100673299B1 (ko) 2006-09-29 2006-09-29 액정펌프모듈의 기포 제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3299B1 true KR100673299B1 (ko) 2007-01-24

Family

ID=38014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599A KR100673299B1 (ko) 2006-09-29 2006-09-29 액정펌프모듈의 기포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2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22121A (zh) * 2008-10-31 2010-06-09 塔工程有限公司 活塞,用于制造该活塞的方法,和设置有该活塞的缸组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22121A (zh) * 2008-10-31 2010-06-09 塔工程有限公司 活塞,用于制造该活塞的方法,和设置有该活塞的缸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769B1 (ko) 펌프 모듈
US20090115815A1 (en) Method for filling functional liquid droplet ejection head with functional liquid, functional liquid supplying device and liquid droplet ejectio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ectro-optical apparatus, and electro-optical apparatus
US20040137159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ucking function liquid droplet ejection head; liquid droplet ejection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optic device;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7373958B2 (en) Liquid crystal dispensing apparatus
KR100673299B1 (ko) 액정펌프모듈의 기포 제거방법
KR100758849B1 (ko) 액정적하장치의 펌프 모듈
KR101397446B1 (ko) 액정표시장치용 약액 공급시스템 및 약액 공급방법
KR101463027B1 (ko) 잉크젯 헤드 세정장치 및 세정방법
KR100960454B1 (ko) 필터를 구비한 액정적하장치
KR100731041B1 (ko) 액정탈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포 방법
KR20050000769A (ko) 액정용기의 정보가 판독 가능한 액정적하장치 및 이를이용한 액정적하방법
KR100996554B1 (ko) 분리가능한 액정토출펌프를 구비한 액정적하장치
KR100978258B1 (ko) 액정적하장치 및 액정적하방법
KR100847820B1 (ko) 액정시린지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532088B1 (ko) 액정적하장치
KR101239822B1 (ko) 액정표시장치용 실런트 적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패턴형성방법
KR101186866B1 (ko) 액정적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소자 제조방법
KR101003575B1 (ko) 펌프모듈의 착탈이 용이한 액정적하장치
KR100934835B1 (ko) 1회용 노즐을 구비한 액정적하장치
KR100875185B1 (ko) 액정탈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포 방법
KR20080011828A (ko) 액정표시패널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050036529A (ko) 글라스 로딩/언로딩 장치
US20050128419A1 (en) Dispenser f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101265086B1 (ko) 복수의 액정적하기를 구비한 액정적하장치
KR20120064065A (ko) 액정적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소자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14